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637B1 - Boarding pass authenticator - Google Patents

Boarding pass authent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637B1
KR100902637B1 KR1020070084920A KR20070084920A KR100902637B1 KR 100902637 B1 KR100902637 B1 KR 100902637B1 KR 1020070084920 A KR1020070084920 A KR 1020070084920A KR 20070084920 A KR20070084920 A KR 20070084920A KR 100902637 B1 KR100902637 B1 KR 10090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loading
boarding pass
feed ro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0282A (en
Inventor
라종국
서정용
엄기영
Original Assignee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637B1/en
Publication of KR2009002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2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53Recognition of characters printed with magnetic 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권의 전산처리에 의하여 탑승수속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탑승권 인식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본체, 커버, 제1 내지 제3 로딩장치, 이미지센서, 마그네틱리더, 보조마그네틱리더, 절단기와 디버터로 구성된다. 본체의 상면에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절취할 수 있는 탑승권을 로딩하는 로딩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로딩트랙의 하류로부터 제1 부분을 로딩하는 디포지트트랙과 제2 부분을 로딩하는 리턴트랙이 각각 분기되어 있다. 커버는 본체의 상부에 로딩트랙을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로딩장치는 로딩트랙을 따라 탑승권을 로딩하며, 제2 로딩장치는 디포지트트랙과 리턴트랙을 따라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각각 로딩하고, 제3 로딩장치는 디포지트트랙으로부터 제1 부분을 배출한다. 이미지센서는 커버에 로딩트랙을 따라 로딩되는 탑승권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마그네틱리더와 보조마그네틱리더는 본체에 로딩트랙을 따라 로딩되는 마그네틱스트라이프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절단기는 로딩트랙으로부터 분기되는 디포지트트랙과 리턴트랙의 상류에 근접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탑승권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절단한다. 디버터는 로딩트랙의 하류에 근접하도록 본체에 장착되어 디포지트트랙과 리턴트랙 중 어느 하나는 개방하고 다른 하나는 폐쇄한다.

Figure R1020070084920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oarding pass recognizer capable of performing boarding procedures accurately and efficiently by computing processing of boarding passes.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ain body, a cover, first to third loading devices, an image sensor, a magnetic reader, an auxiliary magnetic reader, a cutter and a diver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loading track for loading a boarding pass that can be cut into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is formed, and a deposit track for loading the first portion from downstream of the loading track and a return track for loading the second portion Are branched respectively. The cover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loading track. The first loading device loads the boarding pass along the loading track, the second loading device loads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respectively along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and the third loading device loads the first portion from the deposit track. Eject the part. The image sensor is mounted on the cover to scan the image of the boarding pass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and output image data. Magnetic readers and auxiliary magnetic readers are mounted on the main unit to read data from the magnetic stripe that is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The cutter is mounted close to the upstream of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branching from the loading track and cuts the boarding pass into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The diverter is mounted to the body so as to be downstream of the loading track so that either the deposit track or the return track opens and the other closes.

Figure R1020070084920

Description

탑승권 인식기{BOARDING PASS AUTHENTICATOR}Boarding Pass Reader {BOARDING PASS AUTHENTICATOR}

본 발명은 탑승권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권의 전산처리에 의하여 탑승수속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탑승권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ing pass recogn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arding pass recognizer capable of performing the boarding procedu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by the computerized processing of the boarding pass.

항공기, 여객기, 기차 등의 탑승권에는 출발지, 도착지, 탑승일, 탑승시간 등 승객의 탑승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문자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탑승권의 일례로 항공권의 이면에는 항공권의 진위와 승객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보의 기록을 위한 마그네틱스트라이프(Magnetic Stripe)가 구비되어 있다. 항공권은 항공사가 회수하는 제1 부분과 승객이 보유하는 제2 부분을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발행되고 있다. 항공권의 제1 부분은 항공쿠폰(Flight Coupon)이라 부르고, 제2 부분은 탑승카드(Boarding Card)라 부르고 있다. 한편, 탑승권의 보완성 강화와 마그네틱스트라이프의 손상에 대비하기 위하여 탑승권의 표면에 2차원 바코드가 구비되고도 있다.On boarding passes for aircraft, airliners, trains, etc., various character information required for passengers' boarding, such as departure, arrival, boarding date and boarding time, is recorded. As an example of a boarding pass, a magnetic stripe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ticket for recording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verify the authenticity of the ticket and the identity of the passenger. Tickets are issued to cut along the perforation lines of the first part that the carrier collects and the second part that the passenger holds. The first part of the ticket is called the flight coupon and the second part is called the boarding card. Meanwhile, two-dimensional barcodes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oarding pass in order to strengthen the boarding pass and to prepare for damage to the magnetic stripe.

