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682B1 -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682B1
KR100901682B1 KR1020070090045A KR20070090045A KR100901682B1 KR 100901682 B1 KR100901682 B1 KR 100901682B1 KR 1020070090045 A KR1020070090045 A KR 1020070090045A KR 20070090045 A KR20070090045 A KR 20070090045A KR 100901682 B1 KR100901682 B1 KR 10090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light guide
rang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2068A (ko
Inventor
후미노리 히라이시
다카히로 아오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ublication of KR20080022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출사광의 지향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조명광 휘도의 균일화와 고휘도화가 가능한 도광판과 동 도광판을 사용한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광판의 출사면에 다수의 돌기열이 형성된다. 각 돌기열은, 제 1 경사면 (입사 단면으로부터 먼 경사면) 과 제 2 경사면 (입사 단면에 가까운 경사면) 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경사면에 의해 구성된다. 도광판의 정면 방향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대한 제 1 경사면의 경사각을 θa 로 한다. 경사각 (θa) 은, 출사면 (또는 배면) 의 제 1 범위 (L1) 내에서는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감되고, 제 2 범위 (L2) 내에서는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증된다. 또한, 제 1 범위 (L1) 의 입사 단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은, 제 2 범위 (L2) 의 말단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보다 크다. 또한, 제 1 범위 (L1) 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변화량 (Δθa) 은, 제 2 범위 (L2) 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변화량 (Δθa) 보다 크다.
도광판, 면광원 장치,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본 발명은, 도광판, 그 도광판을 구비한 면광원 장치 및 그 면광원 장치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화상 표시 패널과 같은 피조명 부재 (피조명체) 와, 동 광제어 부재를 면광원 장치에서 백라이팅하는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거기에서 사용되는 면광원 장치 및 도광판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사전, 각종 전자 기기 및 퍼스널 컴퓨터 등의 화상 표시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휴대 전화나 PC 등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를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피조명 부재로서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한다. 액이 많은 경우, 액정 표시 패널은 백라이팅되고, 그 때문에 이른바 사이드 라이트형 면광원 장치가 사용된다.
도 17 에는, 사이드 라이트형 면광원 장치의 주지의 기본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1 차광 (1 차 광원으로부터의 광) 이 도광판에 입사되고 나서 출사 될 때까지의 광로가 모식적으로 병기되어 있다. 도 17 을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 (90) 는 광원 (1 차 광원) (91) 과 도광판 (92) 을 구비한다. 광원 (91) 으로부터의 광은 측방으로부터 도광판 (92) 내부로 입사되어, 도광판 (92) 내부를 전파시킨다. 그 내부 전파의 과정에서, 도광판 (92) 의 출사면 (93) 에 반복적으로 내부 입사된다. 내부 입사각이 임계각 이하이면, 내부 입사광의 일부가 출사면 (93) 으로부터 출사된다.
최근, 이러한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 도광판의 출사면에 출사 촉진 기능을 갖는 프리즘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광의 휘도 균일화와 고휘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도 18 은 그 일례 (제 1 종래예) 를 나타내고, 하기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도 18 을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 (112) 는 도광판 (102) 과 광원 (1 차 광원) (110) 을 구비한다. 도광판 (102) 의 출사면 (104) 에는, 도광판 (102) 의 입사면 (103) 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프리즘 형상의 돌기열 (113)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열 (113) 은 도광판 (102) 의 내부 전파광의 출사를 촉진시킨다.
각 돌기열 (113) 은,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인 프리즘 형상 돌기로, 제 1 경사면 (117) 과 제 2 경사면 (118) 을 갖는다. 제 1 경사면 (117) 은, 입사면 (103)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도광판 (102) 의 판두께를 점감시키듯이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한편, 제 2 경사면 (118) 은 입사면 (103)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도광판 (102) 의 판두께를 증가시키듯이 급경사져 있다. 제 1 경사면 (117) 의 면적은, 제 2 경사면 (118) 의 면적보다 크다.
또한, 제 1 경사면 (117) 의 경사 각도 (θa) 는, 입사면 (103) 으로부터 말단면 (120) 을 향함에 따라 점감되고 있다. 이것과, 도광판 (102) 이면 (107) 이 경사 각도 (쐐기 각도) (α) 로 경사져 있는 것의 협동적인 작용 (cooperative effect) 에 의해, 출사면 (104) 으로부터의 출사광 휘도의 균일화 및 고휘도화가 도모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9 는 다른 종래예 (제 2 종래예) 를 나타내고, 하기 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다. 제 2 종래예는, 제 1 종래예 (도 18) 와 동일하게, 출사광 휘도의 균일화 및 고휘도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9 를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 (130) 에서는, 도광판 (131) 이 채용되고 있다. 도광판 (131) 에서는, 프리즘 형상의 돌기열 (132) 이 이면 (133) 에 형성되어 있다. 도 19 에 나타내는 도광판 (131) 의 모든 돌기열 (132) 은, 제 1 경사면 (134) 의 경사 각도 (θa) 가 동일하지만, 이웃하는 돌기열 (132, 132) 사이의 간격은 적절하게 다르게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경사면 (134) 과 제 2 경사면 (135) 의 면적 비율이 변화됨과 동시에, 돌기열 (132) 의 돌기열 높이 (h) 가 변화된다.
● 문헌 1 ; 국제공개공보 제2004/079258호 팜플렛
●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59361호
그러나, 상기 서술한 제 1 종래예에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에, 출사광 휘도의 균일화 및 고휘도화를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1) 광판 (102) 의 판두께나 크기 등의 제한에 의해, 도광판 (102) 이면 (107) 의 경사 각도 (α) 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없는 경우.
(2) 일정한 경사 각도 (α) 에서는 출사면 (104) 상의 위치에 따라서 출사 능력이 부족한 경우.
출사 능력 부족을 출사면 (104) 이나 이면 (107) 의 조면화 (粗面化) 에 의해 보충하는 수법도 알려져 있지만, 이 수법을 적용하면, 일반적으로 출사면 (104) 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지향성이 저하되어, 고휘도화를 곤란하게 한다.
상기 서술한 제 2 종래예에서는, 이웃하는 프리즘 형상의 돌기열 (132) 의 간격을 적절하게 변화시켜 출사광 휘도를 균일화시키고 있지만, 복수의 돌기열 (132) 은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돌기열 (132) 1 개 당에 의한 출사 촉진 능력은 조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사면 (104) 의 위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조명 휘도의 과부족을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프리즘 형상의 돌기열을 가지고, 측단부로부터 1 차광의 공급을 받는 타입의 도광판을 개량하여, 측방으로부터 1 차광의 공급을 받았을 때에,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지향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조명광 휘도의 균일화 및 고휘도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의 개량된 도광판을 사용하여, 균일하고 밝은 조명광을 높은 지향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면광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이 면광원 장치를 사용하여, 고품질이고 밝은 화상 표시가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먼저, 「제 1 마이너면에 의해 제공되는 입사 단면과, 상기 입사 단면과 반대측의 제 2 마이너면에 의해 제공되는 말단면과, 제 1 메이저면에 의해 제공되는 출사면과, 상기 출사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메이저면에 의해 제공되는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내부 전파의 과정에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도광판」 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판은, 제 1 특징 또는 제 2 특징을 구비한다. 제 1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사면 또는 상기 배면에는,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상기 말단면을 향하는 광 공급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프리즘 형 상의 돌기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기열 각각은, 서로 만나 봉우리 라인을 제공하는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제 1 경사면보다 입사 단면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다수의 돌기열이 형성되는 상기 출사면 또는 상기 배면에는, 제 1 범위와, 상기 제 1 범위보다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진 제 2 범위가 정해져 있고,
상기 제 1 경사면이, 상기 출사면의 정면 방향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 (θa) 이, 하기 조건 1 ∼ 조건 3 을 만족시킨다.
● 조건 1 ; 경사각 (θa) 은, 상기 제 1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감되는 한편, 상기 제 2 범위 내에 있어서는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증된다.
