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131B1 -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 Google Patents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131B1
KR100952131B1 KR1020090065101A KR20090065101A KR100952131B1 KR 100952131 B1 KR100952131 B1 KR 100952131B1 KR 1020090065101 A KR1020090065101 A KR 1020090065101A KR 20090065101 A KR20090065101 A KR 20090065101A KR 100952131 B1 KR100952131 B1 KR 10095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rotrusions
lower panels
support
support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지은
Original Assignee
공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지은 filed Critical 공지은
Priority to KR102009006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평판형의 판넬 몸체와, 판넬 몸체의 일면으로는 함몰되고 타면으로는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와, 다수의 돌기부들 중에서 미리 선택된 일부 돌기부들 주변에 위치되게 상기 판넬 몸체의 타면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리브들을 각각 가지며, 서로 대칭되게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판넬과; 상부 및 하부 판넬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 판넬 간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고, 하부 판넬에 대한 상부 판넬의 설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가 개시된다.
녹지조성, 배수, 판넬,

Description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A green tract of land create for drain well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 및 인공지반 등에 조경 지반공사시 바닥의 조건에 관계없이 다양한 높이와 각도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시의 과밀화, 토지 가격의 상승에 편승하여 건물의 토지 이용도가 한계에 다하고 있으며, 녹색 지대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
이와 같은 도시 환경 문제나 쾌적한 설비를 배경으로 하여 옥상에 수목 등의 식물을 재배하는 옥상 원예가 주목받고 있으며, 또한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옥상을 정원화 시키기 위한 인공 지반은 식물의 육성상 보수성 및 배수성의 두가지 요소를 겸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강우시 물의 배수가 나쁘면 물이 체류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와 반대로 물의 배수가 너무 양호하여도 특히 옥상에서는 직사광선이 너무 강력하여 식물이 메말라 죽게 된다.
건물의 옥상에 정원 공간을 설치할 경우, 종래에는 모래나 흙의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건물의 자체 강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되어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강도 보강을 위하여 건물 옥상면에 콘크리트 등으로 보강 부도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설치비가 많이 들어, 모래로 된 배수층 위에 식물을 심을 수 있는 객토층을 직접 부설하기 때문에 강우시에 객토층의 세밀한 토양이 유출되기 쉬우며, 이 세밀한 토양이 배수층의 모래 내부에 침입할 뿐만 아니라 배수구를 막아서 배수성이 악화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옥상면에 깔아 배수를 원활하게 하면서도 모래나 객토층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에 대해 일정 높이를 가지는 판넬식 배수판이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판넬식 배수판의 경우에는 그 높이가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의 기층상에 평평하게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옥상면의 수평상태가 불균일한 상태에서 평평하게 설치하고자 할 경우, 반대로 평평한 옥상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견고하게 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인위적으로 경사지게 설치할 경우에는 옥상면과의 사이에 과도하게 공간이 생기거나, 배수판이 떠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판넬식 배수판의 경우에는 각도조절은 물론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서 높이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경사각도 및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는, 평판형의 판넬 몸체와, 상기 판넬 몸체의 일면으로는 함몰되고 타면으로는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와, 상기 다수의 돌기부들 중에서 미리 선택된 일부 돌기부들 주변에 위치되게 상기 판넬 몸체의 타면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리브들을 각각 가지며, 서로 대칭되게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판넬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판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판넬 간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고, 하부 판넬에 대한 상부 판넬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판넬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돌기부들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들을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들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판넬이 수평 상태로 조립시에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 판넬을 상기 하부판넬에 대해 경사지게 조립시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지지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부들 각각에는 상기 상부 판넬의 상기 하부 판넬에 대한 설 치 각을 결정하기 위한 표시가 숫자 및 글자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숫자 및 글자로 표시된 돌기부들 주변에 형성되되, 표시된 숫자 및 글자에 따라서 서로 다른 높이 및 경사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에 따르면, 설치하고자 하는 건물의 옥상의 바닥면의 형태나 기타 장소의 설치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서 저배수조립체를 수평상태 또는 경사지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경사지게 시공할 경우에는, 그 경사각을 미리 설정된 위치마다 설정된 크기의 지지관이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조립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판넬이 서로 들뜨거나 하는 현상 없이 상하로 밀착되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및 파부 판넬 각각에 설치 각도에 따라서 지지관을 위치시켜야 할 표시를 하여 둠으로써 전문가가 아닌 초보자가 원하는 각도로 쉽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판넬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유닛에 의해서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바닥면이 평평하지 못하고 불규칙하더라도 실제 조정된 잔디 등의 녹지는 평평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지조성용 배수조립체는, 상부판넬(110)과, 하부판넬(120)과, 상부 및 하부판넬(110,120) 각각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판넬(110,120) 사이의 간격 및 설치각도를 결정하는 간격조절유닛(130)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판넬(110,120)은 상하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부 및 하부 판넬(110,1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설치 시공시 상하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므로 시공시 작업자가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판넬(110,120) 각각은 판 형상의 판넬 몸체(111,121)와, 상기 판넬 몸체(111,121)의 일면으로는 인입되고 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부(113,123)와, 상기 상부 및 하부판넬(110,120)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면(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간격조절유닛(130)이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리브(115,125)를 구비한다.
상기 판넬 몸체(111,121)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111a,121a)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113,123) 주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판넬(110)에는 필요한 만큼의 물만 남겨지고, 필요 이상의 물은 배수공(111a)을 통해 하부판넬(120)로 배수된다.
