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267B1 - 서류 등의 바인더 - Google Patents

서류 등의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267B1
KR100899267B1 KR1020077014410A KR20077014410A KR100899267B1 KR 100899267 B1 KR100899267 B1 KR 100899267B1 KR 1020077014410 A KR1020077014410 A KR 1020077014410A KR 20077014410 A KR20077014410 A KR 20077014410A KR 100899267 B1 KR100899267 B1 KR 100899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opening
ring member
bas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996A (ko
Inventor
히로시 시마다
다이치 쿠마이
코우이치 타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ublication of KR20070073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42F13/2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종래의 레버 아치식 링 바인더의 이점만을 살릴 수 있도록 궁리함으로써, 링의 개방도가 크게 되어 사용하기 편리하고, 작업성이 뛰어난 서류 등의 바인더를 제공한다.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서류 등을 철해 넣는 폐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 폐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링 자세로 변화할 수 있는 링과,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폐링 자세와 개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기구를 구비한다. 링은 단부끼리의 접촉 또는 이간에 의해 개링 자세 또는 폐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를 가진다. 전환 기구는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를 포함한다. 링이 개링 자세에 있을 때, 링의 개방 부분을 전환 레버가 통과 가능하게 설정되고, 또한 링의 개폐 속도가 제1링 부재와 제2링 부재에서 다르게 설정된다.
Figure R1020077014410
레버 아치, 링, 개방도, 전환 레버, 개링, 폐링

Description

서류 등의 바인더{BINDING IMPLEMENT FOR DOCUMENT}
본 발명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 링 부재(ring member)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링(ring)을 전환 레버(switching lever)에 의해 개폐 조작하는 바인더(binder)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시트 폴더(sheet folder) 등의 표지체의 내면에는 복수의 링 부재를 구비한 바인더가 고정되어 있다. 이 바인더로서, 레버(lever) 조작에 의해 링을 여는 레버 아치식(lever-arch type) 바인더가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레버 아치식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에 기재의 바인더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띠판 형상의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설치된 복수의 링 부재로 구성되는 2개의 링과, 각 링을 폐링 자세(closed ring position)와 개링 자세(open ring position)로 변화시키는 조작 레버 부착의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링을 구성하는 각 링 부재 중 한쪽의 링 부재는 베이스부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조작 레버를 눌러내리는 조작에 의해 링을 개폐시킬 수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화 57-24077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인더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와 같이, 한쪽의 링 부재를 베이스부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에서는, 링의 개방도가 작고, 또한 그 개방 부분이 한쪽에 한정되고, 또한 레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링 근방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서류 등을 철하거나 꺼내거나 할 때의 작업성이 나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레버 아치식 링 바인더의 이점만을 살릴 수 있도록 궁리함으로써, 링의 개방도가 크게 되어 사용하기 편리하고, 작업성이 뛰어난 서류 등의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서류 등의 바인더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서류 등을 철해 넣는 폐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 폐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링 자세로 변화할 수 있는 링과,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폐링 자세와 개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링은 단부끼리의 접촉 또는 이간에 의해 개링 자세 또는 폐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를 가지고, 링의 개방 부분은 베이스부 위로서 베이스부의 짧은 방향 중앙부로부터 그 짧은 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정되고, 전환 기구는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를 포함하고, 링이 개링 자세에 있을 때, 링의 개방 부분을 상기 전환 레버가 통과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의 개방 부분이 치우쳐 있어, 링이 개링 자세에 있을 때, 링의 개방 부분을 전환 레버가 통과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링의 개방 부분이 링의 중앙부에 존재하지 않는 좌우 비대칭인 링 형상의 것이라도, 전환 레버의 자유단을 링의 외측으로 통과시켜 대피 상태로 해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서류 등을 뽑고 끼우고 하는 작업시에 있어서도 전환 레버가 방해가 되는 위치에 오지 않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링의 개방 부분을 전환 레버가 통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1링 부재와 제2링 부재의 링 개폐 방향의 이동량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1링 부재의 이동량을 제2링 부재의 이동량보다 크게 하면, 링의 개방 부분이 제2링 부재 쪽에 치우쳐 있어도, 그 링의 개방 부분을 전환 레버가 통과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링 부재와 제2링 부재의 양쪽 모두로 링을 개폐하므로, 단부끼리의 최대 이간 거리인 링의 개방도를 크게 할 수가 있고, 이 점으로부터도 사용의 편리성이나 작업성을 좋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의 개방 부분을 전환 레버가 통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링의 개폐 속도를 제1링 부재와 제2링 부재에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양 