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595B1 -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595B1
KR100941595B1 KR1020090048520A KR20090048520A KR100941595B1 KR 100941595 B1 KR100941595 B1 KR 100941595B1 KR 1020090048520 A KR1020090048520 A KR 1020090048520A KR 20090048520 A KR20090048520 A KR 20090048520A KR 100941595 B1 KR100941595 B1 KR 10094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cid
compounds
present
influenza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070A (ko
Inventor
라정찬
김영호
권혁준
원후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Publication of KR2009012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1Aldehy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러스 활성 억제를 위한, 하기 화학식 (I)의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33274899-pat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은 바이러스 활성 억제 효능이 우수하므로 바이러스와 관련된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오리나무, 항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트리테르페노이드, 루올, 베툴리닉 알데히드

Description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Tritepenoid for viral inhibitor}
본 발명은 바이러스 활성 억제를 위한, 하기 화학식 (I)의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는 여러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는바, 특히 축산업 분야에서 문제되고 있는 바이러스 중, 대표적인 것이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쏘믹소바이러스과(orthomixoviridae)에 속하며, 주로 닭과 칠면조 등 가금류에 많은 피해를 입힌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병원성에 여부에 따라, 고병원성·약병원성·비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3종류로 구분되고, 이 가운데 고병원성은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 리스트 A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제1종 가축 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트릭스 단백질과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의 항원성에 따라 A, B, C형 바이러스로 분류되며, 숙주세포 수용기 결합, 숙주세포막과 바이러스 엔벨롭의 융합을 도와 바이러스 감염을 초래하는 혈구 응집 단백 질(haemagglutinin, HA)과, 증식 후 바이러스가 세포로부터 출아될 때 중요한 뉴라미니다아제(neuraminidase, NA)의 항원 구조의 차이에 따라 각각 HA는 16종류, NA는 9종류의 아형(subtype)으로 분류된다. 이론적으로는 상기 두 단백질의 조합에 의해 총 144 가지의 바이러스 아형이 존재할 수 있다.
조류 인플루엔자의 감염은 조류 분비물을 직접 접촉할 때 주로 일어나며, 비말(飛沫)·물, 사람의 발, 사료 차, 기구, 장비, 알 겉면에 묻은 분변 등에 의해서도 전파 가능하다. 증상은 감염된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체로 호흡기 증상, 설사 및 급격한 산란율의 감소로 나타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볏 등 머리 부위에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안면에 부종이 생기거나 깃털이 한 곳으로 모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폐사율도 병원성에 따라 0~100%로 다양한데, 뉴캐슬병·전염성 후두기관염·마이코플라스마 감염증 등과 증상이 비슷하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는 1959~200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23회 발병한 바 있으나, 대부분 국지적인 발생으로 종식되었다. 2003년 12월 한국에서 발생한 H5N1 아형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는 일본, 중국,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대부분의 국가와 유럽, 아프리카 등 30개국 이상에서 발병하여 범세계적인 발병 양상을 보였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간에게 직접 전염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홍콩에서의 1997년 H5N1 인체 감염 사례, 1999년 H9N2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인체 분리 사례 및 2004년 캐나다에서 발생한 H7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 스의 인체 감염 사례로 인해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공중보건학적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에 의하면 (http://www.who.int/csr/disease/avian_influenza/country/cases_table_2006_06_20/en/index.html), 2003년부터 2006년 6월 20일까지 10개국에서 228명이 H5N1 아형바이러스에 감염되었고, 이 중 130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1996년 H9N2 아형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한 이후, 1999년 재발한 바가 있다.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하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전수 도축 처분해야 하고, 이로 인해 발생 국가에서는 양계 산물을 수출할 수 없게 되므로 양계 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며, 인체 감염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관광산업, 운송산업 등 산업 전반으로 피해가 확산된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기 위해 막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바,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1과 B형 간염 치료에 사용되는 라미부딘(lamibudine),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갠시클로비르(gancyclovir),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 (respiratory syncytial virus) 및 감염증에 주로 쓰이지만 위급시에는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증에 사용되는 리바비린(ribavirin) 등이 시판되고 있으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다아제 저해 물질로서 인공 합성된 자나미비르(zanamivir, RelenzaR) 및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TAMIFLU™)도 시판 중에 있다.
그러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치료를 위해 허가된 아만타딘(amantadine) 및 그 유사 물질인 리만타딘(rimantadine)은 내성 바이러스 출현과 부작용으로 최근에 그 사용 범위가 축소되었으며, 최근 H5N1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에서 오셀타미비르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바이러스도 출현하여 다양한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시급하다.
한편, 오리나무(Alnus japonica)는 자작나무과 (Betulaceae) 오리나무속 (Alnus)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로, 흔히 오리목이라고 부른다. 오리나무속은 북반구와 남아메리카에 약 30종, 우리나라에는 약 9종이 분포하고, 습지 근처에서 자라며, 그 높이가 20m에 달하고, 나무 껍질은 자갈색이며, 겨울눈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3개의 능선이 있고 자루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바소꼴의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이며, 양면에 광택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3~4월에 피고 단성이며, 미상 꽃차례에 달린다. 수꽃은 수꽃 이삭에 달리며, 각 포에 3~4개씩 들어 있고, 화피 갈래 조각과 수술은 4개씩이다. 과수는 10월에 성숙하며, 2~6개씩 달리고 긴 달걀 모양이며, 솔방울같이 보인다.
