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157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157B1
KR100897157B1 KR1020080018312A KR20080018312A KR100897157B1 KR 100897157 B1 KR100897157 B1 KR 100897157B1 KR 1020080018312 A KR1020080018312 A KR 1020080018312A KR 20080018312 A KR20080018312 A KR 20080018312A KR 100897157 B1 KR100897157 B1 KR 10089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conductive
substrate
region
sea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157B1/ko
Priority to JP2008151620A priority patent/JP4859880B2/ja
Priority to US12/368,609 priority patent/US8049412B2/en
Priority to CN2009101180585A priority patent/CN101521221B/zh
Priority to EP09250595.7A priority patent/EP21059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10/82Electrodes
    • H10K10/84Ohmic electrodes, e.g. source or drai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실링제의 접합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일면에 화소부가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화소부를 포함한 상기 제1 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접착되어 상기 화소부를 밀봉하는 실링제와, 상기 실링제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되어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전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층은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하되 일 영역이 물리적으로 단선되어 이격된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의 경계면은 평면상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전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실링제의 접합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과 비교하여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은 각종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들 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유기 화합물을 발광재료로 사용하여 휘도 및 색순도가 특히 뛰어나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부와, 화소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화소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단, 유기 발광층은 수분 및 산소에 의해 쉽게 열화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통 상적으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부는 인캡 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즉, 화소부가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화소부가 형성되는 제1 기판과, 실링제에 의해 제1 기판에 접착되어 적어도 화소부를 밀봉하는 제2 기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기판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구동전원들 및/또는 구동신호들을 공급받기 위한 패드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화소부와 구동회로부 사이 및/또는 화소부와 패드부 사이에는 화소부로 구동전원들 및/또는 구동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배선들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화소부와 구동회로부 사이에는 주사신호 및/또는 데이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주사선들 및/또는 데이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화소부와 패드부 사이에는 화소부로 제1 및 제2 화소전원(ELVDD, ELVSS)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단, 이러한 구동전원들 및/또는 구동신호들은 도전배선들을 경유하는 동안 도전배선들의 저항으로 인해 전압강하(IR drop)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질이 불균일해지는 등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DC 전원 형태로 공급되는 화소전원(ELVDD, ELVSS)의 경우 도전배선을 경유하는 동안 전압강하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화소에는 전압레벨이 상이한 화소전원(ELVDD, ELVSS)이 공급될 수 있고, 이는 화질의 불균일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데드 스페이스 등이 감소되도록 패널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도전배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실링제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제의 접합력은 그 자체의 재료특성 뿐만 아니라 하부에 위치된 도전배선의 구성에 의해서도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제의 접합력이 균일해지도록 하부의 도전배선을 구성하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실링제의 접합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일면에 화소부가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화소부를 포함한 상기 제1 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접착되어 상기 화소부를 밀봉하는 실링제와, 상기 실링제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되어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전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층은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하되 일 영역이 물리적으로 단선되어 이격된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의 경계면은 평면상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층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의 경계면은 상기 요철 형상의 상부라인 및 하부라인 각각이 일직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홀은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층은 게이트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은 소스/드레인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층은 그 일 영역이 물리적으로 단선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도전층 및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도전층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배선은 상기 화소부로 화소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배선의 다른 영역은 상기 제2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의 하부에 균일하게 분산 배치된 컨택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일면에 화소부가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화소부를 포함한 상기 제1 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접착되어 상기 화소부를 밀봉하는 실링제와, 상기 실링제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도전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배선은, 다수의 컨택홀이 형성된 절연막 상에 형성된 도전층으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컨택홀은 상기 도전층의 하부에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두 도전층(제1 및 제2 도전층)으로 구성된 적층구조의 도전배선을 형성함에 의하여 도전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전배선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구동전원 및/또는 구동신호의 전압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화소전원을 공급하는 도전배선을 적층구조로 형성함에 의하여 균일한 화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적층구조의 도전배선을 이루는 제1 도전층의 일 영역을 물리적으로 단선시켜 안테나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전층이 물리적으로 단선되는 영역들 사이의 경계면을 분산시켜 도전배선 상부에 위치되는 실링제가 균일한 접합력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도전층 사이, 혹은 제2 도전층의 하부에 균일하게 분산배치된 컨택홀을 형성함으로써, 컨택홀 상부의 막과 실링제의 표면적을 넓히고 실링 공정에서 발생한 열을 분산시켜 실링제의 접합력을 균일하게 강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화소 부(110), 구동회로부(120) 및 패드부(130)가 형성된 제1 기판(100)과, 제1 기판(100)의 일 영역 상부에 배치된 제2 기판(200)과,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접착된 실링제(300)를 포함한다.