탑승권의 전산처리를 위한 탑승시스템(Boarding System)은 네트워킹(Networking)되어 있는 마그네틱리더(Magnetic Reader), 체크인단말기(Check-in Terminal)와 호스트컴퓨터(Host Computer)로 구성되어 있다. 마그네틱리더는 탑승권의 마그네틱스트라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고, 마그네틱스트라이프의 데이터를 체크인단말기에 전송한다. 체크인단말단기는 마크네틱스트라이프의 데이터를 호스트컴퓨터에 전송한다. 호스트컴퓨터는 마크네틱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체크인리스트(Check-in List), 승객리스트(Passenger List) 등 탑승수속에 요구되는 일련의 테이터를 처리하여 탑승권의 진위와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그 검표 결과를 체크인단말기에 전송한다. 체크인단말기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검표 결과를 모니터에 표시한다. 따라서 검표원은 모니터에 표시되는 검표 결과에 따라 탑승수속을 진행할 수 있다. Boarding system for computing boarding pass is composed of networked magnetic reader, check-in terminal and host computer. The magnetic reader reads the data recorded on the magnetic stripe of the boarding pass and transmits the magnetic stripe data to the check-in terminal. The check-in terminal transmits the data of the Marketic Stripe to the host computer. The host computer checks the authenticity of the boarding pass and the identity of the passenger by processing a series of data required for check-in, such as the data of the Marketic Stripe, Check-in List, Passenger List, etc. Is sent to the check-in terminal. The check-in terminal displays the check result transmitted from the host computer on the monitor. Therefore, the ticket inspector can proceed to check-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icket displayed on the monitor.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탑승시스템은 마그네틱리더에 의하여 마그네틱스트라이프의 데이터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2차원 바코드의 처리를 위해서는 별도의 2차원 바코드 스캐너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마그네틱리더와 2차원 바코드 스캐너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되는 경우, 탑승권의 검표절차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탑승수속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boarding system processes only the data of the magnetic stripe by the magnetic reader,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two-dimensional barcode scanner must be provided for the processing of the two-dimensional barcode. When the magnetic reader and the two-dimensional barcode scanner are installed and operated separately, the ticketing procedure of the boarding pass is not only very troublesome, but it also takes a long time to check i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수속에 요구되는 탑승권의 데이터를 정확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탑승권 인식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arding pass recognizer that can process the data of the boarding pass required for check-in accurately, quickly and efficiently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권의 전산처리, 절단, 회수 및 반환 등 일련의 검표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탑승권 인식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arding pass recognizer capable of collectively processing a series of check operations, such as computerized processing, cutting, recovery and return of boarding pass.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며 표면에 2차원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고 이면에 마그네틱스트라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탑승권을 검표하는 탑승권 인식기에 있어서, 탑승권을 로딩하는 로딩트랙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로딩트랙의 하류로부터 제1 부분을 로딩하는 디포지트트랙과 제2 부분을 로딩하는 리턴트랙이 각각 분기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로딩트랙을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커버와; 로딩트랙을 따라 탑승권을 로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로딩수단과; 디포지트트랙과 리턴트랙을 따라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각각 로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2 로딩수단과; 디포지트트랙으로부터 제1 부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3 로딩수단과; 커버에 로딩트랙을 따라 로딩되는 탑승권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이미지센서와; 본체에 제1 부분을 앞쪽으로 하여 탑승권이 로딩트랙을 따라 로딩되는 경우 마그네틱스트라이프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마그네틱리더와; 본체에 제2 부분을 앞쪽으로 하여 탑승권이 로딩트랙을 따라 로딩되는 경우 마그네틱스트라이프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보조마그네틱리더와; 로딩트랙으로부터 분기되는 디포지트트랙과 리턴트랙의 상류에 근접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절취선을 따라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기와; 로딩트랙의 하류에 근접하도록 본체에 장착되어 있고, 디포지트트랙과 리턴트랙 중 어느 하나는 개방하고 다른 하나는 폐쇄하는 디버터를 포함하는 탑승권 인식기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check a boarding pass hav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which can be cut along a perforation line, a two-dimensional bar code is printed on the surface, and a magnetic stripe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A boarding pass recogniz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loading track for loading a boarding pas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deposit track for loading a first portion from a downstream side of the loading track and a return track for loading a second portion; A cover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loading track; First loading means mounted to load a boarding pass along the loading track; Second loading means mounted to load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long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respectively; Third loading means mounted to discharge the first portion from the deposit track; An image sensor mounted on the cover to scan an image of the boarding pass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and output image data; A magnetic reader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read data from the magnetic stripe when the boarding pass is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An auxiliary magnetic reader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read data from the magnetic stripe when the boarding pass is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A cutter which is mounted to be upstream of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branched from the loading track, and cuts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long a cut line;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is moun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loading track, and includes a diverter which opens one of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and closes the other.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탑승권 인식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는 탑승권(10)의 전산처리, 절단, 회수 및 반환 등 일련의 검표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한다. 탑승권(10)은 선단(12)과 후단(14)을 갖는다. 탑승권(10)은 탑승권 인식기에 의하여 회수되는 제1 부분(16)과 승객에게 반환되는 제2 부분(18)이 절취선(20)을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발행된다. 탑승권(10)의 제1 부분(16)은 선단(12)에 위치되어 있고, 제2 부분(18)은 후단(14)에 위치되어 있다. 제1 부분(16)의 표면에 2차원 바코드(22)가 인쇄되어 있으며, 이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가 부착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 series of check operations such as computerized processing, cutting, retrieval and return of the boarding pass 10. The boarding pass 10 has a front end 12 and a rear end 14. The boarding pass 10 is issued such that the first portion 16 recovered by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and the second portion 18 returned to the passenger can be cut along the perforation line 20. The first portion 16 of the boarding pass 10 is located at the front end 12, and the second portion 18 is located at the rear end 14. The two-dimensional barcode 22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16, and the magnetic stripe 24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1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는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30)를 구비한다. 본체(30)의 상면 전방에 탑승권(10)의 로딩(Loading)을 위한 로딩트랙(Loading Track: 32)이 형성되어 있다. 로딩트랙(32)의 하류에 디포지트트랙(Deposit Track: 34)과 리턴트랙(Return Track: 36)이 분기되어 있다. 디포지트트랙(34)의 출구(34a)는 본체(3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디포지트트랙(34)의 출구(34a)를 통과하는 제1 부분(16)은 저장소(38)에 저장된다. 리턴트랙(36)의 출구(36a)는 본체(3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1 to 5,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0 constituting an appearance. A loading track 32 for loading the boarding pass 10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Downstream of the loading track 32, a deposit track 34 and a return track 36 branch off. The outlet 34a of the deposit track 3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The first portion 16 passing through the outlet 34a of the deposit track 34 is stored in the reservoir 38. The exit 36a of the return track 3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본체(30)의 상부에 로딩트랙(32)을 여닫을 수 있도록 커버(40)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40)의 후방은 피봇(4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30)에 연결되어 있다. 커버(40)의 전면에 탑승권 인식기의 작동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4)가 장착되어 있다.The cover 4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 to open and close the loading track 32. The rear of the cover 40 is connected to the body 30 so as to rotate about the pivot 42. The front of the cover 40 is mounted with a display 44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도 5를 참조하면, 본체(30)의 로딩트랙(32)을 따라 탑승권(10)을 로딩하는 제1 로딩장치(5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로딩장치(50)는 복수의 롤피드(Roll Feed: 52)들, 모터(54), 제1 벨트전동장치(56)와 제2 벨트전동장치(58)로 구성되어 있다. 롤피드(52)들은 피드롤러(52a)와 아이들롤러(52b)가 탑승권(10)을 구름마찰에 의하여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도록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드롤러(52a)는 본체(30)에 로딩트랙(32)을 따라 장착되어 있으며, 피드롤러(52a)의 외면 상부는 로딩트랙(32)을 따라 로딩되는 탑승권(10)의 하면에 접촉된다. 아이들롤러(52b)들은 커버(40)에 로딩트랙(32)을 따라 장착되어 있으며, 피드롤러(52a)에 탑승권(10)을 밀착하도록 피드롤러(52a)를 향하여 탄성편향(Elastically Bias)되어 있다. 모터(54)는 본체(30)의 일측에 장착되어 피드롤러(52a)의 회전에 요구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모터(54)의 구동력은 제1 및 제2 벨트전동장치(56, 58)에 의하여 롤피드(52)들의 피드롤러(52a)에 전달된다. 제1 벨트전동장치(56)는 복수의 롤피드(52)들 중 로딩트랙(32)의 상류에 배열되어 있는 두개의 롤피드(52)들의 피드롤러(52)와 모터(54)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벨트전동장치(58)는 복수의 롤피드(52)들 중 로딩트랙(32)의 하류에 배열되어 있는 두개의 롤피드(52)들의 피드롤러(52a)와 모터(54)에 연결되어 있다. 롤피드(52)들은 로딩트랙(32)을 따라 4개가 장착되어 있 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롤피드(52)들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first loading device 50 for loading the boarding pass 10 along the loading track 32 of the main body 30 is mounted. The first loading device 50 includes a plurality of roll feeds 52, a motor 54, a first belt transmission 56, and a second belt transmission 58. The roll feeds 52 are configured to be paired so that the feed rollers 52a and the idle rollers 52b can load and unload the boarding pass 10 by cloud friction. The feed roller 52a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along the loading track 3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 roller 52a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rding pass 10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32. The idle rollers 52b are mounted on the cover 40 along the loading track 32 and are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feed rollers 52a to closely contact the boarding pass 10 with the feed rollers 52a. . The motor 5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30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required for the rotation of the feed roller 52a.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4 is transmitted to the feed rollers 52a of the roll feeds 52 by the first and second belt transmissions 56 and 58.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56 is connected to a feed roller 52 and a motor 54 of two roll feeds 52 arranged upstream of the loading track 32 among the plurality of roll feeds 52. have.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58 is connected to the feed roller 52a and the motor 54 of the two roll feeds 52 arranged downstream of the loading track 32 among the plurality of roll feeds 52. have. Although the roll feeds 52 are shown mounted with four along the loading track 32,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roll feeds 52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as necessary.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는 디포지트트랙(34)과 리턴트랙(36)을 따라 탑승권(10)의 제1 부분(16)과 제2 부분(18)을 로딩하는 제2 로딩장치(60)를 구비한다. 제2 로딩장치(60)는 메인피드롤러(62), 복수의 롤피드(64)들, 모터(66), 제1 벨트전동장치(68)와 제2 벨트전동장치(70)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피드롤러(62)는 본체(30)에 디포지트트랙(34)을 따라 탑승권(10)의 제1 부분(16)을 로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롤피드(64)들은 디포지트트랙(34)과 리턴트랙(36) 각각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피드롤러(64a)와, 디포지트트랙(34)과 리턴트랙(36) 각각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아이들롤러(64b)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들롤러(64b)는 피드롤러(64a)에 탑승권(10)을 밀착하도록 피드롤러(64a)를 향하여 탄성편향되어 있다. 모터(66)는 본체(30)의 일측에 장착되어 메인피드롤러(62)와 피드롤러(64a)의 회전에 요구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 벨트전동장치(68)는 메인피드롤러(62), 리턴트랙(36)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롤피드(64)의 피드롤러(64a)와 모터(66)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벨트전동장치(70)는 디포지트트랙(34)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메인피드롤러(62)와 롤피드(64)의 피드롤러(64a)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66)의 구동력은 제1 벨트전동장치(68)에 의하여 메인피드롤러(62)와 리턴트랙(36)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피드롤러(64a)에 전달되고, 메인피드롤러(62)의 회전력은 제2 벨트전동장치(70)에 의하여 디포지트트랙(34)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피드롤러(64a)에 전달된다.5 and 7,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loads the first portion 16 and the second portion 18 of the boarding pass 10 along the deposit track 34 and the return track 36. A second loading device 60 is provided. The second loading device 60 is composed of a main feed roller 62, a plurality of roll feeds 64, a motor 66, a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68 and a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70. . The main feed roller 62 is mounted to the main body 30 so as to load the first portion 16 of the boarding pass 10 along the deposit track 34. The roll feeds 64 are mounted on the feed roller 64a mount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deposit track 34 and the return track 36, and on the other sides of the deposit track 34 and the return track 36. Which consists of an idle roller 64b. The idle roller 64b is elastically deflected toward the feed roller 64a so as to closely contact the boarding pass 10 with the feed roller 64a. The motor 66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30 to provide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main feed roller 62 and the feed roller 64a.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68 is connected to the feed roller 64a of the roll feed 64 and the motor 66 which are arranged along the main feed roller 62 and the return track 36.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70 is connected to the main feed roller 62 and the feed roller 64a of the roll feed 64 which are arranged along the deposit track 34. Therefore,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66 is transmitted to the feed roller 64a which is arranged along the main feed roller 62 and the return track 36 by the 1st belt transmission apparatus 68, and the main feed roller 62 is carried out. The rotational force of is transmitted to the feed roller 64a which is arranged along the deposit track 34 by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70.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는 디포지트트랙(34)의 출구(34a)와 근접하도록 장착되어 디포지트트랙(34)으로부터 제1 부분(16)을 저장소(38)에 저장하는 제3 로딩장치(80)를 구비한다. 제3 로딩장치(80)는 피드롤러(82), 제1 아이들롤러(84), 제2 아이들롤러(86), 모터(88)와 벨트전동장치(90)로 구성되어 있다. 피드롤러(82)는 디포지트트랙(34)의 출구(34a)와 근접하도록 본체(30)에 장착되어 있다. 피드롤러(82)의 중심은 출구(34a)의 하방에 정렬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아이들롤러(84, 86) 각각은 피드롤러(82)의 외면 양측에 제1 부분(16)을 밀착할 수 있도록 본체(30)에 장착되어 있다. 모터(88)는 본체(30)의 일측에 장착되어 피드롤러(82)의 회전에 요구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벨트전동장치(90)는 모터(88)의 구동력을 피드롤러(82)에 전달하도록 피드롤러(82)와 모터(88)에 연결되어 있다.5 and 6,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be close to the exit 34a of the deposit track 34 to transfer the first portion 16 from the deposit track 34 to the reservoir 38. And a third loading device 80 for storing. The third loading device 80 is composed of a feed roller 82, a first idle roller 84, a second idle roller 86, a motor 88 and a belt transmission device (90). The feed roller 82 is mounted to the main body 30 so as to be close to the outlet 34a of the deposit track 34. The center of the feed roller 82 is aligned below the outlet 34a.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dle rollers 84 and 86 is mounted to the main body 30 so that the first portion 16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 roller 82. The motor 88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30 to provide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feed roller 82. The belt transmission device 90 is connected to the feed roller 82 and the motor 88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88 to the feed roller 82.

