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986B1 - 복공판 구조체 - Google Patents

복공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986B1
KR100910986B1 KR1020070070565A KR20070070565A KR100910986B1 KR 100910986 B1 KR100910986 B1 KR 100910986B1 KR 1020070070565 A KR1020070070565 A KR 1020070070565A KR 20070070565 A KR20070070565 A KR 20070070565A KR 100910986 B1 KR100910986 B1 KR 10091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plate
hole
mold beam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100A (ko
Inventor
한만엽
진경석
Original Assignee
(주)써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포텍 filed Critical (주)써포텍
Publication of KR2008009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소재로 복공판을 구성할 수 있도록 자체 중량을 경감시키면서 주형보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복공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는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지고 주형보의 상측에 안착되며 모서리부위에 통공을 갖는 파이프부재가 각각 매설되어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복공판과, 그 파이프부재가 매설된 복공판의 하부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플레이트와, 그 복공판들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부 플랜지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주형보와, 그 파이프부재의 통공을 통해 연결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주형보의 결합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그 주형보의 상부 플랜지의 하부에서 체결볼트의 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강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콘크리트 소재를 이용하여 복공판을 구성할 수 있고, 요홈부 및 중공파이프를 이용하여 자체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마찰플레이트나 끼움구등을 이용하여 각 복공판들이 주형보에 안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유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복공판 구조체{DECK PLATE STRUCTURE}
도 1은 종래 복공판 구조체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복공판 구조체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기존 복공판과 주형보의 결합방식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구조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a,도 5b는 본 발명의 복공판의 실시예들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유동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a는 본 발명 연결플레이트와 마찰플레이트에 요철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도 7a의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 유동 방지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본 발명 유동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9a는 본 발명 유동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9b는 도 9a의 측면도.
도 9c는 도9a,9b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a는 본 발명 유동 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10b는 도 10a의 측면도.
도 10c는 도10a,10b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a,11b는 본 발명 유동 방지수단의 또 다른 예인 끼움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c는 요철 형태의 간섭구조를 이용한 유동방지수단을 나타낸 것이며, 도 11d는 강선과 정착구조를 이용한 유동 방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구조체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복공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복공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복공판 내부에 중량 경감을 위한 파이프가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7a,17b는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구조체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복공판의 측면에 전단키와 키홈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 제 3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 제 4실시예에 의한 복공판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제 5실시예에 의한 복공판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복공판 105 : 요홈부
110 : 파이프부재 150 : 중공파이프
200 : 주형보 205 : 결합공
310 : 연결플레이트 312 : 연결공
320 : 마찰플레이트 322 : 체결공
330 : 돌출부 340 : 스톱퍼 블럭
342 : 끼움공 350 : 고정부
350a : 단턱 360 : 걸림부
360a : 걸림턱 370 : 수용부
370a : 수용홈 380 : 끼움부
380a : 끼움돌기 410 : 체결볼트
420 : 체결너트 510 : 끼움구
610 : 전단키 620 : 키홈부
710 : 고정플레이트
본 발명은 복공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되면서 자체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단순 나사 체결방식으로 주형보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복공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공사장 등과 같은 공사현장에서 도로의 유지를 위해 임시 로 가설하게 되는 복공판들은 대부분 강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재로 이루어진 다 수의 지지부재들과 그 상부에 상판부재가 안착되어 가설도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복공판들은 각 부재들이 차량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표면은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요철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강재로 구성된 복공판들은 대부분 염분이나 염화칼슘 및 산성물질에 약해 쉽게 부식되는 취약점이 있었다.
또한, 내구성이 짧고 동절기에 눈이 쌓이는 경우 염화칼슘과 같은 제설재를 사용하기가 어려워 안전 관리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다.
