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515B1 -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515B1
KR100888515B1 KR1020080061843A KR20080061843A KR100888515B1 KR 100888515 B1 KR100888515 B1 KR 100888515B1 KR 1020080061843 A KR1020080061843 A KR 1020080061843A KR 20080061843 A KR20080061843 A KR 20080061843A KR 100888515 B1 KR100888515 B1 KR 100888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ndscaping
puzzle
wall
land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숙
Original Assignee
에스빠스조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빠스조경(주) filed Critical 에스빠스조경(주)
Priority to KR1020080061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조경물에 공급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게 하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 상부에 형성되어 조경물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물이 곧바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수층, 일측이 상기 흡수층과 결합하고 타측은 조경물을 고정시키는 흡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녹화장치의 조경단위를 구성하는 조경퍼즐과 상기 조경퍼즐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중간본체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조경퍼즐은 상기 중간본체에 배치고정되어 녹화장치의 전체조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녹화장치의 제작과 수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녹화장치, 조경퍼즐, 배수판, 흡착층, 이끼, 식물, 꽃꽂이, 플로랄폼

Description

녹화장치{A Structure of Landscape Architecture}
통상적으로 조경은 유용하고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문학적, 과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토지를 계획설계하는 예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회화, 조각, 산업디자인, 토목, 도시계획 및 건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예술이자 기술이다.
한편 인테리어는 실내를 장식하여 실내공간을 사용하는 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을 의하는 개념으로, 근래에는 이와 같은 인테리어의 유용한 방법의 하나로 실내조경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종래 통상적 조경의 의미가 각종 시설물과 더불어 주변 경관에 친화적인 인테리어를 제공하기 위해 정원, 공원 내지는 도로 등의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실외 경관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라면, 실내조경은 주로 식물의 식재를 통한 거실이나 사무실등 실내 공간에 초점이 맞춰진 인테리어의 유용한 방법이다.
본원발명은 조경물의 식재 및 교체가 조경퍼즐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과 수리가 용이하고, 녹화장치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녹화장치가 배치된 실내공간의 인테리어 변경시 용이하게 위치변경 할 수 있는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조경의 범위는 공공기관, 쇼핑몰, 호텔, 공항, 온실 테마가든, 오피스, 병원, 식당 등 인간이 생활하는 거의 모든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광범위한 범위에 적용되는 실내조경은 심미적효과, 공간의 특화효과, 실내환경 조절효과, 심리적효과 및 경제적효과를 가져온다.
심미적효과는 제한된 공간을 가진 사무소나 아파트 등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접하기 어려운 식물이나 연출된 자연공간을 실내에 끌어들임으로써 얻게 되는 미적효과이다. 이는 메마른 건축구조물 내부 공간에 생명력 있는 식물과 아기자기한 인테리어 소재들을 조합하여 실내로 가져오는 것이므로 보다 다채로운 실내경관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공간 특화효과는 조경을 통해 그 건축물만의 특화된 상징물로 인식되는 것을 말하며 랜드마크적 효과도 그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디자인의 컨셉과 어울리는 실내조경을 한다면, 건물의 인지도는 물론이고 부가가치까지 높이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인간에게 공간의 10~20%를 식물로 채우는 것이 가장 이상적 실내환경이라고 한다. 실내환경 조절효과는 공기정화와 습도조절, 소음차폐 및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말한다. NASA에서 실시한 수년간의 실험결과 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공기 중의 벤젠은 50~90%가 제거되고, 트리클로로에틸렌은 10~25%가 제거되었다는 보고는 상술한 실내환경 조절효과를 증명하고 있다.
심리적, 생리적효과는 실내조경이 건물 내의 휴식장소로 제공됨으로써 Sick Building Syndrom(빌딩증후군, 빌딩으로 둘러싸인 밀폐된 공간에서 오염된 공기로 인해 짜증스럽고 피곤해지는 현상)의 해소와 함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테크노 스트레스(Techno-Stress, 사무자동화 시대에 직면한 인간의 정신적장애)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말한다.
