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819B1 - 공기조화기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819B1
KR100920819B1 KR1020060135219A KR20060135219A KR100920819B1 KR 100920819 B1 KR100920819 B1 KR 100920819B1 KR 1020060135219 A KR1020060135219 A KR 1020060135219A KR 20060135219 A KR20060135219 A KR 20060135219A KR 100920819 B1 KR100920819 B1 KR 10092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inner region
discharge
main bod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755A (ko
Inventor
장지영
송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8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6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characterised by charging or discharg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2Centrifugal separation of gas, liquid or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중 기상의 냉매가, 기액분리기 내에서 원심력에 하여 분리된 후, 압축기로 유입된다. 또한, 유입되는 냉매 중 액상의 냉매는 가압된 후, 다시 증발기의 입구측으로 다시 유입된다.
따라서, 기액분리기 내에서의 냉매의 유동 저항이 크게 감소되고, 액상의 냉매의 손실이 감소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ccumulator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액분리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어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액분리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어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더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공기조화장치 110: 압축기
120: 응축기 130: 가압용 열교환기
140: 팽창기구 150: 증발기
160, 260: 본체부 170, 270: 유입부
171, 271: 제1토출부 172, 272: 제2토출부
173, 273: 제어밸브 180, 280: 기액분리기
190: 가압 배관 R1: 제1내부영역
R2: 제2내부영역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의 유동저항이 감소된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함한다.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후, 팽창기에서 팽창된다.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후, 압축기로 흡입된다. 그런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에 액상의 냉매 성분이 포함될 경우, 압축기에서 액압축이 발생하여 압축기의 손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압축기과 증발기 사이에는 기액분리기를 설치하여, 증발기로부터 나오는 냉매 중 기상의 냉매만을 분리하여 압축기로 보내 준다.
하지만, 기액분리기는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에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압축기의 용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되고, 시스템 효율이 감소되 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냉매의 유동 저항이 감소된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냉매가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냉매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가상의 제1내부영역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1내부영역에 연결되는 제1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 공간 중 상기 제1내부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2내부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는 상기 제2내부영역에 연결되는 제2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는 U-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본체부는 U-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들에 대응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는 상기 제2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사이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제2토출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의 비정상상태 운전 시, 상기 토출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비정상상태 운 전 시, 상기 제어밸브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상기 팽창기구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팽창기구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토출측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냉매가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내부 공간 중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냉매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가상의 제1내부영역과 상기 제1내부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2내부영역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2내부영역에 연결되는 토출부를 구비하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가압시킨 후,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으로 유입시키는 가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가압용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이하 "기액분리기"라 함)(18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액분리기(180)는 유입부(170), 본체부(160), 제1토출부(171), 제2토출부(172) 및 제어밸브(173)를 포함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유입부(170)에는 공기조화장치의 증발기(미도시)로부터 냉매가 유입된다. 본체부(160)는 유입부(170)로부터 연장된다. 본체부(160)에서는, 냉매가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냉매로부터 기상의 냉매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60)는 전체적으로 U-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냉매가 본체부(160)를 흐르면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구성물질은 본체부(16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낙은 구성물질은 본체부(16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본체부(16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부(160) 내에서 구성물질들 사이의 비중차이에 의하여, 구성물질들이 본체부(160)의 반경방향을 따라 분리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본체부(160)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원호의 중심각 및 반경은 구성물질들 사이의 비중 차이 및 구성물질들의 분리 정확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구성물질들 사이의 비중 차이가 작거나 구성물질들의 분리 정확도가 높아지도록 요구되면, 상대적으로 원호의 중심각 및 반경이 커지게 된다.