특히, 기존의 강재로만 구성되어 있는 철재 복공판들은 제작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수시로 통행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소음 및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과 복공판 바닥에 대한 노후 및 부식 정도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교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콘크리트 소재가 일체화된 구조의 일체형 합성 복공판이 제안되어 있으며, 그 선행기술의 일 예로는, 국내 특허 출원 번호 제 2004-0069886호 "콘크리트 보강형 강재 복공판"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이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무늬H형강(21)과, 그 무늬H형강(21)의 사이에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ㄷ형강(22)과, 무늬H형강(21)의 상하 플랜지간에 일측은 용접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에 ㄷ형강(22)에 걸쳐 용접 결합되는 측면 보강철판(25)과, 다수개의 H 형강(21)의 하부 플랜지들에 걸쳐 용접 결합되는 하면 보강철판(27)과, 그 하면 보강철판(27)의 아래에 용접 결합되는 L형강(26)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 그 ㄷ형강은 길이방향으로 전단연결재(29)가 용접 결합되고, 전단연결재(29)상에 일정 강도이상의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다른 선행기술의 예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0351464호 "복공판"에 개시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다수의 철근(13),(13')으로 연결 구성된 지지부재(12)들과, 이들 상부측에서 양쪽 측판(15)에 의해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는 상판구조물(14)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은 콘크리트 소재와 강재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강재가 거푸집의 기능을 구비하면서 일체로 성형된 것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은 주형보와의 결합후에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공판들이 폭방향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0)의 하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주형보(30)의 상부 플랜지 단부와 대응되도록 절곡 형성된 강재인 고정구(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는, 강재와 콘크리트재가 혼합된 상태의 복공판이 주형보의 상측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고정구를 주형보의 상부 플랜지에 접촉되도록 안착시킨 후에, 복공판들의 고정구와 주형보의 접촉부위들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용접으로 일체화시키는 조립과정을 갖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선행기술들은 주형보와의 결합을 해체한 후에 다시 다른 장 소에 재활용하기 위한 분해 및 해체 작업이 어렵고, 해체후에 용접부위가 파손될 경우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강재없이 콘크리트 소재로만 복공판을 구성할 경우, 자체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주형보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재를 위주로 복공판을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량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주형보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복공판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형보의 상부에 다수의 복공판이 안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복공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이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공판의 테두리 부위에 수직으로 상,하 연통되도록 통공을 갖는 파이프부재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부재의 통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을 갖는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복공판의 하부면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과 연결공 및 통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와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주형보와 복공판이 나사 체결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공판은 중앙 하부가 함몰되게 형성된 요홈부가 형성된 것이다.
또, 복공판은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중공을 갖도록 하나이상의 중공파이프가 매설된 것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주형보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마찰플레이트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마찰플레이트의 표면에 서로 대응되는 산과 골을 갖는 요철부가 각각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공판의 테두리 일측에 돌출된 전단키가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의 테두리 타측에 상기 전단키와 대응되는 키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주형보의 상측 표면에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끼움공이 형성된 스톱퍼 블럭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복공판들 사이에 횡방향 틈새에 개재되는 끼움구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주형보의 상부에 다수의 복공판이 안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복공판이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형보의 플랜지에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복공판의 하부 표면에 매설되도록 체결너트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복공판의 체결너트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주형보와 복공판이 나사 체결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 상기 복공판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상기 주형보와의 접촉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 일체로 설치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구조체의 제 1실시예는, 도 4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지고 주형보(200)의 상측에 안착되며 모서리부위에 통공을 갖는 파이프부재(110)가 각각 매설되어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복공판(100)과, 그 파이프부재(110)가 매설된 복공판(100)의 하부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공(312)이 형성된 연결플레이트(310)와, 그 복공판(100)들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부 플랜지에 결합공(205)이 형성되는 주형보(200)와, 그 파이프부재(110)의 통공을 통해 연결플레이트(310)의 연결공(312)과 주형보(200)의 결합공(205)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410)와, 그 주형보(200)의 상부 플랜지의 하부에서 체결볼트(410)의 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너트(42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복공판(100)은 모서리 하부 부위가 단턱지게 형성되 어 연결플레이트(310)가 결합되더라도 주형보(200)의 상부 플랜지와 수평으로 면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그 주형보(200)는 공지의 H빔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ㄷ"자형의 채널을 채택할 수도 있다.