경제적 측면에서의 효과는 실내온도를 낮추는 효과와 종업원의 정착율 향상에서 찾을 수 있는데, 실내조경은 여름철 고온이 된 실내 온도를 식물의 증산작용을 통해 주변 온도보다 2~3도 낮추는 효과를 가져 오며, 장기적으로는 작업효율을 상승시켜 종업원의 정착을 유도하는 효과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유용한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실내조경은 통상 식물을 식재한 화분 등을 단순히 배치하거나, 수목을 분재로 제작하여 이를 실내에 배치하는 방식에 지나지 않거나 도9와 같이 단수한 구조에 한정되어 실시되고 있었다.
도9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종래 녹화장치는 식물의 식재를 위한 흙이 담겨 지는 틀을 포함하고, 상기 틀에 흙을 채운 뒤 식물을 식재하며,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타의 구성을 결합시켜 실내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실내공간의 심미감, 환경조절 및 심리적 효과를 극대화시키려는 방식이었으나 다음가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식물이 식재되는 틀의 부식 내지 마모시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와 식재된 식물이 죽게 되면 이를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실내바닥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었으므로 벽면을 인테리어 하 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일정한 부피 이상을 넘어서는 실내 녹화장치는 흙의 무게에 식재된 식물의 무게 및 공급되는 물의 무게까지 더해져 그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것을 말하는데,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실내 녹화장치는 인테리어 변경에 걸림돌이 될 수 있고, 겨울철의 추위나 여름철의 직사광선을 피해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번거로운 문제를 야기시켰다.
또 배수처리가 곤란하여 물을 많이 주면 실내 녹화장치에 물이 고이게 되고, 결국 이 고인물에서 악취가 발생하여 오히려 실내환경을 악화시키기 일수였다.
마지막으로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해 주어야하는 불편함도 가지고 있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원발명의 목적은 조경물의 식재가 조경퍼즐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조경퍼즐을 다수개 배치고정함으로써 녹화장치의 전체조경이 형성되는 제작과 수리가 용이한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목적은 실내바닥면은 물론이고 벽면까지 인테리어 할 수 있는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다른 목적은 녹화장치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녹화장치가 배치된 실내공간의 인테리어 변경시 용이하게 위치변경 할 수 있는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발명인 녹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발명 실내외에 설치가능한 녹화장치는 조경물에 공급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게 하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 상부에 형성되어 조경물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물이 곧바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수층, 일측이 상기 흡수층과 결합하고 타측은 조경물을 고정시키는 흡착층을 포함하여 상 기 녹화장치의 조경단위를 구성하는 조경퍼즐과 상기 조경퍼즐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중간본체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조경퍼즐은 상기 중간본체에 배치고정되어 녹화장치의 전체조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녹화장치의 제작과 수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녹화장치는 상기 중간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경퍼즐에 공급되는 물이 중간본체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막아주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경퍼즐이 중간본체에 용이하게 배치고정가능하게 하는 고정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녹화장치는 상기 중간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방수층을 통해 물을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 수조, 상기 중간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본체, 상기 조경퍼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노즐, 상기 수조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 상기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노즐에 물을 제공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경퍼즐의 흡착층 상부에 형성되는 조경물은 이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경물은 상기 흡착층에 고정되어 상기 이끼의 중간에 형성되는 플로랄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앞서 살펴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원발명은 조경물의 식재가 조경퍼즐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조경퍼즐을 다수개 배치고정함으로써 녹화장치의 전체조경이 형성되는 제작과 수리가 용이한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실내바닥면은 물론이고 벽면까지 인테리어 할 수 있는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녹화장치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녹화장치가 배치된 실내공간의 인테리어 변경시 용이하게 위치변경 할 수 있는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원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도1은 본원발명 녹화장치의 단면도이고, 도2는 고정대의 정면도이며, 도3은 배수판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 녹화장치의 A타입 조경퍼즐 단면도이고, 도5는 본원발명 녹 화장치의 B타입 조경퍼즐 단면도이다.
