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358B1 -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358B1
KR100922358B1 KR1020080018369A KR20080018369A KR100922358B1 KR 100922358 B1 KR100922358 B1 KR 100922358B1 KR 1020080018369 A KR1020080018369 A KR 1020080018369A KR 20080018369 A KR20080018369 A KR 20080018369A KR 100922358 B1 KR100922358 B1 KR 100922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ssembly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base portio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058A (ko
Inventor
조대한
하근동
김민수
이현희
이동수
강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3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55Capacitors with a dielectric comprising a perovskite structure material
    • H01L28/56Capacitors with a dielectric comprising a perovskite structure material the dielectric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comprising buffer layers, seed layers, gradi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3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 H10K30/353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comprising blocking layers, e.g. exciton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을 구비하여 내충격 특성을 개선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와, 패널 어셈블리와 완충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프레임을 포함한다. 탄성 프레임은 패널 어셈블리의 두께 방향을 따라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완충부재, 완충테이프, 하부베젤, 상부베젤, 탄성프레임, 탄성부재, 컨택스프링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을 구비하여 내충격 특성을 개선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정공 주입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층 내부에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낮은 소비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반응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장치로 여겨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내부에 유기발광 소자들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의 후방에서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베젤과, 연성 회 로기판을 통해 패널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기판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가 액정으로 채워진 액정 표시장치와 달리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구조이므로 낙하 충격에 취약하다. 또한, 패널 어셈블리는 양면 테이프를 통해 직접 베젤에 부착되므로, 베젤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 충격은 패널 어셈블리로 곧장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장착된 전자 기기를 사용 중에 떨어뜨리면, 순간적으로 큰 비틀림 하중 또는 굽힘 하중이 베젤에 작용하여 베젤이 변형하게 된다. 그 결과, 베젤에 결합되어 있는 패널 어셈블리에 비틀림 하중과 굽힘 하중이 그대로 전달되어 패널 어셈블리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을 구비하여 내충격 특성을 개선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며 표시 영역 내부에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와, 패널 어셈블리와 완충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패널 어셈블리의 두께 방향을 따라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탄성 프레임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는 탄성 부재들을 수납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완충층과, 완충층의 윗면과 아랫면에 위치하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프레임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컨택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부재들은 베이스부로부터 굽힘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들은 베이스부로부터 한 번 굽힘되어 베이스부와 경사각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탄성 부재들은 베이스부로부터 두 번 굽힘되어 베이스부와 경사각을 두고 위치하는 경사부 및 베이스부와 평행한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들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들과 제2 영역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들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굽힘될 수 있다.
탄성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강, 냉간압연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합금, 및 구리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널 어셈블리와 완충 부재 및 탄성 프레임을 수납 및 고정하는 하부 베젤과, 패널 어셈블리의 전방에 고정되는 상부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베젤과 상부 베젤은 각자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전술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수납하는 세트 프레임과, 세트 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는 투명 보호부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는 세트 프레임과 투명 보호부 사이에 위치하면 서 완충 기능을 가지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낙하 충격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완충 부재와 탄성 프레임에 의해 패널 어셈블리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패널 어셈블리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표시 영역(A10)과 패드 영역(A20)을 구비하며 표시 영역(A10)에서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12)와, 연성 회로기판(14)을 통해 패널 어셈블리(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6)과, 패널 어셈블리(12)의 후방에서 패널 어셈블리(12)와 결합되는 하부 베젤(18)과, 패널 어셈블리(12)의 전방에서 패널 어셈블리(12)와 결합되는 상부 베젤(20)을 포함한다.
패널 어셈블리(12)는 제1 기판(22)과, 제1 기판(2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 며 실런트에 의해 가장자리가 제1 기판(22)에 고정되는 제2 기판(24)을 포함한다. 실런트 내측으로 제1 기판(22)과 제2 기판(24)이 중첩되는 영역에 실제 영상 표시가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A10)이 위치하고, 실런트 외측의 제1 기판(22) 위에 패드 영역(A20)이 위치한다.