화소부(110)는 제1 기판(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다수의 화소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화소부(110)는 구동회로부(120) 및/또는 패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들 및/또는 구동신호들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구동회로부(120)는 패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들 및/또는 구동신호들에 대응하여 주사신호 및/또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화소부(11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구동회로부(120)는 주사구동부 및/또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회로부(120)는 화소부(110)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화소부(110)와 함께 형성되거나, 혹은 집적회로(IC) 칩의 형태로 제1 기판(100)에 실장될 수 있다.
패드부(130)는 외부로부터 구동전원들 및/또는 구동신호들을 공급받고, 이를 화소부(110) 및/또는 구동회로부(120)로 공급하는 다수의 패드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화소부(110)는 제2 기판(200)과 실링제(300)에 의해 밀봉되는 밀봉영역 내에 위치되고, 구동회로부(120) 및/또는 패드부(130)는 밀봉영역의 외부에 위치된다.
제2 기판(200)은 화소부(110)를 포함한 제1 기판(100)의 적어도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제1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 기판(200)은 실링제(300) 와 함께 적어도 화소부(110)를 포함한 제1 기판(100)의 일 영역을 밀봉한다.
실링제(300)는 제1 기판(100)을 향하는 제2 기판(200)의 일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접착시킨다. 즉, 실링제(300)는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에 접착되어, 이들 사이의 영역(특히, 화소부(110))을 밀봉한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화소부(110)와 구동회로부(120) 사이 및/또는 화소부(110)와 패드부(130) 사이에는 화소부(110)로 구동전원들 및/또는 구동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배선들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화소부(110)와 구동회로부(120) 사이에는 주사신호 및/또는 데이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주사선들 및/또는 데이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화소부(110)와 패드부(130)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화소부(110)로 제1 및 제2 화소전원(ELVDD, ELVSS)을 전달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도전배선들(140, 150)이 형성될 수 있다.
단, DC 전원 형태로 공급되는 화소전원(ELVDD, ELVSS)의 경우, 도전배선들(140, 150)의 저항으로 인해 전압강하(IR drop)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화소전원(ELVDD, ELVSS)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배선들(140, 150)의 폭은 다른 신호선들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화소전원(ELVDD, ELVSS)은 데이터신호와 더불어 화소들의 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화소전원(ELVDD, ELVSS)을 전달하는 도전배선들(140, 150)은 화소전원(ELVDD, ELVSS)의 전압강하가 최소화되도록 설계되어야 한 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1 화소전원(ELVDD)을 전달하는 제1 도전배선(140)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도전배선(140)은 그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은 물론, 화소부(1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도전배선(14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되어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도전층들의 적층구조로 형성되어 제1 화소전원(ELVDD)의 전압강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1 도전배선(140)은 적어도 일부가 실링제(300)와 중첩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개개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제1 및 제2 화소전원(ELVDD, ELVSS)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 도전배선(140, 150)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이 형성된 모기판 상에서, 동일한 행 및/또는 동일한 열에 위치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자신과 접속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로 화소전원(ELVDD, ELVSS)을 공급하는 원장배선들이 실링제(300)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장배선들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도전배선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편의상 도 2에서는 기판과 절연막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도전배선(140)의 적어도 일 영역(140_1)은 제1 도전층(140a)과, 제2 도전층(140b)의 적층구조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도전배선(140)의 적어도 일 영역(140_1)은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제1 도전층(140a)과, 절연막(141)을 사이에 두고 제1 도전층(140a)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제2 도전층(140b)을 포함한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전층(140a)은 기판(100) 상에 형성된 버퍼층 및/또는 게이트 절연막(101) 등의 상부에 형성되며, 화소부(110)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도전층(140a)은 게이트 금속, 예컨대,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몰리브덴(Mo) 등의 게이트 금속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큰 안테나 효과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도전층(140a)은 길게 설계하지 않고, 적어도 일 영역이 끊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제1 도전층(140a)은 동일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며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되, 적어도 일 영역이 물리적으로 단선되어 이격된 제1 및 제2 영역(140a1, 140a2)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이 이격된 공간, 즉, 제1 영역(140a1)과 제2 영역(140a2) 사이 에는 제1 도전층(140a)을 소정 형상의 패턴(140a3)으로 패터닝하여 배치한다. 이와 같은 패턴(140a3)은 전원 및/또는 신호를 전달하지는 않지만, 제1 도전층(140a)의 상부에 형성될 막들의 단차를 완화시킨다.