도6은 고정대와 중간본체가 결합된 정면도이고, 도7은 조경퍼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여, 본원발명 녹화장치(100)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중간벽체(3)와, 상기 중간벽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벽체(1), 상기 중간벽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벽체(5) 및 물공급부(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벽체(1)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구성되며 후술할 중간벽체(3)에 장식되는 조경물(377)에 물을 공급하고, 심미감을 더하기 위한 조명 기타의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중간벽체(3)의 상부에 결합 된다. 한편 상기 상부벽체(1)의 전체적인 형상은 제작자가 의도한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가능한 사항이나 노즐(11) 및 조명(13)을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이어야 하며, 제1배관홀(15) 및 제2배관홀(17)를 포함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11)은 후술할 수조(51)에 저장된 물을 후술할 모터(71)에 의하여 상기 중간벽체(3) 상에 조성될 조경물(377)에 물을 공급해주는 장치로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상부벽체(1)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1)은 후술할 공급관(733)과 연결되는 분사통로(111)와 상기 분사통로(111)의 말단에 형성되어 물이 분사되는 분사장치(113)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통로(111)는 상기 상부벽체(1)의 제2배관홀(17)이 형성되는 위치에 연결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물이 이동가능한 튜브 형상을 가진 구성이면 충분하다. 다만 상기 분사통로(111)는 상기 상부벽체(1)의 일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일 정길이 연장된 뒤 후술할 조성물(377)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꺽이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조경물(377)에 물을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사장치(113)는 상기 분사통로(111)의 말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분무기와 같이 물의 이동통로를 좁혀 분무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물뿌리개와 같이 넓은 표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기타 상술한 기능을 구현가능한 당업자에 자명한 구성도 채택가능하다.
상기 조명(13)은 상기 상부벽체(1)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원발명 녹화장치의 심미감을 더해줄 뿐 아니라 후술할 조경물(377)에 광합성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조명(13)은 다수개의 전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관한 설치나 구동은 당업자에게 자명한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술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상기 조명(13)의 위치를 상부벽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제1, 제2배관홀은 후술할 공급관(733)이 상기 상부벽체(1)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상기 제1배관홀(15)은 후술할 중간벽체(3)를 따라 상부벽체(1) 방향으로 설치되는 공급관(733)이 관통하는 구멍이고, 상기 제2배관홀(17)은 상기 노즐(11)의 분사통로(111)에 상기 공급관(733)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벽체(1)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한편, 상기 노즐의 분사통로(111)가 상부벽체(1)의 제2관통홀(17)을 관통하여 상부벽체(1)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술한 제1배관홀을 통해 상부벽체를 관통한 공급관(733)이 상기 노즐의 분사통로(111)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중간벽체(3)는 본원발명 녹화장치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벽으로 일정 한 두께를 가지면서 후술할 고정대 및 방수층이 결합되는 중간본체(31)와, 방수기능을 구현하는 방수층(33), 후술할 조경퍼즐(37)이 고정되는 고정대(35) 및 조경물을 고정하는 조경퍼즐(37)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본체(31)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재구조물로서 상기 상부벽체(1)를 상부에 결합할 수 있게 해주는 구성이다. 상기 중간본체(31)의 전체적인 형상은 통상 사각형으로 형성될 것이나,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본원발명 녹화장치(100)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방수층(33)은 후술할 조경물(377)에 공급된 물이 상기 중간본체(31) 및 후술할 수조(51)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방수층(33)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수자재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본체(31)의 전면과 후술할 수조(51)의 정면턱(511) 및 측면턱(513a, 513b) 전부에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수층의 일 예로 비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대(35)는 후술할 조경퍼즐(37)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방수층(33) 상부에서 상기 중간본체(31)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2를 참고하여, 상기 고정대(35)의 외주면 형상은 상기 중간본체(31)의 외주면과 거의 일치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본체(31)의 형상이 제작자의 선택에 의존하므로 상기 고정대(35)의 틀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중간본체(31)와 고정대(35)의 형상이 사각형이라고 할 때를 가정하고 설명하면, 상기 고정대는 세로골재(351)와 가로골재(353)를 포함 한다. 상기 세로골재(351) 2개와 가로골재(353) 2개를 결합시켜 상기 중간본체(31)의 외주면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한 뒤, 후술할 배수판(371)의 길이(L1, 도3참조) 만큼 이격(L2)시킨 다수의 가로골재(353)를 상기 세로골재(351)의 상부에 배열한 뒤 나사와 못과 같은 공지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시키면 고정대(35)가 완성되게 된다.
