KR100962298B1 -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298B1
KR100962298B1 KR1020070116610A KR20070116610A KR100962298B1 KR 100962298 B1 KR100962298 B1 KR 100962298B1 KR 1020070116610 A KR1020070116610 A KR 1020070116610A KR 20070116610 A KR20070116610 A KR 20070116610A KR 100962298 B1 KR100962298 B1 KR 100962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lightweight
assembly
lightweight molding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261A (ko
Inventor
이기장
이강건
황현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근
이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근, 이정윤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6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2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04B5/32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the filling elements being sphe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철망에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를 결속시켜 완성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浮上)을 억제하여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는 용접철망결속채널을 적절히 이용하여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중공슬래브, 부상, 용접철망, 경량 성형재

Description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Construc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light weight materials assembly from rising on constucting hollow core slab}
본 발명은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철망에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를 결속시켜 완성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浮上)을 억제하여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은 중공슬래브(hollow core slab)는 중앙에 중공(hollow core)을 구비한 구조로서 패널 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자중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단면 성능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슬래브는 장경간(long span)과 무량판(flat slab)의 구현은 물론 층간소음 저감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통상 중공슬래브는 중공 형성 등 현장작업이 어려워 공장에서 제작된 PC제품으로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공장제작의 중공슬래브는 별도의 기계설비가 요구될 뿐 아니라 중공 형성을 위한 제작과정이 상당히 복잡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아울러, 그 자체가 완전한 슬래브 구조체가 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중량감을 가지는 것이 당연하므로 이의 운반 및 양중에 불편함이 있으며, 나아가 기둥 또는 보와의 일체 접합을 위해 중공형 슬래브의 단부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공을 스티로폼 등의 경량 성형재로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즉, 중공이 형성될 위치에 경량 성형재를 배치하여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중공슬래브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를 일일이 배치하여 고정 설치해야 하므로 그 작업은 상당히 번거롭다는 불편을 수반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중공슬래브 시공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120)를 용접철망(110)에 결속하여 하나의 조립체 형태로 완성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를 개발하였으며, 도 2 및 도 3은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를 보여주는데 특히 도 3은 경량 성형재의 형상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량 성형재 조립체를 거푸집 위에 그대로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면, 경량 성형재 조립체는 콘크리트 타설압과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쉽게 부상하므로 콘크리트에 제대로 매입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경량 성형재 조립체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浮上)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용접철망에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를 결속시켜 완성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浮上)을 억제하여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거푸집; 상기 거푸집 위에 설치되며, 거푸집 아래에서 거푸집을 관통한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스페이서; 및, 철선을 교차 접합한 용접철망 위로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가 띄엄띄엄 배치되면서 용접철망에 결속됨으로써 완성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 위에 배치되는 경량 성형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통공이 형성된 웨브와 결속홈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로 구성된 ㄷ자형 부재 로, 상기 플랜지의 결속홈에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 철선 2가닥 이상을 끼워 결속시키면서 상기 웨브가 상기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 위를 덮도록 설치되는 용접철망결속채널;과, 상기 용접철망결속채널의 웨브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스페이서에 결속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용접철망결속채널 위에서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 상기 거푸집 위에 거푸집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고정 배치되는 상부철근; 및, 철선을 교차 접합한 용접철망 아래로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가 띄엄띄엄 배치되면서 용접철망에 결속됨으로써 완성된 것으로 상기 거푸집과 상부철근 사이에 배치되는 경량 성형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웨브와 결속홈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로 구성된 ㄷ자형 부재로, 상기 플랜지의 결속홈에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 철선 2가닥 이상을 끼워 결속시키면서 상기 웨브가 상기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 위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철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용접철망결속채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철망에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를 결속시켜 완성한 경 량 성형재 조립체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浮上)을 억제하면서 상하부 일정한 피복두께를 가지는 중공슬래브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를 보여주는데, 도 4 및 도 5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접합판(130)을 매개로 용접철망(110)과 경량 성형재(120)를 결속한 실시예들이며, 도 6 및 도 7은 경량 성형재(120)에 형성된 끼움홈(121)에 용접철망(110)을 결속시키는 방법으로 경량 성형재(120)와 용접철망(110)을 결속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의 실시예들이다.