도 3, 도 5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는 본체(30)의 로딩트랙(32)을 따라 로딩되는 탑승권(10)의 표면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이미지센서(100)와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의 데이터를 읽는 마그네틱리더(110)를 구비한다. 이미지센서(100)는 커버(40)에 장착되어 있다. 이미지센서(100)의 표면에 탑승권(10)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피드롤러(102)가 본체(30)에 장착되어 있으며, 피드롤러(102)는 제1 로딩장치(50)의 제2 벨트전동장치(58)에 의하여 모터(5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미지센서(100)는 600dpi(Dot Per Inch) 이상의 고화질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컨택트이미지센서(Contact Image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리더(110)는 이미지센서(100)의 하류에 근접하도록 본체(30)에 장착되 어 있다. 마그네틱리더(110)의 표면에 탑승권(10)의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아이들롤러(112)가 커버(40)에 장착되어 있다. 보조마그네틱리더(114)는 본체(30)의 로딩트랙(32)을 따라 로딩되는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보조마그네틱리더(114)에 의해서는 탑승권(10)의 후단(14)이 로딩트랙(32)으로 진입되는 경우에도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2차원 바코드 스캐너(120)는 탑승권(10)의 2차원 바코드(22)를 스캐닝할 수 있도록 본체(30)의 상면 후방에 장착되어 있다. 3, 5 and 9,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sensor 100 and a magnetic stripe for scanning the surface image of the boarding pass 10 is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32 of the main body 30 The magnetic reader 110 which reads the data of 24 is provided. The image sensor 100 is mounted to the cover 40. The feed roller 102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so that the boarding pass 1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100, and the feed roller 102 is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of the first loading device 50. The device 58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4. The image sensor 100 may be configured as a contact image sensor capable of obtaining a high quality image of 600 dpi or more. The magnetic reader 110 is mounted to the main body 30 so as to be close to the downstream of the image sensor 100. An idle roller 112 is attached to the cover 40 so that the magnetic stripe 24 of the boarding pass 1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agnetic reader 110. The auxiliary magnetic reader 114 is mounted to read data of the magnetic stripe 24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32 of the main body 30. The auxiliary magnetic reader 114 may read data of the magnetic stripe 24 even when the rear end 14 of the boarding pass 10 enters the loading track 32. The 2D barcode scanner 120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so as to scan the 2D barcode 22 of the boarding pass 10.