● 조건 2 ; 상기 제 1 범위 내의 상기 입사 단면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은, 상기 제 2 범위 내의 상기 말단면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보다 크다.
● 조건 3 ; 상기 제 1 범위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변화량 (Δ(1)θa) 은, 상기 제 2 범위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변화량 (Δ(2)θa) 보다 크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돌기열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2 개의 돌기열 사이에 다수의 곡저 (谷底) 라인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열에 의해, 상기 봉우리 라인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 2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사면 또는 상기 배면에는,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상기 말단면을 향하는 광 공급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프리즘 형상의 돌기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기열 각각은, 서로 만나 봉우리 라인을 제공하는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제 1 경사면보다 입사 단면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다수의 돌기열이 형성되는 상기 출사면 또는 상기 배면에는, 제 1 범위와, 상기 제 1 범위보다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진 제 2 범위가 정해져 있고,
상기 제 1 경사면이, 상기 출사면의 정면 방향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 (θa) 이, 하기 조건 4 ∼ 조건 6 을 만족시킨다.
● 조건 4 ; 상기 다수의 돌기열 중, 연속하여 근접 배치되는 n 개 (n ; 2 이상의 양의 정수) 의 돌기열의 각 경사각 (θa) 을, θa1, θa2, ………, θan 으로 하고, 평균 경사각 (θm) 을, {(θa1 + θa2 + ……… + θan)/n} 으로 하였을 때,
평균 경사각 (θm) 은, 상기 제 1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감되는 한편, 상기 제 2 범위 내에 있어서는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증된다.
● 조건 5 ; n = 3 으로 한 경우의 평균 경사각 (θm) 을 θm(3) 으로 하였을 때,
상기 제 1 범위 내에서 상기 입사 단면에 가장 가까운 3 개의 돌기열에 대한 θm(3) 은, 상기 제 2 범위 내에서 상기 말단면에 가장 가까운 3 개의 돌기열에 대한 θm(3) 보다 크다.
● 조건 6 ; 상기 θm(3) 의 상기 제 1 범위 내에 있어서의 변화량 (Δθm(31)) 은, 상기 θm(3) 의 상기 제 2 범위 내에 있어서의 변화량 (Δθm(32)) 보다 크다.
본 발명은 도광판과, 1 차 광원과, 광제어 부재를 구비한 면광원 장치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면광원 장치에서 채용되는 도광판은, 상기의 특징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도광판이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출사면을 따라 상기 광제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 단면을 향하여 상기 1 차 광원에 의해 광 공급이 실시된다.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와, 상기 면광원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에 의해 조명되는 피조명 부재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 채용되는 면광원 장치는,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 혹은 면광원 장치에 의하면, 큰 출사 강도 부족이 일어나기 쉬운 입사 단면 근방에서 출사가 강하게 촉진된다. 또한, 작은 출사 강도 부족이 일어나기 쉬운 말단면 근방에 있어서도, 출사가 어느 정도 촉진된다. 따라서, 출사 강도의 균일화 (특히, 제 1 범위 및 제 2 범위 내에서의 균일화) 가 용이해진다. 휘도 균일화를 광 확산 혹은 광 산란에 관계없이 실시할 수 있 다. 따라서, 출사광의 지향성 저하가 회피되어, 휘도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채용되고 있는 다수의 돌기열은, 봉우리 라인 간격 혹은 곡저 라인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배치할 수 있으므로, 도광판의 제조가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피조명 부재가, 면광원 장치로부터의 균일하고 또한 고휘도인 조명광으로 조명된다. 따라서, 밝고 보기 쉬운 화면 표시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 ∼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 (1) 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은 액정 표시 장치 (1) 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광판 (2) 의 입사면 (입사 단면) (3) 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액정 표시 장치 (1) 의 단면도 (A-A 선을 따른 단면도) 이다. 또한, 도 3 은 액정 표시 장치 (1) 에서 채용되고 있는 도광판 (2) 의 단면도이고, 그 도광판 (2) 의 출사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
액정 표시 장치 (1) 는 면광원 장치 (12) 와, 액정 표시 패널 (피조명 부재의 일례) (6) 을 포함한다. 면광원 장치 (12) 는, 반사 부재 (8), 도광판 (2), 프리즘 시트 (5), 형광 램프 (1 차 광원의 일례) (10) 및 램프 리플렉터 (11) 를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 (6) 은 면광원 장치 (12) 에 의해 백라이팅된다. 또한, 형광 램프 (10) 대신에, LED (발광 다이오드) 나 그 밖의 광원을 사용해도 된다.
도광판 (2) 의 출사면 (4) 은 1 개의 메이저면 (제 1 메이저면) 에 의해 제공된다. 배면 (7) 은 출사면 (4) 과 반대측의 메이저면 (제 1 메이저면) 에 의해 제공된다. 프리즘 시트 (5) 는 출사면 (4) 을 따라 배치된다. 반사 부재 (8) 는 배면 (7) 을 따라 배치된다. 형광 램프 (10) 는 입사 단면 (3) 을 따라 배치된다. 형광 램프 (10) 의 광 (1 차광) 은 직접 혹은 램프 리플렉터 (11) 에서 반사된 후에, 입사 단면 (3) 에 입사된다.
이와 같은 기본 배치 자체는 주지된 것으로서, 사이드 라이트형 면광원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 (2) 은 신규 도광판이다.
(도광판)
도광판 (2) 은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메타크릴산메틸 (PMMA),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재료 등의 광투과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 (2) 의 평면 형상 (출사면 형상) 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판두께는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감되고, 도광판 (2) 에 대략 쐐기형 형상의 단면을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 1 개의 「가상 평면」 을 정의한다. 이 가상 평면은, 도광판 (2) 의 출사면 (4) 의 「정면 방향」 (도 2 에 있어서, 바로 위 방향) 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면이다. 이와 같은 가상 평면은 무수하게 있지만, 여기에서는 「출사면 (4) 을 대표하는 가상 평면」을 채용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사면 (4) 상에 다수의 돌기열 (13) 이 형성되어 있지만, 출사면 (4) 으로부터 이들 돌기열 (13) 을 가상적으로 제거한 평면을 「가상 평면」으로서 채용한다. 이 가상 평면은 출사면 (4) 의 「일반 연장면」 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가상 평면은 「입사 단면 (3) 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입사 단면 (3) 의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평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상 평면은 실질적으로 출사면 (4) 을 대표하고 있다. 그래서, 도 3 중에 2 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가상 평면은, 출사면 (4) 을 나타내는 면이기도 하다. 또한, 도광판 (2) 의 배면 (7) 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즘 돌기열 (14) 이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들 프리즘 돌기열 (14) 을 가상적으로 제거한 면 (기준면) 으로 「배면 (7)」을 대표시킨다. 이 가상 평면 (배면 (7)) 은,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입사 단면 (3) 과 직교하는 Y 방향으로 떨어짐에 따라) 출사면 (4)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 각도 (α) 로 경사져 있고, 도 1 중에 2 점 쇄선으로 되어 있다.
배면 (7)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프리즘 돌기열 (14) 은, 입사 단면 (3) 에 거의 직교 (예를 들어 90°± 5 도의 범위) 로 연장되어 있다. 각 프리즘 돌기열 (14) 은, 입사 단면 (3) 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이 대략 삼각 형상 으로, 이 대략 삼각 형상은 한 쌍의 경사면 (15, 16) 에 의해 부여되고 있다.
배면 (7) 상에 형성되는 이러한 돌기열 (14) 및 그 작용은 주지된 사실이다. 즉, 이들 돌기열 (14) 은 내부 전파광의 일부를 내부 반사하여, 입사 단면 (3) 에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출사면 (4) 의 정면 방향으로 광을 모으는 집광 기능을 발휘한다.