도 4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접합판(130)으로 일표면에 용접철망(110)의 철선이 끼워지는 끼움홈(131)이 형성된 것을 채택한 예로서, 접합판의 일표면 끼움홈(131)에 용접철망(110)을 끼우면서 접합판(130)의 타표면에 경량 성형재(120)를 부착함으로써 경량 성형재(120)를 용접철망(110)에 결속시켜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를 완성한 예이다. 이 경우 접합판(130)에 형성된 끼움홈(131)은 용접철망(110)의 제1철선(단면 일부 또는 단면 전체)만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나, 접합판의 끼움홈(131)이 도 4에서와 같이 용접철망(110)의 제1철선은 물론 제1철선과 교차하는 제2철선(단면 일부)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면 접합판(130)과 용접철망(110)의 결속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더욱 유리하다. 물론, 접합판의 끼움홈(131)은 용접철망(110)의 철선이 일단 끼워지면 탈락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5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접합판(130)으로 일표면에 용접철망(110)의 철선이 끼워져 걸쳐지는 끼움고리(132)가 형성된 것을 채택한 예로서, 접합판의 일표면 끼움고리(132)에 용접철망(110)을 끼우면서 접합판의 타표면에 경량 성형재(120)를 부착함으로서 경량 성형재(120)를 용접철망(110)에 결속시켜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를 완성한 예이다. 특히, 도 5에서는 접합판(130)과 끼움고리(132)에 의해 ㄷ자형 공간을 형성시켜 그 공간 내에 용접철망(110)의 철선이 끼워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아울러 ㄷ자형 공간 내부의 끼움고리(132)에 걸림돌기(132a)를 형성시켜 용접철망(110)의 철선이 걸림돌기(132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용접철망(110)의 탈락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박스형 경량 성형재(120) 하나에 2개의 접합판(130)을 접합한 후 용접철망(110)에 결속시킨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경량 성형재(120)로 그 외표면에 용접철망(110)의 철선이 끼워지는 끼움홈(121)이 형성되도록 마련하고, 용접철망(110)을 경량 성형재(120)에 그대로 갖다 끼움으로써 경량 성형재(120)를 용접철망(110)에 결속하여 완성한 예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경량 성형재(120)에 끼움홈(121)을 가공하기만 하면 되므로 제작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도 7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용접철망(110)이 경량 성형재(120) 내부에 형성된 끼움홈(121)에 끼워져 결속되도록 완성한 예로서, 이 경우 경량 성형재(120)는 단위부재를 둘로 절단하여 얻어지는 제1절단부(120a)와 제2절단부(120b)가 결속홈(A)-결속돌기(B)에 의해 상호 끼움결합하도록 구성되면서 제1절단부(120a)와 제2절단부(120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절단면에 끼움홈(121)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특히, 도 7은 경량 성형재의 제1절단부(120a)와 제2절단부(120b) 각각에 결속홈(A)과 결속돌기(B)가 모두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며, 아울러 제1절단부(120a)와 제2절단부(120b)가 내부가 빈 공동부(125)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공동부(125)는 경량 성형재(120)의 경량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에 대한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선을 교차 접합한 용접철망(110) 위로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120)가 띄엄띄엄 배치되면서 용접철망(110)에 결속됨으로써 완성된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서,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을 적절히 이용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이 있는 본 발명은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의 설치위치가 고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2가지로 구분된다.
