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267A -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267A
KR20100015267A KR1020080092806A KR20080092806A KR20100015267A KR 20100015267 A KR20100015267 A KR 20100015267A KR 1020080092806 A KR1020080092806 A KR 1020080092806A KR 20080092806 A KR20080092806 A KR 20080092806A KR 20100015267 A KR20100015267 A KR 2010001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vegetation mat
adaptive
soil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완진
Original Assignee
전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완진 filed Critical 전완진
Publication of KR2010001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통상의 식생매트 또는 복합층을 형성한 식생매트를 이용하되, 상기 식생매트에서 일단 식물을 발아시키고, 그 식물을 실제의 작업현장에 유사한 환경에 2주일 이상 노출시켜서, 미리 환경 적응훈련을 시키고, 그 과정을 거쳐 상기 식물의 뿌리들이 서로 얽히고 설켜서 상기 식생매트의 내부 하단에서 일종의 시트형상을 만들어가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작업현장의 실제 환경 조건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상기의 식물이 자라게 되면, 이러한 식생매트를 실제의 작업현장으로 운반하여, 그곳에서 펼쳐서 지면에 부착시키고, 다시 고정구에 의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미리 사전적응단계를 거치게 됨으로써, 식생매트에서 자란 식물이 지면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착근하여 활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식생매트, 친환경 공법, 개비온 철망, 경사면 구축방법, 철망의 시공방법

Description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ng Ecological Levee with Pre-adapted Greening Mat}
본 발명은 시공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식물이 잘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미리 확보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 및 상기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하천이나 제방 또는 고속도로 주변이나 야산의 경사면 등에 시공하기 쉽고 식물이 더욱 효율적으로 착근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일방적으로 산업화를 진행해 온 결과, 산업화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시켜야 할 필요성을 다방면의 분야에서 인식하게 되었다.
국내의 산야 또는 하천이나 제방의 경사면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예외일 수 없어서, 최근에 들어서서 다양한 형태의 친환경 제품들과 더불어 친환경 시 공방법들이 개량되어 오고 있고, 이러한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하천의 경사면을 시공하는 분야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식생블록을 이용하거나 식생매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식생블록을 이용한 방법은 대체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의 중앙에 식물들이 자라날 수 있는 작은 공간을 형성하고, 그 작은 공간의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여, 그 곳에서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식생블록 자체가 콘크리트 제품으로서, 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실질적으로 식재된 식물의 수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또한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도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오늘날에는 친환경 시공방법으로 취급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식생매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식생매트를 수중(水中) 환경(環境)에 놓아두고, 그 환경하에서 갈대와 부들과 같이 기본적으로 습지식물을 미리 성장시키고, 그 습지식물이 어느 정도 성장하게 되면, 수분이 많이 존재하는 하천 등의 작업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은 수중환경(水中環境)을 제공해야 하므로, 주로 수생식물을 사용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고, 또한 식생매트에서 자라나게 되는 식물의 경우에도 식생매트의 내부에서 제공되는 수분에 의해 성장하게 되므로, 작업현장이 하천의 바닥면이나 그와 인접된 경사면에 한정되어지고, 야산의 경사면과 같이 수분이 많지 않은 곳에서는 경사면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고속도로의 주변 또는 야산의 경사면과 같은 장소에서는 바닥 지면의 수분 함량이 적고, 또한 식생 이후에 인공적으로 작업 현장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수분을 살포하는 것 자체가 극히 곤란하기 때문에, 식생된 식물이 정상적으로 활착하여 성장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단점도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사면 구축방법은 실제적인 경사면의 조건을 고려하지 못하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었고, 그로 인하여 식물의 착근 및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하고자 하는 작업현장이 수생식물에 적합한 장소 및 수생식물에 적합하지 않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식생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장소가 경사면에 해당할 경우에도, 그 경사면에서 작업자가 매우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식생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하여, 어떠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날 수 있도록 미리 사전적응단계를 거치고 그와 같은 사전적응단계를 거쳐서 완성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경사면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는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유연성 뼈대 내지 형태 보존의 기능을 담당함과 동시에, 나중에 식물(50)이 자라나 작업현장에 시공되었을 경우에는 