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823B1 -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823B1
KR100869823B1 KR1020080053570A KR20080053570A KR100869823B1 KR 100869823 B1 KR100869823 B1 KR 100869823B1 KR 1020080053570 A KR1020080053570 A KR 1020080053570A KR 20080053570 A KR20080053570 A KR 20080053570A KR 100869823 B1 KR100869823 B1 KR 10086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od processing
processing workshop
positive pressur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황
Original Assignee
(주)한국표준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표준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표준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08005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2003/00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with primary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and subsequent secondary air treatment in air treatment units located in or near the r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및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식품가공 작업장 내부와 외부에 설치하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결합하는 공기 공급부, 외부공기 흡입부, 내부공기 흡입부를 식품가공 작업장 내에서는 무덕트로 설치한 상태에서 냉/난방 유닛을 식품가공 작업장의 내부와 외부에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식품가공 작업장 내에서는 무덕트로 설치하여 설치 및 그에 따른 비용절감 및 잔고장 발생율이 적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적어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열교환을 통해 열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으면서 식품가공 작업장을 양압이 형성될 수 있는 조건으로 공기를 흡입 및 급기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압의 차를 이용하여 공기를 순환시켜 팬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아울러, 분리형으로 설계되어 식품가공 작업장 외부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설치 가능한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53570
양압, 해썹, 공기조화기

Description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Air handling unit for positive pressure}
본 발명은 식품가공 작업장에 설치하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식품가공 작업장 내에서는 무덕트로 설치하여 설치 및 그에 따른 비용절감 및 잔고장 발생율이 적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적어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열교환을 통해 열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으면서 식품가공 작업장을 양압이 형성될 수 있는 조건으로 공기를 흡입 및 급기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압의 차를 이용하여 공기를 순환시켜 팬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아울러, 분리형으로 설계되어 식품가공 작업장 외부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설치 가능한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유지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썹(해십)(HACCP :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이라 하면, 식품의 원재료 생산에서 부터 제조, 가공, 보존, 조리 및 유통단계를 거쳐 최종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 각 단계에서 위해 물질이 해당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규명하고 이들 위해요소 중에서 최종 제품에 결정적으로 위해를 줄 수 있는 공정, 지점에서 해당 위해요소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위생관리 시스템을 일컫는 말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12월에 도입하면서 식품위생법에서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이라고 한다.
이는, 농협의 축산이나 일반 식품의 가공시 위해요소를 철저히 규명하고 이를 제거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관리 기준인 것이다.
한편, 축산이나 식품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가공 작업장에는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작업장을 식품이 상하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품가공 작업장에 설치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식품가공 작업장 공기조화기(100)는 식품가공 작업장(101)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동기(102) 및 보일러(10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조화기를 통과한 냉/난방 공기를 식품가공 작업장(101)에 공급하기 위한 급기덕트(104) 및 유닛쿨러(104a), 살균탈취장치(106)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105)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품가공 작업장 공기조화기(100)는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덕트(104) 및 배기덕트(105)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식품가공 작업장(101)의 천정의 높이가 높아야만 가능하였으며, 특히,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거니와, 싱기 급기덕트(104) 및 배기덕트(105)의 설계시 일반 공조 덕트설계와 같은 구조로 설계된 것이 많기 때문에 결로발생이 빈번하게 발생되곤 하였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104)에 설치되는 유닛쿨러(104a)의 경우 소음이 60dB를 초과하기 때문에 작업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식품가공 작업장(101)의 경우 외부로부터 유해한 미세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야만 하는데, 상기와 같이 급기덕트(104) 및 배기덕트(105)로 이루어진 급/배기의 경우, 실내의 양압을 형성하는 수단을 전혀 구비하지 않아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여지를 충분히 내포하고 있어, 안전하게 식품가공을 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급기덕트(104) 및 유닛쿨러(104a)에서 공급하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 공기를 열교환 없이 그대로 배출하기 때문에 열효율성이 현저히 낮았다.
