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639B1 -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출력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출력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639B1
KR100947639B1 KR1020070060599A KR20070060599A KR100947639B1 KR 100947639 B1 KR100947639 B1 KR 100947639B1 KR 1020070060599 A KR1020070060599 A KR 1020070060599A KR 20070060599 A KR20070060599 A KR 20070060599A KR 100947639 B1 KR100947639 B1 KR 10094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g
signal
multimedia
outputt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972A (ko
Inventor
홍성대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성대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6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639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를 통하여 컴퓨터를 통제하여 뇌파에 따라 음악, 영상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피측정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 뇌파의 감성특성별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뇌파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뇌파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하는 뇌파대응신호출력부; 및 상기 추출된 뇌파대응신호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른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감성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뇌파에 따라 화면 및 소리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출력이 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감성 상태를 바로 바로 피드백받을 수 있으므로 개개인의 감성개발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뇌파, 감성

Description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outputting multimedia contents using brain wave according to emotion in real time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측정된 뇌파를 좌측의 8개 채널 및 우측의 8개 채널로 분석한 예를 도시한 것
도 3은 피측정자의 감정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면 자극 슬라이드의 예
도 4는 측정된 뇌파를 이용하여 발생된 가상 미디 신호를 이용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프로그램의 실행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한 화면출력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뇌파를 통하여 컴퓨터를 통제하여 뇌파에 따라 음악, 영상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특 히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인간과 컴퓨터를 연결하여 인간의 두뇌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계측하여 원하는 목적에 이용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 Computer Interface)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Human Computer Interface, HCI) 연구로 인간의 눈 주위의 전위 신호(Electro-oculogram, EOG)나 근전도(Electro-myogram)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전극 부착 위치의 제약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과 인간의 두뇌에서 일어나는 정보처리 장치 방식 및 다양한 신호원들 중 극히 일부만 이용함에 따른 응용의 제한성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람의 정신 활동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뇌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을 두뇌의 표면에서 측정한 매우 작은 전위신호인 뇌파신호(Electroencepphalogram,EEG)를 이용하여 BCI를 구현하고자하는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뇌파(EEG)신호의 분석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의학, 신경과학, 심리학, 컴퓨터과학, 전자 공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최근 들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간의 생각이 뇌의 활동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뇌의 활동을 파악하여 인간의 의지를 추정하고, 이 신호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동작시키려는 연구가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활발히 진행중이다.
BCI 기술은 특정 뇌파 유도형과 뇌파 인식형의 두 유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 다.
최근, 알파파 등의 뇌파로 TV를 켜고 끄는 등의 기술, 뇌파를 이용하여 게임의 특정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 등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들은 분별이 용이한 특정 뇌파의 출현을 유도하는 뇌파유도형 기술로서,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행위와 훈련을 요구하기 때문에 BCI의 근본적 장점을 이용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뇌파 인식형은 뇌파를 분석하여 간단한 의사/동작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그대로 기계에 전달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정 뇌파 유도 방식을 모르스 부호를 사용하는 ‘전신’이라고 한다면 뇌파 인식 방식은 간단한 대화를 하는 ‘전화’로 비유할 수 있다.
뇌파 인식형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감성 요소인 뇌파(EEG) 요소를 체계화하고 체계화된 감성 요소를 실시간 측정하여 융합형 소프트웨어와 결합 후 실시간 영상 및 사운드를 접목시켜 인간의 감성을 오감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영상미디어 작품을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피측정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 뇌파의 감성특성별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뇌파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뇌파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하는 뇌파대응신호출력부; 및 상기 추출된 뇌파대응신호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른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뇌파대응신호는 전자음(Electric sound)을 출력하기 위한 미디 신호, 화면상의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제어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피측정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 뇌파의 감성특성별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측정된 뇌파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뇌파대응신호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른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뇌파측정부(110), 데이터베이스(120), 뇌파대응신호출력부(130) 및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뇌파측정부(110)는 피측정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분석을 한다.
인간의 두뇌에서 발생하는 뇌파는 크게 알파, 베타, 델타, 쎄타, 감마파의 다섯 개로 구분된다.
알파파는 8 ~ 13 HZ 사이의 뇌파 신호로, 긴장이 이완되고, 편안한 상태일 때 발생되며, 집중할 때 혹은 창의적인 사고를 할 때 발생된다. 눈을 깜박일 때는 알파파의 발생이 저지된다.