이와 같은 제1 도전층(140a) 상에는 층간 절연막 등의 절연막(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연막(141) 상에는 제2 도전층(140b)이 형성된다.
제2 도전층(140b)은 화소부(110)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도전층(140b)은 소스/드레인 금속, 예컨대, 티탄/알루미늄/티탄(Ti/Al/Ti)의 삼중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도전층(140b)은 제1 도전배선(140)이 형성되는 영역 내에서 그 일 영역이 물리적으로 단선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도전층(140b)은 제1 도전층(140a)이 물리적으로 단선되는 경계 부근(도 2의 'A' 영역)에 집중적으로 형성된 컨택홀(140c)에 의해 제1 도전층(14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1 도전층(140a)과 제2 도전층(140b) 사이에 형성된 절연막(141)에는 다수의 컨택홀(140c)이 형성되어, 제1 도전층(140a)과 제2 도전층(14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1 도전층(140a)의 제1 및 제2 영역(140a1, 140a2)은 컨택홀(140c) 및 제2 도전층(140b)을 통해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전배선(140)의 적어도 일 영역(140_1)을 제1 도전 층(140a)과 제2 도전층(140b)의 적층구조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함에 의하여, 제1 도전배선(140)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도전배선(140)을 통해 공급되는 구동전원 및/또는 구동신호의 전압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제1 도전배선(140)을 통해 제1 화소전원(ELVDD)을 공급하는 경우, 화소들 사이의 휘도 편차를 방지하여 균일한 화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데드 스페이스가 감소되도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제1 도전배선(140)과 같은 배선들의 적어도 일부는 실링제(300)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제(300)는 제1 도전배선(140)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1 도전배선(140)과 완전히 중첩되도록 제1 도전배선(140)의 내측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도전층(140b)과 실링제(300)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보호막 등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배선(140)을 설계하는 경우, 제1 도전배선(140)의 상부에 형성된 실링제(300)의 접합력이 불균일해질 수 있다.
즉, 컨택홀(140c)이 국부적으로 집중된 부분은, 그 상부가 평탄하게 형성되지 않아 컨택홀(140c) 상부막(예컨대, 제2 도전층(140b))과 실링제(300)가 접촉되는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컨택홀(140c) 상부막과 실링제(300)의 접합력은 향상되는 반면, 그 외의 부분의 접합력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컨택홀(140c)이 집중된 부분에서는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실링제(300)를 용융시키는 단계에서 발생한 열에너지가 하부의 제1 도전층(140a)으로 분산되어 제2 도전층(140b)의 부피팽창을 감소시키는 반면, 그 외의 부분의 열에너지는 잘 분산되지 않아 이들 사이의 접합력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접합력이 약한 부분에서 실링제(300)가 박리에 취약해질 수 있다. 이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제시된 제1 도전배선(140)의 다른 적층구조를 통하여 실링제(300)의 접합력을 균일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도전배선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제1 도전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컨택홀 및 제2 도전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설명할 때, 도 2 내지 도 3과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도전배선(140)의 적어도 일 영역(140_2)은 제1 도전층(140a')과, 제2 도전층(140b')의 적층구조로 형성된다.