다음으로, 도광판 (2) 의 출사면 (4) 에 형성된 다수 (예를 들어 100 개 이상) 의 돌기열 (13) 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돌기열 (13) 은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말단면 (20) 을 향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돌기열 (13) 은 입사 단면 (3) 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기열 (13) 은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열 (13) 의, 입사 단면 (3) 에 대략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은, 대략 삼각 형상이다. 각 돌기열 (13) 은 제 1 경사면 (17) 과, 제 1 경사면 (17) 보다 입사 단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 2 경사면 (18)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경사면 (17) 과 제 2 경사면 (18) 은 서로 만나, 봉우리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경사면 (17) 의 법선 방향 (V1) 은, 정면 방향 (출사면 (4) 의 법선 방향) (V0) 에 대하여, 말단면 (20) 측으로 경사져 있다. 한편, 제 2 경사면 (18) 의 법선 방향 (V2) 은, 정면 방향 (V0) 에 대하여, 입사 단면 (3) 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웃하는 돌기열 (13) 이 형성하는 봉우리 라인 사이의 피치 는 일정하다.
도 3 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경사면 (17) 은 가상 평면에 대하여 경사각 (θa) 으로 경사져 있다. 한편, 제 2 경사면 (18) 은 가상 평면에 대하여 경사각 (θb) 으로 경사져 있다.
돌기열 (13) 은 출사면 (4) 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 (2) 내부 전파광의 일부는,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말단면 (20) 을 향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 1 경사면 (17) 으로 내부 입사된다. 주지의 광학 이론에 의해, 그 때의 내부 입사각이 임계각 이하이면, 내부 입사광의 일부가 도광판 (2) 으로부터 탈출한다.
제 1 경사면 (17) 은, 그 경사각 (θa) 의 경사에 의해, 내부 입사각을 작게 한다. 즉, 제 1 경사면 (17) 이 존재하지 않는 (평탄면인) 경우와 비교하여, 광의 탈출 (출사) 이 일어나기 쉽다. 바꿔 말하면, 제 1 경사면 (17) 은 출사 촉진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 1 경사면 (17) 에서 내부 반사된 광에 대해서도, 경사져 있지 않은 출사면 (가상 평면) (4) 에서 반사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2θa 만큼 큰 각도로 반사된다 (도 3 참조). 따라서, 제 1 경사면 (17) 에서 반사된 후에 배면 (7) 에서 반사되고, 다시 다른 제 1 경사면 (17) 에 내부 입사되었을 때에, 내부 입사각은 작아지기 쉽다. 이로써, 출사가 더욱 촉진된다.
일반적으로, 제 1 경사면 (17) 은 경사각 (θa) 이 클수록, 출사 촉진 기능이 강해진다. 그래서, 경사각 (θa) 을 적당한 각도 범위에서 변화시키면, 출 사 촉진 능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본 발명의 기본 원리이다.
단, 경사각 (θa) 은 일반적으로 20° 를 넘지 않는 것이 실제적이다. 경사각 (θa) 의 조정 (변화) 은 출사면 (4) 의 전역에 적용되어도 되지만, 입사 단면 (3) 이나 말단면 (20) 의 최근방과 같은 출사면 (4)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예외 에어리어」로 하여도 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출사면 (4) (또는 배면 (7)) 의 전체 에어리어로부터 이 예외 에어리어를 제외한 에어리어를 「주된 영역 (메인 에어리어)」이라고 한다. 예외 에어리어를 설정하지 않는 것도 있을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출사면 (4) (또는 배면 (7)) 전체가 「주된 영역」이 된다.
주된 영역은, 「광 누설 등에 의해 이상한 출사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경우, 입사 단면 (3) 의 최근방 및 말단면 (20) 의 최근방은, 조명에 유효하게 이용되지 않는 부분으로, 예외 에어리어가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주된 영역」 중에, 제 1 범위 (L1) 와 제 2 범위 (L2) 가 설정된다. 제 1 범위 (L1) 와 제 2 범위 (L2) 사이에는, 중간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 중간 영역을 「제 3 범위」라고 부른다. 이들 제 1 ∼ 제 3 범위에서 커버되는 영역이 주된 영역이다. 제 3 범위 (L3) (도 3 참조) 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3 에 있어서는, 「제 3 범위」의 도시와 「예외 에어리어」 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제 3 범위 (L3) 와 예외 에어리어가 없는 케이스에 대응).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된 영역 내에 있어서, 경사각 (θa) 은 미리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변화되고 있다. 변화의 각도 범위는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그 예는 예를 들어 하기 예 1 ∼ 예 3 이다.
ㆍ 예 1 = 0° < θa < 20° : 이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범위이다.
ㆍ 예 2 = 0° < θa < 10° : 이것은 보다 바람직한 범위이다.
ㆍ 예 3 = 0.05° < θa < 5° : 이것은 보다 더 바람직한 범위이다.
일반적으로는 최적인 경사각 (θa) 의 변화 범위는, 도광판의 크기 (입사 단면 (3) 에서 말단면 (20) 까지의 거리 (도광 거리)), 입사 단면 (3) 측의 판두께, 말단면 (20) 측의 판두께, 및 1 차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의 출사 특성 등의 여러 팩터에 따라 적당하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사 단면 (3) 의 최근방에서는,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출사면 (4) 에 도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이 영역에는 돌기열 (13) 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영역에 돌기열 (13) 을 형성한 경우, 그 영역에서 출사면 (4) 에 내부 입사되는 광에 부여하는 돌기열 (13) 의 작용은 특수한 것이 된다.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 단면 (3) 이외로부터 입사되는 소량의 광 (L) 이 존재한다. 이 광 (L) 은, 입사 단면 (3) 과 램프 리플렉터 (11) 의 간극으로부터 누출된 후, 입사 단면 (3) 의 최근방에 위치하는 돌기열 (13) 의 제 1 혹은 제 2 경사면 (17, 18) 에 입사된다. 편의상, 이러한 입사광을 「이상 입사광」이라고 부른다.
이상 입사광의 광로는,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정상적인 광로와는 현저하게 상이하다.
이상 입사광은, 입사 단면 (3) 의 최근방에서, 제 1 경사면 (17) 의 경사 각도 조정에 의해 출사 강도 (휘도) 를 제어하는 것 (본 발명의 기본 효과) 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입사 단면 (3) 의 최근방」 은 예외 에어리어로 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말단면 (20) 의 최근방에서는, 말단면 (20) 에서 내부 반사된 광이, 이 근방 영역에 위치하는 돌기열 (13) 의 제 2 경사면 (18) 으로부터 출사되기 쉽다. 이 출사광이 출사 강도 분포 (휘도 분포) 를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영역 (주된 영역) 으로부터는 제외시킨다. 따라서, 「말단면 (20) 의 최근방」 도, 예외 에어리어로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들 「입사 단면 (3) 의 최근방」 및 「말단면 (20) 의 최근방」 은, 출사광의 지향성도 혼란하게 하기 쉬운 영역이다. 즉, 이들 영역은, 출사면 (4) 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크게 벗어난 방향 (예를 들어 30° 이상) 에서도, 상당히 밝게 보이는 경우가 많다.
주된 영역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지금, 15 인치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노트북용 디스플레이를 예로 든다. 이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면광원 장치에 사용되는 도광판 (2) 의 사이즈도 15 인치 정도로 된다. 이 경우, 「입사 단면 (3) 의 최근방」의 일례는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5㎜ 이내의 영역」이다. 또한, 「말단면 (20) 의 최근방」의 일례는 「말단면 (20) 으로부터 10㎜ 이내의 영역」이다.
단, 이들 예외 에어리어의 크기는, 도광판 (2) 의 두께나 크기에 따라 다소 변화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외 에어리어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기술한 바와 같이, 주된 영역 내에는, 제 1 범위 (L1) 와 제 2 범위 (L2) 가 설정된다. 경사각 (θa) 은, 제 1 범위 (L1) 내에서, 입사 단면 (3) 으로부터의 거리 (X) 가 증가됨에 따라 점감되는 한편, 제 2 범위 (L2) 내에서는, 입사 단면 (3) 으로부터의 거리 (X) 가 증가됨에 따라 점증된다.
또한, 제 1 범위 (L1) 내의 입사 단면 (3)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값은, 제 2 범위 (L2) 내의 말단면 (20)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값보다 크다.