베타파는 13 ~ 30 HZ 사이의 뇌파 신호로, 각성상태, 의식적인 행동을 할 때, 일반적인 작업시 발생하며, 불안, 긴장 시에 우세하게 발생한다.
델타파는 0 ~ 4 HZ 사이의 뇌파 신호로, 정상 성인 각성시 나타나고, 수면시 많이 발생하며, 뇌종양, 뇌염등의 병적 요인의 판단 근거가 된다.
세타파는 4 ~ 8 HZ 사이의 뇌파 신호로, 졸리거나 깊은 명상시 발생한다.
감마파는 30 ~ 50 HZ 사이의 뇌파 신호로, 고도의 인지작용을 할 때 활성화가 된다.
뇌파측정부(110)는 컵전극 또는 헤어밴드형 전극 등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두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장비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고속 퓨리어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분석을 통하여 각 뇌파의 주파수 분포를 측정한다. 피측정자의 두뇌에 전극을 배치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은 종래에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뇌파측정부(110)는 분석된 뇌파의 각 주파수 대역별로 별개의 채널을 형성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측정된 뇌파를 좌측의 8개 채널 및 우측의 8개 채널로 분석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20)에는 뇌파의 각 주파수의 특성별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가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뇌파대응신호로는 가상 음악의 연주를 위한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와, 영상의 재생을 위한 화면제어신호가 있을 수 있다.
먼저, 미디 신호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미디 신호는 컴퓨터 또는 전자악기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통일된 국제표준규약 신호로 이 미디 신호를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전자악기에서 그에 해당되는 전자음(electric sound) 또는 전자음악이 연주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베이스(120)에는 뇌파의 각 주파수의 특성, 즉 뇌파의 특성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미디 신호가 저장되어 있어서, 측정된 뇌파에 따라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라 템포 및 기본적인 베이스 음악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즉흥적인 반응이 있을 때 많이 발생하는 델타파에는 최고조로 상승하여 플레이될 수 있는 음악에 해당되는 미디 신호가 대응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화면제어신호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화면제어신호는 화면에 출력되기 위한 신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객체의 형상을 제 어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객체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란, 예를 들어, 3D 환경의 구(sphere)라는 객체에 대하여 그 구의 크기, 회전, 찌그러진 정도, 화면에 출력되는 구의 수, 화면에 구가 분포되는 형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뇌파대응신호는 다수의 피측정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하여 각 피험자의 감성의 상태에 따른 뇌파의 분포 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그 감성 상태에 따라 적합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특정 뇌파와 그 뇌파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예: 1분(눈 뜨고 30초, 눈 감고 30초)) 동안 안정 상태를 유지한 후, 도 3에서와 같이 피측정자의 감정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장면 자극 슬라이드(예를 들어, 환한 웃음을 짓는 어린아이의 사진)를 정해진 종류로 일정시간 동안 보여준 후 이에 따른 뇌파의 주파수 분포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피측정자의 감성에 따른 뇌파의 주파수 분포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측정된 각 감성별 주파수 분포로부터 뇌파의 특성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가 결정되게 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0)에는 피측정자의 눈깜박임에 따라 발생되는 뇌파에 대한 뇌파대응신호도 저장하여 피측정자가 눈을 깜박일 때마다 그에 따른 효과가 화면 또는 소리로 표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눈깜박 임이 발생한 경우 화면상으로 파티클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뇌파대응신호출력부(130)는 뇌파측정부(110)로부터 측정되어 분석된 뇌파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수신된 뇌파신호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한다.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140)는 뇌파대응신호출력부(130)에서 추출된 뇌파대응신호에 따라 소리 또는 화면으로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디 신호를 이용한 음악 연주를 위하여 MaxMSP(상표명) 프로그램에 패치를 하여 이용하였고, 화면으로의 출력을 위해 Jitter(상표명) 프로그램에 패치를 하여 이용하였다.
도 4는 측정된 뇌파를 이용하여 발생된 가상 미디 신호를 이용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프로그램의 실행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CH1과 CH2의 2 채널분의 데이터가 유효한 소스가 되며, 각각 다른 미디 포토로 MIDIKeyTest2에 접속하여 미디신호에 변환되어 가상 미디 포토를 개입시켜 연주되도록 설정된 예이다.
