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539B1 -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539B1
KR100907539B1 KR1020070111074A KR20070111074A KR100907539B1 KR 100907539 B1 KR100907539 B1 KR 100907539B1 KR 1020070111074 A KR1020070111074 A KR 1020070111074A KR 20070111074 A KR20070111074 A KR 20070111074A KR 100907539 B1 KR100907539 B1 KR 100907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mounting space
fuse box
mount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816A (ko
Inventor
고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5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6Enhanced legend space by smaller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박스용 버스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퓨즈박스(30)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버스바장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2)에 형성된 장착공간(33)에는 버스바(50)가 삽입된다. 상기 버스바(50)의 하단은 상기 장착공간(33)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상기 장착공간(33)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스바(50)의 하단이 걸어지도록 걸이슬릿(35)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50)의 하단에는 상기 걸이슬릿(35)에 지지되도록 걸림편(58)이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50)의 외면에는 상기 장착공간(33)의 내면과 대응되는 면과 서로 밀착되도록 접촉비드(5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50)의 외면에는 접촉비드(59)가 형성되어 장착공간(33)의 내면과 대응되는 면과 밀착되므로, 버스바장착부(32)에서 버스바(5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버스바(50)의 하단이 지지되는 걸이슬릿(35)이 장착공간(33)의 내측면에 요입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버스바(50)를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공간(33)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장착공간(33)의 용적을 줄일 수 있다.
퓨즈박스, 하우징, 버스바, 접촉비드, 걸이슬릿, 걸림편

Description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Bus-bar fixing structure for fuse box}
본 발명은 퓨즈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퓨즈박스에 결합되는 버스바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퓨즈박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퓨즈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구성이 부분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퓨즈박스(1)의 골격은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를 비롯하여 퓨즈(미도시)나 릴레이(미도시)등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버스바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12)의 내측면에는 랜스(15)가,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랜 스(15)는 상기 버스바장착부(12)에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버스바(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15)의 선단에는 걸이턱(1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홈(23)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스바장착부(12)의 내부에는 버스바(20)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20)의 상부에는 상기 퓨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21)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20)에는 장착홈(23)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23)은 상기 랜스(15)의 걸이턱(15')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랜스(15)의 걸이턱(15')에 상기 장착홈(2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20)의 장착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버스바장착부(12)의 내측면에는 상기 랜스(15)가 탄성력을 가지기 위해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버스장착부(12)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20)의 장착홈(23)이 상기 랜스(15)의 걸이턱(15')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버스바(20)는 상기 랜스(15)가 돌출된 길이만큼 상기 버스바장착부(12)의 내측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20)가 외력에 쉽게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비드와 걸림편이 형성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하우징의 부피를 줄이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여 버스바장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상기 버스바장착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면에 하단이 지지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스바의 하단이 걸어지도록 걸이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의 하단에는 상기 걸이슬릿에 지지되도록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의 외면에는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과 대응되는 면과 서로 밀착되도록 접촉비드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는,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이 소정폭만큼 절개되어 상기 걸이슬릿을 향하여 소정각도 절곡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과 인접한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촉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비드는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 되어 상기 버스바장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걸림편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인접한 걸림편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촉비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인접한 접촉비드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은 상기 버스바의 삽입방향으로 인접한 접촉비드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장착부의 내부인 장착공간에서 버스바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버스바에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버스바장착부의 내측면에는 걸이슬릿이 형성된다. 즉, 걸림편이 버스바장착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이슬릿에 걸어지는 것이다. 또한, 버스바의 외면에는 접촉비드가 형성되어 장착공간의 내면과 대응되는 면과 밀착되므로, 버스바장착부에서 버스바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퓨즈박스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의 하단이 지지되는 걸이슬릿이 장착공간의 내측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즉, 버스바를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공간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장착공간의 용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부피를 줄여 전체적으로 퓨즈박스가 소형화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용 버스바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용 버스바의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퓨즈박스의 요부구성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버스바가 퓨즈박스에 고정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퓨즈박스(30)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든다. 상기 하우징(3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50)를 비롯하여 퓨즈나 릴레이등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31)에는 버스바장착부(32)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내부에는 버스바(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공간(33)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3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50)의 몸체부(5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장착공간(33)은 버스바(50)의 몸체부(51)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50)의 외면과 마주보는 상기 장착공간(33)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걸이슬릿(3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릿(35)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50)의 걸림편(58)이 절곡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장착공간(33)의 내측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릿(3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릿(35)에는 버스바(50)의 하단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슬릿(35)은 버스바(50)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는, 버스바(50) 가 상기 장착공간(33)에 삽입될 때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내측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단면도이기 때문에, 상기 걸이슬릿(35)이 상기 장착공간(33)의 일측내면에 있는 것만이 보이나, 상기 걸이슬릿(35)은 상기 장착공간(33)의 타측내면에도 형성된다.(도 6참고) 이때, 상기 걸이슬릿(35)은 상기 장착공간(33)의 마주보는 내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31)에는 버스바(50)가 장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50)의 외관과 골격은 몸체부(5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51)는 상기 하우징(31)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31)에 장착된 기타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51)는 판상의 금속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50)에는 상기 몸체부(51)의 선단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3)는 연결버스바(미도시) 및 상대단자(미도시)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 상기 몸체부(51)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53)에는 체결공(5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4)에는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부(53)가 상대단자 및 상기 하우징(3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51)의 선단 타측에는 다수개의 단자부(56)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56)는 상기 몸체부(51)에서 직립되게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대단자 또는 퓨즈 등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50)에는 걸림편(5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58)은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51)의 하단이 소정폭만큼 절개되고 상기 걸이슬릿(35)을 향하여 소정각도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58)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다수개가 형성되고, 인접한 걸림편(58)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58)은 상기 걸이슬릿(35)에 걸어져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걸이슬릿(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편(58)이 상기 걸이슬릿(35)에 걸어진 모습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림편(58)과 인접한 상기 버스바(50)의 몸체부(51)에는 접촉비드(59)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59)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59)는 인접한 접촉비드(59)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촉비드(59)는 인접한 걸림편(58)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59)는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장착공간(33)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상기 접촉비드(59)는 상기 버스바(50)이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장착공간(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없이 상기 하우징(31)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버스바장착부(32)에 장착되면, 상기 버스바(50)의 접촉비드(59)와 상기 장착공간(33)의 내면과 대응되는 면을 서로 밀착되게 하여 상기 버스바장착부(32)에서 상기 버스바(50)가 유동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용 버스바 고 정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버스바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하우징(31)에 버스바(50)를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50)를 상기 장착공간(33)에 장착시킨다. 즉, 상기 버스바(50)의 단자부(56)부터 상기 장착공간(33)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편(58)은 상기 버스바(50)의 몸체부(51)를 향하여 탄성변형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50)의 몸체부(51)가 상기 장착공간(33)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58)이 다시 복원되면서 상기 걸이슬릿(35)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버스바(50)의 하단 즉, 상기 걸림편(58)이 상기 걸이슬릿(35)에 지지되어 상기 버스바(5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버스바(50)의 접촉비드(59)와 상기 장착공간(33)의 내면 과 대응되는 면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버스바장착부(32)에서 상기 버스바(50)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장착공간(33)에 장착되면, 상기 버스바(50)의 단자부(56)가 상대퓨즈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대퓨즈 또는 릴레이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용 버스바의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퓨즈박스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버스바가 퓨즈박스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퓨즈박스 31: 하우징
32: 버스바장착부 33: 장착공간
35: 걸이슬릿 50: 버스바
51: 몸체부 53: 연결부
54: 체결공 56: 단자부
58: 걸림편 59: 접촉비드

