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143B1 -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 Google Patents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143B1
KR101790143B1 KR1020160111474A KR20160111474A KR101790143B1 KR 101790143 B1 KR101790143 B1 KR 101790143B1 KR 1020160111474 A KR1020160111474 A KR 1020160111474A KR 20160111474 A KR20160111474 A KR 20160111474A KR 101790143 B1 KR101790143 B1 KR 101790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ort
storage tank
pollen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816A (ko
Inventor
윤병섭
Original Assignee
윤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섭 filed Critical 윤병섭
Publication of KR2016010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 조명기구에 의해 광합성 작용에 의한 공기정화기능과 실내 가습기능, 물의 자동급수 기능을 수행가능하며,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 화분, 화분을 지지하는 서포트, 조명기구를 필요에 따라 자유자재로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필요한 곳에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적용가능한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안으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저장조안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와, 물을 흡수하지 않고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통기성을 가지는 통기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의 상부에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램프를 가지는 조명부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저장조를 포함하여 1단으로 구성되는 화분 조립체가 복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단의 화분 조립체의 최종단수에 해당하는 화분의 상부에는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서포트의 일측면 외부에는, 일체형 저장조의 저장부안의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외부 흡수부재와, 이 외부 흡수부재를 감싸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흡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Fabricated Multi-Function Flowerpot Assembly and Flowerpot and stru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 및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 조명기구에 의해 광합성 작용에 의한 공기정화기능과 실내 가습기능, 물의 자동급수 기능을 수행가능하며,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 화분, 화분을 지지하는 서포트, 조명기구를 필요에 따라 자유자재로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필요한 곳에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적용가능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화초나 관상수 또는 수초를 기르는 경우, 대개 화분에 담아서 가정의 소정위치에 비치하도록 하는데, 화분안에는 흙 등의 배양토를 넣고, 이 배양토안에 식물을 심어서 일정시간을 두고 물을 주어서 기르는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물을 주는 시기와 양을 조절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물 공급 및 조절에 세심한 신경을 써야 하는 등 화분을 가꾸는데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관리가 소홀해져서 결국 방치하게 되어 화분에 있는 식물이 죽게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화분을 실내, 특히 건물 지하나 또는 지하철과 같은 공공건물안에 비치하는 경우에는, 햇빛을 쪼이지 못하기때문에 화분에 있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장기간 제대로 키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의 분위기를 화사하게 하기 위해서, 화병에 꽃을 넣어서 실내에 비치하는 경우에는, 화병에 있는 꽃은 뿌리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오래가지 못하고 금방 시들해지고, 계속해서 화병에 비치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실내에 비치하는 경우, 특히 야간에는 화분 또는 화병에 있는 각종 식물이 광합성을 아예 못하기 때문에, 식물의 호흡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실내 공기중으로 나오게 되어서 오히려 실내 공기의 질을 더욱 악화시켜서, 환기를 잘 하지 않는 겨울철에는 특히 실내의 룸에 비치하는 것이 부적합하였다.
또한, 큰 규모의 화분은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비용도 고가이고, 필요한 장소에 운반하기에도 용이하지 않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 조명기구에 의해 광합성 작용에 의한 공기정화기능과 실내 가습기능, 물의 자동급수 기능을 수행가능하며,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 화분, 화분을 지지하는 서포트, 조명기구를 필요에 따라 자유자재로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필요한 곳에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적용가능한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 및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안으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저장조보다 높게 하나 이상 구비되면서 배양토가 갖추어지는 화분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에는 둘레면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저장조안의 물속에 위치하는 관통공은 물이 자동적으로 흡수되어 흡수부재를 통해 화분안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저장조의 물 밖에 위치하는 관통공은 외부의 공기가 화분안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화분안에 위치하는 관통공은 흡수부재를 통해 흡수된 물이 화분안에 공급되도록 하는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서포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분할,조립되는 구조이다.
상기 저장조안에는 서포트가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하는 삽입부재가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내부 하부면이 막힌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조는 서포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의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통기성을 가지는 통기부재가 더 포함되어 흡수부재와 함께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물을 흡수하여 화분안에 공급하도록 하는 흡수부재만을 구비하는 서포트와,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통기성을 가지는 통기부재만을 구비하는 서포트가 각각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조와 화분 및 서포트로 이루어지는 화분 조립체를 1단으로 하고, 이러한 화분 조립체를 수직방향으로 복수단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분의 하부에는 받침대가 하나 이상 갖추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에는 받침대를 관통하여 지지되는 서포트와, 저장조로부터 받침대까지만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내부면에는,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서포트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흡수부재를 통해 흡수되는 물이 공급되면서 증발에 의해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는 방향성 흡수부재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는 관통구조를 가지면서 흡수부재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분의 상부에는, 화분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는 조명기구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분과 저장조에 걸쳐서 외부로 조명이 비춰지도록 램프를 구비한 조명커버가 끼워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에는 투입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기구가 구비되는 화분 조립체에는 차광커버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광커버는 펼침과 접힘이 용이하도록 하는 주름식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저장조, 화분 및 받침대의 내부에는 서포트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된 구조의 결합관이 일체로 소정 높이로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관은 저장조와 받침대에 형성되는 경우, 저장조와 받침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높게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조, 서포트, 화분을 포함하여 1단의 화분 조립체로 구성하고, 이러한 화분 조립체를 2단 이상의 복수단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단의 화분 조립체는, 화분의 상부마다 또는 최상단의 화분 위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화분을 통과하는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화분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내부로부터 본체부의 내부로 하나 이상 삽입되면서 저장조안에 있는 물을 흡수하여 본체부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서포트를 구비함과 동시에, 저장조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관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관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저장조, 화분 및 서포트를 1단으로 하는 화분조립체에 조명기구가 포함되고, 이 조명기구 위에 2단에 해당하는 저장조의 설치시, 2단에 해당하는 저장조를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가 관통되는 경우에, 2단에 해당하는 저장조의 내부에는, 서포트가 결합되는 관통형의 삽입부재가 2단에 해당하는 저장조의 물 만수위와 동일하거나 또는 높게 일체로 형성되며, 2단에 위치하는 서포트의 일측 외부에는, 2단에 해당하는 저장조안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흡수수단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상기 흡수수단은,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외부 흡수부재와, 이 외부 흡수부재를 감싸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각 단에 해당하는 화분에는 커버가 감싸도록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각 단에 해당하는 화분 및 저장조의 상단부까지 커버가 감싸도록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서포트의 내부에는 각 단수의 저장조에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화분 조립체의 최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물탱크와 연결되는 물 공급호스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서포트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서포트의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화분안으로 공급되도록 통기성을 가지는 통기부재가 더 포함되어 흡수부재와 함께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서포트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흡수부재만을 구비한 서포트와, 통기부재만을 구비한 서포트가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서포트는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분할,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화분의 내부 배양토속 또는 화분의 내주면에는 서포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수부재 또는 통기부재의 연장편과 연결되는 별도의 흡수부재와 통기부재가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안으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의 상부에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저장부와 조명부를 가지는 일체형 저장조를 포함하여 1단으로 구성되는 화분 조립체가 복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단의 화분 조립체의 최종단수에 해당하는 화분의 상부에는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는 다기능 화분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서포트의 일측면 외부에는, 일체형 저장조의 저장부안의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외부 흡수부재와, 이 외부 흡수부재를 감싸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흡수수단이 포함되는 구조이다.
화분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내부로부터 본체부의 내부로 하나 이상 삽입되면서 저장조안에 있는 물을 흡수하여 본체부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서포트를 구비함과 동시에, 저장조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관을 가지는 구조이다.
상기 저장조, 화분 및 받침대의 내부에는, 서포트와 결합되면서 관통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결합관이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일체형 저장조의 저장부의 내부에는 관통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결합관이 형성되고, 이 결합관은 저장부의 높이와 동일 또는 그 보다 높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저장조와 받침대의 내부에는, 서포트와 결합되면서 관통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결합관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관은 저장조와 받침대의 높이와 동일 또는 그 보다 높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저장조와 서포트 및 화분으로 이루어지는 화분 조립체는 벽에 걸 수 있는 벽걸이 부재의 받침대에 형성된 삽입홈에 비치되는 구조이다.
저장조와 서포트 및 화분으로 이루어지는 화분 조립체는, 벽에 걸 수 있는 벽걸이 부재의 받침대에 안치되는데, 벽걸이 부재는 받침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부재가 체결되고, 이 연결부재에 연결편을 통해 결합되어 화분에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하는 조명기구가 포함되는 구조이다.
