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085B1 - 이송대차 - Google Patents

이송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085B1
KR100930085B1 KR1020090024421A KR20090024421A KR100930085B1 KR 100930085 B1 KR100930085 B1 KR 100930085B1 KR 1020090024421 A KR1020090024421 A KR 1020090024421A KR 20090024421 A KR20090024421 A KR 20090024421A KR 100930085 B1 KR100930085 B1 KR 10093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oad
rod
unit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기
Original Assignee
고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102009002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085B1/ko
Priority to PCT/KR2010/001754 priority patent/WO201011056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62B2203/13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comprising a self levell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부가 수납되는 적재물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하강 또는 승강하도록 형성된 이송대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는 이송바퀴가 설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와, 적재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지지유닛은 적재부와 베이스부를 상호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연결부 또는 적재부와 연결되어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연결부 또는 적재부를 하강 또는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는 적재함의 높이가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24421
이송대차, 무동력, 적재물의 무게 및 부피에 따른 자동 높낮이 조절

Description

이송대차 {transfer cart}
본 발명은 이송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부가 적재물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하강 또는 승강하도록 형성된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대차(移送臺車)는 적재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과, 적재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를 포함한다.
이송대차는 적재 대상물에 따라 적재함의 크기나 모양이 다양하게 형성된다.
이송대차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장에서도 많이 사용되는데, 작업대로 부품이나 공구를 운반할 때 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송대차는 운반하는 적재함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적재물을 옮길 때, 적재물의 적재 높이에 따라 허리나 다리를 구부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06632호에는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이송대차는 푸시레버의 조작을 통해 입출되는 공압에 의해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이송대차는 사용자가 직접 상판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서 적재되는 적재물의 적재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적재함이 하강 또는 승강하여 적재물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적재물이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송대차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재물의 적재량에 따라서 적재함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송대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는 이송바퀴가 설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와, 적재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지지유닛은 적재부와 베이스부를 상호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연결부 또는 적재부와 연결되어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연결부 또는 적재부를 하강 또는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각각 하단이 베이스부에 베이스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엑스(X)자 형태로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회동로드를 포함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제2 링크부재와, 제1, 제2 링크부재의 회동로드의 교차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회동축부재를 포함하며, 승강수단은 회동축부재와 연결되어 회동축부재를 하강 또는 승강시키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재부가 하강 또는 승강할 때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하·승강되도록 적재부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되, 가이드부재는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재부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로드와, 적재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적재부의 하·승강시 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며, 가이드롤러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이드로드가 소정깊이 인입될 수 있는 지지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수단은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적재부 또는 연결부를 지지하는 공기식실린더를 포함하되, 공기식실린더는 대기상태의 공기를 기본으로 내장하여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승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에 승강홈과 연통되는 공기출입구가 형성된 실린더바디와, 실린더바디에 승강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연결부 또는 적재부를 지지하고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연장된 스프링장착홈이 마련된 실린더로드와, 상단이 스프링장착홈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있고, 하단이 실린더바디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실린더로드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바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압조절부를 더 구비하되, 공기압조절부는 실린더바디에 연결되며 공기출입구를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로를 제공하는 연장관과, 연장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식실린더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는 적재함의 높이가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대차(100)는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부(20)와, 이송바퀴(11)가 설치된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에 대하여 적재부(20)를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유닛(30)을 구비한다.
베이스부(10)는 하면에 이송바퀴(11)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바퀴(11)가 방향성 캐스터로 적용되었으나, 이송바퀴(11)는 이 외에도 사용되는 사용처의 환경이나 적재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바퀴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의 후방에는 손잡이(12)가 결합되어 있는데, 손잡이(12)는 베이스부(10)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두 개의 수직바(13)와, 수직바(13)의 상단에서 두 수직바(13)를 상호 연결하는 파지부재(14)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파지부재(14)를 파지하고 이송대차(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부(10)의 상면에는 양측 가장자리에 하부가이드레일(15)이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이하 제1 방향(1)이라 함)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는데, 하부가이드레일(15)은 베이스부(10)의 양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개씩 네 개가 마 련되어 있다.