본원발명의 조경퍼즐은 A타입과 B타입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 타입에 관하여 따로 설명한다.
도4를 참고하여 A타입 조경퍼즐을 설명하면, 상기 조경퍼즐(37)은 상기 고정대(35)의 상부에 결합하여 흡수, 배수 및 조경물의 고정기능을 수행하는 단위구성물서 배수판(371), 흡수층(373), 흡착층(375) 및 조경물(377)을 포함한다.
도3을 참고하여, 상기 배수판(371)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면서 후술할 돌출편(3711)이 포함된 외주면을 상단이라고 할 때, 상하양단이 상기 고정대(35)의 가로골재(353) 사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돌출편(3711), 수용홈(3713), 배수홀(3715) 및 지지부(3717)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편(3711)은 상기 배수판(371)의 상단 외주면에서 배수판(371)에 나란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수용홈(3713)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수의 조경퍼즐(37)을 상기 고정대(35)의 가로골재(353) 사이에 고정시킬 때 하나의 배수판에 형성된 상기 돌출편(3711)이 이어지는 다른 하나의 배수판의 수용홈(3713)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조경퍼즐(37)이 용이하게 고정대(35)에 배치, 결합되게 하는 구성이다(도8참고).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복수의 돌출편(3711)을 배수판(371) 상단 외주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수용홈(3713)은 배수판(371)의 하단에서 배수판(371)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편(3711)의 외주면 형상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돌출편(3711)을 상단과 우측단에, 상기 수용홈(3713)을 하단과 좌측단에 형성시켜 상술할 기능을 강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배수홀(3715)은 상기 배수판(371)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곳을 통해 물이 배수되게 되는데, 후술할 지지부(3717)와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다수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3717)는 상기 배수홀(3715)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배수홀(3715)에서 수직하방으로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기둥형상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3717)는 배수판(371)의 전 부분에 걸쳐 고르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4를 참고하여, 상기 흡수층(373)은 상기 배수판(371)의 상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조경물(377)에 공급되는 물을 곧바로 배수하지 않고, 흡수함으로써 조경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본 흡수층(373)을 형성가능할 것이며 부직포를 통해 흡수층을 구성하는 것이 그 일 예가 될 것이다. 만약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 흡수층(37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철사나 낚시줄등을 이용하여 상기 배수판(371)에 부직포를 결속시키면 된다.
