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348B1 -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348B1
KR100939348B1 KR1020090035247A KR20090035247A KR100939348B1 KR 100939348 B1 KR100939348 B1 KR 100939348B1 KR 1020090035247 A KR1020090035247 A KR 1020090035247A KR 20090035247 A KR20090035247 A KR 20090035247A KR 100939348 B1 KR100939348 B1 KR 10093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bbin
unit
wind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성
김영수
임동순
방은혁
Original Assignee
(주)이엔비엔지니어링
방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엔비엔지니어링, 방은혁 filed Critical (주)이엔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3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07B3/08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 D07B3/1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with provision for imparting more than one complete twist to the ropes or cables for each revolution of the take-up reel or of the guide membe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07B7/10Devices for taking-up or winding the finished rop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07Details; Auxiliar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301/00Controls
    • D07B2301/25System input signals, e.g. set points
    • D07B2301/258Tensile st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위스팅된 와이어의 보빈 권취시 균일하고 안정된 진행을 통해 와이어의 물리적 특성이 이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부(100);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고 지지부(1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동력부(P)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2회전대(210, 220)와, 양단이 각각 제1,2회전대(210, 220)에 고정되고 제2회전대(220)로 인입된 다수의 철사가 꼬여 이루어진 와이어(W)를 제1회전대(210)로 안내하는 안내대(230)를 구비한 회전부(200); 동력부(P)의 동력을 받으며 지지부(100)에 탑재되는 연동대(310)와, 연동대(310)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회전부(2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강제로 권취하고 이를 재 권출하는 안내휠과, 안내휠로부터 권출된 와이어(W)의 인출방향을 조정하는 인출조정휠(350)을 구비한 권취동력부(300); 권취동력부(3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수용해서 보빈(B)의 폭을 따라 왕복이동시키고 하기 보빈고정축(520)과 연동해 구동하는 이동자(420)를 구비하면서 지지부(100)에 탑재되는 권취위치조정부(400); 및 보빈동력모터(510)와, 와이어(W)를 권취하는 보빈(B)을 탈부착가능하게 고정하면서 보빈동력모터(510)의 동력을 받아 보빈(B)을 회전시키는 보빈고정축(520)을 구비한 보빈구동부(500)를 포함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동력부(300)는, 지지부(100)에 고정되는 지지대(361);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지지대(36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고정대(363a, 364a)와, 제1,2고정대(363a, 364a)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안내휠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W)를 무한궤도 형태로 권취하고 이를 다시 인출조정휠(350)로 권출하는 제1,2조정휠(363b, 364b)를 구비한 제1,2조정체(363, 364); 제1,2고정대(363a, 364a)를 상호 탄발지지하는 탄발체(365)를 구비한 장력조정기(36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Twisting machine for the wire's tension at a constant}
본 발명은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위스팅된 와이어의 보빈 권취를 균일하고 안정하게 진행해서 와이어의 물리적 특성이 이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는 건설현장이나 공장 내에서 물품들을 묶어 결속하는데 이용됨은 물론, 각종 랜 케이블 또는 데이터 케이블의 지지 및 통신매개(이하 '통신케이블'로 함)로도 널리 활용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는 충분한 결속력 유지는 물론, 통신케이블로의 활용시에는 와이어가 항시 일정한 두께와 길이 및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와이어는 다수 개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을 꼬아 엮음으로서, 더욱 향상된 강도와 치밀성을 얻을 수 있다. 즉, 두 개 이상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을 서로 꼬아 엮은 와이어는 동일 양의 한 개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로 만든 와이어 보다 높은 강도와 내구력을 갖는 것이다.
이로 인해 와이어는 다수의 가는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을 꼬아 엮는 방식으 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와이어의 대량생산을 위해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가 이용된다.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는 개별적으로 연속 공급되는 다수 개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을 꼬면서 별도의 보빈에 권취시키는 장치로,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의 꼬임과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의 꼬임으로 제작된 와이어의 권취를 비교적 고속으로 진행하면서 와이어의 대량생산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종래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종래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를 설명한다.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는 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지지부(100)와, 인입되는 다수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을 서로 꼬아 엮도록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부(200)와, 와이어(W)의 이동을 강제하는 권취동력부(300)와, 와이어(W)의 인출위치를 조정하는 권취위치조정부(400)와, 와이어(W)가 권취되는 보빈(B)을 장착 및 구동시키는 보빈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서로 이격하게 입설 배치되는 한 쌍의 제1,2지지프레임(110, 120)과, 권취동력부(300), 권취위치조정부(400) 및 보빈구동부(500)를 탑재하는 수용프레임(130)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200)는 제1,2지지프레임(110, 1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회전대(210, 220)와, 양단이 제1,2회전대(210, 220)에 고정되며 인입된 와 이어(W)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대(230)를 구비한다. 결국, 회전부(200)는 양단이 제1,2지지프레임(110, 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안내대(230)가 제1,2회전대(210, 22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편, 다수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이 인입되는 제2회전대(220)는 인입된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꼬임이 일어나는 안내홈(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은 고정된 위치로부터 인출되어서 안내홈(222)의 일단으로 집중 인입된 후,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의 지속적인 이동으로 인해 안내홈(222)의 타단으로 인출되면 곧바로 안내대(230)에 재 인입되므로, 상기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은 안내대(230)의 회전과 더불어 회전하게 된다. 결국, 고정된 방향에서 안내홈(222)으로 인입된 다수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은 안내대(230)를 따라 회전하면서, 안내홈(222)에서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들 간의 꼬임이 발생하는 것이다.