저장조와 서포트 및 화분으로 이루어지는 화분 조립체는, 조명 스탠드의 받침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안치되는 구조이다.
저장조와 서포트 및 화분으로 이루어지는 화분 조립체는, 나무 또는 전봇대, 또는 가로등의 지주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저장조가 각각 독립된 저장조가 되면서 분할 조립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되면서 외부 하부면에 돌출되는 결합관을 가지면서 배양토가 갖추어지는 화분이 제공된다.
화분의 내주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결합관의 내부에는 단열재와 접촉되는 흡수부재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결합관의 내부에는 흡수부재와 함께 통기부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내부에 돌출된 결합관의 둘레에는 결빙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상기 결빙방지부재는 스티로폼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화분에는, 화분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면서 물을 저장하여 화분의 배양토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물 저장통과, 상기 물저장통안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공급호스로 연결되면서 화분의 외부 소정의 높이에 구비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공급호스의 단부측에 구비되면서 물탱크로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면서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출수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을 가지면서 내부면 상부 및 외부면 하부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 파이프와; 외부면 하부방향으로만 연장되어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지지 파이프를 포함하는 받침대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 파이프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부에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와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통기부재가 개별적 또는 혼합되어 구비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을 가지면서 내부면 상부 및 외부면 하부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 파이프와, 외부면 하부방향으로만 연장되어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지지 파이프를 포함하는 받침대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부에 저장조안의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흡수부재와; 상기 받침대의 내부면 상부 및 외부면 하부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 파이프에 결합되어 안치되면서 배양토가 갖추어지는 화분을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부에 흡수부재와 함께 통기부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파이프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화분의 내주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화분의 내부에는 돌출된 결합관의 둘레로 결빙방지부재가 갖추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급되는 물이 소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오버플로우되어 배수되도록 하는 결합관이 돌출,형성되면서 배양토가 갖추어지는 화분과; 상기 화분이 안치되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조명기구가 구비되는 조명박스를 포함하는 다기능 화분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화분의 측면 둘레면 전체에는 하나 이상의 투시막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결합관은 화분의 내부쪽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됨과 동시에, 화분의 외부 하부쪽으로도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결합관의 하부에는 화분에 물을 주었을때 결합관의 내부 돌출길이 이상의 물은 오버플로우되어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화분의 내주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상기 화분의 내부에는 결합관의 둘레로 결빙방지부재가 갖추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높이를 가지면서 내부에 조명기구가 구비되는 조명박스와; 상기 조명박스의 하부 양쪽, 양쪽 측면 또는 상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결합관을 가지면서 배양토가 갖추어지는 화분을 포함하는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조명박스의 하부 양쪽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투시막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결합관은 화분의 내부쪽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됨과 동시에, 화분의 외부 하부쪽으로도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결합관의 하부에는 화분에 물을 주었을때 결합관의 내부 돌출길이 이상의 물은 오버플로우되어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화분의 내주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화분의 내부에는 결합관의 둘레로 결빙방지부재가 갖추어지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조안의 물을 서포트내의 흡수부재를 통해 화분으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별도의 관리가 필요없고, 통기부재가 마련되어서 외부의 공기가 화분내로 통기되어서 화분 배양토의 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구를 마련하여 실내에서 광합성이 가능하여 실내에 산소공급을 통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분과 저장조 및 저장조로부터 화분을 지지해주는 서포트, 조명기구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구성 및 조합하여 자유자재로 조립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화분 조립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어, 설치하고자 하는 분해된 구성품을 운반하여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립,구성할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하며, 비용도 종래의 일반 화분에 비해 상당히 저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자동공급장치를 마련하여 저장조안에 물을 항상 소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조안에 구비되는 물로 인해 실내에서 가습효과를 발휘하고, 서포트내에 구비되는 흡수부재에 의해 물이 흡수되어 화분에 물 공급을 하므로,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화분에 물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항상 정화된 상태의 물이 공급되어 식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화분에 물을 주거나 또는 야외에서 빗물이 공급되는 경우, 화분의 배양토안으로 유입된 물이 화분속의 서포트의 흡수부재를 통해 저장조에 배수되더라도, 흡수부재로 인해 이물질이 여과되어 저장조안에는 항상 깨끗한 물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분의 하부에 받침대를 마련하고, 이 받침대에 방향성 흡수부재를 구비하여 저장조안의 물에 방향제를 타서 받침대까지만 결합된 서포트내의 흡수부재를 통해 방향제 성분이 흡수되어 상기 받침대의 방향성 흡수부재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물과 함께 증발하면서 실내에 향기를 발산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분 또는 화분과 저장조까지 감싸는 커버를 마련하여 동절기 또는 건기에 수분의 급격한 증발을 방지하고, 화분온도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여 보온 효과가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에 실내에서 조명기구를 켜놓아 식물의 광합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수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통기성을 가지면서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커버를 화분 조립체에 씌워서 조명기구로부터 나오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항 또는 수족관 역할을 하는 저장조안에 화분 조립체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어항 또는 수족관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 즉, 물고기를 기르고 물을 정화시키는 기능은 물론, 화분에 있는 식물의 성장 및 관리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벽걸이용, 스탠드형, 가로등, 나무, 전봇대 설치용, 벽 모서리부용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하여 조명기구가 구비된 화분 조립체인 경우에는 안내등 역할 등을 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조안에 모래,자갈, 솜,스폰지 등을 구비하여 화분이 기울어져서 물이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조안에 씨앗이나 수초 및 수생식물을 심어서 잎파리 호흡은 물론, 뿌리 호흡도 가능하게 하는 화분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산소와 이산화탄소 등이 풍부해져서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는 화분에 심어진 식물(육상식물)에 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규모가 큰 화분을 마련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물저장통을 화분의 배양토 내부에 매립하거나 또는 외부 상면에 비치하고, 소정 높이의 물탱크로부터 자동적으로 물을 공급받아 흡수부재를 통해 화분의 배양토안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조명기구 및 복수의 서포트를 마련한 다른 형태의 화분 조립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와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에 받침대가 구비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상태에서 조명커버를 구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b의 화분 조립체를 2단으로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와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a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서포트의 높이를 높게 하여 구비한 화분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하나의 저장조에 복수의 화분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어항 또는 수족관 형태에 화분 조립체를 마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에 조명 불빛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를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벽걸이 부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와 다른 구조의 벽걸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조명기구가 화분 조립체와 별도로 구비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구조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를 조명 스탠드에 구비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를 나무 또는 전신주에 구비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횡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다른 형태의 횡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를 벽 모서리부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에 적용되는 화분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화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c는 도 20b의 상태에서 화분의 하부에 받침대를 구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또 다른 형태의 화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 및 도 21과 또 다른 형태의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조의 다른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과 다른 형태의 저장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 및 도 24와 다른 형태의 저장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조명기구와 일체형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1b는 도 31a와 다른 배치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1)는, 물(W)을 저장하는 저장조(10)와, 이 저장조(10)의 중앙에 세워지는 서포트(20)와, 이 서포트(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저장조(10)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부에 구비되는 화분(30)을 포함한 구조이다.
상기 저장조(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서포트(20)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삽입부재(12)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삽입부재(12)는 저장조(10)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12)는 중실형 또는 내부 바닥면이 막힌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삽입부재(12)의 내부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조가 아니라, 홈 구조 또는 완전히 막힌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저장조(10)의 외부 하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편(14)이 돌출,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즉, 지지편(14)으로 인해 요철구조가 형성된 모습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지지편(14)으로 인해 그 사이로 뚫려있어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지지편(14)의 돌출높이 만큼 간격을 두고 떠있게 되어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조(10)를 지면에 안치하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끄러지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20)는 내부가 빈 중공형 파이프 형태를 가지고, 복수개의 단위 서포트들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한 구조를 가진다.
도 1a에서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포트(20)는 필요한 높이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도록 더 많거나 적게 분할,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20)는 복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저장조(10)안에 저장된 물속에 위치하는 관통공(21)은 물공급공 역할을 하고, 저장조(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관통공(22)은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통기공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전체 도면에서 편의상 관통공(21)은 서포트(20)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포트(2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20)의 내부에는 물의 흡수가 용이한 흡수부재(23)와,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통기부재(24)가 갖추어진다.