하부가이드레일(15)의 상부에는 완충부재(16)가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완충부재(16)는 후술하는 적재부(20)가 적재물의 적재에 의해 하강할 때, 적재부(20)의 하면과 접촉하여 적재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부(10)의 상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지지유닛(30)의 승강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적재부(20)는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면에는 베이스부(10)와 마찬가지로 양측 전방과 후방에 상부가이드레일(21)이 제1 방향(1)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적재부(20)는 판재를 적재하는 것이므로 상면에 별도의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롤러나 구형의 부재와 같이 이송대차(100)의 이동시 구름운동하여 적재부(20)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있는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별도의 테두리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적재물의 특성이나 종류에 따라 적재부(2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유닛(30)은 베이스부(10)에 대하여 적재부(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베이스부(10)와 적재부(20)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연결부(31)와, 연결부(31)에 결합되어 적재부(20)를 하강 또는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을 포함한다.
연결부(31)는 제1 내지 제4 링크부재(32,33,37,38)와 회동축부재(36)를 구비 하는데, 제1, 제2 링크부재(32,33)는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엑스(X)자 형태로 교차되게 결합되는 회동로드(34)를 구비하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제1 방향(1)과 직교하는 제2 방향(2)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회동로드(34)의 하단에는 롤러부재(35)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롤러부재(35)가 하부가이드레일(15)들에 제1 방향(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링크부재(32,33)는 각각의 회동로드(34)들이 교차지점에서 회동하여 하단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회동로드(34)의 상단의 높이가 낮아지거나 높아지게 된다.
회동축부재(36)는 제1, 제2 링크부재(32,33)의 회동로드(34)들의 교차지점을 상호 연결하도록 제2 방향(2)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3, 제4 링크부재(37,38)는 각각 제1, 제2 링크부재(32,33)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3 링크부재(37)는 각각 하단이 제1 링크부재(32)의 회동로드(34)들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호 엑스자 형으로 힌지결합되는 두 개의 결합로드(39)를 구비하며, 제4 링크부재(38) 역시 제2 링크부재(33)의 회동로드(34)들의 상단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호 엑스자 형으로 힌지결합되는 결합로드(39)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제3 링크부재(32,37)의 결합부분과, 제2, 제4 링크부재(33,38)의 결합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제2 방향(2)을 따라 연장된 보강부재(40)가 마련되어 있어서, 적재부(20)에 적재물이 적재되어 하방으로 하중을 받을 때, 제1, 제3 링크 부재(32,37)와, 제2, 제4 링크부재(33,38) 사이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제3, 제4 링크부재(37,38)의 결합로드(39)들 역시 상단에 각각 롤러부재(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적재부(20)의 하면에 설치된 상부가이드레일(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승강수단(50)은 적재부(20)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적재부(20)를 하강 또는 승강시키는 것으로, 상술한 것처럼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단이 회동축부재(36)를 지지하는 유압식 쇼바(51)와, 유압식 쇼바(51)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56)을 포함한다.
유압식 쇼바(51)는 베이스부(10)에 설치된 실린더(52)와, 실린더(52)에 상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인출로드(53)와, 인출로드(53)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동축부재(36)에 접촉하는 접촉부분(54)을 포함한다.
압축스프링(56)은 인출로드(53)를 감싸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접촉부분(54)과 실린더(52)에 지지되어 인출로드(53)가 실린더(52)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실린더(52)의 일측에는 유압식 쇼바(51)의 감쇠력을 조절하는 조절레버(5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조절레버(55)를 통해 실린더(52) 내에서 이동하는 유체의 유로를 확장하거나 좁힘으로써 유압식 쇼바(51)의 감쇠력을 조절하게 되는데, 적재되는 적재물의 비중에 따라 유압식 쇼바(51)의 감쇠력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즉, 철과 같은 금속류의 경우 비중이 크기때문에 감쇠력을 높이고, 플라스틱 과 같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된 적재물의 경우에는 감쇠력을 낮춘다.
