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623B1 -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623B1
KR100914623B1 KR1020070136179A KR20070136179A KR100914623B1 KR 100914623 B1 KR100914623 B1 KR 100914623B1 KR 1020070136179 A KR1020070136179 A KR 1020070136179A KR 20070136179 A KR20070136179 A KR 20070136179A KR 100914623 B1 KR100914623 B1 KR 10091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resin composition
acid
heat resistance
retardant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520A (ko
Inventor
공성호
신경훈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623B1/ko
Priority to CN2008801226652A priority patent/CN101910307A/zh
Priority to PCT/KR2008/007112 priority patent/WO2009082096A2/en
Publication of KR2009006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623B1/ko
Priority to US12/792,235 priority patent/US20100240814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76Neutralised polymers, i.e. i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B)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 1∼50 중량부; (C) 아이오노머 수지 0.01∼20 중량부; 및 (D) 충진제 1∼10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특성은 저해하지 않으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할로겐 유해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Flame-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계적 특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할로겐 유해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내화학성, 기계적 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및 자동차 부품의 하우징, 커넥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전기·전자기기 분야에 적용할 경우, 화재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할로겐계 화합물과 안티몬계 화합물을 첨가하고, 난연 보조제로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할로겐계 화합물과 안티몬 화합물을 함께 적용하여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난연성 확보가 용이하고 물성저하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공시 발생되는 할로겐화 수소 가스로 인해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성형기와 기기 부식 등으로 인해 작업 환경의 악화를 초래한다. 또한 화재 발생 및 소각시 발생되는 할로겐화 다이옥신은 인체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근래에는 할로겐계 난연제의 사용을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할로겐계 화합물을 적용하지 않는 난연화 방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른 고분자 재료에 비해 성형시 결정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단독 사용할 때 성형성과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 소량의 핵제를 첨가하여 용융물의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아이오노머는 이온을 포함하는 고분자 중에서 비극성의 고분자 사슬에 소량의 이온기가 함유된 물질로서, 비극성의 주쇄에 함유되어 있는 소량의(15% 이하) 카르복실기 또는 술폰산기 등의 중화에 의해 형성된 이온기를 가지고 있다. 이때 도입된 이온 간의 인력에 의하여 모폴로지의 변화를 수반하며 기존의 고분자와는 전혀 다른 물성을 나타내게 된다. 아이오노머 수지는 접착제, 분리막, 충전물질, 이미지 시스템(imaging system), 충격보강제(impact modifier), 유동화제(rheology modifier) 등 여러 가지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내열성 아이오노머, 전기화학용 복합소재, 상용화제 등의 보다 광범위한 부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스테르 기초 수지에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아이오노머 수지 및 충진제를 적용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할로겐 유해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할로겐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B)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 1∼50 중량부; (C) 아이오노머 수지 0.01∼20 중량부; 및 (D) 충진제 1∼10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풀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B)은 평균 입자 크기가 0.05∼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B)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상기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6의 알킬기, C3-C6의 고리형 알킬기 또는 C6-C10의 아릴기이며, M은 Al, Zn, Mg, K 또는 Ca의 금속이고 n은 1 또는 3의 정수이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C)는 α-올레핀과 α,β-불포화 카르본산의 공중합체, α-올레핀, α,β-불포화 카르본산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4가의 금속 이온으로 중화한 것이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C)는 산 함량이 3∼25 중량%이다.
상기 충진제(D)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유리비드, 유리플레이크, 카본 블랙, 활석, 클레이, 카올린,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상용화제, 광안정제, 이형제, 분산제, 활제, 안료, 염료, 무기물 첨가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핵제, 충격보강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분산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전기·전자기기의 외장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에스테르 수지, (B)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 (C) 아이오노머 수지 및 (D) 충진제로 이루어진다.
(A)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기초수지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류; 폴리에틸렌 비벤조에이트와 같은 디벤조에이트류 및 이들의 코폴리에스테르가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단량체로서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4-부탄디올을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하여 축중합한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단량체로서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하여 축중합한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수지의 충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공중합하거나 충격향상 성분을 블렌딩한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o-클로로 페놀 용액에서 25℃로 측정 시 고유점도[η]가 0.3∼1.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A)는 바람직하게는 가소제가 첨가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250 ℃ 이상의 높은 녹는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다.
(B)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
본 발명의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한다.
[화학식 1]
상기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6의 알킬기, C3-C6의 고리형 알킬기 또는 C6-C10의 아릴기이며, M은 Al, Zn, Mg, K 또는 Ca의 금속이고 n은 1 또는 3의 정수이다.