상기 흡수부재(23)는 부직포와 같이 물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고, 통기부재(24)는 공기가 소통되면서 물은 흡수하지 않는 재질, 예를 들어 일반적인 방수코팅 처리한 나일론 원사를 통해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수부재(23)는 서포트(20)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저장조(10)안의 물(W)을 서포트(20)의 관통공(21)을 통해 흡수하여 서포트(20)를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화분(30)안에 충전되어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배양토(C)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화분(30)의 내부에는 서포트(20)가 박혀 있는데, 이 서포트(20)의 둘레면을 따라 각각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의 연장편(23a)(24a)이 복수로 나와서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서포트(2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을 통해 서포트(20)의 내부에 구비된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23a)(24a)이 나와서 배양토(C)안에 삽입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흡수부재(23)의 연장편(23a)까지 저장조(10)안의 물(W)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화분(30)안에 고르게 물을 공급해줄 수 있고, 저장조(10)안의 물이 공급될때 흡수부재(23)에 의해 여과된 상태로 화분(30)안에 공급되므로, 항상 깨끗한 물 공급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통기부재(24)의 연장편(24a)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어 화분(30)안에 공기를 공급하여 미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여 양질의 배양토(C)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생성조건을 별도의 관리없이 자동적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a에서는 흡수부재(23)만이 서포트(20)의 최상단을 통해 돌출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화분(30)안에 구비된 서포트(20)의 최상단은 개방되어서 흡수부재(23) 또는 통기부재(24)가 연장, 노출된 상태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30)의 외부 바닥면에는 저장조(10)의 하부면과 마찬가지로 지지편(32)이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만일, 화분(30)에 심는 식물중 넝쿨 식물을 화분(30)에 심는 경우, 넝쿨식물이 성장하여 늘어지게 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상기 서포트(20)를 이용하여 화분(30)의 높이를 저장조(10)로부터 소정의 높이(H)로 높이면, 넝쿨 식물을 기르는 경우에도 아무런 지장이 없고, 화분(30)의 상부에서 물을 주는 경우, 화분(30)속으로 유입된 물이 서포트(20)의 흡수부재(23) 또는 통기부재(24)를 통해 내려가서 저장조(10)안에 배수되더라도, 흡수부재(23) 또는 통기부재(24)에 의해 여과된 상태로 배수되므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저장조(10)안에는 항상 정화된 물이 있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화분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적절한 시선 높이에 맞게 구비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눈에 띄고 확인이 용이하므로, 종래에는 식재된 식물의 크기에 비해 화분의 크기를 높게 구성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개업식 등과 같이 축하 화분으로 보내는 경우에는 더욱 더 화분 자체의 크기를 크게하면서도 높게 형성하여 심어진 식물이 사람의 눈 높이에 맞게 형성하여 자연스럽게 눈에 띄도록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조립체는, 종래와 같이 화분 자체를 크고 높게 제작할 필요가 없이, 서포트를 이용하여 화분(30)을 저장조(10)로부터 소정의 눈 높이에 맞게 구비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화분 조립체(1)는 저장조(10)와 화분(30)이 소정의 높이(H)로 배치된 구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분(30)을 저장조(10)안에 안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서는 하나의 화분(30)이 서포트(20)에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포트(20)의 길이를 연장하여 2개 이상의 복수단으로 화분(30)을 결합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와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분 조립체(1)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에 도시된 화분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화분(30)에는 화분(30)이 저장조(10)와 소정의 높이로 배치되도록 서포트(20)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한편, 서포트(20)의 측면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조 서포트(40)가 마련된다.
상기 보조 서포트(40)는 서포트(20)와 동일 구조를 가져서 복수의 단위 보조 서포트를 필요한 길이 만큼 결합하여 연장할 수 있는 구조이고, 서포트(20)와 마찬가지로 물을 공급하는 관통공(41)과, 공기가 소통될 수 있는 관통공(4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보조 서포트(40)는 설명의 편의상 메인 서포트기능을 하는 서포트(20)와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일뿐 어떤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따라서, 서포트(20)(40)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도 1b에서는 서포트(20)와 보조 서포트(40)의 하단부가 저장조(10)안의 바닥면에 세워진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서포트(20)와, 이 서포트(2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조 서포트(40)가 구비되기 때문에, 저장조(10)안에서 세워진 구조로만 지지되도록 하여도 충분히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조(10)의 바닥면에 바닥판(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이 바닥판에 서포트(20)와 보조서포트(40)를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저장조(10)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도 1a에 도시된 삽입부재(12)를 더 마련하고, 이 삽입부재(12)에 각각 서포트(20)와 보조 서포트(40)를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20)와 마찬가지로 보조 서포트(40)의 내부에는 저장조(10)안의 물(W)을 흡수하여 화분(30)안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재(43)와, 외부의 공기를 화분(30)안에 공급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통기부재(44)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보조 서포트(40)는 화분(30)을 보다 안정되면서도 확실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화분(30)안에 물 공급 및 공기의 공급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포트(20)와 보조 서포트(40)는 각각의 내부에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가 혼합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흡수부재(230와 통기부재(24)중 어느 하나씩개별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화분(30)의 하부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50)는 서포트(20)와 보조 서포트(40)가 관통되며, 서포트(20)와 보조 서포트(40)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50)는 다른 구조로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하부에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복수의 지지 파이프(51)(5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지지 파이프(51)는 관통된 구조를 가지면서 받침대(5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받침대(50)의 안쪽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지지 파이프(51)의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 파이프(52)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지지 파이프(52)도 관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지지 파이프(51)의 내부에는, 저장조(10)안에 있는 물을 화분(30)안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흡수부재(23)와,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통기부재(24)가 개별적 또는 함께 혼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50)는 저장조(10)안에서 지지 파이프(51)에 의해 지지되고, 그 위에 화분(30)을 결합하여 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파이프(51)는 측면 둘레에 위치하는 지지 파이프(52)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지지파이프(51)와 지지파이프(52)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0)의 삽입부재(12)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돌기(11)가 형성되고, 지지 파이프(51)를 상기 삽입부재(12)에 끼우면, 지지 파이프(51)의 하단부가 상기 돌기(11)에 접촉하면서 저장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의 틈이 형성되어서 물이 유입되고, 이 유입되는 물은 삽입부재(12)의 높이보다 높게 되면, 지지 파이프(51)의 내부에 구비된 통기부재(24)를 통과하여 흡수부재(23)에 도달하여 받침대(50)에 끼워진 화분(30)안에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52)는 저장조(10)의 바닥면에 안치되도록 한 구조로서, 지지파이프(52)의 하단부와 저장조(10)의 바닥면과의 틈으로 물이 유입되어 흡수부재(23)를 통해 화분(30)안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화분(30)의 내주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부직포와 같이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단열재(35)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겨울철에 물을 주지 않는 동안, 외부 온도가 낮더라도 단열재(35)로 인해 냉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화분(30)안의 식물의 뿌리를 냉기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고, 반면에 여름철에는 더운 외부 온도로부터 어느 정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지지파이프(51)의 흡수부재(23)를 통해 물이 흡수되면, 지지파이프(51)의 상단부와 단열재(35)가 접촉되어 있어, 흡수부재(23)의 물이 단열재(35)로 전달되어 화분(30)안으로 고르게 물을 공급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파이프(51)(52)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51a)(52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통기공(51a)을 통해 공급되어서 통기부재(24)에 의해 화분(30)안으로 공급될 수 있고, 지지파이프(52)안의 통기부재(24)로 공급되는 공기는 받침대(50)의 내부에 있는 방향성 흡수부재(45)와 소통되어서 흡수부재(23)와 접촉하고 있는 방향성 흡수부재(45)로부터 방향제가 공기중으로 발산될때, 수분과 함께 원활하게 발산되도록 해주어서, 실내가 쾌적한 상태로 조성해주며, 더욱이 수분도 대기중으로 증발되므로, 실내 가습역할도 해준다.
