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809B1 -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809B1
KR100938809B1 KR1020090075750A KR20090075750A KR100938809B1 KR 100938809 B1 KR100938809 B1 KR 100938809B1 KR 1020090075750 A KR1020090075750 A KR 1020090075750A KR 20090075750 A KR20090075750 A KR 20090075750A KR 100938809 B1 KR100938809 B1 KR 10093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at
wire mesh
mat assembly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구
Original Assignee
김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구 filed Critical 김병구
Priority to KR102009007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으로 형성하고; 그 경사면 위에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를 덮어주되,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는 식물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식물성 바닥층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위에 존재하고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지지수단으로서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철망층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과 상기 지지철망층을 서로 결합시켜주는 결합수단과, 상기 지지철망층에 끼움결합되어 있고 앵커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철망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며; 그 이후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를 해머드릴부재에 의해 경사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주고; 그 이후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 및 경사면의 지면에 군데군데 식물의 식재홀을 형성하고, 식물을 그곳에 식재하는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미리 사전적응단계를 거치게 됨으로써, 식생매트에서 자란 식물이 지면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착근하여 활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식생매트, 생태복원, 친환경 공법, 경사면, 해머드릴

Description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Method of Constructing Ecological Levee for Re-pla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제방 또는 고속도로 주변이나 야산의 경사면 등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국내의 하천이나 산야 또는 제방의 경사면은 그 동안 일방적으로 진행되어온 산업화의 영향을 받아, 자연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효율성과 능률성을 우선적인 가치로 여겨, 하나뿐인 국토를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비환경적인 모습으로 남발을 가져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남발은 필연적으로 각종의 부작용을 수반하게 되었고,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다방면의 분야에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국내의 산야 또는 하천이나 제방의 경사면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예외일 수 없어서, 최근에 들어서서 다양한 형태의 친환경 제품들과 더불어 친환경 시 공방법들이 개량되어 오고 있고, 이러한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하천의 경사면을 시공하는 분야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식생블록을 이용하거나 식생매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식생블록을 이용한 방법은 대체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의 중앙에 식물들이 자라날 수 있는 작은 공간을 형성하고, 그 작은 공간의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여, 그 곳에서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식생블록 자체가 콘크리트 제품으로서, 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실질적으로 식재된 식물의 수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또한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도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오늘날에는 친환경 시공방법으로 취급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식생매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식생매트를 수중(水中) 환경(環境)에 놓아두고, 그 환경하에서 갈대와 부들과 같이 기본적으로 습지식물을 미리 성장시키고, 그 습지식물이 어느 정도 성장하게 되면, 수분이 많이 존재하는 하천 등의 작업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은 식재되어야 할 식물이 미리 식생매트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식생매트를 무한정으로 보관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또한 보관되고 있는 도중에도 식생매트의 내부에서 식물이 임의적으로 자라나게 되는 단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오늘날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경사면 구축방법을 살펴보면, 경사면을 정지한 다음, 그 위에 식생매트 등을 깔아주고, 그 위에 다시 철망으로 덮어주며, 그 이후에 고정시키고, 식재하는 등의 절차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행위들은 작업자들이 일반 평지가 아닌 경사면 위에서 수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어 렵고 힘든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사면 시공방법은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면 위에서 작업자들이 모든 과정을 전부 진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면 위에서 진행되는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하천이나 제방 또는 고속도로 주변이나 야산의 경사면 등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생태복원형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구축방법에 적합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나중에 식물이 자라나 작업현장에 시공되었을 경우에 식물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천연섬유,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식물성 바닥층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위에 존재하고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지지수단으로서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철망층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과 상기 지지철망층을 서로 결합시켜주는 결합수단과; 상기 지지철망층에 끼움결합되어 있고 앵커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철망고정부재; 를 포 함하고 있다.