유입부(170)와 본체부(160)는 플랜지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하지만, 유입부(170)와 본체부(160)는 다른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유입부(160)와 본체부(17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유입부(160)는 기액분리기(180)와 증발기(미도시)와 연결되는 별도 배관(미도시)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유입부(180)가 증발기(미도시)와 연결되는 별도 배관(미도시)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체부(160)의 내부 공간은 원심력에 의하여 냉매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 중 적어도 일부가 유동하는 가상의 제1내부영역(R1)과, 내부 공간 중 제1내부영역(R1)을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2내부영역(R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의 정상상태 운전 시, 유입부(170)로 유입되는 냉매는 기상의 냉매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내부영역(R1)은 본체부(160)의 내부 공간 전체에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공기조화장치의 비정상상태 운전 시, 유입부(170)로 유입되는 냉매는 액상의 냉매 및 기상의 냉매가 혼합된 냉매이다. 따라서, 본체부(160)의 내부 공간 중 일 부분만이 기상의 냉매만 흐르게 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액상의 냉매만 흐르거나, 혼합된 냉매가 흐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내부영역(R1)은, 공기조화장치의 정상상태 운전 및 비정상상태 운전 시, 기상의 냉매만이 흐르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정의되며, 제2내부영역(R2)은 내부 공간 중 제1내부영역(R1)을 제외한 영역으로 정의된다. 즉, 제1내부영역(R1)은 분기된 기상의 냉매가 흐르는 내부 공간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 내부 공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부영역(R1) 및 제2내부영역(R2)은 가상의 영역구분으로서, 냉매의 구성물질들의 비중 차이, 냉매의 유입속도, 냉매의 분리 정확도 등을 고려하여 변화될 수 있다. 다만, 제1내부영역(R1) 및 제2내부영역(R2)은 별도의 구회벽에 의하여 구획될 수도 있다.
제1토출부(171) 및 제2토출부(172)는 본체부의 단부(160a)에 연결되어 있다. 즉, 본체부의 단부(160a) 중 제1내부영역(R1)을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1토출부(171)가 연결되어 있고, 본체부의 단부(160a) 중 제2내부영역(R2)을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2토출부(172)가 연결되어 있다. 제1토출부(171)는 공기조화장치의 압축기(미도 시)의 흡입측에 연결된다. 제2토출부(172)는 공기조화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로 유입되도록 연결된다.
제어밸브(173)는 제2토출부(17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밸브(173)는 제2토출부(172)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장치의 비정상상태 운전 시, 제2토출부(172)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에는 액상의 냉매가 포함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제어밸브(173)는 개방된다. 하지만, 공기조화장치의 정상상태 운전 시, 제2토출부(172)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에는 액상의 냉매가 포함될 우려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제어밸브(173)는 폐쇄된다. 제어밸브는 다양한 밸브가 채택될 수 있으며, 유량 제어밸브 또는 개폐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밸브(173)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180)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즉, 기액분리기의 본체부(16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수직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액분리기(18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에는 공기조화장치의 비정상상태 운전 시, 기액분리기(180)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비정상상태 운전은 일반적으로 시동 중이거나 부하의 변동이 큰 경우에 발생한다. 유입부(170)로는 기상의 냉매 및 액상의 냉매가 혼합된 혼합 냉매가 유입된다. 혼합 냉매는 본체부(160) 내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기상의 냉매와 액상의 냉매로 분리된다. 대부분의 기상의 냉매는 제1토출부(171)를 통하여 압축기(미도시)로 토출된다. 하지만, 액상의 냉매 및 나머지 기상의 냉매는 제2토출 부(172)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 때, 제어밸브(173)가 개방되어 있어서, 액상의 냉매 및 일부 기상의 냉매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기상의 냉매가 유입부(170)와 제1토출부(171) 사이에서 큰 유동 저항 없이 본체부(160)의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액분리기(180) 내에서의 냉매의 유동 저항이 크게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압축기(미도시)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고, 공기조화장치의 시스템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공기조화장치의 정상상태 운전 시, 기액분리기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유입부(170)로는 기상의 냉매만이 유입되기 때문에, 제어밸브(173)를 폐쇄한다. 