또한,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140)는 open GL(Graphic Library)와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추출된 화면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피측정자의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 영상이 출력되는 객체 내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측정된 뇌파가 피측정자가 눈을 깜박이는 것으로 인식이 될 때에는 파티클이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화면 출력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정면의 스크린에 피측정자의 뇌 파에 따라 복수개의 구 객체(sphere object)가 변화되며, 그 구 객체에는 좌측의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피측정자의 영상이 삽입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피측정자의 뇌파 상태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화면 출력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은 피측정자의 감성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뇌파에 따라 화면 및 소리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출력이 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감성 상태를 바로 바로 피드백받을 수 있으므로 개개인의 감성개발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피측정자가 뇌파측정을 위한 장비(EEG)를 착용하고, 뇌파를 측정하면 그 측정된 뇌파는 뇌파측정부(110)에 수신되어 분석된다(201).
이 때, 뇌파측정부(110)는 고속 퓨리어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분석을 통하여 각 뇌파의 주파수 분포를 저주파영역부터 고주파영역까지 분석하여 각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고, 각 주파수 대역별로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여 각 채널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피측정자의 눈깜박임 등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피측정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여 얻어진, 피측정자의 감성에 따른 뇌파의 특성과 그 감성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하고 있으며, 뇌파대응신호출력부(130)는 이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뇌파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뇌파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한다(202).
여기서, 뇌파대응신호는 전자 악기음 출력을 위한 미디 신호, 화면상의 객체의 형상을 제어하거나, 직접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화면제어신호 등을 포함한다는 점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렇게, 피측정자의 감성 상태에 따라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가 추출되면,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140)는 이 신호에 대응되는 음악,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한다(203).
이 때, 영상으로 출력되는 객체에 피측정자의 촬영영상이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피측정자의 눈깜박임에 대응하여 파티클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렇게, 본 발명은 피측정자가 계속하여 자신의 뇌파를 측정하고 있는 이상, 실시간으로 계속하여 피측정자의 감성 상태가 멀티미디어 신호 출력에 반영되어 피측정자는 계속하여 자신의 감성상태를 피드백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감성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뇌파에 따라 화면 및 소리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출력이 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감성 상태를 바로 바로 피드백받을 수 있으므로 개개인의 감성개발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피측정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측정된 뇌파의 각 주파수별 대역별로 별개의 채널을 형성하고, 각 채널별로 신호의 세기를 결정여 측정된 뇌파의 주파수별 분포상태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
    뇌파의 감성특성별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뇌파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뇌파의 주파수별 분포상태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하는 뇌파대응신호출력부; 및
    상기 추출된 뇌파대응신호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른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뇌파대응신호는 전자음악(Electric sound)을 출력하기 위한 미디 신호로 출력될 베이스 음악 및 템포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신호이고, 상기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는 상기 미디신호에 따라 전자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눈깜박임에 따라 발생되는 뇌파의 주파수별 분포상태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인 미디신호가 포함되며, 상기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는 상기 피측정자가 눈을 깜박일 때마다 상기 뇌파대응신호출력부에서 추출되는 눈깜박임에 대응되는 미디신호를 이용하여 눈깜박임에 따른 효과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시스템.
  3. 피측정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측정된 뇌파의 각 주파수별 대역별로 별개의 채널을 형성하고, 각 채널별로 신호의 세기를 결정여 측정된 뇌파의 주파수별 분포상태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
    뇌파의 감성특성별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뇌파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뇌파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하는 뇌파대응신호출력부; 및
    상기 추출된 뇌파대응신호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른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뇌파대응신호는 화면상의 객체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제어신호이고, 상기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는 상기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상의 객체의 형상이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눈깜박임에 따라 발생되는 뇌파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가 포함되며, 상기 멀티미디어신호출력부는 상기 피측정자가 눈을 깜박일 때마다 상기 뇌파대응신호출력부에서 추출되는 눈깜박임에 대응되는 화면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눈깜박임에 따른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시스템.
  4. 삭제
  5. 피측정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측정된 뇌파의 각 주파수별 대역별로 별개의 채널을 형성하고, 각 채널별로 신호의 세기를 결정여 측정된 뇌파의 주파수별 분포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뇌파의 감성특성별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측정된 뇌파의 주파수별 분포상태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뇌파대응신호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른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뇌파대응신호는 전자음악(Electric sound)을 출력하기 위한 미디 신호로 출력될 베이스 음악 및 템포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신호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신호에 따라 전자음악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눈깜박임에 따라 발생되는 뇌파의 주파수별 분포상태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인 미디신호가 포함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피측정자가 눈을 깜박일 때마다 상기 뇌파대응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추출되는 눈깜박임에 대응되는 미디신호를 이용하여 눈깜박임에 따른 전자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방법.