링 부재 중 이동량이 많은 링 부재를 이동량이 적은 링 부재보다 빠르게 이동시키도록 하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의 개방 부분을 전환 레버가 통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1링 부재와 제2링 부재의 링 개폐 동작의 타이밍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양 링 부재 중 이동량이 많은 링 부재가 이동을 시작하는 타이밍을, 이동량이 적은 링 부재가 이동을 시작하는 타이밍보다 빨리 이동시키도록 하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 레버는, 베이스부에 힌지(hinge) 결합된 기단(base end)부와, 조작용의 자유단(free end)을 가지고, 기단부에는 자유단의 회전운동 위치에 의해 각 링의 개폐도를 조정하는 캠(cam)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전환 레버의 조작만으로, 각 링의 개폐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과 조작성이 뛰어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베이스 본체와, 베이스 본체로부터 일어서 있는 베어링(bearing)부를 가지고, 베어링부는 전환 레버의 힌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베이스 본체와 베어링부를 1매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부품수를 줄여 전체 구성을 간소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은 베이스부의 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2개 설치되고, 양 링을 각각 형성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 중, 2개의 제1링 부재와 2개의 제2링 부재는 각각 하나의 금속선의 휨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제1링 부재끼리의 연속부 및 제2링 부재끼리의 연속부에는, 베이스 본체의 중앙부에서 서로 근접하여 평행한 누름부와,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점(supporting point) 부분이 각각 형성되고, 각 지지점 부분이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전환 레버의 캠부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부품수를 줄여 저단가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 부재의 강성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환 기구의 바로 아래에는, 베이스부와 누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링 부재의 단부끼리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누름부에 힘을 가하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링을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베이스부와 누름부의 사이에 탄성체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끝나므로, 탄성체를 구비하는 전환 기구의 간소화 및 조립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전환 기구는 베이스부 위에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이 베이스부의 긴 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 경사 가능한 2개의 지지 부재를 가지고, 일방의 지지 부재에 제1링 부재가 지지되고, 타방의 지지 부재에 제2링 부재가 지지되고, 양 지지 부재와 베이스부의 사이에는, 링 부재의 단부끼리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하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2개의 지지 부재를 작동시켜 링을 폐링 자세 및 개링 자세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서류 등의 바인더에 의하면, 링의 개방도가 크게 되어 사용하기 편리하고, 작업성이 뛰어난 바인더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링 개방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링 개방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베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베이스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전환 레버와 캠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캠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바인더의 전환 레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주요부의 단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바인더(1)는 베이스부(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와, 베이스부(2)에 그 긴 방향(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된 2개의 링(3, 3)과, 전환 레버(4)를 포함하는 전환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링(3)은 도 1에 나타내듯이 서류 등을 철해 넣는 폐링 자세와, 도 2에 나타내듯이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 폐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링 자세로 변화할 수가 있다.
전환 기구(5)는 베이스부(2)에 설치되고, 링(3, 3)을 그 폐링 자세와 개링 자세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전환 기구(5)는 베이스부(2)에 요동 가능(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4)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링(3, 3)이 개링 자세에 있을 때, 링(3, 3)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다음에, 각 도를 참조하여 이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부(2)는 도 1∼도 10에 나타내듯이, 금속판으로 형성된 베이스 본체(21)와, 베이스 본체(2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베이스 본체(21)로부터 일어서 있는 베어링부(23)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본체(21)는 평면 직사각형의 띠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 가까운 곳에는, 예를 들면 바인더의 표지체의 내면에 나사나 리벳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부(23)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본체(21)의 잘라 일으킴(cut and pulled up)에 의해, 베이스 본체(21)의 짧은 방향(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일어서 있는 기립편(22)과, 그 기립편(22)에 설치된 핀홀(pin hole)(2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부(23)는 2개의 링(3, 3)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전환 레버(4)의 힌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기립편(22)은 전환 기구(5)의 높이를 억제하기 위해 낮게 형성되어 있다.