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는 시공현장이 아닌 별도의 공장에서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는 시공현장의 경사면 환경에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정지단계(S 3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기본적으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를 시공현장이 아닌 별도의 공장 등에서 제작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하고, 그 시공현장에서 사용하도록 한다.본 발명은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를 이용하여, 작업현장인 경사면 위에 배치하고, 지면에 완전히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경사면 배치단계(S 3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철망고정부재에 앵커를 박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고정단계(S 33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표면에 군데군데 식물의 식재홀을 형성하고, 상기 식물의 식재홀에 식물을 식재하는 식물 식재단계(S 340)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를 미리 별도의 공장 등에서 제작한 다음, 그 식생매트 조립체를 경사면에 간단히 배치하여 사용하므로, 작업자들이 경사면에서 여러가지 복잡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작업자들이 경사면에서 행하는 작업이 최소화되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기본적으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를 사용하므로, 작업 공정이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하천의 제방 또는 하천에 인접한 제방에 적합한 식물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및 그 경사면 구축방법에 적합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생태복원형 경사면 구축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실시단계들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경사면 구축방법에 적합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에 관한 개략도이고, 도 2b는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의 분해상태 조립도로서 6각 철망을 사용한 경우이고, 도 2c는 5각 철망을 이용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에 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나중에 식물이 자라나 작업현장에 시공되었을 경우에 식물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식물성 바닥층(11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은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천연섬유,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바닥에 놓여져서 일종의 시트 형상을 이루고, 시공시 경사면 위를 덮어 줌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수분이 쉽게 외부로 발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은 상기의 야자수 잎, 볏짚, 보릿대, 옥수수대, 코코넛 껍질, 코아네트, 천연섬유 또는 식물성 직물지 등을 이용하여 하나의 시트를 형성한 단독층을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시트들이 겹쳐져서 복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1 및 도면 2에 있어서는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이 코아네트(112)와 볏짚(114) 및 식물성 직물(116)로 구성된 것을 예 시하고 있다.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은 식물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어지면, 지면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에 의하여 분해되어지고, 식물의 영양원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은 시공되는 경사면의 토양 위에 직접 올려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은 상기 경사면의 토양에 접촉되어지고, 점점 식물성 성분들이 토양미생물들에 의해 분해되어져서, 결국 상기의 식물이 자라나는데 필요한 영양성분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상기 식물성 바닥층(110)의 위에 존재하고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지지수단으로서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철망층(1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철망층(120)은 상기 식물성 바닥층(110)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식물성 바닥층(110)의 뼈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지지철망층(120)은 가는 철선들이 서로 이중으로 꼬여져서 형성된 6각 개비온 철망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개량한 5각 개비온 철망도 좋다. 또한, 상기의 지지철망층(120)은 4각 능형 철망이나 4각 용접철망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철망층(120)은 운반시에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의 뼈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경사면 위에 놓여질 경우 그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을 지긋이 눌러주면서 압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상기 식물성 바닥층(110)과 상기 지지철망층(120)을 서로 결합시켜주는 결합수단(1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결합수단(130)은 상기 식물성 바닥층(110)과 상기 지지철망층(120)을 서로 결합시켜줌으로써, 이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며, 하나의 일체적인 조립체로서 묶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경사면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식물성 바닥층(110)과 상기 지지철망층(120)을 사용할 경우에, 이들을 서로 묶어줄 필요가 거의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결합수단(130)을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며, 이 점에서 상기의 결합수단(130)은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결합수단(130)은 상기 식물성 바닥층(110)과 상기 지지철망층(120)을 서로 묶어줌으로써, 상기의 지지철망층(120)만을 잡고 위로 들어올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결합수단(130)은 가는 철사를 이용할 수 있고, 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C형 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상기 지지철망층(120)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철망고정부재(1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철망고정부재(140)에 관한 것으로서, 도 3a는 상기 철망고정부재(1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기 철망고정부재(140)의 개략적인 분해상태도이며, 도 3c는 지지철망층(120)과의 결합관 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고정부재(140)는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결합편(14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의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은 그들이 서로 결합되었을 경우 철선끼움부(148)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철선끼움부(148)에는 상기 지지철망층(120)을 형성하는 철선(122)이 삽입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에는 각각 앵커홀(143)이 일련의 직선의 구멍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앵커홀(143)은 지면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앵커홀(143)의 경사각은 지면에 대하여 30도 내지 70도의 각도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면에 대하여 30도 각도보다 더 적은 각도를 가질 경우, 앵커링 작업이 너무 힘들고 곤란한 반면에, 70도 이상의 각도를 형성할 경우, 지면에 박히는 앵커가 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을 형성하게 되므로, 지면에 대한 고정의 효과가 적어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45도 내지 60도의 범위이다. 