상기 구조에서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또는 페닐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M은 Al 또는 Zn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로는 디메틸포스피닉산 알루미늄 금속염, 디에틸포스피닉산 알루미늄 금속염, 디프로필포스피닉산 알루미늄 금속염, 디부틸포스피닉산 알루미늄 금속염, 디페닐포스피닉산 알루미늄 금속염, 디메틸포스피닉산 아연 금속염, 디에틸포스피닉산 아연 금속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은 입자 형태를 갖는다. 상기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은 평균 입자 크기가 0.01㎛∼10㎛, 바람직하게는 0.05∼10㎛, 더 바람직하게는 1∼7 ㎛인 것을 사용한다.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의 입자 크기가 10㎛를 초과할 경우, 충격강도 및 난연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0.01㎛ 미만인 경우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압출 가공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은 인 함량이 10∼70 %, 바람직하게는 15∼50 %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된다.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안정성이 저하되거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C) 아이오노머 수지
본 발명의 아이오노머 수지로는 비극성의 고분자 사슬에 소량의 이온기가 함유되어 있는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α-올레핀과 α,β-불포화 카르본산의 공중합체,폴리스티렌에 술폰산기가 도입되어 있는 중합체, α-올레핀, α,β-불포화 카르본산, 및 이와 각각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간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4가의 금속 이온으로 중화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상기 α-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본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스티렌 등을 들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1∼4가의 금속 이온은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바륨, 납, 주석, 아연, 알루미늄, 제1철 및 제2철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리튬, 나트륨, 칼륨, 아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는 산 함량이 3∼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25 %이다. 산 함량이 높을수록 표면경도 및 인장강도가 높아지는 반면에 충격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산 성분은 중화된 금속 양이온이 바람직하다. 산 성분은 폴리에스터의 에스테르 결합과 상호 반응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폴리에스터와 상용성을 이루기 위해 금속 양이온으로 중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산 함량중 20∼80%가 금속이온(Li+, Na+, Ca+, Zn2+, Mg2+, K+ 또는 이들 양이온 혼합물)으로 치환될 수 있다. 이중 칼륨 중화된 아이오노머는 폴리에스테르에 악영향을 미치는 물을 흡수하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는 α,β-에틸렌 불포화 C3-C8 카르복실산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산 함량이 3∼25 중량%이고, 산 함량중 20∼80%가 금속이온(Li+, Na+, Ca+, Zn2+, Mg2+, K+ 또는 이들 양이온 혼합물)으로 치환된 것이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부로 사용된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향에는 흐름성이 저하되고 소재의 강성이 떨어질 수 있다.
(D) 충진제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입자 형태가 다양한 충진제가 사용된다.
상기 충진제는 유기 또는 무기 충진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충진제의 예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탄소섬유, 유리섬유, 유리비드, 유리플레이크, 카본 블랙, 활석, 클레이, 카올린,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충진제의 형태는 분말상, 입자상, 비드형상, 섬유형 등이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중 유리섬유가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에는 생산 제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상기 첨가제 이외에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상용화제, 광안정제, 이형제, 분산제, 활제, 안료, 염료, 무기물 첨가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핵제, 충격보강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분산제 등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난연성과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매우 뛰어나므로 여러 가지 제품의 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전기·전자기기의 외장재, 특히 컴퓨터, 복사기, 팩스밀리, 프린터 등과 같은 사무용 기기 하우징이나 구조재 등에도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A)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1)고유점도[η]가 0.8이고, 융점이 255℃인 새한의 ESLON PET H-2211을 사용하였다.
(A2)고유점도[η]가 0.8이고, 융점이 254℃인 SK케미칼의 BB-8055을 사용하였다.
(A3)고유점도[η]가 0.84이고, 가소제가 첨가된 SK케미칼의 BL-8450을 사용하였다.
(B)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
Clariant사의 디에틸 포스피닉산 알루미늄 금속염인 Exolit 930을 사용하였다. 평균입자 크기는 5㎛이며, 인함량은 23%이다.
(3) 아이오노머 수지
금속이온이 Na+이며, 용융지수(ASTM D-1238 조건 E)가 4.0g/10min인 DuPont사의 Surlyn 8945 제품을 사용하였다.
(4) 충진제
Diameter가 10㎛인 유리섬유 VETROTEX 952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혼합한 후, 통상의 이축 압출기에서 압출온도 250∼280 ℃ 범위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100 ℃에서 4 시간 건조 후 6 Oz 사출기에서 성형온도 250∼280 ℃, 금형온도 50∼100℃의 조건으로 사출하여 물성 및 난연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해서 각각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난연성 : UL-94 5V Test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2) 내열성 : ASTM D648에 의거 1/4 inch 두께의 시편에 18.5㎏/㎠ 하중을 주어 평가하였다.
(3) 충격강도 : ASTM D256에 의거 상온에서 1/8 inch 두께의 시편에 notch를 내어 평가하였다.
(4) 인장강도 : ASTM D638에 의거 상온에서 1/8 inch 두께의 시편으로 평가하였다.