아울러, 냉동기(102) 및 보일러(103) 등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식품가공 작업장(101) 외부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에는 설치를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는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및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식품가공 작업장 내부와 외부에 설치하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식품가공 작업장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되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는 살균/탈취부를 구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와 덕트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덕트 부분에는 팬모터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식품가공 작업장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공급구가 구성된 공기 공급부와, 상기 본체와 덕트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덕트 부분에는 외부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댐퍼가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 흡입구를 형성한 외부공기 흡입부와, 상기 본체와 덕트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덕트 부분에는 내부공기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댐퍼가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식품가공 작업장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하는 내부공기 흡입구를 형성한 내부공기 흡입부와, 식품가공 작업장 내에 설치되는 본체와 식품가공 작업장 외부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냉/난방 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는 외부공기 흡입부의 제1 댐퍼와 내부공기 흡입부의 제2 댐퍼는 버터플라이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는 외부공기 흡입부의 제1 댐퍼와 내부공기 흡입부의 제2 댐퍼를 이용해 내부공기 흡입량 : 외부공기 흡입량의 비를 8 : 2 ∼ 7 : 3의 비율로 흡입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식품가공 작업장 내의 압력이 양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는 공기공급부의 팬모터와 공기공급구에 의해 식품가공 작업장 내로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켜 압력이 높아지도록 하여, 내부공기 흡입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는 내부공기 흡입부의 내부공기 공급구는 식품가공 작업장 내에서 위치를 가변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유닛을 히트펌프나 냉방사이클과 히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는 식품가공 작업장 내에서는 무덕트로 형성되어 있어 설치가 용이하며, 그에 따른 설치비용도 적게 발생한다.
또한, 소음 및 진동이 적게 발생하도록 냉/난방 유닛을 분리하여 형성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가공 작업장의 공기를 리턴하여 사용하되, 냉/난방 유닛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외부공기 흡입부의 제1 댐퍼와 내부공기 흡입부의 제2 댐퍼를 이용하여 외부공기 및 내부공기 흡입량을 일정한 비율로 조정한 후 흡입하여,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을 유지시킴으로써, 별도의 배기덕트를 설치하지 않고도 식품가공 작업장의 공기가 창문이나 문을 통해 일부 배출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식품을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를 순환시키기 때문에 내부공기 흡입부에서 흡입하는 팬이 별도로 없더라도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아울러, 냉/난방 유닛을 분리하여 형성하여 식품가공 작업장 외부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설치가 용이하며, 특히, 건물 외벽과 거리가 먼곳에 식품가공 작업장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80)는 식품가공 작업장(1)의 내부 및 외부에 분리하여 설치하도록 구성하여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의 온도 조절 및 압력을 양압으로 형성시켜, 식품가공 시 식품의 신선도 유지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식품가공 작업장(1)으로 유입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우선, 식품가공 작업장(1)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10)는 박스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도록 살균/탈취부(11)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살균/탈취부(11)는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UV램프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압전류를 이용해 스파크를 형성하여 오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오존발생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오존발생기의 경우 오존량의 조절이 0.1ppm정도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식품가공 작업장(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 공급부(20)는 상기 본체(10)와 덕트(d)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있는 덕트(d) 부분에는 공기를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팬모터(21)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와 연결된 덕트(d)의 타측에는 식품가공 작업장(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필터(f)를 포함하는 공기 공급구(22)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 공급부(20)의 공기 공급구(22)에는 바람의 방향을 상, 하, 좌, 우로 조절하여 식품가공 작업장(1)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외부공기 흡입부(30)는 상기 본체(10)와 덕트(d)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있는 덕트(d) 부분에는 외부의 공기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댐퍼(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와 연결된 덕트(d)의 타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필터(f)를 포함하는 외부공기 흡입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공기 흡입부(30)의 제1 댐퍼(3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지만, 버터플라이 밸브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공간에서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품가공 작업장(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리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내부공기 흡입부(40)는 상기 본체(10)와 덕트(d)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있는 덕트(d) 부분에는 내부의 공기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댐퍼(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와 연결된 덕트(d)의 타측에는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필터(f)를 포함하는 내부공기 흡입구(42)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기 흡입부(40)의 제2 댐퍼(4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지만, 버터플라이 밸브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공간에서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부(20)와 외부공기 흡입부(30) 및 내부공기 흡입부(40)와 본체(10)에 연결되는 덕트(d)는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최소한 길이의 덕트(d)로서, 종래와 같이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디퓨져(도면에 미도시)나 유니트쿨러(도면에 미도시) 등과 같은 배출수단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구(22), 외부공기 흡입부(32), 내부공기 흡입구(42)에 형성한 필터(f)는 미세먼지까지 여과할 수 있는 해파필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외부공기 흡입부(30)와 내부공기 흡입부(40)를 이용하여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의 양압을 유지시키는 방법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부(30)의 제1 댐퍼(31)와 내부공기 흡입부(40)의 제2 댐퍼(41)를 통상의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내부공기 흡입량 : 외부공기 흡입량 비율을 8 : 2 ∼ 7 : 3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의 압력이 양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기 흡입부(40)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은 공기공급부(20)의 팬모터(21)와 공기공급구(22)에 의해 식품가공 작업장(1) 내로 동압(방향성의 운동에너지를 가진 공기의 힘)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켜 압력이 높아지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내부공기 흡입부(40)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내부공기 흡입부(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기 흡입부(40)의 내부공기 흡입구(42)는 식품가공 작업장(1) 내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가능하다.