또한, 상기 받침대(50)의 내부에는 방향성 흡수부재(4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받침대(50)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하나의 받침대(50) 위에 다시 받침대(50)의 지지 파이프(51)를 통해 지지되도록 안치하고, 그 위에 화분(30)을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20)는 화분(30)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된 다음, 도 1c에 도시된 조명기구(60)를 설치하여 실내등 역할 및 화분(30)에 심어진 각종 식물의 광합성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구(60)는 조명갓(61)과, 그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예를 들어 LED 등)(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기구(60)는 다양한 조명 색상과 형태로 디자인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구(60)는 조명갓(61)안에 구비되는 램프(62)가 온/오프 되도록 전선(E)을 통해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는데, 서포트(20)의 내부로 전선(E)을 삽입하고, 저장조(10)안에 위치하는 서포트(2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23)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외부로 빼낸 다음, 어댑터의 케이블과 연결하여 실내에 구비된 전기 콘센트에 접속시켜서 전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c는 도 1b와 다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조 서포트(40)를 화분(30)안으로 삽입하지 않고, 받침대(50)까지만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보조 서포트(40)의 내부에는 저장조(10)안의 물(W)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43)가 삽입되고, 받침대(50)의 바닥면에는 방향제가 도포된 방향성 흡수부재(45)를 마련하면서 보조 서포트(40)의 상단부를 통해 보조 서포트(40)의 내부에 있는 흡수부재(43)와 연결(접촉 또는 일체로 연결된 구조)되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이럼으로써, 흡수부재(43)를 통해 저장조(10)안의 물(W)을 흡수하여 방향성 흡수부재(45)에 도달시키면, 증발이 일어나면서 방향성 흡수부재(45)에 있는 방향제 성분에 의해 향기(예를 들어 아로마향, 라일락 향 등)가 발산되어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방향성 흡수부재(45)는 물을 흡수하는 흡수부재(43)와 동일한 재질(예를 들어 부직포 등)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방향제는 천연 방향제 성분을 사용한다.
또한, 사용중 방향제 성분이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천연 방향제 오일을 방향성 흡수부재(45)에 떨어뜨려 향기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조(10)안에 존재하는 물(W)에 의해 가습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방향성 흡수부재(45)에 의해 향기가 발산되어 실내의 좋지 않은 냄새도 제거해줄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받침대(50)에 구비되는 방향성 흡수부재(45)에 의해 발산되는 향기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는, 방향성 흡수부재(45)가 구비된 받침대(50)를 간격을 두고 서포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 지지되게 하면서, 서포트(40)안의 흡수부재(43)와 소통되어 방향제 및 물이 공급되도록 복수로 구비하여 방향제의 발산되는 양이 충분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조(10)는 편의상 1개만을 구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분에 공급하는 물 공급량이 부족한 경우, 즉 화분(30)을 복수로구비하는 경우, 서포트에 저장조(10)를 복수로 구비하여 물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분(30)의 형태는 편의상 원통형을 이루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사각통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화분 조립체(1)에 조명커버(70)를 씌운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명커버(70)에는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71)이 형성되어서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고, 조명커버(70)의 하부 일측에는 투입공(7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커버(70)는 그 내부에 복수의 램프(73)를 구비할 수 있는데, 램프(73)의 배열에 따라 영업장소(꽃가게/식당 등)에서 광고용 문구를 만들거나 영업중임을 알릴 수 있도록 하여 관심을 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명커버(70)는 투입공(72)을 통해서는 저장조(10)안에 물을 보충해주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램프(73)를 온/오프하기 위한 전선을 투입공(72)을 통해 외부로 빼내어서 전원과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커버(70)는 여러 색상을 통해 다양한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조명커버(70)는 화분(30)의 최상단으로부터 저장조(10)의 상단부까지 끼워져서 조립할 수 있고, 필요시 상부로 간단히 들어올려서 분리할 수 있다.
조명커버(70)는 저장조(10)의 상단부에서 바깥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형성된 지지면(15)의 상부에 끼워지고, 이때, 둘레면(16)에 형성된 걸림돌기(16a)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조명커버(70)의 하부 안쪽면에는 걸림홈(70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로 끼움 및 분리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b의 화분 조립체를 2단으로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하나의 화분 조립체(A1)를 구비하고, 그 위에 동일한 구조의 화분 조립체(A2)를 구비하여 2단으로 구성한 구조이다.
즉, 화분 조립체(A1)(A2)는 저장조(10), 서포트(20), 화분(30), 받침대(50), 조명기구(60)를 조립한 화분 조립체를 2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2단 이상의 복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조명커버(70)와는 다르게, 화분(30)의 상단으로부터 씌워서 받침대(50)안에 구비되는 커버(8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0) 대신에, 화분(30)의 최상단으로부터 저장조(10)의 상부까지 덮을 수 있는 커버(8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상기 커버(80)(82)의 내부에는 조명커버(70)와 마찬가지로, 램프(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은은하게 비출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생동감있게 점멸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2단에 위치하는 저장조(10)는 중앙에 서포트(20)를 끼울 수 있는 삽입부재(12)가 저장조(10)의 물(W) 수위 보다 높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12)는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가져서 삽입부재(12)의 상부 및 하부로 서포트(20)를 연결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만일, 삽입부재(12)의 높이가 저장조(10)의 물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면, 저장조(10)안의 물이 삽입부재(12)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장조(10)안의 물이 온전히 2단 위치인 화분 조립체(B)의 화분(3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2단 위치에 해당하는 저장조(10) 및 그 위에 구비되는 서포트(20)에는, 서포트(20)의 외부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수단을 구비하는데, 이 흡수수단은, 부직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 흡수부재(26)를 연결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 흡수부재(26)는 튜브(27)안에 구비되어서 서포트(20)의 측면으로부터 하부의 저장조(10)안에 연장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튜브(27)안의 외부 흡수부재(26)가 저장조(10)안의 물과 접촉하여 물을 흡수하여 서포트(20)의 내부에 구비된 흡수부재(23)로 공급하고, 이 흡수부재(23)를 통해 화분(30)안에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물론, 보조 서포트(40)에는 이러한 별도의 외부 흡수부재(26)를 마련할 수도 있으나, 마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보조 서포트(40)는 저장조(10)를 관통하여 설치되지 않고 저장조(10)의 바닥면까지만 설치되기 때문에, 저장조(10)안의 물이 보조 서포트(40)의 하부를 지나서 저장조(10)의 하부로 흘러내릴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조 서포트(40)는 서포트(20)와 마찬가지로 화분 조립체(A1)(A2) 전체에 걸쳐서 관통,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서포트(20)와 마찬가지로 저장조(10)안에 보조 서포트(40) 결합을 위한 삽입부재(1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보조 서포트(40)의 외부에서 외부 흡수부재(26)를 마련하여 보조 서포트(40) 내부에 있는 흡수부재(43)로 저장조(10)안의 물(W)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 자동공급장치(90)를 마련하여 저장조(10)안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데, 물 공급호스(91)(또는 물공급 튜브)을 서포트(20)의 내부로 삽입하여 2개의 저장조(10)안에 비치되도록 하고, 화분 조립체(B)의 상부에는 물탱크(92)가 마련되어서 물 공급관(91)과 연결되어 저장조(10)안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물공급호스(9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데, 2단 위치의 화분 조립체(B)에 해당하는 저장조(10)안에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91a)가 마련된다.
따라서, 저장조(10)안의 물 수위가 줄어들어 토출구(91a)가 대기중에 노출되면, 물탱크(92)로부터 다시 물이 공급되어 저장조(10)안에 물을 채우게 되며, 토출구(91a)가 물에 잠기면 물 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20)의 내부에는 T자형 연결관(93)이 구비되어서 각각 물공급호스(91)가 연결되어서 하부 방향 및 측면방향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도 4a는 도 3a의 A-A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20)의 내부에 흡수부재(23) 및 통기부재(24)가 구비되고, 조명기구(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E)과 물공급호스(91)가 삽입되어 배열된 구조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20)의 내부에 원형을 이루는 흡수부재(23)를 삽입하고, 이 흡수부재(23)의 내부에 통기부재(24)와 전선(E) 및 물공급호스(91)을 구비하여 배열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화분 조립체로서, 저장조(10)안에 화분(100)이 삽입되는데, 화분(100)은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배양토(C)가 담겨지는 본체부(101)와, 이 본체부(101)의 하부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지지되는 지지관(102)을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지지관(102)은 저장조(10)안에 삽입되어서 소정의 높이로 화분(100)이 되도록 하고, 지지관(102)의 하단면은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편(10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관(102)의 둘레면에는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102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화분(100)의 내부에는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서포트(20)가 하나 이상 삽입되고, 서포트(20)의 내부에는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화분(100)의 본체부(101)의 내주면에는 흡수부재(104)와 통기부재(1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104)는 서포트(20)의 내부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연장편(23a)과 연결되어 물공급이 이루어지고, 통기부재(105)는 서포트(20)의 내부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편(24a)과 연결되어 공기가 소통되도록 한다.
