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875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875B1
KR100884875B1 KR1020077005520A KR20077005520A KR100884875B1 KR 100884875 B1 KR100884875 B1 KR 100884875B1 KR 1020077005520 A KR1020077005520 A KR 1020077005520A KR 20077005520 A KR20077005520 A KR 20077005520A KR 100884875 B1 KR100884875 B1 KR 10088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determination
rope
main rope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204A (ko
Inventor
히로유키 나카가와
고에이 마츠카와
요시카츠 하야시
에이지 안도
아츠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8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권상기의 구동 시브 및 종동 시브에는, 카 및 균형추가 매달리는 주 로프가 감아 걸려져 있다. 권상기에는, 구동 시브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측 속도 검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종동 시브에는, 종동 시브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종동측 속도 검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측 속도 검출부 및 종동측 속도 검출부는, 운전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운전 제어 장치는, 구동측 속도 검출부 및 종동측 속도 검출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시브 및 종동 시브의 각 회전 속도의 속도차를 구하고, 구한 속도차와 미리 설정된 설정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뮤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판정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카 및 균형추가 권상기(traction machine)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견인(traction)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 및 균형추의 주행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구동 시브(traction sheave)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권상기에 마련되는 것이 있다. 구동 시브에는, 카 및 균형추를 매다는 주 로프가 감겨져 있다.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에 의해 구동 시브의 회전이 제동되면, 카 및 균형추의 주행은, 구동 시브와 주 로프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211841 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주 로프의 표면의 마모나 주 로프의 표면에 부착되는 기름, 물 혹은 먼지 등에 의해 구동 시브와 주 로프 사이의 마찰력이 저하하면, 구동 시브와 주 로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카의 정지 위치가 정규의 정지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승강로 바닥부의 완충기에 카가 충돌하는 불량이 생겨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동 시브와 주 로프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 본체와, 권상기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시브를 갖는 권상기, 구동 시브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종동 시브, 구동 시브 및 종동 시브에 감긴 주 로프, 주 로프에 의해 매달린 카 및 균형추, 구동 시브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측 속도 검출부, 종동 시브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종동측 속도 검출부 및 구동측 속도 검출부 및 종동측 속도 검출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시브 및 종동 시브의 각 회전속도의 속도차를 구하고, 구한 속도차와 미리 설정된 설정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판정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운전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권상기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Ⅲ-O-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로프 캐치용 가동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권상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상부에는, 권상기(traction machine)(2)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2)는, 권상기 본체(3)와, 권상기 본체(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시브(4)를 갖고 있다. 또한, 승강로(1) 상부에는, 구동 시브(4)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종동 시브인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5)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에는, 복수 라인의 주 로프(6)가 감겨 걸려 있다. 승강로(1) 내에는, 각 주 로프(6)에 의해 카(7) 및 균형추(8)가 매달려 있다. 각 주 로프(6)는 구동 시브(4)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카(7) 및 균형추(8)는 각 주 로프(6)의 이동에 의해 승강된다. 또, 디플렉터 풀리(5)는 각 주 로프(6)의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권상기(2)에는, 구동 시브(4)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시브 브레이크 장치(9)와, 각 주 로프(6)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각 주 로프(6)의 이동을 직접 제동하기 위한 로프 캐치 장치(rope catch apparatus)(10)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2)에는, 구동 시브(4)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측 속도 검출부인 구동 시브용 엔코더(11)가 마련되어 있다. 디플렉터 풀리(5)에는,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종동측 속도 검출부인 디플렉터 풀리용 엔코더(12)가 마련되어 있다. 또, 구동측 속도 검출부 및 종동측 속도 검출부로서는, 예를 들면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나 타코 제너레이터(tacho-generator) 등을 들 수 있다. 구동 시브용 엔코더(11) 및 디플렉터 풀리용 엔코더(12)의 각각은 승강로(1)내에 설치된 운전 제어 장치(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운전 제어 장치(13)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부인 판정 회로(14)와, 판정 회로(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인 제어 회로(15)를 갖고 있다.