도 8 및 도 9는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의 설치위치가 고정되는 경우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의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가 적용되고 있지만, 도 5 내지 도 7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물론 다른 형태의 것도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도 8에서와 같이, 거푸집(200); 상기 거푸집(200) 위에 설치되며 거푸집(200) 아래에서 거푸집(200)을 관통한 앵커볼트(220)에 의해 고정되는 스페이서(210); 및, 상기 스페이서(210) 위에 배치되는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면서 동시에, 통공(141)이 형성된 웨브(140a)와 걸림홈(142)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140b)로 구성된 ㄷ자형 부재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홈(142)에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110) 철선 2가닥 이상을 끼워 결속시키면서 상기 웨브(140a)가 상기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110) 위를 덮도록 설치되는 용접철망결속채널(140);과, 상기 용접철망결속채널의 웨브 통공(141)을 통과하여 상기 스페이서(210)에 결속되는 고정볼트(230);와, 상기 용접철망결속채널(140) 위에서 고정볼트(230)에 체결되어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너트(240);의 구성을 필수적으로 더 포함함으로써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의 부상방지 시공구조를 완성하고 있다. 즉,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이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110)에 걸쳐져 설치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을 스페이서(210)와 고정너트(240) 사이에서 고정시킨 결과 최종적으로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위치가 고정되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이로써 거푸집(200)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그 위치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콘크리트에 매입되며, 그 결과 일정의 중공위치를 확보하는 중공슬래브가 완성된다.
특히, 도 8에서는 상·하부철근(310, 320)이 더 배근되는 중공슬래브의 완성을 위해, 상기 스페이서(210)와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 사이에 배치되어 스페이서(210)에 의해 거푸집(200)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고정 배치되는 하부철근(310); 상기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 위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볼트(230)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상부철근(32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때 상부철근(320)은 너트(231)와 와셔(232)의 적절한 사용에 의해 고정볼트(23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8(b)에서는 스페이서(210)로, 위로는 고정볼트(230)가 체결하고 아래로는 앵커볼트(220)가 체결하는 볼트체결기둥(211);과, 상기 볼트체결기둥(211)에서 4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으로 하부철근(310)을 받치는 철근받침대(212);와, 상기 철근받침대(212)의 끝단에 형성된 부분으로 철근받침대보다 더 높게 솟은 걸림기둥(2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210)는 하부철근(310)이 걸림기둥(213)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하부철근의 배근위치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해 제안된 형태이다. 다만, 하부철근(310)이 2겹으로 배근되는 경우에는 철근받침대(212) 중간에 중간돌기(212a)를 마련하도록 한다.
또한, 도 8(c)에서는 스페이서(210)를 거푸집(200)에 긴결시키기 위한 앵커볼트(220)로, 스페이서(210) 하부와 나사 결합하는 체결부(221); 상기 체결부(221) 아래로 탄성에 의해 오므라졌다가 펼쳐지도록 형성된 탄성날개부(222); 및, 상기 날개부(222) 아래로 형성된 렌치결합부(2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앵커볼트(220)는 거푸집(200)이 앵커볼트의 탄성날개부(222)에 걸리도록 구성한 방식이므로, 도 9에서와 같이 스페이서(210)에 앵커볼트(220)를 결합시킨 후 이를 거푸집(200) 위에서 망치로 타격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스페이서(210)와 거푸집(200)의 긴결 결속이 가능해진다. 즉, 앵커볼트의 탄성날개부(222)가 거푸집의 천공구멍을 통과할 때에는 오므라졌다가 천공구멍을 통과한 후에는 펼쳐지게 되는데, 이로써 거푸집(200)이 탄성날개부(222)에 걸리면서 긴결되는 것이다. 향후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한 후에는 거푸집(200) 아래에서 렌지결합부(224)에 렌치(전동공구)를 결합시켜 풀기만 하면 앵커볼트(220)의 제거가 가능해지면서 그에 따라 거푸집(200) 해체도 가능해지며, 이때 앵커볼트(220)의 제거로 노출된 스페이서(210)의 하부면(암나사부분)는 달대용 인서트로 활용가능하다. 물론, 스페이서(210) 위에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를 배치한 후 용접철망결속채널(140)과 고정볼트(230) 및 고정너트(240)를 준비하여 고정볼트(230)를 스페이서(210)에 체결하면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의 고정 설치가 완료되어 중공슬래브를 위한 시공구조가 완성된다.