각 링(3)은 단부(선단)(30)끼리의 접촉에 의해 폐링 자세로 되고, 선단(30)끼리의 이간에 의해 개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31) 및 제2링 부재(32)를 각각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환 기구(5)는 각 링 부재(31, 32)의 선단(30)끼리가 서로 접근 및 이간하는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30)끼리의 최대 이간 거리인 링(3)의 개방도(개방 부분(K)의 간격)를 크게 하여, 서류 등을 뽑고 끼우고 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각 링 부재(31, 32)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정면에서 보아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링(3)은 개략 D 형상이고, 각 링(3)의 개방 부분이 D 형상의 세로선(제2링 부재(32)) 쪽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각 링 부재(31, 32)의 선단(30)끼리가 이간했을 때에 형성되는 링의 개방 부분(K)(도 8 참조)은, 베이스부(2) 위로서 베이스부(2)(베이스 본체(21))의 폭 방향 중앙 부분보다 제2링 부재(32)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링의 개방 부분(K)이 제2링 부재(32)측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라도, 그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즉, 전환 기구(5)는 링(3, 3)의 개폐 속도가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에서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개방 거리를 길게 잡을 필요가 있는 제1링 부재(31) 쪽이 제2링 부재(32)보다 빨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물론, 링의 개방 부분(K)이 제1링 부재(31)측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는, 제2링 부재(32)의 개폐 속도가 제1링 부재(31)보다 빨라지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링의 개폐 속도가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에서 다르게 설정한 이유는, 링(3)의 개방 부분(K)을 링(3)의 중앙에 형성하지 않는 링 형상의 것에도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의해, 여러가지의 링 형상의 바인더에 적용할 수가 있다. 또, 링(3)이 개략 D 형상이라도, 이와 같이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의 양쪽 모두로 링(3)을 개폐하므로, 단부끼리의 최대 이간 거리인 링(3)의 개방도를 크게 할 수가 있다. 이 점으로부터도 사용의 편리성이나 작업성을 좋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링(3)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링(3)의 개폐 속도를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에서 다르게 설계하고 있다. 즉, 개방 거리를 길게 취할 필요가 있는 제1링 부재(31) 쪽을, 제2링 부재(32)보다 개폐 속도가 빨라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링(3)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의 링 개폐 방향의 이동량(개방 거리)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링 부재(31)의 이동량을 제2링 부재(32)의 이동량보다 크게 하면, 링(3)의 개방 부분(K)이 제2링 부재(32) 쪽에 치우쳐 있어도, 그 링(3)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된다.
또, 링(3)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의 링 개폐 동작의 타이밍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양 링 부재 중 이동량이 많은 링 부재(31)가 이동을 시작하는 타이밍을, 이동량이 적은 링 부재(32)가 이동을 시작하는 타이밍보다 빨리 이동시키도록 하면,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된다.
링의 개폐 속도나,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의 링 개폐 방향의 이동량(개방 거리),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의 링 개폐 동작의 타이밍 등은 기본적으로는 후술하는 캠 부재(44)(도 11, 도 12 참조)에 의해 설정된다.
전환 레버(4)는 베이스부(2)에 힌지 결합된 기단부(41)와, 조작용의 자유단(42)을 가지고, 기단부(41)에는 자유단(42)의 회전운동 위치에 의해 각 링(3)의 개폐도 및 개폐 속도를 조정하는 제1캠부(431), 제2캠부(432)를 포함하는 캠 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환 레버(4)의 조작만으로 각 링(3)의 개폐도 및 개폐 속도를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환 레버(4)의 조작 각도와 링(3)의 개폐 각도의 관계를 조정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링에도 대응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전환 레버(4) 자체는 휨 가공한 금속봉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기단부(41)에는 캠 부재(44)가 고정된다. 그 캠 부재(44)에 제1캠부(431), 제2캠부(432)가 형성되어 있다. 캠 부재(44)는 내마모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캠 부재(44)에는 힌지 핀(hinge pin)(26)을 통과시키는 축홀(shaft hole)(4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환 레버(4)의 기단부에 고정된 캠 부재(44)가 힌지 핀(26)을 개재하여 베어링부(23)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 캠 부재(44)에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힌지 핀(26)을 통과시키는 축홀(45) 외에 끼워맞춤 공간(fit space)(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공간(46)에는 도 13에 나타내듯이, 전환 레버(4)의 기단부에 설치된 끼워맞춤 핀(fitting pin)(47)이 긴밀히 삽입된다. 이 끼워맞춤 공간(46)과 끼워맞춤 핀(47) 의 상호 작용에 의해, 캠 부재(44)를 전환 레버의 기단부에 확실하고 강고한 위치 결정 상태로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끼워맞춤 핀(47)은 전환 레버(4)의 기단에 설치한 구멍에 코킹 가공(caulking process)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링(3, 3)을 형성하는 각 링 부재 중 2개의 제1링 부재(31, 31)와 2개의 제2링 부재(32, 32)는, 각각 하나의 금속선을 휨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제1링 부재(31, 31)의 연속부(311)와, 2개의 제2링 부재(32, 32)의 연속부(321)가 지지 부재를 겸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속부(311, 321)에는 베이스 본체(21) 위의 중앙부에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평행하게 뻗어 있는 누름부(312, 3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링 부재(31, 31)끼리의 연속부(311)에는, 제1링 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점(supporting point) 부분(313)이 간격을 두어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점 부분(313)은 베이스 본체(21)의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된 굴곡부(2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또, 제2링 부재(32, 32)끼리의 연속부(321)에는, 제2링 부재(32)의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점 부분(323)이 간격을 두어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점 부분(323)은 베이스 본체(21)의 폭 방향 타측에 형성된 굴곡부(2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누름부(312, 322)의 바로 위에는 전환 레버(4)의 기단측에 고정된 캠 부재(4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누름부(312)에 대해서 제1캠부(431)가 상대 배치되고, 누름부(322)에 대해서 제2캠부(432)가 상대 배치되어 있다.