상기의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는 안내봉(145)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철망고정부재(140)의 철선끼움부(148)에는 상기 지지철망층(120)의 철선(122)들이 삽입되어 끼워져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과 상기 지지철망층(120)은 상기의 결합수단(130)에 의하여 하나로 묶여져 있고, 또한 상기의 지지철망층(120)은 상기의 철망고정부재(14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과 상기 지지철망 층(120)과 상기의 결합수단(130) 및 상기의 지지철망층(120)은 하나의 조립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시공현장이 아닌 별도의 공장에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공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이 조립공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상 유리한 측면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공장 등에서 별도로 제작한 다음, 시공현장으로 운반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이는 품질의 균일성을 도모할 수 있고, 작업공정을 표준화함으로써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시공현장의 경사면 환경에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시공현장의 상황에 적절하게 그 크기를 조절하거나, 구성요소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시공현장으로 운반한 이후, 경사면에 펼쳐놓은 다음, 마무리작업을 수행하면 족하므로, 경사면 시공방법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이용한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1). 경사면의 정지단계(S 310):
본 발명에 의한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정지단계(S 3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경사면의 정지단계(S 310)는 통상적인 방법 및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경사면의 표면을 걷어낸다.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은 대하천이나 소하천 또는 강변이나 개울 등의 제방이나 둑을 포함하고, 또한 고속도로 주변이나 야산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선정된 지역의 경사면은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인공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 블록을 형성한 경우로 나누어볼 수 있다. 만약, 경사면이 콘크리트 블록 등에 의하여 시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인공적인 시공물을 걷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의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확보한다. 상기의 토양은 기본적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제방이나 둑 또는 야산의 법면의 내부 토양을 지칭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블록 등이 시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것을 걷어내고, 본래의 토양이 드러날 때까지 흙파기를 계속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경사면의 내부 토양이 드러나면, 이를 고르게 정지하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내부 토양을 뒤섞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콘크리트 블록 이나 호안블록에 의해 대기와의 호흡이 미약하였던 내부 토양을 뒤섞어줌으로써, 내부토양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의 형태에 따라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고, 각 단의 경사각을 달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고, 주변 환경에 조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경사면에 대한 배치단계(S 320):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제작하여 시공되어야 할 경사면 위에 덮어서 배치하는 경사면 배치단계(S 3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기본적으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시공현장이 아닌 별도의 공장 등에서 제작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하고, 그 시공현장에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고, 나중에 식물이 자라나 작업현장에 시공되었을 경우에 식물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식물성 바닥층(110)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위에 존재하고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지지수단으로서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철망층(120)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과 상기 지지철망층을 서로 결합시켜주는 결합수단(130)과; 상기 지지철망층(120)에 끼움결합되어 있고 앵커(30)를 이용하여 지면 에 고정시키는 철망고정부재(14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공장 등에서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공되어야 할 상기의 경사면 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족하다.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에 관한 설명 및 그 적응방법 등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반복하여 기재하지 않기로 한다.
3).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지면에 대한 고정단계(S 330):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의 철망고정부재(140)에 앵커(30)를 박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고정단계(S 3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가 경사면 위에 완전히 덮여지면, 상기의 철망고정부재(140)에 앵커(30)를 박아서 지면에 고정시켜준다. 고정방식은 특별한 제한을 가하지 아니하지만, 상기의 철망고정부재(140)의 높이가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중에 자라난 식물을 예초기 등으로 잘라낼 경우, 예초기의 날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고정단계(S 330)는 상기의 앵커(30)를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의 앵커홀(143)에 삽입시키고, 위에서 충격력을 가하여 지면 깊숙이 박아준다. 상기의 앵커홀(143)이 서로 지면에 대하여 30도 내지 70도의 경사를 형성하면서 지면에 깊숙이 박혀 있으므로,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시켜주게 된다.