Claims (5)

  1.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여 버스바장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버스바장착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면에 하단이 지지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스바의 하단이 걸어지도록 걸이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의 하단에는 상기 걸이슬릿에 지지되도록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의 외면에는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과 대응되는 면과 서로 밀착되도록 접촉비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이 소정폭만큼 절개되어 상기 걸이슬릿을 향하여 소정각도 절곡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과 인접한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촉비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고정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비드는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장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고정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인접한 걸림편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촉비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인접한 접촉비드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고정구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버스바의 삽입방향으로 인접한 접촉비드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고정구조.
KR1020070111074A 2007-11-01 2007-11-01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KR100907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74A KR100907539B1 (ko) 2007-11-01 2007-11-01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74A KR100907539B1 (ko) 2007-11-01 2007-11-01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816A KR20090044816A (ko) 2009-05-07
KR100907539B1 true KR100907539B1 (ko) 2009-07-14

Family

ID=4085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074A KR100907539B1 (ko) 2007-11-01 2007-11-01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5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536A (ja) 1996-09-12 1998-04-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スバー及び該バスバーを用いた分岐接続構造
KR19980016866U (ko) * 1996-09-20 1998-06-25 정진택 휴즈박스용 버스바(Bus Bar)
JP2001008332A (ja) * 1999-06-17 2001-01-12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2051432A (ja) * 2000-08-03 2002-02-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ヒューズ機能付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回路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536A (ja) 1996-09-12 1998-04-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スバー及び該バスバーを用いた分岐接続構造
KR19980016866U (ko) * 1996-09-20 1998-06-25 정진택 휴즈박스용 버스바(Bus Bar)
JP2001008332A (ja) * 1999-06-17 2001-01-12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2051432A (ja) * 2000-08-03 2002-02-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ヒューズ機能付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回路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816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56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JP5420994B2 (ja) 電気接続箱
JP2010259228A (ja) クランプ、及び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JP2009022097A (ja) 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JP2012222851A (ja) ワッシャ保持用ブラケット構造
JP4619980B2 (ja) 電気接続箱
KR100907539B1 (ko)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JP6238873B2 (ja) 電気接続箱
JP4914746B2 (ja) 電気接続箱のハーネス付設構造
KR101561046B1 (ko) 자동차용 블럭
JP6277110B2 (ja) 電気接続箱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20100118440A (ko) 버스바의 결합구조
JP5342533B2 (ja) 自動車用リレーボックス
KR200444896Y1 (ko) 커넥터
KR100933542B1 (ko) 조립형 퓨즈박스
KR200438077Y1 (ko) 정션박스
KR101879822B1 (ko) 자동차용 블럭
KR200445635Y1 (ko) 정션박스
KR100847135B1 (ko)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JP4606371B2 (ja) 電気接続箱
JP6585426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20090001090U (ko) 버스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