참고로, 제1,2회전대(210, 220)는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이 꼬여 제작된 와이어(W)의 인출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므로, 인출방향 전환시 와이어(W)의 원활한 이동성을 담보하기 위한 제1,2가이드(211, 2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홈(222)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는 안내대(230)로의 인입을 위해 인출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므로, 안내홈(222)의 개구 위치에 휠 형상의 회전가능한 제1가이드(221)를 배치해서 와이어(W)의 방향전환 시에도 원활한 이동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안내대(23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는 권취동력부(300)로의 인입을 위해 인출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므로, 안내대(230)의 말단 위치에 휠 형상의 회전가능한 제2가이 드(211)를 배치해서 와이어(W)의 방향전환 시에도 원활한 이동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안내대(230)를 따라 와이어(W)가 탈선없이 원활히 이동하도록, 안내대(230)를 따라 다수 개의 가이드편(231)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편(231)은 와이어(W)의 이동을 위한 휠 형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회전부(200)의 회전은 별도의 동력부(P)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루어진다. 동력부(P)는 통상적인 전기모터일 수도 있고, 석유 엔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동력부(P)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은 제1,2지지프레임(110, 1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제1회전대(210) 또는 제2회전대(220) 중 한 곳 이상에 전달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동력부(P)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주동휠(101)는 제1종동휠(102)과 연동한다. 이때, 연동 매개는 기어 또는 벨트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로 하였다.
제1종동휠(102)은 회전축(104)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주동휠(101)의 회전력을 회전축(104)에 전달한다. 한편, 제1종동휠(102)의 회전력은 제1회전대(210)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2종동휠(103)로 전달된다. 물론, 제1,2종동휠(102, 103)의 연동 매개는 기어 또는 벨트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로 하였다.
회전축(104)은 제3종동휠(105)과 동축으로 연결되어서, 제1종동휠(102)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받는다. 한편, 제3종동휠(105)은 제2회전대(220)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4종동휠(106)로 전달된다. 결국, 동력부(P)로부터 공급된 회전력은 제 1,2회전대(210, 220)에 전달되어서, 회전부(200)의 안정된 회전을 도모한다. 물론, 동력부(P)는 제1회전대(210) 또는 제2회전대(220) 중 한 곳에만 직접적인 회전력을 전달해서 회전부(200)가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권취동력부(300)는 회전부(200)로 인입되는 와이어(W)의 이동성을 강제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부(200)의 회전으로 꼬인 와이어(W)를 권취하면서 와이어(W)가 회전부(200)를 따라 원활히 이동하도록 강제한다.
이를 위해 권취동력부(300)는 수용프레임(130)에 고정 탑재되고, 회전부(200)와 연동하는 연동대(310)와, 연동대(310)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와이어(W)를 강제로 권취하는 제1,2안내휠(320, 330)과, 제1,2안내휠(320, 33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의 인출방향을 조정하는 제3가이드(340) 및 인출조정휠(350)을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동력부(300)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로 인입되는 다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 및 와이어(W)의 이동을 위한 것으로, 강제성을 위해 회전력이 발생해야 한다. 이때의 회전력은 별도의 동력장치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나, 권취동력부(300)의 회전력 및 강제성은 회전부(200)의 회전속도와 회전상태에 연동해야 한다.
이를 위한 연동대(310)는 제1회전대(210)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1활차(311)와, 제1회전대(210)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제1활차(311)에 연동하는 제2활차(312)와, 제2활차(312)에 연동하는 제3활차(313)와, 제3활차(313)에 연동하는 제4활차(3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활차(311, 312)의 연동은 벨트가 매개하고, 제2,3활차(312, 313)의 연동은 베벨기어와 같이 회전축이 상호 직각을 이루는 기어가 매개하며, 제3,4활차(313, 314)는 나란한 회전축을 이루는 일반 기어가 매개하였다.