예를 들어 같은 부피의 금속롤러와 플라스틱롤러가 각각 금속롤러는 개당 1kg, 플라스틱롤러는 0.2kg의 무게를 갖는다고 할 때, 이 적재물들을 적재부(20)에 적재할 경우 금속롤러 100개는 100kg이지만 플라스틱롤러 100개는 20kg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감쇠력을 동일하게 세팅하고 적재부(20)에 각각 동일 갯수의 금속롤러와 플라스틱롤러를 적재한다고 가정하면 금속롤러를 적재한 적재부(20)가 플라스틱롤러를 적재하는 경우보다 급격하게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물의 종류나 비중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적재부(20)의 하강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감쇠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쇼바(51)의 감쇠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55)는 유니버셜조인트(61)에 의해 연결되는 연장로드(62)들을 통해 손잡이(12)측으로 연장되고, 손잡이(12)에 지지되어 있는 최후단 연장로드(62)에는 회전레버(63)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이 회전레버(63)를 회전시켜 쇼바(51)의 감쇠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레버(63)에 감쇠력의 크기를 표시할 수 있는 숫자 또는 별도의 표식을 표시하고, 손잡이(12)에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표시하여 기준점에 대응하는 숫자표시를 통해 감쇠력의 크기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 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수단(50)으로서, 유압식 쇼바(51)와 압축스프링(56)이 적용되었으나, 이 와는 달리 공압식 쇼바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적재물을 이송하는 것이 아닌 경우 즉, 한가지 종류의 제품이나 재료만을 이송하는 경우에는 감쇠력을 별도로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감쇠력 조절기능이 없는 쇼바부재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승강수단(50)은 쇼바를 구비하지 않고 압축스프링(56)의 탄성력만으로 적재부(20)를 하강 또는 승강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쇠력의 조절은 불가능하지만 적재물의 적재시 적재부(2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압축스프링(56)이 압축되어 적재부(20)가 하강하게 되고, 적재물을 제거하여 적재부(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작아지게되면 압축스프링(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적재부(20)가 다시 승강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이송대차(100)의 구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회전레버(63)를 통해 적재하는 적재물의 비중에 맞춰서 쇼바(51)의 감쇠력을 적절히 조절한 다음 적재물을 적재부(20)에 적재한다.
지지유닛(30)은 적재부(20)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하중에 따라서 적재부(20)를 하강시키게 되는데, 적재부(20)에 인가되는 적재물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적재부(20)에 결합된 결합로드(39)의 상단과 베이스부(10)에 결합된 회동로드(34)의 하단이 상호 멀어지도록 제1 방향(1)을 따라서 슬라이딩 하게되며 회동로드(34)와 결합로드(39)의 회동에 의해 적재부(20)가 점점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적재물을 적재하더라도 적재부(20)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송대차(100)를 이동하여 적재물을 하역할 때에는 작업자가 최상단의 적재물부터 하역을 실시하게 되는데, 적재물이 하역될 때마다 적재부(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작아지게 되므로 압축스프링(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적재부(20)가 점점 상승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축스프링(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압축스프링(56)이 쇼바(51)의 인출로드(53)를 상방으로 인출시키게되며, 접촉부분(54)이 회동축로드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된다.
회동축로드가 제1, 제2 링크부재(32,33)의 회동로드(34)들의 교차지점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축로드의 승강에 따라 회동로드(34)들의 교차지점 역시 상방으로 승강하게 되고, 회동로드(34)들의 상단과 하단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동로드(34)의 상단이 상호 인접하게 되므로 결합로드(39) 역시 하단과 상단이 상호 인접하도록 회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적재부(20)가 점점 승강하게 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이송대차(100)는 적재되는 적재물의 하중에 따라서 적재부(20)의 높이가 하강하거나 승강하게되므로, 적재부(20)에 적재된 적재물의 양에 상관없이 적재물이 일정높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또는 적재물을 하나씩 꺼내어 작업을 실시할 때, 적재부(20)에 적재된 최 상단의 적재물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편의성이 극대화된다.