(5) 굴곡강도 : ASTM D790에 의거 상온에서 1/4 inch 두께의 시편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실시예 1∼4
아이오노머 수지를 적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각 조성 및 물성 평가 결과는 표2 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난연성이 우수하고, 할로겐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며,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A)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B)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 1∼50 중량부:
    [화학식 1]
    상기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6의 알킬기, C3-C6의 고리형 알킬기 또는 C6-C10의 아릴기이며, M은 Al, Zn, Mg, K 또는 Ca의 금속이고 n은 1 또는 3의 정수임;
    (C) 아이오노머 수지 0.01∼20 중량부; 및
    (D) 충진제 1∼10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풀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B)은 평균 입자 크기가 0.0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노 포스피닉산 금속염 화합물(B)은 인 함량이 10~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C)는 α-올레핀과 α,β-불포화 카르본산의 공중합체, 폴리스티렌에 술폰산기가 도입되어 있는 중합체, α-올레핀, α,β-불포화 카르본산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간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4가의 금속 이온으로 중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α-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본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4가의 금속 이온은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바륨, 납, 주석, 아연, 알루미늄, 제1철 및 제2철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C)는 산 함량이 3∼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D)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유리비드, 유리플레이크, 카본 블랙, 활석, 클레이, 카올린,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상용화제, 광안정제, 이형제, 분산제, 활제, 안료, 염료, 무기물 첨가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핵제, 충격보강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분산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전자기기의 외장재.
KR1020070136179A 2007-12-24 2007-12-24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KR10091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179A KR100914623B1 (ko) 2007-12-24 2007-12-24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CN2008801226652A CN101910307A (zh) 2007-12-24 2008-12-02 具有优异耐热性的阻燃聚酯树脂组合物
PCT/KR2008/007112 WO2009082096A2 (en) 2007-12-24 2008-12-02 Flame-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US12/792,235 US20100240814A1 (en) 2007-12-24 2010-06-02 Flame-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179A KR100914623B1 (ko) 2007-12-24 2007-12-24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520A KR20090068520A (ko) 2009-06-29
KR100914623B1 true KR100914623B1 (ko) 2009-09-02

Family

ID=4080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179A KR100914623B1 (ko) 2007-12-24 2007-12-24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40814A1 (ko)
KR (1) KR100914623B1 (ko)
CN (1) CN101910307A (ko)
WO (1) WO20090820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86B1 (ko) * 2010-03-31 2012-05-22 대원케미칼주식회사 폴리올레핀 복합소재 조성물
CN105683286B (zh) 2013-10-28 2017-07-21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阻燃性双轴取向聚酯膜、由其形成的阻燃性聚酯膜层合体和柔性电路基板
JP2015205987A (ja) * 2014-04-21 2015-11-19 東レ株式会社 水周り部材
KR101711299B1 (ko) * 2015-09-11 2017-02-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비 할로겐 폴리에스터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5949731A (zh) * 2016-06-24 2016-09-21 合肥得润电子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线束用耐磨耐疲劳护套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705539B (zh) * 2017-10-25 2021-05-1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含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的组合物和制备共混塑料的方法
CN108299803B (zh) * 2017-12-18 2020-12-11 广东威立瑞科技有限公司 一种高阻燃的透明pet材料及其制备方法
EP4036171B1 (en) * 2020-12-10 2023-04-19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CN114573959B (zh) * 2022-03-22 2023-10-10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pet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393B1 (ko) * 1988-07-11 1992-10-16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할로겐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WO2003046084A1 (fr) * 2001-11-30 2003-06-05 Polyplastics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ignifuge
KR20040024612A (ko) * 2001-08-07 2004-03-20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무-할로겐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KR100529207B1 (ko) * 1997-06-13 2006-01-27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열가소성폴리에스테르수지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2258A1 (de) * 1972-10-25 1974-05-09 Hoechst Ag Schwerentflammbare thermoplastische polyester
JPS5493043A (en) * 1977-12-29 1979-07-23 Unitika Ltd Resin composition and its production
KR100362344B1 (ko) * 1999-09-21 2002-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2001302894A (ja) * 2000-04-20 2001-10-3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難燃静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393B1 (ko) * 1988-07-11 1992-10-16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할로겐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529207B1 (ko) * 1997-06-13 2006-01-27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열가소성폴리에스테르수지조성물
KR20040024612A (ko) * 2001-08-07 2004-03-20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무-할로겐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WO2003046084A1 (fr) * 2001-11-30 2003-06-05 Polyplastics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ignif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82096A3 (en) 2009-09-17
US20100240814A1 (en) 2010-09-23
CN101910307A (zh) 2010-12-08
KR20090068520A (ko) 2009-06-29
WO2009082096A2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62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KR100773734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N101717560B (zh) 无卤阻燃聚酯模塑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05121232A1 (en) Polyester compositions flame retarded with halogen-free additives
WO2004029154A1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CN110691819B (zh) 热塑性聚酯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WO2013085789A1 (en) Low antimony or antimony trioxide-free flame retarded thermoplastic composition
JP2008019294A (ja) 難燃性ポリ乳酸樹脂組成物
CN101328305B (zh) 一种无卤阻燃pbt/pc合金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850733B (zh) 一种聚对苯二甲酸丁二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00696B1 (ko) 친환경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KR101207183B1 (ko)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JP6045909B2 (ja) 回路遮断器用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WO2012070598A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20170026338A (ko) 열가소성 충격 변성 스티렌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환경 친화적인 난연제 성형 조성물
KR20090066599A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H11140287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7182396B2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WO2018026621A1 (en) Flame-retarded polyester composition
JP200811520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00071471A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9980031512A (ko) 난연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 조성물
WO2022030507A1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12082385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WO2021140553A1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