또한, 제 1 범위 (L1) 내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변화량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Δ(1)θa) 은, 제 2 범위 (L2) 내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변화량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Δ(2)θa) 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돌기열 (13) 의 제 1 경사면 (17) 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범위 (L1) 내의 돌기열 (13) 의 쪽이, 제 2 범위 (L2) 내의 돌기열 (13) 보다 출사 촉진 기능이 강하다. 이로써, 입사 단면 (3) 에 비교적 가까운 에어리어에서 발생되기 쉬운 출사 강도 부족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사각 (θa) 의 변화 (기울기) 는, 말단면 (20) 에 비교적 가까운 에어리어에서도 발생되기 쉬운 출사 강도 부족도 방지한다. 또한, 제 1 범위 (L1) 와 제 2 범위 (L2) 의 경계와 그 주변에서는, 광 출사가 비교적 일어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 1 범위 (L1) 와 제 2 범위 (L2) 의 경계와 그 주변의 돌기열 (13) 에는, 경사각 (θa) 의 상기 변화 (기울기) 에 의해, 비교적 약한 출사 촉진 능력이 부여되고 있다.
제 2 경사면 (18) 은,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말단면 (20) 으로 도광되는 광이 내부 입사되기 어려운 경사각 (θb) 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경사면 (18) 의 경사각 (θb) 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경사면 (17) 으로부터 출사된 광과 내부 전파광의 관계를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사각 (θb) 은, 제 2 경사면 (18) 에서 기인하는 어두운 영역 (도 5(b) 에 나타내는 사선 영역인 암부) 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각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제 2 경사면 (18) 에서 기인하는 암부 (暗部) 가 발생되기 어려운 제 2 경사면 (18) 의 경사각 (θb) 을 구한다. 또한, 공기 (도광판 (2) 의 외부) 의 굴절률을 1 로 한다. 또한, 이하의 수식에 사용하는 n, θa, θb, ω, φ, θin, θout 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n : 도광판의 굴절률
θa : 제 1 경사면 (17) 이 출사면 (4) 과 이루는 각도
θb : 제 2 경사면 (18) 이 출사면 (4) 과 이루는 각도
θout : 제 1 경사면 (17) 으로부터 가장 강하게 출사되는 방향 (즉, 주된 출사 방향) 으로 출사되는 광 (이하, 주광선이라고 한다) 이 출사면 (4) 의 법선 (22) 과 이루는 각도
ω : 주광선에 대응하는 내부 전파광의 진행 방향이 출사면 (4) 과 이루는 각도
φ : 주광선에 대응하는 내부 전파광의 진행 방향이 제 1 경사면 (17) 의 법선 (23) 과 이루는 각도
θin : 주광선에 대응하는 내부 전파광의 진행 방향이 출사면 (4) 의 법선 (22) 과 이루는 각도
먼저, 스넬의 법칙에 기초하여 하기 식 (1) 이 성립된다.
n · sinφ = sin (θout - θa) … (1)
또한, 각도 (φ) 는 하기 식 (2) 로 나타낼 수 있다.
φ = sin-1 [sin (θout - θa)/n] … (2)
또한, 각도 (ω) 는 하기 식 (3) 으로 나타낼 수 있다.
ω = 90° - (φ + θa) … (3)
여기서, 각도 (ω) 와 각도 (θb) 가 동일한 경우인 케이스를 가정하면,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광선의 광로가 제 1 경사면 (17) 과 제 2 경사면 (18) 의 경계 부근에서 발생된다.
즉, 이 케이스에서는, 삼각 형상의 돌기열 (13) 의 봉우리 라인을 형성하는 정상부 (24) 를 스치듯 지나가도록 출사된 주광선 (Q1) 에 매우 근접하고, 또한,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주광선 (Q2) 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 2 경사면 (18) 에서 기인하는 암부는 발생되기 어렵다.
또한, 부호 (P1, P2) 는, 각각 주광선 (Q1, Q2) 에 대응하는 내부 전파광이고, 진행 방향이 평행인 내부 전파광이다.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 (θb) 가 각도 (ω) 보다 지나치게 크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작거나 하는 경우에는, 암부가 발생되기 쉽다. 각도 (θb) 가 각도 (ω) 보다 지나치게 큰 경우를 도 5(b)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삼각 형상의 돌기열 (13) 의 정상부 (24) 를 스치듯 지나가도록 출사된 주광선 (Q3) 의 인근에는, 주광선 (Q4) 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주광선 (Q4) 은 곡저를 통과하는 내부 전파광이기 때문에, 주광선 (Q3) 과 주광선 (Q4) 사이에는 상당한 간극이 생긴다 (사선부 참조). 이 간극은 각도 (θb) 가 클수록 넓어진다.
또한, 각도 (θb) 가 각도 (ω) 보다 지나치게 작아도, 제 2 경사면 (18) 에 내부 입사되는 광이 전체 반사되어 버리기 때문에, 암부를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상기와 같은 검토 결과로부터, 암부의 발생을 피하는 조건은 하기 식 (4) 가 된다.
θb = ω … (4)
이 식 (4) 을 상기 식 (2), (3) 을 사용하여 다시 쓰면 하기 식 (5) 가 된다.
θb = 90° - sin-1 [sin (θout - θa)/n] - θa … (5)
상기 식 (5) 를 만족시키도록, 제 2 경사면 (18) 이 출사면 (4) 과 이루는 각도 (θb) 를 설정함으로써, 제 1 경사면 (17) 으로부터 주된 출사 방향으로 출사된 광이 제 2 경사면 (18) 에 입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암부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구체적인 수치를 계산한 일례를 나타내면 하기의 같이 된다.
n = 1.49
θa = 1°
θout = 70°
이들 수치를 상기 식 (5) 에 대입하면,
θb = 약 50.2°를 얻는다.
단, 실제로는 각도 (ω) 에 가까운 각도 범위에 있어서도 광 강도는 약간 낮아지지만 출사광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각도 (θb) 보다 플러스 방향 및 마이너스 방향으로 넓은 각도 범위를 가지고 제 2 경사면 (18) 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경사면 (17) 을, 내부 전파광 대부분이 제 1 경사면 (17) 으로 내부 입사되도록 고려하여 형성하고, 2 개의 제 1 경사면 (17)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2 경사면 (18) 을 형성하면 된다.
도 6 은 제 1 사출 성형 방법으로 성형된 도광판 (2) 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제 2 사출 성형 방법으로 성형된 도광판 (2)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광판 (2) 에 대하여, 입사 단면 (3) 으로부터의 거리 (X) 와 경사각 (θa) 의 관계 θa = f(X) 는 동일하다. 그러나 경사각 (θa) 이외의 점에서 다음과 같이 상이하다.
도 6 에 나타내는 도광판 (2) 에서는, 제 1 경사각 (θa) 과 돌기열 (13) 과 인근의 돌기열 (13) 사이의 골짜기부의 열림각 (θv) 이 변화되고 있다. 돌기열 (13) 의 꼭지각 (θe) 은 일정하다. 이와 같은 도광판 (2) 은, 꼭지각 (θe) 과 대략 동일 각도의 바이트를 사용하여 절삭한 금형의 표면 형상을 수지에서 전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도광판 (2) 에 있어서는, 돌기 (13) 의 정상부 (24, 24) 사이의 피치 (Pe) 가 일정하다. 또한 각 정상부 (24, 24) 사이의 피치 (Pe) 가 동일해지도록, 돌기열 (13) 의 높이가 조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 에 나타내는 도광판 (2) 은, 제 1 경사각 (θa) 과 돌기열 (13) 의 꼭지각 (θe) 이 변화되고 있다. 돌기열 (13) 과 돌기열 (13) 사이의 골짜기부의 열림각 (θv) 은 일정하다. 이와 같은 도광판 (2) 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한다.
