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101B1 - 상호 접속 조립체 - Google Patents

상호 접속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101B1
KR100954101B1 KR1020060122708A KR20060122708A KR100954101B1 KR 100954101 B1 KR100954101 B1 KR 100954101B1 KR 1020060122708 A KR1020060122708 A KR 1020060122708A KR 20060122708 A KR20060122708 A KR 20060122708A KR 100954101 B1 KR100954101 B1 KR 10095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connect
elastic
elastic portion
transduc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490A (ko
Inventor
임근환
전태운
Original Assignee
(주) 미코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코티엔 filed Critical (주) 미코티엔
Priority to KR102006012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101B1/ko
Priority to SG200718237-1A priority patent/SG143222A1/en
Priority to CNA2007101947935A priority patent/CN101196536A/zh
Publication of KR2008005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상호 접속체는 몸체부,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단부를 갖는 제1 탄성부 및 제1 탄성부의 반대측으로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단부를 갖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호 접속체가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호 접속 조립체{INTERCONNECTION ASSEMBLY}
도 1은 종래의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b에 도시된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호 접속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을 검사하기 위한 상호 접속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장치의 제조 기술은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집적도, 신뢰도, 응답속도 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기판으로 사용되는 실리콘웨이퍼 상에 소정의 막을 형성하고, 상기 막을 전기적 특성을 갖는 패턴으로 형성하는 팹(Fab) 공정, 패턴이 형성된 각각의 다이(die)를 전기적으로 검사하는 프로브 테스트(probe test) 공정, 각각의 다이를 컷팅(cutting)하는 컷팅 공정, 컷팅 공정에 의해 각각의 다이로 분할된 반도체 기판에 금 혹은 알루미늄 선을 용접하는 본딩(bonding) 공정, 본딩 공정이 종료된 반조체 기판을 세라믹 혹은 플라스틱으로 봉인하는 패키징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프로브 테스트 공정은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각각의 다이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공정으로 통상적으로 이디에스(EDS : electrical die sorting) 공정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프로브 테스트 공정은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각각의 다이들이 전기적으로 양호한 상태 또는 불량한 상태인가를 판별하는 공정이다. 이는 상기 프로브 테스트 공정을 통하여 불량한 상태를 갖는 다이를 패키징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제거함으로서 상기 패키징 공정에서 소모되는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이고, 상기 불량 상태를 갖는 다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재생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로브 테스트 공정은 프로브 카드를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 성한 다이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한다.
종래 프로브 카드 조립체에 사용되는 상호 접속체 및 이를 구비한 상호 접속 조립체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05-00645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상호 접속체(10)는 공간 변형기의 접촉 단자와 접촉하는 탄성 재질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접속부(12), 일측이 개방된 원형 링 형상의 연결부(14), 소정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부(16) 및 원형 링 형상의 제2 접속부(18)를 포함한다.
상호 접속체(10)는 탄성을 갖는 부위로서 연결부(14)만을 가지며, 이때 연결부(14)는 제1 접속부(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 예를 들면, 2 내지 3mm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호 접속체(10) 및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을 조립하여 상호 접속 조립체를 제조할 경우, 제1 접속부(12)를 지지하는 가이드 필름이 요구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접속부(18)를 수용하는 개구를 갖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공차를 가질 경우,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호 접속체(10)간의 전기적인 개방이 있을 수 있다. 더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상호 접속체는 파손에 따라 교체가 어려워서 그 수리가 어려운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호 접속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호 접속체를 포함 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단부를 갖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의 반대측으로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단부를 갖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는 S자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는 원형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부들에는 돌기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단차를 가져 제2 탄성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들 및 상기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들 및 상기 몸체부는 니켈(Ni), 니켈-코발트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호 접속체는 상기 제2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들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원형 링 형상을 갖는 제3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는 제1 접속 단자를 갖는 제1 공간 변형기, 상기 공간 변형기와 마주보며, 제2 접속 단자를 갖는 제2 공간 변형기,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인 상기 몸체부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갖는 제2 탄성부를 구비하는 상호 접속체, 및 상기 제1 공간 변형기 및 상기 제2 공간 변형기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가 관통되는 제1 개구를 가져 상기 몸체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호 접속 조립체는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제2 공간 변형기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제1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 변형기에는 제2 체결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가 제1 및 제2 체결 홈들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간 변형기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접속체는 상기 제2 단부와 연결되며 원형 링 형상을 갖는 제3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간 변형기에는 상기 제3 탄성부가 관통하는 제2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탄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접속체는 상기 제2 공간 변형기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탄성부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3 탄성부와 상기 제2 접속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확보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탄성부들을 갖는 상호 접속체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서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는 착탈 가능한 고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호 접속체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는 가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호 접속체 및 제2 공간 변형기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확보할 수 있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체(100)는 제1 탄성부(110), 몸체부(120) 및 제2 탄성부(130)를 포함한다.