절단기(130)는 로딩트랙(32)으로부터 분기되는 디포지트트랙(34)과 리턴트랙(36)의 상류에 근접하도록 본체(30)에 장착되어 있으며, 탑승권(10)의 절취선(20)을 따라 탑승권(10)을 제1 부분(16)과 제2 부분(18)으로 절단한다. 디버터(Divertor: 140)는 로딩트랙(32)의 하류에 근접하도록 본체(30)에 장착되어 있다. 디버터(140)는 게이트(Gate: 142)와 액츄에이터(Actuator: 144)로 구성되어 있다. 게이트(142)는 피봇(14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30)에 장착되어 있다. 게이트(142)는 피봇(142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디포지트트랙(34)과 리턴트랙(36) 중 어느 하나는 개방하고 다른 하나는 폐쇄한다. 액츄에이터(144)는 로드(144a)를 가지며, 로드(144a)는 게이트(142)에 연결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44)의 작동에 따라 로드(144a)가 전진 또는 후퇴되어 피봇(142a)을 중심으로 게이트(142)를 회전시킨다. The cutter 130 is mounted to the main body 30 so as to be close to the upstream of the deposit track 34 and the return track 36 branching from the loading track 32 and along the perforation line 20 of the boarding pass 10. The boarding pass 10 is cut into the first portion 16 and the second portion 18. A diverter 140 is mounted to the body 30 so as to be proximate the downstream of the loading track 32. The diverter 140 is composed of a gate 142 and an actuator 144. The gate 142 is mounted to the main body 30 so as to rotate about the pivot 142a. The gate 142 is rotated about the pivot 142a to open one of the deposit track 34 and the return track 36 and close the other. Actuator 144 has a rod 144a, which is connected to gate 142.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44, the rod 144a is advanced or retracted to rotate the gate 142 about the pivot 142a.

도 5와 도 8을 참조하면, 셔터(Shutter: 150)가 로딩트랙(32)의 상류에 장착되어 있다. 셔터(150)는 게이트(152)와 액츄에이터(154)로 구성되어 있다. 게이 트(152)는 피봇(15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30)에 장착되어 있다. 게이트(152)는 피봇(152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로딩트랙(32)을 여닫는다. 액츄에이터(154)는 로드(154a)를 가지며, 로드(154a)는 게이트(152)에 연결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54)의 작동에 따라 로드(154a)가 전진 또는 후퇴되어 피봇(152a)을 중심으로 게이트(152)를 회전시키고, 게이트(152)의 회전에 의하여 로딩트랙(32)이 개방 또는 폐쇄된다.5 and 8, a shutter 150 is mounted upstream of the loading track 32. The shutter 150 is composed of a gate 152 and an actuator 154. The gate 152 is mounted to the main body 30 so as to rotate about the pivot 152a. The gate 152 is rotated about the pivot 152a to open and close the loading track 32. Actuator 154 has a rod 154a, which is connected to gate 152. As the actuator 154 operates, the rod 154a is advanced or retracted to rotate the gate 152 about the pivot 152a, and the loading track 32 is opened or closed by the rotation of the gate 152. .