물론, 연동대(310)는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회전부(200)와 연동하도록 된 통상적인 연동구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에서도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를 설명하면서 재 언급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제1,2안내휠(320, 330)은 제4활차(314)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제2가이드(211)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강제로 당겨 권취한다.
제1,2안내휠(320, 330)은 와이어(W) 곳곳에 고른 장력을 가하면서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둘레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와이어(W)는 상기 나선형 홈을 따라 순차로 이동하면서 제1,2안내휠(320, 330)로부터 권출된다.
한편, 제1,2안내휠(320, 330)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서, 제2가이드(211)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무한궤도 형태로 귄취해 이동시킨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가이드(211)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는 제1,2안내휠(320, 330) 사이로 인입된 후 제1안내휠(320)에 우선 권취되고, 다시 제1안내휠(320)로부터 인출되어 제2안내휠(330)로 권취되며, 다시 제2안내휠(330)로부터 인출되어 제1안내휠(320)로 권취된다. 이러한 과정의 회수는 제1,2안내휠(320, 330)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의 개수에 상응해 이루어질 것이다.
한편, 와이어(W)는 권취동력부(300)에 의해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에서 이동 성을 가짐은 물론, 꼬인 상태를 일정한 장력에서 균일하게 정돈해서 최종적으로 완성된 와이어(W)의 물리적인 특성을 최적화시킨다. 참고로, 제1,2안내휠(320, 330)은 와이어(W)의 이동을 강제하면서 물리적인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충분한 나선형 홈을 갖는다면, 하나의 안내휠로도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제1,2안내휠(320, 330)을 '안내휠'로 통칭한다.
계속해서, 제1,2안내휠(320, 33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는 보빈(B)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3가이드(340) 및 인출조정휠(350)을 통해 인출방향이 전환된다. 여기서, 제3가이드(340)는 와이어(W)의 수평위치에 대한 방향전환을 안내하고, 인출조정휠(350)은 와이어(W)의 인출 높낮이에 대한 방향전환을 안내한다. 따라서, 보빈(B)의 위치에 따라 제3가이드(340) 및 인출조정휠(350)의 위치와 적용 여부는 변경될 수 있고, 제3가이드(340) 및 인출조정휠(350) 이외에 보조가이드의 추가가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권취위치조정부(400)는 권취동력부(3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가 보빈(B)으로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이동방향을 조정하는 것이다.
보빈(B)은 와이어(W)의 보관을 위해 상당한 폭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으로, 와이어(W)의 권취가 일지점으로 집중되면 효율적인 보관이 곤란하게 된다. 즉, 와이어(W)는 보빈(B)의 폭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권취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고, 이를 통해 보빈(B) 전체에 고른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권취위치조정부(400)는 수용프레임(13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바아 형상의 롤러(410)와, 롤러(41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자(420)와, 권취 동력부(3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수용해 안내하는 제1,2인출휠(430, 440)을 포함한다.
롤러(410)는 이동자(420)의 좌우 왕복운동을 위해 회전하는 것으로, 그 회전속도에 따라 이동자(420)의 직선 이동속도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외에도, 롤러(410)를 대신해 무한궤도 형태의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무한궤도에 이동자(420)가 고정되어서, 무한궤도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자(420)가 이동해 왕복운동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롤러(410) 또는 무한궤도 형태의 장치와 이동자(420)의 연동구조는 주지,관용기술이므로, 롤러(410) 또는 무한궤도 형태의 장치와 이동자(420)에 대한 세부 구조 및 구체적인 연동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이동자(420)의 직선 이동속도는 보빈(B)의 회전속도에 상응해야 하므로, 롤러(410) 또는 무한궤도 형태의 장치는 보빈구동부(5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보빈구동부(500)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한편, 제1인출휠(430)은 권취동력부(300)의 인출조정휠(35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좌우 이동하면서 원활히 수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동자(420)에 고정되어 이동자(420)의 이동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1인출휠(430)은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자(420)가 롤러(410)의 일측에 편중되더라도 와이어(W)가 간섭없이 수용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때 제1인출휠(430)이 인출조정휠(350)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와이어(W)의 원활한 수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보빈구동부(500)는 보빈(B)을 고정하고 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수용 프레임(130)에 위치하는 보빈동력모터(510)와, 수용프레임(130)에 위치하는 보빈고정축(520)을 구비한다.
