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931B1 -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931B1
KR100945931B1 KR1020080024988A KR20080024988A KR100945931B1 KR 100945931 B1 KR100945931 B1 KR 100945931B1 KR 1020080024988 A KR1020080024988 A KR 1020080024988A KR 20080024988 A KR20080024988 A KR 20080024988A KR 100945931 B1 KR100945931 B1 KR 10094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signal
line precharge
precharge voltage
enab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797A (ko
Inventor
나은성
송호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02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93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5Internal triggering or timing of refresh, e.g. hidden refresh, self refresh, pseudo-S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6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control or a clock signal, e.g. in order to apply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소정 구간 동안 인에이블되는 전압강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압강하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전압강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의 레벨을 낮추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를 제공한다.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 전위차(ΔV),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Description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Bit Line Precharge Voltage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보유시간을 증가시켜 셀프리프레쉬 페일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은 메모리 셀에 저장된 전하의 자연 방전으로 인하여 정보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마다 전하를 보충하여 주는데, 이러한 동작 모드를 셀프리프레쉬(self refresh)라 하며 셀프리프레쉬 동작의 주기는 디램이 고집적화됨에 따라 점점 짧아진다.
셀프리프레쉬 기능을 갖는 동기식 디램(synchronous DRAM)은 보통 디램의 리프레쉬 속도에 비해 4배의 리프레쉬 속도를 만족한다. 이러한 리프레쉬 속도의 차이에 의해 동기식 디램은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시 전하의 누설로 인하여 정상의 '하이'레벨 데이터를 안정되게 리프레쉬 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전하의 누설로 인하여 비트라인에 공급되는 셀 데이터의 전위차(ΔV)가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메모리 셀의 비트라인(BL)과 상보 비트라인(BLB)은 코어전압(VCORE)의 1/2 레벨로 프리차지되고, 액티브시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워드라인 신호(WL)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셀 트렌지스터(N1)에 의해 전위차(ΔV)가 발생한다. 비트라인(BL)과 상보 비트라인(BLB) 간의 전위차(ΔV)는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다르게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데이터가 '하이'레벨인 경우 셀 커패시터(CS)와 비트라인(BL) 간의 전하공유(charge sharing)가 발생하여 비트라인(BL)의 전위는 프리차지 전압보다 커져 비트라인(BL)과 상보 비트라인(BLB) 간에는 양의 전위차(ΔV)가 발생한다.
한편,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데이터가 '로우'레벨인 경우 셀 커패시터(CS)와 비트라인(BL) 간의 전하공유(charge sharing)가 발생하여 비트라인(BL)의 전위는 프리차지 전압보다 작아져 비트라인(BL)과 상보 비트라인(BLB) 간에는 음의 전위차(ΔV)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액티브시 비트라인(BL)과 상보 비트라인(BLB) 간의 전위차(ΔV)는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데이터가 '로우'레벨인 경우보다 '하이'레벨인 경우에 더 작다. 이는,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데이터가 '하이'레벨인 경우 NMOS 트랜지스터(N1)의 문턱전압에 의해 저장된 전하의 일부가 손실되기 때문이다.
비트라인(BL)과 상보 비트라인(BLB) 간의 전위차(ΔV)가 작아지면, 비트라인 센스앰프의 센싱(sensing)이 어려워지므로 페일 발생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데이터가 '하이'레벨인 경우 '로우'레벨인 경우에 비해 데이터 보유 시간(data retention time)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시에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을 낮춰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데이터가 '하이'레벨인 경우 비트라인(BL)과 상보 비트라인(BLB) 간의 전위차(ΔV)를 '로우'레벨인 경우보다 크게함으로써, '하이'레벨 데이터의 취약한 데이터 보유시간을 개선할 수 있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셀프리프레쉬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전압을 스위칭하여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서 전달된 전압을 공급받아 메모리 셀의 컬럼 경로를 제어하는 컬럼 동작 관련 회로부를 포함하는 내부전압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압강하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셀프리프레쉬 신호 및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압강하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펄스신호를 소정구간만큼 지연시키는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 상기 셀프리프레쉬 신호를 인버팅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1 논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펄스신호 생성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키는 지연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2 논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연부는 홀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는 홀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강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구동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소자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종료 후, 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시에 외부전압을 소정 구간 동안 제1 노드로 공급하는 오버드라이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드라이빙부는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소정 구간 동안 인에이블되는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전압을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으로 전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 생성부는 셀프리프레쉬 신호 및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펄스신호를 소정구간만큼 지연시키는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인버팅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셀프리프레쉬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1 논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펄스신호 생성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키는 지연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2 논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연부는 홀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는 짝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외부전압과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구동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소자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에 포함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강하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에 포함된 오버드라이빙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강하부(10) 및 오버드라이빙부(20)로 구성된다.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강하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 및 클럭인에이블신호(CKE)를 입력받아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소정 구간 동안 인에이블되는 전압강하 제어신호(CON1)를 생성하는 전압강하 제어신호 생성부(100)와, 전압강하 제어신호(CON1)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을 낮추는 제1 스위치부(110)로 구성된다. 이때,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는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신호이고, 클럭인에이블신호(CKE)는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진입 시 로우레벨로 천이하고,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종료 시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전압강하 제어신호 생성부(100)는 제1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102),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4) 및 제1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106)로 구성된다.
