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144B1 -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144B1
KR100871144B1 KR1020020047370A KR20020047370A KR100871144B1 KR 100871144 B1 KR100871144 B1 KR 100871144B1 KR 1020020047370 A KR1020020047370 A KR 1020020047370A KR 20020047370 A KR20020047370 A KR 20020047370A KR 100871144 B1 KR100871144 B1 KR 10087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e
bar
housing
arr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733A (ko
Inventor
이수희
김진배
김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to KR102002004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144B1/ko
Priority to PCT/KR2003/001602 priority patent/WO2004015829A1/en
Priority to AU2003251192A priority patent/AU2003251192A1/en
Publication of KR2004001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protection devices, e.g.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뢰 등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내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어레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와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제작함과 동시에, 커넥터 핀과 센터 바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에 수용되는 커넥터 바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레스터는 커넥터 바를 하우징의 관통홀 일측에서 삽입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작업 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또한, 커넥터 바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발생하는 접속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어레스터, 일체형, 커넥터 바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ARRESTER FOR BASE TRANSCEIVER STATION}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레스터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레스터를 나타내는 일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어레스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어레스터의 커넥터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어레스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400 : 어레스터 410 : 하우징
413 : 제1 커넥터 415 : 제2 커넥터
440 : 커넥터 바 451 : 고정 봉
453 : 코일 461 : 제1 홀더
463 : 제2 홀더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낙뢰에 의한 기지국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어레스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의 무선 송수신 신호는 그 도달 거리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거리 간격 또는 지형 등의 영향에 따라 소정의 범위를 설정하여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설치함으로써 통신이 가능한 범위를 확장시키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안테나뿐만 아니라 특히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는 전파 장애를 회피하기 위해 주변의 지형 지물, 건물보다 비교적 높게 설치되어,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므로 낙뢰의 위험에 노출된다.
낙뢰에 의한 안테나 및 기지국 내의 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테나 상단에 피뢰침을 설치하지만 피뢰침만으로는 낙뢰에 의한 고전압 및 고전류의 영향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 하였다. 따라서, 어레스터(arrester)를 이용하여 낙뢰 및 여타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고전압 등을 소멸시키게 되었다. 어레스터는 지상 기지국과 안테나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 케이블을 통해 유입되는 낙뢰 및 고전압 등이 지 상기지국 내의 장비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100)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레스터(100)를 절개하여 나타 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레스터(100)를 나타내는 일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100)는 하우징(110)과, 제1 및 제2 커넥터(130, 140)와, 센터 바(150)와, 접지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130, 140)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부(111, 113)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접지부(170)를 결합하기 위한 접지 홀(11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양단의 나사부(111, 113)를 연통시키는 관통홀(115)이 형성되어, 지상 기지국 측과 안테나 측의 선로(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센터 바(15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접지 홀(117)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로부터 상기 관통홀(115)까지 연장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접지부(170)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30)는 상기 하우징(110) 일단의 나사부(111)에 체결된다. 상기 제1 커넥터(130)는 상기 하우징(110)에 체결되는 커넥터 몸체(131)와 상기 커넥터 몸체(131) 상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33)이 구비된다. 상기 나사부(111)의 외주면과 상기 커넥터 몸체(131)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넥터(130)가 상기 하우징(110)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캡(13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송선로 상의 다른 상대부품 또는 선로와의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커넥터(130)의 내부에는 제1 커넥터 핀(160a)과 홀더(165a)가 수용 된다. 상기 홀더(165a)는 상기 제1 커넥터 핀(160a)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130) 및 하우징(110)에 동시에 지지된다. 상기 홀더(165a)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또는 제1 커넥터(130)와 상기 제1 커넥터 핀(160a)은 절연된다.
상기 제2 커넥터(140)는 상기 제1 커넥터(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110)에 나사 결합되는 반면에 별도의 캡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140)의 내부에는 제2 커넥터 핀(160b)과 홀더(165b)가 수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핀(160a, 160b)은 일단에 각각 나사돌기(161a, 161b)가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된 센터 바(150)와 결합되고, 타단에는 각각 접속 돌기(163a) 또는 접속 홀(163b)이 구비되어 상대 부품과 접속된다.
