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554B1 -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554B1
KR100905554B1 KR1020060082841A KR20060082841A KR100905554B1 KR 100905554 B1 KR100905554 B1 KR 100905554B1 KR 1020060082841 A KR1020060082841 A KR 1020060082841A KR 20060082841 A KR20060082841 A KR 20060082841A KR 100905554 B1 KR100905554 B1 KR 100905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rojection control
control signal
imag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204A (ko
Inventor
윤상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554B1/ko
Priority to DE102007039606A priority patent/DE102007039606A1/de
Priority to JP2007222529A priority patent/JP2008058970A/ja
Priority to US11/848,069 priority patent/US20080055566A1/en
Publication of KR2008002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계; 상기 제어계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젝션 제어계; 및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입력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을 변조하여 선형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영상을 내부 표시부에 투사하면서 스캐닝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광변조 광학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60082841
프로젝션, 휴대용 단말기, 휴대폰, 광변조, 회절형 광변조기

Description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Mobile unit using the projector of optical modulator}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변조기 프로젝터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내부의 일부분이 절개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변조기 프로젝터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도.
도 3는 도 2의 프로젝션 구동부의 내부 블럭도.
도 4a는 도 2의 회절형 광변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2의 회절형 광변조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광경로 변환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내부 표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6 :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118 :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
130 : 광변조기 프로젝터 140 : 프로젝션 제어부
150 : 광변조 광학계 151 : 광원계
151R, 151G, 151B : 광원 151S : 집광부
152 : 조명 광학부 153 : 회절형 광변조기
154 : 필터부 155 : 투사 광학부
156 : 스캐닝부 157 : 드라이브 집적회로
158 : 광경로 변환부 158a : 반사미러
158b : 이동부 158c : 도광판
160 : 내부 표시부 162 : 외부 스크린
본 발명은 광변조기를 이용하여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외부 스크린에 투사하여 스캐닝하거나 내부 표시부에 투사하여 스캐닝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산업 및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거의 모든 산업부분에서 데스크탑 피씨(desk top personal computer)나 노트북 피씨 및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unit)를 통하여 각종 문자 및 화상정보를 처리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에 의한 정보 활용이 높아지면서 종전의 데스크탑 피씨나 노트북 피씨는 물론 휴대폰에 의 해서도 인터넷과 연결하여 정보처리작업을 하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데스트탑 피씨나 노트북 피씨 및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있어서 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고화질의 영상 처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데스크탑 피씨나 노트북 피씨 및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은 일정 규격의 모니터가 단말기 본체와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서 화면의 시각범위와 판독성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변조기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변조하여 선형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내부 표시부에 투사하여 스캐닝하여 고화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변조기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외부 스크린(외부 표시부)에 투사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요구하는 소형화의 요구와 저전력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계; 상기 제어계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젝션 제어계; 및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입력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을 변조하여 선형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영상을 내부 표시부에 투사하면서 스캐닝하는 광변조 광학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광변조 광학계는 생성된 영상을 외부 스크린에 투사하면서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기의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프로젝터가 내장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내부의 일부분이 절개된 도면이며, 여기에서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프로젝터가 내장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10)는 내부 프로젝션 모드(여기에서 내부 프로젝션 모드란 내부의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를 말한다) 또는 외부 프로젝션 모드(여기에서 외부 프로젝션 모드란 외부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를 말하며, 사용자가 키패드(13)을 이용하여 선택한다)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내장된 모바일용 프로젝터를 구동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폴더부(11)에 있는 내부 표시부(12)에 투사하면서 영상을 표시하거나, 오른쪽 측면의 개구부(14)를 통하여 외부의 스크린(15)에 투사하면서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모바일용 프로젝터는 도 1의 부분 절개된 내부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RGB 각각의 색깔의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을 단일경로에 위치하도록 하는 광원계(51)와, 광원계(51)에서 생성된 광을 회절형 광변조기(53)에 투사하기 위한 조명 광학부(52)와, 입사된 광을 변조하여 여러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생성하여 회절광에 의한 영상을 생성하는 회절형 광변조기(53)와, 회절형 광변조기(53)에서 생성된 여러차수의 회절계수를 갖는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통과시키는 필터부(54)와, 필터부(54)를 통과한 회절광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부(55)와, 투사 광학부(55)에서 확대 투사된 회절광의 영상을 내부 표시부(12)에 표시하여 영상을 생성하거나 외부 스크린(15)에 스캐닝을 수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스캐닝부(56), 내부 표시부(12)를 향하는 회절광의 광경로를 변화시키기 위한 반사면 등으로 이루어진 광경로변환부(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변조 광학계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광원계(51)은 R광원(51R)과 G광원(51G)와 B광원(51B)을 포함하며, 집광부(51S)를 포함한다. 집광부(51S)는 R광을 집광하기 위하여 입사되는 R광을 반사하는 미러(51RS)와 R광과 G광을 집광하기 위하여 R광은 반사하고 G광은 투과시키는 다이크로닉 미러(51GS) 그리고 R광과 G광 그리고 B 광을 집광하기 위하여 R광을 G광을 투과하고 B광을 반사하는 다이크로닉 미러(51BS)를 포함한다. 이러한 광변조 광학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면서 영상 을 생성하며, 프로젝션 제어부(140)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에 의해 제어된다. 물론,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제어부(140)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폰이 아니라면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은 다른 형태의 프로세서로 대체될 수 있다. 즉,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라는 용어는 휴대폰과 다른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프로젝터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프로젝터(130)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10), 정보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112), 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14),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 등을 제어하여 영상이 내부 표시부(160)에 투사되도록 하거나 외부 스크린(162)에 투사되도록 하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 구비된 카메라 등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 전송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118),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118)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메모리(114)에 저장하거나 프로젝션 제어부(140)로 전송하여 프로젝션 되도록 하며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로부터 영상 프로젝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114)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읽어와서 프로젝션 제어부(140)에 전송하여 내부 표시부(160)나 외부 스크린(162)에 투사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 서(122),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생성한 후에 생성된 영상을 확대하여 내부 표시부(160)나 외부 스크린(162)에 투사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와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는 단말 제어계로 총칭된다.