예컨대, 식품가공 작업장(1)의 천장부분에 설치하거나, 바닥부분에 설치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식품가공 작업장(1)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식품가공 작업장(1)의 외부에 분리하여 형성한 냉/난방 유닛(5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냉/난방 유닛(50)은 사방밸브(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을 할 수 있는 히트펌프형태로 형성하거나, 냉방사이클과 히터를 구비하여 냉방 및 난방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냉/난방 유닛(50)을 냉방사이클과 히터로 구성할 경우 히터의 위치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본체(10)에 배치되는 냉/난방 유닛(50)의 구성요소는 식품가공 작업장(1)을 냉/난방할 수 있는 열교환장치가 설치되며, 냉매의 순환은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장치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식품가공 작업장(1)의 외부로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80)를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 및 외부에 설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80)는 식품가공 작업장(1) 외부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냉/난방 유닛(50)의 구성요소 일부만을 식품가공 작업장(1)에 설치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공간 활용 방안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 중 내부공기 흡입부(40)의 내부공기 흡입구(42)의 경우, 식품가공 작업장(1) 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데, 공기순환에 의해 식품가공 작업장(1)의 온도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식품가공 작업장(1)의 바닥면 인근에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통상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외부공기 흡 입부(30)의 제1 댐퍼(31)와 내부공기 흡입부(40)의 제2 댐퍼(41)를 조절하여 내부/외부 공기 흡입량의 비율을 8 : 2 ∼ 7 : 3 범위 내에서 흡입할 수 있도록 조정한다.
그런 후 통상의 전원을 인가하여 본 발명의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80)을 구동한다.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공기 공급부(20)에 형성되어 있는 팬모터(21)가 구동하면서, 팬모터(21) 에 의해 외부공기 공급부(30)의 외부공기 공급구(32)에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외부공기 공급구(32)에는 필터(f)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 중 미세먼지 등이 필터(f)에 의해 여과된 상태로 외부공기 공급구(32)와 덕트(d)를 거쳐 본체(10)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팬모터(21)에 내부공기 흡입부(40)의 내부공기 흡입구(42)로도 식품가공 작업장(1)의 내부 공기가 덕트(d)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기 흡입부(40)에서 식품가공 작업장(1)의 공기를 흡입하는 작용은 최초로 본 발명을 구동하였을 때에는 미비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외부공기 공급구(32)와 마찬가지로 내부공기 흡입구(42)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f)에 의해 내부공기의 이물질 등을 여과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덕트(d)를 통해 본체(1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기와 외부공기는 제1, 2 댐퍼(31, 41)에 의해 일정한 비율로 흡입되며, 상기 일정한 비율로 흡입된 내부 공기 및 외부 공기는 본체(10)에 형성된 살균/탈취부(11)를 통과하면서, 내부 공기 및 외부공기의 살균 작용과 더불어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작용하며,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에 설치된 본체(10)에 배치되어 있는 일부의 냉/난방 유닛(50)에 의해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살균/탈취 및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는 팬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공기 공급부(20)의 공기 공급구(22)를 통해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외부의 공기 및 내부의 공기를 일정한 비율로 흡입하여 식품가공 작업장(1)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의 공기량보다 20 ∼ 30% 비율로 공기가 더 유입되기 때문에 식품가공 작업장(1)은 외부보다 항상 공기가 충만하게 되어 항상 양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부(20)의 공기공급구(22)에서 지속적으로 동압(방향성의 운동에너지를 가진 공기의 힘)의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양압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기공급부(20)의 압력이 높게 형성되어, 식품가공 작업장(1)의 공기가 내부공기 흡입부(40)로 이동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배기구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양압을 이루는 식품가공 작업장(1)의 공기는 식품가공 작업장(1) 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와 같이 외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공기가 일부 유출되면서, 외부로 부터 유입될 수 있는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로 유입하지 못하도록 작용하 여, 식품가공 작업장(1)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 1은 종래의 식품가공 작업장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순환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주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덕트 f : 필터
1 : 식품가공 작업장 10 : 본체
11 : 살균/탈취부 12 : 공기공급구
20 : 공기 공급부 21 : 팬모터
22 : 공기 공급구 30 : 외부공기 흡입부
31 : 제1 댐퍼 32 : 외부공기 흡입구
40 : 내부공기 흡입부 41 : 제2 댐퍼
42 : 내부공기 흡입구 50 : 냉/난방 유닛
80 :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Claims (7)

