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820B1 -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820B1
KR100878820B1 KR1020070070179A KR20070070179A KR100878820B1 KR 100878820 B1 KR100878820 B1 KR 100878820B1 KR 1020070070179 A KR1020070070179 A KR 1020070070179A KR 20070070179 A KR20070070179 A KR 20070070179A KR 100878820 B1 KR100878820 B1 KR 10087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nity
mode
storage
temperature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영
김은정
오상호
노철기
황연이
신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김치가 발효되는 발효모드 또는 김치의 맛이 유지되도록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모드판단단계와 김치의 염도가 측정되는 염도측정단계 및 측정된 염도에 따라 상기 발효모드 또는 상기 보관모드가 수행되는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보관모드 또는 발효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조작패널, 김치가 수용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냉기공급장치,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팅장치 및 선택된 모드 및 상기 염도센서에서 측정된 염도에 따라 상기 냉기공급장치 및 상기 히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김치의 염도에 따라 김치의 보관 및 발효시의 온도, 시간을 달리하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김치의 맛을 유지할 수 있다.
김치냉장고, 염도, 온도, 냉기공급장치, 히팅장치

Description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Kimchi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도에 따라 김치를 보관하는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냉장고는 문을 자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냉장고 내부온도가 심하게 변화한다. 또한, 김치를 그릇에 담기 위해 냉장고 밖으로 김치통을 꺼내는 도중에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일어나서 김치의 보존 기간이 짧아지며, 김치의 알맞은 숙성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절의 변화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김치를 적당히 숙성시킨 후, 적정온도를 유지하여 잘 익은 김치의 맛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는 김치에 열을 가하여 이를 적절하게 숙성 발효시키거나 또는 김치를 저온으로 냉각시켜 처음과 같은 맛의 상태로 장시간 보관하는 등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숙성, 저장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김치냉장고의 내부에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초기에는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김치를 기호에 맞게 숙성시킨 다음,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내부 케이스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김치의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김치냉장고에는 김치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발효온도값 및 보관온도값이 이미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가 김치의 종류를 선택하고 발효 또는 보관을 선택하면 김치냉장고에 정해진 조건 아래에서 일정한 사이클이 수행된다.
따라서 종래의 김치냉장고에 의하면 다양한 김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김치의 맛으로 발효시키거나 유지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동일한 종류의 김치라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양념의 양이 다르며 염도 또한 큰 차이를 가지고 있어 김치가 어는 온도나 발효되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염도에 따라 김치를 보관 또는 숙성하는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치가 발효되는 발효모드 또는 김치의 맛이 유지되도록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모드판단단계;와 김치의 염도가 측정되는 염도측정단계; 및 측정된 염도에 따라 상기 발효모드 또는 상기 보관모드가 수행되는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상기 발효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염도가 설정염도 이상인지 판단되고, 상기 모드수행단계에서는 상기 판단에 따라 저장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모드수행단계에는 저장실의 온도가 제1발효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유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온도유지단계에서 경과된 시간이 제1발효설정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효모드를 완료하고 보관모드로 전환되는 보관모드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 이하라고 판단 되면, 상기 모드수행단계에서 저장실의 온도가 제2발효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유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유지단계에서 경과된 시간이 제2발효설정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효모드를 완료하고 보관모드로 전환되는 보관모드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상기 보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염도가 설정염도 이상인지 판단되고, 상기 모드수행단계에서는 상기 판단에 따라 저장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효보관단계에서 저장실 온도가 제1보관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유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효보관단계에서 저장실의 온도가 제2보관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유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보관모드 또는 발효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조작패널, 김치가 수용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냉기공급장치,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팅장치, 선택된 모드 및 상기 염도센서에서 측정된 염도에 따라 상기 냉기공급장치 및 상기 히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발효모드이고, 상기 측정된 염도가 설정염도 이상이면,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제1발효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발효모드이고, 상기 측정된 염도가 설정염도 이하이면,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제2발효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보관모드이고, 상기 측정된 염도가 설정염도 이상이면,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제1보관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보관모드이고, 상기 측정된 염도가 설정염도 이하이면,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제2보관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김치의 염도에 따라 김치의 보관 및 발효시의 온도, 시간을 달리하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김치의 맛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는 그 형태에 따라 뚜껑식, 서랍식, 혼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뚜껑식 김치냉장고는 뚜껑이 상단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냉기 단속이 잘 된다는 특징이 있으며, 서랍식 김치냉장고는 서랍을 열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깔끔하게 정돈을 할 수 있으며, 위쪽 및 옆쪽 공간을 활용하는데 편리하다. 