캠 부재(44)의 캠면(제1캠부(431), 제2캠부(432))의 윤곽(profile)은 전환 레버(4)의 자유단(42)이 도시와 같이 폐 위치(closed position)에 있을 때 누름부(312, 322)를 최대한으로 눌러내려 전환 레버(4)가 링(3)에 부딪치기 전에 양 누름부의 눌러내림량을 서서히 줄여 링(3)의 개방 동작을 개시시키고, 전환 레버(4)가 링(3)의 개방 부분을 통과한 시점에서 양 누름부의 눌러내림을 개방할 수가 있는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캠 부재(44)는 이하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 부재(44)는 도 1, 도 2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내마모성의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 제1캠부(431)와 제2캠부(4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캠부(431)의 윤곽은 누름용의 기준 평탄면(1a)과, 그 기준 평탄면(1a)으로부터 경계면(1b)을 개재하여 90°가까이 굴곡된 평탄면(1c)과, 그 평탄면(1c)에 연속하여 축홀(45)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원형 캠면(1d)을 가지는 형상이다.
제2캠부(432)의 윤곽도 누름용의 기준 평탄면(2a)과, 그 기준 평탄면(2a)으로부터 경계면(2b)를 개재하여 굴곡된 평탄면(2c)과, 그 평탄면(2c)에 연속하여 축홀(45)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원형 캠면(2d)을 가지는 형상이다. 단, 다음의 점에서 제1캠부(431)의 윤곽과 상위하다.
기준 평탄면(2a)은 제1캠부(431)의 기준 평탄면(1a)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고, 경계면(2b)도 제1캠부(431)의 경계면(1b)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원형 캠면(2d)은 제1캠부(431)의 원형 캠면(1d)보다 큰 직경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탄면(2c)은 큰 직경의 원형 캠면(2d)으로부터 경계면(2b)을 향해 뻗어 있고, 제1캠부(431)의 평탄면(1c)에 비해 외측으로 부풀어 오 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레버(4)의 자유단(42)이 도 1에 나타내는 링(3)의 폐 위치에 있을 때, 기준 평탄면(1a, 2a)이 링(3)의 누름부(312, 322)를 모두 최대한으로 눌러내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전환 레버(4)를 회전운동시키고, 누름부에 대한 캠면의 접촉 상태가 경계면(1b, 2b)을 넘어간 시점에서,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의 개폐 속도가 다르고, 제1링 부재(31)가 제2링 부재(32)보다 빠르게 개방 이동하도록 된다. 이것은 평탄면(1c)이 평탄면(2c)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축홀(45)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환 레버(4)가 링(3)에 부딪치기 전에 양 누름부의 눌러내림량을 서서히 줄여 링(3)의 개방 동작을 개시시키고, 누름부에 대한 캠면의 접촉 상태가 원형 캠면(1d, 2d)에 각각 이른 시점에서,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의 개방 상태가 최대가 된다. 이때, 전환 레버(4)가 개방 부분(K)을 통과 가능하게 된다. 전환 레버(4)가 링(3)의 개방 부분을 통과한 시점에서, 누름부에 대한 캠면의 접촉 상태가 원형 캠면(1d, 2d)의 영역에 이른다. 이 영역에서는, 원형 캠면(1d, 2d)은 모두 축홀(45)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이므로, 도 2에 나타내듯이 링(3)의 개방 부분(K)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링(3)을 닫는 동작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과 역의 동작으로 된다.