식물(50)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식물성 바인더층(120)과; 상기 식물성 바인더층의 위에 존재하고 식생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기에 식물(50)을 식재하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그 식물(50)의 씨앗을 발아하게 해주는 토대를 제공해주고, 나중에 상기의 식물(50)이 자라나게 될 경우 상기의 식물에 수분 및 영양성분을 공급해주는 상부토양층(130)과; 상기 상부토양층의 위에 존재하고, 상기 식물(50)의 씨앗을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에 직접 파종하거나 상기 식물(50)을 직접 식재할 수 있는 천공부(14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의 식물(50)이 상기 상부토양층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동안에, 다른 외래식물들이 날아들어와서 상기의 상부토양층에 착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토양층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난 내부의 자생식물들이 그곳에서 성장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해주는 외부식물 차단층(14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의 상부토양층(130)과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에는 상기 식물(50)의 뿌리부분이 서로 뒤엉켜서 시트형상으로 펼쳐져서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 하고 그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식생매트에서 작업현장에 투입되어 자라나게 될 식물을 그곳에서 발아시키거나 식재하고, 그곳에서 성장하도록 하되, 실제의 작업현장에 투입되기 이전에 일정한 기간 동안 사전 적응단계를 거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식생매트를 식물성 바인더층과 상부토양층 및 외부식물 차단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을 사용하고, 미리 선정된 식물이 상기의 상부토양층에서 발아하도록 하고, 발아된 식물이 실제로 작업이 수행될 작업환경 또는 경사면과 유사한 환경하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식물이 사전 적응훈련을 거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상기의 작업현장 또는 경사면 위에 배치하고, 상기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상기 작업현장 또는 경사면의 지면에 완전히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의 경사면 부착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상기 사전적응형 식생매트의 위에 철망을 덮고, 상기의 철망을 고정구에 의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식생매트의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토양층과 식물성 바인더층은 서로 혼합되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은 그 아래쪽에 별도의 하부토양층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미리 사전적응단계를 거친 식생매트를 이용하므로, 실제의 경사면에 활착하여 착근하는 식물의 생존율이 종래에 비하여 훨씬 높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수분이 적은 고속도로 주변이나 종래의 콘크리트 바닥면을 걷어내고 시행되는 작업현장 또는 야산의 경사면 등에서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수생식물에 한정되지 않고 수분이 적은 곳에서 성장하게 되는 건조지역의 식물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시공할 수 있는 범위를 더욱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작업자가 경사면에 앉거나 서서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사전적응단계를 거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경사면에 그대로 부착한 후, 이것을 고정시키면 족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식생매트에서 자라난 식물이 외부환경의 충격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는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실제의 작업현장에서 그 뿌리가 착근하여 활착되어지는 효율이 매우 높을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하천의 제방 또는 하천에 인접한 제방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야산이나 고속도로 주변의 절개지와 사면 옹벽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친환경 경사면의 시공방법에 적합한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100)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식생매트(101)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1a는 식생매트(101)의 일부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a의 식생매트(101)의 단면도이며, 도 1c는 식생매트(101)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일부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식생매트(101)는 식물(50)을 아직 식재하거나 파종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적합한 식생매트(101)는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유연성 뼈대 내지 형태 보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식물성 바인더층(1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은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바닥에 놓여져서 일종의 시트 형상을 이루 고, 그 위에 식생토와 같은 식물의 성장 물질을 올려져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은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나중에 식물(50)이 자라나 작업현장에 시공되었을 경우에는 그 식물(50)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의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는 서로 엮여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시트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은 그 아래에 별도로 하부토양층(110)을 형성하지 않는 한, 나중에 시공되는 경사면의 토양(G) 위에 직접 올려놓여지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은 상기 경사면의 토양(G)에 접촉되어지고, 점점 식물성 성분들이 분해되어져서, 결국 상기의 식물이 자라나는데 필요한 영양성분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적합한 식생매트(101)는 상기 식물성 바인더층의 위에 존재하고 식생토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토양층(1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은 식물(50)을 식재하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그 식물(50)의 씨앗을 발아하게 해주는 토대를 제공해준다. 