상기 흡착층(375)은 상기 흡수층(373)의 상부에 결합되어 후술할 조경물(377)을 직접 결속하는 구성이다. 상기 흡착층(375)은 조경물(377)을 고정하면서 조경물에 공급되는 물이 상기 흡수층(373)으로 유입가능하도록 배수가 용이해야하며, 상기 배수판(371)을 통해 상기 고정대(35)에 고정되어 후술할 조경물(377)을 상기 중간벽체(3)에 표현할 수 있도록 가벼워야 한다. 따라서 흡착층(375)은 야자섬유의 일종인 쥬터네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은 상기 배수판(371)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재단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경물(377)은 제작자가 의도하는 조경을 형성하기 위한 조경재료의 통칭으로 이끼나 수초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기 흡착층(375)에 철사나 낚시줄과 같은 공지의 재료를 이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도5는 B타입 조경퍼즐(37)의 단면도이다. A타입 조경퍼즐과 구별되는 B타입 조경퍼즐의 특징은 상기 조경물(377)에 플로랄폼(3771)이 추가되어 형성된다는 것이다. 상기 플로랄폼(3771)에는 꽃꽂이(3773)와 같은 기타 조경물을 결합하여 보다 화려한 조경퍼즐을 형성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을 참고하여, 상기 하부벽체(5)는 상기 중간벽체(3)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서, 상기 하부벽체(5)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수조(51)와 본원발명 녹화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부재(5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부벽체(5)의 형상은 제작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사각형상의 하부벽체를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조(51)는 상기 상부벽체(1)의 노즐(11)을 통해 상기 조경물(377)에 공급할 물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노즐(11)을 통해 조경물(377)에 공급된 물이 조경퍼즐(37)의 배수홀(3715)을 거쳐 방수층(33)으로 유입되면 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조(51)는 정면턱(511), 좌측면턱(513a), 우측면턱(미도시) 및 안개조성부(515)를 포함하는데, 상기 정면턱(511)은 상기 중간벽체(3)와 결합하는 하부벽체(5)의 일측에 대응되는 일측에서 수직으로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 좌측면턱(513a)과 우측면턱(미도시)은 상기 중간벽체(3)와 상기 정면턱(511)을 연결시켜주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벽체(5)를 저면으로 하고, 상기 정면턱(511)과 좌우측면턱을 통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방수층(33)은 그와 같은 공간 위에 형성되므로 상기 수조(51)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녹화장치(100)에 형성되는 조경물(37)에 제공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저수공간을 이용한다면, 제작자는 녹화장치가 놓이는 바닦면을 조경할 수 있는 조경공간을 얻게 되는 것이므로 본 녹화장치의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개조성부(515)는 상기 수조(51)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조(51)에 저장된 물을 수면 위로 분사하여 안개를 조성해주는 구성으로,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동부재(53)는 상기 하부벽체(5)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원발명 녹화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바퀴나 롤러와 같이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구성을 채택가능하며, 그 결합 방법에 있어서도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물공급부(7)는 상기 수조(5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상부벽체(1)의 노즐(11)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모터(71), 배관(731, 733) 및 타이머(75)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71)는 상기 하부벽체(5)에 형성되는 수조(51)의 물을 상기 상부벽체(1)에 형성되는 노즐(11)까지 밀어올려 주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모터(71)는 상기 중간벽체(3)에 고정설치하되, 상기 고정대(35)의 최하단 가로골재(353)의 하단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은 상기 모터(71)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하여 수조(51)에 저장된 물을 모터(71)를 거쳐 노즐(11)에 이어주는 구성으로 흡입관(731)과 공급관(733)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관(731)은 상기 수조(51)의 물을 모터(71)에 공급하는 구성이고, 상기 공급관(733)은 상기 흡입관을 통해 모터로 유입된 물이 동력을 얻어 노즐(11)까지 공급될 수 있게 하는 통로이다.
상기 흡입관(731)은 일측이 수조(51)의 저면에 위치하게 하고, 타측은 상기 모터(71)에 연결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공급관(733)은 상기 모터(7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노즐(11)에 이어지며, 상기 방수층(33) 상부에서 중간본체(31)에 결합됨으로써 모터와 노즐을 이어주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급관 및 흡입관은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튜브와 같이 공지의 다양한 구성의 채택이 가능하다.
상기 타이머(75)는 상기 모터(71)의 구동을 자동제어하는 구성으로 제작자가 세팅한 시간간격으로 모터(71)의 On/Off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 녹화장치(100)의 관리를 보다 손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조경물(377)에 제공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하게 만드는 구성으로 조경물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녹화장치(100)의 제작과정을 살펴본다.
도1을 참고하여, 녹화장치(100)의 외형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상부벽체(1), 중간본체(31) 및 하부벽체(5)를 재단한다. 상기 상부벽체(1)와 중간본체(31) 및 하부벽체(5)를 못이나 기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직각으로 맞물려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이 되도록 조립한다.