이와 같이, 전환 레버(4)를 회전운동시키면, 캠 부재(44)에서 직접 누름부(312, 322)를 눌러내리거나 눌러내림을 개방하거나 할 수가 있다. 그때, 제1링 부재(31)의 개폐 속도가 제2링 부재(32)의 개폐 속도보다 빨라진다.
누름부의 눌러내림을 개방했을 때에 원래의 링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2)의 베이스 본체(21)와 누름부(312, 322)의 사이에는 평판 형상의 탄성체(판 스프링)(55, 55)가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55)은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본체(21) 위에 위치 결정되는 일단부(56)를 가진다. 판 스프링(55)은 일단부(56)로부터 베이스 본체(21)의 중앙부를 향해 일어서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링 부재(31, 32)의 단부끼리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누름부(312, 322)에 각각 힘을 가할 수가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환 레버(4)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링(3, 3)을 폐링 자세 및 개링 자세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링(3, 3)이 개링 자세에 있을 때, 링(3, 3)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링(3)이 개링 자세에 있을 때에도 전환 레버(4)의 자유단(42)을, 도 8에 나타내듯이 링(3)의 외측으로 통과시켜 대피 상태로 해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서류 등을 뽑고 끼우고 하는 작업시에 있어서도 전환 레버(4)가 방해가 되는 위치에 오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수를 줄일 수가 있는 점, 저단가로 제작할 수 있는 점 등에서 우수하다.
또한, 제1링 부재(31)와 제2링 부재(32)의 개폐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대신하여, 상호의 개폐 동작의 타이밍을 대신하는 방법으로서 제1캠부(431)의 경계면(1b)과, 제2캠부(432)의 경계면(2b)의 설정 위치를 바꾸는 방법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경계면(1b)을 경계면(2b)보다 낮게 형성하는 방법, 혹은 경계면(1b)을 기 준 평탄면(1a) 쪽에 형성하는 방법 등이 생각된다.
어느 것으로 해도, 제1링 부재(31)의 링 개폐 방향의 이동량을 제2링 부재(32)의 이동량보다 크게 하면, 링의 개방 부분(K)이 제2링 부재(32) 쪽에 치우쳐 있어도, 그 링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제2의 실시 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이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한다.
이 실시 형태의 바인더도 베이스부(베이스 플레이트)(2)와, 베이스부(2)에 그 긴 방향(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된 2개의 링(3, 3)과, 전환 레버(4)를 포함하는 전환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링(3)은 서류 등을 철해 넣는 폐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 폐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링 자세로 변화할 수가 있다.
전환 기구(5)는 베이스부(2)에 설치되고, 링(3, 3)을 그 폐링 자세와 개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2)에 요동 가능(회전운동 가능)에 장착된 전환 레버(4)를 포함한다. 그리고, 링(3, 3)이 개링 자세에 있을 때, 링(3, 3)의 개방 부분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제2실시 형태에서는, 전환 기구(5)는 베이스부(2) 위에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이 베이스부(2)의 긴 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 경사 가능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지지 부재(7, 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방의 지지 부재(7)에 제1 링 부재(31)가 지지되고, 타방의 지지 부재(8)에 제2링 부재(32)가 각각 지지되어 있다. 양 지지 부재(7, 8)와 베이스부(2)(베이스 본체(21))의 사이에는, 링 부재(31, 32)의 단부끼리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지지 부재(7, 8)에 힘을 가하는 탄성체(55)(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7, 8)는 베이스 본체(21)에 설치된 잘라 일으킴에 의한 힌지부(7a, 8a)에 의해 측방으로 경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7, 8)에는 잘라 일으킴에 의한 융기부(일방만 도시)(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융기부(9) 중 지지 부재(7)의 융기부(9)가 제1캠부(43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지지 부재(8)의 융기부(9)가 제2캠부(43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캠 부재(44)에서 지지 부재(7, 8)가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2개의 지지 부재(7, 8)를 작동시켜 링을 폐링 자세 및 개링 자세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7, 8)를 이용함으로써 비틀림 강성(stiffness in torsion)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서류 등을 철하는 시트 폴더(sheet folder)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서류 등을 철해 넣는 폐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 폐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링 자세로 변화할 수 있는 링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폐링 자세와 개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링은 단부끼리의 접촉 또는 이간에 의해 개링 자세 또는 폐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를 가지고,
    상기 링의 개방 부분은 상기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의 다른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 위로서 베이스부의 짧은 방향 중앙부로부터 그 짧은 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링이 폐링 자세에 있는 상태로부터 당해 전환 레버가 회전운동되면, 상기 제1링 부재와 상기 제2링 부재가 열려 상기 개방 부분이 형성되고, 당해 전환 레버가 당해 개방 부분을 통과하여 대피 상태에 이르고,