상기의 식물(50)은 종래와 같이 수생식물에 한정되지 않고, 야산이나 고속도로 주변과 같이 수생식물이 아닌 다른 식물을 선정하여 식재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하천이나 강변과 같이 수분이 많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지역에서도 자라날 수 있는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은 상기의 식물(50)을 식재하는 공간을 제공해주거나, 상기의 식물(50)의 씨앗을 파종하여 발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토양층(130)은 그 두께가 최소한 2 센티미터 이상 10 센티미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엔, 식물의 파종이나 식재가 곤란하고, 그 성장에 있어서도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은 식물의 발아 및 성장을 위하여 일정한 수분 및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 전부 또는 일부로서 식생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은 초기에 상기 식물(50)의 파종된 씨앗을 받아들여주는 부분으로서 기능하게 되지만, 일단 상기의 식물이 발아하게 되면 그 식물의 뿌리가 초기의 영양성분을 잘 흡수하여 성장하도록 하는 영양원 공급부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은 상기 식물의 뿌리가 점점 자라나게 됨에 따라 안정되게 아래쪽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는 상기 식물의 씨앗이 발아되거나, 식재된 식물이 착근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어지면, 그 발아된 식물의 뿌리 또는 식재된 식물의 뿌리는 상기 상부토양층(130)에 의해 초기에 수분 및 영양성분을 공급받게 되고, 점점 그곳에서 성장하게 되지만, 이어서 식물의 지중성에 의해, 그 아래쪽으로 뻗어나가게 되고,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에서 서로 뒤얽혀지게 됨을 의미한다. 만약,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식물성 바인더층(120)의 아래쪽에 하부토양층(110)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식물의 뿌리가 상기 하부토양층(110)으로 계속적으로 향하게 되고, 그곳에서 서로 뒤얽혀 뿌리단을 형성하게 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적합한 식생매트(101)는 상기 상부토양층(130)의 위에 존재하고 외래식물종이나 내생식물종이 자라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식물 차단층(14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외부식물 차단층(140)은 외부로부터 날아들어온 외래식물종이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에서 발아하거나 성장하는 것을 방해하는 차단막을 의미한다. 상기의 외부식물 차단층(140)은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나게 된 내부의 자생식물종에 대해서는, 그 자생식물종이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에서 성장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외래식물종의 경우에는 상기 외부식물 차단층(130)에 의해 그 뿌리가 아래쪽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그 성장을 방해하는 반면에, 상기의 내부 자생식물종에 대해서는 그의 연한 잎사귀가 외부차단층(140)을 뚫고 태양 빛이 존재하는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스스로 고사되어지게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의 외부식물 차단층(140)은 외부에서 유입된 외래식물종이나 내부에서 자라난 자생식물종이 정상적으로 발아하거나 성장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것이고, 이를 통하여 실제로 경사면에 식재되어질 상기의 식물에 대해서만 정상적이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상기의 외부식물 차단층(130)이 시간이 경과되어 분 해되었을 경우에는, 상기의 식물(50)이 이미 정상적으로 성장하여 충분히 외부환경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내부 자생식물종이나 외래식물종이 유입된다고 할지라도 더 이상 문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외부식물 차단층(140)은 가로 방향과 세로방향으로 10 센티미터 내지 30 센티미터의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천공부(1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천공부(142)는 경사면에 식재될 식물(50)의 씨앗을 파종하거나 상기의 식물(50)을 직접 심어주는 절개된 공간부분으로서, 그 절개된 직경은 3 센티미터 내지 10 센티미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에 의하여 파종되거나 식재된 식물(50)은 상기의 천공부(142)를 통하여 그 줄기 및 새싹이 외부로 나오게 되고, 햇빛은 받아 점차적으로 자라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외부식물 차단층(140)은 식물성 재료로서 광목(Cotton Cloth)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초기에 외부식물의 착근 및 성장을 방해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시간이 흐르게 되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식물의 영양원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적합한 식생매트(101)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의 아래쪽에 하부 토양층(110)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하부 토양층(110)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의 식물(50)이 더욱 깊숙이 그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해주고, 나중에 더욱 왕성한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상부토양층(130)과 식물성 바인더층(120)은 서로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의 하부토양층(110)과 식물성 바인더층(120) 및 상부토양층(130)이 서로 혼합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100)에 관한 개략도이다.