상기 상부벽체(1)는 먼저 상기 제1배관홀(15)과 제2배관홀(17)을 드릴과 같은 장치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 형성시켜야 한다. 이후 분사통로(111)와 분사장치(113)을 결합하여 노즐(11)을 따로 형성하여야 하고, 상기 상부벽체(1)의 제2관통홀(17)과 분사통로(111)를 일치시키면서 상부벽체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후 상기 상부벽체(1)에서 하부벽체(5)를 향하는 면에 조명(13)장치를 결합시키면 상부벽체(1)가 완성된다.
도6을 참고하여, 상기 하부벽체(5)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정면턱(511)과 좌 측면턱(513a), 우측면턱(513b)을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수조를 형성시킨다.
상부벽체(1) 및 하부벽체(5)가 결합된 상기 중간본체(31)에 방수층(33)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상기 방수층(33)은 상술한 바 있듯이 다양한 공지의 재료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선택된 재료의 고정에 적합한 재료의 선택이 필요할 것이다.
다만 상기 방수층(33)은 중간본체(31) 뿐만 아니라 상기 수조(51)에도 형성되어야 한다.
방수층(33)이 결합된 중간본체(31)에는 고정대(35)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먼저 세로골대(351)를 상기 중간본체(31)의 세로 외주면에 형성한다. 상기 세로골대(351)는 목재 기타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적절한 결합부재를 선택하면 충분하다. 일 예로 목재를 선택한 경우 못을 이용하여 상기 방수층(33)을 사이에 두고 중간본체(31)와 결합하면 된다.
세로골재(351)가 형성되고나면 가로골재(353)를 세로골재(351)의 상부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그 간격은 상기 배수판(371)의 지지부(3717)가 가로골재(353)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가능하여야 하며, 상기 배수판(371)의 상하부에 형성된 외주면이 상기 가로골재(353)에 고정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배수판(371)의 규격이 가로, 세로 각각 500mm(L1, 도4참조)인 경우, 상기 하나의 가로골재(353)의 중심과 다른 하나의 가로골재의 중심 간 거리가 500mm(L2)가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다만 아래쪽에 설치되는 상기 배수판(371)의 돌출편(3711)이 위쪽에 설치되는 배수판의 수용홈(3713)에 수용되도록 해야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가로골재(353)의 너비(D)를 결정하면 된다.
도1을 참고하여, 그 후에는 물공급부(7)를 형성하게 되는데, 먼저 모터(71)를 수조(51)에 가까운 중간본체(31) 일측에 고정시킨다. 모터(71)가 고정되면 흡입관(731)을 모터에 연결한 뒤 수조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조정하고, 모터(71)의 출구에 공급관(733)을 연결한다. 상기 공급관(733)은 상기 중간본체(31)의 세로골재(351)가 형성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1배관홀(15)로 이어지면서 설치되고, 이후 상기 노즐의 분사통로(111)에 연결된다. 이로써 녹화장치(100)의 골격형성 작업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조경퍼즐(37)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을 참고하여, 먼저 배수판(371)의 규격을 정했다면 그 외관치수에 맞게 흡수층(373)과 흡착층(375)을 재단한다. 상기 흡수층(373)을 먼저 배수판의 상부에 낚시줄이나 철사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게되고, 이어 흡착층(375)도 고정하게 된다.