도 7은 도 6과 다른 구조를 나타낸 평 단면도로서, 복수의 서포트(20)를 마련하고, 이 복수의 서포트(20)의 내부에 복수의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를 삽입하여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20)의 내부에서 외부로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의 연장편(23a)(24a)을 형성함과 동시에, 화분(100) 본체부(101)의 내주면에 상기 연장편(23a)(24a)과 연결되는 흡수부재(104)와 통기부재(10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럼으로써, 화분(100)의 내부에 고르게 물공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어 화분(30)안의 배양토(C)가 양질의 배양토(C)가 되고, 그에 따라 화분(100)안에 심어진 식물의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6과 또 다른 구조의 단면도로서, 서포트(20)의 높이를 보다 더 높게하여 저장조(10)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화분(100)이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화분(100)의 내부 즉, 배양토(C)의 내부에 별도의 흡수부재(106)와 통기부재(107)가 간격을 두고 분포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20)안에 구비된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의 각 연장편(23a)(24a)과 연결되어 물 공급 및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고, 화분(100)안의 내주면에 구비된 흡수부재(104)와 통기부재(105)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도 9는 도 8의 화분 조립체를 이용하여 조명기구를 조립하여 2단으로 구성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부에 위치하는 저장조(10)와, 그 위에 위치하는 화분(100)이 조립되고, 그 위에 저장조와 조명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일체형 저장조(110)이 마련되고, 이 일체형 저장조(110)의 상부에는 다시 화분(100)이 구비되며, 그 위에는 최종적으로 조명기구(60)가 설치된 구조이다.
이때, 서포트(20)는 하나 이상 구비하여 최하단에 위치하는 저장조(10)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하는 조명기구(60)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일체형 저장조(110)는 상부에 위치하면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111)와, 이 저장부(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조명부(112)로 이루어진다.
조명부(112)는 저장부(111)의 하부로 연장된 관 형태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램프(113)가 마련된다.
상기 일체형 저장조(110)의 저장부(111)의 바닥면에는 서포트(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재(114)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삽입부재(114)의 높이는 저장부(111)의 물 만수위보다 높게 형성하고, 외부에서 외부 흡수부재(26)를 연결하여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일체형 저장조(110)와 그 위에 연장되는 서포트(20)에는 2단에 위치하는 화분(100)안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흡수부재(26)가 서포트(20)의 둘레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연결된다. 물론, 외부 흡수부재(26)는 튜브(27)안에 구비되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도 9에 따른 화분 조립체에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물 자동공급장치(9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하나의 저장조(10)안에 하나 이상의 화분 조립체를 구비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화분 조립체는 도 1b에 도시된 화분 조립체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한 화분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수족관 역할을 하는 저장조(120)안에 구비된 화분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저장조(120)는 본체부(121)와, 이 본체부(121)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하부 받침판(122)과, 이 하부 받침판(122)의 상부에 간격을 두어서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받침판(123)으로 이루어지고, 이 하부 받침판(122)과 상부 받침판(123)을 관통하여 복수의 서포트(20)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부 받침판(123)의 상부에는 각종 물고기 들이 노닐 수 있는 공간인 어항부(F)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20)마다 화분(30)에 갖추어져서 복수의 화분 조립체(1)가 저장조(1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받침판(123)에는 복수의 통과공(123a)이 형성되고, 상부 받침판(123)은 전체면을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부재(124)가 감싸진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부 받침판(123)의 상부면에는 모래층(125)을 마련한다.
또한, 저장조(120)의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관(126)이 구비되어서 상부 받침판(123)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압축공기를 주입관(126)을 통해 주입하면, 그 공기 압력에 의해 공간부(S)안의 물이 통과공(123a)을 통해 상부 받침판(123)의 상부인 어항부(F)로 주입되고, 그러면 어항부(F)에는 신선한 물이 공급되고, 이때 물고기 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분비물들은 모래층(125) 및 필터부재(124)에 의해 필터링되어 공간부(S)로 주입되지 않는다.
도 12는 다른 형태의 수족관 역할을 하는 저장조(130)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저장조(130)의 본체부(131) 내부 일측에 정화기(140)를 마련하고, 그 위에 화분 조립체(1)를 설치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별도의 하부 받침판(132) 및 상부 받침판(133)에 의해 지지되는 화분 조립체(1)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정화기(140)는 케이스(141)와, 이 케이스(141)의 전체면을 감싸는 부직포 재질의 필터부재(142)와, 케이스(141)의 상부로 연장되는 토출관(143)과, 케이스(141)의 상부면 및 측면에 구비되는 모래층(144)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41)의 일측면에는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관(145)이 연결된 구조이다.
따라서, 주입관(145)을 통해 케이스(141)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서 토출관(143)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여 본체부(131)의 내부 공간에 신선한 물을 공급한다.
이때, 물고기 들에 의해 생성되는 분비물들은 모래층(144) 및 필터부재(142)에 의해 케이스(141)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여과된다.
도 13은 화분 조립체에 씌운 차광커버(15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b에 도시된 화분 조립체를 덮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차광커버(150)는 주름식으로 구성되고, 입구부에는 링(151)이 끼워져서 화분 조립체를 덮을때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차광커버(150)는 통기성을 가지면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조명기구(60)부터 나오는 불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차광커버(150)는 도 13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로 구현가능한바, 예를 들어 통기성을 가지면서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씌울 수 있도록 하는 차광커버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커버(70), 커버(80)(82) 및 차광커버(150)는 동절기나 건기 등에 수분의 급격한 증발과 화분온도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특히, 차광커버(150)는 조명기구(60)부터 최 하단의 저장조(100까지 씌우도록 되어 있어, 사무실이나 공공 건물 등에서 절전을 위해 난방을 끄는 경우, 기본적으로 외부의 차가운 공기로부터 차단해주는 역할외에, 조명기구(60)의 램프(62)에 의한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므로 화분(30)의 보온 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명커버(70), 커버(80)(82) 및 차광커버(150)는 상기 열거한 모든 구성의 화분 조립체는 물론,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분 조립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따른 화분 조립체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분 조립체를 안치한 벽걸이부재(160)를 벽(170)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벽걸이부재(160)는 "ㄴ"자형으로 구성되도록 수평으로 이루어진 받침대(161)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벽(170)에 밀착되는 지지대(162)로 이루어지고, 받침대(161)에는 화분 조립체의 저장조(10)가 안정되게 안치될 수 있는 삽입홈(161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지지대(162)의 상부에는 벽(170)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162a)이 형성되어서 나사, 볼트, 못과 같은 체결부재(163)를 통해 벽에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구조와는 다른 구조의 벽걸이부재(164)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벽걸이부재(164)는 상기 벽걸이부재(160)와 유사하게 "ㄴ"자형을 이루도록 받침대(164a)와, 이 받침대(164a)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벽(170)에 밀착되는 지지대(164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164a)에는 화분 조립체의 저장조(10)가 안정되게 안치될 수 있는 삽입홈(164a-1)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164b)는 상단부에 벽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164b-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64b)에는 조명기구(165)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대(164b)에는 한쌍을 이루는 연결부재(166)(166a)와, 한쪽 연결부재(166)에 연결편(167)을 통해 조명기구(165)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166)(166a)의 양쪽 단부는 지지대(1164b)에 감싸지도록 곡선형으로 절곡되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68)로 한쌍의 연결부재(166)(166a)를 조여서 지지대(164b)에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도 14b에서는 체결부재(168)로서 볼트의 전면만 도시되어 있지만, 배면에 해당하는 연결부재(166a)에는 너트가 결합되어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조명기구(165)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대(164b)로부터 체결부재(168)를 풀고 연결부재(166)(166a)를 지지대(164b)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이동하면, 연결부재(166)에 연결편(167)을 통해 결합된 조명기구(165)도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원하는 높이로 설정가능하며, 이런 다음에는 다시 체결부재(168)를 조여서 고정함으로써 조명기구(165)의 높이가 조절된다.