한편, 도2에서 점선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영상 데이터 등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118)는 카메라 등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로 전송한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는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118)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메모리(114)에 저장하고 프로젝션 제어부(140)로 전송하여 프로젝션 되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읽어와서 프로젝션 제어부(140)에 전송하여 내부 표시부(160) 및/또는 외부 스크린(162)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바일용 프로젝터(130)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로부터 프로젝션 제어신호와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광변조 광학계(150)가 생성하도록 광변조 광학계(150)를 제어하는 프로젝션 제어부(140)와, 프로젝션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프로젝션 제어신호와 영상 데이터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내부 표시부(160) 및/또는 외부 스크린(162)에 표시하는 광변조 광학계(150)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션 제어부(14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영상 입력부(142),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 구동신호 제어부(14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변조 광학계(150)는 RGB 광원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계(151), 광원계(152)에서 출사된 광을 회절형 광변조기(153)에 입사시키는 조명 광학부(152), 조명 광학부(152)에서 입사된 광을 회절시켜(즉, 조명 광학부(152)가 입사된 광을 회절시켜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복수의 회절차수의 회절광중에서 어느 한 차수 또는 복수 차수의 회절광이 원하는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선형 영상을 생성하는 회절형 광변조기(153), 회절형 광변조기(153)에서 생성된 복수 차수의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통과시키는 필터부(154), 필터부(154)를 통과한 회절광으로 이루어진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투사 광학부(155), 영상을 내부 표시부(160)나 외부 스크린(162)에 스캐닝하는 스캐닝부(156), 스캐닝부(156)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을 외부 스크린(162)을 향하도록 광경로를 변환시키는 광경로 변환부(158), 회절형 광변조기(153)를 프로젝션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프로젝션 제어신호와 영상 데이터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구동하는 드라이브 집적회로(157)를 포함한다.
한편,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영상 입력부(142)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로부터 직접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는 횡방향으로 정 렬되어 있는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종방향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트랜스포즈를 수행하여 횡방향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종방향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처럼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에서 데이터 트랜스포즈가 필요한 이유는 회절형 광변조기(153)을 이용한 광변조 광학계(150)의 경우에 복수개의 픽셀(pixel)이 세로로 배열되어 있어 가로 방향으로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프로젝션 제어 신호와 영상 데이터 종류 신호-즉, 내부 표시부(160)에 투사되어야 하는 영상인지 아니면 외부 스크린(162)에 표시되어야 하는지, 또는 내부 표시부(160)과 외부 스크린(162)의 둘다에 표시되어야 하는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고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로부터 횡방향으로 데이터 트랜스포즈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광원계(151)를 제어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하고, 드라이브 집적회로(157)로 프로젝션 제어 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회절형 광변조기(153)가 회절광을 이용한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외부 스크린(162)에 표시되어야 하는 영상임을 알려주는 영상 데이터 종류 신호가 입력되면 광경로 변환부(158)를 제어하여 내부 표시부(160)를 향하는 광경로를 외부 스크린(162)를 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광변조 광원계(150)의 광원계(151)는 복수의 광원(일예로 Red 광 원(151R), Green 광원(151G), Blue 광원(151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집광부(151S)를 포함하여 복수의 광을 집광하여 출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처럼 1판넬의 방식인 경우-즉, 회절형 광변조기(153)를 하나만 사용한 경우에는- 광원계(151)가 Red 광원(151R), Green 광원(151G), Blue 광원(151B)을 시분할하여 출사하면 회절형 광변조기(153)의 전단 또는 후단에 별도의 칼라휠(다중빔을 색깔별로 시간적으로 분할 할 수 있는 장치)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물론, 광원계(151)가 복수의 광원을 다중빔으로 출사하면-즉, 시분할 하지 않고 출사하면-회절형 광변조기(153)의 전단 또는 후단에 별도의 칼라휠(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다중빔을 색깔별로 시간적으로 분할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집광부(151S)는 예컨데, Red 광원(151R)과 Green 광원(151G)과 Blue 광원(151B)을 사용하는 경우에 하나의 반사미러(도 1의 51RS)와 두개의 다이크로닉 미러(도 1의 51GS, 51BS)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청색광과 녹색광 그리고 적색광이 집광되어 다중빔이 형성되어 단일 조명계를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조명 광학부(152)는 광원계(151)에서 출사된 광을 선형의 평행광으로 변화시켜 회절형 광변조기(153)로 입사시킨다.