제1 탄성부(110)는 탄성 접점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탄성부(110)는 제1 소자(미도시), 예를 들면, 공간 변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탄성부(110)의 제1 단부(115)에는, 예를 들면, 라운드 형상의 돌기(111)가 형성된다. 돌기(111)를 통하여 제1 탄성부(100)는 상기 제1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탄성부(110)의 상기 제1 단부(115)에 대향하는 제2 단부(116)에는 걸림턱(113)이 형성된다. 상호 접속체(100)를 조립하여 상호 접속 조립체를 제조할 경우, 걸림턱(113)은 소정 위치에 제1 탄성부(110)를 고정시킨다.
제1 탄성부(110)는 S자 형태의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 형상을 갖는 제1 탄성부(110)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탄성부(110)는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제1 탄성부(110)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0)는 제1 탄성부(110) 및 제2 탄성부(130)를 연결한다. 즉, 몸체부(120)는 제1 탄성부(110)의 상기 제2 단부(116)와 제2 탄성부(130)의 제1 단부(135) 사이에 배치된다. 몸체부(120)는, 예를 들면,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20)는 제1 탄성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20)는 제1 탄성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 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120)는 복수의 단차를 가져 제2 탄성부(130)의 제1 단부(135)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폭을 갖는다. 따라서, 상호 접속체(100)를 조립하여 상호 접속 조립체를 제조할 경우 몸체부(120)가 개구가 형성된 부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2 탄성부(130)는 몸체부(1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2 탄성부(130)는, 예를 들면, 원형 링 형상을 갖는다. 원형 링 형상을 갖는 제2 탄성부(130)는 탄성을 가짐으로써,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30)를 갖는 상호 접속체(100)는 일정한 범위의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상호 접속체(100)가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탄성부(130)는 제1 탄성부(110) 및 몸체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탄성부(130)는 제1 탄성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130)는 제1 단부(135)에 대향하는 제2 단부(136)에 형성된 돌기(131)를 가질 수 있다. 상호 접속체(100)가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로 조립될 경우, 제2 탄성부(130)의 제2 단부(136)에 형성된 돌기 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와 접촉하여 상호 접속체(10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b에 도시된 상호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체(200)는 제1 탄성부(210), 몸체부(220), 제2 탄성부(230) 및 제3 탄성부(240)를 포함한다.