그 연결플레이트(310)는 강재로 구성될 수 있고, 복공판(1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철근(R) 배근 작업시 철근(R)과 용접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도 5a에서와 같이 복공판(100)들의 각 모서리부위에만 각각 결합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도 5b에서와 같이 양측 테두리가 하나의 연결플레이트(310)와 대응되도록 복공판(10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복공판(100)은 자체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중앙 하부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요홈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그 요홈부(105)는 복공판(100)의 중앙 하부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면에도 형성 가능할 것이다.
또, 복공판(100)의 자체 하중을 경감시키는 다른 구조로는, 복공판(100)의 가로 세로폭이 다르기 때문에 길이가 긴 길이방향으로 중공을 갖는 하나 이상의 중공파이프(150)가 내부에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주형보(200)의 상부면과 연결플레이트(310) 사이에 마찰력으로 측방향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마찰플레이트(3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마찰플레이트(320)는 주형보(200)의 상부면에 용접으로 일체화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볼 트,너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 마찰플레이트(320)는 상기한 체결볼트(410)가 관통되도록 주형보(200)의 결합공(205)과 대응되는 체결공(322)이 형성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그 마찰플레이트(320)와 연결플레이트(310)의 접촉면에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되는 산과 골을 갖는 톱니형태의 요철부(315)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공판(1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조로는, 도 8a를 참조하면, 주형보(200)의 상측면에 돌출되며 체결볼트(410)가 관통되도록 관통공(332)을 갖는 돌출부(330)가 형성되고, 그 연결플레이트(310)의 하측면에 일체로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돌출부(330)가 수용되도록 끼움공(342)이 형성된 스톱퍼 블럭(340)이 구비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에서와 같이 그 돌출부(330)와 끼움공(342)이 접촉되는 부위가 경사면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끼움공(342)내에 돌출부(33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조로는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면, 주형보(200)의 상측면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단 부위에 단턱(350a)이 형성된 고정부(350)와, 그 복공판(100)의 테두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350)의 단턱(350a)과 간섭되어 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360a)이 형성된 걸림부(360)와, 그 고정부(350)와 걸림부(36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410) 및 체결너트(420)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도 9c는 단턱과 걸림턱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그 고정부(350)의 단턱(350a)과 걸림턱(360a)의 접촉부위가 경사면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단턱(350a)과 걸림턱(360a)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 유동 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보(200)의 상측면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 부위에 홈 형태로 함몰된 수용홈(370a)이 형성된 수용부(370)와, 그 복공판(100)의 하부 테두리에 일체로 결합되고 수용부(370)의 수용홈(370a)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중앙 하측에 끼움돌기(380a)가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부(380)와, 그 수용부(370)와 끼움부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볼트(410) 및 체결너트(42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유동방지수단들은 주형보(200)와 복공판(100)의 접촉부위에 각각 단턱진 형상이 서로 간섭되어 복공판(100)의 유동을 방지하거나, 요철 형태의 끼움 방식에 의해 복공판(1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그외에도 복공판(100)의 유동방지를 위한 다른 예로는 도 11a에서와 같이, 주형보(200)에 안착된 복공판(100)들의 측방향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각 복공판(100)들 사이의 상부 틈새에 끼움구(510)가 개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그 끼움구(510)는 고무등과 같은 충진재를 채택할 수 있다.