4). 식물의 식생매트 조립체에 대한 식재단계(S 340):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의 표면에 군데군데 식물의 식재홀을 형성하고, 상기 식물의 식재홀에 식물을 식재하는 식물의 식재단계(S 3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의 식재단계(S 340)는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지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식물의 식재홀(4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식물의 식재홀(40)은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 및 지면에 대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방향으로 10 센티미터 내지 50 센티미터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식물의 식재홀(40)은 경사면에 식재될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거나 상기의 식물을 직접 심어주기 위하여 형성된 구멍으로서, 그 구멍의 직경은 5 센티미터 내지 15 센티미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의 식재단계(S 340)는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 및 지면에 대한 상기의 식재홀(40)을 해머드릴부재(200)에 의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자가 수동작업으로 진행할 경우, 작업속도가 느리고, 작업자들이 쉽게 지치게 되며, 작업능률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의 해머드릴부재(200)는 에어콤프레샤(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공기압에 의한 충격력을 활용한 것으로서, 작업능률의 향상과 작업의 균일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서 식물의 식재홀(40)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해머드릴부재(2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 - A 선을 따라 절단한 주요부의 절단면도이며, 도 4c는 상기 해머드릴부재(200)의 주요부 절단면도이며, 도 4d는 상기 해머드릴부재(200)를 이용하여 식재홀(40)을 형성함과 동시에, 식물을 식재해 나가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해머드릴부재(200)는 해머드릴 몸체(10)에 탄성결합체(210)를 결합시키고, 상기의 탄성결합체(210)에 안내결합봉(220)을 결합시키되, 그 일단을 결합시키고, 그 타단은 타공형성부(240)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해머드릴부재(200)는 상기의 몸체(10)와 상기의 타공형성부(240)의 사이에 공기압 전달부(230)를 끼움결합시키고 있다. 상기의 해머드릴부재(200)는 에어콤프레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공기압 해머드릴 또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해머드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공기압 해머드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해머드릴부재(200)는 몸체(10)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2)와 나선상으로 홈이 파여져 있는 회전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탄성결합체(210)는 상기의 회전나사부(14)에 나선상으로 회전하면서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해머드릴의 작동 중에 발생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은 그의 일단부가 상기의 탄성결 합체(21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이 그의 일단부를 상기의 탄성결합체(210)에 결합시킨 상태이므로, 상기의 탄성결합체(210)와 함께 움직이게 되고, 상기의 탄성결합체(210)가 정지되어 고정된 상태에서는 역시 정지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의 탄성결합체(210)를 상기 해머드릴 몸체의 회전나사부(14)에 일치시켜 회전시키면서 나사결합시킬 경우, 상기 탄성결합체(210)의 회전과 동시에 함께 회전되어지고, 나사결합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탄성결합체(210)와 함께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은 그의 타단부를 절곡시켜서 끼움결합부(2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의 끼움결합부(222)를 이용하여 타공형성부(240)를 붙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타공형성부(240)의 결합홈(242)에 절곡된 끼움결합부를 삽입시켜서 상호간의 결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이 상기의 탄성결합체(210)와의 결합관계는 용접결합과 같이 그들을 서로 일체화시키는 반면에, 상기 타공형성부(240)와의 결합관계는 착탈가능한 끼움결합이라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는 에어콤프레샤에서 전달되는 공기압을 받아서, 그 공기압에 의해 받은 충격력을 그 아래쪽으로 전달해주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는 상기 해머드릴 몸체(10)에 끼움결합되는 형상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막대형 봉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는 상기 해머드릴의 몸체(10) 에 끼움결합되어 있지만, 상기의 해머드릴로부터 전해지는 충격력을 그 아래쪽으로 전달해주어야 하므로, 서로간의 끼움결합관계는 약간 느슨하고 헐렁한 끼움결합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의 끼움결합부(222)가 상기 타공형성부(240)의 결합홈(242)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와 상기의 해머드릴 몸체(10)가 서로 헐렁한 끼움결합관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상기의 끼움결합부(222)가 상기의 결합홈(242)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와 상기의 해머드릴 몸체(10)가 서로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타공형성부(240)는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지면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는 상기 타공형성부(240)의 형상이 원통형을 가지고 있을 경우 그 원통형의 지름에 비례하게 되고, 사각형상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그의 사각형의 변의 길이에 비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공형성부(240)는 지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의 타단을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타공형성부(240)는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에 결합되어 있다. 