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684B1 -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 Google Patents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684B1
KR100906684B1 KR1020070086080A KR20070086080A KR100906684B1 KR 100906684 B1 KR100906684 B1 KR 100906684B1 KR 1020070086080 A KR1020070086080 A KR 1020070086080A KR 20070086080 A KR20070086080 A KR 20070086080A KR 100906684 B1 KR100906684 B1 KR 10090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guide
plate
rubber whee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560A (ko
Inventor
박춘복
전세곤
윤병현
백인혁
오의진
이안호
이호용
조홍식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6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8Rail tracks for guiding vehicles when running on road or similar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36Fastening means for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8Guard rails; Connecting, fastening or adjus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매판 연결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신축을 흡수할 수 있으며, 안내레일의 단차를 나사로 정밀조정하거나 쐐기로 밀착하여 편평도를 향상하며, 상하좌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은 노면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 지지대와; 상기 안내레일 지지대의 내측 벽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저부 양단을 누르도록 각각 고정 설치되는 눌림쇠와; 상기 안내레일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3궤조지지판과; 상기 3궤조지지판의 하면에 고정 지지되는 안내레일 고정판과; 상기 눌림쇠와 3궤조지지판과 안내레일 고정판을 관통시켜 안내레일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86080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Description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guide rail fixing system of rubber wheel AGT}
본 발명은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음매판 연결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신축량을 흡수함과 동시에 안내레일의 단차를 나사로 정밀조정하거나 쐐기로 밀착하여 편평도를 향상시킨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균형적인 발전 및 저비용 고효율 수송을 위하여 설치되는 고무 경량전철에 있어서는 평탄부가 형성되는 주행노면과 경량전철의 고무차륜이 접촉 마찰저항으로 차량이 이동하고 측면에 설치된 안내레일을 안내륜이 접촉하면서 차량을 가이드 하며, 분기시에는 수평가동안내판과 고정안내판이 분기륜을 분기 방향으로 가이드 하며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궤도 시스템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량전철에 있어서는 경량전철의 주행노면 주행중 분기부의 통과시 단순한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주행되는 고무차륜의 분기방향 결정이 용이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안내레일의 이음매 간의 좌우 밀림 및 처짐 등이 발생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426661호 경량전철 분기기와 안내레일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경량전철 분기기와 안내레일은 경량전철의 고무차륜(10)이 주행토록 평탄부(20)가 형성되는 주행 노면부(30)와; 상기 주행 노면부(30)의 양측으로 궤조 지지대(40)가 입설되고, 상기 궤조 지지대(40)의 내측 벽면으로 결합수단(50)을 통해 횡설되어 경량전철의 하측 안내륜(70)이 접촉하는 안내레일(60)과; 상기 주행 노면의 분기부(K) 좌우 측으로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횡설되어 그 내측 벽면이 상기 안내륜(70) 하측에 설치되는 분기륜(90)과 접촉하여 경량전철의 분기방향을 결정토록 전기 전철기(100)의 가이드 바아(110)와 연설되어 좌,우 이송토록 설치되는 가동 안내판(80) 및 상기 가동 안내판(80)과 연설되어 분기륜(90)과 접촉하며 경량전철의 분기 방향을 안내토록 고정 설치되는 고정 안내판(1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경량전철 분기기와 안내레일은 안내레일이 커서 하중 지지를 위한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하며, 또한 안내레일의 상하조절을 위해 쐐기를 사용함으로써, 분실이나 잦은 이탈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음매판 연결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으며, 안내레일의 단차를 나사로 정밀조정하거나 쐐기로 밀착하여 편평도를 향상하며, 상하좌우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은 노면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 지지대와; 상기 안내레일 지지대의 내측 벽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저부 양단을 누르도록 각각 고정 설치되는 눌림쇠와; 상기 안내레일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3궤조지지판과; 상기 3궤조지지판의 하면에 고정 지지되는 안내레일 고정판과; 상기 눌림쇠와 3궤조지지판과 안내레일 고정판을 관통시켜 안내레일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은 이음매판 연결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으며, 안내레일의 단차를 나사로 정밀조정하거나 쐐기로 밀착하여 편평도를 향상하며, 상하좌우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안내레일 