이때, 도 2a는 상기 도 1a의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식물(50)을 성장시키는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상기 도 1a의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식물을 성장시키는 나중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3a는 상기 도 1c의 식생매트를 이용하되,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지고 있는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의하여 상기의 식물(50)을 성장시키는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상기 도 1c의 식생매트를 이용하되, 상기의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의하여 상기의 식물(50)을 성장시키는 나중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적합한 식생매트(101)는 상기의 천공부(142)를 통하여 상부토양층(130)에 식물(50)의 씨앗을 파종하거나 식물(50)을 식재하였을 경우, 그 식물(50)의 뿌리가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을 벗어나 그 아래쪽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으로 뻗어날 때까지 물과 햇빛을 공급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의 식물(50)이 그 뿌리를 뻗어서 최하단의 비닐층 또는 시멘트와 같은 바닥층(10)에 이를 때까지 계속되어지고, 그 이후에는 그 뿌리들이 서로 겹쳐지고, 교차되어지고, 둘둘 말려지게 되며, 그 일부의 뿌리들이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을 매개로 하여 서로서로 엉켜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이루게 되면, 상기 식물(50)의 뿌리들이 서로 뒤엉켜서 마치 1장의 시트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작업자는 양측을 잡고 들어올릴 수도 있고, 이것을 둘둘 말아서 보관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태의 식생매트를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라고 명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100)는 이 단계에서 비닐하우스 또는 실내와 같은 이상적인 환경을 벗어나, 실제로 시공되어야 할 장소에 유사한 환경에 적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예컨대, 상기의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100)를 실외에 놓아두고, 상기의 식물(50)이 통상적인 자연환경에 적응하도록 유도한다. 이 경우, 상기의 식물은 낮에는 정상적으로 햇볕에 노출되어지고, 밤에는 이슬이나 차가운 날씨에 그대로 노출되어지는 것이다. 만약, 추운 겨울철에 시공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에는, 상기의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100)를 추운 겨울 날씨에 미리 노출시켜서, 시공작업 이후에 더욱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시공작업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있는 경사면에서 수행되어야 할 경우에는, 상기의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100)를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의하여 사전 적응훈련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는 이러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100)를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의하여 사전 적응훈련을 진행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의 식생매트(100)를 실제로 시공되어질 경사면의 각도와 유사한 각도를 가진 경사면 보조장치(150)의 위에 안착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경사면 보조장치(150)는 10 도 내지 80 도의 범위에서 경사각도(θ)를 형성할 수 있다. 실제로, 경사면이 10 도 보다도 적을 경우에는 평면에서 시공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굳이 이러한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경사면이 80 도를 초과할 경우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의 각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 보조장치(150)의 경사각도(θ)는 시공될 작업지역이 결정되어지면, 그 시공작업 구간의 경사면을 측정한 다음, 그 경사면의 각도에 적합하게 조절되어진다. 예컨대, 작업현장의 경사면이 35 도를 이룰 경우, 상기 경사면 보조장치(150)의 경사각도(θ)는 35 ± 3 도의 범위를 이루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경사면 보조장치(150)는 실제의 경사면과 동일하게, 낮에는 햇볕에 노출되어지고, 밤에는 이슬이나 차가운 날씨에 노출되어지도록 야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 위에 놓여 있는 식생매트(100)에서 자라난 식물(50)이 실제의 환경에 미리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생매트(100)가 상기의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놓여질 경우, 상기의 식생매트(100)에서 자란 식물(50)은 먼저 수분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이는 단지 평평한 평면에 놓여있는 상태에서는, 위에서 뿌려진 물이 그 아래의 바닥층 또는 비닐층에 의하여 차단되어서, 물이 흥건히 고여있게 되고, 매우 많은 수분을 식생매트(100)의 뿌리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보조장치(150)에 놓여지게 되면, 상기 하부토양층(110)에 포함되어 있는 여분의 수분(물)은 그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흘러내릴 수 없는 정도의 수분(물)만 상기의 하부토양층(110)에 남겨지게 된다. 이것은 실제로 작업 진행될 경사면의 지면(G)과 유사한 수분 환경에 미리 적응하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의 식생매트(100)가 상기의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놓여질 경우, 상기의 식생매트(100)에서 자란 식물은 주간에 햇볕과 따스한 날씨에 적응하게 된다. 이는 여름철의 습한 환경에 적응하거나 봄 가을의 쌀쌀한 날씨에 적응함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외부의 기온과 습도 및 바람 등에 적응되어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식생매트(100)가 상기의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놓여질 경우, 상기의 식생매트(100)에서 자란 식물은 야간의 쌀쌀한 공기와 습도 및 기후변화에 적응하게 된다. 