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357B1 -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357B1
KR100897357B1 KR1020020030055A KR20020030055A KR100897357B1 KR 100897357 B1 KR100897357 B1 KR 100897357B1 KR 1020020030055 A KR1020020030055 A KR 1020020030055A KR 20020030055 A KR20020030055 A KR 20020030055A KR 100897357 B1 KR100897357 B1 KR 10089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pper plate
long side
side copp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409A (ko
Inventor
박병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0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3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3Means for oscillat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6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mould osc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5Cooling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편을 생산하는 주형의 내측 표면에 용강이 융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형이 설치된 테이퍼 각을 따라 진동시켜 주편의 표면에 오실레이션 마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편(S)을 생산하는 연주기의 주형(M)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형(M)에 설치된 주형 프레임(201)의 내측에 설치된 한 쌍의 장변 동판(101)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00)와, 상기 가이드부(100)가 소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가이드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와, 상기 장변 동판(101)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부(100)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부(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주형, 오실레이션, 장변 동판, 편심블럭, 주편, 응고셀

Description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Mold oscillation apparatus of continuous caster}
도 1은 일반적인 연주기의 주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연주기 주형의 진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의 주형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가 연주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주형 S : 주편
100 : 가이드부 101 : 장변 동판
102 : 워커재킷 102a : 가이드홈
103 : 지지블럭 103a : 가이드
103 : 지지블럭 104 : 안착블럭
200 : 지지부 201 : 주형 프레임
202 : 하우징 203 : 압축 스프링
204 : 조절볼트 205 : 피스톤
206 : 로드 207 : 턴버클
208 : 나사축 300 : 진동부
300 : 진동부 301 : 진동모터
302 : 감속기 302a : 회전축
303 : 동심블럭 304 : 편심블럭
본 발명은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편을 생산하는 주형의 내측 표면에 용강이 융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형이 설치된 테이퍼 각을 따라 진동시켜 주편의 표면에 오실레이션 마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턴디쉬에 담겨진 용융 상태의 용강을 이용하여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주편으로 생산할 때에는 연주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연주기에 설치된 주형은 용강을 소정의 형상을 갖는 주편으로 생산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형은 용강이 융착되지 않도록 진동을 시키고 있다.
상기 주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장변 동판(1)과 그 장변 동판(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단변 동판(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변 동판(1)의 외측면에는 그 장변 동판(1)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소정각도가 유 지되도록 고정시키는 주형 프레임(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변 동판(1)의 양 단부에는 그 장변 동판(1)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클램프 실린더(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클램프 실린더(4)의 로드(4a)에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턴버클(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형(M)의 하부에는 그 주형(M)을 고정하는 고정블럭(6)과 상기 주형(M)을 진동시키는 편심블럭(7)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편심블럭(7)의 일측에는 오실레이션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실레이션부(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형(M)을 오실레이션 시키기 위한 오실레이션 스프링(11)이 스프링 튜브(12)의 내부에 내장되고, 그 스프링 튜브(12)의 상단에는 오실레이션 스프링(1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 커버(1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튜브(12)는 스프링 베이스(14)의 상면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주편(S)을 생산할 때에는 주형의 상부에 용강을 공급하면 그 용강은 주형(M)을 통과하면서 응고되어 주편(S)으로 생산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주형을 진동시키고 있다.