도 14b에 도시된 구조는 조명기구가 없는 화분 조립체를 사용하다가 조명기구가 구비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하며, 더욱이 조명기구(165)가 높이조절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므로, 화분조립체를 이루는 화분(30)안의 식물이 성장하더라도 식물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조명기구(165)가 고정된 화분 조립체의 경우에는 조명기구(165)로 인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식물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는바, 조명기구(165)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식물의 높이가 높아져서 조명기구(165)가 방해될 경우에는 조명기구(165)의 높이를 지지대(164b)로부터 높혀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조립체를 조명 스탠드(180)에 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조명 스탠드(180)의 받침대(181)에 삽입홈(181a)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181a)안에 저장조(10)가 삽입되어 안정되게 안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명 스탠드(180)에는 하나 이상의 화분 조립체를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조명 스탠드(180)는 통상적인 스탠드의 구성을 가지며, 상부에는 조명부(182)가 형성되어서 화분 조립체에 빛을 조사하여 화분(30)에 갖추어진 식물의 광합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조립체를 가로등 지주(190)(또는 나무, 전신주등)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가로등 지주(190)에 분할,조립가능한 화분 조립체를 마련하는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저장조(10)가 분할,조립되고, 이 저장조(10)안으로부터 상부로 서포트(20), 화분(30), 보조 서포트(40), 받침대(50)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저장조(10)는 조립시, 끼움돌기(10a)와 끼움홈(10b)이 형성되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립후 중앙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나무(190)가 위치하도록 각각 곡면(10c)(1/4 원호)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저장조(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되어서, 결착밴드(17)를 통해 나무(120)에 확실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조립식 구조의 저장조(10)는 외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저장조(10)가 조립되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가로등 지주(190)에 비치하는 경우에는 야간에 가로등 불빛에 의한 광합성 작용이 가능하여 산소 발생이 원활해지며, 또한, 나무 또는 전신주에 조명기구(60)를 구비한 화분 조립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로등 역할 또는 안내등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가로등 지주(190) 등에 설치되는 화분 조립체인 경우, 분할 조립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곳에 이동 설치가 용이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조립체를 벽 모서리부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벽 모서리부(200)에 평면에서 보았을때, 삼각형 모양의 저장조(10)를 마련하고, 이 저장조(10)안에 서포트(20), 화분(30)을 조립하여 화분 조립체(1)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0a는 화분(30)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화분(30)의 중앙에 서포트(20)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관(34)이 화분(30)의 내부 및 외부 하부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결합관(34)은 상부 및 하부로 소통되어 흡수부재(23) 및 통기부재(24)가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분(30)의 상부에서 화분(30)속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야외에서 비치하여 빗물이 공급되는 경우, 결합관(34)의 높이(D)만큼 물 저장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관(34)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서포트(20)를 연결하여 원하는 길이(또는 높이)로 형성할 수 있는데, 화분(30)내에서 상기 결합관(34)의 위로 서포트(20)가 결합되는 경우, 서포트(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수부재(23)로부터 연장편(23a)이 화분(3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D)까지의 영역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20b는 도 20a의 화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화분(30)의 외부 하부면에 형성된 지지편(32)의 돌출길이 보다 약간 짧게 결합관(34)을 형성하고, 이 결합관(34)의 내부에는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가 삽입되고, 화분(30)의 내부 둘레면에는 단열재(35)가 갖추어지며, 결합관(24)의 높이(D) 만큼의 하부 공간에는 결빙 방지부재(37)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단열재(35)는 부직포로 구성하여 물 흡수 기능 및 단열기능을 겸하도록 할 수 있는데, 겨울철에는 물이 흡수되지 않는 상태에서 외부의 찬 공기로부터 화분(30) 내부의 온도가 더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보온 기능을 가지고, 여름철에는 주변 온도가 높더라도 화분(30) 내부의 온도가 더 상승되지 않도록 하는 외부 열기 차단 기능을 가진다.
또한, 결빙 방지부재(37)는 예를 들어, 스티로폼재로 구성하여 물을 쉽게 흡수하지 않으면서, 특히 겨울철에 물이 일부 저장되어 있더라도 쉽게 결빙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마치, 땅속에 식물을 심은 것과 같은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화분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0c는 도 20b의 화분의 하부에 받침대(50)를 구비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받침대(50)에 화분(30)을 바로 안치하면, 지지편(32)에 의해 지지되면서 받침대(50)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편(32)의 돌출 길이만큼 높게 간격을 두고 안치되고, 이때 중앙에 위치하는 결합관(34)은 받침대(50)의 하부면으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화분(30)의 상부에서 물을 주는 경우, 결합관(34)의 돌출 높이까지의 하부 공간은 물 저장부 역할을 하여 화분(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지만, 물이 소진되는 경우, 결합관(34)의 내부 돌출 높이(D)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어서, 결합관(34)의 내부로 오버플로우 되어 받침대(50)의 내부에 흘러나오게 되고, 받침대(50)안에 흘러 나온 물은 다시 결합관(34)안의 흡수부재(23)를 통해 흡수되어서 화분(30)안에 공급된다.
또한, 도 21은 화분(30)의 중앙에 결합관(34)은 물론, 그 측면으로 보조 서포트(4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관(36)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이다. 물론, 상기 결합부(34)(36)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22는 도 6에 도시된 화분(100)에 서포트(20)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관(108)(109)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도 23은 저장조(10)에 서포트(20)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관(10e)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서, 결합관(10e)은 적어도 결합관(10e)의 높이를 저장조(10)안에 담겨지는 물의 최대 만수위와 동일하게 형성해야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장조(10)안에 담겨지는 물의 최대 만수위 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다.
만일, 결합관(10e)의 높이가 저장조(10)안에 담겨지는 물의 최대 만수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결합관(10e)에 결합되는 서포트와의 틈으로 인해 저장조(10)안의 물이 결합관(10e)안으로 유입되어서 하부로 흘러 내릴 수 있고, 그러면 서포트안의 흡수부재를 통해 상부로 물을 흡수하여 이동시키기 어렵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결합관(10e)가 앞에서 설명한 저장조(10)의 삽입부재(12)처럼 내부 바닥이 막힌 구조인 경우에는 반드시 저장조(10)의 물 만수위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할 필요가 없지만, 결합관(10e)아 중공형으로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저장조(10)의 물 만수위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해야 물 공급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24는 저장조(10)의 중앙에 결합관(10e)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면 방향으로 보조 서포트(4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관(10f)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 결합관(10f)도 결합관(10e)와 마찬가지로 저장조(10)의 물 만수위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저장조(10)는 서포트에 충분한 물공급을 위해 저장조(10)를 복수로 구비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고, 다단으로 화분 조립체를 구성하는데적합하다. 다시 말해서, 서포트를 저장조(10)의 내부 및 외부 하부를 통해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5는 저장조와 조명기구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 저장조(110)에서 결합
관(110a)(110b)이 일체로 형성되어 서포트(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일체형 저장조(110)에 형성되는 결합관(110a)(110b)도 상기 결합관(10e)(10f)와 마찬가지로 저장조(110)의 물 만수위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화분(30), 저장조(10)(100), 일체형 저장조(110)에 형성되는 결합관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져서, 결합관을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50)에도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저장조(10)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관통된 구조의 중공형을 가지는 결합관이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열거한 여러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저장조(10)안에는 모래, 자갈, 솜, 스폰지 등을 구비하여 화분 조립체가 기울어졌을때, 저장조(10)안의 물이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조(10)안에는 각종 씨앗, 수초 및 수생식물을 심어서 화분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속에서 자라는 식물(수생식물 등)은 육지식물의 잎파리 호흡과 다르게 뿌리에서도 호흡이 일어나기 때문에, 물을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 저장조(10)안에 고여있는 물에 심으면, 산소와 이산화탄소 등이 풍부해져서 육상식물을 구비한 화분(30)에 이로운 방향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조(10)에는 필요에 따라 화분(30)안의 각종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영양소를 공급하거나, 또는 해충의 박멸을 위해 살충제를 저장조(10)안에 공급하여 서포트안에 구비된 흡수부재(23)를 통해 화분(30)안으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조(10)안에 이산화탄소수를 타서 흡수되도록 하면, 화분(30)안의 배양토(C)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원활하게 발생하여 화분안의 식물이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식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반 대기중에서는 식물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부족하고, 실내인 경우에는 실내에 있는 사람의 호흡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데, 탄산수를 저장조(10)안에 공급함으로써, 식물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공급하여, 특히 실내에서는 산소발생기능으로 인한 실내 정화기능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행사장이나 이벤트 장소에서 꽂꽂이용 절화(折花)를 사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를 이루는 화분(30)에 절화를 꽂아 비치하면, 저장조(10)안의 물을 서포트(20) 내부의 흡수부재(23)를 통해 흡수하여 전시 기간동안 생동감 있는 상태로 절화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화분 조립체(200)의 분리 사시도로서, 화분(210)과, 이 화분(210)이 안치되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는 조명박스(220)로 이루어진다.
도 26에 도시된 화분(2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화분(210)은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화분(210)의 측면 둘레면 전체에는 하나 이상의 투시막(21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투시막(211)은 화분(210)의 측면에 구멍을 천공하고, 투명재질의 유리 또는 아크릴판 등으로 막은 상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210)의 내부에는 결합관(212)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 결합관(212)은 화분(210)의 내부쪽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됨과 동시에, 화분(210)의 외부 하부쪽으로도 약간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관(212)의 내부에는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가 갖추어질 수있다.