도 5에는 이송대차(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이송대차(200)는 베이스부(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부재(7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70)는 적재부(20)가 하강 또는 승강하는 과정에서 제2 방향(2)을 따라 유동하여 적재물이 이탈하거나 제1 내지 제4 링크부재(32,33,37,38)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재부(20)가 수직방향을 따라 하·승강 할 수 있게 승강방향을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부재(70)는 상단의 높이가 적재부(20)가 지지유닛(30)에 의해 최 상단에 위치해있을 때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적재부(20)에 롤러나 구형의 부재들을 적재할 경우 적재물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70)가 베이스부(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되게 연장되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기둥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복수개의 단위부재들이 베이스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적재물이 이탈 가능성이 없는 플레이트 형상인 경우에는 가이드부재는 적재부(20)의 승강방향만을 가이드하면 되므로 베이스부(10)의 양 측면에서 각각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재는 별도의 부재를 장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손잡이(12)의 수 직바(13)가 베이스부(10)재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수직바(13)에 의해 적재부(20)의 승강방향이 가이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앞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그 형태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9에는 이송대차(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송대차(300)는 베이스부(310)와, 적재부(320), 베이스부(310)와 적재부(3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1), 적재부(320)를 하·승강시키는 승강수단(330) 및 적재부(320)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6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10)는 하면에 이송바퀴(31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후술하는 승강수단(330)의 공기식실린더(33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310)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네 개의 하부롤러가이드홈(312)이 형성되어 있는데, 하부롤러가이드홈(312)의 폭은 연결부(31)의 회동로드(34)에 장착된 롤러부재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롤러부재는 하부롤러가이드홈(312)에 의해서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310)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롤러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별도로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베이스부(310)의 상부에는 네 모서리에는 스토퍼(313)가 마련되어 있는데, 스토퍼(313)는 제1 로드(314)와, 제1 로드(314)의 내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로드(315)와, 제2 로드(315)의 외주면을 감싸는 압축스프링(316)을 포함한다.
압축스프링(316)은 하단이 제1 로드(314)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있고, 상단이 제2 로드(315)의 상단에 마련된 접촉부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부(320)가 하강했을 때, 접촉부에 적재부(320)의 하단이 접촉하여 적재부(320)의 하강에 의한 후술하는 공기식실린더(33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 발생을 방지하고, 적재부(320)에 적재된 화물을 치워 공기식실린더(331)에 내제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적재부(320)가 다시 승강할 때 압축스프링(316)에 의한 복원력이 적재부(320)의 승강을 돕는다.
적재부(320)는 베이스부(31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연결부(31)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데, 적재부(320)의 하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결부(31)의 롤러부재를 가이드하는 상부롤러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재부(320)의 상면에는 화물이 적재된다.
또한 적재부(32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321)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이탈방지판(322)들을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적재되는 화물이 볼이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적재부(320)의 상부에서 굴러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화물이 적재부(320)로부터 이탈할 위험이 있으므로 이탈방지판(322)을 적재부(320)의 상면에 체결하여 화물의 이탈을 방지한다.
물론 적재부(320)에 적재되는 화물이 이탈방지판(322)을 설치하지 않아도 적 재부(320)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이탈방지판(322)을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적재부(320)의 전후방만 이탈방지판(322)을 설치하거나 좌우측만 이탈 방지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연결부(31)는 제1 실시예의 연결부(31)와 동일구조를 가지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재(360)는 적재부(320)가 연결부(31)와 후술하는 승강수단(330)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질 때, 적재부(320)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적재부(320)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부재(360)는 베이스부(3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가이드로드(361)와, 적재부(320)에 설치되어 가이드로드(361)를 따라 하·승강되는 가이드롤러(363)를 포함한다.