상기 돌기부(113,123)는 판넬 몸체(111,121)의 서로 마주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행렬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113,123)는 그 단면형상이 절두 원추형의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부 판넬(110)에 형성된 돌기부(113)는 하부로는 돌출되며, 상부에서는 홈 형상을 가짐으로써, 그 돌기부(113)의 상부 내면에 식물 재배에 필요한 자갈, 모래, 토양, 스티 로폼 및 폴리우레탄 수지(스펀지 포함)등 등 필요한 재료들을 채워넣을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판넬(110)의 돌기부(113)는 상면에서 하부로 컵 형태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랜 시간 동안 물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옥상 등에서의 녹지 관리가 보다 용이하다.
그리고 하부 판넬(120)에 형성된 돌기부(123)는 상부 판넬(110) 쪽으로 돌출되고, 하부 즉, 바닥면에 대해서는 상부쪽으로 공간을 마련하여 줌으로써 바닥면을 통해서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판넬(110,120)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장 설치시에는 상부 및 하부 각각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상관이 없으므로, 비 전문가도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판넬 몸체(111,121)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지지리브(115,125)도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대칭되는 형상 및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리브(115,125)는 돌기부(113,123) 주변에 형성됨으로써, 그 돌기부(113,123)를 기준으로 하여 배치되는 간격조절유닛(130)의 지지관(131,132)의 단부가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판넬몸체(111,121)에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리브(115,125)는 모든 돌기부(113,123)의 주변마다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설치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높이 즉,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리브(115,125)는 돌기부(113,123)를 기준으로 하여 사방위치 각각에 형성되되, 사방 각각에 형성된 지지리브들(113,123)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부(113,123) 각각의 다닥 부분에는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숫자나 글씨가 각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숫자 6, 숫자 9 등은 주변에 형성된 지지리브(113,123)의 최대 또는 평균높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평' 또는 '평면' 등으로 각인된 돌기부(113,123) 주변에는 지지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곳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판넬(110,120) 각각을 수평상태로 이격되게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리브가 없는 돌기부(113,123)에 높이가 서로 동일한 지지관(131)을 '평'이라고 각인된 돌기부(113,123) 각각에 위치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부 판넬(12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지지관(131)과 상부 및 하부 판넬들(110,120)이 서로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판넬(120)이 지지관(131)에 대해 들뜨거나 이격되지 않고 밀착되어 조립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숫자 6이라고 각인된 돌기부(113,123)는 주변에 지지리브(115,125)가 사방으로 형성되되, 사방 각각에 형성된 지지리브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와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그 지지리브들(115,125)에 지지관(131,132)을 올려 놓으면 지지관(131,132)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숫자가 각인된 돌기부(113,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관(131,132)을 설치할 경우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지지관(131,132)을 동일한 숫자가 각인된 돌기부(113,123)의 위치에 배치하게 되면, 상부 판넬(120)을 소정 각도, 즉 지지리브들(113,123)이 이루는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관들(131,132)은 상부 및 하부 판넬(110,120) 각각의 지지리브들(115,125)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서로 흔들리거나 들뜨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리브들(115,125) 각각에는 스토퍼부(115a,125a)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관(131,132)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위치 고정된 상태로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조절유닛(130)은 다수의 지지관(131,132)과, 지지관들(131,13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13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관들(131,132)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것들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135)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의 지지관들(131)이 연결봉(135)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동일한 높이의 지지관들(131)을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 판넬(110,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조립할 경우에는, 지지관들(131)은 지지리브(115,125)가 형성되지 않은 돌기부(113,123) 즉, "평" 또는 "평면"이라고 각인된 돌기부(13,123)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로 조립하게 되어, 상부 판넬(120)은 수평상태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부 판넬(120)을 경사지게 설치하고자 할경우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지지관들(131,132)을 연결봉(135)으로 연결한 상태로 조립하고, 그 조립된 간격조절유닛(130)을 상부 및 하부 판넬(110,120) 사이에 설치하되, 지지리 브(115,125)가 형성된 돌기부(113,123)에 대응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지지관(131,132)이 지지리브(115,125)에 밀착되어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관들(131,132)은 서로 동일한 높이 및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된 지지리브들(115,1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상부판넬(120)의 경사를 원하는 상태가 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부(113,123)에는 높이 또는 경사각을 나타내는 숫자들이 각인되거나, 인쇄되어 있으며 동일한 숫자가 형성된 돌기부(113,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관들(131,132)을 설치하면 되므로, 비 전문가나 초보자도 현장에서 쉽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관들(131,132)은 두꺼운 PVC 관을 절단하여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봉(135)은 지지관들(131,132)을 관통하도록 결합한뒤 양단에 나사(136)를 체결하여 지지관들(131,132)과의 체결을 견고하게 하고, 연결봉들(135) 간에는 서로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관들(131,132)과 연결봉(135)의 연결관계는 이외에도 다양한 예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예에서 설명한 지지관들(131,132)과 견결봉(135)과의 결합관계만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에 따르면, 옥상이나 콘크리드 바닥면 등에 녹지를 조성하고자 할 때 그 설치면에 대해 수평이 되도록 또는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부 및 하부 판넬(110,120)을 서로 구분없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시키되, 각각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돌기부(113,123)에 설치각 및 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표시 즉, 숫자나 글자를 형성하고, 각각의 숫자 및 글자가 형성된 돌기부 주변마다 서로 다른 높이의 지지리브를 형성킴으로써, 시공자는 돌기부(113,123)에 형성된 숫자나 글자만을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높이의 지지관(131,132)들을 연결봉(135)과 연결하여 조립한 간격조절유닛(130)을 이용하여 원하는 돌기부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뒤 상부 판넬(120)을 덮음으로써 상부 판넬(110)과 하부 판넬(120)이 간격조절유닛(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도 조절은 물론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장소의 바닥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원하는 상태, 경사진 상태, 수평상태 등 다양하게 원하는 상태로 녹지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 판넬을 각각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 판넬을 수평상태로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 판넬을 서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상부 판넬 120..하부 판넬
111,121..판넬 몸체 113,123..돌기부
115,125..지지리브 130..간격조절유닛
131,132..지지관 135..지지관