지점과 볼트 지점이 짧아 높은 체결력 유지로 안내레일의 종저항력이 향상되며, 구조가 간단하며, 볼트 구조로 궤간 조정의 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가동안내판식 편개분기기의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크로싱 후단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구간의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안내레일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안내레일 체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안내레일 체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이음매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안내레일 고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구간의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3궤조 지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은 노면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 지지대(100)와; 상기 안내레일 지지대(100)의 내측 벽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110)과; 상기 안내레일(110)의 저부 양단을 누르도록 각각 고정 설치되는 눌림쇠(120)와; 상기 안내레일(110)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3궤조지지판(130)과; 상기 3궤조지지판(130)의 하면에 고정 지지되는 안내레일 고정판(140)과; 상기 눌림쇠(120)와 3궤조지지판(130)과 안내레일 고정판(140)을 관통시켜 안내레일 지지대(100)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레일 지지대(100)에는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의 타원형 장공(105)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110)의 단부에 이음매판(160)이 하드락볼트(170)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안내레일(110)의 단차는 조정볼트로 정밀 조정된다.
즉, 상기 이음매판(160)의 장공(162)과 하드락볼트(170) 간에는 약간의 여유공차를 두어 안내레일(110)의 신축에 의한 팽창을 흡수하는 구조로 하며, 하드락볼트(170)를 넣어 풀림이 없는 구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눌림쇠(120)는 상부측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운데 부분에 타원형 장공(122)이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3궤조지지판(130)과 안내레일 고정판(14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평판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운데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요홈(134, 144)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34, 144)의 좌우측 평판 상에 장공(132, 1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3궤조 지지판(130)의 평판 상에 장공(132)을 형성하여 좌우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장공(132)은 상하방향, 사선방향으로 형성하여 높이조절, 좌우 상하 동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은 이음매판(160)의 연결부에 장공(162)을 형성하여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으며, 안내레일(110)의 단차를 나사로 정밀 조정하거나 쐐기를 이용하여 밀착함으로써 편평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내레일(110)의 상하좌우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안내레일(110) 지점과 볼트 체결지점이 짧아 높은 체결력 유지로 안내레일(110)의 종저항력이 향상되며, 체결볼트 구조로 궤간 조정 범위가 넓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안내레일 지지대(100)나 고정벽체(180) 및 안내레일(110) 간의 거리가 멀 경우에는 앵커볼트로는 강도가 부족하므로 H빔, T형, L형 빔으로 강도를 보강하는 확폭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경량전철 분기기와 안내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경량전철 분기기에 설치된 가동 안내판 및 안내레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종래의 안내레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종래의 경량전철 분기기에 설치되는 고정 안내판을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종래의 가동 안내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궤도 지지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7은 종래의 안내레일 높이 조정상태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가동안내판식 편개분기기의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구간의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안내레일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안내레일 체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안내레일 체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A-A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이음매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안내레일 고정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구간의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3궤조지지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구간의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의 확폭구간을 도시한 평면도.