이는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로부터 강한 압력을 받아 그 충격력에 의해 지면에 구멍을 뚫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타공형성부(240)와 상기 공기압 전달부(230) 사이의 결합관계는 금속과 금속 사이의 용접결합 또는 끼움결합에 의할 수 있다. 에어콤프레샤에서 전달되어온 공기압에 의해, 단속적이고 반복적인 충격력을 받게 됨을 감안할 때, 상기의 용접결합 보다는 상기의 끼움결합 방 식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타공형성부(240)는 그의 몸체에 결합홈(24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결합홈(242)은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의 타단에 형성된 끼움결합부(222)에 대응되어진다. 상기의 결합홈(242)에 상기 안내결합봉(220)의 끼움결합부(222)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해머드릴의 몸체(10)에 상기 공기압 전달부(230)가 끼움결합되어 있고, 상기 공기압 전달부(230)는 상기 타공형성부(24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타공형성부(240)는 상기 공기압 전달부(230)로부터 단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순간적인 충격력을 받게 되고, 상기의 충격력에 의해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 및 지면에 소정의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와 상기의 타공형성부(240)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의 타단이 상기 타공형성부(240)의 몸체 내면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는 에어콤프레샤에서 품어져 온 고압의 공기압으로 인한 충격력이 지면의 구멍을 형성하는데 대부분 사용되어지지만, 그 일부의 충격력은 상기 공기압 전달부(230)와 상기 타공형성부(240)의 결합관계(용접결합시)를 깨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깨뜨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타공형성부(240)에는 상기 공기압 전달부(230)의 타단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1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은 그 내면에 원통형의 안내파이프(225)를 결합시키고 있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의 안내파이프(225)는 그의 내부가 비어 있고, 그 내부로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를 통과시키고 있는 상 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의 안내파이프(225)는 그의 외부가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에 의해 단단히 결합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은 상기 탄성결합체(210)와 더불어 상기의 안내파이프(225)에 대해서도 결합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작업자는 상기의 해머드릴부재(200)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식물의 식재홀(4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해머드릴의 몸체(10)에 상기의 해머드릴부재(200)를 결합시키고, 외부의 에어콤프레샤를 가동시켜서 고압의 공기를 상기의 해머드릴의 몸체(10)에 공급하고, 순간적으로 분사시켜서,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로 가해준다.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는 공기압에 상응하는 충격력을 받게 되고, 그 충격력은 다시 상기의 타공형성부(240)로 전달되어지고, 그 충격력에 의해 상기의 타공형성부(240)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진 식물의 식재홀(4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의 위에 상기의 해머드릴부재(200)를 위치시키고, 에어콤프레샤에서 고압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신속하고 균일한 크기의 식물의 식재홀(40)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작업자가 경사면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종래와 같이, 경사면에 쪼그리고 앉아서 식재홀(40)을 힘들게 형성할 필요가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식물의 식재단계(S 340)는,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 립체(100) 및 지면에 소정의 식재홀(40)이 형성되어지면, 상기 식물의 식재홀(40)에 식물을 식재하게 된다. 이는 작업자들이 상기의 식재홀(40)의 내부에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거나, 씨앗이 발아되어 자란 어린 식물모종을 심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식물의 모종을 심어줄 경우에는 모판에서 떼어낸 어린 식물을 상기의 식재홀(40)의 내부에 집어넣고, 가볍게 밟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은 통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식물의 식재단계(S 340)에서는 물을 뿌려주고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생태복원형 경사면 구축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실시단계들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경사면 구축방법에 적합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에 관한 개략도 및 그의 분해상태 조립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철망고정부재(140)에 관한 것으로서, 도 3a는 상기 철망고정부재(1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기 철망고정부재(140)의 개략적인 분해상태도이며, 도 3c는 지지철망층(120)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머드릴부재(2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 - A 선을 따라 절단한 주요부의 절단면도이며, 도 4c는 상기 해머드릴부재(200)의 주요부 절단면도이며, 도 4d는 상기 해머드릴부재(200)를 이용하여 식재홀(40)을 형성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 110 : 식물성 바닥층,