먼저, 도 6 에 나타내는 도광판 (2) 의 설명에서 언급한 금형의 표면 형상이 전사된 형 (型) 을 제작한다. 이 형을 수지로 전사함으로써, 도 6 을 반전시킨 도 7 과 같은 형상의 도광판 (2) 을 제조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도광판 (2) 에서는, 돌기열 (13) 과 인근의 돌기열 (13) 사이의 골짜기부의 능선의 피치 (Pv) 가 일정하다. 또한, 돌기열 (13, 13) 사이의 각 골짜기부의 바닥이 형성하는 라인 (곡저 라인) 이, 동일면 상에서 연장되도록 돌기열 (13) 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경사각 (θa) 의 변화 이외의 조건 (정상부 (봉우리 라인) (24) 의 피치 (Pe), 곡저 라인 (골짜기부) 의 피치 (Pv), 정상부 (봉우리 라인) (24) 나 골짜기부의 높이 방향의 위치, 꼭지각 (θe), 골짜기부의 열림각 (θv)) 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조건은 가공이나 성형 등의 용이성, 그 밖의 부재와의 적합성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 (1) 에서 채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 패널 (6) 의 화상 피치와의 관계)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피치 (Pe) 나 피치 (Pv) 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면광원 장치 (12) 의 발광면 상에 있어서 정상부 (봉우리 라인) (24) 나 곡저 라인이 인식되기 어렵게 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 (1) 에서 채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 패널 (6) 의 화상 피치와의 사이에서 무아레 줄무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피치 (Pe) 나 피치 (Pv) 를 조정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도광판 (2) 의 내부 전파광은, 주로 돌기열 (13) 의 제 1 경사면 (17) 과 배면 (7) 의 프리즘 돌기열 (14) 의 경사면 (15, 16) 에서 내부 반사를 반복하면서 말단면 (20) 에 접근하도록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경사면 (17) 으로 임계각 이하에서 내부 입사된 광의 일부는, 도광판 (2) 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여기서, 돌기열 (13) 은, 제 1 범위 (L1) 내에서, 말단면 (20) 측으로부터 입사 단면 (3) 에 가까워짐에 따라 경사각 (θa) 이 점증되고, 출사 촉진 기능이 높아진다. 따라서, 그에 따라 내부 전파광의 출사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또한, 제 2 범위 (L2) 내에 있어서는, 입사 단면 (3) 측으로부터 말단면 (20) 에 가까워짐에 따라 경사각 (θa) 이 점증되고, 출사 촉진 기능이 높아진다. 따라서, 그에 따라 내부 전파광의 출사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출사 촉진 기능에 부여된 기울기」에 의해, 종래에는 곤란하였던 입사 단면 (3) 주변 및 말단면 (20) 주변에서의 출사 강도 부족 방지가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한, 도광판 (2) 의 배면 (7) 의 경사는, 말단면 (20) 을 향하여 두께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가지도록 부여되고 있으므로, 주지의 작용에 의해, 경사각 (α) 에 따라 내부 전파광을 출사면 (4) 으로부터 탈출시키기 쉽게 한다.
또한, 도광판 (2) 의 배면 (7) 측에 형성된 프리즘 돌기열 (14) 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전파광을 출사면 (4) 의 정면 방향 근처로 집광시킨다. 이 집광된 광은, 그 지향성을 혼란시키지 않고 제 1 경사면 (17) 으로 내부 입사되고, 그 상당 부분이 경사면 (17) 으로부터 출사된다.
말단면 (20) 에 의해 내부 반사된 광이나, 말단면 (20) 으로부터 출사된 후에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등에서 반사되어 말단면 (20) 으로부터 도광판 (2) 내로 재입사된 광의 대부분의 부분은, 도광판 (2) 의 내부를 말단면 (20) 으로부터 입사 단면 (3) 을 향해 진행한다. 이와 같은 광은 「복귀광」이라고 불린다.
복귀광의 일부는, 제 2 경사면 (18) 으로 임계각 이하의 내부 입사각에서 입사되고, 그 일부가 제 2 경사면 (18) 으로부터 출사된다. 또한, 배면 (7) 측의 프리즘 돌기열 (14) 에 의한 집광 작용은 복귀광에도 유효하다.
〈실시예 1〉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판 (2) 의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광판 (2) 의 기본적 구성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아, 본 실시예 1 을 도 3 및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광판 (2) 은 12.1 인치의 액정 표시 패널 (6) 에 대하여 출사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입사면 (3) 에서 말단면 (20) 까지의 치수는 190㎜ 이고, 입사 단면 (3) 과 직교하는 양 측면 사이의 치수가 250㎜ 인 것이다. 평면 형상은 250 × 190㎜ 의 직사각형으로서, PMMA 로 이루어지고,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또한, 도광판 (2) 의 판두께는,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말단면 (20) 을 향하여, 2.0㎜ 에서 0.7㎜ 까지 점감되고 있다. 배면 (7) 의 경사 각도 (α) 는 0.39° 이다.
돌기열 (13) 의 피치 (Pe 또는 Pv) 가 0.083㎜ 이고, 돌기열 (13) 의 꼭지각 (θe) 또는 돌기열 (13) 사이의 바닥의 열림각 (θv) 은 134° 이다 (도 6 또는 도 7 참조).
도광판 (2) 의 입사 단면 (3) 으로부터의 소정 치수의 위치와 제 1 경사면 (17) 의 경사각 (θa), 출사광 휘도의 관계는 도 8 및 도 9 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도 8 ∼ 도 13 및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입사 단면으로부터의 거리 (㎜)」 및 「거리 (㎜)」 란, 주된 영역에 있어서의 입사 단면 (3) 측의 단부로부터의 거리 (X) 를 의미한다.
도 3, 도 8 에 있어서, 제 1 범위 (L1) 는 거리 X = 0 ∼ 95㎜ 의 영역에 대응한다. 한편, 제 2 범위 (L2) 는 거리 X = 110 ∼ 170㎜ 의 영역에 대응한다. 경사각 (θa) 은, 제 1 범위 (L1) 내에 있어서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말단면 (20) 측을 향하여 점감되는 한편, 제 2 범위 (L2) 에 있어서 입사 단면 (3) 측으로부터 말단면 (20) 을 향하여 점증된다.
제 1 범위 (L1) 에 있어서, 경사각 (θa) 은, 거리 X = 0 에 있어서 θa = 0.95° 이고, 거리 X = 0 ∼ 40㎜ 까지의 범위에서 θa = 0.22° 까지 급격하게 점감된다. 또한, 경사각 (θa) 은, 거리 X = 40 ∼ 95㎜ 의 범위에서 θa = 0.22° ∼ 0.15° 까지 완만하게 점감된다.
한편, 제 2 범위 (L2) 의 거리 X = 110㎜ ∼ 170㎜ 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경사각 (θa) 은 θa = 0.15° ∼ 0.31° 까지 완만하게 점증된다. 또한, 제 1 범위 (L1) 와 제 2 범위 (L2) 사이인 거리 X = 95 ∼ 110㎜ 의 부분은, 전술한 「제 3 범위 (L3)」로, 동 범위 내에 있어서 θa 는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θa = 0.15° (콘스턴트) 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 1 에 대하여, 문헌 1 에 개시된 종래의 도광판에서는, 도 12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열 (113) 의 제 1 경사면 (117) 의 경사각 (θa) 은, 입사면 (103) 으로부터 말단면 (120) 을 향하여 점감되고 있다. 경사각 (θa) 은, 주된 영역에 있어서의 입사면 (103) 측으로부터의 거리가 0 ∼ 170㎜ 인 범위에 있어서, θa = 1° ∼ 0.11° 까지 점감되고 있다.
또한, 도광판 (102) 은, 돌기열 (113) 의 형성 양태를 제외하고, 그 기본적 구성이 본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배면 (107) 의 경사 각도 (α) 는 0.39° 이다. 도광판 (102) 의 출사 특성은 도 13 에 나타나 있다. 도 13 을 참조하면, 도광판 (102) 의 주된 영역에 있어서의 입사 단면 (103) 측으로부터의 거리가 38㎜ ∼ 55㎜ 까지인 범위에 있어서의 출사광 휘도가 거의 균일하게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주된 영역에 있어서의 입사 단면 (103) 측으로부터의 거리가 55㎜ ∼ 170㎜ 까지인 범위에 있어서의 출사광 휘도가 말단면 (120) 측을 향함에 따라 감소되고 있고, 균일한 휘도 분포로는 되지 않았다.
