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605B1 - 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605B1
KR100937605B1 KR1020080039328A KR20080039328A KR100937605B1 KR 100937605 B1 KR100937605 B1 KR 100937605B1 KR 1020080039328 A KR1020080039328 A KR 1020080039328A KR 20080039328 A KR20080039328 A KR 20080039328A KR 100937605 B1 KR100937605 B1 KR 10093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aste
low weight
weigh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548A (ko
Inventor
김용철
정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김용철
정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김용철, 정래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Priority to KR102008003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60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선별할 때에 폐비닐조각과 같은 저중량물이 비산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이 가능하여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을 포함하는 파쇄된 폐기물이 낙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덕트(20)와, 이 제1 덕트(20)의 일측에서 분기되어 하향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 덕트(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덕트(20)의 일측에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공기흡입구(24)가 형성되고, 이 공기흡입구(24)의 상측 내부에는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에 근접되도록 연장되는 플렉시블한 선별판(23)이 구비되며, 상기 중량물(1)은 그 무게에 의해 상기 선별판(23)의 선단측을 통하여 하부로 연장된 상기 제1 덕트(20)의 하부로 배출되고, 상기 저중량물(2)은 상기 제2 덕트(21) 측에서의 공기 흡입에 의해 상기 제2 덕트(21) 내부로 유입된 후에 하부로 배출되는 폐기물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Figure R1020080039328
중량물, 저중량물, 덕트, 선별판, 블로어