상기 결합관(212)의 하부에는 배수호스(213)를 연결하여 화분(210)에 물을 주었을때 결합관(212)의 내부 돌출길이 이상의 물은 오버플로우(over flow)되어서 배수호스(213)를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명박스(220)는 예를 들어 프레임(221)을 통해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하고, 측면에는 반투명재 또는 투명재의 칸막이부재(222)가 밀폐되게 결합된다.
또한, 조명박스(220)의 내부에는 조명기구(223)(예를 들어 형광등)가 갖추어져서 야간에 쉽게 구별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명 불빛에 의해 조명박스(220)의 칸막이부재(222)를 통해 외부로 반사되거나, 또는 상부에 위치하는 화분(210)을 비추도록 하여 화분(210)에 심미감을 더욱 증대시키고, 더욱이 화분(210)의 측면에 형성된 투시막(211)을 통해서도 은은하게 조명 불빛이 비쳐지도록 한다.
도 28은 화분 조립체(200)의 결합 단면도로서, 조명박스(220)의 하부는 관통되어서 배수호스(213)가 통과되도록 하고, 화분(210)은 상단부(210a)가 절곡,형성되고, 조명박스(22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프레임(221)에 형성되는 걸림턱(221a)에 화분(210)의 상단부(210a)가 안치되어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런 다음에, 둘레면을 따라 실리콘재 등으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화분 조립체(200)의 취급이 어려운 중량 및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조명박스(220)의 하부에는 바퀴(230)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바퀴(230)를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화분 조립체(30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소정 높이를 가지는 조명박스(310)와, 이 조명박스(310)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화분(320)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화분(300)은 조명박스(3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조명박스(310)의 상단부 또는 양쪽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박스(310)는 양쪽 측면에 반투명 또는 투명재의 칸막이부재(311)가 형성되고,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박스(310)의 내부에는 조명기구(312)가 갖추어져서 조명기구(312)의 불빛이 칸막이부재(311)를 통해 외부로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분(320)은 조명박스(310)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결합관(321)이 상기 화분(210)과 마찬가지로 형성되고, 배수호스(322)가 연결되어서 결합관(321)의 내부 돌출 높이 이상의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화분 조립체(300)를 이루는 화분(320)의 하부에는 화분 조립체(200)와 마찬가지로 바퀴(330)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화분(320)이 내주면에는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 단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열재(35)가 구비되고, 결합관(321)의 내부에는 흡수부재(23)와 통기부재(24)가 갖추어질 수 있다.
또한, 조명박스(310)의 양측 하부에는 투시막(313)이 형성되어 있어, 조명기구(312)의 불빛이 통과되어 화분(320)안에 있는 나무를 비추어서 보다 은은하면서도 시각적으로 심미감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시막(313)은 소정 크기의 구멍을 뚫고 유리 또는 아크릴판으로 막아서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200)(300)는 대형 화분을 구성함에 유용하고, 예를 들어 주차장 또는 넓은 장소의 필요한 위치에 원하는 갯수와 크기의 화분 조립체(200)(300)를 용이하게 비치할 수 있다.
화분 조립체(200)(300)를 이루는 조명박스(220)(310)의 하단부에는 바퀴(230)(330)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장소에 쉽게 비치 및 수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퀴(230)(330)는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이, 소정의 장소로 운반하여 비치하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200)(300)에 있어서, 조명박스(220)(310)안에 구비되는 조명기구(223)(312)는 형광등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LED 램프로 구성할 수 있는데, LED 램프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LED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구를 칸막이부재(222)(311)를 통해 외부에서 비추어서 보이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규모가 큰 화분(400)인 경우, 기본적인 구조는 화분(210) 또는 화분(320)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내부 및 하부 외부면에 돌출된 구조의 결합관(410)이 일체로 형성되고, 화분(400)의 내주면에는 단열재(420)가 갖추어진다.
여기서, 상기 화분(400)은 그 규모가 큰 경우로서, 식물 재배상자로서의 역할을 하면, 더욱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텃밭과 같은 개념의 케이스가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관(410)의 내부에는 흡수부재(411)와 통기부재(412)가 삽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결합관(410)의 내부에 흡수부재(411)와 통기부재(41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지만, 마련하는 경우에는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배양토(C)와 함께 바로 결합관(410)의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필터역할을 하는 것이다.
만일, 배양토(C) 또는 이물질이 오버플로우되는 물과 함께 결합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에는, 결합관(410)과 연결된 배수호스(414)가 막힐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관(410)의 하부에는 배수호스(414)를 연결하여 화분(400)안에 공급되는 물이 많은 경우(야외에서 우천시 등), 결합관(410)의 높이보다 수위가 높아지면 결합관(410)을 통해 물이 오버플로우되어서 배수호스(414)를 통해 배수된다.
또한, 화분(400)의 내부에 돌출된 결합관(410)의 높이 만큼의 둘레에는 상기 언급한 결빙방지부재(430)(예를 들어 스티로폼재)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화분(400)의 내부 또는 배양토(C)의 외부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물저장통(440)이 갖추어질 수 있고, 이 물 저장통(440)은 화분(400)의 외부 소정의 높이에 비치되는 물탱크(450)와 물공급호스(또는 물공급관)(451)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다.
도 31a에서 물탱크(450)는 화분(400)으로부터 약간 높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보다 높은 위치에 비치할 수 있고, 물저장통(440)은 화분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갯수로 비치하면 되며, 그에 맞추어서 물공급호스(45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물공급호스(452)를 마련하여 연결하면 된다.
물론, 물탱크(450)는 공지의 구조로서, 예를 들어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주입구 및 마개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도 31a 및 도 31b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1a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통(440)을 복수로 마련하는 경우, 물공급호스(45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물공급호스(452)를 마련하여 물 저장통(440)과 연결되어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통(440)에는 복수의 흡수부재(441)가 마련되어서 물저장통(440)안의 물을 흡수하여 배양토(C)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호스(451) 및 분기 물공급호스(452)의 단부측에는 물 공급호스(451)(452)를 통해 물탱크(450)안의 물이 배출되어서 물저장통(440)안에 저장되도록 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출수부재(454)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출수부재(454)는 어항 또는 수족관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할 때 사용하는 공지의 산소돌과 동일한 구조로서, 무게추와 같이 소정의 무게를 가져서 물저장통(440)의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450)로부터 물이 물공급호스(451) 및 분기 물공급호스(452)를 통해 물저장통(440)안에 채워지면서 출수부재(454)를 덮는 경우, 출수부재(454)가 공기와 차단되어서 물 공급은 중단되고, 이 상태에서 흡수부재(441)를 통해 물저장통(440)안의 물이 흡수되어 물저장통(440)안의 수위가 줄어들어 다시 출수부재(454)가 물로부터 노출되면, 다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물공급호스(451) 및 분기 물공급호스(452)는 예를 들어 물 저장통(440)의 상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는데, 물공급호스(451) 및 분기 물공급호스(4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공(440a)을 형성하여 물공급호스(451) 및 분기 물공급호스(452)가 헐겁게 끼워지도록 한다.
이런 경우에는 만일, 물 저장통(440)을 도 31과 반대로 화분(400)안에 매립하는 경우, 출수부재(454)의 무게에 의해 물저장통(440)의 하부로 보다 용이하게 내려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물 저장통(440)이 배양토(C)의 내부에 매립되는 경우, 공기가 소통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지만, 배양토(C) 자체가 여러 크기의 알갱이들로 구성되면서 압착된 상태가 아니므로 충분히 공기가 소통될 수 있다.
이럼으로써, 물공급호스(451) 및 분기 물공급호스(452)를 통해 물을 물저장통(440)안에 공급 또는 차단 기능을 발휘시, 관통공(440a)을 통해 공기가 소통되므로,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는다.