또, 그 끼움구의 다른 예로는 도 11b에서와 같이, 각 복공판(100)들 사이의 하부 틈새(525)에 개재되도록 주형보(200)의 상측면에 용접으로 일체화되어 상부가 개재되는 스터드 플레이트(5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복공판(100)의 유동방지를 위한 또 다른예로,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공판(100)의 하부면 전체에 연결플레이트(310)가 일체로 결합되고, 그 연결플레이트(310)의 하부, 즉 파이프부재(110)가 결합된 하부 테두리 부위에 돌출턱(540)이 일체로 형성되며, 주형보(200)의 상측면에 그 돌출턱(540)과 간섭되도록 고정턱(545)이 상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이는, 서로 인접된 복공판(100)들이 연결될 경우, 각 돌출턱(540)사이에 하측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 내에 고정턱(545)이 수용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끼움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도 11d에서와 같이, 주형보(200)에 안착된 각 복공판(100)들의 폭방향으로 각각 중공을 갖는 파이프배관(155)을 일체로 내부에 설치하고, 그 파이프배관(155)의 중공내에 강선(530)을 통과시켜 긴장시킨 후에 그 강선(530)의 양단부를 공지의 정착구(536)와 정착블럭(535)을 이용하여 정착시킨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 복공판 구조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구조체는, 다수의 복공판(100)들의 각 모서리 부위에 수직으로 형성된 파이프부재(110)의 통공 부위와 연결플레이트(310)의 연결공(312) 및 주형보(200)의 결합공(205)을 일치시키도록 각 복공판(100)들을 서로 이격된 양측의 주형보(200)의 상부 플랜지에 안착시킨 후에, 작업자가 체결볼트(410)를 그 파이프부재(110)의 상측에서 통공을 통해 삽입시켜 연결공(312)과 결합공(205)을 관통시킨 다음에 주형보(200)의 상부 플랜지 하측에서 그 관통된 체결볼트(410)의 단부를 체결너트(42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복공판(100)과 주형보(200)를 나 사 체결방식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찰플레이트(320)가 주형보(200)의 상부면에 일체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체결볼트(410)가 마찰플레이트(320)의 체결공(32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복공판(100)과 주형보(200)의 결합과정에서 각각의 복공판(100)들은 양측 단부가 서로 이격된 주형보(200)의 상부 플랜지에 체결볼트(410)와 체결너트(420)를 이용하여 나사식 체결방식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일체형 합성구조 효과를 가지게 되어 2차 단면 모멘트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복공판(100)들은 주형보(200)상에서 서로 밀착되게 횡으로 배열되는 과정에서 서로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각 복공판(100)들 사이의 틈새에 앞서 설명한 끼움구(510)를 개재시키거나, 강선(530)을 통과시켜 긴장시킴으로써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시킨 후에 강선(530)을 양측에서 정착시키는 방식으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조립이 완료된 후에 교통 우회용 가설 구조물로 활용한 후에 다시 재활용하기 위해 분해하는 과정은 체결볼트(410)와 체결너트(420)의 결합상태를 해제한 후에 각각의 복공판(100)들을 주형보(200)에서 이탈시키면 분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공판(100)들은 요홈부(105)와 중공파이프(150)를 이용하여 자체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마찰플레이트(320)와 연결플레이트(310)의 접촉부위에 형성된 요철부(315)에 의해 유동을 억제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구조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구조는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부 플랜지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공(205)이 형성된 주형보(200)와, 그 양측의 주형보(200)의 상면에 안착되고 결합공(205)과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면 부위에 체결너트(420)가 일체로 매설된 콘크리트재의 복공판(100)과, 주형보(200)의 결합공(205)과 복공판(100)의 체결너트(420)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체결볼트(410)로 대별된다.
