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087B1 -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087B1
KR100901087B1 KR1020080078265A KR20080078265A KR100901087B1 KR 100901087 B1 KR100901087 B1 KR 100901087B1 KR 1020080078265 A KR1020080078265 A KR 1020080078265A KR 20080078265 A KR20080078265 A KR 20080078265A KR 100901087 B1 KR100901087 B1 KR 100901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ine powder
substrate
glass structure
sof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우섭
이정훈
최영락
Original Assignee
소우섭
이정훈
최영락
김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우섭, 이정훈, 최영락, 김미란 filed Critical 소우섭
Priority to KR102008007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 C03C17/1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by deposition from the liqu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유리 자체의 특성을 활용하고, 미세분말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도록 나노입자와 같은 미세분말을 유리구조체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 구조체 및 방법은 온도를 가하면 일정한 녹는점이 보이지 않고 점성이 감소하면서 액체상태로 변환되는 기재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기재에 부착된 미세한 동공을 가진 다공성 담체 및 다공성 담체에 담지된 미세분말을 포함한다. 기재에 열을 가하여 기재의 일부를 열에 의해 유연성을 가진 연질층에 미세분말이 담지된 담체를 공급하여 담체와 연질층을 결합시킨다.
유리구조체, 다공성 담체, 미세분말

Description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Glass structure attached fine pow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나노입자와 같은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입자는 나노미터 수준에서 입자로서, 이는 화학적인 조성뿐만 아니라 입자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므로 그 활용 가능성은 무한하다. 나노입자는 전자산업의 소형화, DNA 서열 측정, 광 정보저장, 초고속 정보통신, 고분자 복합재, 코팅, 촉매, 화장품, 의약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또한 미세분말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자체적으로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벌크 상태에서 얻을 수 없는 많은 물성을 발휘하므로 이를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유리구조체는 사회 전반에 걸쳐 거의 모든 분야에 활용되는 생활필수품이다. 예를 들어, 음식물이나 음료 등과 같은 내용물을 일정시간 동안 안정적인 보관을 하거나, 차량의 창유리로 장착하거나 그 밖에 건축,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활용되고 있다. 유리는 내구성이 크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투명한 특징 등 매우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특수한 물성을 부가하려는 연구가 많이 있어 왔다.
특히 나노입자와 같은 미세분말을 유리표면에 부착하여 나노입자나 미세분말의 물성을 유리표면에 나타내면 그 응용분야가 많아질 것이다. 하지만, 유리는 표면이 매끄럽고 경도가 크고 취약하여 유리표면에 미세분말을 직접 부착하기 어렵다. 나노입자와 같은 미세분말을 바인더와 같은 결합제를 이용하여 유리표면에 코팅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유리표면에 새로운 코팅층이 형성되어, 유리 자체의 특성을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결합제에 의해 미세분말의 표면이 덮임으로써 미세분말이 가지는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리 자체의 특성을 활용하고, 미세분말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도록 나노입자와 같은 미세분말을 유리구조체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미세분말을 상기 유리구조체의 표면에 부착하여 유리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는 온도를 가하면 일정한 녹는점이 보이지 않고 점성이 감소하면서 액체상태로 변환되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기재에 부착된 미세한 동공을 가진 다공성 담체 및 상기 다공성 담체에 담지된 미세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평활한 면을 가진 평판형, 굴 곡진 면을 가진 굴곡형, 일체로 된 통형, 금형의 형상대로 나타난 금형용 또는 미세기공을 가진 다공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거나 상기 형태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유리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기재의 내부에 일부가 박혀 있고 나머지는 상기 기재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는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담체는 용매에 의해 분산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용매는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미세분말을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졌거나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먼저 온도를 가하면 일정한 녹는점이 보이지 않고 점성이 감소하면서 액체상태로 변환되는 기재를 준비한다. 그후, 상기 기재에 열을 가하여 상기 기재의 일부를 열에 의해 유연성을 가진 연질층을 형성한다. 