제1 기판(22)의 표시 영역(A10)에는 부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표시 영역(A10)과 실런트 사이 또는 실런트의 외측에 부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와 데이터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한다. 제1 기판(22)의 패드 영역(A20)에는 스캔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패드 전극들(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패널 어셈블리의 부화소 회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패널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패널 어셈블리(12)의 부화소는 유기발광 소자(L1)와 구동 회로부로 이루어진다. 유기발광 소자(L1)는 애노드 전극(26)과 유기 발광층(28) 및 캐소드 전극(30)을 포함하며, 구동 회로부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저장 캐패시터(C1)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T1)와 구동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 라인(S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되고, 스캔 라인(SL1)에 입력되는 스위칭 전압에 따라 데이터 라인(DL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T2)로 전송한다. 저장 캐패시터(C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와 전원 라인(VDD)에 연결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전송받은 전 압과 전원 라인(VDD)에 공급되는 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전원 라인(VDD)과 저장 캐패시터(C1)에 연결되어 저장 캐패시터(C1)에 저장된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출력 전류(IOELD)를 유기발광 소자(L1)로 공급하고, 유기발광 소자(L1)는 출력 전류(IOLED)에 의해 발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소스 전극(30)과 드레인 전극(32) 및 게이트 전극(34)을 포함하며, 유기발광 소자(L1)의 애노드 전극(26)이 구동 트랜지스터(T2)의드레인 전극(32)에 연결될 수 있다. 부화소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2 기판(24)은 실런트에 의해 제1 기판(2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합되어 제1 기판(22)에 형성된 구동 회로부들과 유기발광 소자들을 외부로부터 밀봉시켜 보호한다. 제2 기판(24)이 패널 어셈블리(12)의 상부 기판이 될 수 있으며, 제2 기판(24)의 내면에 흡습재(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패널 어셈블리(12)의 패드 영역(A20)에는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집적회로 칩(36)이 실장되고, 에프피시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방식으로 연성 회로기판(14)이 실장된다. 집적회로 칩(36)과 연성 회로기판(14)의 주위에는 보호막(38)이형성되어 패드 영역(A20)에 형성된 패드 전극들을 덮어 보호한다.
인쇄회로기판(16)에는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도시하지 않음)이 실장되며, 외부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6)으로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40)가 설치된다. 패드 영역(A20)에 고정된 연성 회로기판(14)은 하부 베젤(18)의 뒤쪽으 로 접혀 인쇄회로기판(16)이 하부 베젤(18)의 아랫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패널 어셈블리(12)의 후방에서 패널 어셈블리(12)를 보호하는 하부 베젤(18)은 기본적으로 패널 어셈블리(12)가 올려지는 바닥부(42)와, 바닥부(42)의 가장자리들 중 연성 회로기판(14)이 접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벽(44)으로이루어진다. 측벽(44)은 바닥부(42)로부터 패널 어셈블리(12)를 향해 연장되어 패널 어셈블리(12)의 측면과 마주한다.
하부 베젤(18)의 구조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바닥부(42)의 가장자리들 중 연성 회로기판(14)이 접히는 가장자리에 강도 보강을 위한 플랜지(도시하지 않음)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베젤(20)은 패널 어셈블리(12)의 표시 영역(A10)을 개방시키는 개구부(201)를 형성하며, 패널 어셈블리(12) 중 표시 영역(A10) 이외의 나머지 영역을 덮어 보호한다. 상부 베젤(20)은 개구부(201)를 둘러싸는 덮개부(46)와, 덮개부(46)의 가장자리로부터 패널 어셈블리(12)를 향해 연장되는 측벽(48)으로이루어진다.
상부 베젤(20)의 측벽(48)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베젤(18)의 측벽(44) 바깥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베젤(20)이 하부 베젤(18)을 둘러싸면서 하부 베젤(18)과 결합한다. 도 1에 도시한 4개의 상부 베젤(20)의 측벽(48) 중 연성 회로기판(14)이 접히는 어느 하나의 측벽(48)에 연성 회로기판(14)을 통과시키기 위한 절개부(48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베젤(20)과 패널 어셈블리(12) 사이에는 완충 테이프(50)가 위 치할 수 있다. 완충 테이프(50)는 상부 베젤(20)에서 패널 어셈블리(12)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부 베젤(20)과 마찬가지로 패널 어셈블리(12)의 표시 영역(A10)을 개방시키는 개구부(501)를 형성한다. 완충 테이프(50)는 고무층(도시하지 않음)과, 고무층의 윗면과 아랫면에 위치하는 점착층(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베젤(20)의 구조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부 베젤(20)은 측벽(48) 없이 덮개부(46)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베젤(18)과 상부 베젤(20)은 강성이 높은 재료, 일례로 스테인리스 강, 냉간압연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 베젤(18)은 굽힘 가공을 통해 바닥부(42)로부터측벽(44)을 세워 완성할 수 있으며, 상부 베젤(20) 또한 굽힘 가공을 통해 덮개부(46)로부터 측벽(48)을 세워 완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서 패널 어셈블리(12)와 하부 베젤(18) 사이에는 완충 부재(52)와 탄성 프레임(54)이 위치하여 하부 베젤(18)에서 패널 어셈블리(12)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저감시킨다. 완충 부재(52)가 하부 베젤(18)의 바닥부(42)에 놓여지고, 탄성 프레임(54)이 패널 어셈블리(12)와 완충 부재(52) 사이에 위치한다.