흡착층까지 설치된 배수판에는 조경물(377)을 부착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A,B타입 두 가지 형태의 조결퍼즐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A타입 조경퍼즐은 흡착층(375)으로 선택가능한 쥬트네트에 이끼를 철사 등으로 고정하고, 그 위에 식물을 철사나 낚시줄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식물의 뿌리는 이끼 속에 결합되도록 하여야 한다.(도4참고)
B타입 조경퍼즐은 쥬트네트의 상부에 이끼를 고정하는 것은 동일하나, 이끼의 상부에 플로랄폼 등을 먼저 고정하고, 상기 플로랄폼에 꽃꽂이 등 원하는 조경 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도5참고)
상술한 A, B타입 조경퍼즐(37)은 상기 고정대(35)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가로골재(353) 사이에 퍼즐형식으로 결합가능함으로 녹화장치의 재작이 용이해지고, 녹화장치의 설치 후 식재된 조경물의 고사, 내지 조경퍼즐의 파손이 있을 경우 해당 퍼즐만을 분리하여 교체가능한바 그 유지 및 수리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조경퍼즐이 완성되면, 상기 고정대(35)의 가로골재(353) 사이에 상기 조경퍼즐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배수판(371)의 지지부(3717)는 가로골재(353)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판(371)의 외주면이 상기 가로골재(353) 상에 얹히도록 해야하며, 도8과 같이 상하부 조경퍼즐은 배수판의 돌출편(3711)과 수용홈(3713)이 상호 결합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경퍼즐(37)과 가로골재(353)의 결합은 철사나 못 등 공지의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충분하다.
도1은 본원발명 녹화장치의 단면도이고, 도2는 고정대의 정면도이며, 도3은 배수판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 A타입 녹화장치의 조경퍼즐 단면도이고, 도5는 B타입 조경퍼즐 단면도이다.
도6은 고정대와 중간본체가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7은 조경퍼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조경퍼즐을 고정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확대된 부분은 조경퍼즐의 결합시 배수판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녹화장치: 100 노즐: 11
분사통로: 111 분사장치: 113
조명: 13 중간벽체: 3
중간본체: 31 방수층: 33
고정대: 35 세로골재: 351
가로골재: 353 조경퍼즐: 37
배수판: 371 돌출편: 3711
수용홈: 3713 배수홀: 3715
지지부: 3717 흡수층: 373
흡착층: 375 조경물: 377
하부벽체: 5 수조: 51
정면턱: 511 좌측면턱: 513a
우측면턱: 513b 안개조성부: 515
이동부재: 53 물공급부: 7
모터: 71 배관: 73
흡입관: 731 공급관: 733
타이머: 75

Claims (5)

  1. 실내에 설치가능한 녹화장치에 있어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중간벽체와, 상기 중간벽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상부벽체와, 상기 중간벽체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하부벽체와,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벽체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벽으로 지지대 역할을 하는 중간본체와, 상기 중간본체의 일면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상기 하부벽체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중간본체와 접하는 면의 타면에 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방수층과 접하는 면의 타면에 부착되는 조경퍼즐을 포함하며,
    상기 조경퍼즐은 조경물에 공급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게 하는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 상부에 형성되어 조경물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물이 곧바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조경물을 고정시키는 흡착층과, 상기 흡착층의 상부에 고정되는 조경물을 포함하고 퍼즐식으로 다수개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규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는 세로골재를 수직으로 형성한 후 세로골재의 일면에 가로골재를 상기 조경퍼즐의 규격만큼 이격시켜 수평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벽체는 상기 조경퍼즐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분무하여 안개를 조성시키는 안개조성부와, 하부벽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녹화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서 흡입된 물을 상기 상부벽체까지 이동시키는 통로가 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을 통해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벽체는 상기 공급관을 통해 이송된 물을 상기 조경물에 공급해주기 위한 노즐과, 상부벽체의 하부에서 조경물에 빛을 공급해주는 조명을 포함함으로써,
    조경물의 식재가 조경퍼즐 단위로 이루어져 제작과 수리가 용이함은 물론, 인테리어 변경시 녹화장치 자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퍼즐의 흡착층 상부에 형성되는 조경물은 이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물은 상기 흡착층에 고정되어 상기 이끼의 중간에 형성되는 플로랄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장치.