이는 상기의 주간 환경에 적응되는 것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되며, 주간과 야간의 환경 차이를 미리 경험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식생매트(100)가 상기의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놓여질 경우, 상기의 식생매트(100)에서 자란 식물은 실제의 경사면에 대한 구체적인 적응훈련을 하게 되고, 그에 대하여 구체적인 대응 수단을 미리 확보하게 된다. 이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분과 기온과 날씨 등에 적응해 가면서, 상기의 식생매트(100)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식물의 줄기는 상기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다시 뻗어나가는 반면에, 그 뿌리는 자체적으로 둘둘 말려서 엉켜 있는 상태에서, 점점 이를 해체하고 옆으로 뻗어서, 서로서로 뒤엉켜서 교차되어 있는 형태를 만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야지에서, 또는 상기의 경사면 보조장치(150)를 통하여 사전 적응훈련을 거치게 된다. 초기의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인위적인 환경을 벗어나, 실제로 시공되어야 할 장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환경에 노출되어 사전 적응훈련을 거치게 되는 기간은, 작업현장과 식재될 식물 또는 실제의 날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2주일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개월 이상 적응훈련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의 식생매트(100)에서 자라나게 될 식물(50)의 뿌리가 상부토양층(130)에서 점점 아래쪽으로 뻗어나가서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120)의 층을 통과하고, 이들이 서로 뒤엉켜서 일종의 시트형상을 이루어갈 수 있는 기간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를 작업현장으로 운반하기 전에, 무성하게 자라난 식물(50)을 미리 예초기 등으로 짧게 잘라내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작업현장으로 운반하는데 유리하고, 식물(50)이 경사면의 지면에 완전히 그 뿌리를 내려 착근하게 될 때까지 수분의 소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식물(50)의 착 근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1). 경사면의 정지단계: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50)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정지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경사면의 정지단계는 통상적인 방법 및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경사면의 표면을 걷어낸다.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은 대하천이나 소하천 또는 강변이나 개울 등의 제방이나 둑을 포함하고, 또한 고속도로 주변이나 야산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선정된 지역의 경사면은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인공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 블록을 형성한 경우로 나누어볼 수 있다. 만약, 경사면이 콘크리트 블록 등에 의하여 시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인공적인 시공물을 걷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의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확보한다. 상기의 토양은 기본적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제 방이나 둑 또는 야산의 법면의 내부 토양을 지칭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블록 등이 시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것을 걷어내고, 본래의 토양이 드러날 때까지 흙파기를 계속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경사면의 내부 토양이 드러나면, 이를 고르게 정지하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내부 토양을 뒤섞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에 의해 대기와의 호흡이 미약하였던 내부 토양을 뒤섞어줌으로써, 내부토양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의 형태에 따라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고, 각 단의 경사각을 달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고, 주변 환경에 조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 사전적응형 식생매트의 경사면에 대한 부착단계: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식생매트를 이용하되, 상기의 식생매트를 시공하고자 하는 작업장에 적합하게 일정한 기간동안 사전 적응단계를 거쳐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로 전환시키고,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상기의 경사면에 완전히 밀착시켜서 부착시키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의 경사면 부착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식생매트(101)를 이용하되, 상기의 식생매트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사면에 적합하게 일정한 기간 동안 사전 적응단계를 거쳐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로 전환시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에 관한 설명 및 그 적응방법 등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를 작업현장으로 운반하여, 실제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경사면의 위에 배치한다.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는 그 뿌리가 상부토양층(130)과 식물성 바인더층(120)을 감싸고 서로 뒤엉켜 있으므로, 상기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를 작업자가 들어올릴 경우에도 찢어지거나 분해되지 않는다.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를 경사면 위에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올려놓게 되면, 상기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의 식물성 바인더층(120) 또는 하부토양층(110)이 상기 경사면의 지면(G)에 완전히 밀착되어지게 된다.