상기 센터 바(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관통홀(115)에 수용되며, 양 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핀(160a, 160b)의 나사돌기(161a, 161b)와 상응하는 나사 홀(151a, 151b)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핀(160a, 160b)이 각각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핀(160a, 160b)과 센터 바(150)를 통해 고주파 신호가 지상 기지국과 안테나 사이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센터 바(15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접지 홀(117)과 상응하는 고정 홀(153)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부(170)는 상기 센터 바(150)를 통해 진행하는 신호들 중 고주파 신호 이외에 낙뢰 또는 여타의 요인에 의한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지상 기지국 내의 장비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접지부(170)는 상기 센터 바(150)에 접속되는 접지 봉(171a), 상기 접지 봉(171a)을 지지하기 위한 실린더(173), 상기 실린더(173)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175) 및 상기 접지봉(171a)과 커버(175)를 결속시키는 고정수단(17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 봉(171a)은 전송선로 상을 진행하는 고주파 신호의 1/4 파장에 해당하는 길이이며, 상기 센터 바(150)를 진행하게 되는 고전압 또는 고전류를 접지선로로 유도하게 된다. 상기 접지 봉(171a)의 일단에는 상기 센터 바(150)의 고정 홀(153)과 상응하는 고정돌기(171b)가 구비되어 상기 접지 홀(117)을 통과하여 상기 센터 바(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실린더(173)는 하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접지 홀(117)에 체결되며, 상기 접지 봉(171a)과의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게 된다. 상기 커버(175)는 상기 실린더(173)의 단부에 결속되고, 상기 접지 봉(171a)은 상기 커버(175)를 관통하여 외부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175)의 지지를 받게 된다.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접지 봉의 단부에는 나사 및 와셔 등으로 구성된 고정수단(177)에 의해 상기 실린더(173) 및 커버(175)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레스터(100)는 안테나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고전압 또는 고전류를 접지시켜 지상 기지국 측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지국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어레스터는 하우징에 별도의 커넥터를 체결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는 제작 과정에서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센터 바와 커넥터에 수용되는 커넥터 핀을 별도로 제작하여 야 하므로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센터 바와 커넥터 핀을 별도로 제작하여 체결하여 커넥터 바를 구성하는 것과 같이 다수의 부품을 접속시키는 구조는 일체형으로 제작된 부품에 비하여 접속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요소 간의 접속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내의 장비 측 선로와 안테나 측 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 바와, 상기 커넥터 바를 수용하면서 낙뢰에 의한 기지국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를 제공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어레스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2 커넥터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내의 장비 측 선로와 안테나 측 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 바와, 상기 커넥터 바를 수용하면서 낙뢰에 의한 기지 국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를 제공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어레스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는,
센터 바;
상기 센터 바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1 커넥터 핀; 및
상기 센터 바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2 커넥터 핀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내의 장비 측 선로와 안테나 측 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면서 낙뢰에 의한 기지국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를 제공하는 어레스터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제1 커넥터, 상기 몸체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제2 커넥터까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센터 바, 상기 센터 바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된 제1 커넥터 핀, 상기 센터 바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된 제2 커넥터 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바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4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400)는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바(440)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 바(440)의 접지를 위한 고정 봉(451), 코일(453) 및 납땜용 핀(419b)과, 상기 하우징(410)에 커넥터 바(440)를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홀더(461, 463)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410)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하우징(4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10)은 몸체(411)와 상기 몸체(411)의 양단에는 각각 제1 커넥터(413)와 제2 커넥터(415)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411)의 상부에는 접지 공간(417)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커넥터(413)로부터 제2 커넥터(415)까지 상기 하우징(410)을 관통하는 관통홀(4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커넥터(413)는 상기 몸체(411)의 일단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대 부품과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413)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420)까지 연장되는 핀홀(413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커넥터(415)는 상기 몸체(411)의 타단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대 부품과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413, 415)는 상기 하우징(410)과 별도로 제작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4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대 부품과의 체결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는 것이다.