판정 회로(14)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설정 기준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판정 회로(14)는, 구동 시브용 엔코더(11) 및 디플렉터 풀리용 엔코더(12)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해서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각의 회전 속도의 속도차를 구하고, 구한 속도차와 설정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게 되어 있다. 즉, 판정 회로(14)는,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각의 회전속도의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보다도 작을 때에 엘리베이터가 정상이라는 판정(정상판정)을 실행하고,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이상일 때에 엘리베이터가 이상이라는 판정(이상판정)을 실행하게 되어 있다. 판정 회로(14)는, 판정 결과, 즉 정상판정 및 이상판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판정 정보를 제어 회로(15)로 전송하게 되어 있다. 판정 회로(14)는 또한, 구동 시브용 엔코더(1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해서 구동 시브(4)의 회전속도를 구하고, 구동 시브(4)의 회전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정지 정보를 제어 회로(15)에 전송하게 되어 있다.
제어 회로(15)는 판정 회로(14)로부터의 판정 정보 및 정지 정보에 기초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즉, 제어 회로(15)는, 이상판정의 판정 정보 혹은 정지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입력되었을 때에, 구동 시브(4)의 회전 및 각 주 로프(6)의 이동을 각각 제동하도록, 시브 브레이크 장치(9) 및 로프 캐치 장치(10)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 회로(15)는, 정상 판정의 판정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입력되었을 때에, 구동 시브(4)의 회전 및 각 주 로프(6)의 이동의 각각의 제동을 해제하도록, 시브 브레이크 장치(9) 및 로프 캐치 장치(10)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권상기(2)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Ⅲ-0-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권상기 케이스(16)내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주 축(17)이 지지되어 있다. 구동 시브(4)는 주 축(17)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구동 시브(4)는 권상기 케이스(16)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시브(4)는, 각 주 로프(6)가 감긴 시브부(18)와, 주 축(17)의 축선방향에 대해서 시브부(18)에 인접하는 환상부(19)를 갖고 있다. 시브부(18) 및 환상부(19)는 서로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시브(4)의 측부에는, 시브부(18) 및 환상부(19)에 의해 오목부(20)(도 3)가 형성되어 있다. 시브부(18)의 외주부에는, 시브부(18)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주 로프 홈(21)(도 3)이 마련되어 있다. 각 주 로프(6)는 주 로프 홈(21)을 따라 시브부(18)에 각각 감겨 걸려 있다.
환상부(19)와 권상기 케이스(16)의 사이에는, 구동 시브(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인 모터(22)가 마련되어 있다(도 3). 모터(22)는, 환상부(19)의 외주면에 고정된 복수의 영구자석(23)과, 권상기 케이스(16)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영구자석(23)에 대향하는 고정자(24)를 갖고 있다. 구동 시브(4) 및 각 영구자석(23)은 고정자(24)로의 통전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게 되어 있다. 또, 권상기 본체(3)는 권상기 케이스(16), 주 축(17) 및 모터(22)를 갖고 있다.
시브 브레이크 장치(9)는, 오목부(20)내, 즉 환상부(19)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프 캐치 장치(10)는 시브부(18)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로프 캐치 장치(10)는 시브부(18)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시브 브레이크 장치(9) 및 로프 캐치 장치(10)는 권상기 케이스(16)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시브 브레이크 장치(9) 및 로프 캐치 장치(10)는 권상기 케이스(16)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브 브레이크 장치(9)는 주 축(17)에 대해서 대칭 위치에 한쌍 배치되어 있다. 각 시브 브레이크 장치(9)는 환상부(19)의 내주면에 접근 및 분리가능한 제동 부재인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와, 환상부(19)의 내주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를 가압하는 시브 브레이크용 가압 스프링(26)(도 2)과, 환상부(19)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시브 브레이크용 가압 스프링(26)의 가압에 대항하여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를 변위시키기 위한 시브 브레이크용 전자 마그넷(27)을 갖고 있다.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는, 가동 부재(28)와, 가동 부재(28)에 마련되고, 가동 부재(28)의 변위에 의해 환상부(19)의 내주면에 접근 및 분리하는 브레이크 라이닝(29)을 갖고 있다. 가동 부재(28)의 일단부는 핀(30)(도 2)에 의해 권상기 케이스(16)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라이닝(29)은 가동 부재(28)가 핀(3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환상부(19)의 내주면에 접근 및 분리된다.