제1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102)는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의 반전신호 및 클럭인에이블신호(CKE)를 입력받아 부정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제1 인에이블 신호(EN1)를 생성하는 낸드게이트(ND10)로 구성된다. 제1 인에이블 신호(EN1)는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즉,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가 하이레벨이고, 클럭인에이블신호(CKE)가 로우레벨일 때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4)는 제1 인에이블 신호(EN1)를 소정구간 지연시키는 제1 지연부(1040)와,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1 지연부(104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부정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낸드게이트(ND11)로 구성된다. 제1 지연부(1040)는 홀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으로 구성되어, 제1 인에이블 신호(EN1)를 소정 구간 지연시키고, 반전시켜 출력한다.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4)는 제1 인에이블 신호(EN1)가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경우 제1 지연부(1040)의 지연구간에 의해 결정되는 펄스폭을 갖는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1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106)는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4)의 출력펄스를 소정 구간 지연시켜 전압강하 제어신호(CON1)를 생성한다. 제1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106)는 홀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으로 구성되어,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4)의 출력펄스의 인에이블 구간을 조절한다.
제1 스위치부(110)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어 전압강하 제어신호(CON1)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NMOS 트랜지스터(N10)로 구성된다.
오버드라이빙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 및 클럭인에이블신호(CKE)를 입력받아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종료 후, 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시에 소정 구간 동안 인에이블되는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CON2)를 생성하는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 생성부(200)와,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CON2)에 응답하여 외부전압(VDD)을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에 전달하는 제2 스위치부(210)로 구성된다. 이때,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는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종료후 정상 동작 모드에서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신호이고, 클럭인에이블신호(CKE)는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진입 시 로우레벨로 천이하고,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종료 시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 생성부(200)는 제2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02), 제2 펄스신호 생성부(204) 및 제2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206)로 구성된다.
제2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02)는 클럭인에이블신호(CKE)의 반전신호 및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를 입력받아 부정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제2 인에이블 신 호(EN2)를 생성하는 낸드게이트(ND20)로 구성된다. 제2 인에이블 신호(EN2)는 정상 동작 모드, 즉,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가 로우레벨이고, 클럭인에이블신호(CKE)가 하이레벨일 때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제2 펄스신호 생성부(204)는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소정구간 지연시키는 제2 지연부(2040)와, 제2 인에이블 신호(EN2) 및 제2 지연부(204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부정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낸드게이트(ND21)로 구성된다. 제2 지연부(2040)는 홀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으로 구성되어,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소정 구간 지연시키고, 반전시켜 출력한다. 제2 펄스신호 생성부(204)는 제2 인에이블 신호(EN2)가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경우 제2 지연부(2040)의 지연구간에 의해 결정되는 펄스폭을 갖는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2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206)는 제2 펄스신호 생성부(204)의 출력펄스를 소정 구간 지연시켜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CON2)를 생성한다. 제2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206)는 짝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으로 구성되어, 제2 펄스신호 생성부(204)의 출력펄스의 인에이블 구간을 조절한다.
제2 스위치부(210)는 외부전압과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CON2)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PMOS 트랜지스터(P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의 동작을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도 5를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인 에이블신호(CKE)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하고,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102)는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1 인에이블 신호(EN1)를 생성하고,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4)는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1 인에이블 신호(EN1)에 응답하여 제1 지연부(1040)의 지연구간에 의해 결정된 펄스폭(B)을 갖는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제1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106)는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4)에서 생성된 펄스신호를 소정구간(A) 지연시켜 전압강하 제어신호(CON1)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전압강하 제어신호(CON1)는 제1 스위치부(110)의 NMOS 트랜지스터(N10)를 턴온시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을 낮춘다.
이상을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강하부(10)를 통해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을 일정 부분 낮추어 생성한다. 즉, 코어전압(VCORE)의 절반 레벨로 생성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을 코어전압(VCORE)의 절반 레벨보다 작은 레벨로 낮춘다.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이 낮아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레벨 데이터에 의한 비트라인(BL)과 상보 비트라인(BLB) 간의 전위차(△VH)가 '로우'레벨 데이터에 의한 비트라인(BL)과 상보 비트라인(BLB) 간의 전위차(△VL) 보다 커진다. 따라서, '하이'레벨 데이터의 데이터 보유시간이 개선된다.