반면, 본 실시예 1 의 도광판 (2) 은, 종래예의 도광판 (102) 과 비교하여 휘도의 균일성이 높다.
즉,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 단면 (3) 으로부터의 거리가 38㎜ ∼ 170㎜ 인 넓은 범위에 있어서 거의 일정한 출사광 휘도가 유지되고 있다. 또, 휘도 레벨도 높다.
여기서, 본 발명과 같이, 경사각 (θa) 을 입사 단면 (3) 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점감 후에 점증시켜 휘도를 균일화시키는 수법에 의해, 1 개의 이점을 제공한다. 즉, 매우 얇은 도광판 (2) 에서는, 배면 (7) 의 경사 각도 (α) 는 매우 작아질 수밖에 없다. 이것은, 휘도 균일화를 위한 경사 각도 (α) 의 최적화를 곤란하게 한다. 본 발명을 적용시키면, 상기 서술한 경사각 (θa) 의 변화에 의해, 이 곤란은 극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판 (2) 의 실시예 2 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 의 도광판 (2) 은, 돌기열 (13) 의 형성 양태를 제외하고, 그 기본적 구성이 실시예 1 의 도광판 (2) 과 동일하다. 도 3,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의 도광판 (2) 에 있어서, 제 1 경사면 (17) 의 경사각 (θa) 은, 거리 (X) 가 0㎜ ∼ 40㎜ 까지인 범위에서 1.05° ∼ 0.07° 까지 급격하게 감소되고 있다. 경사각 (θa) 은, 또한, 거리 X = 40㎜ ∼ 55㎜ 의 범위에서 대략 0.07° 일정하게 추이되고, 거리 X = 55㎜ ∼ 170㎜ 의 범위에서는 0.07° ∼ 0.33° 까지 완만하게 점증된다.
즉, 실시예 2 에 있어서는, 거리 X = 0㎜ ∼ 40㎜ 까지의 범위가 제 1 범위 (L1) 에 대응하고, 거리 X = 55㎜ ∼ 170㎜ 까지의 범위가 제 2 범위 (L2) 에 대응한다. 거리 X = 40㎜ ∼ 55㎜ 까지의 범위는 제 3 범위 (L3) 에 대응한다.
실시예 2 의 도광판 (2) 은, 도 12 에 나타낸 종래의 도광판 (102) 과 비교하여 휘도 균일성이 높다. 즉, 실시예 2 의 도광판 (2) 에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 X = 40㎜ ∼ 170㎜ 의 넓은 범위에 있어서, 고휘도이고 또한 균일한 출사광 휘도가 유지되고 있다.
(광제어 부재)
도 1 혹은 도 2 중에 나타낸 프리즘 시트 (광제어 부재) (5) 는, 구조 및 작용이 주지된 사실이다. 프리즘 시트 (5) 는, 광투과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PET, PMMA, PC) 로 형성되어 있다. 평면 형상 및 평면 사이즈는, 도광판 (2) 의 출사면 (4) 의 평면 형상 (직사각형 형상) 및 평면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다. 프리즘 시트 (5) 는, 출사면 (4) 에 대향하는 면에는, 미세한 프리즘 돌기열 (36) 이 평행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각 프리즘 돌기열 (36) 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이고, 연장 방향은 입사 단면 (3) 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이다.
프리즘 시트 (5) 는, 주지의 기능에 의해, 입사 단면 (3) 에 직교하고 또한 출사면 (4) 에 직교하는 가상면 (37) 내에 있어서 (도 14 참조), 출사면 (4) 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출사면 (4) 의 거의 법선 방향 근처로 편향시킨다. 이로써, 액정 표시 패널 (6) 이 효율적으로 조명된다 (도 2 참조).
(반사 부재)
도 1, 도 2 중에 나타난 반사 부재 (8) 는, 배면 (7) 을 향하는 면에 반사성이 부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PET 시트나, 알루미늄 등의 광반사성 금속을 증착시킨 필름 등이 이용된다. 반사 부재 (8) 의 평면 형상과 평면 사이즈는, 배면 (7) 의 평면 형상 (직사각형) 과 평면 사이즈와 거의 동일하다. 반사 부재 (8) 는, 배면 (7) 으로부터 누출된 광을 반사하여, 도광판 (2) 내로 되돌린다. 또한, 반사 부재 (8) 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 (2) 이 수용되는 케이스 (도시하지 않음) 의 내면이 고광반사성이면, 이 내면을 반사 부재 (8) 를 대신하는 광반사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각 돌기열 (13) 의 제 1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각 (θa) 의 변화 양태의 유연한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휘도 균일화를 위한 경사각 (θa) 의 변화 양태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것은, 각각의 돌기열 (13) 의 경사각 (θa) 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에서 유래되고 있다. 종래예과 같이, 각 돌기열의 형상을 고정하는 일방 (일정한 경사각 (θa)) 의 조건 하에서 돌기열의 피치 (간극) 를 변화시켜 휘도 균일화를 도모하는 것에서는, 돌기열 1 개 당의 출사 촉진 능력을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출사면의 위치에 따른 조명광 휘도의 섬세한 조정은 곤란하다.
[변형예 1]
도 15 는 본 변형예 1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광판 (2) 의 출사면 (4) 과 그 주변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광판 (2) 의 출사면 (4) 상에는 다수의 돌기열 (13) 이 형성되어 있다. 지금, 이들 돌기열 (13) 내의 「이웃하는 3 개의 돌기열 (13)」 에 주목한다. 이웃하는 3 개의 돌기열 (13) 의 높이를 입사 단면 (3)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h1, h2, h3 으로 한다. 또한, 제 1 범위 (L1) 내의 돌기열 (13) 의 제 1 경사면 (17) 의 경사각을 순서대로 θa11, θa12, θa13 으로 한다. 또한, 그들의 평균값 (θa11 + θa12 + θa13)/3 을 θm1 로 한다.
한편, 제 2 범위 (L2) 내의 돌기열 (13) 의 제 1 경사면 (17) 의 경사각을 순서대로 θa21, θa22, θa23 으로 한다. 그것들의 평균값 (θa21 + θa22 + θa23)/3 을 θm2 로 한다.
변형예 1 의 돌기열 (13) 은 다음의 여러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된다.
(ⅰ) 도 15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범위 (L1) 및 제 2 범위 (L2) 내에 있어서, 돌기열 (13) 의 높이가, 입사 단면 (3) 측으로부터 h1 < h2 그리고 h2 > h3 을 만족시키도록, 이웃하는 3 개의 돌기열 (13) 을 다수 (다수 세트) 형성한다.
(ⅱ) 제 1 범위 (L1) 내에 있어서, θm1 은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감된다. 또한, 제 2 범위 (L2) 내에 있어서, θm2 는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증된다 (도 8, 도 10, 도 3 참조).
(ⅲ) 제 1 범위 (L1) 의 입사 단면 (3)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θm1 은, 제 2 범위 (L2) 의 말단면 (20)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θm2 보다 크다.
(ⅳ) 제 1 범위 (L1) 내에 있어서의 θm1 의 변화량 (Δθm1) (θm1 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은, 제 2 범위 (L2) 내에 있어서의 θm2 의 변화량 (Δθm2) (θm2 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보다 크다.
또한, θm1, θm2 에 대해서는,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3 개의 돌기열의 θa 의 평균 대신,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4 개 이상 돌기열의 θa 의 평균을 채용하여도 된다. 혹은, 2 개의 돌기열의 θa 의 평균을 채용하여도 된다.
단, (θa) 의 평균을 계산하는 돌기열 (13) 의 개수 (n) 는 지나치게 크지 않은 것이 실제적이다. 2 ≤ n ≤ 20 이 실제적이고, 바람직하게는 3 ≤ n ≤ 6 이다.
n = 6 으로 한 경우, 6 개의 돌기열 (13) 의 점유 폭은, 예를 들어 0.2㎜ ∼ 2㎜ 의 길이 내로 형성된다. 2㎜ 의 점유 폭에 대응하는 피치는 Pe = 0.083㎜ (콘스턴트) 로 된다. 곡저 사이의 피치 (Pv) 도 콘스턴트로 된다.