시브 브레이크용 가압 스프링(26)은 각 가동 부재(28)의 타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시브 브레이크용 전자 마그넷(27)은 주 축(17)과 가동 부재(2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도 2). 각 브레이크 라이닝(29)은, 시브 브레이크용 전자 마그넷(27)으로의 통전에 의해 환상부(19)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시브 브레이크용 전자 마그넷(27)으로의 통전의 정지에 의해 환상부(19)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구동 시브(4)의 회전은 환상부(19)의 내주면으로의 각 브레이크 라이닝(29)의 접촉에 의해 제동된다. 또한, 구동 시브(4)의 회전의 제동은 환상부(19)의 내주면으로부터의 각 브레이크 라이닝(29)의 분리에 의해 해제된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 캐치 장치(10)는, 시브부(18)의 직경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제동 부재인 로프 캐치용 가동체(31)와,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를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32)를 갖고 있다.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는, 가동 부재(33)와, 가동 부재(33)에 마련된 브레이크 라이닝(34)을 갖고 있다.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는, 구동 시브(4)에 각 주 로프(6)를 거쳐서 가압되는 제동 위치(도 4)와, 각 주 로프(6)로부터 분리되는 개방 위치(도 5) 사이에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크 라이닝(34)은,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에 있을 때 각 주 로프(6)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변위 장치(32)는, 시브부(18)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를 가압하는 로프 캐치용 가압 스프링(35)과, 시브부(18)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로프 캐치용 가압 스프링(35)의 가압에 대항하여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를 변위시키기 위한 로프 캐치용 전자 마그넷(36)을 갖고 있다.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는 제동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변위 장치(32)에 의해 변위된다. 즉,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는, 로프 캐치용 가압 스프링(35)의 가압에 의해 제동 위치로 변위되고, 또 로프 캐치용 전자 마그넷(36)으로의 통전에 의해, 로프 캐치용 가압 스프링(35)의 가압에 대항하여 분리 위치로 변위된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브레이크 라이닝(34)은,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 로프 캐치용 가압 스프링(35)의 가압에 의해 각 주 로프(6)의 표면을 따라 변형되어 있다. 또한, 각 주 로프(6)의 주 로프 홈(21)으로의 가압력은 로프 캐치용 가동체(31)의 제동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증가하고 있다. 각 주 로프(6)에는,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제동력이 부여된다. 즉, 각 주 로프(6)의 이동은, 로프 캐치용 가동체(31)에 의한 각 주 로프(6)의 구동 시브(4)로의 가압에 의해 제동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판정 회로(14)에서는, 구동 시브용 엔코더(11) 및 디플렉터 풀리용 엔코더(12)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각의 회전속도의 속도차가 상시 구해지고 있다.
판정 회로(14)에서 구해진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정상판정의 판정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로 전송된다. 정상판정의 판정 정보가 제어 회로(15)에 입력되면, 제어 회로(15)의 제어에 의해, 시브 브레이크용 전자 마그넷(27) 및 로프 캐치용 전자 마그넷(36)의 각각으로의 통전이 행하여진다. 이로써,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가 환상부(19)로부터 분리되어,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써, 구동 시브(4)의 회전 및 각 주 로프(6)의 이동의 각각의 제동은 해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각 주 로프(6)와 구동 시브(4)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판정 회로(14)에서 구한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 이상판정의 판정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에 전송된다. 이상판정의 판정 정보가 제어 회로(15)에 입력되면, 제어 회로(15)의 제어에 의해, 시브 브레이크용 전자 마그넷(27) 및 로프 캐치용 전자 마그넷(36)의 각각으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로써,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는 환상부(19)에 접하는 위치로 변위되고,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는 제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써, 구동 시브(4)의 회전 및 각 주 로프(6)의 이동의 각각이 제동되어, 카(7) 및 균형추(8)의 주행이 정지된다.