한편,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종료 시 도 5를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인에 이블신호(CKE)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하고, 셀프리프레쉬 신호(SREF)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02)는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생성하고, 제2 펄스신호 생성부(204)는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2 인에이블 신호(EN2)에 응답하여 제2 지연부(2040)의 지연구간에 의해 결정된 펄스폭(D)을 갖는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제2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206)는 제2 펄스신호 생성부(204)에서 생성된 펄스신호를 소정구간(C) 지연시켜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CON2)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CON2)는 제2 스위치부(210)의 PMOS 트랜지스터(P20)를 턴온시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에 외부전압(VDD)을 공급해준다.
이상을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는 도 4에 도시된 오버드라이빙부(20)를 통해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종료후 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시에 소정 구간 동안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에 코어전압(VCORE)의 절반 레벨로 생성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보다 더 높은 레벨의 외부전압(VDD)을 공급하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을 오버드라이빙시킨다. 즉, 셀프리프레쉬 동작 구간 동안 코어전압(VCORE)의 절반 레벨보다 작은 레벨이 인가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을 외부전압(VDD)으로 오버드라이빙 시킨다.
따라서,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일 때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레벨을 낮춘 후, 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시에 소정 구간 동안 외부전압(VDD)을 공급함으로써, '하이'레벨 데이터의 데이터 보유시간이 개선되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보유시간을 증가시켜 셀프리프레쉬 페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에 포함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강하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에 포함된 오버드라이빙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강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에 의한 비트라인과 상보비트라인 간의 전위차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오버드라이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Claims (19)

  1. 셀프리프레쉬 신호 및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생성부를 포함하여,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소정 구간 동안 인에이블되는 전압강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압강하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전압강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의 레벨을 낮추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강하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펄스신호를 소정구간만큼 지연시키는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
    상기 셀프리프레쉬 신호를 인버팅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1 논리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신호 생성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키는 지연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2 논리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홀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는 홀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강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구동소자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소자는 NMOS 트랜지스터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0. 제1 항에 있어서,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 종료 후, 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시에 외부전압을 소정 구간 동안 제1 노드로 공급하는 오버드라이빙부를 더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드라이빙부는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소정 구간 동안 인에이블되는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전압을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으로 전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 생성부는
    셀프리프레쉬 신호 및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펄스신호를 소정구간만큼 지연시키는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인버팅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셀프리프레쉬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1 논리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신호 생성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키는 지연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2 논리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홀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구간 조절부는 짝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외부전압과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오버드라이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구동소자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소자는 PMOS 트랜지스터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KR1020080024988A 2008-03-18 2008-03-18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KR10094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988A KR100945931B1 (ko) 2008-03-18 2008-03-18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988A KR100945931B1 (ko) 2008-03-18 2008-03-18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797A KR20090099797A (ko) 2009-09-23
KR100945931B1 true KR100945931B1 (ko) 2010-03-05

Family

ID=4135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988A KR100945931B1 (ko) 2008-03-18 2008-03-18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7061B (zh) * 2018-08-03 2021-03-23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存储器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081B1 (ko) * 1997-06-25 2000-09-01 윤종용 셀프-리프레시 모드를 가지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KR20010004679A (ko) * 1999-06-29 2001-01-15 김영환 비트라인 센스 앰프
KR20010059290A (ko) * 1999-12-30 2001-07-06 박종섭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 조절장치
KR20080029657A (ko) * 2006-09-29 2008-04-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081B1 (ko) * 1997-06-25 2000-09-01 윤종용 셀프-리프레시 모드를 가지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KR20010004679A (ko) * 1999-06-29 2001-01-15 김영환 비트라인 센스 앰프
KR20010059290A (ko) * 1999-12-30 2001-07-06 박종섭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 조절장치
KR20080029657A (ko) * 2006-09-29 2008-04-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797A (ko)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8246B2 (en) Semiconductor device suppressing BTI deterioration
US728043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4758228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レイテンシ制御回路
US7548468B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US10650878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fresh control
KR100502659B1 (ko) 저전력 셀프 리프레쉬 장치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336555B2 (en) Refresh control circuit of pseudo SRAM
US6542426B2 (en) Cell data protection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refresh mode
US6404178B2 (en) Power supply circuit capable of supplying a stable power supply potential even to a load consuming rapidly changing current
KR100615413B1 (ko) 반도체 메모리
KR20150080261A (ko) 액티브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6894942B2 (en) Refresh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32763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00084775A (ko) 리프레쉬 제어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시스템
US9552850B2 (en) Sense amplifier driving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945931B1 (ko)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KR100802074B1 (ko) 리프레쉬명령 생성회로를 포함하는 메모리장치 및리프레쉬명령 생성방법.
KR20070036598A (ko) 프리차지 제어 장치
KR20060075072A (ko) 메모리 장치의 프리차지 타이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926311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69551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925369B1 (ko) 프리차지 제어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43760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발생회로
KR100761403B1 (ko) 메모리장치의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회로 및 비트라인이퀄라이징 방법.
KR101046994B1 (ko) 리프레쉬 주기조절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