제1 도전층(140a')은 일 영역이 물리적으로 단선되어 이격된 제1 및 제2 영역(140a1', 140a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 영역(140a1', 140a2')의 경계면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요철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영역(140a1', 140a2') 사이의 경계면은 요철 형상의 상부라인 및 하부라인 각각이 일직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1 도전층(140a')이 물리적으로 단선되는 영역들(140a1', 140a2') 사이의 경계면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도전층(140a', 14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컨택홀(140c')을 제1 도전층(140a')과 제2 도전층(140b')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의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도전배선(140)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제1 도전층(140a')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테나 효과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실링제(300)가 균일한 접합력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도전층(140a')이 물리적으로 단선되는 영역들(140a1', 140a2') 사이의 경계면을 분산시키고 제1 및 제2 도전층(140a', 14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컨택홀(140c)을 균일하게 분산배치함에 의하여, 제1 도전배선(140) 상부에 위치되는 실링제(300)의 접합력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에서는 적층구조로 형성되는 제1 도전배선(140)의 적층영역(140_1, 140_2) 만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적층구조의 제1 도전배선(14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도전배선(140)은 단층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도전배선(140)의 일 영역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의 적층구조로 형성되고, 제1 도전배선(140)의 다른 일 영역은 단층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배선(140) 전체, 혹은 제1 도전배선(140)의 일부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층(140b")으로만 구성된 비적층영역(140_3) 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도, 제1 도전배선(140)의 상부에 형성된 실링제(300)가 균일한 접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제2 도전층(140b") 하부의 절연막(141)에는 컨택홀(140c")이 균일하게 분산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컨택홀(140c")의 하부에는 버퍼층 및/또는 게이트 절연막 등의 다른 절연막(101)이 형성되어, 제1 도전배선(140)으로 전달되는 제1 화소전원(ELVDD)의 전압레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도전배선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도전배선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제1 도전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컨택홀 및 제2 도전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1 도전배선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기판 110: 화소부
120: 구동회로부 130: 패드부
140, 150: 도전배선 140a, 140a': 제1 도전층
140b, 140b', 140b": 제1 도전층 140c, 140c', 140c": 컨택홀
200: 제2 기판 300: 실링제

Claims (9)

  1. 일면에 화소부가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화소부를 포함한 상기 제1 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접착되어 상기 화소부를 밀봉하는 실링제와,
    상기 실링제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되어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전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층은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하되 일 영역이 물리적으로 단선되어 이격된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의 경계면은 평면상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의 경계면은 상기 요철 형상의 상부라인 및 하부라인 각각이 일직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홀은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 전 반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게이트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은 소스/드레인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층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은 그 일 영역이 물리적으로 단선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도전층 및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도전층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배선은 상기 화소부로 화소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배선의 다른 영역은 상기 제2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의 하부에 균일하게 분산 배치된 컨택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일면에 화소부가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화소부를 포함한 상기 제1 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접착되어 상기 화소부를 밀봉하는 실링제와,
    상기 실링제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도전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배선은, 다수의 컨택홀이 형성된 절연막 상에 형성된 도전층으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홀은 상기 도전층의 하부에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080018312A 2008-02-28 2008-02-2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89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312A KR100897157B1 (ko) 2008-02-28 2008-02-2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08151620A JP4859880B2 (ja) 2008-02-28 2008-06-10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12/368,609 US8049412B2 (en) 2008-02-28 2009-02-1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2009101180585A CN101521221B (zh) 2008-02-28 2009-02-27 有机发光显示装置
EP09250595.7A EP2105964B1 (en) 2008-02-28 2009-03-02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312A KR100897157B1 (ko) 2008-02-28 2008-02-2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157B1 true KR100897157B1 (ko) 2009-05-14

Family

ID=4070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312A KR100897157B1 (ko) 2008-02-28 2008-02-2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49412B2 (ko)
EP (1) EP2105964B1 (ko)
JP (1) JP4859880B2 (ko)
KR (1) KR100897157B1 (ko)
CN (1) CN101521221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106B1 (ko) 2008-11-05 2010-05-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1012A (ko) * 2013-06-26 2015-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9064833B2 (en) 2012-11-29 2015-06-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379354B2 (en) 2014-05-19 2016-06-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US9502683B2 (en) 2014-06-24 2016-11-22 Samsung Display Co., Ltd. Sealing portion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9577215B2 (en) 2014-07-09 2017-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glass frit sealing portion
US9583738B2 (en) 2015-03-26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reflecting layer
US9600127B2 (en) 2013-11-19 2017-03-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KR20170041341A (ko) * 2015-10-06 2017-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119021A (ko) * 2016-04-15 2017-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66420B2 (en) 2014-02-26 2018-05-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US10826013B2 (en) 2017-09-14 2020-11-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619605B2 (en) 2018-12-27 2023-04-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3461B2 (en) * 2010-03-18 2015-04-2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O2014075068A1 (en) * 2012-11-12 2014-05-15 Paul Lecat Conductive cloth sensor