또, 통상의 운전 제어에 의해 구동 시브(4)의 회전이 정지되었을 경우에는, 정지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에 전송된다. 정지 정보가 제어 회로(15)에 입력되었을 때에도, 시브 브레이크 장치(9) 및 로프 캐치 장치(10)는 제어 회로(15)에 의해 이상판정의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와 같이 제어된다. 즉, 제어 회로(15)의 제어에 의해,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가 환상부(19)에 접하는 위치로 변위되고,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써, 카(7) 및 균형추(8)의 정지 위치가 유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각의 회전속도의 속도차와 설정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미끄러짐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고,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불량, 예를 들면 구동 시브(4)가 헛돌아 카(7)의 주행이 불가능해져버리거나, 구동 시브(4)의 정지시에 각 주 로프(6)가 미끄러져서 카(7)가 상승 혹은 하강해버리는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시브(4)는 카(7) 및 균형추(8)에 의해 큰 부하가 걸린 각 주 로프(6)를 회전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디플렉터 풀리(5)는, 각 주 로프(6)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 사이에서는, 디플렉터 풀리(5)와 각 주 로프(6) 사이보다도 미끄러짐이 극단적으로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디플렉터 풀리(5)와 각 주 로프(6) 사이에서는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를 각 주 로프(6)의 이동 속도로 간주할 수 있다. 즉,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각의 회전속도의 속도차를 구하는 것에 의해,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의 사이의 미끄러짐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로프 캐치 장치(10)는, 시브부(18)에 각 주 로프(6)를 거쳐서 가압되는 제동 위치와 각 주 로프(6)로부터 분리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로프 캐치용 가동체(31)와, 제동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를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32)를 갖고 있으므로,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마찰력 뿐만 아니라, 로프 캐치용 가동체(31)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도, 각 주 로프(6)의 이동을 제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주 로프(6)를 보다 확실히 제동할 수 있고,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주 로프(6)를 파지하기 위해서 구동 시브(4)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로프 캐치 장치(10)의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또 로프 캐치 장치(10)의 설치 스페이스(space)도 축소화할 수 있다.
또, 제어 회로(15)는, 판정 회로(14)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판정되었을 때에,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변위 장치(3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미끄러짐이 발생했을 때에, 각 주 로프(6)를 보다 확실히 제동할 수 있고, 카(7) 및 균형추(8)의 주행을 보다 확실히 정지할 수 있다. 이로써,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운전 제어 장치(13)는, 구동 시브(4)의 회전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가 환상부(19)에 가압되도록 시브 브레이크 장치(9)를 제어하고,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로프 캐치 장치(10)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카(7)로의 승객의 승강시에, 각 주 로프(6)와 구동 시브(4)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해 카(7)가 상승 혹은 하강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주 로프(6)와 구동 시브(4)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시브(4)는 시브부(18)와 환상부(19)가 서로 일체로 되어 있지만, 시브부(18) 및 환상부(19)를 서로 분리해도 좋다. 이 경우, 주 축(17)은 권상기 케이스(16)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시브부(18) 및 환상부(19)는 주 축(17)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주 축(17)에 각각 고정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캐치 장치(10)가 권상기 케이스(16)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상기 케이스(16)의 일부를 개방하여, 로프 캐치 장치(10)를 외부에 노출시켜도 좋다. 이렇게 하면, 로프 캐치 장치(10)의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 캐치 장치(10)는 디플렉터 풀리(5)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는 디플렉터 풀리(5)에 각 주 로프(6)를 거쳐서 가압되는 제동 위치와, 각 주 로프(6)로부터 분리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는 제동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변위 장치(32)에 의해 변위된다. 