보빈동력모터(510)는 보빈고정축(520)에 고정된 보빈(B)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통상적인 전기모터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빈고정축(520)은 수용프레임(13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보빈동력모터(510)와 연동할 것인데, 통상적으로 벨트 등을 매개로 연동할 것이다. 한편, 보빈고정축(520)은 권취위치조정부(400)의 롤러(410)와 연동한다. 즉, 보빈고정축(520)이 보빈동력모터(510)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 보빈고정축(520)의 회전력은 롤러(410)로 전달되어서 롤러(41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보빈(B)에 권취되는 와이어(W)의 정도에 따라 롤러(410)의 회전속도가 조정되면서 보빈(B) 전체에 걸친 와이어(W)의 고른 분포가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는 다양한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인입되는 다수 개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을 회전부(200)의 회전을 통해 꼬아 엮고, 이렇게 꼬인 와이어(W)를 권취동력부(300)에서 균일화시킨 후 보빈(B)에 권취하는 것으로, 일련의 과정이 순차로 신속히 진행된다.
그런데, 회전부(200) 및 권취동력부(300)는 동력부(P)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고, 보빈구동부(500)는 보빈동력모터(51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으면서, 각 부(200, 300, 500)에 대한 와이어(W)의 처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즉, 권취동력부(3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보빈구동부(500)가 제때 수용하지 못하면서 와이어(W)가 받는 장력이 약화될 수 있고, 권취동력부(300)로부터 인 출되는 와이어(W)가 보빈구동부(500)의 수용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와이어(W)가 받는 장력이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요인으로 인한 와이어(W)의 장력변화는 와이어(W)의 물리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종래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로부터 제작된 와이어(W)는 와이어(W)를 이루는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들 간의 꼬임 간격이나 강도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 개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을 꼬아 엮은 후 이를 보빈에 권취할 시에, 와이어가 받는 장력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와이어의 물리적인 특성이 균일하면서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통신케이블의 권취 시에는 통신케이블에 포함된 동선이 장력의 불규칙한 변화로 인해 동선의 직경, 길이 또는 밀도 등이 부분적으로 불균일해지면서 동선을 통과하는 전기신호의 흐름이 일정치 못하게 되고, 통신케이블을 통하는 전기신호 자체가 훼손 및 변형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부;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고 지지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동력부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2회전대와, 양단이 각각 제1,2회전대에 고정되고 제2회전대로 인입된 다수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이 꼬여 이루어진 와이어를 제1회전대로 안내하는 안내대를 구비한 회전부; 동력부의 동력을 받으며 지지부에 탑재되는 연동대와, 연동대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회전부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를 강제로 권취하고 이를 재 권출하는 안내휠과, 안내휠로부터 권출된 와이어의 인출방향을 조정하는 인출조정휠을 구비한 권취동력부; 권취동력부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를 수용해서 보빈의 폭을 따라 왕복이동시키고 하기 보빈고정축과 연동해 구동하 는 이동자를 구비하면서 지지부에 탑재되는 권취위치조정부; 및 보빈동력모터와, 와이어를 권취하는 보빈을 탈부착가능하게 고정하면서 보빈동력모터의 동력을 받아 보빈을 회전시키는 보빈고정축을 구비한 보빈구동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동력부는, 지지부에 고정되는 지지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지지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고정대와, 제1,2고정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안내휠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를 무한궤도 형태로 권취하고 이를 다시 인출조정휠로 권출하는 제1,2조정휠를 구비한 제1,2조정체; 제1,2고정대를 상호 탄발지지하는 탄발체를 구비한 장력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권취동력부에 장력조정기가 설치되어서 권취동력부와 보빈구동부 간의 구동속도 차이에 상관없이 와이어가 항시 일정한 장력을 받도록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수 개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이 꼬여 이루어진 와이어가 일정한 꼬임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 동선이 초기 규격의 변형없이 항상성을 보장받으면서 보빈에 권취 및 보관될 수 있어서, 최상의 물리적 성질을 갖는 와이어를 신속하면서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인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는 전술한 지지부(100), 회전부(200'), 권취동력부(300'), 권취위치조정부(400) 및 보빈구동부(500)를 포함하고, 회전부(200')는 수평대(240) 및 위치감지기(250)를 더 포함하며, 권취동력부(300')는 장력조정기(360)를 더 포함하는 한편, 위치감지기(250)의 신호를 받아 동력부(P)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의 회전부(200)는 하나의 안내대(230)를 편중된 위치에 구비한다. 따라서, 회전부(200)의 회전시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되면서 일정한 회전상태를 보이지 못하고 진동을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는 제1,2회전대(210, 220)를 중심으로 안내대(230)에 대향하는 수평대(240)를 보강해서, 회전부(200')의 회전상태가 일정해지도록 한다.