제1 탄성부(210)는 제1 소자, 예를 들면, 공간 변형기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탄성부(210)의 제1 단부(215)에는, 예를 들면, 라운드 형상의 돌기(211)가 형성된다. 돌기(211)를 통하여 제1 탄성부(210)는 제1 소자의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탄성부(210)는 S자 형태의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 형상을 갖는 제1 탄성부(210)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탄성부(210)는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210)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20)는 제1 탄성부(210) 및 제2 탄성부(230)를 연결한다. 즉, 몸체부(220)는 제1 탄성부(210)의 상기 제1 단부(215)와 대향하는 제2 단부(216) 및 제2 탄성부(230)의 제1 단부(235) 사이에 배치된다. 몸체부(220)는, 예를 들면,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220)는 제1 탄성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20)는 복수의 단차를 갖는 다단 형상을 가져서, 제2 탄성부(230)의 제1 단부(235)로 갈수록 작아지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접속체(200)를 조립하여 상호 접속 조립체를 제조할 경우 몸체부(220)가 개구가 형성된 부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2 탄성부(230)는 몸체부(2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2 탄성부(230)는, 예를 들면, 원형 링 형상을 갖는다. 원형 링 형상을 갖는 제2 탄성부(230)는 탄성을 가짐으로써,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30)를 갖는 상호 접속체(200)는 일정한 범위의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상호 접속체(200)가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제3 탄성부(240)는 제2 탄성부(230)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3 탄성부(240)는 제2 탄성부(230)의 제2 단부(236)와 연결된다. 제3 탄성부(240)는 원형 링 형상을 가진다. 제3 탄성부(240)를 갖는 상호 접속체(200)가 개구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경우, 제3 탄성부(240)는 개구의 측벽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호 접속체(200)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탄성부(240)는 제1 및 제2 탄성부들(210, 230) 및 몸체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탄성부(240)는 제1 및 제2 탄성부들(210, 230) 및 몸체부(2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탄성부(240)는 제1 단부(246)에 형성된 돌기(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300)는 제1 공간 변형기(350), 제2 공간 변형기(360), 상호 접속체(310) 및 고정 부재(370)를 포함한다.
상호 접속체(310)는 제1 탄성부(311), 몸체부(313) 및 제2 탄성부(315)를 포함한다. 상호 접속체(310)는 도 2a 및 도2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호 접속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호 접속체(3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공간 변형기(350)는 상호 접속체(310)의 제1 탄성부(311)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 공간 변형기(350)는 피치 감소를 수행한다. 제1 공간 변형기(350)는 기판(355), 상기 기판(355)의 하면에 배치된 제1 접속 단자(351) 및 상기 기판(355)의 상면에 프로브(353)를 포함한다. 제1 접속 단자(351)에는 상호 접속체(310)의 제1 탄성부(311)가 접촉하여, 상호 접속체(310)와 제1 공간 변형기(350)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공간 변형기(360)는 제1 공간 변형기(350)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공간 변형기(360)는 상호 접속체(310)의 제2 탄성부(315)와 접촉하는 제2 접속 단자(361)를 포함한다. 제2 접속 단자(36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 접속 단자(361)들은 소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2 접속 단자(361)는 제2 탄성부(3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2 탄성부(315)의 단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2 공간 변형기(360) 및 상호 접속체(3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2 공간 변형기(360)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70)는 제1 및 제2 공간 변형기들(350, 360) 사이에 개재된다. 고정 부재(370)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고정 부재(370)에는 상호 접속체(310)의 몸체부(313)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개구(375)가 형성된다. 몸체부(313)가 상기 제1 개구(375)를 관통함으로써, 고정 부재(370) 및 상호 접속체(310)가 상호 체결된다.
한편, 고정 부재(370)는 제2 공간 변형기(360)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370)에의 주변부에는 제1 체결 홈(377)이 형성되고, 제2 공간 변형기(360)에는 상기 제1 체결 홈(377)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체결 홈(367)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체결 홈들(377, 367)에는 체결 부재(380)가 관통하여 체결 부재(380)가 고정 부재(370) 및 제2 공간 변형기(360)를 상호 체결한다. 체결 부재(380)는, 예를 들면,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체결 부재(380)는 고정 부재(370) 및 제2 공간 변형기(36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고정 부재(370)를 제2 공간 변형기(360)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상호 접속체(310)에 불량이나 손상이 발생할 경우, 고정 부재(370)를 제2 공간 변형기(360) 로부터 해체함으로써, 손상이나 불량의 상호 접속체(310)가 상호 접속 조립체(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접속체(310)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400)는 제1 공간 변형기(450), 제2 공간 변형기(460), 상호 접속체(410) 및 고정 부재(470)를 포함한다.