또한, 도 8(d)에서와 같이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은 웨브의 통공(141)과 플랜지의 걸림홈(142)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용접철망(110)의 철선 간격에 무관에게 자유롭게 적용하기 위함이다.
도 10 및 도 11은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의 설치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경우 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의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가 적용되고 있지만, 도 4 내지 도 6의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물론 다른 형태의 것도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도 10에서와 같이, 거푸집(200); 상기 거푸집(200) 위에 거푸집(200)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고정 배치되는 상부철근(320); 및, 상기 거푸집(200)과 상부철근(320) 사이에 배치되는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면서 동시에, 웨브(140a)와 걸림홈(142)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140b)로 구성된 ㄷ자형 부재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홈(142)에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110) 철선 2가닥 이상을 끼워 결속시키면서 상기 웨브(140a)가 상기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110) 위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철근(3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의 구성을 필수적으로 더 포함함으로써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의 부상방지 시공구조를 완성하고 있다. 즉,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이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110)에 단순히 걸쳐지게 설치된 결과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물론 용접철망결속채널(140) 어느 것도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용접철망결속채널(140)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압 및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부상하게 마련인데, 이때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이 상부철근(320)과 교차하여 배치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 및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이 부상하더라도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이 상부철근(320)에 걸리어 더 이상 부상하지 못하고 부상을 멈추면서 최종적으로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그 위치가 고정되면서 설치되는 것이 다. 이로써 거푸집(200)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는 그 위치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콘크리트에 매입되며, 그 결과 일정의 중공위치를 확보하는 중공슬래브가 완성된다. 중공슬래브 완성과정은 도 11에서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 10에서는 하부철근(310)이 더 배근되는 중공슬래브의 완성을 위해, 상기 거푸집(200) 위에 설치되며 거푸집(200) 아래에서 거푸집(200)을 관통한 앵커볼트(220)에 의해 고정되는 스페이서(210);와, 상기 스페이서(210) 위에 배치되어 스페이서(210)에 의해 거푸집(200)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고정 배치되는 하부철근(310);과, 하부는 상기 스페이서(210)에 결속되며 상부는 상기 상부철근(320)과 결속하여 상부철근(3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2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은 웨브(140a)에 통공(141)이 형성되도록 마련하여 상기 고정볼트(230)가 용접철망결속채널의 웨브 통공(141)을 통과하여 상기 스페이서(210)에 결속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상부철근(320)은 너트(231)와 와셔(232)의 적절한 사용에 의해 고정볼트(23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8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페이서(210)는 볼트체결기둥(211), 철근받침대(212), 걸림기둥(2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채택하고, 앵커볼트(220)는 체결부(221), 탄성날개부(222), 및, 렌치결합부(2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채택하고.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은 웨브의 통공(141)과 플랜지의 걸림홈(142)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경량 성형재를 이용하여 완성한 중공슬래브를 보여준다.