상기 연질층에 미세분말이 담지된 담체를 공급하여 상기 담체와 상기 연질층을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연질층 상에 배치된 가압장치에 의해 일정한 압력에 의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용매와 혼합하여 용액으로 저장되고 상기 용액을 주사에 의해 상기 연질층 상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담체는 이를 공급하는 분사부를 통해 공급되고, 상기 분사부는 좌우, 상하 및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 및 그 부착방법에 의하면, 유리 자체의 특성을 활용하고 미세분말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도록 나노입자와 같은 미세분말을 유리구조체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담체에 담겨진 미세분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은(Ag) 미세분말을 이용하여 항균성을 부여하거나, 금(Au) 미세분말을 이용하여 용기에 적용하거나, 촉매를 담지하여 화학반응에 이용하는 등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담체에 이온교환법 또는 습식법 등에 의해 담지된 나노입자와 같은 미세분말(이하, 미세분말)이 유리구조체의 표면에 부착된 구조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리구조체에 미세분말이 부착된 구조를 설명하고, 이어서 이를 구현하는 방법과 몇 가지 응용사례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유리구조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구조체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는 기재(10), 기재(10)의 일부에 부착된 담체(20) 및 담체에 담지된 미세분말(30)을 포함한다. 담체(20)는 열에 의해 기재(10)의 표면에 결합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기재(10) 내에 있고, 기재(1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재(10)는 취약하고, 상온에서 질이 치밀하여 흡수성, 통수성, 통기성 등이 전혀 없으나, 가열하면 일정한 녹는점을 보이지 않고 서서히 점성이 감소하여 액체상태로 이행한다. 즉, 기재(10)를 가열하면, 점차 점성이 감소해서 액체상태로 이행된다. 이때 각 기재(10) 특유의 온도범위에서 점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액체의 성질을 가지게 되는 범위를 전이온도영역이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기재(10)의 투명도는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10)가 음식물을 담는 용기이라면, 굳이 투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기재(10)는 온도를 가하면 일정한 온도에서 표면이 유연해져서, 담체(20)가 내부로 파고 들어갈 수 있는 물성을 가지면 모두 가능하다. 그 예로써 실리카(SiO2)에 소다(Na2O), 석회(CaO), 산화마그네슘(MgO) 및 알루미나(Al2O3) 등이 일부 또는 전부 첨가된 유리일 수 있다. 또한, 기재(10)는 일부 붕규산유리와 같이 열처리하여 분상(分相) 현상을 일으키고, 이것을 화학처리를 하여 만든 다공질 유리일 수 있다.
담체(20)는 제올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인산지르코늄 등과 같이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다공성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담체(20)는 잘 알려진 다공성 물질일 수 있고, 담체(20)의 동공에 미세분말(30)을 담지할 수 있다. 미세분말(30)은 단지 담체(20)의 동공에 담지되어 있으므로, 용액 상에 담그면 일정한 조건에서 그 일부가 용액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도 1은 이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미세분말(30)은 나노입자나 미세한 분말로서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금속으로는 금, 은, 구리, 아연, 수은, 주석, 납, 비스무스, 카드뮴, 크롬, 파라듐, 백금, 안티몬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일 수 있고, 세라믹으로서는 산화티탄(TiO2), 인듐주석(InxSny)산화물,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일 수 있다. 나아가, 앞에서 나열한 금속과 세라믹의 혼합된 혼합물일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는 담체에 담겨진 미세분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은(Ag) 미세분말을 이용하여 항균성을 부여하거나, 금(Au) 미세분말을 이용하여 용기에 적용하거나, 촉매를 담지하여 화학반응에 이용하는 등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하게 확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구현하는 방법을 두 가지 사례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는 단지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구현하는 방법의 일부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리구조체를 구현하는 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구현하는 하나의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시하는 방법은 평판형 기재(130)에 미세분말(30)이 담지된 담체(20)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때, 유리구조체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유리를 제조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다른 원료들을 잘 섞은 다음, 잘 섞은 분말들을 백금도가니(또는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은 다음, 그 도가니를 로(furnace)에 넣고 약 1400-1500℃까지 가열시킨다. 그후, 펄펄 끓는 녹은 유리물을 성형틀에 부어 넣어 급랭시킨다. 유리를 급랭하면 그 구조가 매우 불규칙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액체상태는 제자리를 찾아가지 못하고 그냥 굳어지기 때문에, 유리는 열역학적으로 액체에 속한다.