  6. 피측정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측정된 뇌파의 각 주파수별 대역별로 별개의 채널을 형성하고, 각 채널별로 신호의 세기를 결정여 측정된 뇌파의 주파수별 분포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뇌파의 감성특성별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뇌파대응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측정된 뇌파의 주파수별 분포상태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뇌파대응신호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감성상태에 따른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뇌파대응신호는 화면상의 객체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제어신호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상의 객체의 형상이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눈깜박임에 따라 발생되는 뇌파에 대응되는 뇌파대응신호가 포함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피측정자가 눈을 깜박일 때마다 상기 뇌파대응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되는 눈깜박임에 대응되는 화면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눈깜박임에 따른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60599A 2007-06-20 2007-06-20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출력시스템 및 방법 KR10094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599A KR100947639B1 (ko) 2007-06-20 2007-06-20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출력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599A KR100947639B1 (ko) 2007-06-20 2007-06-20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출력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972A KR20080111972A (ko) 2008-12-24
KR100947639B1 true KR100947639B1 (ko) 2010-03-12

Family

ID=4037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599A KR100947639B1 (ko) 2007-06-20 2007-06-20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출력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050A (ko) * 2015-07-28 2017-02-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가상 현실 기반의 개인 맞춤용 캡슐형 힐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367A (ko) * 2010-11-02 2012-05-10 문재철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뇌파 변이 장치 및 방법
CN104133879B (zh) 2014-07-25 2017-04-19 金纽合(北京)科技有限公司 脑电信号与音乐进行匹配的方法及其***
KR101710013B1 (ko) * 2015-02-16 2017-02-24 이효재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60010B1 (ko) * 2020-12-21 2021-06-04 타우데이타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수면 질 향상을 위한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139A (ja) * 1993-10-22 1995-05-09 Canon Inc 脳波測定方法とその装置
KR20000006630A (ko) * 1999-07-24 2000-02-07 박병운 뇌파를이용한게임장치및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139A (ja) * 1993-10-22 1995-05-09 Canon Inc 脳波測定方法とその装置
KR20000006630A (ko) * 1999-07-24 2000-02-07 박병운 뇌파를이용한게임장치및그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050A (ko) * 2015-07-28 2017-02-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가상 현실 기반의 개인 맞춤용 캡슐형 힐링 장치
KR101703923B1 (ko) 2015-07-28 2017-02-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가상 현실 기반의 개인 맞춤용 캡슐형 힐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972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rkildsen et al. Measuring presence in video games: An investigation of the potential use of physiological measures as indicators of presence
Liu et al. Real-time fractal-based valence level recognition from EEG
McMahan et al. Evaluating player task engagement and arousal using electroencephalography
US201602560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electrical activity in tissue
Moon et al. Implicit analysis of perceptual multimedia experience based on physiological response: A review
US20130130799A1 (en) Brain-computer interfaces and use thereof
Rodrigue et al. Spatio-temporal detection of divided attention in reading applications using EEG and eye tracking
KR100947639B1 (ko) 감성뇌파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출력시스템 및 방법
Lipp et al. Concurrent sound segregation based on inharmonicity and onset asynchrony
Alhargan et al. Affect recognition in an interactive gaming environment using eye tracking
Nesbitt et al. Using the startle eye-blink to measure affect in players
Antons et al. Brain activity correlates of quality of experience
Chabin et al. Are the new mobile wireless EEG headsets reliable for the evaluation of musical pleasure?
da Silveira et al. Ongoing challenges of evaluating mulsemedia QoE
Teixeira et al. Does music help to be more attentive while performing a task? A brain activity analysis
Abadi et al. Decoding affect in videos employing the MEG brain signal
Gondesen et al. Eeg-based biometrics
KR101434624B1 (ko) 긴장-이완 감성상태 측정 기반의 영상 저작물 스토리 분석 시스템 및 분석 방법
Gilroy et al. Evaluating multimodal affective fus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Browarska et al. Initial study on changes in activity of brain waves during audio stimulation using noninvasive brain–computer interfaces: choosing the appropriate filtering method
Zhao et al. Neural basis of semantically dependent and independent cross-modal boosts on the attentional blink
Rico Garcia et al. Emotion-Driven Interactive Storytelling: Let Me Tell You How to Feel
Izdebski et al. Usability of EEG systems: user experience study
Williams Psychophysiological approaches to sound and music in games
Giroldini EEG global response to videoclip and Neuromark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