3). 사전적응형 식생매트의 고정단계: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의 위에 철망(160)을 덮고, 상기의 철망을 고정구(170)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식생매트의 고정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실제의 경사면 위에 부착시키고, 철망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설명한 측단면도로서 도 4a는 작업현장이 평면을 이루고 있는 경 우를 예시한 것이고, 도 4b는 작업현장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도 5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의 위에 철망을 고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며; 도 6은 작업현장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고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시공을 완료한 상태에서 그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가 경사면 위에 완전히 부착되어지면, 그 위에 철망(160)을 덮어준다. 이는 상기의 철망(160)이 상기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를 지긋이 눌러줌으로써, 상기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가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가는 것을 방지해주고, 상기의 식물(50)이 뿌리를 내려서 상기의 경사면에서 안전하게 착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철망(160)은 통상의 경우와 같이 6각형 철망이나 4각형 철망 또는 5각형 철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철망(160)이 상기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의 위에 놓여지면, 상기의 철망(160)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고정방식은 특별한 제한을 가하지 아니하지만, 상기의 철망(160)을 고정시켰을 경우 그 철망(160)과의 높이가 매우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중에 자라난 식물을 예초기 등으로 잘라낼 경우, 예초기의 날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상기의 철망(160)과의 높이가 거의 동일한 고정구(170)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고정구(170)는 상기 철망(160)의 철선(162)들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지면(G)에 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 및 이것을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식생매트(101)에 관한 것으로서, 도 1a는 식생매트(101)의 일부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식생매트(101)의 단면도이며, 도 1c는 상기 식생매트(101)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도 2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2a는 상기 도 1a의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식물(50)을 성장시키는 초기 상태이고, 도 2b는 상기 도 1a의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식물을 성장시키는 나중 상태이며;
도 3은 역시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3a는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의하여 상기의 식물(50)을 성장시키는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상기의 경사면 보조장치(150)에 의하여 상기의 식물(50)을 성장시키는 나중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실제의 작업현장에 부착시키고, 철망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설명한 측단면도로서, 도 4a는 작업현장이 평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이고, 도 4b는 작업현장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이며;
도 5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의 위에 철망을 고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며;
도 6은 작업현장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고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시공을 완료한 상태에서 그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전적응형 식생매트, 110 : 하부토양층,
120 : 식물성 바인더층, 130 : 상부토양층,
140 : 외부식물 차단층, 142 : 천공부,
150 : 경사면 보조장치 50 : 식물

Claims (8)

  1.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유연성 뼈대 내지 형태 보존의 기능을 담당함과 동시에, 나중에 식물(50)이 자라나 작업현장에 시공되었을 경우에는 식물(50)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식물성 바인더층(120)과;
    상기 식물성 바인더층의 위에 존재하고 식생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기에 식물(50)을 식재하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그 식물(50)의 씨앗을 발아하게 해주는 토대를 제공해주고, 나중에 상기의 식물(50)이 자라나게 될 경우 상기의 식물에 수분 및 영양성분을 공급해주는 상부토양층(130)과;
    상기 상부토양층의 위에 존재하고, 상기 식물(50)의 씨앗을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에 직접 파종하거나 상기 식물(50)을 직접 식재할 수 있는 천공부(14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의 식물(50)이 상기 상부토양층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동안에, 다른 외래식물들이 날아들어와서 상기의 상부토양층에 착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토양층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난 내부의 자생식물들이 그곳에서 성장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해주는 외부식물 차단층(14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의 상부토양층(130)과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에는 상기 식물(50)의 뿌리부분이 서로 뒤엉켜서 시트형상으로 펼쳐져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의 아래쪽에는 상기의 식물(50)이 그 뿌리를 더욱 뻗어나갈 수 있는 하부토양층(110)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외부식물 차단층(140)은 상기의 식물(50)이 정상적으로 자라날 때까지 외래식물종의 착근 및 내부 자생식물종의 성장을 차단하는 광목(Cotton Cloth)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50)은 작업 현장으로 운반되기 이전에 미리 예초작업 기계에 의하여 짧게 잘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