한편, 회전부(200')는 위치감지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기(250)는 지지부(100)에 고정되는 센서(251)와, 센서(251)에 의해 인식되고 수평대(240)에 고정 배치되는 인식체(252)로 된다. 즉, 지지부(100)에 고정된 센서(251)는 인식체(252)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회전부(200')의 현 회전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위치감지기(250)의 구비로 인해, 회전부(200')의 정지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회전하는 회전부(200')를 정지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동력부(P)의 구동을 정지시키면, 제어부(600)는 위치감지기(250)를 확인해서 센서(251) 가 인식체(252)를 정확히 감지할 시에 동력부(P)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측면에서 권취동력부(300'), 권취위치조정부(400) 및 보빈구동부(500) 등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회전부(200')의 정지시 안내대(230)와 수평대(240)가 상하로 위치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위치감지기(250)의 센서(251)와 인식체(252)가 각각 지지부(100)와 수평대(240)에 배치되도록 하였지만, 위치감지기(250)는 회전부(200')의 회전 상태를 작업자의 지각이 아닌 전자적으로 확실히 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권취동력부(300')는 장력조정기(360)를 더 포함한다.
장력조정기(360)는 권취동력부(300')를 통과하는 와이어(W)가 권취동력부(300')의 인출정도와 보빈구동부(500)의 권취정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장력을 받도록 하는 것으로, 제1,2안내휠(320, 330)을 거치면서 안정된 와이어(W)가 원활히 인출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기의 정면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실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기(360)는 고정대(362)를 매개로 지지부(100)에 고정되는 지지대(361)와, 지지대(36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 조정체(363, 364)와, 제1,2조정체(363, 364)를 상호 탄발지지하는 탄발체(3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2조정체(363, 364)는 제1,2안내휠(320, 33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제1,2안내휠(320, 330)에서와 같이 무한궤도 형태로 권취 및 권출하는 것으로, 지지대(3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2조정체(363, 364)의 이격거리가 조정된다. 이때, 제1,2조정체(363, 364) 사이에는 탄발체(365)가 배치되어서, 와이어(W)가 받는 장력변화에 따라 제1,2조정체(363, 364)가 자발적으로 직선이동하도록 된다.
한편, 제1,2조정체(363, 364)는 지지대(36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고정대(363a, 364a)와, 제1,2고정대(363a, 364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둘레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제1,2조정휠(363b, 364b)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1,2안내휠(320, 330)의 상단에 제1,2조정휠(363b, 364b)이 위치하도록 배치해서, 제1,2안내휠(320, 330)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된 와이어(W)를 제1,2조정휠(363b, 364b)이 그대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1,2조정휠(363b, 364b)은 제1,2안내휠(320, 330)의 하단에도 배치될 수 있는바, 제1,2조정휠(363b, 364b)을 구비하는 제1,2조정체(363, 364)의 설치위치가 본 실시예에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2조정체(363, 364)가 지지대(361)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였고, 지지대(361)의 양단을 고정하는 각 고정대(362)와 제1,2조정체(363, 364) 사이에 탄발체(365)를 배치해서 제1,2조정체(363, 364)가 상호 탄발하면서 이동하도록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제1조정체(363)는 이동성이 없도록 고정하고 제2조정체(364) 만이 지지대(361)를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실시예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실시예에서 개시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조정체(363, 364)는 탄발체(365)에 의해 상호 탄발되어서 지지대(361)의 일지점에 안정하게 고정된다. 결국, 제1,2안내휠(320, 33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는 제1,2조정체(363, 364)의 제1,2조정휠(363b, 364b)에 권취된 후, 제3가이드(340) 및 인출조정휠(350)로 인출된다.
그런데, 보빈(B)의 권취속도가 권취동력부(300')의 권출속도보다 빠를 경우, 와이어(W)는 권취동력부(300')와 보빈구동부(500)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큰 장력을 받는다. 이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조정체(363, 364)는 와이어(W)의 장력에 의해 탄발체(365)의 탄발력을 극복하고, 이를 통해 제1,2조정체(363, 364)의 이격거리는 좁혀진다. 물론, 이렇게 좁혀진 이격거리 만큼의 길이가 와이어(W)의 인출로 이어지므로, 보빈구동부(500)가 요구하는 와이어(W)의 부족량을 임시로 충당할 수 있다.
이후, 권취동력부(3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의 양이 안정되면, 탄발체(365)의 탄발력은 제1,2조정체(363, 364)를 상호 이격시킬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기의 정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실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기(360')는 제1,2조정체(363, 364)의 이동상태를 확 인해서 간접적으로 와이어(W)의 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감지기(3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조정체(363 364) 중 제2조정체(364) 만이 지지대(361)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므로, 와이어(W)의 장력이 증가할 경우 제2조정체(364)는 제1조정체(363)에 인접하게 이동한다.