또한, 혼합식은 일반적으로 상단에는 뚜껑을, 하단에는 서랍이 있는 김치냉장고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서랍식, 뚜껑식, 혼합식 김치냉장고 모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김치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에는 김치가 수용되는 저장실(30)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실(30)은 상기 본체(1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저장실(30)마다 저장실(30)의 온도 및 온도유지시간 등을 달리하여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하나의 김치냉장고에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김치가 보관되어 상기 저장실(30)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저장용기(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40)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가지고 김치의 냄새 및 김치의 즙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킨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40)는 상부에 개구부 및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뚜껑을 구비하여 상기 저장용기(40) 내부에 보관된 김치를 꺼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40) 각각에는 염도센서(42)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염도센서(42)는 저장실(30) 내의 보관된 김치의 즙액 내에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접촉하는 한 쌍의 전극(미도시)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양 전극 사이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기전도도에 기초하여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전도도가 상대적으로 크면 김치의 염도 또한 큰 값이고, 상기 전기전도도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김치의 염도 또한 작은 값일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실(30)에는 김치의 보관 온도를 하강시키는 냉기공급장치(32)를 구비한다. 물론,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압축기, 증발기, 팽창기 등의 냉매사이클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냉매사이클장치내에서는 일반적인 냉매사이클에 따라 냉매가 순환된다. 상기 냉매는 압축기를 거치면서 고온고압의 액체상태가 되었다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저온저압의 기체상태로 상변환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 주변에서 발생된 냉기는 상기 저장실(30) 내부로 공급되고, 김치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물론, 상기 냉기공급장치(32)는 상기 냉기를 상기 저장실(30) 내부로 유도하는 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실(30)에는 김치의 보관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팅장치(34)를 구비한다. 상기 히팅장치(34)는 상기 저장실(30) 내부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의 주변에서 발생된 온기는 상기 저장실(30) 내부로 공급되어, 김치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물론, 상기 히터의 온기를 상기 저장실(30) 내부로 유도하는 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염도센서(42)에서 염도가 설정염도(이하, 도 3에서 설명함) 이 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냉기공급장치(32) 및 상기 히팅장치(34)를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제어부(12)에서는 상기 냉매사이클장치 중 하나인 압축기를 구동시키거나 구동을 중지시켜 냉기공급장치(32)의 냉기 공급 여부 및 냉기의 온도 등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에서는 상기 히팅장치(34)의 히터를 가동시키거나 가동을 중지시켜 온기공급여부 및 온기의 온도 등을 조절한다.
또한, 냉장고 본체(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김치의 발효모드 또는 보관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입력가능한 조작패널(50)이 설치된다. 이때, 발효모드는 김치를 발효시키는 모드이며 보관모드는 김치를 보관시키는 모드를 의미한다. 물론, 상기 조작패널(50)은 터치스크린 또는 모드 선택이 가능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는 김치가 발효되는 발효모드 또는 김치의 맛이 유지되도록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냉기공급장치(32) 및 상기 히팅장치(34)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종류의 김치가 보관되더라도 보관목적이 김치의 발효인지 또는 김치의 보관인지 여부에 따라 냉기공급여부 또는 온기공급여부가 조절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의 입력단에는 염도센서(42), 온도센서(36), 타이머(38) 및 조작패널(50) 등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의 출력단에는 히팅장치(34), 냉기공급장치(32) 및 디스플레이부(14)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염도센서(42)로부터 김치의 염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센서(36)로부터 김치가 저장된 저장실(30)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온도센서(36)는 김치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38)로부터 측정된 경과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조작패널(5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김치에 관한 정보 및 원하는 모드 등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때, 김치에 관한 정보는 배추김치, 열무김치 등의 김치종류 등을 포함하고, 원하는 모드는 김치의 맛을 유지한 채 보관하는 보관모드 또는 김치를 발효시키는 발효모드인지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히팅장치(34)를 제어해서 김치의 보관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냉기공급장치(32)를 조절해서 김치의 보관온도를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염도센서(42), 상기 온도센서(36), 상기 타이머(38), 상기 조작패널(50)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4)에 도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히팅장치(34) 및 상기 냉기공급장치(32)의 작동여부 및 작동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도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발효모드 선택시 김치냉장고의 제어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김치냉장고에 전원이 입력되고 저장실(30)에 김치가 보관된 저장용기(40)가 인입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저장용기(40)에 보관한 김치를 발효시킬 것인지 보관시킬 것인지를 조작패널(50)을 통해 입력한다.