상기 접지 공간(417)은 상기 몸체(411)의 상부면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 바(440)의 접지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접지 공간(417)의 저면에는 소정의 접지 홀(419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420)과 연통되며, 측벽에는 상기 접지 공간(417)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납땜용 핀(419b)이 구비된다. 상기 접지 홀(419a)을 통해 고정 봉(451)이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410) 내에 수용된 커넥터 바(44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봉(451)의 단부는 상기 접지 공간(417) 내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고정 봉(451)의 단부와 납땜용 핀(419b)은 소정의 코일(453)을 통해 접속되어 결국 상기 커넥터 바(440)는 상기 하우징(410)에 접지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 봉(451)과 코일(453)의 길이 합은 상기 어레스터(400)가 적용되는 선로의 사용 주파수 파장의 1/4에 해당하는 길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453)은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됨으로써 좁은 접지 공간(417) 내에 용이하게 수용된다.
한편, 상기 몸체(411)의 하부면에는 상기 어레스터(400)를 외부의 접지용 선로와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홀(42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단, 접지용 선로와 상기 어레스터(400)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접속 홀뿐만 아니라 별도의 접속 용 단자를 하우징에 설치하거나, 납땜을 위한 핀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420)은 상기 제1 커넥터(413)로부터 상기 제2 커넥터(415)까지 상기 하우징(4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넥터(415) 측으로 진행하면서 그 지름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도록 두 개 또는 세 개의 단차면(421, 423, 425)들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단차면(421, 423, 425)들이 형성되었다. 상기 관통홀(420) 내부에 형성된 단차면(421, 423, 425)들은 상기 제1 및 제2 홀더(461, 463)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홀더(461, 463)는 상기 관통홀(420) 상에서 어떤 위치에 고정되는가에 따라 그 지름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단차면(421, 423, 425)들 중 상기 제1 커넥터(413)와 몸체(411) 사이에 인접하게 형성된 단차면(421)은 상기 핀홀(413a)보다 더 내측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 홀더(461)가 상기 단차면(421)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1 홀더(461)의 외주면을 상기 핀홀(413a)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핀홀(413a)에 소정의 고정 핀(457)을 결합시켜 상기 제1 홀더(46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홀더(463)를 고정하기 위한 단차면(425)은 상기 제2 커넥터(415)와 몸체(411) 사이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관통홀(420) 중에서 상기 몸체(411) 상에 형성된 부분은 상기 제2 홀더(46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 홀더(463)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홀더(463)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제2 홀더(463)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기 관통홀(420)의 지름이 좁아져 결합부(427)가 구성된다. 결국, 상기 관통홀(420) 상에 형성된 단차 면은 세 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홀더(463)는 강제적인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결합부(427)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 바(44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상기 커넥터 바(44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바(440)는 센터 바(441)와 상기 센터 바(441)와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 핀(443, 4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홀더(461, 463)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커넥터 핀(443)과 센터 바(441) 사이 및 상기 제2 커넥터 핀(445)과 센터 바(441) 사이에는 각각 단차면(443a, 445a)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커넥터 핀(443)의 지름이 가장 크고, 상기 센터 바(441)와 제2 커넥터 핀(445)은 순차적으로 그 지름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단차면(443a, 445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 바(441)에는 상기 하우징(410)의 접지 홀(419a)과 상응하는 고정 홀(447)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봉(451)과의 결합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바(440)는 상기 하우징(4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홀(420)의 지름이 가장 큰 제1 커넥터(413) 측에서 삽입된다. 종래에는 커넥터 핀과 센터 바가 별도로 제작되어 하우징의 양측에서 각각 조립된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터 바(441)와 커넥터 핀(443, 445)을 일체형으로 제작된 커넥터 바(440)를 삽입하는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센터 바(44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커넥터 핀(443)과 근접한 위치에 소정의 슬리브(447)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관통홀(420)에 결합부(427)를 구성하여 상기 제2 홀더(463)를 강제력에 의해 결합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홀더(461)를 상기 센터 바(441) 상에 강제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어레스터(400)의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커넥터 바(440)에는 상기 제1 및 제2 홀더(461, 463)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홀더(461)의 관통홀(461a)은 상기 센터 바(441)의 지름과 상응한 크기이며, 상기 제1 홀더(461)가 상기 제1 커넥터 핀(443)과 접촉한 위치에 고정되면, 상기 슬리브(447)의 강제력에 의해 상기 제1 홀더(461)의 유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홀더(463)의 관통홀(463a)은 상기 제2 커넥터 핀(445)의 지름과 상응한 크기이며, 상기 제2 커넥터 핀(445) 상에서 상기 제2 홀더(463)는 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상기 제1 및 제2 홀더(461, 463)는 테프론 재질로 제작하여 상기 하우징(410)과 커넥터 바(440) 사이를 절연시키게 된다.