상기 주형(M)을 진동시킬 때에는 진동모터(8)를 구동시키면 그 진동모터(8)의 회전력은 감속기(9)에서 감속되어 회전축(9a)으로 출력되는 것이고, 그 회전축(9a)이 회전됨에 따라서 편심블럭(7)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주형(M)을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형(M)이 진동을 하게 되면 그 진동은 오실레이션부(10)로 전달되는 것이며 상기 오실레이션부(10)의 오실레이션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서 주형(M)이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오실레이션 스프링(11)은 스프링 튜브(12)의 내부에 내장되고 그 스프링 튜브(12)의 상단에는 스프링 커버(1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형이 진동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형이 하부로 하강하게 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실레이션 스프링(11)이 압축되면서 주형 프레임(3), 장변 동판(1) 및 단변 동판(2)이 함께 하강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변 동판(1)은 주편(S)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주형이 상부로 상승하게 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실레이션 스프링(11)이 팽창되면서 주형 프레임(3), 장변 동판(1) 및 단변 동판(2)이 함께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변 동판(1)은 주편(S)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므로 그 주편(S)의 응고셀(S')에는 장변 동판(1)의 하단부가 접촉됨에 의해서 마크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형의 하부로 주편(S)이 배출될 때에는 주형이 연속적으로 진동하게 되므로 주편(S)의 표면에는 오실레이션 마크가 발생되어 품질결함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형이 진동을 할 때 주편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장변 동판 및 단변 동판이 경사각을 따 라서 진동하도록 하여 주편의 표면에 오실레이션 마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는 주편을 생산하는 연주기의 주형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형에 설치된 주형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한 쌍의 장변 동판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소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장변 동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의 주형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가 연주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형 프레임(201)의 내측에 설치된 한 쌍의 장변 동판(101)이 상/하로 이동될 때 그 장변 동판(101)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00)와, 상기 가이드부(100)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는 한 쌍의 장변 동판(101)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00)와, 상기 장변 동판(101)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진동모터(301)의 회전력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장변 동판(101)으로 전달하는 진동부(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가이드부(1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변 동판(101)을 냉각시키는 워터재킷(102)의 외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이드홈(10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변 동판(101)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지지블럭(103)에는 가이드홈(102a)에 삽입되어 장변 동판(10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03a)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블럭(103)의 하부에는 장변 동판(10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블럭(104)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0)는 주형 프레임(201)의 일면에 하우징(202)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우징(202)의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203)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02)의 일단에는 내부에 내장된 압축 스프링(203)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204)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타측 내부에는 피스톤(205)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피스톤(205)에는 로드(20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로드(206)는 주형 프레임(201)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로드(206)의 선단부에는 턴버클(207)을 매개로 나사축(208)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나사축(208)은 지지블럭(103)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3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301)가 구비되고, 그 진동모터(301)에는 회전력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30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302)의 회전축(302a)에는 동심블럭(303)과 편심블럭(304)이 각각 끼워져 있다. 상기 동심블럭(303)은 지지블럭(103)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편심블럭(304)은 회전축(302a)의 회전력으로 장변 동판(101)을 상/하로 운동시키도록 장변 동판(101)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강이 공급되는 주형(M)의 내측 공간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되도록 장변 동판(101)을 소정의 경사각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지지부(200)에 설치된 턴버클(207)을 이용하여 지지블럭(103)의 상측에 설치된 나사축(208)은 외측으로 당기고 하측에 설치된 나사축(208)은 내측으로 밀면서 상기 장변 동판(101)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턴버클(207)이 설치된 로드(206)에는 하우징(202)에 내장된 압축 스프링(203)의 탄성력이 피스톤(205)을 통해서 전달되는 것이며 상기 압축 스프링(203)의 복원력은 하우징(202)의 일단에 결합된 조절볼트(204)를 조작하면 지지블럭(103)에 전달되는 압축 스프링(203)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변 동판(101)이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되도록 조절된 후 주형(M)의 내부에 용강을 공급함과 동시에 진동모터(301)를 구동시키면 그 진동모터(301)의 회전력은 감속기(302)에서 감속되어 회전축(302a)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302a)이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축(302a)에 끼워진 동심블럭(303)은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동심블럭(303)의 