    상기 링은 베이스부의 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2개 설치되고, 양 링을 각각 형성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 중 2개의 제1링 부재와 2개의 제2링 부재는 각각 하나의 금속선의 휨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제1링 부재끼리의 연속부 및 제2링 부재끼리의 연속부에는, 베이스 본체의 중앙부에서 서로 근접하여 평행한 누름부와,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점 부분이 각각 형성되고, 각 지지점 부분이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전환 레버의 캠부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서류 등의 바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 부재와 제2링 부재의 링 개폐 방향의 이동량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바인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개폐 속도가 상기 제1링 부재와 제2링 부재에서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바인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 부재와 제2링 부재의 링 개폐 동작의 타이밍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바인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레버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된 기단부와, 조작용의 자유단을 가지고, 상기 기단부에는 자유단의 회전운동 위치에 의해 링의 개폐도를 조정하는 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바인더.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베이스 본체와, 베이스 본체로부터 일어서 있는 베어링부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전환 레버의 힌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바인더.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누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링 부재의 단부끼리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누름부에 힘을 가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바인더.
  9.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서류 등을 철해 넣는 폐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 폐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링 자세로 변화할 수 있는 링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폐링 자세와 개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링은 단부끼리의 접촉 또는 이간에 의해 개링 자세 또는 폐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를 가지고,
    상기 링의 개방 부분은 상기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의 다른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 위로서 베이스부의 짧은 방향 중앙부로부터 그 짧은 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링이 폐링 자세에 있는 상태로부터 당해 전환 레버가 회전운동되면, 상기 제1링 부재와 상기 제2링 부재가 열려 상기 개방 부분이 형성되고, 당해 전환 레버가 당해 개방 부분을 통과하여 대피 상태에 이르고,
    또한,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 위에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이 베이스부의 긴 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 경사 가능한 2개의 지지 부재를 가지고, 일방의 지지 부재에 상기 제1링 부재가 지지되고, 타방의 지지 부재에 상기 제2링 부재가 지지되고, 상기 양 지지 부재와 베이스부의 사이에는, 링 부재의 단부끼리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하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서류 등의 바인더.
  10.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서류 등을 철해 넣는 폐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 폐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링 자세로 변화할 수 있는 링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폐링 자세와 개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링은 단부끼리의 접촉 또는 이간에 의해 개링 자세 또는 폐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를 가지고,
    상기 링의 개방 부분은 상기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의 다른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 위로서 베이스부의 짧은 방향 중앙부로부터 그 짧은 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링이 폐링 자세에 있는 상태로부터 당해 전환 레버가 회전운동되면, 상기 제1링 부재와 상기 제2링 부재가 열려 상기 개방 부분이 형성되고, 당해 전환 레버가 당해 개방 부분을 통과하여 대피 상태에 이르고,
    상기 전환 레버는 상기 개방 부분을 통과하여, 당해 링이 폐링 자세에 있을 때의 당해 전환 레버의 위치와 당해 링을 사이에 두어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대피 상태에 이르는 서류 등의 바인더.
  1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서류 등을 철해 넣는 폐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 폐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링 자세로 변화할 수 있는 링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폐링 자세와 개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링은 단부끼리의 접촉 또는 이간에 의해 개링 자세 또는 폐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를 가지고,
    상기 링의 개방 부분은 상기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의 다른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 위로서 베이스부의 짧은 방향 중앙부로부터 그 짧은 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링이 폐링 자세에 있는 상태로부터 당해 전환 레버가 회전운동되면, 상기 제1링 부재와 상기 제2링 부재가 열려 상기 개방 부분이 형성되고, 당해 전환 레버가 당해 개방 부분을 통과하여 대피 상태에 이르고,
    상기 링은 상기 베이스부의 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배치되고,
    상기 전환 레버는 상기 복수의 링의 외측의 위치에 있어서 당해 링을 폐링 자세로 보유하는 폐링 보유 상태와, 당해 링이 개링 자세에 있을 때 당해 링의 개방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폐링 보유 상태의 당해 전환 레버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링을 사이에 두어 반대측의 당해 복수의 링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대피 상태를 취하는 서류 등의 바인더.