회절형 광변조기(153)는 조명 광학부(152)로부터 선형의 평행광이 입사되면 광변조를 수행하여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형성하여 영상을 생성한다(물론 이때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회절광을 사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절형 광변조기(153)의 일예로 오픈홀 기반의 회절형 광변조기가 있는데, 도 4a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 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오픈홀 기반의 회절 광변조기는 실리콘 기판(501)과, 절연층(502),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와, 복수의 엘리멘트(510a~510n))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절연층과 하부 마이크로 미러를 별개의 층으로 구성하였지만 절연층에 광을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면 절연층 자체가 하부 마이크로 미러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501)은 엘리멘트(510a~510n)에 에어 스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함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연층(502)이 적층되어 있으며,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가 상부에 증착되어 있고, 함몰부를 벗어난 양측에 엘리멘트(510a~510n)의 하면이 부착되어 있다. 실리콘 기판(501)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Si, Al2O3, ZrO2, Quartz, SiO2 등의 단일물질이 사용되며, 바닥면과 위층(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을 다른 이종의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는 실리콘 기판(501)의 상부에 증착되어 있으며, 입사하는 빛을 반사하여 회절시킨다.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메탈(Al, Pt, Cr, A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엘리멘트(대표적으로 도면부호 510a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나머지도 같다)는 리본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분이 실리콘 기판(501)의 함몰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양끝단의 하면이 각각 실리콘 기판(501)의 함몰부를 벗어난 양측지역에 부착되어 있는 하부 지지대(511a)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지지대(511a)의 양측면에는 압전층(520a, 520a')이 구비되어 있으며, 구비된 압전층(520a, 520a')의 수축 팽창에 의해 엘리멘트(510a)의 구동력이 제공 된다.
하부 지지대(511a)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Si 산화물(일예로 SiO2 등), Si 질화물 계열(일예로 Si3N4 등), 세라믹 기판(Si, ZrO2, Al2O3 등), Si 카바이드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대(511a)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측의 압전층(520a, 520a')은 압전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전극층(521a, 521a')과, 하부전극층(521a, 521a')에 적층되어 있으며 양면에 전압이 인가되면 수축 및 팽창하여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 재료층(522a, 522a')과, 압전 재료층(522a, 522a')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재료층(522a, 522a')에 압전 전압을 제공하는 상부 전극층(523a, 523a')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전극층(523a, 523a')과 하부 전극층(521a, 521a')에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재료층(522a, 522a')은 수축 팽창을 하여 하부 지지대(511a)의 상하 운동을 발생시킨다.
전극(521a, 521a', 523a, 523a')의 전극재료로는 Pt, Ta/Pt, Ni, Au, Al, RuO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0.01~3㎛ 범위에서 sputter 또는 evaporation 등의 방법으로 증착한다.
한편, 하부 지지대(511a)의 중앙 부분에는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가 증착되어 있으며 복수의 오픈홀(531a1~531a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오픈홀(531a1~531a4)의 모양은 직사각형이 바람직하지만 원형, 타원형 등 어떤 폐곡선의 형상도 가능하다. 그리고 여기에서 하부 지지대를 광반사성 물질로 형성한다면 별도로 상부 마이크로 미러를 증착할 필요가 없으며 하부 지지대가 상부 마이크로 미러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홀(531a1~531a4)은 엘리멘트(510a)에 입사되는 입사광이 관통하여 오픈홀(531a1~531a4)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에 입사광이 입사되도록 하며, 이렇게 하여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와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가 화소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예로 오픈홀(531a1~531a4)이 형성된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의 (A) 부분과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의 (B) 부분이 하나의 화소(픽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의 오픈홀(531a1~531a4)이 형성된 부분을 관통하여 입사되는 입사광은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의 해당 부분에 입사할 수 있으며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와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의 간격이 λ/4의 홀수배가 될 때 최대의 회절광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의 오픈홀(531a)이 형성된 부분을 관통하여 입사되는 입사광은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의 해당 부분(B)에 입사할 수 있으며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와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의 간격이 λ/4의 홀수배가 될 때 최대의 광세기를 가지는 회절광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도 4a의 오픈홀 기반의 회절형 광변조기는 오픈홀(531a)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긴변이 실리콘 기판(501)을 엘리멘트(510a)가 가로지르는 방향과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도 4b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엘리멘트(510a~510n)의 간격을 충분히 넓게 유지할 때 엘리멘트(510a~510n) 사이의 빈 공간(도면부호 D)을 이용할 수가 있다. 즉, 엘리멘트(510a~510n) 사이의 빈공간(도면부호 D)를 통과하여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에서 반사되어 나온광을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의 인접한 영역(C)에서 반사되어 나온광과 회절을 일으키도록 할 수가 있다. 물론 이때 엘리멘트(510a~510n) 사이의 빈공간(도면부호 D)에 위치하는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와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의 인접한 영역(C)의 단차가 입사광의 파장을 λ라 할 때 λ/4의 홀수배가 될 때 최대의 광세기를 가지는 회절광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4a 및 도 4b에서 (A), (B), (C), (D) 영역이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의 영역 (A), (C)는 입사광을 반사하는 반사표면으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의 상부 마이크로 미러(530a)의 오픈홀(531a)에 대응하는 부분인 (B)도 오픈홀(531a)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입사광을 반사하는 반사표면으로 역할을 수행하며 엘리멘트(510a)와 그에 인접한 엘리멘트(510b)의 빈공간에 대응하는 부분인 (D)도 빈공간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입사광을 반사하는 반사표면으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반사영역 (A), (B), (C), (D)의 폭은 효율적인 픽셀을 구성하기 위해서 서로 동일하다. 물론, 반사영역 (B), (D)의 폭이 반사영역 (A), (B) 보다 약간 넓어도 좋은데 그 이유는 오픈홀(531a)와 엘리멘트들(510a, 510b)의 사이를 입사광이 통과할 때 광손실이 발생하고 또한 하부 마이크로 미러(503)에서 반사된 광이 오픈홀(531a)와 엘리멘트들(510a, 510b) 사이를 통과할 때 광손실이 발생하기 때문 에 이러한 광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약간 더 넓도록 할 필요가 있다.일예로 반사영역 (A), (C)의 폭은 3.9um이고 이에 반해 반사영역 (B), (D)의 폭은 4.1um이다.