가이드로드(361)는 하단이 베이스부(3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데, 각각 적재부(320)의 좌우측면과 인접하도록 연장된다.
가이드로드(361)의 상단은 적재부(320)에 적재된 화물이 없는 상태에서 적재부(320)가 위치하는 최상점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있는데, 가이드로드(361)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로드(362)가 마련되어 있어서 연결로드(362)를 손잡이로 활용해 이송대차(300)를 이동시킬때, 작업자가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롤러(363)는 적재부(32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롤러하우징(36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각각의 가이드롤러(363)는 가이드로드(361)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두 개의 가이드롤러(363)가 각각 적재부(320)에 고정되어 가이드로드(361)를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적재부(320)가 하강 또는 승강하는 과정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가이드로드(361)의 상하 연장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승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롤러(363)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지지홈(36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홈(364)은 가이드로드(361)의 형상에 대응하여 가이드로드(361)가 가이드롤러(363)의 회전중심을 향해 소정깊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로드(36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이 반원형상이 지지홈(36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로드(361)가 지지홈(364)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롤러(363)가 가이드로드(361)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적재부(320)가 하강 또는 승강하는 과정에서 좌우방향의 유동 뿐 아니라 전후방향으로 유동하는 것도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로드(361)가 원통형이고 지지홈(364) 역시 이에 대응하는 유(U)자 형의 단면을 갖는 홈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가이드로드(361)는 이 외에도 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지지홈(364)은 가이드로드(361)가 가이드롤러(363)의 회전중심을 향해 소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롤러(363)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363)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승강수단(330)은 연결부(31)의 회동축부재(36)를 지지하는 공기식실린더(331)와, 공기식실린더(331)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압조절 부(350)를 포함한다.
공기식실린더(331)는 실린더바디(331)와, 실린더바디(33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로드(336)와, 실린더로드(336)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스프링(341)을 포함하며 공기식실린더(331)의 내부에는 대기 상태의 공기가 내장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공기식실린더(331)은 대기중의 공기를 이용해 구동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오일이나 가스성분의 누출에 의한 오염발생 가능성이 없어 친환경적인 구성을 갖는다.
실린더바디(331)는 베이스부(31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되어 있는 승강홈(33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바디(331)의 하부 일측에는 승강홈(333)과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출입구(334)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로드(336)는 승강홈(333)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것으로 하단에는 승강홈(333) 내에서 승강되는 피스톤(3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회동축부재(36)와 접촉되어 회동축부재(36)를 지지하는 축지지부(339)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338)에는 피스톤(338)을 중심으로 승강홈(333) 내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의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오링(340) 및 유(U)패킹(340a)이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바디(331)에도 실린더로드(336)와의 접촉부에 오링(3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로드(336)는 하면에 상방으로 인입된 스프링장착홈(337)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스프링(341)은 실린더로드(336)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한 것 으로 실린더바디(331)와 실린더로드(336)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탄성스프링(341)은 압축스프링(316)이 적용되었으며, 하단은 실린더바디(331)의 승강홈(333) 내 바닥면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단은 실린더로드(336)의 스프링장착홈(337) 상단면에 지지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적재부(320)에 화물이 적재되어 실린더로드(336)가 하강하게 되면 탄성스프링(341)이 압축되며, 이후 하중이 사라지면 탄성스프링(341)의 복원력에 의해 실린더로드(336)가 다시 상방으로 승강하면서 회동축부재(36)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공압실린더에서는 실린더로드(336)를 상방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로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스프링의 상단은 로드의 상단에 지지되고, 하단은 실린더본체의 상단에 지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공압실린더의 구조에서는 예를들어 요구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이나 탄성력을 고려하여 100cm 길이의 스프링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면, 실린더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로드의 길이가 100cm가 되어야만 스프링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로드가 하강하여 삽입될 수 있는 공간 역시 길어져야 하므로 실린더본체의 길이 역시 증가해야 하므로 공압실린더 전체의 길이는 200cm 이상이 되어야 한다.