KR1020077014410A 2004-12-27 2005-01-25 서류 등의 바인더 KR100899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7294 2004-12-27
JP2004377294A JP3955868B2 (ja) 2004-12-27 2004-12-27 書類等の綴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996A KR20070073996A (ko) 2007-07-10
KR100899267B1 true KR100899267B1 (ko) 2009-05-26

Family

ID=3661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410A KR100899267B1 (ko) 2004-12-27 2005-01-25 서류 등의 바인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226383A1 (ko)
EP (1) EP1834809B1 (ko)
JP (1) JP3955868B2 (ko)
KR (1) KR100899267B1 (ko)
CN (1) CN100534808C (ko)
HK (1) HK1111386A1 (ko)
IL (1) IL184137A (ko)
TW (1) TW200621530A (ko)
WO (1) WO2006070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2966B1 (en) * 2005-03-25 2013-05-15 Lihit Lab., Inc. Binding fastener for files, binders, and others of that kind
JP4988309B2 (ja) * 2006-11-13 2012-08-01 株式会社キングジム 綴具
JP5097978B2 (ja) 2007-09-04 2012-12-12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ファイル
JP5097977B2 (ja) 2007-09-04 2012-12-12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ファイル
JP5461291B2 (ja) * 2010-04-27 2014-04-02 株式会社キングジム 軸受けへの部材取付機構、カムへの部材取付機構及び綴じ具
JP5528895B2 (ja) * 2010-04-27 2014-06-25 株式会社キングジム 綴じ具
USD792515S1 (en) * 2016-04-18 2017-07-18 Fujian Zhongde Stationery Co., Ltd. Ring bin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79911B (de) 1955-08-22 1964-10-22 Leitz Fa Louis Aufreilhvorrichtung fuer Briefordner
JPS5724077U (ko) * 1980-07-18 1982-02-08
US4830528A (en) 1988-09-01 1989-05-16 Anthony Handler Closure mechanism for a loose-leaf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7656C (de) 1926-04-10 Mueller Friedrich Briefordnermechanik mit in der Mitte geteilten Aufreihbuegeln, deren beide Teile aufder Grundplatte schwingbar gelagert sind
GB296649A (en) * 1928-04-04 1928-09-06 Georg Schaefer Improvements in loose-leaf binders
US2030473A (en) * 1935-02-12 1936-02-11 Nat Blank Book Co Loose leaf book
NL87245C (ko) * 1953-05-20
US3400197A (en) * 1965-01-26 1968-09-03 Robins Co Inc A H Compressible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tablet lipid-colloidal silica gel matrix fragment granules
DE3133845A1 (de) * 1981-08-27 1983-03-17 Robert Krause Kg, 4992 Espelkamp Ringmechanik
FI82216C (fi) * 1985-06-03 1991-02-11 H J Horn Tillslutningsmekanism foer paermar.