  5.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정지단계와;
    식생매트를 이용하되, 상기의 식생매트에서 미리 선정된 식물이 발아하도록 하고, 발아된 식물이 시공될 지역의 작업현장과 유사한 환경하에서 2주일 이상의 기간 동안 성장하도록 하여, 시공되어야 할 작업현장의 환경에 미리 적응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상기의 식생매트를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로 전환시키고,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를 이용하여, 작업현장의 지면(G) 위에 배치하여 완전히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사전적응형 식생매트의 경사면 부착단계와;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100)의 위에 철망(160)을 덮고, 상기의 철망(160)을 고정구(170)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식생매트의 고정단계;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는,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유연성 뼈대 내지 형태 보존의 기능을 담당함과 동시에, 나중에 식물(50)이 자라나 작업현장에 시공되었을 경우에는 식물(50)의 영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볏짚이나 야자수 잎, 보릿대, 옥수수대,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식물성 바인더층(120)과;
    상기 식물성 바인더층의 위에 존재하고 식생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기에 식물(50)을 식재하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그 식물(50)의 씨앗을 발아하게 해주는 토대를 제공해주고, 나중에 상기의 식물(50)이 자라나게 될 경우 상기의 식물에 수분 및 영양성분을 공급해주는 상부토양층(130)과;
    상기 상부토양층의 위에 존재하고, 상기 식물(50)의 씨앗을 상기의 상부토양층(130)에 직접 파종하거나 상기 식물(50)을 직접 식재할 수 있는 천공부(14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의 식물(50)이 상기 상부토양층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동안에, 다른 외래식물들이 날아들어와서 상기의 상부토양층에 착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토양층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난 내부의 자생식물들이 그곳에서 성장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해주는 외부식물 차단층(14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의 상부토양층(130)과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에는 상기 식물(50)의 뿌리부분이 서로 뒤엉켜서 시트형상으로 펼쳐져서 존재하고 있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사전 적응형 식생매트(100)는 경사각도(θ)가 10 도 내지 80 도의 범위에서 조절되어지는 경사면 보조장치(150)를 이용하여 사전 적응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성 바인더층(120)의 아래쪽에는 상기의 식물(50)이 그 뿌리를 더 욱 뻗어나갈 수 있는 하부토양층(110)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20080092806A 2008-08-04 2008-09-22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KR20100015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6121 2008-08-04
KR1020080076121 2008-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67A true KR20100015267A (ko) 2010-02-12

Family

ID=4208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806A KR20100015267A (ko) 2008-08-04 2008-09-22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52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8995A (zh) * 2020-01-07 2020-05-08 厦门市宏展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景观山的斜坡景观施工方法
CN112523231A (zh) * 2020-12-07 2021-03-19 南昌工程学院 一种植被生态混凝土护坡结构及施工方法
KR102437529B1 (ko) 2021-12-15 2022-08-26 김병구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8995A (zh) * 2020-01-07 2020-05-08 厦门市宏展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景观山的斜坡景观施工方法
CN112523231A (zh) * 2020-12-07 2021-03-19 南昌工程学院 一种植被生态混凝土护坡结构及施工方法
KR102437529B1 (ko) 2021-12-15 2022-08-26 김병구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790B2 (en) Method of propagation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CN103975728B (zh) 一种饮用菊花的有机栽培方法
US20150354219A1 (en) Roof-greening grass carpet, cultiv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one-step establishment of turf using the same
JP4281098B1 (ja) 斜面の緑化方法
CN105340507A (zh) 一种佛甲草屋顶绿化种植方法及屋顶绿化种植结构
JP4112539B2 (ja) 屋上緑化装置
CN109121985A (zh) 一种提高移植存活率的乔木丛植方法
KR20100015267A (ko)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CN108901725A (zh) 重楼种植方法及其病虫害防治方法
KR20150097247A (ko)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CN204948899U (zh) 一种佛甲草屋顶绿化种植结构
JP3477410B2 (ja) 法面緑化用の植生基盤材と法面の緑化工法
JP2018064474A (ja) 遮水シートを用いた人工池の水難事故防止緑化
JP2001275502A (ja) 水面浮き床式農法
JP3328583B2 (ja) 植栽装置における育苗層構造とこれに用いる育苗マット
JP2002253007A (ja) 植生マット
JP2955219B2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栽培装置
KR101785785B1 (ko) 도라지 재배용 돌담을 이용한 도라지 재배방법
KR101670009B1 (ko)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CN109906931A (zh) 一种茄果类蔬菜的无土栽培方法
US20050115149A1 (en) Device for adjusting water level
CN108718979B (zh) 豌豆种植方法
KR101461323B1 (ko) 백수오 재배 방법
JPH0978586A (ja) 法面保護緑化用マット
JPH1169918A (ja) グランドカバー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