Description

폐기물 선별장치{Separation apparatus for a scrapped materials}
본 발명은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선별할 때에 폐비닐조각과 같은 저중량물이 비산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이 가능하여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폐기물 또는 건축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단계에 걸쳐 재활용대상물이나 매립 또는 소각대상물 등으로 분류하는 선별공정과 분류된 폐기물의 부피를 줄여 처리가 용이하도록 파쇄시키는 파쇄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파쇄공정을 거친 폐기물은 대개 파쇄된 병조각이나 철조각과 같은 중량물과 이 중량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폐비닐조각과 같은 저중량물을 포함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술된 바와 같은 중량물과 저중량물을 최종적으로 분리하는 선별공정에서는 풍력을 이용하여 서로 분리해 내는 선별장치가 도입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선별장치는 대개 전공정에서 파쇄된 폐기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에서 중량물과 저중량물을 낙하시킨 상태에서 블로어에 의해 저중량물을 송풍시키도록 구비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폐기물 선별장치는 컨베이어 상에서 중량물과 저중량물이 동시에 이송되는 도중에 저중량물이 컨베이어 상에 안정되지 않고 비산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이에 의해 선별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선별할 때에 폐비닐조각과 같은 저중량물이 비산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이 가능하여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폐기물 처리시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때에 저중량물에 의한 필터의 눈막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을 포함하는 파쇄된 폐기물이 낙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덕트(20)와, 이 제1 덕트(20)의 일측에서 분기되어 하향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 덕트(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덕트(20)의 일측에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공기흡입구(24)가 형성되고, 이 공기흡입구(24)의 상측 내부에는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에 근접되도록 연장되는 플렉시블한 선별판(23)이 구비되며, 상기 중량물(1)은 그 무게에 의해 상기 선별판(23)의 선단측을 통하여 하부로 연장된 상기 제1 덕트(20)의 하부로 배출되고, 상기 저중량물(2)은 상기 제2 덕트(21) 측에서의 공기 흡입에 의해 상기 제2 덕트(21) 내부로 유입된 후에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덕트(21)의 일측에는 상기 저중량물(2)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블로어(31) 및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백(32)를 포함하는 집진수단(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 필터백(32)은 다수의 구획판(3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개별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 하부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게이트(25)가 더 구비되고, 이 게이트(25)에 의해 상기 제2 덕트(21) 입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덕트(20)의 상부에는 폐기물이 이송되는 공급컨베이어(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덕트(20) 또는 제2 덕트(21)의 하부에는 상기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을 각각 수집 또는 반출시킬 수 있도록 수집함(26) 또는 반출컨베이어(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급컨베이어(10)와 반출컨베이어(40)의 선단부 또는 상부 일측에는 폐기물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그 상단이 고정된 플랙시블한 가이드판(12,4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을 포함하는 파쇄된 폐기물이 자유낙하되는 제1 덕트(20)와 이 제1 덕트(20)의 일측에 분기되는 제2 덕트(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덕트(20)에는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에 대응된 위치에 플렉시블한 선별판(23)이 구비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상기 중량물(1)은 그 무게에 의해 상기 선별판(23) 하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저중량물(2)은 상기 제2 덕트(21) 측에서 공기 흡입에 의해 배출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에 따라 제작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적고,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덕트(21)의 일측에는 상기 저중량물(2)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한 블로어(31)와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필터(32)가 구비되는 집진수단(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 필터백(31)은 구획판(3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개별적으로 위치됨으로써, 상기 필터백(31)의 표면에 부착된 폐비닐조각과 같은 저중량물(2)이 탈진시에 인접된 필터백(31)으로 옮겨 붙지 않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필터백(31)의 눈막힘을 줄일 수 있으므로 집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에는 그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게이트(25)가 더 구비됨으로써,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게이트(25)에 의해 제2 덕트(21)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보다 용이하게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을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게이트(25)는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되어 중량물(1)이 무게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상기 선별판(23)의 지지력을 초과하여 하부로 배출되기 위한 충분한 양의 중량물(1)이 수집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중량물(1)이 제2 덕트(21) 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공급컨베이어(10)와 반출컨베이어(40)에는 그 선단부 또는 상부 일측에 플랙시블한 가이드판(12,4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각 컨베이어(10,40) 상에서 이송되는 저중량물(2)이 비산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이송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기물 선별장치(100)은 전단계에서 미리 파쇄된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을 포함하는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공급컨베이어(10)가 구비되고, 이 공급컨베이어(10)의 선단부에는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이 동시에 자유낙하되도록 컨베이어덕트(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덕트(11)의 하단에는 하향 연장하는 제1 덕트(20)의 상단이 결합되고, 이 제1 덕트(20)의 일측에는 제2 덕트(21)가 분기되어 하향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덕트(20)의 내부에는 상 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에 대응된 위치에 선별판(23)이 구비되는데, 상기 선별판(23)은 그 일단이 상기 제1 덕트(20)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경사판(22)에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가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 하부에 근접되도록 하향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덕트(20)의 일측에는 상기 제2 덕트(21)에 대향되게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선별판(23)의 하부에서 외기가 유입되도록 공기흡입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 본 발명의 폐기물 선별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병조각과 같은 중량물(1)과 폐비닐조각과 같은 저중량물(2)은 상기 공급컨베이어(10) 선단부에서 상기 컨베이어덕트(12) 및 제1 덕트(20)의 상부를 통하여 자유낙하되다가 상기 선별판(23)에 의해 낙하가 차단되는데, 이때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적은 저중량물(2)의 일부는 상기 선별판(23)에 의해 튕겨서 상기 제2 덕트(21) 측으로 유입되고,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상기 중량물(1)은 상기 선별판(23)의 상면에 쌓이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물(1)이 쌓이게 되면 그 무게에 의해 플렉시블한 상기 선별판(23)의 선단측이 하향 절곡되면서 틈새를 형성하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하여 하부의 제1 덕트(20)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덕트(21) 측에서 후술되는 블로어(31)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상기 선별판(23)은 상부에서 낙하되는 폐기물과 상기 공기흡입구(24)를 통하여 그 하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하로 반동되면서 상기 저중량물(2)을 일부를 상기 제2 덕트(21) 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시킴과 동시에 폐비닐조각과 같은 비산되는 저중량물(2)이 공기와 함 께 흡입되어 상기 제2 덕트(21) 내로 유입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덕트(20)는 상기 선별판(23)을 기준으로 하부측이 상기 제2 덕트(21)의 반대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어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 덕트(21)는 그 입구측이 완만하게 만곡된 상태에서 하향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덕트(20,21)의 형상에 의해 상기 블로어(25)는 상기 제2 덕트(21) 입구측에 대향된 경사하부에서 송풍이 이루어져 저중량물(2)을 보다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선별방법에 의해 중량물(1)은 상기 제1 덕트(20)의 하단에 구비된 수집함(26)에 쌓이게 되고, 저중량물(2)은 상기 제2 덕트(21)의 하단에 결합되는 컨베이어덕트(41)가 구비된 반출컨베이어(40)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 하부에는 그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판형상의 게이트(25)가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게이트(25)에 의해 중량물(1)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선별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기 게이트(25)는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이 상기 선별판(23)의 상면에 쌓일 때에 상기 제2 덕트(21) 측으로 중량물(1)이 배출되지 않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덕트(21)의 일측 상부에는 저중량물(2)과 그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집진수단(30)이 더 구비되는데, 이 집진수단(30)은 상기 저중량물(2)을 유도하도록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한 블로어(31)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이 블로어(31)의 전방에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다수의 필터백(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필터백(31)은 다수의 구획판(33)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개별적으로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이에 의해 상기 필터백(31)의 표면에 부착된 폐비닐조각과 같은 저중량물(2)이 탈진시에 인접된 필터백(31)으로 옮겨 붙지 않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필터백(31)의 눈막힘을 줄일 수 있으므로 집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컨베이어(10)와 반출컨베이어(40)에는 폐기물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판(12,42)이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컨베이이어(10)에는 상기 가이드판(12)이 공급컨베이어(10)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이 동시에 자유낙하될 때에 상기 공급컨베이어(10)의 상부와 상기 제1 덕트(20) 사이에 격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의 틈새를 통과하도록 구비되어 저중량물(2)이 비산되는 최대한 방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반출컨베이어(40)에는 상기 가이드판(42)이 반출컨베이어(4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집진수단(30)의 탈진시에 비산되는 저중량물(2)이 상기 반출컨베이어(40) 상에 안정적으로 가라앉은 상태로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각 가이드판(12,42)은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그 상단이 상기 각 덕트(20,21) 내에 고정된 것으로, 폐기물의 진행에 의해 그 선단부가 소정의 각도를 절곡되면서 상기 각 컨베이어(10,40)와의 틈새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덕트(21) 내에도 상기 집진수단(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별도의 가이드판(34)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가이드판(34)에 의해 저중량물(2)이 저류되어 상기 반출컨베이어(40) 상으로 직접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집진수단(30) 측으로 유입되는 저중량물(2)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Claims (4)