120 : 지지철망층, 130 : 결합수단,
140 : 철망고정부재, 142 : 상부 덮개,
144 : 하부 받침, 146 : 결합편,
148 : 철선끼움부

Claims (6)

  1. 바닥면을 형성하고, 나중에 식물이 자라나 작업현장에 시공되었을 경우에 식물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천연 섬유,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식물성 바닥층(110)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위에 존재하고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지지수단으로서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철망층(120)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과 상기 지지철망층을 서로 결합시켜주는 결합수단(130)과;
    상기 지지철망층(120)에 끼움결합되어 있고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의 식물성 바닥층(110) 및 지지철망층(120)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철망고정부재(14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고정부재(140)는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결합편(14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의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이 서로 결합되었을 경우에는 철선끼움부(148)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의 철선끼움부(148)에는 상기 지지철망층(120) 을 형성하는 철선(122)이 삽입되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의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에는 각각 앵커홀(143)이 일련의 직선의 구멍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고정부재(140)는 상기의 앵커홀(143)이 지면에 대하여 30도 내지 70도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고,
    상기의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에는 안내봉(145)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
  4.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정지단계(S 310)와;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이용하되,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나중에 식물이 자라나 작업현장에 시공되었을 경우에 식물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천연섬유,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식물성 바닥 층(110)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위에 존재하고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지지수단으로서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철망층(120)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과 상기 지지철망층을 서로 결합시켜주는 결합수단(130)과; 상기 지지철망층(120)에 끼움결합되어 있고 앵커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철망고정부재(14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지며,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작업현장인 경사면 위에 배치하고, 지면에 완전히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경사면 배치단계(S 320)와;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의 철망고정부재(140)에 앵커(30)를 해머드릴부재(200)에 의해 지면에 깊숙이 박아주고, 이를 통하여 상기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를 경사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주는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의 고정단계(S 330)와;
    상기의 맞춤형 식생매트 조립체(100) 및 경사면의 지면에 군데 군데 식물의 식재홀(40)을 형성하고, 상기의 식물의 식재홀(40)에 식물을 식재하는 식물의 식재단계(S 34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고정부재(140)는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결합편(14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의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이 서로 결합되었을 경우에는 철선 끼움부(148)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의 철선끼움부(148)에는 상기 지지철망층(120)을 형성하는 철선(122)이 삽입되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의 상부 덮개(142)와 하부 받침(144)에는 각각 앵커홀(143)이 일련의 직선의 구멍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의 해머드릴부재(200)는 해머드릴 몸체(10)에 결합되어지고 해머드릴의 작동 중에 발생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결합체(210)와; 상기 탄성결합체(210)에 그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그의 타단부는 절곡되어 형성된 안내결합봉(220)과; 상기 해머드릴의 몸체(10)에 끼움결합되어 있고 상기 해머드릴로부터 전달되어는 