상기 커넥터 바(440)에 상기 제1 및 제2 홀더(461, 46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10)의 관통홀(420)에 결합시키면, 상기 제2 홀더(463)는 상기 결합부(427)에 고정되어 유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홀더(463)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홀더(461)를 단차면(421)에 밀착시키면, 상기 제1 커넥터(413)의 핀홀(413a)을 통해 상기 제1 홀더(461)의 외주면이 노출되며, 상기 핀홀(413a)을 통해 고정 핀(457)이 체결되면 상기 제1 홀더(461)가 상기 단차면(421)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터 바(441)의 고정 홀(447)이 상기 하우징(410)의 접지 홀(419a)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어야 함에 유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레스터(400)는 커넥터 바(440)에 홀더(461, 463)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우징(41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제2 홀더(463)를 상기 관통홀(420) 내에 먼저 고정시킨 후 상기 제1 홀더(461)가 결합된 커넥터 바(440)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 커넥터 바(440)가 고정되면, 상기 고정 봉(451)이 상기 접지 홀(419a)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고정 홀(447)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 봉(45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상기 접지 공간(417) 내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453)과 납땜되며, 상기 코일(453)은 납땜용 핀(419b)을 통해 상기 접지 공간(417)의 측벽에 납땜되어 접지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접지 공간(417)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45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410)은 하부의 접속 홀(429)을 통해 외부의 접지용 선로에 접속된다.
상기 고정 봉(451)과 코일(453) 길이의 합은 상기 어레스터(440)를 통해 진행하는 사용 주파수 파장의 1/4 길이에 해당되며, 상기 접지 공간(417) 내에 수용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1회 이상 권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레스터(4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는 지상 기지국 내의 장비 측으로 진행시키지만, 낙뢰 등에 의한 고전압 또는 고전류는 상기 고정 봉(451) 및 코일(453)을 통해 하우징(410) 측으로 유도하여 지상 기 지국 내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커넥터 바(440)가 상기 제1 및 제2 홀더(461, 463)에 의해 상기 하우징(410)과 절연된 상태이며, 단지 상기 고정 봉(451)과 코일(453)만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410)과 접속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고정 봉(451)과 코일(453) 길이의 합이 사용 주파수의 1/4에 해당하며,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접지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는 하우징과 하우징 양단부의 커넥터를 각각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조립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작 공정에서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하우징과 커넥터가 각각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게 되었다. 또한, 센터 바와 커넥터 핀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커넥터 바 제작의 작업 효율 및 제작비용이 절감되었으며, 부품간의 접속 손실도 감소시키게 되었다.

Claims (22)

  1. 이동통신 기지국 내의 장비 측 선로와 안테나 측 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 바와, 상기 커넥터 바를 수용하면서 낙뢰에 의한 기지국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를 제공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어레스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1 커넥터;
    상기 몸체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상기 제2 커넥터까지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외주면 상에 함몰 형성된 접지 공간;
    상기 접지 공간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과 접지 공간을 연결하는 접지 홀; 및
    상기 접지 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접지 공간 내측으로 돌출되는 납땜용 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중 선택된 어느 한 커넥터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까지 연장되는 핀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되면서 그 폭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단차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는,
    센터 바;
    상기 센터 바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1 커넥터 핀; 및
    상기 센터 바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2 커넥터 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바에는 상기 센터 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 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바의 고정 홀에 결합되면서 상기 센터 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봉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핀과 센터 바 사이 또는 상기 제2 커넥터 핀과 센터 바 사이에는 각각 단차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에 접하도록 상기 커넥터 바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 바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커넥터 바와 하우징 사이를 절연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홀더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국용 어레스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바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 홀과 대향하는 고정 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접지 홀을 통해 상기 고정 홀에 체결되고, 그 단부는 상기 접지 공간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 봉; 및