완충 부재(52)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완충층(521, 도 3 참고)과, 완충층(521)의 윗면과 아랫면에 위치하는 점착층(522, 도 3 참고)으로 이루어진다. 완 충층(521)은 스폰지, 우레탄 및 우레탄 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52)는 다음에 설명하는 탄성 프레임(54)의 탄성 부재(56)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523)를 형성한다.
탄성 프레임(54)은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평평한 베이스부(58)와, 베이스부(58)로부터 굽힘되어 완충 부재(52)의 개구부(523)에 위치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56)와, 베이스부(58)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컨택 스프링(60)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56)는 패널 어셈블리(1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탄성을 지닌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탄성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탄성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복수의 탄성 부재(56)는 탄성 프레임(54)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나란히 위치한다. 각각의 탄성 부재(56)는 한쪽 끝단이 베이스부(58)로부터 하부 베젤(18)을 향해 굽힘되어 완충 부재(52)의 개구부(523)에 위치하며, 반대편 끝단이 하부 베젤(18)과 접촉한다.
탄성 프레임(54)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들(56)은 한쪽 방향을 향해 굽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탄성 프레임(54)은 베이스부(58)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누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들(56)과 제2 영역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들(56)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굽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과 도 7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탄성 프레임(54)에 구비된 탄성 부재들(56)은 외력에 의해 베이스부(58)와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컨택 스프링(60)은 베이스부(58)의 코너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컨택 스프링(60)의 위치와 개수 등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3에서 컨택 스프링(60)은 패널 어셈블리(12)의 측면과 접촉하는 하부(601)와, 하부(601)로부터 패널 어셈블리(12)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굽힘되어 하부 베젤(18)의 측벽(44)과 접촉하는 상부(602)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탄성 프레임(54)은 탄성력이 높고 열 전달이 용이한 금속 재료, 일례로 스테인리스 강, 냉간압연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합금, 및 구리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패널 어셈블리(12)와 탄성 프레임(54)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62)가 위치하여 패널 어셈블리(12)와 탄성 프레임(54)을 고정시킨다. 이때, 양면 테이프(62)에도 탄성 부재(56)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부(621)가 형성되어 탄성 프레임(54)의 베이스부(58)를 패널 어셈블리(12)의 제1 기판(22)에 고정시킨다.
전술한 구성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서 낙하 충격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면, 완충 테이프(50)가 상부 베젤(20)에서 패널 어셈블리(12)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저감시키고, 충격 도달 시간을 늘린다. 마찬가지로 완충 부재(52)가 하부 베젤(18)에서 패널 어셈블리(12)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며, 충격 도달 시간을 늘린다.
또한,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시점에서 탄성 프레임(54)의 탄성 부재들(56)은 압축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탄성 부재들(56)의 압축 작용으로 패널 어셈블리(12)와 하부 베젤(18)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즉, 패널 어셈블리(12)는 탄성 프레임(54)에 의해 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 에너지가 탄성 부재들(56)의 압축 에너지로 일부 변환되어 탄성 프레임(54)이 패널 어셈블리(12)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저감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낙하 충격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전술한 완충 부재(52)와 탄성 프레임(54)에 의해 패널 어셈블리(12)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저감시킴에 따라, 패널 어셈블리(12)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중 탄성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탄성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본 변형예에서 탄성 프레임(54')은 탄성 부재들(56')이 2번 굽힘되어 베이스부(58)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부(561)와, 베이스부(58)와 평행한 수평부(562)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탄성 프레임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의 탄성 프레임과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인용 부호를 사용한다.