한편, 필터부(154)는 일예로 퓨리에 렌즈(도 1의 54A)와 색선별 필터(도 1의 54B)로 구성되며, 회절광을 차수별로 분리하고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투과/통과시킨다.
그리고, 투사 광학부(155)는 영상을 투사하며, 스캐닝부(156)로부터 입사된 회절광을 내부 표시부(160)에 스캐닝하여 영상을 내부 표시부(160)상에 생성하거나 외부 스크린(162)에 스캐닝하여 영상을 외부 스크린(162)상에 영상을 생성하여 시청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회절형 광변조기(153)가 형성하는 회절광은 여러 차수의 회절 계수를 가지고 있는데 0차 회절계수의 회절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전력으로 고출력을 낼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어 저전력을 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회절형 광변조기(153)이 형성하는 회절광에서 0차 회절광을 사용하면 +1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과 달리 회절광이 퍼지지 않기 때문에 +1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을 사용할 때 회절광을 모아주기 위해 사용하는 큰 렌즈계가 불필요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0차 회절광은 +1차 회절광이나 -1차 회절광에 비하여 초점 심도가 깊어 외부 스크린(162)이 고정되지 않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하기 용이하다. 여기에서, 초점 심도란 초점을 맞춘 물체의 앞뒤에 선명한 영상이 어느 정도까지 나오는가 하는 정보를 말하는데, 0차 회절광은 단일광이기 때문에 +차 회절광과 -차 회절 광을 집광하여 사용하는 0차 이상의 회절광보다 초점 심도가 깊다. 즉, 0차 이상의 회절광을 사용한 경우에는 +차 회절광과 -차 회절광이 서로 교차되면서 초점을 형성하게 되어 초점 심도가 얕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처럼 외부 스크린(162)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임의로 스크린(162)을 설정하고 육안을 사용하여 초점을 맞추는 응용에서는 초점 심도가 깊을 필요가 있으며 0차 회절광이 이러한 필요를 만족시킨다.
한편, 광경로 변환부(158)은 프로젝션 제어부(140)로부터 광경로 변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스캐닝부(156)에서 내부 표시부(160)로 향하는 광경로를 외부 스크린(162)으로 향하도록 변환시킨다.
이러한, 광경로 변환부(158)의 일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경로 변환부(158)는 스캐닝부(156)에서 스캐닝된 회절광의 경로를 내부 표시부(160)에서 외부 스크린(162)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반사미러(158a)와, 내부 프로젝션 모드 상태에서 (A) 상태에 있는 반사미러(158a)를 (B) 상태로 이동시켜 외부 프로젝션 모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이동부(158b)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158b)는 프로젝션 제어부(140)로부터 광경로 변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반사미러(158a)를 점선으로 표시된 (A) 상태에서 (B) 상태로 변환하여 광경로를 변환시켜 내부 프로젝션 모드 상태에서 외부 프로젝션 모드 상태로 변화시킨다.
물론, 여기에서는 내부 프로젝션 모드와 외부 프로젝션 모드를 별개의 상태로 상정하였지만 내부 프로젝션 모드와 외부 프로젝션 모드를 동시에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일실시예로 반사미러(158a)를 전반사영역, 반 투과성 영역 그리고 투과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현하면 내부 프로젝션 모드, 내부 및 외부 프로젝션 모드 그리고 외부 프로젝션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외부 프로젝션 모드에서는 반사미러(158a)의 전반사 영역을 이용하여 입사되는 회절광을 모두 외부 스크린(162)를 향하여 반사하도록 하여 외부 스크린(162)에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내부 및 외부 프로젝션 모드에서는 반사미러(158a)의 반투과성 영역을 이용하여 입사되는 회절광의 일부는 내부 표시부(160)를 향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외부 스크린(162)를 향하도록 하여 내부 표시부(160)와 외부 스크린(162)의 모두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외부 프로젝션 모드에서는 반사미러(158a)의 투과 영역을 이용하여 입사되는 회절광이 내부 표시부(160)로 투과되도록 하여 내부 표시부(16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한편, 내부 표시부(160)에 영상을 스캐닝부(156)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한데, 그 실시예가 도 6a 내지 6c에 도시되어 있다.