한편,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화합물에는 α-아미린(alpha-amyrin), α-아미린 아세테이트, 바우레놀 아세테이트(baurenol acetate), β-아미린, β-아미린 아세테이트, 다투라올론 게르마니콜 아세테이트(daturaolone germanicol acetate), 루페올 아세테이트(lupeol acetate), 루프-20(29)-엔-3-온(Lup-20(29)-en-3-one), 올레안-18-엔-3-온(olean-18-en-3-one), 타라자스테롤(taraxasterol)을 함유하고, 세스퀴테르페노이드(sesquiterpenoid)로 11,13-α-디하이드로글루코잘루자닌 C(11,13-α-dehydroglucozaluzanin C), 10-α-하이드록 시-8-데옥시 글루코사이드, 8-에피데아실시나로피크린(8-epideacylcynaropicrin), 8-에피데아실시나로피크린 글루코사이드, 글루코잘루자닌 C 아이제린(ixerin), 피크리 사이드 B(picriside B) 등이 포함된다 (M. Tamai et al., Planta Med., 1989; S. Seo et al., J. Am. Chem. Soc., 1981; T. Akihisa et al., Phytochemistry, 1994; W. Kisiel, Phytochemistry, 1992; H. Fuchino et al., Chem. Pharm. Bull., 1995; K. Shiojima et al., Chem. Pharm. Bull., 1996; A. Hisham et al., Phytochemistry, 1995).
루페올(lupeol)은 항염증 활성(Singh S. et al., Filoterapia, 68(1):9, 1997), 진통 활성(De Miranda A.L. et al., Planta Med., 66(3):284, 2000), 중금속에 대한 신장 보호 활성(Nagaraj M. et al., J. Appl. Toxicol., 20(5):413, 2000), 항히스타민 활성(De Medrano Villar M.J. et al., Methods Find Exp. Clin. Pharmacol., 19(8):515, 1997), 항유사분열(antimitotic) 활성(Zachariah R. et al., Indian J. Pharm. Sci., 56(4):129, 1994) 및 항바이러스 활성(Kahlos K., Filoterapia, 67(4):344, 1996) 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합성 중간체, 특히 파이토호르몬(phytohormone) 및 스테로이드 유사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루페올은 알로에 베라 또는 크라타에바 너발라(Crataeva nurvala)의 껍질과 같은 많은 식물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오리나무에 존재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1703호 및 제10-0769050호에서 오리나무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에서는 오리나무 추출물을 고농도로 투여했을 경우에만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어서 이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정상세포에 대해 독성이 낮고, 저농도로 투여했을 경우에도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 효능이 뛰어난 천연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오리나무에서 추출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이 탁월한 항-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프로드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프로드럭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33274899-pat00002
상기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 록시, 알데히드, 케톤, 카르복실, 아민, C1-C6 알킬 및 C1-C6 알콕시 중에서 선택됨.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바이러스 활성에 의한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활성 억제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I)로 나타내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33274899-pat00003
상기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알데히드, 케톤, 카르복실, 아민, C1-C6 알킬 및 C1-C6 알콕시 중에서 선택됨.
이 때,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이고, 상기 R7은 수소 또는 -CHC-이며, 상기 R8은 H-C=O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오리나무(Alnus japonica) 유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킬(alkyl)"이란 선형, 분지형 사이클릭 탄화수소 구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급 알킬이란,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그룹을 말한다. 저급 알킬 그룹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 부틸, s- 및 t-부틸,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알킬 그룹은 C1~C6의 저급 알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3 알킬이다.
용어 "알콕시(alkoxy)"는 산소를 통해 모 구조(parent structure)에 부착된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의 직선형, 분지형, 사이클릭 구조 및 이들의 조합을 말한다. 그 예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아이소프로폭시, 사이클로프로필옥시, 사이클로헥실옥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알콕시 그룹은 1개 내지 4개의 탄소를 포함하는 저급알콕시이다.
기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서 해석될 수 있다.
대표적인 화합물(I)로서는 루페올(lupeol) 또는 베툴리닉 알데히드(betulinic aldehyde)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당해 분야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하기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유기용매 분획으로부터 순수 화합물을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리나무의 수피를 95% 에탄올로 55℃에서 초음파 처리한 후, 농축하여 에탄올 분획(12B-AJ-5A)을 수득한 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12B-AJ-5A를 CH2Cl2 및 에탄올로 차례로 분획하여 디클로로메탄(CH2Cl2) 분획(12B-AJ-5B, 139g), 에탄올 분획(12B-AJ-5C, 400g) 및 물 분획(12B-AJ-5D)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12B-AJ-5D를 20%, 50%, 75%, 100% 메탄올로 처리하여 12B-AJ-5E, 12B-AJ-5F, 12B-AJ-5G 및 12B-AJ-5H를 각각 수득하였다.