도 5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는 디스플레이(44), 제1 로딩장치(50)의 모터(54), 제2 로딩장치(60)의 모터(66), 제3 로딩장치(80)의 모터(88), 이미지센서(100), 마그네틱리더(110), 보조마그네틱리더(114), 2차원 바코드 스캐너(120), 디버터(140)의 액츄에이터(144)와 셔터(150)의 액츄에이터(154)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60)를 구비한다. 컨트롤러(160)는 본체(30)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러(160)는 이미지센서(100), 마그네틱리더(110)와 2차원 바코드 스캐너(120)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체크인단말기(162)와 호스트컴퓨터(164)에 전송한다. 체크인단말기(162)는 모니터(162a)를 통하여 검표 결과와 탑승수속에 요구되는 일련의 정보를 표시한다. 복수의 센서(170, 172, 174)들은 로딩트랙(32), 디포지트트랙(34)과 리턴트랙(36)을 따라 장착되어 탑승권(10)을 감지하고, 그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복수의 센서(170, 172, 174)들은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발광소자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다.5 and 9,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 44, the motor 54 of the first loading device 50, the motor 66 of the second loading device 60, the third loading device The motor 88 of the 80, the image sensor 100, the magnetic reader 110, the auxiliary magnetic reader 114, the two-dimensional barcode scanner 120, the actuator 144 and the shutter 150 of the diverter 140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actuator 154 of. The controller 16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30. The controller 160 transmits data input from each of the image sensor 100, the magnetic reader 110, and the two-dimensional barcode scanner 120 to the check-in terminal 162 and the host computer 164. The check-in terminal 162 displays a check result and a series of information required for check-in through the monitor 162a. The plurality of sensors 170, 172, and 174 are mounted along the loading track 32, the deposit track 34, and the return track 36 to sense the boarding pass 10 and output the sensing signal. The plurality of sensors 170, 172, and 174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that receive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권 인식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도 5,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검표원은 탑승권(10)의 표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선단(12)을 본체(30)의 로딩트랙(32)에 진입시킨다. 센서(170)가 작동되어 탑승권(10)의 센싱신호를 출력하고, 컨트롤러(160)는 셔터(150)의 액츄에이터(154)를 작동시킨다. 액츄에이터(154)의 작동에 의하여 게이트(152)가 피봇(152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로딩트랙(32)을 개방한다. 셔터(150)의 게이트(152)가 로딩트랙(32)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로딩트랙(32)을 따라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된다. 1, 5, 8 and 9, the ticket inspector enters the front end 12 into the loading track 32 of the main body 30 so that the surface of the boarding pass 10 faces upward. The sensor 170 is operated to output the sensing signal of the boarding pass 10, and the controller 160 operates the actuator 154 of the shutter 150. By operation of the actuator 154, the gate 152 is rotated about the pivot 152a to open the loading track 32. In the state in which the gate 152 of the shutter 150 closes the loading track 32,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and the like are prevented along the loading track 32.

셔터(150)의 게이트(152)가 로딩트랙(32)을 개방하면, 컨트롤러(160)는 제1 로딩장치(50)의 모터(54)를 구동시킨다. 모터(54)의 구동력은 제1 및 제2 벨트전동장치(56, 58)에 의하여 롤피드(52)들의 피드롤러(52a)와 피드롤러(102)에 전달되고, 롤피드(52)들의 피드롤러(52a)와 피드롤러(102)는 회전된다. 롤피드(52)들의 피드롤러(52a)와 아이들롤러(52b)는 구름마찰에 의하여 로딩트랙(32)을 탑승권(10)을 로딩시킨다.When the gate 152 of the shutter 150 opens the loading track 32, the controller 160 drives the motor 54 of the first loading device 50.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4 is transmitted to the feed rollers 52a and the feed rollers 102 of the roll feeds 52 by the first and second belt transmissions 56 and 58, and feeds the roll feeds 52. The roller 52a and the feed roller 102 are rotated. The feed rollers 52a and idle rollers 52b of the roll feeds 52 load the boarding pass 10 with the loading track 32 by cloud friction.

이미지센서(100)는 로딩트랙(32)을 따라 로딩되는 탑승권(10)의 표면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컨트롤러(160)에 입력한다. 컨트롤러(160)는 이미지센서(100)로부터 입력되는 탑승권(10)의 이미지데이터를 체크인단말기(162)와 호스트컴퓨터(164)에 입력한다. 탑승권(10)의 이미지데이터에는 2차원 바코드(22)의 이미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체크인단말기(162)는 2차원 바코드(22)의 이미지데이터를 해독하여 호스트컴퓨터(164)에 전송하고, 호스트컴퓨터(164)는 탑승수속에 요구되는 테이터를 처리하여 탑승권(10)의 진위와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그 검표 결과를 체크인단말기(162)에 전송한다. 체크인단말기(162)는 호스트컴퓨터(164)로부터 전송되는 검표 결과를 모니터(162a)에 표시한다. 2차원 바코드(22)의 이미지데이터는 호스트컴퓨터(164)나 탑승권처리유닛(Boarding Pass Processing Unit)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The image sensor 100 scans the surface image of the boarding pass 10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32 and inputs the image data to the controller 160. The controller 160 inputs image data of the boarding pass 10 input from the image sensor 100 to the check-in terminal 162 and the host computer 164. The image data of the boarding pass 10 includes the image data of the two-dimensional bar code 22. The check-in terminal 162 decodes the image data of the two-dimensional bar code 22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host computer 164, and the host computer 164 processes the data required for check-in and the authenticity of the boarding pass 10 and the passenger. Check the identity of the, and sends the check result to the check-in terminal 162. The check-in terminal 162 displays the check result transmitted from the host computer 164 on the monitor 162a. The image data of the two-dimensional barcode 22 may be processed by the host computer 164 or a boarding pass processing unit.