    일단은 상기 고정 봉의 단부에 납땜되고, 타단은 상기 납땜용 핀에 납땜되는 코일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과 코일의 길이 합은 상기 어레스터를 진행하는 사용 주파수 파장의 1/4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18.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되면서 그 폭이 단계적으로 작아짐으로써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단차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핀과 센터 바 사이 또는 상기 제2 커넥터 핀과 센터 바 사이에는 상기 관통홀의 단차면과 대향하는 단차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를 상기 관통홀 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커넥터 바가 삽입되는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단차면 또는 커넥터 바의 단차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커넥터 측 또는 제2 커넥터 측 중 선택된 어느 한 쪽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지름이 더 큰 커넥터 측에는 그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을 연결 하는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핀홀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홀더를 고정시키는 고정 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접지 공간을 보호하는 커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KR1020020047370A 2002-08-10 2002-08-10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KR10087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370A KR100871144B1 (ko) 2002-08-10 2002-08-10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PCT/KR2003/001602 WO2004015829A1 (en) 2002-08-10 2003-08-09 Arrester for base transceiver station
AU2003251192A AU2003251192A1 (en) 2002-08-10 2003-08-09 Arrester for base transceiver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370A KR100871144B1 (ko) 2002-08-10 2002-08-10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733A KR20040014733A (ko) 2004-02-18
KR100871144B1 true KR100871144B1 (ko) 2008-12-05

Family

ID=3171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370A KR100871144B1 (ko) 2002-08-10 2002-08-10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71144B1 (ko)
AU (1) AU2003251192A1 (ko)
WO (1) WO200401582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594U (ko) * 1995-07-26 1997-02-19 자동차 리어휠에이프런의 보강구조
KR970005594B1 (ko) * 1994-06-30 1997-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반송파 송수신장치의 비트할당장치
KR19990059051A (ko) * 1997-12-30 1999-07-26 구관영 이동통신 기지국 낙뢰방지용 피뢰기
KR200201406Y1 (ko) * 2000-04-07 2000-11-01 김선구 이동통신용 기지국 및 중계기용 피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596Y1 (ko) * 1997-12-26 2000-05-01 김승한 이동통신 기지국용 피뢰기
KR100337295B1 (ko) * 2000-05-09 2002-05-17 서평원 케이블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594B1 (ko) * 1994-06-30 1997-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반송파 송수신장치의 비트할당장치
KR970005594U (ko) * 1995-07-26 1997-02-19 자동차 리어휠에이프런의 보강구조
KR19990059051A (ko) * 1997-12-30 1999-07-26 구관영 이동통신 기지국 낙뢰방지용 피뢰기
KR200201406Y1 (ko) * 2000-04-07 2000-11-01 김선구 이동통신용 기지국 및 중계기용 피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733A (ko) 2004-02-18
WO2004015829A1 (en) 2004-02-19
AU2003251192A1 (en)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9861B (fi) Tasoantenni
US8410990B2 (en) Antenna with integrated RF module
US7121883B1 (en) Coax connector having steering insulator
KR10026318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안테나
CN110994179B (zh) 馈电组件及辐射单元
KR910007192A (ko) 자동정렬식 무선주파수 푸쉬온 커넥터
KR101183646B1 (ko) 소형 광대역 나선 안테나
US6648684B2 (en) Radio frequency cable connector
US5044990A (en) RF coaxial connector
US20150064946A1 (en) Radio frequency subscriber drop equipment having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s and related contact assemblies
US9531140B2 (en) Coaxial protective device
KR100871144B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어레스터
KR20000017121U (ko) 통신기기의 rf콘넥터
JP4347002B2 (ja) 偏波共用アンテナ
KR20050096649A (ko) 케이블 커넥터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통신 기지국용어레스터
AU733260B2 (en) Antenna for portable radio unit
KR102140867B1 (ko) Rf케이블 일체형 전력분배기
CA2260394A1 (en) Waveguide antenna
US200402662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interconnecting high voltage modules positioned in relatively close proximity
KR100294990B1 (ko) 안테나를 내장한 이동 전화 단말기
JP2012142220A (ja) アンテナ用コネクタ
KR100579698B1 (ko) 안테나와 그 안테나가 적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
KR200330171Y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JPH098525A (ja) アンテナ装置
KR101268406B1 (ko) 이중 차폐 구조의 원터치형 컨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