상기 12B-AJ-5A, 12B-AJ-5B, 12B-AJ-5C, 12B-AJ-5D, 12B-AJ-5E, 12B-AJ-5F, 12B-AJ-5G 및 12B-AJ-5H 분획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 12B-AJ-5B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세포 독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12B-AJ-5A 및 12B-AJ-5B는 상대적으로 높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고, 12B-AJ-5D, 12B-AJ-5E, 12B-AJ-5F, 12B-AJ-5G 및 12B-AJ-5H는 상대적으로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12B-AJ-5B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농도 구배 용매를 사용하여 도 2와 같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7개의 유기용매 분획을 수득하였다 (12B-AJ-20A~12B-AJ-20G). 상기에서 수득한 12B-AJ-20A~12B-AJ-20G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활성을 측정한 결과, 12B-AJ-5B에 비하여, 12B-AJ-20D, 12B-AJ-20E, 12B-AJ-20F 및 12B-AJ-20G가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고, 12B-AJ-20E, 12B-AJ-20F 및 12B-AJ-20G는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12B-AJ-20A~12B-AJ-20G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효능 및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종합한 결과, 효능이 독성보다 큰 12B-AJ-20D 및 12B-AJ-20E를 유효 분획으로 결정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12B-AJ-20D에 대해 도 3과 같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2B-AJ-36B, 12B-AJ-37A 및 12B-AJ-37B를 수득하였고, 상기 12B-AJ-36B에 대해 NMR을 수행한 결과,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12B-AJ-20E에 대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2B-AJ-25B 및 12B-AJ-26A를 수득하였다. NMR을 수행한 결과, 상기 12B-AJ-25B는 루페올이고, 12B-AJ-26A는 베툴리닉 알데히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제조방법들은 그것의 예시적인 방법들에 지나지 않으며, 유기합성 분야의 기술에 근간한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비-예시된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는 당 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한 변형에 의해, 예를 들면, 간섭 기를 적절히 보호하거나, 당 분야에 공지된 다른 적당한 시약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반응 조건을 통상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원에 개시되고 당 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다른 반응은 본 발명의 다른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적응성을 갖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I)의 제조를 위한 구체적인 반응조건 등을 추후 설명하는 제조예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화합물이 투여되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화합물의 제형을 의미한다. 용어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질체" 역시 상기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상기 약제학적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술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카프릭산, 이소부탄산, 말론산, 석신산, 프탈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과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염기와 반응시켜 암모니움염, 나트륨 또는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등의 염, 디시클로헥실 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 메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들의 염, 및 아르기닌, 리신 등의 아미노산 염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용어 "수화물(hydrate)"은 비공유적 분자간력(non-covalent intermolecular force)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stoichiometric) 또는 비화학양론적(non-stoichiometric) 량의 물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용어 "용매화물(solvate)"은 비공유적 분자간력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량의 용매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그에 관한 바람직한 용매들로는 휘발성, 비독성, 및/또는 인간에게 투여되기에 적합한 용매들이다.
용어 "이성질체(isomer)"는 동일한 화학식 또는 분자식을 가지지만 광학적 또는 입체적으로 다른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학식 1에 따른 화합물은 치환기들의 종류에 따라서는 입체생성 중심(asymmetric center, 비대칭 탄소 원자)을 가질 수 있는바, 이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와 같은 광학 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프로드럭(prodrug)"은 생체 내에서 모 약제(parent drug)로 변형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프로드럭은, 몇몇 경우에 있어서, 모 약제보다 투여하기 쉽기 때문에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들은 구강 투여에 의해 생활성을 얻을 수 있음에 반하여, 모 약제는 그렇지 못할 수 있다. 프로드럭은 또한 모 약제보다 제약 조 성물에서 향상된 용해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드럭은 수용해도가 이동성에 해가 되지만, 일단 수용해도가 이로운 세포에서는, 물질대사에 의해 활성체인 카르복실산으로 가수분해되는, 세포막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에스테르("프로드럭")로서 투여되는 화합물일 것이다. 프로드럭의 또 다른 예는 펩티드가 활성 부위를 드러내도록 물질대사에 의해 변환되는 산기에 결합되어 있는 짧은 펩티드(폴리아미노 산)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용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합물 그 자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것의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프로드럭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은 바이러스 활성 억제, 즉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들의 치료 및 예방에 유효하다.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활성 억제에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을 투여하여 바이러스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화학식(I)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바이러스 활성으로 인한 질병들의 치료 및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하는"이란 용어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 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란 용어는 "치료하는"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태양에서, 약리학적 유효량의 화합물 (I)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희석제, 부형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약제 조성물은 생물체 내로 화합물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소 투여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제 조성물은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산 화합물들을 반응시켜서 얻어질 수도 있다.
용어 "약리학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투여되는 화합물의 량이 치료하는 장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약리학적 유효량은 (1) 질환의 진행 속도를 역전시키거나 또는 암의 경우에 종양의 크기를 줄이는 효과, (2) 질환의 그 이상의 진행을 어느 정도 금지시키고, 암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느리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또는 바람직하게는 종양 전이를 중단하는 효과 및/또는 (3) 질환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 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바람직하게는,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는 양을 의미한다.
용어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용어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physiologically acceptable)"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로 정의된다.
여기에 사용된 화합물들은 인간 환자에게 그 자체로서, 또는 결합 요법에서와 같이 다른 활성 성분들과 함께 또는 적당한 담체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된 약제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a) 투여 경로
적절한 투여 경로는, 예를 들어, 경구, 비강, 투과점막, 또는 장 투여 격막 내, 직접 심실 내, 복강 내, 또는 안내 주사뿐만 아니라, 근육 내, 피하, 정맥, 골수 주사를 포함한 비경구 전달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종종 침적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충실성 종양에 직접적으로 주사하는 것에 의해, 전신 방식보다는 국소 방식으로 화합물을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약제를 예를 들어, 종양-특이적 항체로 코팅된 리포좀으로, 표적화 약제 전달계로서 투여할 수도 있다. 리포좀은 종양으로 표적되고 그것에 의해 임의적으로 취해진다.