KR1020080061843A 2008-06-27 2008-06-27 녹화장치 KR100888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843A KR100888515B1 (ko) 2008-06-27 2008-06-27 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843A KR100888515B1 (ko) 2008-06-27 2008-06-27 녹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515B1 true KR100888515B1 (ko) 2009-03-12

Family

ID=4069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843A KR100888515B1 (ko) 2008-06-27 2008-06-27 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51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378B1 (ko) 2010-07-21 2011-01-28 김용근 관상식물용 수직형 지지체
CN102165902A (zh) * 2010-06-04 2011-08-31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生态绿化装置
KR101093434B1 (ko) 2011-06-22 2011-12-19 (주)아쿠아리아 실내정원 장치
KR101186194B1 (ko) * 2010-05-26 2012-10-08 노성일 황토석을 이용한 실내 벽체구조
CN107355025A (zh) * 2017-08-10 2017-11-17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保温植物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168745A (zh) * 2018-09-30 2019-01-11 华艺生态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徽派文化立体景观植物墙及其制备方法
KR20200087508A (ko) * 2019-01-11 2020-07-21 유주현 미세먼지 제거용 실외 이끼타일
CN112772208A (zh) * 2020-12-21 2021-05-11 丛蕾 一种园林种植用花箱
KR102417486B1 (ko) * 2021-08-06 2022-07-06 농업회사법인(주)이노그린팜 그린월 스마트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891Y1 (ko) * 2006-09-28 2006-12-13 박옥교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JP2007029076A (ja) * 2005-06-23 2007-02-08 Mitsuharu Shimura ミズゴケ複合体
KR20080056419A (ko) * 2006-12-18 2008-06-23 임학순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076A (ja) * 2005-06-23 2007-02-08 Mitsuharu Shimura ミズゴケ複合体
KR200433891Y1 (ko) * 2006-09-28 2006-12-13 박옥교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080056419A (ko) * 2006-12-18 2008-06-23 임학순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194B1 (ko) * 2010-05-26 2012-10-08 노성일 황토석을 이용한 실내 벽체구조
CN102165902A (zh) * 2010-06-04 2011-08-31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生态绿化装置
KR101011378B1 (ko) 2010-07-21 2011-01-28 김용근 관상식물용 수직형 지지체
KR101093434B1 (ko) 2011-06-22 2011-12-19 (주)아쿠아리아 실내정원 장치
CN107355025A (zh) * 2017-08-10 2017-11-17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保温植物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168745A (zh) * 2018-09-30 2019-01-11 华艺生态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徽派文化立体景观植物墙及其制备方法
KR20200087508A (ko) * 2019-01-11 2020-07-21 유주현 미세먼지 제거용 실외 이끼타일
KR102242497B1 (ko) 2019-01-11 2021-04-19 유주현 미세먼지 제거용 실외 이끼타일
CN112772208A (zh) * 2020-12-21 2021-05-11 丛蕾 一种园林种植用花箱
KR102417486B1 (ko) * 2021-08-06 2022-07-06 농업회사법인(주)이노그린팜 그린월 스마트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515B1 (ko) 녹화장치
KR102137860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KR101790143B1 (ko)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1105543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JP2009296928A (ja) 室内観賞用苔庭の栽培装置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KR20080097302A (ko) 벽면 조경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345525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101270267B1 (ko) 이동식 화단.
KR101844899B1 (ko) 능동형 급수 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와 그 운용 방법
CN104303981A (zh) 一种阶梯造型鱼菜共生养殖鱼缸
Naqvi Maximizing Green Space in a Building Complex through Alternative Landscape Design Elements
JPH1142151A (ja) ソーラー式フラワーポールおよびソーラー式植栽壁
KR200405862Y1 (ko) 수경재배기
CN105234041A (zh) 一种喷泉***
CN205623413U (zh) 一种室内智能装潢装饰花架
KR101747926B1 (ko) 개비온을 이용한 조형물
KR20150002601U (ko) 수직형 실내 조경장치
WO2007009198A1 (en) ELECTRONIC CONTROLLER FOR IRRIGATlNG VEGETATIVE BENCH (1) AND THE LIKE
KR101491565B1 (ko) 다용도 화분 조립체
KR101345553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20120005788U (ko) 실내용 계단식 화단
RU76774U1 (ru)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KR100386467B1 (ko) 점적식 조경용 꽃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