도 3에서는 사용자가 보관된 김치에 대해 발효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다. 제어부(12)에서는 사용자가 발효모드를 선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발효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고, 측정염도가 설정염도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이때, 설정염도는 전국 김치 평균 염도 범위를 말한다. 전국 평균 김치 염도 범위란 대한민국의 각 도에서 최소 10곳을 선정해 김치 염도의 평균을 낸 값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전국 평균 김치 염도는 배추김치, 열무김치, 물김치 등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배추김치를 기준으로 할 때 2.1% 내지 2.3%라고 추정되므로, 설정염도는 2.1% 내지 2.3%를 의미할 것이다. 상기 설정염도는 김치냉장고의 제작시 제조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조작패널(50)을 통해 입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측정염도가 설정염도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1발효모드에 진입한다.(S120) 예를 들어 , 보관된 김치의 염도가 2.3%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발효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김치의 온도를 제1발효설정온도로 유지한다.(S122) 이때, 제1발효설정온도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가 제공하는 발효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고온발효와 저온발효가 가능하다면, 고온발효에서는 제1발효설정온도를 19℃ 내지 20℃로 설정하는 반면에 저온발효에서는 4℃ 내지 5℃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발효설정온도는 김치냉장고의 제작시 제조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어서, 타이머(38)에서 제1발효설정온도가 유지된 상태의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상기 경과시간이 제1발효설정시간을 지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124), 김치를 제1발효설정온도로 유지한다.(S122) 이때, 상기 제1발효설정시간은 종래의 김치냉장고에 저장된 김치의 숙성 시간과 동일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길게는 1 내지 2주 정도가 가능하며, 짧게는 3 내지 4일 정도가 가능할 것이다. 다만, 김치의 양, 종류 및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발효설정시간은 김치냉장고의 제작시 제조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경과시간이 제1발효설정시간을 지났다고 판단되면, 김치의 발효모드를 종료하고 보관모드로 전환한다.(S140) 왜냐하면, 김치의 발효가 완료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숙성되었으며, 이후에는 그 맛을 유지하도록 보관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김치의 측정염도가 설정염도보다 작다고 판단되면(S110), 제2발효모드에 진입한다.(S130)
그리고, 김치의 온도를 제2발효설정온도로 유지한다.(S132) 이때, 상기 제2발효설정온도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가 제공하는 발효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고온발효와 저온발효가 가능하다면, 고온발효에서는 제2발효설정온도를 16℃ 내지 17℃로 설정하는 반면에 저온발효에서는 2℃ 내지 3℃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2발효설정온도가 상기 제1발효설정온도 보다 낮은 이유는 상기 제2발효모드에 진입되는 김치는 상기 제1발효모드에 진입되는 김치보다 염도가 낮아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숙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타이머(38)에서 제2발효설정온도가 유지된 상태의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상기 경과시간이 제2발효설정시간을 지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124), 김치를 제2발효설정온도로 유지한다.(S122) 이때, 상기 제2발효설정시간은 종래의 김치냉장고에 저장된 김치의 숙성 시간과 동일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배추김치를 기준으로 길게는 1 내지 2주 정도가 가능하며, 짧게는 3 내지 4일 정도가 가능할 것이다. 다만, 김치의 양, 종류 및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제2발효설정시간은 제1발효설정시간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발효설정시간은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보다 낮은 김치에 대해서 적용되므로,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보다 높은 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숙성시간이 짧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경과시간이 제2발효설정시간을 지났다고 판단되면, 김치의 발효모드를 종료하고 보관모드로 전환한다.(S140) 왜냐하면, 김치의 발효가 완료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숙성되었으며, 이후에는 그 맛을 유지하도록 보관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보관모드를 선택한 경우 또는 도 3에서 발효모드가 종료되고 보관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김치를 보관모드에서 보관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흐름도이다.
측정염도가 설정염도보다 크다고 판단되면(S210), 제1보관모드에 진입한다.(S220) 이때, 상기 설정염도는 도 3의 발효모드에서 설명한 설정염도와 동일하 다. 즉, 설정염도는 2.1% 내지 2.3%를 의미할 것이다.