이렇게 차갑게 냉각되어 굳어진 유리는 너무 빨리 차가워졌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므로 서냉이라는 과정을 다시 거친다. 급랭시킨 유리를 약 700도정도로 유지되어 있는 로(furnace)안에 넣고 아주 천천히 온도를 낮춰 가면 유리가 투명성을 잃지 않으면서 강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가열하는 공정 또는 서냉하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적용되는 공정이 다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대(150) 상에 배치된 롤러(140) 위에 기재(130)가 이동하거나 정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유리를 가열하거나 서냉하는 로(furnace)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열은 기재(130)가 열에 의해 유연성을 가진 연질층(132)과 열에 의해 유연하지 않은 경질층(131)으로 나뉠 정도로 가한다. 즉, 유리는 가해지는 온도가 올라가면 열이 직접 닿은 부분이 서서히 점성이 감소 한다. 따라서 여기서 연질층(132)이란 본 발명의 담체(20)가 달라 붙여 열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특히, 담체(20)가 다공성 물질이어서 연질층(132)의 결합이 용이하다.
연질층(132) 상에는 미세분말(30)이 담긴 담체(20)(이하, 필요에 따라 담체로 통칭하기도 함)가 저장된 저장부(110)와, 저장부(110)에 저장된 담체(20)를 압력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가압부(100) 및 담체(20)를 분사하는 분사부(120)를 포함한다. 즉, 열에 의해 유연해진 연질층(132)에 담체(20)가 박힌 다음 일정한 조건에서 연질층(132)과 열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담체(20)를 분사하는 분사부(120)는 좌우, 상하 및 회전하도록 하여, 평판형 기재(130)의 형상에 따라 담체(20)를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연질층(132)에 박힌 담체(20)는 열에 의해 연질층(132)과 결합한다. 다시 말해, 담체(20)는 제올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인산지르코늄 등과 같이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동일한 세라믹 물질인 유리와 열에 의해 쉽게 결합한다. 담체(20)는 다공성 물질로 유리의 성분과 유사한 물질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연질층(132)에 닿은 담체(20)가 열에 의해 녹아 연질층(132)과 융합되거나, 연질층(132)의 일부가 담체(20)의 동공으로 파고 들어가 굳음(이하, 고화)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즉 연질층(132)과 담체(20)는 융합 또는 고화 및 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질층(132)의 두께는 유리와 담체의 종류 및 가압부(100)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20)와 연질층(132)의 결합이 쉬운 조합이라면 연질층(13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만일 결합이 잘 일어나지 않은 조합이라면 연질층(132)의 두께를 크게 하여 담체(20)가 연질층(132)으로 파고 들어가는 깊이를 크게 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담체(20)에 포함된 미세분말(30)을 가능한 한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담체(20)가 연질층(132)에 파고 들어가는 깊이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담체(20)는 가압부(100)가 없이 자유낙하에 의한 담체(20) 자체의 무게에 의해 연질층(132)에 박힐 수 있다. 즉, 가압부(100)라는 별도의 장치가 없이 간단한 구조로 담체(20)를 연질층(132)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구현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시하는 방법은 평판형 기재(130)에 미세분말(30)이 담지된 담체(20)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때, 유리구조체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150) 상에 배치된 롤러(140) 위에 기재(130)가 이동하거나 정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유리를 가열하거나 서냉하는 로(furnace)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열은 기재(130)를 열에 의해 유연성을 가진 연질층(132)과 열에 의해 유연하지 않은 경질층(131)으로 나뉠 정도가 가한다.