상측에 설치된 지지 블럭(103)은 유동되지 않는 것이며 편심블럭(304)에 설치된 장변 동판(101)과 워터재킷(102)은 편심블럭(304)의 편심량에 따라서 상/하로 반복적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장변 동판(101)이 상/하로 이동될 때에는 그 장변 동판(101)에 형성된 가이드홈(102a)에 지지블럭(103)에 형성된 가이드(103a)가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장변 동판(101)은 가이드(103a)에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장변 동판(101)이 이동하는 방향은 도 8에 나타낸 화살표와 같이 경사각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변 동판(101)이 경사각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그 장변 동판(101)의 사이로 배출되는 주편(S)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 주편(S) 표면의 응고셀(S')에 오실레이션 마크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변 동판(101)이 상/하로 이동될 때 지지블럭(103)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하우징(202)의 내부에 내장된 압축 스프링(203)에 의해서 완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형에 공급된 용강이 융착되지 않도록 주형을 진동시킬 때 지지블럭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내측면에 설치된 장변 동판이 경사각을 따라서 상/하로 진동되어 상기 장변 동판의 하단부와 주편의 표면이 간섭되지 않게되므로 주편의 품질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주편(S)을 생산하는 연주기의 주형(M)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형(M)에 설치된 주형 프레임(201)의 내측에 설치된 한 쌍의 장변 동판(101)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00)와, 상기 가이드부(100)가 소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가이드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와, 상기 장변 동판(101)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부(100)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100)는 장변 동판(101)을 냉각시키는 워터재킷(102)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02a)과, 상기 가이드홈(102a)에 삽입되도록 내측에 가이드(103a)가 돌출 형성된 지지블럭(103)과, 상기 장변 동판(101)을 냉각시키는 워터재킷(102)이 안착되도록 지지블럭(103)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안착블럭(10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주형 프레임(201)의 일면에 설치되는 하우징(202)이 마련되고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203)이 내장되며, 일단에는 압축 스프링(203)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204)가 나사 결합되고, 타측 내부에는 피스톤(205)이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205)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주형 프레임(201)을 관통하여 돌출된 로드(206)와, 상기 로드(206)의 선단부와 지지블럭(103)에 설치된 나사축(208)을 연결하는 턴버클(20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300)는 진동모터(301)의 회전력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302)가 마련되고, 그 감속기(302)의 회전축(302a)에는 동심블럭(303)과 편심블럭(304)이 각각 끼워지며, 상기 동심블럭(303)은 지지블럭(103)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편심블럭(304)은 회전축(302a)의 회전력으로 장변 동판(101)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장변 동판(101)에 설치되며 상기 장변 동판(101)의 하부에는 오실레이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KR1020020030055A 2002-05-29 2002-05-29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KR10089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55A KR100897357B1 (ko) 2002-05-29 2002-05-29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55A KR100897357B1 (ko) 2002-05-29 2002-05-29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409A KR20030092409A (ko) 2003-12-06
KR100897357B1 true KR100897357B1 (ko) 2009-05-15

Family

ID=3238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055A KR100897357B1 (ko) 2002-05-29 2002-05-29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1610B (zh) * 2021-04-30 2022-09-23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弧形振动薄带连铸方法及薄带连铸连轧生产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131A (ko) * 1999-12-24 2001-07-05 신현준 연주기 주형진동기의 레버형 유압진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131A (ko) * 1999-12-24 2001-07-05 신현준 연주기 주형진동기의 레버형 유압진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409A (ko) 200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879B1 (ko) 쌍드럼식 연속주조장치
KR100897357B1 (ko)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JPS607878Y2 (ja) ストランド鋳造鋳型用の振動装置
KR101433452B1 (ko)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JP2003532540A (ja) 金属、特に鋼材の連続鋳造をするための装置
JP3077043B2 (ja) 消失模型鋳造用振動装置
KR100416846B1 (ko) 연속주조용주형
JPH0623490A (ja) 連続鋳造設備の鋳型振動装置
KR101696049B1 (ko) 오실레이션 가이딩장치
KR100312135B1 (ko) 패키지형 주형진동 안내장치를 가지는 연속주조설비의 주형진동기
JP4763653B2 (ja) 金型鋳造製品の振動式分離装置
JPH08318351A (ja) 双ドラム式連鋳設備
JPH0360849A (ja) 薄板連続鋳造装置
JP2585434B2 (ja) 連続鋳造設備の鋳型振動装置
KR100435871B1 (ko) 스프링-롤러레일형 진동안내 장치를 가지는 유압식주형진동기
JP2003305546A (ja) 連続鋳造機の操業方法
US3552481A (en) Apparatus for removing gas from molten metal during continuous casting
KR101832729B1 (ko) 연속주조기 주형진동장치
KR19990029237U (ko) 유압식주형진동 안내장치를 가지는 연속주조설비의 주형진동기
SU7790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овани изделий из бетонных смесей
ES2093608T3 (es) Procedimiento e instalacion de presionado por vibraciones de la arena de un molde de fundicion.
JPS61266160A (ja) 薄板連続鋳造装置
JPS61176455A (ja) 水平連続鋳造設備の鋳片切断装置
KR100448917B1 (ko) 유압 주형진동기의 자동조심형 진동안내장치
JPH0417953A (ja) 連続鋳造用高周波振動鋳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