(b) 조성물/제형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혼합, 용해, 과립화, 당제-제조, 분말화, 에멀션화, 캡슐화, 트래핑과 또는 동결건조 과정들의 수단에 의해, 공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을 위한 약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형으로의 활성 화합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부형제들 또는 보조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합한 제형은 선택된 투여 루트에 따라 좌우된다. 공지 기술들, 담체 및 부형제들 중의 어느 것이라도 적합하게, 그리고 당해 분야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Remings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주사를 위해서 본 발명의 성분들은 액상 용액으로 바람직하게는 Hank 용액, Ringer 용액, 또는 생리 식염수 버퍼와 같은 약리학적으로 맞는 버퍼로 제형될 수 있다. 점막 투과 투여를 위해서, 통과할 배리어에 적합한 비침투성제가 제형에 사용된다. 그러한 비침투성제들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서 화합물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들을 활성 화합물들과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형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들은 본발명의 화합물들이 정제, 알약, 당제, 캡슐, 액체, 겔, 시럽, 슬러리, 현탁액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경구 사용을 위한 약제준비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들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형제를 혼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혼합물을 분쇄하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보조제를 투과한 이후 과립의 혼합물을 처리하여 정제 또는 당체 코어를 얻을 수 있다. 적절한 부형제들은 락토스, 수크로즈,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필러 옥수수 녹말, 밀 녹말, 쌀 녹말, 감자 녹말, 겔라틴, 검 트래거켄스, 메틸 셀룰로우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PVP)와 같은 셀룰루오즈계 물질 등이다. 필요하다면, 가교 폴리비닐 피롤리돈, 우뭇가사리, 또는 알긴산 또는 알긴산 나트륨과 같은 그것의 염 등의 디스인터그레이팅 에이전트가 첨가될 수도 있다.
당제 코아는 적절히 코팅하여 공급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우에 따라서는 아라비드 검, 활석,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보폴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이산화티탄, 락커 용액 및 적합한 유기용매 또는 용매혼합물을 포함하기도 하는 농축 설탕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 화합물 용량의 확인 또는 이들의 다른 조 합을 특징지우기 위해 염료나 안료가 정제 또는 당제에 포함되기도 한다.
경구에 사용될 수 있는 제약 준비물은, 겔라틴 및 글리콜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가소제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밀봉 캡슐뿐만 아니라, 겔라틴으로 만들어진 밀어 고정하는 캡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밀어 고정하는 캡슐은 락토오스와 같은 필러, 녹말과 같은 바인더 및/또는 활석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활제와의 혼합물로서, 활성 성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질 캡슐에서 활성 화합물들은 지방산, 액체 파라핀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적합한 용체에 용해 또는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안정화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모든 조제들은 그러한 투여에 적합한 함량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협측 투여를 위해 조성물들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형화된 정제 또는 마름모꼴 정제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흡입에 의한 투여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화합물들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절한 가스와 같은 적절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네불라이절(nebulisher)로부터 에어졸 분사 제공의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흡입제 또는 취분기에서의 사용을 위해, 화합물과 락토오스 또는 녹말과 같은 적절한 분말의 분말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겔라틴과 같은 캡슐 및 카트리지가 제형화될 수도 있다.
화합물들은 주사에 의해, 예를 들어 큰 환약 주사나 연속적인 주입에 의해 비경구 투입용으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주사용 제형은, 예를 들어 방부제를 부가 한 앰플 또는 멀티-도스 용기로서 단위 용량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조성물은 유성 또는 액상 비히클상의 현탁액, 용액, 에멀션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용 성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용 액제 제형들은 수용성 형태로 활성화합물들의 액상 용액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활성 화합물의 현탁액은 적절한 유성 주사 현탁액으로 준비될 수도 있다. 적합한 친유성 용매 또는 비히클에는 참기름과 같은 지방산, 에틸 올레이트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리포좀 등이 있다. 액상 주사 현탁액은 현탁액의 점도를 높이는 물질들, 예를 들어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소르비톨 또는 덱스트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현탁액에 고농축 용액의 제조를 가능케 하도록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성분들이나 안정화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활성 성분은 사용 전에 멸균 무 발열물질의 물과 같은 적절한 비히클와 구성을 위해 분말의 형태일 수도 있다.
화합물들은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나 다른 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좌약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좌약 또는 정체관장과 같은 직장 투여 조성물로 제형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제형들 이외에, 화합물들은 침적체로서 제형될 수 있다. 그와 같이 오랫동안 활성을 나타내는 제형들은 이식(예를 들어 피하에 또는 근육 내에) 또는 근육 내 주입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화합물들은 예를 들어, 적절한 고분자 또는 소수성 물질(예를 들어 허용 가능한 오일 내의 에멀션과 같이), 또 는 이온 교환 수지를 가지고, 또는 예를 들어 저용해성 염과 같은 저용해성 유도체로서 제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소수성 화합물용 제형 담체는 벤질 알코올, 비극성 계면활성제, 수-혼화성 유기 고분자 및 액상으로 이루어진 공용매계이다. 공용매계는 V팔라듐 공용매계일 수도 있다. V팔라듐 공용매계는 무수 에탄올에서 체적으로까지 만들어진, 벤질 알코올 3% w/v, 비극성 계면활성제 Polysorbate 80TM 85 w/v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 65% w/v의 용액이다. V팔라듐 공용매계(V팔라듐:D5W)는 수용액에서 5% 테스트로오즈로 1:1 희석된 V팔라듐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용매계는 소수성 화합물을 잘 용해시키고, 전신 투여시 저독성을 그 자체가 제공한다. 자연적으로, 공용매계의 비율은 그것의 용해도 및 독성 특성들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당히 변화될 수도 있다. 더욱이, 공용매 성분들의 확인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저독성의 비극성 계면활성제가 Polysorbate 8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획 크기는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생체적합성 고분자들이 예를 들어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당들과 다당체들이 덱스트로스를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약제화합물용의 다른 전달계가 채용될 수도 있다. 리포좀과 에멀션은 소수성 약제용 전달 비히클의 공지 예들이다. 통상 더 높은 독성을 희생시킬지라도, 디메틸술폭사이드와 같은 임의의 유기 용매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치료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고상의 소수성 폴리머의 반투과성 매트릭스와 같은 서방계를 사용하여 화합물이 전달될 수도 있다. 다양한 서방 물질들이 계발되 어있고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서방 캡슐은 그것의 화합물 특성에 따라 2 또는 3주에서 100일까지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다. 치료제의 화학적 특성 및 생물학적 안정성에 따라, 단백질 안정을 위한 추가적인 전략이 채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많은 화합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반대이온과의 염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다음의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염산, 황산, 아세트산, 젖산, 타르타르산, 말산, 숙신산 등을 포함한 많은 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염은 그것에 대응하는 무산 또는 염기 형태보다도 수성 또는 양성자 용액에서 더 잘 용해되는 경향이 있다.