연질층(132) 상에는 주사기(160)에 미세분말이 담지된 담체(20)가 용매(171)에 분산된 담체용액(170)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담체(20)는 도 1에서 설명한 미세분말(30)이 담지된 담체와 동일한 것이다. 용매(171)는 담체(20)를 분산하는 매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 고분자 용매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필요에 따라, 고분자 물질이 아닌 다른 물질도 주어진 담체(20)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주사기(160)에 압력을 가하면 담체용액(17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질층(132)으로 낙하하여 연질층(132)과 결합한다. 이 경우에는 담체용액(170)의 용매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제거된다. 연질층(132)으로 떨어지는 담체용액(170)의 양은 밸브(180)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방법으로 유리구조체를 구현하면, 담체(20)를 용매(171)에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연질층(132)과 결합하는 담체(20)를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용목적에 따라 균일한 담체(20)의 분포를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가 응용되는 응용분야를 세 가지 사례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는 단지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응용하는 분야의 일부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리구조체의 응용분야>
도 4는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응용하는 분야의 하나의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시하는 응용분야는 굴곡형 기재(210)에 미세분말(30)이 담지된 담체(20)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때, 유리구조체 및 담체를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굴곡형 기재(210)는 평판형 기재를 지지구조체(200)에 양단에 고정시킨 후, 열에 의해 평판형 기재(210)의 자체 중량에 의해 구부려지어 만 들어진다. 물론, 굴곡형 기재(210)는 도시된 것과 다른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굴곡형 기재(2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질층(211)과 연질층(212)으로 나뉜다.
미세분말(30)이 담지된 담체(2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굴곡형 기재(210)의 연질층(212)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담체(20)는 연질층(212)과 결합하여 기재(210)의 표면에 원하는 미세분말(30)을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굴곡형 기재(210)에 담체(20)를 부착하는 방법은 자동차 유리와 같은 굴곡이 있는 응용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응용하는 분야의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시하는 응용분야는 통형 기재(310)에 미세분말(30)이 담지된 담체(20)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때, 유리구조체 및 담체를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통형 기재(310)는 블로잉 방법에 의해 용기를 제조하고 열처리하는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통형 기재(3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질층(311)과 연질층(312)으로 구분된다.
미세분말(30)이 담지된 담체(2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통형 기재(310)의 연질층(312)과 결합된다. 이때, 담체(20)를 분사하는 분사부(120)는 좌우, 상하 및 회전하도록 하여, 통형 기재(310)의 형상에 따라 담체(20)를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체(20)는 연질층(312)과 결합하여 기재(310)의 표면에 원하는 미세분말(30)을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형 기 재(310)에 담체(20)를 부착하는 방법은 음식물을 담는 유리구조체와 같은 응용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응용하는 분야의 또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시하는 응용분야는 금형용 기재(410)에 미세분말(30)이 담지된 담체(20)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때, 유리구조체 및 담체를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에 따르면, 금형용 기재(410)는 분리된 금형(400)에 의해 기재(410)를 고정하고 이를 열에 의해 접합하여 용기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통형 기재(3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질층(411)과 연질층(412)으로 구분된다.
미세분말(30)이 담지된 담체(2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금형용 기재(410)의 연질층(312)과 결합된다. 이때, 담체(20)를 분사하는 분사부(120)는 좌우, 상하 및 회전하도록 하여, 금형용 기재(410)의 형상에 따라 담체(20)를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체(20)는 연질층(412)과 결합하여 기재(410)의 표면에 원하는 미세분말(30)을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금형용 기재(410)에 담체(20)를 부착하는 방법은 복잡한 형상의 유리구조체와 같은 응용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 명의 실시예는 다공성 담체가 유리구조체의 일측에만 부착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유리구조체의 모든 면에도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에 점성을 부여하는 장치나 다공성 담체를 공급하는 장치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유리구조체의 표면에 그루브(groove), 홈 또는 홀(hole)을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하여 다양한 유리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리구조체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구현하는 하나의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 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구현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응용하는 분야의 하나의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응용하는 분야의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리구조체를 응용하는 분야의 또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30, 210, 310, 410; 기재