Claims (3)

  1.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판넬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판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판넬 간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고, 하부 판넬에 대한 상부 판넬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판넬은 각각 평판형의 판넬 몸체와, 상기 판넬 몸체의 일면으로는 함몰되고 타면으로는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와, 상기 다수의 돌기부들 중에서 미리 선택된 일부 돌기부들 주변에 위치되게 상기 판넬 몸체의 타면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리브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판넬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돌기부들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들을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들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판넬이 수평 상태로 조립시에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 판넬을 상기 하부판넬에 대해 경사지게 조립시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지지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들 각각에는 상기 상부 판넬의 상기 하부 판넬에 대한 설치 각을 결정하기 위한 표시가 숫자 및 글자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숫자 및 글자로 표시된 돌기부들 주변에 형성되되, 표시된 숫자 및 글자에 따라서 서로 다른 높이 및 경사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KR1020090065101A 2009-07-16 2009-07-16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KR100952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101A KR100952131B1 (ko) 2009-07-16 2009-07-16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101A KR100952131B1 (ko) 2009-07-16 2009-07-16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131B1 true KR100952131B1 (ko) 2010-04-09

Family

ID=4221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101A KR100952131B1 (ko) 2009-07-16 2009-07-16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1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2292B1 (en) 1997-10-31 2001-12-25 Buzon Pedestal International Device for adjusting inclination when building on blocks
KR100520420B1 (ko) 2004-02-04 2005-10-11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KR100545797B1 (ko) 2004-10-12 2006-01-26 (주)리뉴시스템 옥상녹화용 복층 배수판
KR100661018B1 (ko) 2006-04-13 2007-01-05 홍채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2292B1 (en) 1997-10-31 2001-12-25 Buzon Pedestal International Device for adjusting inclination when building on blocks
KR100520420B1 (ko) 2004-02-04 2005-10-11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KR100545797B1 (ko) 2004-10-12 2006-01-26 (주)리뉴시스템 옥상녹화용 복층 배수판
KR100661018B1 (ko) 2006-04-13 2007-01-05 홍채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405B1 (ko) 녹지조성용 저배수 조립체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KR100527359B1 (ko) 식물 재배 매트
EP2331768B1 (en) Roof with modular plant covering
JP2008043241A5 (ko)
CN109811776B (zh) 一种装配式格构框架梁
US20100043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KR100952131B1 (ko) 녹지조성용 저배수조립체
WO2011033463A1 (en) Modular floating roof- garden system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CN211210685U (zh) 一种建筑室外自动灌溉的空中绿化种植构架***
JP2007167039A (ja) 緑化容器
JP4828928B2 (ja) 植栽コンテナ、植栽ユニット及び植栽設備
KR200231218Y1 (ko) 녹지조성용 배수판
KR200146295Y1 (ko) 옥상용 인공 지반
KR200220851Y1 (ko) 측면 배수공을 가진 조경용 배수판
KR100999938B1 (ko) 그린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최상층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옥상 정원 구조체
KR20090001622U (ko)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KR200430137Y1 (ko) 잔디보도블럭
TWM558811U (zh) 土壤支撐單元及土壤支撐裝置
KR102391479B1 (ko)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33349B1 (ko) 블럭이 일체화된 친환경 대형 식생호안블럭
KR200200097Y1 (ko) 록지조성용 배수처리판
JPH0547575Y2 (ko)
CN221128048U (zh) 绿化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