Claims (5)

  1. 노면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 지지대(100)와; 상기 안내레일 지지대(100)의 내측 벽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110)과; 상기 안내레일(110)의 저부양단을 누르도록 각각 고정 설치되는 눌림쇠(120)와; 상기 안내레일(110)의 저부에 고정설치되며, 사각형상의 평판으로서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134,144)과 상기 요홈의 좌우측에 장공 (132, 142)이 형성된 3궤조지지판(130)과; 상기 3궤조지지판(130)의 하면에 고정지지되는, 사각형상의 평판으로서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134,144)과 상기 요홈의 좌우측에 장공(132,142)이 형성된 안내레일고정판(14)과; 상기 눌림쇠(120)와 3궤조지지판(130)과 안내레일고정판(140)을 관통시켜 안내레일 지지대(100)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 지지대(100)에는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의 타원형 장공(105)이 좌우의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안내레일(110)의 단부에 이음매판(160)이 하드락볼트(170)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안내레일(110)의 단차는 조절볼트로 정밀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086080A 2007-08-27 2007-08-27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KR10090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80A KR100906684B1 (ko) 2007-08-27 2007-08-27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80A KR100906684B1 (ko) 2007-08-27 2007-08-27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560A KR20080041560A (ko) 2008-05-13
KR100906684B1 true KR100906684B1 (ko) 2009-07-07

Family

ID=3964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080A KR100906684B1 (ko) 2007-08-27 2007-08-27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6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3920A (zh) * 2014-07-29 2016-02-10 岳池县丽城环保科技有限公司 高铁列车保险装置(保险桩)
KR101995202B1 (ko) 2018-11-05 2019-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5506U (ja) * 1984-04-13 1985-11-02 日本軌道工業株式会社 専用構築軌道におけるガイドレ−ルの締結装置
JPH01250502A (ja) * 1988-03-30 1989-10-05 Pub Works Res Inst Ministry Of Constr 車両誘導軌道の段階建設工法
JP2001049602A (ja) * 1999-08-04 2001-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案内軌道車両用案内レール連結装置及び案内レ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5506U (ja) * 1984-04-13 1985-11-02 日本軌道工業株式会社 専用構築軌道におけるガイドレ−ルの締結装置
JPH01250502A (ja) * 1988-03-30 1989-10-05 Pub Works Res Inst Ministry Of Constr 車両誘導軌道の段階建設工法
JP2001049602A (ja) * 1999-08-04 2001-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案内軌道車両用案内レール連結装置及び案内レー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3920A (zh) * 2014-07-29 2016-02-10 岳池县丽城环保科技有限公司 高铁列车保险装置(保险桩)
KR101995202B1 (ko) 2018-11-05 2019-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560A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8896A1 (en) Support for a panel of a section of guided transport track
TWI344499B (en)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rails from buckling
US9206556B2 (en) Elevated frog and rail crossing track assembly
DE59706798D1 (de) Unterbau für ein gleis für schienenfahrzeuge
KR20090100429A (ko) 콘크리트 판을 포함하는 직결 궤도
US4870906A (en) Dual switch system for common use by track guided rail vehicles and magnetic vehicles
CN107740313B (zh) 一种磁浮列车的轨道及其轨道用接头
KR100906684B1 (ko)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CN107642008A (zh) 一种高过岔速度柔性单轨道岔
CN201962557U (zh) 一种铁路无砟轨道跨越线下结构缝板式结构
CN109989305B (zh) 单轨内导向式道岔、渡线道岔和轨道交通***
US8459570B2 (en) Supporting arrangement
US3430857A (en) Ballastless railway track structure
KR101034752B1 (ko) 안내 궤도가 설치되는 지지대용 거푸집
CN104911964A (zh) 一种磁浮交通曲线轨道梁
KR20200030150A (ko) 복합궤용 레일 설치 구조
JP5840276B1 (ja) 鉄道車両逸脱防止装置
CN108638298A (zh) 一种跨座式单轨轨道梁的侧模***及使用方法
CN204753277U (zh) 一种磁浮交通曲线轨道梁
KR100426661B1 (ko) 경량전철 분기기와 안내궤조
KR0149866B1 (ko) 그루우브형 안내트랙의 전철기
CN102182119A (zh) 一种铁路无砟轨道跨越线下结构缝结构
JPH04503544A (ja) 磁気浮上式車両のための走行路レール
CN202081348U (zh) 一种铁路无砟轨道跨越线下结构缝点式结构
KR100906685B1 (ko) 고무차륜형 경량전철용 분기륜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