다음으로, 마그네틱리더(110)는 탑승권(10)의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 컨트롤러(160)에 입력한다. 컨트롤러(160)는 마그네틱리더(110)로부터 입력되는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의 데이터를 체크인단말기(162)와 호스트컴퓨터(164)에 입력한다. 호스트컴퓨터(164)는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탑승권(10)의 진위와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그 검표 결과를 체크인단말기(162)에 전송한다. 체크인단말기(162)는 호스트컴퓨터(164)로부터 전송되는 검표 결과를 모니터(162a)에 표시한다. 보조마그네틱리더(114)는 탑승권(10)의 후단(14)이 앞쪽으로 해서 진입되는 경우, 탑승권(10)의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 컨트롤러(160)에 입력한다. 따라서 탑승권(10)의 진입 방향에 관계없이 마그네틱스트라이프(24)의 데이터를 마그네틱리더(110) 또는 보조마그네틱리더(114)에 의하여 읽을 수 있다.Next, the magnetic reader 110 reads the data recorded in the magnetic stripe 24 of the boarding pass 10 and inputs it to the controller 160. The controller 160 inputs data of the magnetic stripe 24 input from the magnetic reader 110 to the check-in terminal 162 and the host computer 164. The host computer 164 processes the data of the magnetic stripe 24 to confirm the authenticity of the boarding pass 10 and the identity of the passenger, and transmits the check result to the check-in terminal 162. The check-in terminal 162 displays the check result transmitted from the host computer 164 on the monitor 162a. When the rear end 14 of the boarding pass 10 enter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auxiliary magnetic reader 114 reads the data recorded in the magnetic stripe 24 of the boarding pass 10 and inputs it to the controller 160. Accordingly, the data of the magnetic stripe 24 may be read by the magnetic reader 110 or the auxiliary magnetic reader 114 regardless of the entry direction of the boarding pass 10.

도 4, 도 5,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탑승권(10)의 검표 결과 탑승권(10)의 오류, 승객의 신원불명 등에 의하여 탑승수속이 거절되면, 컨트롤러(160)는 탑승권(10)의 로딩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제1 로딩장치(50)의 모터(54)를 구동시킨다. 모터(54)의 구동에 의하여 탑승권(10)은 앞에서 설명한 로딩과 반대의 방향으로 언로딩된다. 탑승권(10)의 검표 결과 탑승수속이 승인되면, 컨트롤러(160)는 절단 기(130)를 작동시킨다. 절단기(130)는 절취선(20)을 따라 탑승권(10)을 제1 부분(16)과 제2 부분(18)으로 절단한다. 4, 5, 7, and 9, when the check-in is rejected due to an error of the boarding pass 10, an unidentified passenger, or the like as a result of the ticketing check of the boarding pass 10, the controller 160 receives the boarding pass 10. The motor 54 of the first loading device 50 is drive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loading direction of the. By the driving of the motor 54, the boarding pass 10 is unloa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oading described above. If the check-in of the boarding pass 10 is approved, the controller 160 operates the cutting machine 130. The cutter 130 cuts the boarding pass 10 into the first portion 16 and the second portion 18 along the perforation line 20.

탑승권(10)이 제1 부분(16)과 제2 부분(18)으로 절단되면, 컨트롤러(160)는 디버터(140)의 액츄에이터(144)를 작동시킨다. 액츄에이터(144)의 작동에 의하여 게이트(142)가 피봇(142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디포지트트랙(34)을 개방하고, 리턴트랙(36)은 폐쇄한다. 디포지트트랙(34)이 개방되면, 컨트롤러(160)는 제2 로딩장치(60)의 모터(66)를 구동시킨다. 모터(66)의 구동력은 제1 및 제2 벨트전동장치(68, 70)에 의하여 메인피드롤러(62)와 롤피드(64)들의 피드롤러(64a)에 전달된다. 메인피드롤러(62), 피드롤러(64a)와 아이들롤러(64b)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탑승권(10)의 제1 부분(16)은 디포지트트랙(34)을 따라 로딩된다. When the boarding pass 10 is cut into the first portion 16 and the second portion 18, the controller 160 operates the actuator 144 of the diverter 140.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44, the gate 142 is rotated about the pivot 142a to open the deposit track 34, and the return track 36 is closed. When the deposit track 34 is opened, the controller 160 drives the motor 66 of the second loading device 60.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66 is transmitted to the main feed roller 62 and the feed rollers 64a of the roll feeds 64 by the first and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s 68 and 70. The first portion 16 of the boarding pass 10 is loaded along the deposit track 34 by cloud friction of the main feed roller 62, the feed roller 64a and the idle roller 64b.

도 5, 도 6과 도 9를 참조하면, 센서(72)가 작동되어 제1 부분(16)의 센싱신호를 출력하면, 컨트롤러(160)는 제3 로딩장치(80)의 모터(88)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모터(88)의 시계방향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90)에 의하여 피드롤러(82)에 전달되고, 피드롤러(82)와 제1 아이들롤러(84)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디포지트트랙(34)의 출구(34a)를 통하여 배출되는 제1 부분(16)은 저장소(38)의 일측에 보내져 저장된다. 5, 6, and 9, when the sensor 72 is operated to output the sensing signal of the first portion 16, the controller 160 operates the motor 88 of the third loading device 80. Driv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clockwise driving force of the motor 88 is transmitted to the feed roller 82 by the belt transmission device 90 and the deposit track 34 by the rolling friction of the feed roller 82 and the first idle roller 84. The first portion 16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4a of the is sent to one side of the reservoir 38 and stored.