반면 본 발명의 공기식실린더(331)는 탄성스프링(341)이 실린더바디(331) 내부에 설치되며, 특히 실린더로드(336)에 상방으로 연장된 스프링장착홈(33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스프링(341)이 실린더로드(33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 는 경우보다 실린더로드(336)와 실린더바디(331) 전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공기식실린더(331)의 높이를 낮추면 공기식실린더(331)에 의해 지지되는 회동축부재(36)의 설치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적재부(320)의 설치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설계와 제작시에 적재부(320)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높게하거나 낮게 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압조절부(350)는 실린더바디(33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에 따른 적재부(320)의 하강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중량의 화물이라 하더라도 부피가 큰 적재물은 적재부(320)의 하강 길이가 더 길어야 하고, 반대로 부피가 작은 적재물은 적재부(320)의 하강 길이가 짧아야 작업자가 적재된 화물을 운반하거나 이를 이용해 작업하는 것이 용이해 지기 때문이다.
공기압조절부(350)는 연장관(351)과, 연장관(351)의 일측에 설치된 레귤레이터(352)를 포함한다.
연장관(351)은 실린더바디(331)에 공기출입구(334)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공기출입구(334)를 통해 실린더바디(331)의 내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연장관(351)의 일측에는 레귤레이터(352)가 설치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것처럼 레귤레이터(352)는 압력조절을 위한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베이스부(310)의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물론 레귤레이터(352)의 설치위치는 작업자의 조작성을 높이기 위해 조작이 편리한 여러지점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연장관(351)도 그에 대응하여 연장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352)로부터 더 연장된 연장관(351)의 단부는 레귤레이터(352)에 의해 실린더바디(331) 내부의 압력조절에 사용되는 공기의 저장탱크로 사용된다.
승강수단(330)에 의한 적재부(320)의 하강 및 승강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적재부(320)에 화물을 적재하면 화물의 중량에 의해 실린더로드(336)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부(310)와 적재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1) 역시 링크연결되어 있으므로 적재부(320)의 하강이 가능하도록 상호 회동하게 된다.
실린더로드(336)가 하강하면 피스톤(338)의 하부에 있는 공기는 공기출입구(334)를 통해 연결관으로 토출되고, 피스톤(338)의 하강으로 인해 피스톤(338)의 상부는 진공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레귤레이터(352)에 의해 실린더 바디 내부의 압력이 조절되어 있기 때문에 레귤레이터(352)에 의해 조절된 압력에 따라 동일 하중에 대하여 실린더로드(336)가 하강하는 하강높이는 상호 다르게 세팅될 수 있다.
이후, 적재된 화물이 치워져 하중이 점점 줄어들게 되면 탄성스프링(341)의 복원력과 공기식실린더(331)의 내부 잔류 압력에 의해 실린더로드(336)는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며, 공기출입구(334)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실린더 내부로 재 유입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이송대차(300)는 적재되는 화물의 비중에 따라 단위중량당 적재부(320)의 하강거리를 공기압조절부(350)를 통해 조절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360)에 의해 적재부(320)가 하강 또는 승강하는 과정에서 전후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으므로 화물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적재부와 연결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이송대차의 단면도,
도 5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이송대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이송대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제3 실시예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가이드부재가 가이드로드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제3 실시예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부분절단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송대차
10; 베이스부
20; 적재부
30; 지지유닛
31; 연결부
50; 승강수단
70; 가이드부재

Claims (5)

  1. 이송바퀴가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각각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엑스(X)자 형태로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회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제2 링크부재와, 상기 제1, 제2 링크부재의 회동로드의 교차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회동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상호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 또는 적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연결부 또는 적재부를 하강 또는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승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에 