  1.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을 포함하는 파쇄된 폐기물이 낙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덕트(20)와, 이 제1 덕트(20)의 일측에서 분기되어 하향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 덕트(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덕트(20)의 일측에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공기흡입구(24)가 형성되고, 이 공기흡입구(24)의 상측 내부에는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에 근접되도록 연장되는 플렉시블한 선별판(23)이 구비되며, 상기 중량물(1)은 그 무게에 의해 상기 선별판(23)의 선단측을 통하여 하부로 연장된 상기 제1 덕트(20)의 하부로 배출되고, 상기 저중량물(2)은 상기 제2 덕트(21) 측에서의 공기 흡입에 의해 상기 제2 덕트(21) 내부로 유입된 후에 하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2 덕트(21)의 입구측 하부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게이트(25)가 더 구비되고, 이 게이트(25)에 의해 상기 제2 덕트(21) 입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21)의 일측에는 상기 저중량물(2)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블로어(31) 및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백(32)을 포함하는 집진수단(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 필터백(32)은 다수의 구획판(3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개별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20)의 상부에는 폐기물이 이송되는 공급컨베이어(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덕트(20) 또는 제2 덕트(21)의 하부에는 상기 중량물(1)과 저중량물(2)을 각각 수집 또는 반출시킬 수 있도록 수집함(26) 또는 반출컨베이어(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급컨베이어(10)와 반출컨베이어(40)의 선단부 또는 상부 일측에는 폐기물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그 상단이 고정된 플랙시블한 가이드판(12,4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
KR1020080039328A 2008-04-28 2008-04-28 폐기물 선별장치 KR10093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28A KR100937605B1 (ko) 2008-04-28 2008-04-28 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28A KR100937605B1 (ko) 2008-04-28 2008-04-28 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48A KR20090113548A (ko) 2009-11-02
KR100937605B1 true KR100937605B1 (ko) 2010-01-20

Family

ID=4155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328A KR100937605B1 (ko) 2008-04-28 2008-04-28 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809A (ko) * 2021-10-20 2023-04-28 김양호 벨트컨베이어용 집진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4435B2 (ja) * 2017-06-16 2021-08-25 テクニカマシナリー株式会社 袋類処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078A (ja) * 1984-06-30 1986-01-23 大同特殊鋼株式会社 スラグ除去方法
JPS6115078U (ja) 1984-06-29 1986-01-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短繊維の選別装置
JPS61118682U (ko) 1985-01-11 1986-07-26
JP2000051792A (ja) * 1998-08-05 2000-02-22 Takuma Co Ltd 風力選別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078U (ja) 1984-06-29 1986-01-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短繊維の選別装置
JPS6115078A (ja) * 1984-06-30 1986-01-23 大同特殊鋼株式会社 スラグ除去方法
JPS61118682U (ko) 1985-01-11 1986-07-26
JP2000051792A (ja) * 1998-08-05 2000-02-22 Takuma Co Ltd 風力選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809A (ko) * 2021-10-20 2023-04-28 김양호 벨트컨베이어용 집진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48A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266B2 (en) Aggregate recycling apparatus having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substance and fine particle separation means, and method thereof
KR20100108652A (ko) 곡물 선별기
CN105396781A (zh) 振动风力分选机
US8590709B2 (en) Pneumatic classification of mixtures of particulates
CN101954306B (zh) 一种生物质废弃物粉碎***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JP4315953B2 (ja) 混合廃棄物処理装置
JP4480107B2 (ja) 空き缶等の選別処理装置
CN106541513A (zh) 一种物料分选除尘***
KR100937605B1 (ko) 폐기물 선별장치
CN201702000U (zh) 一种生物质废弃物粉碎***
JP2011212559A (ja) 廃棄物分別装置
CN212329234U (zh) 一种玻璃回收***
JP4182049B2 (ja) 風力選別装置
CN205673075U (zh) 一种生活垃圾处理破袋筛分单元结构
CN101758024B (zh) 垃圾处理正压分选机
CN211757525U (zh) 一种固体废弃物中重金属垃圾收集装置
CN208583790U (zh) 一种振动脱水分离机
CN112024576A (zh) 一种玻璃回收***
KR100421943B1 (ko) 건축폐기물 중 토사 내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CN207857529U (zh) 装修垃圾资源化再利用处置***
KR100766908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CN110721988A (zh) 垃圾分离装置及***
JP4684164B2 (ja) 空き缶処理方法
CN220143655U (zh) 铝电容破碎分选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