한편, 장력감지기(366)는 회전량 및 회전수 등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366a)와, 회전감지센서(366a)에 대향하게 위치하는 종동활차(366b)와, 제2조정체(364)에 고정되고 양단이 각각 회전감지센서(366a) 및 종동활차(366b)에 권취되어서 무한궤도 형태로 동작하는 이동벨트(366c)를 구비한다. 결국, 제2조정체(364)가 장력변화로 인해 지지대(361)를 따라 이동할 경우 제2조정체(364)에 고정된 이동벨트(366c)는 더불어 이동하고, 종동활차(366b)에 연동하는 회전감지센서(366a)는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된 이동벨트(366c)의 이동을 따라 회전한다. 물론, 회전감지센서(366a)는 회전방향 및 회전상태를 감지해서 제2조정체(364)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회전감지센서(366a)는 제2조정체(364)의 이동 정도를 확인해서 와이어(W)가 받는 장력을 간접 확인할 수 있고,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장력을 감지할 경우 회전감지센서(366a)는 제어부(600)를 통해 보빈구동부(500)의 회전속도를 조정해서 와이어(W)가 받는 장력을 약화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기(360')는 작업자가 제2조정체(364)의 이동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기(36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기(367)는, 지지대(361)에 나란히 배치되는 안내봉(367a)과, 제2조정체(364)에 고정되고 안내봉(367a)을 따라 이동하도록 고정되는 표지(367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지(367b)는 시각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색상과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봉(367a)에는 다수의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표시기(367)는 작업자가 표지(367b)의 위치 확인을 통해 제2조정체(364)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와이어(W)가 받는 장력을 유추할 수 있으므로, 유사시 작업자에 의한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장력조정기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기(360")는 제1,2조정체(363, 364) 간에 배치된 탄발체(365)의 압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기(3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감지기(368)는 제1,2조정체(363, 364)의 간격이 좁아질 때 탄발체(365)가 받는 압력을 감지해서 제1,2조정체(363, 364)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와이어(W)가 받는 압력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W)가 장력을 받아 제1,2조정체(363, 364)의 간격이 좁혀지고, 이를 통해 장력감지기(368)가 일정 압 이상을 감지할 경우 제어부(600)를 통해 보빈구동부(500)의 회전속도를 조정해서 와이어(W)가 받는 장력을 약화시킨다. 물론, 와이어(W)의 장력이 완화되면 탄발체(365)의 탄발력에 의해 제1,2조정체(363, 364)가 벌어지면서 도 6(a)와 같은 안정된 상태로 복귀할 것이다.
한편, 보빈구동부(500)의 권취속도가 권취동력부(300)의 권출속도를 따르지 못할 경우, 와이어(W)가 받는 장력은 과도하게 낮아질 수 있다. 결국, 탄발체(365)에 의해 제1,2조정체(363, 364) 간 간격은 충분히 멀어지고, 이는 장력감지기(368)가 감지하므로, 제어부(600)를 통해 보빈구동부(500)의 회전속도를 조정해서 와이어(W)가 받는 장력을 강화시킬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승강부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는 보빈구동부(500)에 탈착되는 보빈(B)의 이동을 위한 보빈승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B)은 회전부(200')의 구동시 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지상으로부터 이격된 보빈고정축(520)에 고정된다. 즉, 작업자가 보빈(B)을 보빈고정축(520)으로부터 탈착하기 위해서는 보빈(B)의 승하강 이동이 불가피한 것이다.
그런데, 와이어(W)를 충분히 권취한 보빈(B)은 그 하중이 작지 않으므로, 보빈(B)을 인력으로 탈부착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보빈승강부(700)는 보빈(B)의 승하강을 기계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입설되는 승강지지대(710)와, 보빈(B)의 승하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동력모터(720)와, 승강동력모터(720)의 동력을 승강연동대(740)를 매개로 전달 받아 승강지지대(710)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대(730)와, 승강대(730)에 인출 고정되고 보빈(B)을 안착 수용하는 안착대(75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안착대(750)는 작업자가 보빈(B)을 안착대(750)로부터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안착대(750)를 수용프레임(130)의 안쪽으로부터 끌어내거나 수용프레임(130)의 안쪽으로 넣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안착대(750)는 승강대(730)에 회동가능하게 결속될 것이다.
한편, 승강연동대(74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연동대(740)가 승강지지대(7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크류로 되어서, 승강동력모터(720)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되고, 이에 상응해서 승강대(730)는 스크류 형태의 승강연동대(740)와 맞물리는 너트 형태로 되어서, 승강연동대(7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었다.