US4885282A (en) * 1987-07-02 1989-12-05 Thornfeldt Carl R Treatment of hyperhidrosis, ichthyosis and wrinkling
CH675706A5 (en) * 1988-09-16 1990-10-31 Christian Wuethrich Document file sheet locking mechanism - has actuator for both ring stirrups for perforated sheets
EP0442845A1 (de) * 1990-02-16 1991-08-21 Biella-Neher Ag Verschlussmechanik fÀ¼r Aktenordner
US5645854A (en) * 1993-06-23 1997-07-08 Masiz; John J. Molecular transdermal transport system
DE4343264A1 (de) * 1993-12-17 1995-06-22 Henkel Kgaa Deodorierende Zubereitungen
DE19646467A1 (de) 1996-06-18 1998-01-02 Elvira Ahrens Zwei-Stufen-Mechanik für Ordner
GB9618426D0 (en) * 1996-09-04 1996-10-16 Unilever Plc Underarm compositions
DE59904648D1 (de) * 1998-08-04 2003-04-24 Jago Res Ag Muttenz Medizinische aerosolformulierungen
US5962505A (en) * 1998-08-31 1999-10-05 Bobrove; Arthur M. Method for treating hot flashes in humans
CZ303154B6 (cs) * 1998-11-13 2012-05-09 Jagotec Ag Suchá prášková formulace k inhalaci obsahující stearát horecnatý
DE19856555A1 (de) * 1998-12-08 2000-06-15 Cognis Deutschland Gmbh Ölbäder
TWI262930B (en) * 1999-02-10 2006-10-01 Mitsui Chemicals Inc High-durability flexible polyurethane cold molded foa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19919481A1 (de) * 1999-04-29 2000-11-02 Beiersdorf Ag Stabile, gegen unreine Haut und gegen Akne wirksame Wirkstoffkombinationen mit einem Gehalt an grenzflächenaktiven Glucosederivaten und Hydroxycarbonsäuren
FR2804016B1 (fr) * 2000-01-21 2006-07-28 Oreal Nanoemulsion contenant des lipides amphiphiles et un ester de peg et utilisations
DE10005556A1 (de) * 2000-02-09 2001-08-23 Cognis Deutschland Gmbh Hochviskose Mikroemulsionen
DE10014529A1 (de) * 2000-03-23 2001-09-27 Cognis Deutschland Gmbh Desodorierende Zubereitungen mit nanoskaligen Chitosanen und/oder Chitosanderivaten
CA2461696A1 (en) * 2001-09-26 2003-04-03 Alison B. Lukacsko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eccrine perspiration in humans
DE10149362A1 (de) * 2001-10-06 2003-04-30 Beiersdorf Ag Antitranspirantprodukt auf Basis von Mikroemulsionen
DE10206759A1 (de) * 2002-02-19 2003-08-28 Dragoco Gerberding Co Ag Synergistische Mischungen von 1,2-Alkandiolen
CA2384922C (en) * 2002-05-03 2008-09-02 Purepharm Inc. Topical glycopyrrolate product for the reduction of sweating
CA2522351A1 (en) * 2003-04-18 2004-11-04 Lighthouse Innovation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body malodor and fungal overgrowth in mamm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79911B (de) 1955-08-22 1964-10-22 Leitz Fa Louis Aufreilhvorrichtung fuer Briefordner
JPS5724077U (ko) * 1980-07-18 1982-02-08
US4830528A (en) 1988-09-01 1989-05-16 Anthony Handler Closure mechanism for a loose-leaf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996A (ko) 2007-07-10
CN101090832A (zh) 2007-12-19
EP1834809A4 (en) 2011-08-03
JP2006181846A (ja) 2006-07-13
JP3955868B2 (ja) 2007-08-08
IL184137A (en) 2010-11-30
WO2006070485A1 (ja) 2006-07-06
TW200621530A (en) 2006-07-01
IL184137A0 (en) 2007-10-31
CN100534808C (zh) 2009-09-02
US20080226383A1 (en) 2008-09-18
TWI325828B (ko) 2010-06-11
EP1834809A1 (en) 2007-09-19
EP1834809B1 (en) 2014-01-15
HK1111386A1 (en) 200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267B1 (ko) 서류 등의 바인더
EP1795367B1 (en) Binding tool for documents
US20090110469A1 (en) Ring binder mechanism
AU2008203493A1 (en) Ring binder mechanism with polymeric housing and travel bar
GB2292343A (en) Ring binding tool
EP1741566B1 (en) Binder for document
WO2007070180A1 (en) Ring binder mechanism
JP2007216695A (ja) 書類等の綴じ具
US20050260029A1 (en) Lever arch binder mechanism with complementary ring tips
EP1384598A1 (en) Fastener
US7241067B2 (en) Ring mechanism having blunt ends
JP2006181846A5 (ko)
EP2006117A1 (en) A lever-arch type file mechanism
JP2017222101A (ja) 綴じ具
MX2008006715A (es) Un mecanismo para archivero tipo palanca-arco.
KR100786676B1 (ko) 서류의 바인더
EP0941870A2 (en) Transverse button compression bar
MX2007012641A (es) Mecanismo para archivero tipo palanca-arco.
JP2008168616A (ja) レバー・アーチ型ファイル機構
JP2017222100A (ja) 綴じ具
JP4920759B2 (ja) 書類等の綴じ具
EP2186647A1 (en) Binder, and file
JP2010173329A (ja) 書類等の綴じ具
HUT72857A (en) Mechanism for loose leaf binders
WO2011017928A1 (en) Paper-retain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