(c) 유효량
본 발명에서 사용에 적합한 약제 조성물에는 활성 성분들이 그것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이 포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될 객체의 생존을 연장하거나, 질환의 증상을 방지,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화합물의 량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여기에 제공된 상세한 개시 내용 측면에서 당업자의 능력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화합물에 대한 치료적 유효량은 세포 배양 분석으로부터 초기에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량(dose)은 세포 배양에서 결정된 IC50를 포함하는 순환 농도 범위를 얻기 위하여 동물 모델에서 계산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인간에서의 유용한 선량을 더욱 정확히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들의 독성과 치료 효율성은, 예를 들어 LD50(군집의 50%에 대한 치사량)과 ED50(군집의 50%에 대해 치료 효과를 갖는 선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세포 배양 또는 실험동물에서의 표분 제약 과정들에 의해 산정될 수 있다. 독성과 치료 효과 간의 선량 비가 치료 지수이고, 이것은 LD50과 ED50 간의 비율로서 표현될 수 있다. 높은 치료 지수를 보이는 화합물들이 바람직하다. 이들 세포 배양 분석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인간에 사용하는 선량의 범위를 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화합물들의 투여량(dosage)은 바람직하게는 독성이 없거나, 거의 없는 상태에서 ED50을 포함하는 순환 농도의 범위 내에 있다. 투여량은 채용된 투여 형태와 이용된 투여 루트에 따라 상기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 정확한 산정, 투여 루트 및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개개의 의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ingl et al., 1975, in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Ch. 1p. 1 참조). 통상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조성물의 선량 범위는 환자 체중의 약 0.5 내지 1000mg/kg 일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에게 요구되는 정도에 따라, 한번에 또는 하루 또는 그 이상의 과정으로 일련의 둘 또는 그 이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투여량과 간격은 키나아제 조절 효과 또는 최소 유효 농도(MEC)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활성 부위의 혈장 수준을 제공하도록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MEC는 개개의 화합물에 따라 달라지지만,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분석법을 사용하여 키나아제의 50~90% 억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농도와 같이 생체 외 데 이터로부터 예측될 수도 있다. MEC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투여량은 각자의 특성들과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HPLC 정량 또는 생물학적 정량이 혈장 농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투여 간격은 MEC 값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화합물들은 한번에 10~90%, 바람직하게는 30~9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90%로 되도록 혈정 수준을 상기 MEC 이상으로 유지하는 투여 계획을 사용하여 투여되어야 한다.
국소 투여 또는 선택적 업테이크의 경우에는 약제의 유효 국소 농도가 혈장 농도와 관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투여되는 조성물의 량은 치료될 개체에 따라, 객체의 체중에 따라, 통증의 심각에 따라, 투여 방식 및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오리나무 추출물의 제조
오리나무(Alnus japonic)의 수피((주) 알앤엘바이오) 3.5kg을 95% 에탄올 9L를 가하여 55℃에서 초음파로 3회 처리한 후, 농축하여 에탄올 분획(12B-AJ-5A) 900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12B-AJ-5A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H2Cl2 및 에탄올로 차례로 분획하여 디클로로메탄(CH2Cl2) 분획(12B-AJ-5B, 139g), 에탄올 분획(12B-AJ-5C, 400g) 및 물 분획(12B-AJ-5D)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12B-AJ-5D를 20%, 50%, 75%, 100% 메탄올로 처리하여 12B-AJ-5E, 12B-AJ-5F, 12B-AJ-5G 및 12B-AJ-5H를 각각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오리나무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측정
오리나무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 유래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측정에 사용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2000년 국내에서 분리된 A/chicken/Korea/SNU0028/2000(H9N2) 바이러스를 계태아에서 계대하여 클로닝한 증식성이 탁월한 KBNP-0028(KCTC 10866BP)를 사용하였다.