KR101993331B1 (ko) * 2013-01-03 2019-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614021B2 (en) * 2013-07-24 2017-04-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61286B1 (ko) * 2013-10-22 2022-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10782B1 (ko) 2013-12-11 2015-04-09 (주)니즈텍 광고의 시인성과 가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멀티 광고장치
KR102281109B1 (ko) 2013-12-31 2021-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39840B1 (ko) * 2014-04-28 2021-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99574B1 (ko) * 2015-04-03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8047493A1 (ja) * 2016-09-12 2018-03-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208781850U (zh) * 2018-10-31 2019-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562A (ko) * 2000-03-31 2001-11-01 구자홍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KR20030053179A (ko) * 2001-12-22 2003-06-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패널
JP2005251630A (ja) 2004-03-05 2005-09-15 Tohoku Pioneer Corp 封止型表示パネル、封止型表示パネル基板、封止型表示パネルの形成方法
KR100671638B1 (ko) 2006-01-26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8125B2 (ja) * 1996-09-24 2005-03-09 株式会社東芝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3907804B2 (ja) * 1997-10-06 2007-04-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JP3763769B2 (ja) * 2000-10-17 2006-04-05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
KR100544123B1 (ko) * 2003-07-29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US7928654B2 (en) 2003-08-29 2011-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683883B2 (ja) * 2003-08-29 2011-05-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KR100611162B1 (ko) * 2004-01-05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ATE541327T1 (de) * 2004-10-21 2012-01-15 Lg Display Co Ltd Organische elektrolumineszente vorricht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JP5022576B2 (ja) 2005-07-08 2012-09-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07171440A (ja) * 2005-12-21 2007-07-05 Nippon Seiki Co Ltd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436334B2 (ja) 2006-03-02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ールド基板、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半導体装置
JP2007286527A (ja) 2006-04-20 2007-11-0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表示パネルを有する表示装置およびその解体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562A (ko) * 2000-03-31 2001-11-01 구자홍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KR20030053179A (ko) * 2001-12-22 2003-06-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패널
JP2005251630A (ja) 2004-03-05 2005-09-15 Tohoku Pioneer Corp 封止型表示パネル、封止型表示パネル基板、封止型表示パネルの形成方法
KR100671638B1 (ko) 2006-01-26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8569B2 (en) 2008-11-05 2013-02-1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improved strength by preventing the exfoliation of a sealant
US8841832B2 (en) 2008-11-05 2014-09-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improved strength by preventing the exfoliation of a sealant
KR100959106B1 (ko) 2008-11-05 2010-05-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064833B2 (en) 2012-11-29 2015-06-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50001012A (ko) * 2013-06-26 2015-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100880B1 (ko) * 2013-06-26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9600127B2 (en) 2013-11-19 2017-03-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US9966420B2 (en) 2014-02-26 2018-05-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US9379354B2 (en) 2014-05-19 2016-06-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US9502683B2 (en) 2014-06-24 2016-11-22 Samsung Display Co., Ltd. Sealing portion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9577215B2 (en) 2014-07-09 2017-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glass frit sealing portion
US9853249B2 (en) 2015-03-26 2017-1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reflecting layer
US9583738B2 (en) 2015-03-26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reflecting layer
US10096800B2 (en) 2015-03-26 2018-10-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reflecting layer
KR20170041341A (ko) * 2015-10-06 2017-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39308B1 (ko) * 2015-10-06 2022-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469396B2 (en) 2015-10-06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70119021A (ko) * 2016-04-15 2017-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68631B1 (ko) * 2016-04-15 2023-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826013B2 (en) 2017-09-14 2020-11-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856825B2 (en) 2017-09-14 2023-12-2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619605B2 (en) 2018-12-27 2023-04-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59880B2 (ja) 2012-01-25
CN101521221B (zh) 2011-06-29
CN101521221A (zh) 2009-09-02
EP2105964A1 (en) 2009-09-30
JP2009205122A (ja) 2009-09-10
EP2105964B1 (en) 2014-04-23
US20090218925A1 (en) 2009-09-03
US8049412B2 (en)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15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43233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661015B1 (ko)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73693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5855884B2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TWI648851B (zh) 顯示裝置
KR102479020B1 (ko) 표시 장치
KR2011011174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4107242A (ja) Oled表示パネル
KR20180127605A (ko) 표시 장치
TWI619244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JP2020109452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8692346B2 (en) Metal encapsulating shee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337440B2 (en) Organic luminescent display device
WO2018220683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796128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698678B1 (ko)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994526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JP7446383B2 (ja) リペア構造を有する電界発光表示装置
WO2021009811A1 (ja) 表示装置
KR20240009189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CN117858577A (zh) 显示装置
KR20200083775A (ko) 커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78320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