한편, 모터(88)의 반시계방향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90)에 의하여 피드롤러(82)에 전달되고, 피드롤러(82)와 제2 아이들롤러(86)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디포지트트랙(34)의 출구(34a)를 통하여 배출되는 제1 부분(16)은 저장소(38)의 보내져 저장된다. 이와 같이 탑승권(10)의 제1 부분(16)을 저장소(38)의 양측에 나누어 저 장하는 것에 의하여 저장소(38)에 제1 부분(16)이 편중되어 적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저장소(38)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저장소(38)는 피드롤러(82)를 기준으로 양측에 두개가 배치될 수 있다. 탑승권(10)의 제1 부분(16)이 저장소(38)에 저장되면,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88)의 구동이 정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unterclockwise driving force of the motor 88 is transmitted to the feed roller 82 by the belt transmission device 90, the deposit track by the rolling friction of the feed roller 82 and the second idle roller 86 The first portion 16 exiting through the outlet 34a of the 34 is sent to and stored in the reservoir 38. In this way, by dividing and storing the first portion 16 of the boarding pass 10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38, the first portion 16 is prevented from being loaded in the storage 38. While this embodiment shows and describes one reservoir 38, two reservoirs 38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eed roller 82. When the first portion 16 of the boarding pass 10 is stored in the storage 38, the driving of the motor 88 is stopp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도 1, 도 4, 도 5와 도 9를 참조하면, 탑승권(10)의 제1 부분(16)이 게이트(142)를 완전히 통과한 후, 컨트롤러(160)는 디버터(140)의 액츄에이터(144)를 작동시킨다. 액츄에이터(144)의 작동에 의하여 게이트(142)가 피봇(142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디포지트트랙(34)을 폐쇄하고, 리턴트랙(36)은 개방한다. 리턴트랙(36)이 개방되면, 컨트롤러(160)는 제2 로딩장치(60)의 모터(66)를 구동시킨다. 모터(66)의 구동력은 제1 및 제2 벨트전동장치(68, 70)에 의하여 메인피드롤러(62)와 롤피드(64)들의 피드롤러(64a)에 전달된다. 메인피드롤러(62), 피드롤러(64a)와 아이들롤러(64b)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탑승권(10)의 제2 부분(18)은 리턴트랙(36)을 따라 로딩된다. 센서(174)가 작동되어 제2 부분(18)의 센싱신호를 출력하면,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88)의 구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제2 부분(18)의 상부는 검표원이 손으로 잡고 리턴트랙(36)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리턴트랙(36)의 출구(36a)에 빠져나와 있게 된다.1, 4, 5, and 9, after the first portion 16 of the boarding pass 10 ha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gate 142, the controller 160 may operate the actuator of the diverter 140. 144). By operation of the actuator 144, the gate 142 is rotated about the pivot 142a to close the deposit track 34, and the return track 36 opens. When the return track 36 is opened, the controller 160 drives the motor 66 of the second loading device 60.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66 is transmitted to the main feed roller 62 and the feed rollers 64a of the roll feeds 64 by the first and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s 68 and 70. The second portion 18 of the boarding pass 10 is loaded along the return track 36 by cloud friction of the main feed roller 62, the feed roller 64a and the idle roller 64b. When the sensor 174 is operated to output the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portion 18, the driving of the motor 88 is stopp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Thus,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18 exits the exit 36a of the return track 36 so that the inspector can hold it by hand and pull it out of the return track 36.

한편, 승객은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통하여 탑승을 예약하고, 탑승권을 별도의 용지에 인쇄하여 탑승수속을 밟는 경우가 있다. 검표원은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탑승권의 2차원 바코드를 본체(30)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스캐 너(120)에 의하여 스캐닝한다. 2차원 바코드 스캐너(120)는 스캐닝되는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데이터를 컨트롤러(160)에 입력한다. 컨트롤러(160)는 2차원 바코드 스캐너(120)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데이터를 체크인단말기(162)와 호스트컴퓨터(164)에 입력하여 탑승수속에 요구되는 검표를 실시한다. On the other hand, a passenger may book a boarding through an online reservation system, and may print a boarding pass on a separate sheet and go through boarding procedures. The inspector scans the two-dimensional barcode of the boarding pass printed on the paper by the two-dimensional barcode scanner 120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The 2D barcode scanner 120 inputs the image data of the 2D barcode to be scanned into the controller 160. The controller 160 inputs the image data of the two-dimensional barcode input from the two-dimensional barcode scanner 120 to the check-in terminal 162 and the host computer 164 to perform checks required for check-in.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may be made thereto, and such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탑승권 인식기에 의하면, 탑승수속에 요구되는 탑승권의 데이터를 정확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수되는 제1 부분과 승객에게 반환되는 제2 부분으로 절취되는 탑승권의 전산처리, 절단, 회수 및 반환 등 일련의 검표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rding pass data required for boarding procedures can be processed accurately, quickly and efficient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process a series of check operations such as computerized processing, cutting, retrieval and return of boarding passes cut into the first portion to be recovered and the second portion to be returned to the passe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권 인식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arding pass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권 인식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arding pass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에서 커버가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is open in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에서 로딩트랙, 디포지트트랙과 리턴트랙을 따라 탑승권의 로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측면도,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loading operation of the boarding pass along the loading track,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in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권 인식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arding pass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에서 제3 로딩장치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par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loading device in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에서 제2 로딩장치와 디버터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측면도,7 is a side view par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loading device and the diverter in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에서 셔터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측면도,8 is a side view par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utter in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탑승권 인식기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in 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탑승권 16: 제1 부분10: Boarding Pass 16: Part 1

18: 제2 부분 20: 절취선18: second part 20: perforation line

22: 2차원 바코드 24: 마그네틱스트라이프22: two-dimensional bar code 24: magnetic stripe

30: 본체 32: 로딩트랙30: main body 32: loading track

34: 디포지트트랙 36: 리턴트랙34: Deposit Track 36: Return Track

50: 제1 로딩장치 60: 제2 로딩장치50: first loading device 60: second loading device

80: 제3 로딩장치 100: 이미지센서80: third loading device 100: image sensor

110: 마그네틱리더 114: 보조마그네틱리더110: magnetic reader 114: auxiliary magnetic reader

120: 2차원 바코드 스캐너 130: 절단기120: two-dimensional barcode scanner 130: cutting machine