변위 장치(32)는 제어 회로(15)에 의해 제어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디플렉터 풀리(5)에 각 주 로프(6)를 거쳐서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각 주 로프(6)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로프 캐치용 가동체(31)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각 주 로프(6)의 이동을 제동할 수 있고, 실시형태 1과 같이 각 주 로프(6)를 보다 확실히 제동할 수 있다. 또한, 로프 캐치 장치(10)의 부품수의 삭감에 의한 저 비용화나 로프 캐치 장치(10)의 설치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1대의 로프 캐치 장치(10)에 의해 각 주 로프(6)의 이동이 제동되도록 되어 있지만, 2대의 로프 캐치 장치에 의해 각 주 로프(6)를 제동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한쪽의 로프 캐치 장치는, 구동 시브(4)에 각 주 로프(6)를 거쳐서 로프 캐치용 가동체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각 주 로프(6)를 제동하도록 되고, 다른 쪽의 로프 캐치 장치는, 디플렉터 풀리(5)에 각 주 로프(6)를 거쳐서 로프 캐치용 가동체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각 주 로프(6)를 제동하도록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디플렉터 풀리(5) 자체는 제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지만,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디플렉터 풀리(5)에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브레이크 장치는 디플렉터 풀리(5)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은 시브 브레이크 장치(9)와 동일하게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디플렉터 풀리(5)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 이외에, 각 주 로프(6)가 감겨 걸리는 시브[예컨대, 승강로(1) 상부에 마련되어 각 주 로프(6)의 방향 전환을 위한 복귀 풀리 혹은 카(7) 및 균형추(8)에 마련되어 카(7) 및 균형추(8)를 매달기 위한 매달기 풀리 등]가 승강로(1)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시브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로프 캐치 장치(10)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이들의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시브에 마련해도 좋다.
(실시형태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권상기(2)의 아래쪽에는, 각 주 로프(6)를 붙잡아 각 주 로프(6)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한 로프 캐치 장치(41)가 마련되어 있다. 로프 캐치 장치(41)는 각 주 로프(6)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42)와, 파지부(42)를 구동하는 변위 장치(43)를 갖고 있다.
파지부(42)는, 권상기(2)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부(44)와, 고정부(44)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제동 부재인 가동부(45)를 갖고 있다. 가동부(45)는 고정부(44)에 각 주 로프(6)를 거쳐서 가압되는 제동 위치와, 각 주 로프(6)로부터 분리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주 로프(6)에는, 가동부(45)가 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즉, 각 주 로프(6)의 이동은, 가동부(45)가 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부(45)와 각 주 로프(6) 사이 및 고정부(44)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각각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된다. 카(7) 및 균형추(8)는 각 주 로프(6)의 제동에 의해 정지된다. 또한, 각 주 로프(6)의 제동은, 가동부(45)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해제된다.
변위 장치(43)는 제동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가동부(45)를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변위 장치(43)는, 고정부(4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동부(45)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46)과, 고정부(4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 스프링(46)의 가압에 대항하여 가동부(45)를 변위시키기 위한 전자 마그넷(47)을 갖고 있다. 가동부(45)는, 전자 마그넷(47)으로의 통전에 의해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전자 마그넷(47)으로의 통전의 정지에 의해 제동 위치로 변위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로프 캐치 장치(4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상판정의 판정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에 전송되어 있을 경우, 로프 캐치 장치(41)에서는, 제어 회로(15)의 제어에 의해, 전자 마그넷(47)에 통전되어, 가동부(45)가 개방 위치로 변위되어 있다. 이로써, 각 주 로프(6)의 이동의 제동이 해제되어, 카(7) 및 균형추(8)가 구동 시브(4)의 회전에 의해 주행된다.