일예로 도 6a를 보면, 내부 표시부(160)의 외부 창(160a)(사용자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면)에 스캐닝부(156)가 회절광을 직접 투사하여 스캐닝함으로써 2차원 영상을 형성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도 6b를 보면, 내부 표시부(160)는 사용자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외부 창(160a)과, 외부 창(160a)의 일측에 외부 창(160a)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사미러(16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내부 표시부(160)가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반사미러(160b)를 더 구비하도록 하면 스캐닝부(156)는 회절광을 외부 창(160a)에 직접 투사하여 스캐닝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반사미러(160b)에 투사하여 스캐닝하고 그에 따라 반사미러(160b)가 회절광을 외부 창(160a)에 반사하여 스캐닝을 수행하게 되어 외부 창(160a)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스캐닝부(156)는 회절광을 반사미러(162b)에 투사하면서 스캐닝을 수행하면 그에 따라 반사미러(162b)가 입사되는 회절광을 외부 창(160a)에 반사하여 투사하면서 스캐닝을 수행하게 되고 그 결과 외부 창(160a)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다음으로 또 다른 예로서 도 6c를 보면, 내부 표시부(160)는 사용자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외부 창(160a)과, 외부 창(160a)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일측단의 개구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도파시키는 도파관(16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파관(160c)의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진행함에 따라 그 크기가 작아진다. 그리고, 도파관(160c)는 입사되는 광선에서 임계각을 넘어가는 광선을 투과시키는 투과 측벽(160ca)와 모두 반사하는 반사 측벽(160cb)로 이루어져 있다. 도파관(160c)의 투과 측벽(160ca)는 그 외측면이 외부 창(160a)에 접하고 있다. 물론, 여기에서는 외부 창(160a)와 투과측벽(160ca)을 별도로 구성하였지만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파관(160c)의 일측면의 개구에 회절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회절광은 도파관(160c)의 도파로(160cc)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파관(160c)의 반사 측벽(160cb)은 입사되는 회절광의 전부를 반사시키며 투과 측벽(160ca)은 회절광의 입사각이 임계값을 넘어가게 되면 투과시키게 되고 그 결과 영상이 외부창(160a)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외부 창(160a)에 영상이 스캐닝되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캐닝부(156)가 도파관(160c)의 개구에 입사되는 회절광의 입사각을 변화시키면 된다. 그렇게 하면 그에 따라 투과 측벽(160cb)에서 입사광이 도파관(160c)의 도파 방향에 따라 진행하면서 순차적으로 투과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외부 창(160a)에 영상이 스캐닝되면서 디스플레이 되게 되어 2차원 영상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도파관(160c)의 투과 측벽(160ca)은 스캐닝부(156)에서 투사된 광이 균일하게 외부 창(160a)으로 투과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 투과력이 매우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 PMMA) 수지, PC(PolyCarbonate)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광변조 광학계(150)는 하나의 회절형 광변조기(153)를 사용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였지만 칼라별로 구분된 3개의 회절형 광변조기를 사용하여-3판넬 방식으로 불리운다-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조명광학부가 별도로 3개 필요하고 또한 회절형 광변조기 이후에 색 합성계가 더 필요하다.
이제, 도 1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대하여 내부 프로젝션 모드와 외부 프로젝션 모드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내부 프로젝션 모드
베이스 벤드 프로세서(116)는 사용자가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에 폴더 를 열거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에 슬라이더부를 슬라이딩하면 내부 표시부(160)에 투사되어야 하는 지정된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션 제어부(140)로 전송하도록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에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신호에는 영상 데이터 종류를 알려주는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즉, 내부 표시부(160)에 표시되어야 하는 영상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는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 신호에 따른 내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구동신호 제어부(146)로 전송하고 영상 입력부(140)로 메모리(114)에서 읽어 온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영상 입력부(140)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로 전송하며,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트랜스포즈를 수행하여 트랜스포즈된 영상 데이터를 구동신호 제어부(146)로 출력한다.
그리고,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내부 프로젝션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광원 제어 신호를 광원계(151)로 전송하여 광원계(151)가 광원을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영상 데이터에 따른 구동 제어 신호를 드라이브 집적회로(157)로 출력하며,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은 드라이브 집적회로(157)는 입력받은 구동 제어신호에 따른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회절형 광변조기(153)를 구동 한다.
또한,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스캐닝부(156)로 내부 스캐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스캐닝부(156)가 스캐닝을 수행하여 영상이 내부 표시부(160)에 스캐닝되도록 하여 영상이 내부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구동 신호 제어부(146)는 광경로 변환부(158)로 내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스캐닝부(156)에서 외부 스크린(162)으로 향하는 광경로가 형성되어 있다면 광경로가 내부 스크린(160)을 향하도록 변환시킨다.