상기 승강홈과 연통되는 공기출입구가 형성된 실린더바디와, 상기 실린더바디에 상기 승강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연결부 또는 적재부를 지지하고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연장된 스프링장착홈이 마련된 실린더로드와, 상단이 스프링장착홈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실린더바디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실린더로드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외부 동력원의 동력 공급없이 상기 실린더바디 내에서 압축되는 공기의 압력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과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하중 사이의 힘의 평형을 통해 상기 적재부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공기식실린더를 포함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비중에 따라 적재되는 적재물의 단위 중량당 적재부의 하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실린더바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압조절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압조절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실린더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출입구를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로를 제공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식실린더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송대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름운동이 가능한 적재물의 적재시 상기 적재물이 적재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과,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네 모서리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의 내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이 적재물이 적재되어 하강한 상기 적재부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로드와, 상기 제2 로드의 외주면을 감싸며, 하단이 상기 제1 로드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제2 로드의 상단에 마련된 접촉부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제1 로드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토퍼와,
    상기 적재부가 하강 또는 승강할 때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하·승강되도록 상기 적재부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재부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로드와, 상기 적재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부의 하·승강시 상기 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로드가 소정깊이 인입될 수 있는 지지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4. 삭제
  5. 삭제
KR1020090024421A 2009-03-23 2009-03-23 이송대차 KR10093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21A KR100930085B1 (ko) 2009-03-23 2009-03-23 이송대차
PCT/KR2010/001754 WO2010110569A2 (ko) 2009-03-23 2010-03-22 이송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21A KR100930085B1 (ko) 2009-03-23 2009-03-23 이송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085B1 true KR100930085B1 (ko) 2009-12-07

Family

ID=4168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421A KR100930085B1 (ko) 2009-03-23 2009-03-23 이송대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0085B1 (ko)
WO (1) WO2010110569A2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331A1 (ko) * 2012-12-10 2014-06-19 Go Byeong Ki 승강형 이송대차
KR101412952B1 (ko) 2013-10-30 2014-06-26 고병기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KR101426073B1 (ko) * 2012-12-10 2014-08-01 고병기 접이식 이송대차
KR101426072B1 (ko) 2012-11-26 2014-08-01 고병기 이송대차
KR101426074B1 (ko) 2012-11-26 2014-08-13 고병기 풋다운 방식 이송대차
KR20160063830A (ko) 2014-11-27 2016-06-07 고광민 자동 이송대차
CN106853834A (zh) * 2016-12-24 2017-06-16 桐城市五强彩钢制品有限公司 一种可调高的手动平板推车
CN108247597A (zh) * 2018-03-20 2018-07-06 安徽工程大学 一种槽钢或工字钢减振放置架
KR102019143B1 (ko) * 2019-04-05 2019-09-06 조혜안 플라스틱 사출물 검사장치
KR102116654B1 (ko) * 2018-11-27 2020-05-28 강명수 과일상자 승하강 장치
KR102140525B1 (ko) * 2020-06-10 2020-08-03 주식회사 케이크린 대차리프트
CN112319566A (zh) * 2020-11-20 2021-02-05 湖南省至科铸造有限责任公司 一种矿山设备运输装置
EP3984857A1 (en) 2020-10-16 2022-04-20 OKO Co.,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CN114920169A (zh) * 2022-04-26 2022-08-19 闽都创新实验室 一种升降式物流设备