유입된 모든 냉매는 본체부(160) 내를 흐른 후, 제1토출부(171)를 통하여 압축기(미도시)로 유입되는 바, 기액분리기(180)에 의한 냉매의 유동감소가 크게 감소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비교예에 따른 기액분리기(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비교예의 기액분리기(10)는 액상 및 기상의 냉매를 저장하는 바디(12),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14), 기상의 냉매가 토출되는 냉매 토출관(16), 및 스크린 홀더(18)를 포함한다. 비교예의 기액분리기(10)에서는, 공기조화장치의 정상상태 운전 시에도 냉매 유입관(14)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가, 스크린 홀더(18)에 의하여 유동 압력이 손실될 뿐만 아니라, 냉매가 냉매 유입관(14)으로부터 바디(12)로 분출하면서 압력이 손실된다. 또한, 바디(12) 내의 기상의 냉매가 냉매 유입관(14)으로 유입될 때에도, 냉매 유입관(14)의 입구에서도 압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예의 기액분리기(10)는 정상상태 운전 시에도 냉매의 압력 손실이 매우 크게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장치의 정상상태 운전 시, 냉매의 불필요한 압력 손실이 원천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냉매의 압력 손실이 비교예에 비하여 크게 감소된다. 또한, 비교예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기액분리기(180)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28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액분리기(280)는 유입부(270), 본체부(260), 제1토출부(271), 제2토출부(272) 및 제어밸브(273)를 포함한다. 유입부로(270)는 냉매가 유입된다. 본체부(260)는 U-관 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제1단부(260a) 및 제2단부(260b)를 포함한다. 제1토출부(271)는 제1내부영역(R1)에 연결되고, 제2토출부(272)는 제2내부영역(R2)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토출부(271)는 제2단부(260b)로부터 연장되고, 제2토출부(272)는 제1단부(260a)와 제2단부(260b) 사이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토출부(272)는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도 5를 참조하면 제2토출부(272)는 본체부(260)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제어밸브(273)는 제2토출부 상에(272) 설치되어 있어서, 제2토출부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한다. 즉, 공기조화장치의 정상상태 운전 시, 제어밸브(273)는 폐쇄되고, 공기조화장치의 비정상상태 운전 시 제어밸브(273)는 개방된 다.
도 5의 기액분리기(280)의 작동은, 전술한 도 1의 기액분리기(180)와 유사한 바, 이하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화살표는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며, 도 6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공기조화장치(100)는 압축기(110), 응축기(120), 팽창기구(140), 증발기(150), 가압용 열교환기(130) 및 기액분리기(180)를 포함한다. 압축기(110)는 냉매를 가압하여 토출하며,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후, 팽창기구(140)로 유입된다. 냉매는 팽창기구(140)에서 팽창된 후, 증발기(150)에서 증발된다. 증발기(15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기액분리기(180)로 유입된다. 기액분리기(180)의 상세한 구조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기액분리기의 제1토출부(171)는 압축기(110)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장치가 정상상태 운전을 수행하거나 비정상상태 운전을 수행할 때, 기액분리기(180)에서 분기된 기상의 냉매는 압축기로 흡입된다.
제2토출구(172)로부터 연장되는 가압 배관(190)은 가압용 열교환기(130)를 거친 후, 다시 증발기(150)의 입구측으로 연결된다. 만일, 공기조화장치(100)가 정상상태 운전을 수행하면, 제어밸브(173)가 폐쇄되기 때문에, 제2토출부(172)로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하지만, 공기조화장치(100)가 비정상상태 운전을 수행하 면, 제어밸브(173)가 개방된다. 기액분리기(180)로 유입되는 액상의 냉매를 본체부(160) 내부에 그대로 두면, 본체부(160) 내에서의 액상의 냉매량이 증가하여, 제1토출부(171)를 통하여 액상의 냉매가 토출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기액분리기(180)로 유입되는 액상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 냉매의 순환 손실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액상의 냉매를 제2토출부(172)를 통하여 토출시킨 후, 다시 증발기(150)로 보내어 기상의 냉매로 변화시켜야 한다.