한편, 광원계(151)은 구동신호 제어부(146)로부터 입력되는 광원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R광, G광, B광을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출사한다.
그리고, 조명 광학부(152)는 광원계(151)에서 생성된 광을 회절형 광변조기(153)으로 입사시킨다.
다음으로, 회절형 광변조기(153)는 입력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조명광학부(152)에서 입사된 광을 변조하여 복수의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형성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필터부(154)는 회절형 광변조기(153)에서 생성된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에서 일예로 0차 회절광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회절광은 차단한다.
다음으로, 투사 광학부(155)는 필터부(154)를 통과한 회절광을 투사하며, 스캐닝부(156)는 구동신호 제어부(146)으로부터 입력되는 내부 스캐닝 제어 신호에 따라 내부 표시부(160)에 영상을 스캐닝을 수행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스캐닝부(156)는 여러 유형을 포함하는데 오실레이팅 미러 타입 스캐너, 로테이팅 헤드 타입 스캐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광경로 변환부(158)의 이동부(158b)는 내부 프로젝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반사미러(158a)의 위치를 (B) 위치에 있는 경우에 (A) 위치로 변화시켜 스캐닝부(156)에서 외부 스크린(162)으로 향하는 광경로를 내부 표시부(160)로 향하도록 변환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필터부(154)는 회절형 광변조기(153)의 후단의 어느곳에나 위치할 수 있으며-스캐닝부(156)과 내부 표시부(160)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음-, 스캐닝부(156)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회절형 광변조기(153)는 압전 구동방식 뿐만 아니라 GLV 등도 사용가능하며, 압전 구동방식인 경우에는 오픈홀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며, 하이브리드 타입의 광변조기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단일광원도 사용가능하며, 이경우 이차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이차원 스캐닝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일광원은 단일 다이오드 또는 단일 광 픽셀을 형성하는 회절 유닛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2) 외부 프로젝션 모드
베이스 벤드 프로세서(116)는 사용자가 키입력부(112)를 사용하여 영상을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162)에 투사하는 외부 프로젝션 모드를 선택하고(이러한 외부 프로젝션 모드는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외부 스크린(162)에 투사를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션 제어부(140)로 전송하도록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에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는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신호를 구동신호 제어부(146)로 전송하고 영상 입력부(140)로 메모리(114)에서 읽어 온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영상 입력부(140)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로 전송하며,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트랜스포즈를 수행하여 트랜스포즈된 영상 데이터를 구동신호 제어부(146)로 출력한다.
그리고,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영상 데이터 처리부(144)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광원 제어 신호를 광원계(151)로 전송하여 광원계(151)가 광원을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영상 데이터에 따른 구동 제어 신호를 드라이브 집적회로(157)로 출력하며,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은 드라이브 집적회로(157)는 입력받은 구동 제어신호에 따른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회절형 광변조기(153)를 구동한다.
또한, 구동신호 제어부(146)는 스캐닝부(156)로 외부 스캐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스캐닝부(156)가 스캐닝을 수행하여 영상이 외부 스크린(162)에 스캐닝되도 록 하여 영상이 외부 스크린(16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구동 신호 제어부(146)는 광경로 변환부(158)로 외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스캐닝부(156)에서 내부 표시부(160)로 향하는 광경로를 외부 스크린(162)으로 향하도록 변환시킨다.
한편, 광원계(151)은 구동신호 제어부(146)로부터 입력되는 광원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R광, G광, B광을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출사한다.
그리고, 조명 광학부(152)는 광원계(151)에서 생성된 광을 회절형 광변조기(153)으로 입사시킨다.
다음으로, 회절형 광변조기(153)는 입력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조명광학부(152)에서 입사된 광을 변조하여 복수의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형성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필터부(154)는 회절형 광변조기(153)에서 생성된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에서 일예로 0차 회절광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회절광은 차단한다.
다음으로, 투사 광학부(155)는 필터부(154)를 통과한 회절광을 투사하며, 스캐닝부(156)는 구동신호 제어부(146)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스캐닝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스크린(162)에 영상을 스캐닝을 수행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광경로 변환부(158)의 이동부(158b)는 외부 프로젝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반사미러(158a)의 위치를 (A) 위치에서 (B) 위치로 변화시켜 스캐닝부(156)에서 내부 스크린(160)으로 향하는 광경로를 외부 표시부(162)로 향하도록 변환시킨다.