종란 소편 배양은 10~11일령의 SPF 종란(Sunrise Co., NY)의 난각을 70% 에탄올로 세척한 다음, 계태아와 모든 체액을 제거하였다. 난각의 내면에 부착된 융모 요막이 떨어지지 않도록 가로 약 8mm, 세로 약 8mm의 크기로 잘라 24-웰 배양 용기에 1개씩 넣었다. 배양 배지는 199 배지(GIBCO-BRL, NY, USA)와 F10 배지(GIBCO-BRL, NY, USA)를 1:1로 혼합한 다음,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0.075% 및 겐타마이신(gentamicin) 100㎍/㎖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10~11일령의 SPF 발육란(Sunrise Co., NY)에 KBNP-0028 요막액 원액을 4~10배 희석하여 종란 소편의 융모 요막 면에 100㎕를 첨가한 후, 37℃에서 30분간 배양하여 바이러스를 감염시켰고, 상기 배양 배지 1,000㎕를 첨가한 후, 상기 배양 배지 1,000㎕를 첨가한 후,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유기용매 분획(12B-AJ-5A, 12B-AJ-5B, 12B-AJ-5C, 12B-AJ-5D, 12B-AJ-5E, 12B-AJ-5F, 12B-AJ-5G 및 12B-AJ-5H)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이 첨가된 바이러스 감염액을 37℃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배양액을 채취하여 평판 혈구 응집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배양액 25㎕(각각 15.6, 31.3, 62.5, 125, 250 및 500㎍/㎖ 농도)와 세척 닭 적혈구(0.1%) 25㎕를 24웰 플레이트에 동량 첨가하여 고르게 섞고, 플레이트를 상하좌우로 움직여 2분 이내의 혈구 응집괴 형성 유무로 바이러스의 증식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은 12B-AJ-5B가 가장 높았고, 12B-AJ-5C 및 12B-AJ-5D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표 1).
Figure 112009033274899-pat00004
실시예 3: 오리나무 추출물의 세포 독성 측정
오리나무 추출물의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유기용매 분획(12B-AJ-5A, 12B-AJ-5B, 12B-AJ-5C, 12B-AJ-5D, 12B-AJ-5E, 12B-AJ-5F, 12B-AJ-5G 및 12B-AJ-5H) 12.5, 25, 50 및 100㎍/㎖ 농도에 MTT 용액(MTT 0.5% 수용액)을 9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된 CEF(Chicken embryo fibroblast) 세포의 각 웰에 첨가하여 37℃에서 1~3시간 배양한 후, DMSO 120㎕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한 다음, ELISA 판독기로 562nm 파장에서 판독하였다.
그 결과, 12B-AJ-5A 및 12B-AJ-5B는 상대적으로 높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고, 12B-AJ-5C는 중간 정도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12B-AJ-5D, 12B-AJ-5E, 12B-AJ-5F, 12B-AJ-5G 및 12B-AJ-5H는 상대적으로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9033274899-pat00005
실시예 4: 12B-AJ-5B로부터의 유기용매 분획의 분리
12B-AJ-5B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20:1, 100% 에틸 아세테이트) 농도 구배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70230 mesh)를 수행하여 7개의 분획을 수득하였다 (12B-AJ-20A~12B-AJ-20G, 도 2).
상기 수득한 12B-AJ-20A~12B-AJ-20G(각각 7.8, 15.6, 31.3, 62.5, 125 및 250㎍/㎖ 농도)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활성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에서 가장 활성이 높게 나타난 12B-AJ-5B는 IC50 값이 51.1㎍/㎖인데 비하여, 12B-AJ-20D는 IC50: 38.8㎍/㎖, 12B-AJ-20E는 IC50: 22.8㎍/㎖, 12B-AJ-20F는 IC50: 21.9㎍/㎖ 및 12B-AJ-20G는 IC50: 19.6㎍/㎖로,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09033274899-pat00006
상기 12B-AJ-20A~12B-AJ-20G(각각 15.6, 31.3, 62.5, 125 및 250㎍/㎖ 농도)의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의 방법과 같이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12B-AJ-20A 및 12B-AJ-20B는 상대적으로 높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고, 12B-AJ-20C 및 12B-AJ-20D는 중간 정도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12B-AJ-20E, 12B-AJ-20F 및 12B-AJ-20G는 상대적으로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09033274899-pat00007
또한, 상기 12B-AJ-20A~12B-AJ-20G 분획이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7.8, 10.4, 15.6, 20.9, 31.3, 41.8, 62.5, 83.5, 125, 167 및 250㎍/㎖ 농도인 12B-AJ-20A~12B-AJ-20G 분획에 MTT 용액(MTT 0.5% 수용액) 40㎕를 첨가하여 37℃에서 1~3시간 배양한 뒤, DMSO 120㎕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ELISA 판독기로 562nm 파장에서 결과를 판독하였다.
그 결과, 상기 12B-AJ-20A~12B-AJ-20G 분획을 4.8㎍/㎖ 농도로 처리할 경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5).
Figure 112009033274899-pat00008
따라서, 상기 12B-AJ-20A~12B-AJ-20G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효능 및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종합한 결과, 효능이 독성보다 큰 12B-AJ-20D 및 12B-AJ-20E를 유효 분획으로 결정하였다 (표 6).
Figure 112009033274899-pat00009
실시예 5: 12B-AJ-5B로부터의 분리된 유기용매 분획부터 순수 화합물의 분리·정제
(1) 12B-AJ-20D로부터의 순수 화합물의 분리·정제
상기 12B-AJ-20D를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복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순수 화합물인 12B-AJ-36B(9.0㎎), 12B-AJ-37A(4.0㎎) 및 12B-AJ-37B(5.0㎎)을 수득하였다. 상기 12B-AJ-36B에 대해 1H-NMR을 수행한 결과,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도 4).
(2) 12B-AJ-20E로부터의 순수 화합물의 분리·정제
상기 12B-AJ-20E를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복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순수 화합물인 12B-AJ-25B(20㎎) 및 12B-AJ-26A(25㎎)를 수득하였다. NMR을 수행한 결과, 상기 12B-AJ-25B는 루페올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S.K. Talapatra et al., Phytochemistry, 28:3437, 1989; 표 7 및 도 6), 12B-AJ-26A는 베툴리닉 알데히드(betulinic aldehyde)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ietro Monaco et al., J. Nat. Prod., 47(4):673, 1984; 표 8 및 도 7).