변형예 1 에 있어서는, 상기 조건 (ⅰ) 에 의해, 띄엄띄엄 양 옆의 돌기열 (13) 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돌기열 (13) 이 존재하므로, 프리즘 시트 (5) 가 출사면 (4) 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변형예 2]
도 16 은 본 변형예 2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광판 (2) 의 출사면 (4) 과 그 주변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광판 (2) 의 출사면 (4) 상에는 다수의 돌기열 (13) 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변형예 2 의 도광판 (2) 은,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1 개의 수정을 부가한 것이다. 이 수정에 의해, 출사면 (4) 에는, 소정 간격 (예를 들어, 이웃하는 3 개의 돌기열 (13) 마다) 으로, 돌기열 (13) 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 (블랭크 에어리어) (38) 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평면부 (38) 의,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말단면 (20) 을 향하는 Y 방향을 따른 길이는, 일반적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나타내면, 돌기열 (13) 의 곡저 라인 사이의 피치 (Pv) 의 정수 배 (k 배) 로 된다. k (양의 정수) 는 예를 들어, 10 ≤ k ≤ 500 의 범위에 있다. 또한, 평면부 (블랭크 에어리어) (38) 를 이용하여, 출사 휘도를 부가적으로 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출사면 (4) 의 중앙 부근에 평면부 (38) 를 많이 형성하여, 중앙 부근에서의 과잉 휘도를 억제해도 된다.
각 평면부 (38) 의 길이 치수 (입사 단면 (3) 으로부터 말단면 (20) 을 향하 는 Y 방향을 따른 길이 치수) 는, 휘도 특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를 나타내면, 0.2㎜ ∼ 2㎜ 이다.
[기타 변형예]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변형을 허용한다.
(Ⅰ) 돌기열 (13) 의 표면이나, 평면부 (38) 의 표면을 조면화시켜, 약한 산란 능력을 부여해도 된다.
(Ⅱ) 출사면 (4) 상에 다수의 돌기열 (13) 을 형성하는 것 대신에, 배면 (7) 상에 다수의 돌기열 (13) 을 형성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출사면 (4) 에 프리즘 돌기열 (14) 을 형성하여도 된다.
(Ⅲ) 도광판의 배면 (7) 상에 형성된 다수의 프리즘 돌기열 (14) 은 생략되어도 된다.
(Ⅳ) 프리즘 돌기열 (14) 의 높이는, 입사단면 (3) 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어도 된다.
(Ⅴ) 프리즘 돌기열 (14) 의 단면 형상은 변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물결 형상이어도 된다. 입사 단면 (3) 에 가까워짐에 따라 매끄러움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된 볼록 곡면이어도 된다. 각 돌기열 (14) 이 대략 삼각 형상인 단면의 정상부 및 골짜기부 양방 또는 일방을 대략 원호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Ⅵ) 1 차 광원은, 1 개 또는 복수 개의 LED 와 같은 점 광원이어도 된다.
(Ⅶ) 프리즘 시트 (5) 대신, 혹은, 프리즘 시트 (5) 뿐만 아니라, 출사면 (4) 과 반대측의 면에 다수의 프리즘 형상 돌기열을 형성한 프리즘 시트를 배치하 여도 된다. 그 경우, 양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형상 돌기열의 연장 방향은 대략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Ⅷ) 도광판 (2) 의 돌기열 (13) 이 형성되는 면에 있어서, 주된 영역보다 입사 단면 (3) 측에 추가로, 입사 단면 (3) 에 직교하는 홈 또는 돌기열을 형성하여도 된다.
(Ⅸ)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광 램프 (10) 의 양단부 (비발광부) 에 대응하는 사이드 에지 에어리어 등에 대해서는, 그 이외의 영역과 상이한 특별한 출사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와 같은 특별한 출사 경향을 나타내는 영역에 대해서는, 돌기열 (13) (출사면 (4) 상 또는 배면 (7) 상) 을 본 발명의 양태와는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a) 는 도 1 중의 A-A 선을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B 부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채용되는 도광판의 단면도 (도 2 에 나타내는 도광판의 단면도).
도 4 는 도광판의 출사면측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a), 도 5(b) 는 도광판의 출사면측의 돌기열을 구성하는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의 경계 주변에 출현하는 암부의 발생 원인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a) 는 각도 (θb) 와 각도 (ω) 가 동등한 케이스에 있어서의 주광선의 거동을 나타내고, 도 5(b) 는 각도 (θb) 가 각도 (ω) 보다 큰 케이스에 있어서의 주광선의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제 1 사출 성형 방법으로 성형된 도광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제 2 사출 성형 방법으로 성형된 도광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된 도광판의 입사면으로부터의 거리 (가로축) 와, 돌기열을 구성하는 제 1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a) (세로축) 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된 도광판의 입사면으로부터의 거리 (가로축) 와, 출사광 휘도 (세로축) 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관련된 도광판의 입사면으로부터의 거리 (가로축) 와, 돌기열을 구성하는 제 1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a) (세로축) 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관련된 도광판의 입사면으로부터의 거리 (가로축) 와, 출사광 휘도 (세로축) 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 는 종래예에 관련된 도광판의 입사면으로부터의 거리 (가로축) 와, 돌기열을 구성하는 제 1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a) (세로축) 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 은 종래예에 관련된 도광판의 입사면으로부터의 거리 (가로축) 와, 출사광 휘도 (세로축) 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4 는 도광판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 출사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는 본 발명의 변형예 1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광판의 출사면측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16 은 본 발명의 변형예 2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광판의 출사면측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17 은 종래부터 주지였던 면광원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8 은 제 1 종래예에 관련된 면광원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9 는 제 2 종래예에 관련된 면광원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
2 : 도광판
3 : 입사 단면 (입사측 단면)
4 : 출사면 (가상 평면)
5 : 프리즘 시트 (광제어 부재)
6 : 액정 표시 패널 (피조명 부재)
7 : 배면
10 : 형광 램프 (1 차 광원)
12 : 면광원 장치
13 : 돌기열
17 : 제 1 경사면
18 : 제 2 경사면
20 : 말단면
L1 : 제 1 범위
L2 : 제 2 범위
L3 : 제 3 범위

Claims (10)

  1. 제 1 마이너면에 의해 제공되는 입사 단면과, 상기 입사 단면과 반대측의 제 2 마이너면에 의해 제공되는 말단면과, 제 1 메이저면에 의해 제공되는 출사면과, 상기 출사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메이저면에 의해 제공되는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내부 전파의 과정에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도광판으로서 ;
    상기 출사면 또는 상기 배면에는,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상기 말단면을 향하는 광 공급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프리즘 형상의 돌기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기열 각각은, 서로 만나 봉우리 라인을 제공하는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제 1 경사면보다 입사 단면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다수의 돌기열이 형성되는 상기 출사면 또는 상기 배면에는, 제 1 범위와, 상기 제 1 범위보다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진 제 2 범위가 정해져 있고,
    상기 제 1 경사면이, 상기 출사면의 정면 방향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 (θa) 이, 하기 조건 1 ∼ 조건 3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 조건 1 ; 경사각 (θa) 은, 상기 제 1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감되는 한편, 상기 제 2 범위 내에 있어서는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증된다.
    ● 조건 2 ; 상기 제 1 범위 내의 상기 입사 단면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은, 상기 제 2 범위 내의 상기 말단면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보다 크다.