공기압을 받아 그 공기압에 의해 충격을 가하는 공기압 전달부(230)와; 상기의 공기압 전달부(23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의 안내결합봉(220)의 타단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압 전달부(230)로부터 전달된 충격에 의해 지면에 소정의 구멍을 형성하는 타공형성부(24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생태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KR1020090075750A 2009-08-17 2009-08-17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KR10093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750A KR100938809B1 (ko) 2009-08-17 2009-08-17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750A KR100938809B1 (ko) 2009-08-17 2009-08-17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809B1 true KR100938809B1 (ko) 2010-01-28

Family

ID=4181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750A KR100938809B1 (ko) 2009-08-17 2009-08-17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8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9529A (zh) * 2014-12-03 2015-03-25 华侨大学 一种缓冲区域生态岸边带的构建方法
CN104472176A (zh) * 2014-12-03 2015-04-01 华侨大学 山地河流河岸植被生态恢复的构建方法
KR20160004254A (ko) 2015-12-24 2016-01-12 김병구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87893A (ko) * 2020-12-18 2022-06-2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섬유삽입 지면타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820A (ja) * 1994-05-09 1995-11-14 Tokyo Seiko Co Ltd 落石等の密着式防護網工法とそのロープ・網アンカー構造
KR100190840B1 (ko) 1996-12-18 1999-06-01 최두영 법면보호네트의 시공방법
JPH11193510A (ja) 1997-12-26 1999-07-21 Tokyo Seiko Co Ltd 落石等防護工のロープ張設工法と落石等防護ネツト
KR200437674Y1 (ko) 2007-07-25 2007-12-17 남용호 구조물 친환경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820A (ja) * 1994-05-09 1995-11-14 Tokyo Seiko Co Ltd 落石等の密着式防護網工法とそのロープ・網アンカー構造
KR100190840B1 (ko) 1996-12-18 1999-06-01 최두영 법면보호네트의 시공방법
JPH11193510A (ja) 1997-12-26 1999-07-21 Tokyo Seiko Co Ltd 落石等防護工のロープ張設工法と落石等防護ネツト
KR200437674Y1 (ko) 2007-07-25 2007-12-17 남용호 구조물 친환경 지지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9529A (zh) * 2014-12-03 2015-03-25 华侨大学 一种缓冲区域生态岸边带的构建方法
CN104472176A (zh) * 2014-12-03 2015-04-01 华侨大学 山地河流河岸植被生态恢复的构建方法
KR20160004254A (ko) 2015-12-24 2016-01-12 김병구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670009B1 (ko) * 2015-12-24 2016-10-27 김병구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87893A (ko) * 2020-12-18 2022-06-2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섬유삽입 지면타공장치
KR102424858B1 (ko) * 2020-12-18 2022-07-2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섬유삽입 지면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4168B (en) Method of planting net body, flexible type frame combining with soil and water conservation
KR101421111B1 (ko) 습지식물의 근경을 이용한 부유형 매트의 제조방법 및 조성방법
KR100938809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KR100839669B1 (ko) 사면녹화를 위한 자연친화형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사면시공구조
JP2007056606A (ja) 緑化用具および緑化方法
JP2016156124A (ja) 斜面保護用具及び斜面保護方法
KR20110084475A (ko) 식생매트
KR101043361B1 (ko) 식생용 망태기 및 이를 이용한 생태 호안 조성방법
CN201571375U (zh) 一种防护生态袋
JP2016223266A (ja) 斜面保護用具及び斜面保護方法
KR100930833B1 (ko) 식생매트
KR101321473B1 (ko) 식생토낭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식생토낭을 이용한 옹벽 축조 구조
KR20090084105A (ko) 씨줄 고정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02043B1 (ko) 법면녹화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법면 녹화시공방법
KR20150097247A (ko)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20060111787A (ko) 제방 축조용 셀
CN212983901U (zh) 一种岩石创面生态修复植生装置
KR101042265B1 (ko)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KR100915935B1 (ko) 식생용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06976A (ko)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KR20120095050A (ko)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9573B1 (ko) 녹지 조성용 네트
KR101670009B1 (ko)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15267A (ko)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JP2003047330A (ja) 埋土種子による植物導入方法と植生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