도 2 및 도 3은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와 이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경량 성형재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다양한 조립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경량 성형재 조립체
110: 용접철망 120: 경량 성형재
130: 접합판 140: 용접철망결속채널
200: 거푸집
210: 스페이서 220: 앵커볼트
230: 고정볼트 240: 고정너트
310: 하부철근 320: 상부철근

Claims (7)

  1. 거푸집(200);
    상기 거푸집(200) 위에 설치되며, 거푸집(200) 아래에서 거푸집(200)을 관통한 앵커볼트(220)에 의해 고정되는 스페이서(210);
    철선을 교차 접합한 용접철망(110) 위로 다수개의 경량 성형재(120)가 띄엄띄엄 배치되면서 용접철망(110)에 결속됨으로써 완성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210) 위에 배치되는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
    통공(141)이 형성된 웨브(140a)와 걸림홈(142)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140b)로 구성된 ㄷ자형 부재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홈(142)에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110) 철선 2가닥 이상을 끼워 결속시키면서 상기 웨브(140a)가 상기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용접철망(110) 위를 덮도록 설치되는 용접철망결속채널(140);
    상기 용접철망결속채널의 웨브 통공(141)을 통과하여 상기 스페이서(210)에 결속되는 고정볼트(230);
    상기 용접철망결속채널(140) 위에서 고정볼트(230)에 체결되어 용접철망결속채널(1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너트(240);
    상기 스페이서(210)와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 사이에 배치되어 스페이서(210)에 의해 거푸집(200)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고정 배치되는 하부철근(310);
    상기 경량 성형재 조립체(100) 위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볼트(230)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상부철근(3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
  2. 제2항에서,
    상기 스페이서(210)는, 위로는 고정볼트(230)가 체결하고 아래로는 앵커볼트(220)가 체결하는 볼트체결기둥(211);과, 상기 볼트체결기둥(211)에서 4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으로 하부철근(310)을 받치는 철근받침대(212);와, 상기 철근받침대(212)의 끝단에 형성된 부분으로 철근받침대보다 더 높게 솟은 걸림기둥(2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앵커볼트(220)는, 스페이서(210)와 체결하는 체결부(221); 상기 체결부(221) 아래로 탄성에 의해 오므라졌다가 펼쳐지도록 형성된 탄성날개부(222); 상기 탄성날개부(222) 아래로 형성된 렌치결합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경량 성형재(120)는 구형, 구형에서 볼록부문을 절단하여 변형시킨 변형구형, 캡슐형, 캡슐형에서 볼록부분을 절단하여 변형시킨 변형캡슐형 중 어느 한 형상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 시공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16610A 2007-11-15 2007-11-15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KR100962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610A KR100962298B1 (ko) 2007-11-15 2007-11-15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610A KR100962298B1 (ko) 2007-11-15 2007-11-15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261A KR20090050261A (ko) 2009-05-20
KR100962298B1 true KR100962298B1 (ko) 2010-06-11

Family

ID=4085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610A KR100962298B1 (ko) 2007-11-15 2007-11-15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07B1 (ko) * 2009-08-18 2010-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경량성형재조립체에 의한 중공슬래브의 시공구조
KR102346192B1 (ko) * 2020-08-05 2022-01-03 씨제이대한통운 (주)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60B1 (ko) * 2006-12-19 2007-09-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60B1 (ko) * 2006-12-19 2007-09-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261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253B1 (ko) Src 기둥용 중공 pc합성기둥 및 이를 이용한 src구조
KR101229450B1 (ko) 2방향 중공슬래브를 위한 일체형 경량 집합체 및 이에 의한 2방향 중공슬래브
KR100690198B1 (ko) 유-자형 연결재를 갖는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JP2011026786A (ja) 建造物の補強構造
KR101270733B1 (ko) 강상판데크 일체식 복합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6132132B2 (ja) 高性能孔あき鋼板ジベル
KR100666703B1 (ko)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합성교각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1243777B1 (ko)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62298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KR101904115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KR101779449B1 (ko) 중공박스형 강재 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JP5268470B2 (ja) 鉄筋かごの揚重方法
JP2009084908A (ja) ボイド型枠付床板ユニット及び合成中空床板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1590065B1 (ko) 조립형 합성 트러스거더 및 그 시공방법
JP5439016B2 (ja) 埋設型枠
KR10069482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데크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90050259A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타이볼트 조립형 경량 성형재 조립체 및이를 이용한 중공슬래브 시공구조
KR101688440B1 (ko)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KR101786781B1 (ko) 콘크리트 가로보를 보강형 강재에 연결한 강아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2038B1 (ko) 합성 데크
KR102488965B1 (ko) 데크플레이트 지지용 거푸집 구조체
JP5513025B2 (ja) 開口を有する鉄筋コンクリート梁における開口回り補強構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