한편, 여기에서는 내부 프로젝션 모드와 외부 프로젝션 모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며, 내부 프로잭션 모드와 외부 프로젝션 모드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구현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내부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고화질의 영상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프로젝션 기능을 구현하게 되면 종래 휴대용 단말기가 가지는 LCD 화면의 화면 크기의 제한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전력의 광변조기를 사용하여 프로젝션 기능을 구현하기 때문에 소형의 배터리가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변조기 프로젝터가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Claims (29)

  1. 내부 표시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내부 표시부에 표시되어야 할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계;
    상기 제어계로부터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에 따른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젝션 제어계; 및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입력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영상을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입력된 내부 프로젝션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 표시부에 투사하면서 스캐닝하는 광변조 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 스크린에 표시되어야 할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는 상기 제어계로부터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에 따른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광변조 광학계는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입력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영상을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입력받은 외부 프로젝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스크린에 투사하면서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광변조 광학계는,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계;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구동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드라이브 집적회로;
    상기 드라이브 집적회로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입사광을 변조시켜 영상을 생성하는 광변조기;
    상기 광원계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광변조기로 입사시키는 조명 광학부;
    상기 광변조기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부;
    상기 투사 광학부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상기 내부 표시부 또는 외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여 2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스캐닝부; 및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에서 내부 프로젝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광변조기에서 생성된 영상을 상기 내부 표시부로 향하도록 하며,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에서 외부 프로젝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광변조기에서 생성된 영상을 상기 외부 스크린에 향하도록 하는 광경로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계는,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신호 또는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 출력하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계는,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신호 또는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및
    상기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로부터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신호 또는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신호 또는 외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광학계가 생성하는 영상은 0차 회절광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계는,
    서로 다른 칼라의 광을 생성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집광하는 집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기는 상기 조명 광학부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변조하여 선형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기는 회절형 광변조기로 상기 조명 광학부에서 입사되는 입사광을 회절시켜 회절광으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는 상기 조명 광학부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변조하여 선형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계에서 상기 내부 표시부에 이르는 광경로상에서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의 이후의 광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생성된 복수 차수의 회절광에서 0차 회절광을 통과시키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스캐닝부에 포함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는,
    기반 부재;
    어레이를 형성하고, 각각은 상기 기반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중간 부분은 상기 기반 부재와 이격되어 공간을 확보하고 있고 상기 기반부재에 배향하는 표면이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하며 적어도 하나의 오픈홀이 형성되어 입사광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반사부;
    상기 기반 부재와 상기 제1 반사부 사이에 상기 제1 반사부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 반사부의 상기 오픈홀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표면을 가지고 있는 제2 반사부; 및
    상기 드라이브 집적회로로부터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상기 제1 반사부의 중간 부분을 상기 기반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움직여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광으로 형성되는 회절광의 광양을 변화시키는 복수의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는 긴변이 상기 기반 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복수개의 오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폭과 상기 오픈홀의 폭과 상기 오픈홀들간의 거리 그리고 상기 최외곽 오픈홀에서 상기 제1 반사부 사이의 갭에 이르는 거리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변환부는,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내부 프로젝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광경로를 상기 내부 표시부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외부 프로젝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광경로를 상기 외부 스크린을 향하도록 변화시키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변환부는,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미러; 및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내부 프로젝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광경로를 상기 내부 표시부를 향하도록 변화시키는 위치로 상기 반사미러를 이동시키고,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로부터 외부 프로젝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광경로를 상기 외부 스크린을 향하도록 변화시키는 위치로 상기 반사미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제어계는,
    상기 제어계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가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어계에서 내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내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상기 광변조 광학계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계에서 외부 표시부 프로젝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외부 프로젝션 제어신호를 상기 광변조 광학계로 출력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에 따른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광변조 광학계로 출력하는 구동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시부는,
    상기 광변조 광학계에서 투사되는 광을 외부로 표시하는 외부 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시부는 상기 외부 창의 일측에 상기 외부 창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내부 표시부 반사미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표시부 반사미러는 상기 광변조 광학계에서 입사되는 입사광을 상기 외부 창에 반사하여 투사하고, 상기 외부 창은 상기 내부 표시부 반사미러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시부는,
    상기 외부 창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측벽과, 상기 투과 측벽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입사되는 입사광을 전반사하는 반사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개구가 상기 광변조 광학계를 향하고 있는 도파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변조 광학계가 상기 도파관의 개구에 입사각을 변화시키면서 광을 입사시키면 상기 투과 측벽이 입사광을 상기 도파관의 도파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외부 창에 스캐닝이 수행되도록 투과시켜 상기 외부 창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과 상기 도파관의 투과 측벽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60082841A 2006-08-30 2006-08-30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90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841A KR100905554B1 (ko) 2006-08-30 2006-08-30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E102007039606A DE102007039606A1 (de) 2006-08-30 2007-08-22 Mobiles Terminal, das mit einem optischen, auf einen Modulator basierenden Projektor ausgerüstet ist