그리고, 김치의 온도를 제1보관설정온도로 유지한다.(S222) 이때, 제1보관설정온도는 김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인 배추김치를 기준으로할 때 -2℃ 내지 -1.8℃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보관설정온도는 후술할 제2보관설정온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보관설정온도는 제작시 생산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사용자가 조작패널(50)을 통해 입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측정염도가 설정염도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2보관모드에 진입한다.(S230)
그리고, 김치의 온도를 제2보관설정온도로 유지한다.(S232) 이때, 제2보관설정온도는 -0.7℃ 내지 -0.5℃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보관설정온도는 상기 제1보관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보관설정온도에서 보관되는 김치는 제1보관설정온도에서 보관되는 김치에 비해 염도가 낮으므로, 제2보관설정온도에서 보관되는 김치를 상기 제1보관설정온도로 보관한다면 김치가 얼어 김치의 조직이 파괴되어 맛이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내장고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발효모드 선택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보관모드 선택시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2 : 제어부
14 : 디스플레이부 30 : 저장실
32 : 냉기공급장치 34 : 히팅장치
40 : 저장용기 42 : 염도센서
50 : 조작패널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김치가 발효되는 발효모드 또는 김치의 맛이 유지되도록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모드판단단계;
    김치의 염도가 측정되는 염도측정단계; 및
    측정된 염도에 따라 상기 발효모드 또는 상기 보관모드가 수행되는 모드수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상기 발효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염도가 설정염도 이상인지 판단되고,
    상기 모드수행단계에서는 상기 측정염도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저장실의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모드수행단계에는 저장실의 온도가 제1발효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유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유지단계에서 경과된 시간이 제1발효설정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효모드를 완료하고 보관모드로 전환되는 보관모드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모드수행단계에서 저장실의 온도가 제2발효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유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유지단계에서 경과된 시간이 제2발효설정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효모드를 완료하고 보관모드로 전환되는 보관모드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7. 김치가 발효되는 발효모드 또는 김치의 맛이 유지되도록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모드판단단계;
    김치의 염도가 측정되는 염도측정단계; 및
    측정된 염도에 따라 상기 발효모드 또는 상기 보관모드가 수행되는 모드수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상기 보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염도가 설정염도 이상인지 판단되고,
    상기 모드수행단계에서는 상기 측정염도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저장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효보관단계에서 저장실 온도가 제1보관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유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측정염도가 상기 설정염도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효보관단계에서 저장실의 온도가 제2보관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유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보관모드 또는 발효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조작패널;
    저장물이 수용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장치; 및
    선택된 모드 및 상기 염도센서에서 측정된 염도에 따라 상기 냉기공급장치 및 상기 히팅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발효모드이고, 상기 측정된 염도가 설정염도 이상이면,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제1발효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발효모드이고, 상기 측정된 염도가 설정염도 이하이면,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제2발효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13.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보관모드 또는 발효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조작패널;
    저장물이 수용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장치; 및
    선택된 모드 및 상기 염도센서에서 측정된 염도에 따라 상기 냉기공급장치 및 상기 히팅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보관모드이고, 상기 측정된 염도가 설정염도 이상이면,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제1보관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보관모드이고, 상기 측정된 염도가 설정염도 이하이면,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제2보관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KR1020070070179A 2007-07-12 2007-07-12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87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179A KR100878820B1 (ko) 2007-07-12 2007-07-12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179A KR100878820B1 (ko) 2007-07-12 2007-07-12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820B1 true KR100878820B1 (ko) 2009-01-14

Family

ID=4048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179A KR100878820B1 (ko) 2007-07-12 2007-07-12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082B1 (ko) * 2010-08-18 201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216A (ko) * 1998-08-18 2000-03-06 황한규 김치 냉장고의 숙성 및 보관 제어방법
KR20010018642A (ko) * 1999-08-20 2001-03-15 윤종용 김치 숙성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216A (ko) * 1998-08-18 2000-03-06 황한규 김치 냉장고의 숙성 및 보관 제어방법
KR20010018642A (ko) * 1999-08-20 2001-03-15 윤종용 김치 숙성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김치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082B1 (ko) * 2010-08-18 201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082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774191B1 (ko) 김치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JPH05260891A (ja) 漬け物冷蔵庫の漬け物熟成・貯蔵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056978A (ja) 冷凍冷蔵庫
KR100878820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14216A (ko) 김치 냉장고의 숙성 및 보관 제어방법
KR100820838B1 (ko) 김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878821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0129236B1 (ko) 냉장고의 김치 숙성 및 보관방법
KR20090074992A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3506616B2 (ja) キムチ貯蔵庫の冷凍保管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29513A (ko) 김치저장고 및 숙성제어방법
KR20050018128A (ko) 김치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0357470B1 (ko) 김치 저장고의 숙성 제어방법
KR100751437B1 (ko) 김치냉장고의 숙성 제어방법
KR100880636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346159B1 (ko) 김치저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KR100759342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 제어방법
KR950003128B1 (ko) 냉장고의 김치숙성 제어 시스템
KR100437772B1 (ko) 김치 냉장고의 김치 숙성 방법
KR970006114B1 (ko) 김치냉장고의 숙성제어방법
KR20000055094A (ko) 김치저장고의 냉장보관방법
KR20010095886A (ko) 김치 냉장고의 외기온도 추정방법
KR20000067508A (ko) 김치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00049351A (ko) 김치 냉장고의 냉동 모드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