CN114955972A (zh) * 2022-07-15 2022-08-30 连云港天邦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交叉杆结构伸缩垂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4476B (zh) * 2014-09-25 2017-10-03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医院用移动患者的转运装置
CN104224477B (zh) * 2014-09-25 2017-10-24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转运装置
CN104224457A (zh) * 2014-09-25 2014-12-24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病人用折叠式转运装置
CN107176190A (zh) * 2017-07-24 2017-09-19 池州市勇攀智岩机电有限公司 一种可升降式医疗设备转运装置
IT201800010203A1 (it) * 2018-11-09 2020-05-09 Dante Bertoni S R L Struttura di sostegno auto-livellante e relativo contenitore
CN111605597B (zh) * 2020-06-05 2021-07-06 杭州汉辰服饰有限公司 一种基于气压吸力固定方便上下货物的辅助搬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34Y1 (ko) * 2001-03-20 2001-10-08 주식회사 앤투앤 에어실린더
KR100859164B1 (ko) * 2007-07-03 2008-09-19 내일시스템주식회사 탑샤시용 카세트가 구비된 대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402B1 (ja) * 1999-03-30 2000-06-12 株式会社オフィスイチマルハチ 柩用台車
JP3621350B2 (ja) * 2001-01-24 2005-02-16 株式会社菊水製作所 台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34Y1 (ko) * 2001-03-20 2001-10-08 주식회사 앤투앤 에어실린더
KR100859164B1 (ko) * 2007-07-03 2008-09-19 내일시스템주식회사 탑샤시용 카세트가 구비된 대차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072B1 (ko) 2012-11-26 2014-08-01 고병기 이송대차
KR101426074B1 (ko) 2012-11-26 2014-08-13 고병기 풋다운 방식 이송대차
KR101426073B1 (ko) * 2012-12-10 2014-08-01 고병기 접이식 이송대차
WO2014092331A1 (ko) * 2012-12-10 2014-06-19 Go Byeong Ki 승강형 이송대차
KR101412952B1 (ko) 2013-10-30 2014-06-26 고병기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KR20160063830A (ko) 2014-11-27 2016-06-07 고광민 자동 이송대차
CN106853834A (zh) * 2016-12-24 2017-06-16 桐城市五强彩钢制品有限公司 一种可调高的手动平板推车
CN108247597A (zh) * 2018-03-20 2018-07-06 安徽工程大学 一种槽钢或工字钢减振放置架
KR102116654B1 (ko) * 2018-11-27 2020-05-28 강명수 과일상자 승하강 장치
KR102019143B1 (ko) * 2019-04-05 2019-09-06 조혜안 플라스틱 사출물 검사장치
KR102140525B1 (ko) * 2020-06-10 2020-08-03 주식회사 케이크린 대차리프트
EP3984857A1 (en) 2020-10-16 2022-04-20 OKO Co.,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US11414115B2 (en) 2020-10-16 2022-08-16 Oko Co., 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CN112319566A (zh) * 2020-11-20 2021-02-05 湖南省至科铸造有限责任公司 一种矿山设备运输装置
CN114920169A (zh) * 2022-04-26 2022-08-19 闽都创新实验室 一种升降式物流设备
CN114955972A (zh) * 2022-07-15 2022-08-30 连云港天邦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交叉杆结构伸缩垂管
CN114955972B (zh) * 2022-07-15 2023-11-24 连云港天邦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交叉杆结构伸缩垂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569A2 (ko) 2010-09-30
WO2010110569A3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085B1 (ko) 이송대차
KR101426072B1 (ko) 이송대차
US7481440B2 (en) Biasing means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KR101426073B1 (ko) 접이식 이송대차
JP2009539732A (ja) 延長フォークを有するパレット台車
WO2014092331A1 (ko) 승강형 이송대차
KR102140525B1 (ko) 대차리프트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US20020109319A1 (en) Ergonomic merchandiser
EP2560915B1 (en) Variable-capacity self-adjusting pneumatic load elevator
US8033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moving load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20100066048A (ko) 이송대차
WO2004043762A1 (en) Trolley for handling and lifting an applianc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high structure, particularly a ceiling
KR101926345B1 (ko) 공압완충식 전동트롤리
KR102236143B1 (ko)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JP2011178345A (ja) 傾斜台車
KR20100000909U (ko) 대형 파이프 이송 대차
CN210133846U (zh) 手动叉车
KR20130092166A (ko) 테이블 리프트
KR20120069075A (ko)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KR100803718B1 (ko) 그린타이어 운반용 대차
JP4541079B2 (ja) 長尺物用パレットへの長尺物の積載方法並びに長尺物積載パレットの輸送容器への搬送方法
KR100881125B1 (ko) 리프트 장치
KR20040094062A (ko)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