제2토출부(172)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증발기(150) 및 기액분리기(180)를 거치면서 압력이 감소된다. 만일 토출된 냉매를 증발기(150)의 입구측으로 보낼 경우, 오히려 증발기(150)의 입구측으로부터 제2토출부(172)로 냉매가 역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토출부(172)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가압장치에 의하여 가압하여 증발기(150)의 입구측으로 유입시켜야 한다. 가압장치로는 다양한 장치가 선택될 수 있으며, 펌프, 압축기 등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압장치로서 가압용 열교환(130)기가 도시되어 있다. 가압용 열교환기(130)는 제2토출부(172)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기(130)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시켜, 토출된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가압용 열교환기(130)에 의하여, 액상의 냉매가 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압용 배관(190) 상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174)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에서는, 기액분리기에 의한 냉매의 유동 저항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용량이 작아질 수 있으며, 공기조화장치의 시스템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냉매가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냉매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가상의 제1내부영역을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내부영역 중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제1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내부 공간 중 상기 제1내부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2내부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내부영역에 연결되는 제2토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U-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
  4.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냉매가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냉매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가상의 제1내부영역을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내부영역 중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제1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내부 공간 중 상기 제1내부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2내부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내부영역에 연결되는 제2토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U-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들에 대응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부는 상기 제2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사이 부분에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출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고,
    공기조화장치의 비정상상태 운전 시, 상기 제어밸브는 개방되는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인 공기조화장치용 기액분리기.
  7. 응축기;
    상기 응축기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
    상기 팽창기구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팽창기구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토출측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냉매가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내부 공간 중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냉매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가상의 제1내부영역과 상기 제1내부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2내부영역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2내부영역에 연결되는 토출부를 구비하는 기액분리기; 및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가압시킨 후,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으로 유입시키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가압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토출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비정상상태 운전 시, 상기 제어밸브는 개방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060135219A 2006-12-27 2006-12-27 공기조화기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092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219A KR100920819B1 (ko) 2006-12-27 2006-12-27 공기조화기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219A KR100920819B1 (ko) 2006-12-27 2006-12-27 공기조화기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755A KR20080060755A (ko) 2008-07-02
KR100920819B1 true KR100920819B1 (ko) 2009-10-08

Family

ID=3981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219A KR100920819B1 (ko) 2006-12-27 2006-12-27 공기조화기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848A (ko) 2019-04-02 202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외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984A (ja) * 2002-03-18 2003-09-24 Central Conveyor Kk 気液分離器
KR20050056135A (ko) * 2003-12-09 2005-06-14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기액분리기
JP2006214700A (ja) * 2005-02-07 2006-08-17 Denso Corp アキュムレ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984A (ja) * 2002-03-18 2003-09-24 Central Conveyor Kk 気液分離器
KR20050056135A (ko) * 2003-12-09 2005-06-14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기액분리기
JP2006214700A (ja) * 2005-02-07 2006-08-17 Denso Corp アキュム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755A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307B1 (ko) 감압 장치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3322263B1 (ja) エジェクタサイクル、これに用いる気液分離器、並びにこのエジェクタサイクルを用いた給湯器及び熱管理システム
JP4776438B2 (ja) 冷凍サイクル
WO2018035268A1 (en) Gas discharge apparatus,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unit, and method of discharging non-condensable gas
JP5018724B2 (ja) エジェクタ式冷凍サイクル
JP2008057807A (ja) 冷凍サイクル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冷蔵庫
JP2004309029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11365920B2 (en) Heat exchanger with refrigerant storage volume
JP2007057156A (ja) 冷凍サイクル
JP5786481B2 (ja) 冷凍装置
KR20110097367A (ko) 칠러
JP2007303709A (ja) 冷凍サイクル
JP2008275211A (ja) 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KR100920819B1 (ko) 공기조화기용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6176470B2 (ja) 冷凍機
JP6957026B2 (ja) 冷凍装置及び液体温調装置
US20240230167A9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2008151374A (ja) 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KR20220035172A (ko) 다중 압축기를 구비한 칠러 시스템
KR101911261B1 (ko) 공기조화기
JP2005233470A (ja) 気液分離器
KR102536383B1 (ko) 냉매 사이클을 구비하는 기기
JP2019100695A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駆動方法
WO2022113815A1 (ja) 冷凍機
JP2008298307A (ja) 冷凍サイ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02

Effective date: 200903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