이상판정의 판정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로 전송되었을 경우, 로프 캐치 장치(41)에서는, 제어 회로(15)의 제어에 의해, 전자 마그넷(47)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로써, 가동부(45)가 개방 위치로부터 제동 위치로 변위되어, 각 주 로프(6)가 파지부(42)에 의해 파지된다. 이로써, 각 주 로프(6)의 이동이 제동되어, 카(7) 및 균형추(8)의 주행이 정지된다.
또, 정지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로 전송되었을 경우, 로프 캐치 장치(41)에서는, 제어 회로(15)의 제어에 의해, 전자 마그넷(47)의 통전이 정지되고, 가동부(45)가 제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써, 각 주 로프(6)가 파지부(42)에 의해 파지되고, 카(7) 및 균형추(8)의 정지 위치가 유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고정부(44)와 가동부(45) 사이에서 각 주 로프(6)가 파지되는 것에 의해 각 주 로프(6)의 이동이 제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 주 로프(6)를 보다 확실히 제동할 수 있고,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해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캐치 장치(41)는 권상기(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각 주 로프(6)의 이동이 파지부(42)의 파지에 의해 제동되도록 되어 있으면 좋으므로, 로프 캐치 장치(41)의 위치는 권상기(2)의 아래쪽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플렉터 풀리(5)의 하방이나 구동 시브(4)와 디플렉터 풀리(5) 사이 등에 로프 캐치 장치(41)를 배치해도 무방하다.
(실시형태 4)
또,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만이 판정 회로(14)에 의해 판정되고, 이상의 레벨까지는 판정되도록 되어 있지는 않지만,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레벨도 판정 회로(14)에 의해 단계적으로 판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즉, 판정 회로(14)에는, 설정 기준값보다도 큰 값인 고 레벨 설정값이 더 설정되어 있다. 판정 회로(14)는, 구한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 이상이고, 또 고 레벨 설정값보다도 작을 때에 저 레벨 이상의 판정을 실행하고, 구한 속도차가 고 레벨 설정값 이상일 때에 고 레벨 이상의 판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판정 회로(14)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판정했을 때에는, 저 레벨 이상 및 고 레벨 이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판정 정보를 제어 회로(15)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회로(15)는, 저 레벨 이상의 판정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카(7)가 근처 층에 정지하도록 권상기(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회로(15)는, 고 레벨 이상의 판정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변위 장치(3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 회로(15)는 입력된 판정 정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는, 판정 회로(14)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판정되었을 때의 카(7)의 위치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층을 근처 층이라고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저 레벨 이상의 판정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로 전송되었을 경우, 권상기(2)가 제어 회로(15)에 의해 제어되어, 카(7)가 근처 층에 정지된다. 카(7)가 근처 층에 정지되면, 정지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로 출력될 수 있다. 이 다음, 시브 브레이크 장치(9) 및 로프 캐치 장치(10)는, 제어 회로(15)의 제어에 의해 각각 동작되고,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가 환상부(19)에 접하는 위치로 변위되고,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써, 각 주 로프(6)는 제동되어, 카(7)의 정지 위치는 유지된다.