140: 디버터 150: 셔터140: diverter 150: shutter

160: 컨트롤러160: controller

Claims (7)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며 표면에 2차원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고 이면에 마그네틱스트라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탑승권을 검표하는 탑승권 인식기에 있어서,In a boarding pass recognizer that ha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at can be cut along a perforation line, and checks a boarding pass with a two-dimensional barcode printed on the surface and a magnetic stripe attached on the back side, 상기 탑승권을 로딩하는 로딩트랙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딩트랙의 하류로부터 상기 제1 부분을 로딩하는 디포지트트랙과 상기 제2 부분을 로딩하는 리턴트랙이 각각 분기되어 있는 본체와;A main body on which a loading track for loading the boarding pass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which a deposit track for loading the first portion and a return track for loading the second portion are branched from downstream of the loading track;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로딩트랙을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커버와;A cover mount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loading track; 상기 로딩트랙을 따라 상기 탑승권을 로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로딩수단과;First loading means arranged to load the boarding pass along the loading track; 상기 디포지트트랙과 상기 리턴트랙을 따라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각각 로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2 로딩수단과;Second loading means mounted to load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long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respectively; 상기 디포지트트랙으로부터 상기 제1 부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3 로딩수단과;Third loading means mounted to discharge the first portion from the deposit track; 상기 커버에 상기 로딩트랙을 따라 로딩되는 상기 탑승권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이미지센서와;An image sensor mounted on the cover to scan an image of the boarding pass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and output image data; 상기 본체에 상기 제1 부분을 앞쪽으로 하여 상기 탑승권이 상기 로딩트랙을 따라 로딩되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스트라이프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마그네틱리더와;A magnetic reader moun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read data from the magnetic stripe when the boarding pass is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상기 본체에 상기 제2 부분을 앞쪽으로 하여 상기 탑승권이 상기 로딩트랙을 따라 로딩되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스트라이프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보조마그네틱리더와;An auxiliary magnetic reader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read data from the magnetic stripe when the boarding pass is loaded along the loading track with the second portion forward; 상기 로딩트랙으로부터 분기되는 상기 디포지트트랙과 상기 리턴트랙의 상류에 근접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기와;A cutter which is mounted close to an upstream of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branched from the loading track, and cuts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long the perforation line; 상기 로딩트랙의 하류에 근접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디포지트트랙과 상기 리턴트랙 중 어느 하나는 개방하고 다른 하나는 폐쇄하는 디버터를 포함하는 탑승권 인식기.And a diverter mounted to the body so as to be proximate to the downstream of the loading track, the diverter opening one of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and closing the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딩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loading means, 상기 로딩트랙을 따라 상기 탑승권을 로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배열되어 있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에 대하여 쌍을 이루어 상기 탑승권을 로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에 배열되어 있는 아이들롤러를 갖는 복수의 롤피드들과;A plurality of rolls having a feed roller arranged in the main body so as to load the boarding pass along the loading track, and an idle roller arranged in the cover so as to load the boarding pass in pairs with the feed roller; Feeds;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에 요구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와;A motor mounted to the main body to provide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feed roller;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롤피드들 중 상기 로딩트랙의 상류에 배열되어 있는 롤피드들의 피드롤러에 전달하는 제1 벨트전동장치와;A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a feed roller of roll feeds arranged upstream of the loading track among the plurality of roll feeds;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롤피드들 중 상기 로딩트랙의 하류에 배열되어 있는 롤피드들의 피드롤러에 전달하는 제2 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탑승권 인식기.Boarding pass recognizer comprising a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the feed roller of the roll feeds arranged downstream of the loading track of the plurality of roll fee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딩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loading means, 상기 디포지트트랙을 따라 상기 제1 부분을 로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피드롤러와;A main feed roller moun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load the first portion along the deposit track; 상기 디포지트트랙과 상기 리턴트랙을 따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각각 로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배열되어 있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에 대하여 쌍을 이루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각각 로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배열되어 있는 아이들롤러를 갖는 복수의 롤피드들과;A feed roller arranged in the main body so as to load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long the deposit track and the return track, respectively, in pairs with the feed roller; A plurality of roll feeds having idle rollers arranged in the main body so as to load two portions respectively; 상기 메인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에 요구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와;A motor mounted to the main body to provide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main feed roller and the feed roller;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메인피드롤러와 상기 복수의 롤피드들 중 상기 리턴트랙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롤피드의 피드롤러에 전달하는 제1 벨트전동장치와;A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a feed roller of a roll feed arranged along the return track among the main feed roller and the plurality of roll feeds; 상기 메인피드롤러와 상기 복수의 롤피드들 중 상기 디포지트트랙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롤피드의 피드롤러에 전달하는 제2 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탑승권 인식기.Boarding pass recognizer comprising a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o the main feed roller and the feed roller of the roll feed of the plurality of roll feeds arranged along the deposit tra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로딩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loading means, 상기 디포지트트랙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부분이 간섭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피드롤러와;A main feed roller mount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first portion discharged from the deposit track is interfered with; 상기 메인피드롤러의 외면 양측에 상기 제1 부분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아이들롤러와;First and second idle rollers mounted to the main body to closely contact the first portion to both sides of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feed roller; 상기 메인피드롤러의 회전에 요구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와;A motor mounted to the main body to provide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main feed roller;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메인피드롤러에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탑승권 인식기.Boarding pass recognizer comprising a belt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the main feed roll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스캐닝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스캐너를 더 구비하는 탑승권 인식기.The boarding pass recogniz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scanner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can the two-dimensional barc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트랙의 상류에 상기 로딩트랙을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셔터를 더 구비하는 탑승권 인식기.The boarding pass recognizer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hutter mounted to open and close the loading track upstream of the loading track.
KR1020070084920A 2007-08-23 2007-08-23 Boarding pass authenticator KR100902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920A KR100902637B1 (en) 2007-08-23 2007-08-23 Boarding pass authent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920A KR100902637B1 (en) 2007-08-23 2007-08-23 Boarding pass authent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282A KR20090020282A (en) 2009-02-26
KR100902637B1 true KR100902637B1 (en) 2009-06-15

Family

ID=4068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920A KR100902637B1 (en) 2007-08-23 2007-08-23 Boarding pass authent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6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8349A (en) * 2017-12-05 2018-03-20 山东正成同智能科技有限公司 One kind circulation card dispatch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308A (en) * 1992-08-07 1994-03-04 Oki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method
KR20020001930A (en) * 2000-06-20 2002-01-09 박환기 Ticket Checker Using Automatic Feed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308A (en) * 1992-08-07 1994-03-04 Oki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method
KR20020001930A (en) * 2000-06-20 2002-01-09 박환기 Ticket Checker Using Automatic Fee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282A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922B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4613747A (en) Ticket reading device
US9381753B2 (en) Multifunction printing device
JP2007149012A (en) Machine and method for examining ticket
JP2000344428A (en) Prin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165483A (en) Card collection mechanism and card issuing device
KR100902637B1 (en) Boarding pass authenticator
US20140098390A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150136855A1 (en) Media processing device
US20130020173A1 (en) Media processing device, check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edia processing device
JPH0589618A (en) Bankbook handling device
US11529817B2 (en) Paper conveyance device and printer
JP2004243764A (en) Printing device
KR100607597B1 (en) Data reading apparatus
JP2553355B2 (en) Ticket processing terminal device
JP2021011074A (en) Medium issuing device and medium issuing method
KR19990026374A (en) Invalidation ticket return device of kennel notation
KR940004215B1 (en) Recording media processing device
JPH0887610A (en) Recording medium processor and printing method for recording medium
JP5811745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H05174214A (en) Ticket processor
JPH07272025A (en) Recording medium processor
JP2004243766A (e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JP2001325623A (en) Automatic ticket checker
JPH0638262B2 (en) Ticket processing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