그 복공판(100)의 하부면은 각 모서리 부위에 체결너트(420)가 일체로 매설되고, 체결너트(420)의 나사산에 체결볼트(410)가 관통되도록 그 체결너트(420)가 복공판(100)의 하부 표면에 외관상 노출되도록 매설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앞의 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해 요홈부(105)를 형성하거나, 중공파이프(150)를 통해 내부에 중공이 위치하는 공간 부위만큼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연결플레이트(310)와 마찰플레이트(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제 1,2실시예의 복공판(100)에 적용 가능한 구조로서, 복공판(100)의 측면 테두리들중 일측에 전단키(61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전단키(610)가 형성된 측면 테 두리와 대응되는 타측면에 함몰 형성된 키홈부(420)가 형성되어 각 복공판(100)들의 배열작업시 근접된 복공판(100)들끼리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유동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도록 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나, 복공판(100)의 측면 테두리들중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다른 복공판(100)들의 측면 테두리와 접촉되는 측면 테두리에 강재인 고정플레이트(710)가 일체로 결합된 것이다.
그 고정플레이트(710)는 복공판(100)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배근되는 철근(R)의 단부와 용접으로 일체화되어 복공판(100)의 양측면에 일체화되며, 이 고정플레이트(710)는 복공판(100)들이 주형보에 안착되어 배열된 상태에서 횡으로 밀착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복공판(100)들끼리 면접촉되어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횡방향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한 휨 발생에 대해 저항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2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설명한 본 발명 제 2실시예와는 상반된 개념인 스터드 볼트 형태의 고정볼트(430)의 일단부가 복공판(100)의 하부면에 내장되도록 일체로 설치되고, 그 고정볼트(430)의 타단부가 주형보(200)의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결합공(205)을 관통하여 고정너트(440)와 체결되어 그 복공판(100)과 주형보(200)를 일체화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 다.
또한, 그 고정볼트(430)의 일단부가 복공판(100)의 하부면에 결합된 연결플레이트(310)에 의해 고정된다.
그외에도,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외에도, 복공판(100)과 주형보(200)가 나사식 체결방식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기술적 사상을 갖는 것인 바, 본 발명이 가지는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소재로 복공판을 구성할 수 있도록 자체 중량을 경감시키면서 주형보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복공판 구조체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강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콘크리트 소재를 이용하여 복공판을 구성할 수 있고, 요홈부 및 중공파이프를 이용하여 자체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마찰플레이트나 끼움구등의 유동 방지수단들을 이용하여 각 복공판들이 주형보에 안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유동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단순 볼트 체결방식을 채용하여 복공판과 주형보를 일체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5)

  1. 주형보(200)의 상부에 다수의 복공판(100)이 안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복공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100)이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공판(100)의 모서리 부위에 수직으로 상,하 연통되도록 통공을 갖는 파이프부재(110)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부재(110)의 통공과 대응되는 연결공(312)을 갖는 연결플레이트(310)가 상기 복공판(100)의 하부면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주형보(200)의 상부면에 복수의 결합공(20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05)과 연결공(312) 및 통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410) 및 상기 체결볼트(410)와 체결되는 체결너트(420)를 구비하여서,
    상기 주형보(200)와 복공판(100)이 나사 체결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100)은 중앙 하부가 함몰되게 형성된 요홈부(10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100)은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중공을 갖도록 하나이상의 중공파이프(150)가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310)와 주형보(200)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마찰플레이트(3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310)와 마찰플레이트(320)의 표면에 서로 대응되는 산과 골을 갖는 요철부(315)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형보(200)의 상측 표면에 돌출되도록 돌출부(3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10)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330)가 수용되도록 끼움공(342)이 형성된 스톱퍼 블럭(3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복공판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형보(200)의 상측면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단 부위에 단턱(350a)이 형성된 고정부(350)와,
    상기 복공판(100)의 테두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350)의 단턱(350a)과 간섭되어 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360a)이 형성된 걸림부(3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형보(200)의 상측면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 부위에 홈 형태로 함몰된 수용홈(370a)이 형성된 수용부(370)와,