도 31b는 도 31a와 다른 배치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물저장통(440)을 화분(400)의 외부 즉, 배양토(C)의 상면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물저장통(440)의 내부로부터 배양토(C)의 내부로 복수의 흡수부재(441)을 삽입하여 물저장통(440)안의 물이 배양토(C)에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A1,A2 : 화분조립체
C : 배양토
D : 높이
E : 전선
F : 어항부
H : 높이
S : 공간부
W : 물
1 : 화분 조립체
10 : 저장조
10a : 끼움돌기
10b : 끼움홈
10c : 곡면
10d : 플랜지부
10e,10f : 결합관
12 : 삽입부재
14 : 지지편
15 : 지지면
16 : 둘레면
16a : 걸림돌기
17 : 결착밴드
20 : 서포트
21,22 : 관통공
23 : 흡수부재
24 : 통기부재
23a,24a : 연장편
26 : 외부 흡수부재
27 : 튜브
30 : 화분
32 : 지지편
34,36 : 결합관
35 : 단열재
37 : 결빙방지부재
40 : 보조 서포트
41,42 : 관통공
43 : 흡수부재
44 : 통기부재
45 : 방향성 흡수부재
50 : 받침대
51,52 : 지지 파이프
60 : 조명기구
61 : 조명갓
62 : 램프
70 : 조명커버
70a : 걸림홈
71 : 통기공
72 : 투입공
73 ; 램프
80,82 : 커버
90 : 물 자동공급장치
91 : 물 공급호스
91a : 토출구
92 : 물탱크
93 : 연결관
100 : 화분
101 : 본체부
102 : 지지관
102a : 통기공
103 : 지지편
104,106: 흡수부재
105,107 : 통기부재
108,109 : 결합부
110 : 일체형 저장조
111 : 저장부
112 : 조명부
113 : 램프
120 : 저장조
121 : 본체
122 : 하부 받침판
123 : 상부 받침판
123a ; 통과공
124 : 필터부재
125 : 모래층
126 : 주입관
130 : 저장조
131 : 본체부
132 : 하부 받침판
133 : 상부 받침판
140 : 정화기
141 : 케이스
142 : 필터부재
143 : 토출관
144 : 모래층
145 : 주입관
150 : 차광커버
160 : 벽걸이 부재
161 : 받침대
161a : 삽입홈
162 : 지지대
162a : 결합공
163 : 체결부재
164 : 벽걸이부재
164a : 받침대
164a-1 : 삽입홈
164b : 지지대
164b-1 : 결합공
165 : 조명기구
166,166a : 연결부재
167 : 연결편
168 : 체결부재
170 : 벽
180 : 조명 스탠드
181 : 받침대
181a : 삽입홈
190 : 나무
200 : 화분 조립체
210 : 화분
211 : 투시막
212 : 결합관
213 : 배수호스
220 : 조명박스
221 : 프레임
221a : 걸림턱
222 : 칸막이 부재
223 : 조명기구
230 : 바퀴
300 : 화분 조립체
310 : 조명박스
311 : 칸막이 부재
312 : 조명기구
313 : 투시막
320 : 화분
321 : 결합관
322 : 배수호스
330 ; 바퀴
400 : 화분
410 : 결합관
411 : 흡수부재
412 : 통기부재
420 : 단열재
430 : 결빙방지부재
440 : 물 저장통
440a : 관통공
441 : 흡수부재
450 : 물탱크
451 : 물공급호스
452 : 분기 물공급호스
454 : 출수부재

Claims (3)

  1.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안으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저장조안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와, 물을 흡수하지 않고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통기성을 가지는 통기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의 상부에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램프를 가지는 조명부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저장조;
    를 포함하여 1단으로 구성되는 화분 조립체가 복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단의 화분 조립체의 최종단수에 해당하는 화분의 상부에는 서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서포트의 일측면 외부에는, 일체형 저장조의 저장부안의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외부 흡수부재와, 이 외부 흡수부재를 감싸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흡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하부로부터 본체부의 내부로 하나 이상 삽입되면서 저장조안에 있는 물을 흡수하여 본체부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재와, 물을 흡수하지 않고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통기성을 가지는 통기부재가 구비되는 서포트를 구비함과 동시에, 저장조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저장조의 저장부의 내부에는 관통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결합관이 형성되고, 이 결합관은 저장부의 높이와 동일 또는 그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
KR1020160111474A 2014-11-05 2016-08-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1790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2945 2014-11-05
KR1020140152945 2014-11-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948A Division KR101694412B1 (ko) 2014-11-05 2015-03-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816A KR20160108816A (ko) 2016-09-20
KR101790143B1 true KR101790143B1 (ko) 2017-10-25

Family

ID=56023543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948A KR101694412B1 (ko) 2014-11-05 2015-03-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50156547A KR20160053836A (ko) 2014-11-05 2015-11-09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60111474A KR101790143B1 (ko) 2014-11-05 2016-08-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60111476A KR20160105760A (ko) 2014-11-05 2016-08-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60111477A KR20160105761A (ko) 2014-11-05 2016-08-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60111475A KR101898581B1 (ko) 2014-11-05 2016-08-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60144975A KR101737934B1 (ko) 2014-11-05 2016-11-02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948A KR101694412B1 (ko) 2014-11-05 2015-03-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50156547A KR20160053836A (ko) 2014-11-05 2015-11-09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476A KR20160105760A (ko) 2014-11-05 2016-08-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60111477A KR20160105761A (ko) 2014-11-05 2016-08-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60111475A KR101898581B1 (ko) 2014-11-05 2016-08-31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0160144975A KR101737934B1 (ko) 2014-11-05 2016-11-02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1694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335B1 (ko) * 2018-04-19 2019-02-22 김서연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7598B2 (en) 2015-11-20 2020-02-11 Evolution Lighting, Llc Floor lamp with integrated plant growth system
CN107743783A (zh) * 2017-08-03 2018-03-02 贾新发 一种接地气式多功能盆器
KR20190027494A (ko)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녹색세상 화분
KR102180097B1 (ko) * 2018-01-10 2020-11-17 주식회사엠오그린 조명화분
CN110092434B (zh) * 2018-01-30 2021-07-27 东北师范大学 一种人工仿生植物净化***
CN108718766A (zh) * 2018-05-29 2018-11-02 深圳文科园林股份有限公司 增强补光罩及其制作方法
CN109601376B (zh) * 2018-10-24 2023-11-17 杭州师范大学 克隆植物功能性状观察装置及操作方法
KR102186490B1 (ko) 2019-02-08 2020-12-03 양지선 화분과 조명을 포함하는 조형물
KR102558209B1 (ko) * 2021-07-12 2023-07-27 (주)하우사인 입식 광고장치
KR102492267B1 (ko) * 2021-08-06 2023-01-27 (주)하톤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CN113728835A (zh) * 2021-08-31 2021-12-03 刘轲 一种用于市政园林工程绿化景观的循环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925B2 (ja) 1989-09-29 2000-04-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副旋律生成装置及び楽曲パート生成装置
KR101012028B1 (ko) 2010-08-09 2011-01-31 동양기업(주) 화분 및 관수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펜스시스템
KR200472887Y1 (ko) 2013-10-18 2014-06-12 윤병섭 지지 구조물을 가지는 다용도 화분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925A (ja) * 1989-07-04 1991-02-15 Kubota Corp 管の切断設備
JP3035925U (ja) * 1996-09-19 1997-04-08 幸一 国分 植木鉢
KR200179704Y1 (ko) * 1999-12-09 2000-04-15 왕영성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20120135612A (ko) * 2011-06-07 2012-12-17 이병수 향 발생장치
KR101531658B1 (ko) * 2012-12-20 2015-06-25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용기
JP2014147326A (ja) * 2013-01-31 2014-08-21 Koito Electric Industries Ltd 照明付透明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925B2 (ja) 1989-09-29 2000-04-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副旋律生成装置及び楽曲パート生成装置
KR101012028B1 (ko) 2010-08-09 2011-01-31 동양기업(주) 화분 및 관수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펜스시스템
KR200472887Y1 (ko) 2013-10-18 2014-06-12 윤병섭 지지 구조물을 가지는 다용도 화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335B1 (ko) * 2018-04-19 2019-02-22 김서연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816A (ko) 2016-09-20
KR20160053748A (ko) 2016-05-13
KR101694412B1 (ko) 2017-01-09
KR101737934B1 (ko) 2017-05-19
KR20160105761A (ko) 2016-09-07
KR20160053836A (ko) 2016-05-13
KR20160105760A (ko) 2016-09-07
KR101898581B1 (ko) 2018-09-13
KR20160130960A (ko) 2016-11-15
KR20160108270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143B1 (ko)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KR100377569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102076358B1 (ko) 벽면녹화 및 공기정화 시스템
KR20150082887A (ko)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101176434B1 (ko) 어항을 구비한 화분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10037757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20080097302A (ko) 벽면 조경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66962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CN109602229A (zh) 一种多功能的花盆架
KR200416056Y1 (ko) 난 인큐베이터
JP2004081088A (ja) 自動施肥・灌水装置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2474558B1 (ko) 다목적 책상 혹은 테이블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2537574B1 (ko) 직수 급수방식의 실내 벽면 녹화장치
JP3196710U (ja) 緑化システム
KR20180002505U (ko) 다단 분리 가능한 화분
KR101368186B1 (ko) 다단 식물 재배 장치
KR102180097B1 (ko) 조명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