상호 접속체(410)는 제1 탄성부(411), 몸체부(413), 제2 탄성부(415) 및 제3 탄성부(417)를 포함한다. 상호 접속체(410)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호 접속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호 접속체(4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공간 변형기(450)는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제1 공간 변형기(3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공간 변형기(460)는 제1 공간 변형기(450)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공간 변형기(460)는 상호 접속체(410)의 제3 탄성부(417)와 접촉하는 제2 접속 단자(461)를 포함한다. 제2 공간 변형기(460)에는 제3 탄성부(417)를 수용하는 제2 개구(465)가 배치된다. 제2 개구(465)의 측벽에는 제2 접속 단자(461)가 배치된다. 상호 접속체(410)가 복수일 경우, 이에 따른 제2 공간 변형기(460)는 복수의 제2 개구(465)들을 포함하며,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호 접속체(410)의 제3 탄성부(417)는 제2 개구(465)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제2 접속 단자(461)는 상호 접속체(410)의 제3 탄성부(4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2 공간 변형기(460)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470)는 제1 및 제2 공간 변형기들(450, 460) 사이에 개재된다. 고정 부재(470)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고정 부재(470)에는 상호 접속체(410)의 몸체부(413)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개구(475)가 형성된다. 몸체부(413)가 상기 제1 개구(475)를 관통한 후, 제2 탄성부(415)가 탄성 복원됨으로써, 고정 부재(470) 및 상호 접속체(410)가 상호 체결된다.
한편, 고정 부재(470)는 제2 공간 변형기(460)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470)에의 주변부에는 제1 체결 홈(475)이 형성되고, 제2 공간 변형기(460)에는 상기 제1 체결 홈(47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체결 홈(465)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체결 홈들(475, 465)에는 체결 부재(480)가 관통하여 체결 부재(480)가 고정 부재(470) 및 제2 공간 변형기(460)를 상호 체결한다. 체결 부재(480)는, 예를 들면,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체결 부재(480)는 고정 부재(470) 및 제2 공간 변형기(46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고정 부재(470)를 제2 공간 변형기(460)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상호 접속체(410)에 불량이나 손상이 발생할 경우, 고정 부재(470)를 제2 공간 변형기(460)로부터 해체함으로써, 손상이나 불량의 상호 접속체(410)가 상호 접속 조립체(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접속체(410)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호 접속 조립체(400)는 상호 접속체(410)의 제3 탄성부(417)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468)를 더 포함한다. 가압 부재(468)는 제2 공간 변형기(460)의 하면에 배치된다. 가압 부재(468)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가압 부재(468)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상호 접속체(410)의 제3 탄성부(417)가 제2 공간 변형기(460)의 제2 개구(465)에 삽입되어 제2 공간 변형기(46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경우, 가압 부재(468)는 상호 접속체(410)의 제3 탄성부(417) 단부를 가압하여, 상호 접속체(410)와 제2 접속 단자(461)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확보한다. 따라서, 가압 부재(468)는 상호 접속체(410) 및 제2 공간 변형기(460) 사이의 전기적인 개방을 억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탄성부들을 갖는 상호 접속체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서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는 착탈 가능한 고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호 접속체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조립체는 가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호 접속체 및 제2 공간 변형기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접속 단자를 갖는 제1 공간 변형기;
    상기 공간 변형기와 마주보며, 제2 접속 단자를 갖는 제2 공간 변형기;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인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체; 및
    상기 제1 공간 변형기 및 상기 제2 공간 변형기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가 관통되는 제1 개구를 가져 상기 몸체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호 접속체는 상기 제2 탄성부와 연결되며 원형 링 형상을 갖는 제3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간 변형기에는 상기 제3 탄성부가 관통하는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탄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제2 공간 변형기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제1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 변형기에는 제2 체결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가 제1 및 제2 체결 홈들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