    상기 복공판(100)의 하부 테두리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370)의 수용홈(370a)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중앙 하측에 끼움돌기(380a)가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부(38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100)의 하측면에 면접촉되는 연결플레이트(31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10)의 측단부와 근접된 위치에 하측으로 돌출턱(54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주형보(200)의 상측면에 상기 돌출턱(540)과 간섭되도록 돌출된 고정턱(5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100)들 사이에 횡방향 틈새에 개재되는 끼움구(51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100)의 테두리 일측에 돌출된 전단키(610)가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100)의 테두리 타측에 상기 전단키(610)와 대응되는 키홈부(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100)의 측면 테두리중에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71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70565A 2007-05-08 2007-07-13 복공판 구조체 KR100910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4669 2007-05-08
KR1020070044669 2007-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100A KR20080099100A (ko) 2008-11-12
KR100910986B1 true KR100910986B1 (ko) 2009-08-05

Family

ID=4028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565A KR100910986B1 (ko) 2007-05-08 2007-07-13 복공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72B1 (ko) * 2018-10-23 2020-03-26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일체형 콘크리트 복공체와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5834A (ko) * 2018-10-23 2020-05-06 (주)스틸앤우드 흙 막이 겸용 일체형 복공구조물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931B1 (ko) 2014-08-21 2016-06-24 (주)월드피씨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CN108457148B (zh) * 2018-03-21 2020-10-23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多功能临时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44942B1 (ko) * 2018-05-04 2020-08-18 (주)바로건설기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407U (ja) * 1991-10-01 1993-04-27 ヒロセ株式会社 覆工板の締結構造
KR200409324Y1 (ko) 2005-11-25 2006-02-24 최영덕 복공판
KR200418570Y1 (ko) 2006-02-24 2006-06-12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복공판 고정구조
KR200428509Y1 (ko) 2006-07-25 2006-10-13 이용호 복공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407U (ja) * 1991-10-01 1993-04-27 ヒロセ株式会社 覆工板の締結構造
KR200409324Y1 (ko) 2005-11-25 2006-02-24 최영덕 복공판
KR200418570Y1 (ko) 2006-02-24 2006-06-12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복공판 고정구조
KR200428509Y1 (ko) 2006-07-25 2006-10-13 이용호 복공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72B1 (ko) * 2018-10-23 2020-03-26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일체형 콘크리트 복공체와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5834A (ko) * 2018-10-23 2020-05-06 (주)스틸앤우드 흙 막이 겸용 일체형 복공구조물 시공방법
KR102302599B1 (ko) * 2018-10-23 2021-10-21 (주)스틸앤우드 흙 막이 겸용 일체형 복공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100A (ko)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2466A (ja) 組み立て式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覆工および架橋構造体
JP3708517B2 (ja) 床構造体
KR100910986B1 (ko) 복공판 구조체
GB2342945A (en) Panels for constructing a flexible roadway, hardstand, floor, fence or wall
JP4685686B2 (ja) 角形鋼管を用いた覆工板
KR101545640B1 (ko) 횡방향 돌출 접합강판을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50411B1 (ko)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JP4048007B2 (ja) 合成床版の継手部構造
JP5833616B2 (ja) 橋梁用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床版の目地構造の構築方法
KR101946850B1 (ko)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JP4392379B2 (ja) 角形鋼管を用いた床版橋および床版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330177B1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JP4287755B2 (ja) 鋼桁と合成床版の結合構造
KR200416824Y1 (ko) 구조보강용 복공판
KR101080649B1 (ko) 거푸집용 클램프
KR200428509Y1 (ko) 복공판
JP4970061B2 (ja) 溝形部材を用いた床版または覆工板用の版状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86744B1 (ko) 도로용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JP3682521B2 (ja) 2段主桁合成床版橋の構造
KR101665357B1 (ko) 미끄럼 방지 종철근 및 횡방향 돌출 접합강판의 이용에 의한 견고한 합성효과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15506190B (zh) 一种预制混凝土拼装道路
JP4388881B2 (ja) 橋脚の上縁拡幅構造
JP2004116139A (ja) 既設橋梁の主桁の補強方法
KR200378276Y1 (ko) 구조보강용 복공판
JP4820890B2 (ja) 防護柵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