Position 13C (CDCl3,100MHz) 1H (CDCl3,400MHz)
1 38.69
2 27.42
3 78.98 3.11, 1H, br d( J=12.0, 5.2)
4 38.84
5 52.27
6 18.30
7 34.26
8 40.81
9 50.42
10 37.15
11 20.91
12 25.11
13 38.03
14 42.81
15 27.97
16 35.56
17 42.98
18 48.28
19 47.97 2.30, 1H, m
20 150.95
21 29.97
22 39.99
23 27.40 0.88, 3H, s
24 15.35 0.67, 3H, s
25 15.95 0.74, 3H, s
26 16.10 0.94, 3H, s
27 14.53 0.85, 3H, s
28 17.98 0.70, 3H, s
29 109.31 4.59, 1H, brs 4.47, 1H, brs
30 19.29 1.60, 3H, s
Position 13C (CDCl3,100MHz) 1H (CDCl3,400MHz)
1 38.67
2 27.34
3 78.92 3.12, 1H, br d(J=11.2, 4.8)
4 38.81
5 52.25
6 18.22
7 34.26
8 40.76
9 50.40
10 37.12
11 20.69
12 25.47
13 38.64
14 42.51
15 29.20
16 28.76
17 59.30
18 47.98
19 47.48 2.80, 1H, m
20 149.69
21 29.80
22 33.18
23 27.34 0.89, 3H, s
24 15.32 0.75, 3H, s
25 15.85 0.68, 3H, s
26 16.11 0.84, 3H, s
27 14.23 0.90, 3H, s
28 206.72 9.60, 1H, s
29 110.14 4.68, 1H, s 4.56, 1H, s
30 18.97 1.63, 3H, s
한편, 상기 12B-AJ-20E를 도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복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순수 화합물인 12B-AJ-23A(50㎎)를 수득하였다. 상기 12B-AJ-23A에 대해 NMR을 수행한 결과,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화합물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l-Moo Chang, et al., Platago asiatica Swwd, Koe. J. of Pharmacog., 12(1):12, 1981; 표 9 및 도 9).
Position 13C (CDCl3,100MHz) 1H (CDCl3,400MHz)
1 33.08
2 33.52
3 71.41 3.50 (1H, m)
4 39.36
5 140.35
6 121.33 5.32 (1H, brd, J=5.2)
7 31.51
8 31.54
9 49.71
10 36.10
11 20.68
12 41.89
13 41.91
14 56.35
15 23.91
16 27.86
17 55.63
18 11.58 0.65 (3H, s)
19 19.44 0.98 (3H, s)
20 35.75
21 18.62 0.90 (3H, d, J=6.4)
22 39.36
23 25.61
24 45.41
25 29.05
26 19.01 0.79 (3H, d, J=6.4)
27 18.38 0.80 (3H, d, J=6.8)
28 22.90
29 11.46 0.84 (3H, d, J=7.2)
실시예 5: 분리·정제된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측정
분리·정제된 화합물 12B-AJ-26A의 농도에 따른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저해활성 및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표 10 및 표 11).
그 결과, 하기 표 10과 같이 12B-AJ-26A는 3.13ug/mL 농도 처리한 경우에도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다 .
오리나무 추출물 유래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Sample ID 응집괴가 형성된 웰수(6 웰중)
100(㎍/mL) 50(㎍/mL) 25(㎍/mL) 12.5(㎍/mL) 6.25(㎍/mL) 3.13(㎍/mL)
12B-AJ-26A 0  0  1  1  3  4
오리나무 추출물 유래 화합물의 세포독성분석
분획명 농도(㎍/mL)
6.25 12.5 25 50 100 200
12B-AJ-26A 0.352 0.326 0.324 0.325 0.434 0.421
  0.425±0.014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오리나무의 수피로부터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유기용매 분획(12B-AJ-5A, 12B-AJ-5B, 12B-AJ-5C 및 12B-AJ-5D)을 수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2B-AJ-5B 분획으로부터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2B-AJ-20A~12B-AJ-20G 분획을 수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2B-AJ-5D 분획으로부터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2B-AJ-36B, 12B-AJ-37A 및 12B-AJ-37B 분획을 수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2B-AJ-36B 분획에 대해 NMR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12B-AJ-20E 분획으로부터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2B-AJ-25B 및 12B-AJ-26A 분획을 수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12B-AJ-25B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12B-AJ-26A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12B-AJ-20E 분획으로부터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2B-AJ-23A 분획을 수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12B-AJ-23A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712009006472570-pat00020
    .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오리나무(Alnus japonica) 유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090048520A 2008-06-05 2009-06-02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KR100941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841 2008-06-05
KR20080052841 2008-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070A KR20090127070A (ko) 2009-12-09
KR100941595B1 true KR100941595B1 (ko) 2010-02-11

Family

ID=4139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520A KR100941595B1 (ko) 2008-06-05 2009-06-02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98261A1 (ko)
JP (1) JP2011522038A (ko)
KR (1) KR100941595B1 (ko)
CN (1) CN102112132B (ko)
WO (1) WO20091482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368547T1 (sl) 2010-03-26 2013-01-31 Cesa Alliance S.A. Protivirusni pripravki, ki vsebujejo geraniol in karvon
TWI504402B (zh) * 2012-08-22 2015-10-21 Schweitzer Biotech Company Ltd 大戟科植物活性物質及其應用
CN103623032B (zh) * 2012-08-22 2016-12-07 福又达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大戟科植物(Euphorbiaceae)活性物质及其制备方法与应用
RU2519133C1 (ru) * 2012-11-09 2014-06-10 Леонид Леонидович Клопотенко Мазь, содержащая инкапсулированную тритерпеновую кислоту или ее производные
RU2516952C1 (ru) * 2012-11-09 2014-05-20 Леонид Леонидович Клопотенк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инкапсулированную тритерпеновую кислоту или ее производные
CN103694375B (zh) * 2013-12-13 2016-10-05 北京大学 一种三萜-环糊精共价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265684A (zh) * 2016-08-11 2017-01-04 江苏康缘药业股份有限公司 乙酰羽扇豆醇酯的应用