고 레벨 이상의 판정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에 전송되었을 경우, 권상기(2)에 의한 근처 층으로의 카(7)의 정지는 행하여지지 않고, 시브 브레이크 장치(9) 및 로프 캐치 장치(10)가 제어 회로(15)의 제어에 의해 동작된다. 즉, 고 레벨 이상의 판정 정보가 제어 회로(15)에 입력되면, 시브 브레이크 장치(9) 및 로프 캐치 장치(10)가 제어 회로(15)의 제어에 의해 즉시 동작되고, 시브 브레이크용 가동체(25)가 환상부(19)에 접하는 위치로 변위되고,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써, 구동 시브(4)의 회전 및 각 주 로프(6)의 이동이 각각 제동되어, 카(7)가 긴급 정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설정 기준값과, 설정 기준값보다도 큰 값인 고 레벨 설정값이 판정 회로(14)에 설정되고, 판정 회로(14)는, 구한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 이상이고 또 고 레벨 설정값보다도 작을 때에 저 레벨 이상의 판정을 실행하고, 구한 속도차가 고 레벨 설정값 이상일 때에 고 레벨 이상의 판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어, 제어 회로(15)는, 저 레벨 이상 및 고 레벨 이상의 각각의 판정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레벨이 낮을 때에는, 카(7)를 근처 층에 정지시킬 수 있고, 카(7) 내의 승객의 구출 등을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복구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제어 회로(15)는, 저 레벨 이상의 판정이 판정 회로(14)에 의해 이루어졌을 때에, 카(7)가 근처 층에 정지하도록 권상기(2)를 제어하고, 고 레벨 이상의 판정이 판정 회로(14)에 의해 이루어졌을 때에,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변위 장치(3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레벨이 낮을 때에는, 카(7)를 근처 층에 정지시킬 수 있고, 카(7)내의 승객의 구출 등을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레벨이 높을 때에는, 카(7)를 즉시 또한 보다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또, 상기 실시형태 4에서는,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각의 회전속도의 속도차에 기초해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가 판정되도록 되어 있지만, 회전속도의 속도차 뿐만아니라,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에 기초하여서도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즉, 판정 회로(14)에는, 설정 기준값과는 별도로,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에 관한 과속도 기준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판정 회로(14)는 구동 시브용 엔코더(11) 및 디플렉터 풀리용 엔코더(12)의 각각의 정보에 기초해서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각의 회전속도의 속도차를 구하고, 구한 속도차와 설정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판정 회로(14)는 디플렉터 풀리용 엔코더(1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해서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를 구하고, 구한 회전속도와 과속도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판정 회로(14)는,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각의 회전속도의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보다도 작을 때에 정상판정을 실행하고,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 이상일 때에 이상판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판정 회로(14)는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가 과속도 기준값보다도 작을 때에 정상판정을 실행하고,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가 과속도 기준값 이상일 때에 이상판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판정 회로(14)에서는,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 회전속도의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 이상일 때, 혹은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가 과속도 기준값 이상일 때에, 이상판정이 행하여지고, 이상판정의 판정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에 전송된다. 이 다음의 동작은 실시형태 4와 같다.
또, 판정 회로(14)에서는,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 회전속도의 속도차가 설정 기준값보다도 작고, 또한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가 과속도 기준값보다도 작을 때, 정상판정이 행하여지고, 정상판정의 판정 정보가 판정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5)에 전송된다. 이 다음의 동작은 실시형태 4와 같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 시브(4) 및 디플렉터 풀리(5)의 각각의 회전속도의 속도차 뿐만아니라, 디플렉터 풀리(5)의 회전속도에 기초해서도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동 시브(4)와 각 주 로프(6)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카(7)의 속도가 매우 커졌을 때에도, 카(7)를 보다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프 캐치용 가압 스프링(35)에 의해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제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유압장치, 공기 압력장치, 전자 마그넷 혹은 전동기 등에 의해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를 제동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프 캐치용 전자 마그넷(36)에 의해 로프 캐치용 가동체(31)가 개방 위치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가압 스프링, 유압장치, 공기 압력장치 혹은 전동기 등에 의해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를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수동에 의해 회동되는 것에 의해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를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는 레버(lever)를 로프 캐치 장치에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동 위치에 있을 때의 로프 캐치용 가동체(31)의 각 주 로프(6)로의 가압력의 크기가 조정될 수 없지만, 로프 캐치용 가동체(31)의 각 주 로프(6)로의 가압력의 크기가 예를 들면 유압장치나 공기 압력장치 등에 의해 조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주 로프(6)가 정지할 때 까지 로프 캐치용 가동체(31)를 제동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복수 회 변위시킴으로써, 각 주 로프(6)에 주는 제동력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제동시의 카(7)의 감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카(7)의 급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시의 카(7)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판정 회로(14)에 의해 판정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실에 운전 제어 장치(13)로부터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면, 원격 감시실의 관리자에게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빠른 시기에 알릴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권상기 본체와, 상기 권상기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시브(traction sheave)를 갖는 권상기,