탄성 부재(56')가 수평부(562)를 구비함에 따라, 탄성 프레임(54')은 하부 베젤(18) 위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탄성 부재들(56, 56')의 형상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널 어셈블리(12)의 두께 방향을 따라 탄성을 가질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든 무방하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내장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200)는 전술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와,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싸면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를 수납하는 세트 프레임(64)과, 세트 프레임(64)의 전방에 고정되는 투명 보호부(66)를 포함한다. 세트 프레임(64)과 투명 보호부(66) 사이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고정 부재(68)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1)는 상부 베젤과 하부 베젤이 제외된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인용 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1)는 상부 베젤과 하부 베젤을 구비하지 않음에 따라,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유기발광 표시장치(101)는 다음에 설명하는 전자 기기의 세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전자 기기 내부에 설치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내장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201)는 제2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1)와, 유기발광 표시장치(101)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싸면서 유기발광 표시장치(101)를 수납하는 세트 프레임(64)과, 세트 프레임(64)의 전방에 고정되는 투명 보호부(66)를 포함한다. 세트 프레임(64)과 투명 보호부(66) 사이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고정 부재(68)가 위치할 수 있다.
탄성 프레임(54)의 컨택 스프링(60)은 세트 프레임(64)의 내면과 접촉하며, 세트 프레임(64)으로부터 완충 부재(52), 탄성 프레임(54), 양면 테이프(62) 및 패널 어셈블리(12)의 순서대로 위치한다.
투명 보호부(66)와 세트 프레임(64)에 낙하 충격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완충 부재(52)가 세트 프레임(64)에서 패널 어셈블리(12)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저감시킨다. 그리고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시점에서 탄성 부재들(56)이 압축 변형을 일으키면서 패널 어셈블리(12)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저감시킨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201)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전자 기기와 비교할 때, 세트 프레임(64)과 패널 어셈블리(12) 사이의 간격(도 12의 D1 참고)을 줄여 외형을 작게 할 수 있고, 패널 어셈블리(12)의 제2 기판(24)과 투명 보호부(66) 사이의 간격(도 12의 D2 참고)을 크게 하여 보다 넓은 완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패널 어셈블리의 부화소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패널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탄성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탄성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중 탄성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탄성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Claims (12)

  1.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 영역 내부에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완충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두께 방향을 따라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탄성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들을 수납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가 완충층과, 상기 완충층의 윗면과 아랫면에 위치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프레임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컨택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들이 상기 베이스부 로부터 굽힘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들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한 번 굽힘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경사각을 두고 위치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들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두 번 굽힘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경사각을 두고 위치하는 경사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수평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리되고, 상기 탄성 부재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들과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들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굽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프레임이 스테인리스 강, 냉간압연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합금, 및 구리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완충 부재 및 상기 탄성 프레임을 수납 및 고정하는 하부 베젤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전방에 고정되는 상부 베젤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젤과 상기 상부 베젤이 각자의 측벽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수납하는 세트 프레임; 및
    상기 세트 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는 투명 보호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프레임과 상기 투명 보호부 사이에 위치하며 완충 기능을 가지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018369A 2008-02-28 2008-02-28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2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369A KR100922358B1 (ko) 2008-02-28 2008-02-28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369A KR100922358B1 (ko) 2008-02-28 2008-02-28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058A KR20090093058A (ko) 2009-09-02
KR100922358B1 true KR100922358B1 (ko) 2009-10-19

Family

ID=4130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369A KR100922358B1 (ko) 2008-02-28 2008-02-28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3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1582A (zh) * 2021-10-26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硅基oled显示模组及其组装方法和显示装置
JP2022079985A (ja) * 2020-11-17 2022-05-2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686B1 (ko) 2010-04-01 2017-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27592B1 (ko) * 2010-04-06 2012-03-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723150B1 (ko) 2010-05-28 2017-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12065B1 (ko) 2010-10-22 2017-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835109B1 (ko) 2011-05-30 2018-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0186B1 (ko) * 2012-10-29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61793B1 (ko) 2013-06-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989394B2 (en) 2018-01-09 2021-04-27 OLEDWorks LLC Thin OLED lighting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227A (ko) * 1999-04-26 2000-11-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와 화상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KR20060031510A (ko) * 2004-10-08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7003874A (ja) * 2005-06-24 2007-01-11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769425B1 (ko) *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227A (ko) * 1999-04-26 2000-11-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와 화상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KR20060031510A (ko) * 2004-10-08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7003874A (ja) * 2005-06-24 2007-01-11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769425B1 (ko) *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79985A (ja) * 2020-11-17 2022-05-2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JP7126330B2 (ja) 2020-11-17 2022-08-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CN113921582A (zh) * 2021-10-26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硅基oled显示模组及其组装方法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058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35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89361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652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4018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2235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5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7920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9635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223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6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2772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7967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0362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1805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6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5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47422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5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6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2235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568265B1 (ko) 표시 장치
KR2010000991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