  12. 삭제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 변형기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탄성부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3 탄성부와 상기 제2 접속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확보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 변형기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
KR1020060122708A 2006-12-06 2006-12-06 상호 접속 조립체 KR10095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708A KR100954101B1 (ko) 2006-12-06 2006-12-06 상호 접속 조립체
SG200718237-1A SG143222A1 (en) 2006-12-06 2007-11-30 Interconnection unit and interconnection assembly having the same
CNA2007101947935A CN101196536A (zh) 2006-12-06 2007-12-06 互连单元和具有该互连单元的互连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708A KR100954101B1 (ko) 2006-12-06 2006-12-06 상호 접속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490A KR20080051490A (ko) 2008-06-11
KR100954101B1 true KR100954101B1 (ko) 2010-04-23

Family

ID=3954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708A KR100954101B1 (ko) 2006-12-06 2006-12-06 상호 접속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54101B1 (ko)
CN (1) CN101196536A (ko)
SG (1) SG14322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447A (ko) * 1999-07-27 2001-02-26 다니구찌 이찌로오 테스트용 소켓, 그 제조 방법, 테스트용 소켓을 이용한테스트 방법, 및 피 테스트 부재
JP2002158264A (ja) 2000-11-17 2002-05-31 Ando Electric Co Ltd プローブカ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96019A (ja) * 2000-10-25 2002-07-10 Advantest Corp コンタクトストラクチャ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プローブ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
JP2005345443A (ja) 2004-06-07 2005-12-15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プローブカード用接続ピ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ローブカ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447A (ko) * 1999-07-27 2001-02-26 다니구찌 이찌로오 테스트용 소켓, 그 제조 방법, 테스트용 소켓을 이용한테스트 방법, 및 피 테스트 부재
JP2002196019A (ja) * 2000-10-25 2002-07-10 Advantest Corp コンタクトストラクチャ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プローブ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
JP2002158264A (ja) 2000-11-17 2002-05-31 Ando Electric Co Ltd プローブカ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5443A (ja) 2004-06-07 2005-12-15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プローブカード用接続ピ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ローブカ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6536A (zh) 2008-06-11
KR20080051490A (ko) 2008-06-11
SG143222A1 (en) 200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999B1 (ko) 인쇄회로기판용 상호 접속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구비한 상호 접속 조립체
US6575767B2 (en) Contact pin assembly, contact pi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contact pin assembling structure, contact pin assembling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8427186B2 (en) Probe element having a substantially zero stiffness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0788208B1 (ko) 접속핀의 형성 방법, 프로브, 접속핀, 프로브 카드 및프로브의 제조 방법
US7859280B2 (en) Probe car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KR101674135B1 (ko) 프로브 카드
KR101242004B1 (ko) 프로브 카드
JP2006023271A (ja) 半導体検査用プローブカード
KR101073400B1 (ko) 검사용 탐침 장치
KR101826663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소켓,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8136B1 (ko) 프로브 카드
US11162979B2 (en) Plate spring-type connecting pin
KR20180010935A (ko) 평판 접이식 연결 핀
KR100997635B1 (ko) 웨이퍼 검사용 프로브 카드
JP2003185700A (ja) Icソケット
KR100954101B1 (ko) 상호 접속 조립체
KR100912467B1 (ko) 커넥터용 연결핀 및 핀형 커넥터
KR101506623B1 (ko) 프로브 카드
JP2003317845A (ja) コンタクトピン、コンタクトピンの成形方法、電気部品用ソケット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の製造方法
KR101081901B1 (ko) 프로브 카드
KR101399542B1 (ko) 프로브 카드
CN111293448B (zh) 压接结构的一体型弹簧针
KR101328082B1 (ko) 프로브 카드
KR100522753B1 (ko) 모듈형 ic 소켓
KR200399221Y1 (ko)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콘택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