JP2007222529A JP2008058970A (ja) 2006-08-30 2007-08-29 光変調器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ーを備えた携帯用端末機
US11/848,069 US20080055566A1 (en) 2006-08-30 2007-08-30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optical modulator-based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841A KR100905554B1 (ko) 2006-08-30 2006-08-30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204A KR20080021204A (ko) 2008-03-07
KR100905554B1 true KR100905554B1 (ko) 2009-07-02

Family

ID=3910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841A KR100905554B1 (ko) 2006-08-30 2006-08-30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55566A1 (ko)
JP (1) JP2008058970A (ko)
KR (1) KR100905554B1 (ko)
DE (1) DE102007039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2920B2 (en) 2007-03-19 2012-03-13 Motorola Mobility, Inc. Thin microprojector with switched beam bend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945136B1 (ko) * 2008-04-04 2010-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소형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00103332A1 (en) * 2008-10-27 2010-04-29 Motorola, Inc. Image projector driving multiple display screens
JP5508723B2 (ja) * 2009-01-08 2014-06-04 学校法人武蔵野美術大学 投影装置
US8700097B2 (en) * 2009-02-05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KR101524594B1 (ko) * 2009-02-05 2015-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 이원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5832069B2 (ja) 2009-02-25 2015-12-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433274B2 (ja) * 2009-02-25 2014-03-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CN101848252B (zh) * 2009-03-24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电话
JP5680833B2 (ja) * 2009-03-26 2015-03-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TWI392325B (zh) * 2009-04-17 2013-04-01 Hon Hai Prec Ind Co Ltd 移動電話
US8502476B2 (en) * 2009-10-16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light source in mobile projector
KR20110044424A (ko) * 2009-10-23 201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433376B2 (ja) 2009-10-28 2014-03-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20130076633A1 (en) * 2011-09-27 2013-03-28 Ctx Virtual Technologies Integrated, portable computing and entertainment device
CN103543823B (zh) * 2012-07-13 2016-08-03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多重投影功能的可携式电子装置
CN103869585B (zh) * 2012-12-13 2016-01-27 联想(北京)有限公司 投影设备和用于其的信息处理方法
KR102129923B1 (ko) * 2013-07-16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스크린 상에 서로 다른 영상 투사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5223759B (zh) * 2015-11-13 2017-09-1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提醒功能的投影显示***及方法
CN105530497B (zh) * 2015-12-15 2017-06-16 重庆触视科技有限公司 便携式投影设备
CN107566819A (zh) * 2017-08-29 2018-01-09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显示终端
CN110839093A (zh) * 2018-08-17 2020-02-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组合件
CN109581789A (zh) * 2019-01-10 2019-04-05 浙江理工大学 一种衍射投影方法与***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6746A (ja) 2004-02-20 2005-09-02 Olympus Corp 携帯型プロジェクタ
KR20060020877A (ko) * 2004-09-01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ms 셔터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휴대용 단말기
KR20060061942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기주식회사 단일 조명계를 갖는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91595A (ko) * 2005-02-16 2006-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1판넬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5926B2 (ja) * 1992-01-27 1998-04-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モニタ画面付きビデオプロジェクタ
US5841579A (en) * 1995-06-07 1998-11-24 Silicon Light Machines Flat diffraction grating light valve
US5982553A (en) * 1997-03-20 1999-11-09 Silicon Light Machines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one-dimensional grating light-valve array
GB2345978A (en) * 1999-01-23 2000-07-26 Sharp Kk Diffr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US6307663B1 (en) * 2000-01-26 2001-10-23 Eastman Kodak Company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conformal grating device
US6489934B1 (en) * 2000-07-07 2002-12-03 Judah Klausner Cellular phone with built in optical projector for display of data
US6411425B1 (en) * 2000-09-27 2002-06-2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mechanical grating display system with spatially separated light beams
JP2002148554A (ja) * 2000-11-03 200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光スキャナ及びこれを適用したレーザ映像投射装置並びにその駆動方法
US20030043124A1 (en) * 2001-08-31 2003-03-06 Choong-Gil Kim Image projection apparatus for terminals
US7216186B2 (en) * 2001-09-27 2007-05-08 Intel Corporation Controlling data flow between processor systems
US7446822B2 (en) * 2002-05-15 2008-11-04 Symbol Technologies, Inc. High-resolution image projection
JP2006520932A (ja) * 2003-03-16 2006-09-14 エクスプレイ リミテッド 投影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6746A (ja) 2004-02-20 2005-09-02 Olympus Corp 携帯型プロジェクタ
KR20060020877A (ko) * 2004-09-01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ms 셔터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휴대용 단말기
KR20060061942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기주식회사 단일 조명계를 갖는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91595A (ko) * 2005-02-16 2006-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1판넬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39606A1 (de) 2008-03-27
US20080055566A1 (en) 2008-03-06
JP2008058970A (ja) 2008-03-13
KR20080021204A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554B1 (ko)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832622B1 (ko) 광변조기 및 그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US7695144B2 (en) Optical system of portable projec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7869109B2 (en) Portable projector
US7489714B2 (en) Speckle reduction laser and lase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TWI373634B (ko)
WO2012165575A1 (ja) 画像表示装置
KR100767671B1 (ko) 휴대가능한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
KR100826331B1 (ko) 모바일용 프로젝터
KR100832621B1 (ko) 정역방향 스캐닝을 수행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KR100826330B1 (ko) 모바일용 프로젝터
JP2009259854A (ja) 固体レーザー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720591B1 (ko) 휴대가능한 프로젝터
KR100400548B1 (ko) 반사형 1차원 광 모듈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투사장치
KR101141653B1 (ko) 휴대가능한 프로젝터
KR100732525B1 (ko) 휴대가능한 프로젝터
KR100832618B1 (ko) 수평/수직 방향 스캐닝을 수행하는 모바일용 프로젝터
KR20070041974A (ko) 광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25113A (ko) 휴대가능한 프로젝터
KR20090030493A (ko)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