KR102071668B1 (ko) * 2018-04-04 2020-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640964B (zh) * 2018-06-21 2020-11-17 昆明理工大学 一种三萜-氨基酸衍生物、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48652A (zh) * 2022-05-31 2022-08-05 澳门大学 白桦脂醛在制备用于预防或治疗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1873A2 (en) 2006-03-07 2007-09-13 Sndv Sprl Betulonic acid esters and betulinic acid polyalkylene-glycol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 and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076A (en) * 1988-06-24 1992-02-04 Stephen Herman Antivi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terpene ozonide
US5260342A (en) * 1988-06-24 1993-11-09 Stephen Herman Method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parenterally
US4983637A (en) * 1988-06-24 1991-01-08 Stephen Herman Method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of HIV
US5270344A (en) * 1988-06-24 1993-12-14 Stephen Herman Method of treating a systemic disorder using trioxolane and diperoxide compounds
US5190979A (en) * 1988-06-24 1993-03-02 Stephen Herman Ozonides of terpenes and their medical uses
US5126376A (en) * 1988-06-24 1992-06-30 Stephen Herman Method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using topical administration
US5364879A (en) * 1988-06-24 1994-11-15 Cliveden Ltd. Medical uses of trioxolane and diperoxide compounds
US5190977A (en) * 1988-06-24 1993-03-02 Stephen Herman Antiviral compositions
FR2683531B1 (fr) * 1991-11-13 1993-12-31 Rhone Poulenc Rorer Sa Nouveaux derives du lupane, leur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ATE222107T1 (de) * 1997-02-18 2002-08-15 Rooperol Na Nv Verwendung einer kombination von beta-sitosterol und beta-sitosterol-glukosid zur herstellung eines medikamentes zur behandlung von hiv- infektion
NZ506623A (en) * 1998-03-02 2002-10-25 Univ North Carolina Acylated betulin and dihydrobetulin derivatives, preparation thereof and use in treatment of retroviral infections
US6232481B1 (en) * 2000-01-11 2001-05-1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for manufacturing betulinic acid
EP1594885B8 (de) * 2003-02-11 2009-03-25 Novelix Pharmaceuticals, Inc. Medikament zur wachstumsinhibierung von tumoren
JP2007506761A (ja) * 2003-09-26 2007-03-22 パナコ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新規なトリテルペン誘導体、その製法および使用
US6967430B2 (en) * 2003-10-01 2005-11-22 Piezomotor Uppsala Ab Flat resonating electromechanical drive unit
US20060252733A1 (en) * 2005-04-07 2006-11-09 Novelix Pharmaceuticals, Inc. Betulin, betulin derivatives, betulinic acid and betulinic acid derivatives as novel therapeutics in the treatment of disease of lipid and/or glucose metabolism
US20070148262A1 (en) * 2005-12-27 2007-06-28 Ra Jeong C Bactericidal and virucid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products
KR100721703B1 (ko) * 2006-06-29 2007-05-25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736159B1 (ko) * 2006-06-29 2007-07-06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769050B1 (ko) * 2007-02-06 2007-10-22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923884B1 (ko) * 2007-12-11 2009-10-28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이 높은 오리나무 수피 또는줄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1873A2 (en) 2006-03-07 2007-09-13 Sndv Sprl Betulonic acid esters and betulinic acid polyalkylene-glycol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 and cance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Nat. Prod. Rep*
논문2:Journal of Applied Biomedicine
논문3:J. Microbiol. Biotechn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2132B (zh) 2012-08-29
US20110098261A1 (en) 2011-04-28
WO2009148279A3 (ko) 2010-03-11
JP2011522038A (ja) 2011-07-28
WO2009148279A9 (ko) 2010-11-04
WO2009148279A2 (ko) 2009-12-10
KR20090127070A (ko) 2009-12-09
CN102112132A (zh)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595B1 (ko)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KR101317318B1 (ko) 신종인플루엔자, 조류인플루엔자, 일반 및 독감감기, sars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021830B1 (ko) 크레이스토카릭스 오페르쿠라투스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50445B1 (ko) 감초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0923884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이 높은 오리나무 수피 또는줄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50428B1 (ko)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디아릴헵타노이드계 화합물
US20090142418A1 (en) Antiviral composition comprising alnus japonica extracts
KR101976528B1 (ko)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31249B1 (ko) 신규 디아릴 헵타노이드계 화합물 및 그 용도
CN108904481B (zh) 邻羟基查尔酮类似物在制备抗氧化药物中的应用
KR100930480B1 (ko) 신규 디아릴 헵타노이드계 화합물 및 그 용도
Yang et al. Natural product honokiol exhibits antiviral effects against Micropterus salmoides rhabdovirus (MSRV) both in vitro and in vivo
CN112028952B (zh) 吲哚糖苷类化合物、其制备及抗流感病毒的用途
KR201601436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23906A (ko) 선학초(Agrimonia pilosa) 추출물과 오배자(Galla rhois)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39782A (ko) 선학초(Agrimonia pilosa) 추출물과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76206B1 (ko) 수수 천연색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박테리아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20150099203A (ko) 차가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분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37083A (ko) 담팔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들 유래 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