    상기 구동 시브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종동 시브(driven sheave),
    상기 구동 시브 및 상기 종동 시브에 감긴 주 로프,
    상기 주 로프에 의해 매달린 카 및 균형추,
    상기 구동 시브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측 속도 검출부,
    상기 종동 시브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종동측 속도 검출부 및
    상기 구동측 속도 검출부 및 상기 종동측 속도 검출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시브 및 상기 종동 시브의 각 상기 회전속도의 속도차를 구하고, 구한 상기 속도차와 미리 설정된 설정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운전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판정부에는, 상기 설정 기준값 보다도 큰 값인 고 레벨 설정값이 더 설정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속도차가 상기 설정 기준값 이상이고 또한 상기 고 레벨 설정값보다도 작을 때 저 레벨 이상의 판정을 실행하고, 상기 속도차가 상기 고 레벨 설정값 이상일 때에 고 레벨 이상의 판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 레벨 이상의 판정 및 상기 고 레벨 이상의 판정의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브 및 상기 종동 시브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주 로프를 거쳐서 가압되는 제동 위치와 상기 주 로프로부터 분리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제동 부재와, 상기 제동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동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를 갖고,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제동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주 로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로프 캐치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 레벨 이상의 판정이 상기 판정부에 의해 이루어졌을 때에, 상기 카가 정지하도록 상기 권상기를 제어하고, 상기 고 레벨 이상의 판정이 상기 판정부에 의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제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상기 변위 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제동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의 상기 주 로프로의 가압력은 상기 변위 장치에 의해 조정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 레벨 이상의 판정이 상기 판정부에 의해 이루어졌을 때에, 상기 카가 근처 층에 정지하도록 상기 권상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05520A 2007-03-08 2004-09-09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84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5520A KR100884875B1 (ko) 2007-03-08 2004-09-09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5520A KR100884875B1 (ko) 2007-03-08 2004-09-09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204A KR20070049204A (ko) 2007-05-10
KR100884875B1 true KR100884875B1 (ko) 2009-02-23

Family

ID=3827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520A KR100884875B1 (ko) 2007-03-08 2004-09-0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8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67B1 (ko) * 2012-09-07 2013-04-15 주식회사 씨엠테크 천정기중기의 와이어로프 탈선 감지장치
KR101299570B1 (ko) * 2012-09-05 2013-08-23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KR101457616B1 (ko) * 2013-04-24 2014-11-12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483A (ja) * 1993-01-07 1994-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JPH0684233B2 (ja) * 1986-03-05 1994-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233B2 (ja) * 1986-03-05 1994-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H06199483A (ja) * 1993-01-07 1994-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570B1 (ko) * 2012-09-05 2013-08-23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KR101254767B1 (ko) * 2012-09-07 2013-04-15 주식회사 씨엠테크 천정기중기의 와이어로프 탈선 감지장치
KR101457616B1 (ko) * 2013-04-24 2014-11-12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204A (ko)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8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8336677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EP2141109A1 (en) Elevator device
JP497025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526723A (ja) エレベータブレーキ状態試験
JP5369616B2 (ja) エレベーター
EP267069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newing the braking force of a brake of a hoisting machine
WO2010125689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2347985A1 (en) Elevator device
WO20070399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7367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08060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5093753A (ja) エレベータ
WO2006114872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装置
EP1795485A1 (en) Brake device for elevator
JP5591504B2 (ja) エレベータ
KR10088487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45694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24014A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
EP1724225B1 (en) Emergency brake device of elevator
EP2436635A1 (en) Elevator device
WO2017119079A1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KR100904115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 장치
KR100665345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00777513B1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