    ● 조건 3 ; 상기 제 1 범위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변화량 (Δ(1)θa) 은, 상기 제 2 범위에 있어서의 경사각 (θa) 의 변화량 (Δ(2)θa) 보다 크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열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2 개의 돌기열 사이에 다수의 곡저 라인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열에 의해, 상기 봉우리 라인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4. 제 1 마이너면에 의해 제공되는 입사 단면과, 상기 입사 단면과 반대측의 제 2 마이너면에 의해 제공되는 말단면과, 제 1 메이저면에 의해 제공되는 출사면과, 상기 출사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메이저면에 의해 제공되는 배면을 구비하 고,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내부 전파의 과정에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도광판으로서 ;
    상기 출사면 또는 상기 배면에는,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상기 말단면을 향하는 광 공급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프리즘 형상의 돌기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기열 각각은, 서로 만나 봉우리 라인을 제공하는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제 1 경사면보다 입사 단면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다수의 돌기열이 형성되는 상기 출사면 또는 상기 배면에는, 제 1 범위와, 상기 제 1 범위보다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진 제 2 범위가 정해져 있고,
    상기 제 1 경사면이, 상기 출사면의 정면 방향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 (θa) 이, 하기 조건 4 ∼ 조건 6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 조건 4 ; 상기 다수의 돌기열 중, 연속하여 근접 배치되는 n 개 (n ; 2 이상의 양의 정수) 의 돌기열의 각 경사각 (θa) 을, θa1, θa2, ………, θan 으로 하고, 평균 경사각 (θm) 을, {(θa1 + θa2 + ……… + θan)/n} 으로 하였을 때,
    평균 경사각 (θm) 은, 상기 제 1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감되는 한편, 상기 제 2 범위 내에 있어서는 상기 입사 단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증된다.
    ● 조건 5 ; n = 3 으로 한 경우의 평균 경사각 (θm) 을 θm(3) 으로 하였을 때,
    상기 제 1 범위 내에서 상기 입사 단면에 가장 가까운 3 개의 돌기열에 대한 θm(3) 은, 상기 제 2 범위 내에서 상기 말단면에 가장 가까운 3 개의 돌기열에 대한 θm(3) 보다 크다.
    ● 조건 6 ; 상기 θm(3) 의 상기 제 1 범위 내에 있어서의 변화량 (Δθm(31)) 은, 상기 θm(3) 의 상기 제 2 범위 내에 있어서의 변화량 (Δθm(32)) 보다 크다.
  5. 도광판과, 1 차 광원과, 광제어 부재를 구비한 면광원 장치로서 ;
    상기 도광판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도광판이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출사면을 따라 상기 광제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 단면을 향하여 상기 1 차 광원에 의해 광 공급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6. 도광판과, 1 차 광원과, 광제어 부재를 구비한 면광원 장치로서 ;
    상기 도광판은, 제 3 항에 기재된 도광판이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출사면을 따라 상기 광제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 단면을 향하여 상기 1 차 광원에 의해 광 공급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7. 도광판과, 1 차 광원과, 광제어 부재를 구비한 면광원 장치로서 ;
    상기 도광판은, 제 4 항에 기재된 도광판이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출사면을 따라 상기 광제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 단면을 향하여 상기 1 차 광원에 의해 광 공급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8. 면광원 장치와, 상기 면광원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에 의해 조명되는 피조명 부재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로서 ;
    상기 면광원 장치는, 제 5 항에 기재된 면광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면광원 장치와, 상기 면광원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에 의해 조명되는 피조명 부재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로서 ;
    상기 면광원 장치는, 제 6 항에 기재된 면광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면광원 장치와, 상기 면광원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에 의해 조명되는 피조명 부재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로서 ;
    상기 면광원 장치는, 제 7 항에 기재된 면광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70090045A 2006-09-05 2007-09-05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01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9925 2006-09-05
JP2006239925A JP2008066014A (ja) 2006-09-05 2006-09-05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068A KR20080022068A (ko) 2008-03-10
KR100901682B1 true KR100901682B1 (ko) 2009-06-08

Family

ID=3919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045A KR100901682B1 (ko) 2006-09-05 2007-09-05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86496B2 (ko)
JP (1) JP2008066014A (ko)
KR (1) KR100901682B1 (ko)
CN (1) CN101140337A (ko)
TW (1) TW2008177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7976A (zh) * 2013-07-26 2014-01-2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4497B2 (ja) * 2006-12-21 2012-01-1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9158135A (ja) * 2007-12-25 2009-07-16 Sumitomo Chemical Co Ltd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EP2306076A1 (en) * 2008-06-23 2011-04-06 Sony Corporation Plan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10299013A1 (en) * 2009-03-06 2011-12-08 Sharp Kabushiki Kaisha Planar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5547900B2 (ja) * 2009-03-16 2014-07-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US8708543B2 (en) * 2011-08-10 2014-04-29 Osram Sylvania Inc. Light engine having distributed remote phosphors
WO2013141020A1 (ja) * 2012-03-23 2013-09-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導光板、照明装置及び照明スタンド
CN102620202A (zh) * 2012-03-26 2012-08-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
CN104049296A (zh) * 2014-05-27 2014-09-17 瑞仪光电股份有限公司 导光板及光源模组
TWI595279B (zh) * 2015-10-13 2017-08-1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反射式顯示裝置與其前光模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503A (ja) 2000-02-02 2001-08-10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20022009A (ko) * 2000-09-18 2002-03-23 이시카와 타다시 도광판
KR20040010188A (ko) * 2002-07-15 2004-01-3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조명장치 및 액정 표시장치
JP2004341126A (ja) 2003-05-14 2004-12-02 Shimonishi Giken Kogyo Kk 導光体及びこれを備えたフロントライト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069A (ja) * 1993-03-03 1994-11-08 Fujitsu Ltd 照明装置
JPH10208530A (ja) * 1997-01-21 1998-08-07 Minebea Co Ltd 面状光源装置
WO2001044716A1 (en) * 1999-12-02 2001-06-21 Reflexite Corporation Asymmetric alternating prism arrays
JP3739327B2 (ja) * 2002-03-12 2006-01-25 富士通化成株式会社 面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
JP4515383B2 (ja) * 2003-03-07 2010-07-2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4394977B2 (ja) 2004-03-09 2010-01-06 五洋紙工株式会社 面光源装置
JP4350009B2 (ja) * 2004-08-31 2009-10-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面発光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00445827C (zh) * 2004-11-18 2008-12-24 清华大学 导光板和背光模组
JP4433467B2 (ja) * 2004-12-01 2010-03-1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面光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503A (ja) 2000-02-02 2001-08-10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20022009A (ko) * 2000-09-18 2002-03-23 이시카와 타다시 도광판
KR20040010188A (ko) * 2002-07-15 2004-01-3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조명장치 및 액정 표시장치
JP2004341126A (ja) 2003-05-14 2004-12-02 Shimonishi Giken Kogyo Kk 導光体及びこれを備えたフロントライト照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7976A (zh) * 2013-07-26 2014-01-2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66014A (ja) 2008-03-21
US20080151578A1 (en) 2008-06-26
US7686496B2 (en) 2010-03-30
KR20080022068A (ko) 2008-03-10
CN101140337A (zh) 2008-03-12
TW200817739A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682B1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JP4436105B2 (ja) リフレクタ及び照明装置及び導光板及び表示装置
US6636283B2 (en) Front light,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7357557B2 (en) Light guide plate
KR100501066B1 (ko)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
US6734929B2 (e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 single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486504B2 (ja) 面光源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0587247B1 (ko)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
KR100956049B1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420192B1 (ko) 도광판, 사이드 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US7309154B2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KR20060061257A (ko) 면광원 장치 및 표시장치
JP4441854B2 (ja) 面光源装置及び当該装置を用いた機器
US9261637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its light guide plate
WO2013132661A1 (ja) 面光源装置
KR19990077550A (ko)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및액정표시장치
US20020051355A1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rregular interval of grooves of light reflection pattern
JP2009135116A (ja) 面光源装置、プリズムシート、表示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4172008B2 (ja) 面光源装置
JP2001210129A (ja) サイドライト面光源装置
KR100634079B1 (ko) 도광판, 면광원장치 및 표시장치
JP4308968B2 (ja) 導光板および平面照明装置
JP2001343532A (ja) フロントライト、反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
JPH08334625A (ja)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
JP3418831B2 (ja) 面状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