20; 다공성 담체 30; 미세분말
100; 가압부 110; 저장부
120; 분사부 160; 주사기

Claims (12)

  1. 온도를 가하면 일정한 녹는점이 보이지 않고 점성이 감소하면서 액체상태로 변환되는 기재;
    상기 기재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기재에 부착된 미세한 동공을 가진 다공성 담체; 및
    상기 다공성 담체에 담지된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평활한 면을 가진 평판형, 굴곡진 면을 가진 굴곡형, 일체로 된 통형, 금형의 형상대로 나타난 금형용 또는 미세기공을 가진 다공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거나 상기 형태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기재의 내부에 일부가 박혀 있고 나머지는 상기 기재의 표면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용매에 의해 분산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말을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졌거나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9. 온도를 가하면 일정한 녹는점이 보이지 않고 점성이 감소하면서 액체상태로 변환되는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에 열을 가하여 상기 기재의 일부를 열에 의해 유연성을 가진 연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질층에 미세분말이 담지된 담체를 공급하여 상기 담체와 상기 연질층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연질층 상에 배치된 가압장치에 의해 일정한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용매와 혼합하여 용액으로 저장되고 상기 용액을 주사에 의해 상기 연질층 상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이를 공급하는 분사부를 통해 공급되고, 상기 분사부는 좌우, 상하 및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080078265A 2008-08-11 2008-08-11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01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265A KR100901087B1 (ko) 2008-08-11 2008-08-11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265A KR100901087B1 (ko) 2008-08-11 2008-08-11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087B1 true KR100901087B1 (ko) 2009-06-08

Family

ID=4098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265A KR100901087B1 (ko) 2008-08-11 2008-08-11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17B1 (ko) * 2008-12-05 2011-07-26 최영락 금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442A (ja) * 1990-01-26 1991-09-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耐食性耐酸化性材料
KR20020029075A (ko) * 1999-07-09 2002-04-17 캐롤린 에이. 베이츠 다공성 세라믹 연마 복합체를 포함하는 금속 결합 연마제품 및 가공물을 연마하기 위한 그의 사용 방법
KR20070100955A (ko) * 2004-12-28 2007-10-15 테크니칼 유니버시티 오브 덴마크 금속-유리, 금속-금속 또는 금속-세라믹 연결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442A (ja) * 1990-01-26 1991-09-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耐食性耐酸化性材料
KR20020029075A (ko) * 1999-07-09 2002-04-17 캐롤린 에이. 베이츠 다공성 세라믹 연마 복합체를 포함하는 금속 결합 연마제품 및 가공물을 연마하기 위한 그의 사용 방법
KR20070100955A (ko) * 2004-12-28 2007-10-15 테크니칼 유니버시티 오브 덴마크 금속-유리, 금속-금속 또는 금속-세라믹 연결의 생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17B1 (ko) * 2008-12-05 2011-07-26 최영락 금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i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esoscopic hollow spheres of ceramic materials with functionalized interior surfaces
TWI632058B (zh) 具相分離覆層的積層玻璃物品及其形成方法
Melde et al. Periodic macroporous hydroxyapatite-containing calcium phosphates
JP6050118B2 (ja) イオンエロージョンによる表面構造化方法
CN100507339C (zh) 无机纤维体
PT86537B (pt) Processo para a producao de um produto composito ceramico auto-suportado e produto assim produzido
JPH1053437A (ja) アモルファス型過酸化チタンのコーティング方法
EP1887025A1 (en) Polymer made from organosilane compound and boron compound
CN101522556A (zh) 制造微流体器件的方法
NO317893B1 (no)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et abrasivt produkt.
CN104903272A (zh) 成形制品及其制备方法
KR100901087B1 (ko)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S61132530A (ja) 有効な細孔を有する多孔性ガラス形状物
JPH10158037A (ja) 抗菌性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53880A (ko) 미세분말이 부착된 유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Sakka Current sol-gel activities in Japan
CN114426392B (zh) 一种基于三维直写的微尺度玻璃及其制造方法
Wang et al. Electrophoretic co-deposition of diamond/borosilicate glass composite coatings
JPH06306672A (ja) 複合材料強化材、その製造方法及び複合材料
KR101587270B1 (ko) 초발수성 나노 코팅제 접착용 저융점 유리 프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초발수성 나노 코팅 기재
DK149606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t poroest carbonholdigt legeme
KR102024630B1 (ko) 무기물 입자가 포함된 슬러리를 이용한 유리의 강화방법
JPH03141181A (ja) 表面改質アルミナ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CN107244943A (zh) 一种反应熔体浸渗法制备C/C‑SiC复合材料用石墨坩埚表面涂层的制备方法
Penide et al. Bioactive glass nanofibers for tissue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