이외에도, 승강연동대(740)는 상단이 승강동력모터(720)에 권취되고 타단이 승강대(730)에 고정되는 체인일 수 있다. 즉, 승강동력모터(720)의 권취 및 권출에 따라 체인 형태의 승강연동대(74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승강대(730)의 상하 이동을 매개하는 것이다.
결국, 작업자는 수용프레임(130)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는 안착대(750)를 끌어내어 보빈(B)을 안착하고, 보빈(B)이 안착된 안착대(750)를 다시 수용프레임(130)의 안쪽으로 넣어 위치시키며, 보빈승강부(700)를 구동시켜서 보빈고정축(520)의 높이까지 보빈(B)을 상방 이동시킨 후 작업을 통해 보빈고정축(520)에 보빈(B)을 고정시킨다.
이후, 보빈(B)이 와이어(W)를 충분히 권취하면,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작업을 진행해서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로부터 와이어(W)를 권취한 보빈(B)을 분리한다.
도 1은 종래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기의 정면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실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기의 정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실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장력조정기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승강부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계도면이다.

Claims (7)

  1. 지지부(100);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고 지지부(1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동력부(P)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2회전대(210, 220)와, 양단이 각각 제1,2회전대(210, 220)에 고정되고 제2회전대(220)로 인입된 다수의 철사 또는 통신케이블이 꼬여 이루어진 와이어(W)를 제1회전대(210)로 안내하는 안내대(230)를 구비한 회전부(200); 동력부(P)의 동력을 받으며 지지부(100)에 탑재되는 연동대(310)와, 연동대(310)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회전부(2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강제로 권취하고 이를 재 권출하는 안내휠과, 안내휠로부터 권출된 와이어(W)의 인출방향을 조정하는 인출조정휠(350)을 구비한 권취동력부(300); 권취동력부(3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수용해서 보빈(B)의 폭을 따라 왕복이동시키고 하기 보빈고정축(520)과 연동해 구동하는 이동자(420)를 구비하면서 지지부(100)에 탑재되는 권취위치조정부(400); 및 보빈동력모터(510)와, 와이어(W)를 권취하는 보빈(B)을 탈부착가능하게 고정하면서 보빈동력모터(510)의 동력을 받아 보빈(B)을 회전시키는 보빈고정축(520)을 구비한 보빈구동부(500)를 포함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동력부(300)는, 지지부(100)에 고정되는 지지대(361);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지지대(36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고정대(363a, 364a)와, 제1,2고정대(363a, 364a)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안내휠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W)를 무한궤도 형태로 권취하고 이를 다시 인출조정휠(350)로 권출하는 제1,2 조정휠(363b, 364b)를 구비한 제1,2조정체(363, 364); 제1,2고정대(363a, 364a)를 상호 탄발지지하는 탄발체(365)를 구비한 장력조정기(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기(360)는, 지지대(361)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배치되는 회전감지센서(366a) 및 종동활차(366b)와, 회전감지센서(366a) 및 종동활차(366b)에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지지대(361)를 따라 이동하는 제1조정체(363) 또는 제2조정체(364)에 고정되는 이동벨트(366c)를 포함하되, 회전감지센서(366a)는 이동벨트(366c)의 이동 정도를 감지하도록 된 장력감지기(366)를 더 포함하고;
    장력감지기(366)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보빈동력모터(510)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기(360)는, 탄발체(365)가 받는 압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기(368)를 더 포함하고;
    장력감지기(368)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보빈동력모터(510)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 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기(360)는, 지지대(361)에 나란히 고정 배치되는 안내봉(367a)과, 안내봉(367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조정체(363) 또는 제2조정체(364)에 고정되는 표지(367b)를 구비하는 표시기(36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0)는, 무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안내대(230)에 대향하게 고정 배치되는 수평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0)는, 인식체(252)와, 인식체(252)를 감지하는 센서(251)가 각각 지지부(100) 및 회전부(200)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위치감지기(250)를 더 포함하고;
    위치감지기(25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동력부(P)의 동작을 조정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고정축(520)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입설되는 승강지지대(710); 승강동력모터(720); 승강연동대(740)를 매개로 승강동력모터(720)의 동력을 받아 승강지지대(7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대(730); 및 보빈(B)을 안착 고정하고 승강대(7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착대(750)를 구비한 보빈승강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
KR1020090035247A 2009-04-22 2009-04-22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 KR10093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247A KR100939348B1 (ko) 2009-04-22 2009-04-22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247A KR100939348B1 (ko) 2009-04-22 2009-04-22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348B1 true KR100939348B1 (ko) 2010-02-09

Family

ID=4208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247A KR100939348B1 (ko) 2009-04-22 2009-04-22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34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6591A (zh) * 2010-10-12 2012-05-09 赵光辉 一种绞线机
CN102965991A (zh) * 2012-07-20 2013-03-13 南通瑞丽精密机电设备科技有限公司 金属丝双捻机旋转放线架
KR101910372B1 (ko) 2017-09-27 2019-01-04 아주와이어(주) 전자가속기를 이용한 전선 가공 안내장치
CN110136904A (zh) * 2019-05-31 2019-08-16 永康卡梅新材料有限公司 一种压敏电阻加工用绕线器
CN110391054A (zh) * 2019-06-24 2019-10-29 江苏欣宏泰机电有限公司 一种分电机管式绞线机
CN112863772A (zh) * 2021-01-05 2021-05-28 深圳市速联技术有限公司 一种特种电缆生产用配料***
CN115440444A (zh) * 2022-10-27 2022-12-06 泽鹏线缆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绞线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382A (ja) 1999-03-18 2000-09-26 Kinrei Engineering:Kk 撚り線における撚り線のテンション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278956Y1 (ko) 2002-03-22 2002-06-21 주식회사 일화산업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JP2005139585A (ja) 2003-11-07 2005-06-0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スチールワイヤゴム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8290381A (ja) 2007-05-25 2008-12-04 Kyocera Chemical Corp 引き抜き成形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382A (ja) 1999-03-18 2000-09-26 Kinrei Engineering:Kk 撚り線における撚り線のテンション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278956Y1 (ko) 2002-03-22 2002-06-21 주식회사 일화산업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JP2005139585A (ja) 2003-11-07 2005-06-0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スチールワイヤゴム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8290381A (ja) 2007-05-25 2008-12-04 Kyocera Chemical Corp 引き抜き成形品の製造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6591A (zh) * 2010-10-12 2012-05-09 赵光辉 一种绞线机
CN102965991A (zh) * 2012-07-20 2013-03-13 南通瑞丽精密机电设备科技有限公司 金属丝双捻机旋转放线架
KR101910372B1 (ko) 2017-09-27 2019-01-04 아주와이어(주) 전자가속기를 이용한 전선 가공 안내장치
CN110136904A (zh) * 2019-05-31 2019-08-16 永康卡梅新材料有限公司 一种压敏电阻加工用绕线器
CN110391054A (zh) * 2019-06-24 2019-10-29 江苏欣宏泰机电有限公司 一种分电机管式绞线机
CN110391054B (zh) * 2019-06-24 2020-11-27 江苏欣宏泰机电有限公司 一种分电机管式绞线机
CN112863772A (zh) * 2021-01-05 2021-05-28 深圳市速联技术有限公司 一种特种电缆生产用配料***
CN112863772B (zh) * 2021-01-05 2021-10-19 深圳市速联技术有限公司 一种特种电缆生产用配料***
WO2022148063A1 (zh) * 2021-01-05 2022-07-14 深圳市速联技术有限公司 一种特种电缆生产用配料***
CN115440444A (zh) * 2022-10-27 2022-12-06 泽鹏线缆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绞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348B1 (ko)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
CN209685014U (zh) 收线机
CN101448725B (zh) 通过在筒管上卷绕纱线来导纱的方法和设备
CN104291228A (zh) 一种船用重载绞车的测力与排绳装置
CN105070501B (zh) 一种排线机的线束张紧装置
CN210260553U (zh) 张力调整装置
KR101119223B1 (ko) 로프꼬임장치
US4535946A (en) Fixed position machine for coiling down a cable
CN211664430U (zh) 一种钢丝收线装置
CN201808964U (zh) 单锭成形收边机构
CN106364974A (zh) 一种双层式并线机构
CN106348087A (zh) 一种稳固型并线装置
CN217351927U (zh) 一种双捻机
CN100548653C (zh) 用于生产环形同轴多股胎缘帘线的方法和***
CN106364975A (zh) 一种并线设备
CN113192705B (zh) 一种电缆加工用聚酯带卷绕设备
CN212670124U (zh) 一种多股一次成型编织机构
CN213011282U (zh) 一种线式张紧控制装置
CN212419425U (zh) 一种适应不同直径钢筋卷的钢筋放卷架
KR101324565B1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장치
CN106348088A (zh) 一种双层式并线装置
CN206927398U (zh) 一种套线管收卷装置
CN110950164A (zh) 一种电力工程的绞磨机
US20080272221A1 (en) Fiber tensioning device
CN102219133B (zh) 一种络筒机拨片式排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