  1. 식품가공 작업장(1)의 양압 및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와 외부에 설치하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식품가공 작업장(1)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되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는 살균/탈취부(11)를 구성한 본체(10);
    상기 본체(10)와 덕트(d)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덕트(d) 부분에는 팬모터(21)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f)를 포함하는 공기공급구(22)가 구성된 공기 공급부(20);
    상기 본체(10)와 덕트(d)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덕트(d) 부분에는 외부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댐퍼(31)가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필터(f)를 포함하는 외부공기 흡입구(32)를 형성한 외부공기 흡입부(30);
    상기 본체(10)와 덕트(d)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덕트(d) 부분에는 내부공기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댐퍼(41)가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식품가공 작업장(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필터(f)를 포함하는 내부공기 흡입구(42)를 형성한 내부공기 흡입부(40);
    식품가공 작업장(1) 내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식품가공 작업장(1) 외부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냉/난방 유닛(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공기 흡입부(30)의 제1 댐퍼(31)와 내부공기 흡입부(40)의 제2 댐퍼(41)는 버터플라이 밸브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가공 작업장(1)에서 양압을 유지시키는 방법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부(30)의 제1 댐퍼(31)와 내부공기 흡입부(40)의 제2 댐퍼(41)를 이용해 내부공기 흡입량 : 외부공기 흡입량의 비를 8 : 2 ∼ 7 : 3의 비율로 흡입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식품가공 작업장(1) 내의 압력이 양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기 흡입부(40)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은, 공기 공급부(20)의 팬모터(21)와 공기공급구(22)에 의해 식품가공 작업장(1) 내로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켜 압력이 높아지도록 하여, 내부공기 흡입부(40)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기 흡입부(40)의 내부공기 흡입구(43)는 식품가공 작업장(1) 내에서 위치를 가변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유닛(50)은 히트펌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유닛(50)은 냉동사이클과 히터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KR1020080053570A 2008-06-09 2008-06-09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KR10086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70A KR100869823B1 (ko) 2008-06-09 2008-06-09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70A KR100869823B1 (ko) 2008-06-09 2008-06-09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823B1 true KR100869823B1 (ko) 2008-11-21

Family

ID=4028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570A KR100869823B1 (ko) 2008-06-09 2008-06-09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8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990A (zh) * 2019-04-11 2019-07-23 四川事扬机电设备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对食品车间烤炉房进行隔断式降温的方法
CN111486541A (zh) * 2020-04-22 2020-08-04 内蒙古自治区农牧业科学院 一种无菌通风***
KR20210140989A (ko) * 2020-05-14 2021-11-23 김동용 제면용 살균제조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104Y1 (ko) * 2004-03-16 2004-06-22 강남필터 주식회사 고 여과효율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내기 및 외기도입식 공기청정환기시스템
KR100601219B1 (ko) 2005-06-02 2006-07-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80012503A (ko) * 2006-08-03 2008-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겸용 공기 조화기
KR20080021998A (ko) * 2006-09-05 2008-03-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크롤 팽창기를 이용한 폐열회수형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104Y1 (ko) * 2004-03-16 2004-06-22 강남필터 주식회사 고 여과효율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내기 및 외기도입식 공기청정환기시스템
KR100601219B1 (ko) 2005-06-02 2006-07-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80012503A (ko) * 2006-08-03 2008-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겸용 공기 조화기
KR20080021998A (ko) * 2006-09-05 2008-03-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크롤 팽창기를 이용한 폐열회수형 공기조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990A (zh) * 2019-04-11 2019-07-23 四川事扬机电设备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对食品车间烤炉房进行隔断式降温的方法
CN111486541A (zh) * 2020-04-22 2020-08-04 内蒙古自治区农牧业科学院 一种无菌通风***
CN111486541B (zh) * 2020-04-22 2021-07-06 内蒙古自治区农牧业科学院 一种无菌通风***
KR20210140989A (ko) * 2020-05-14 2021-11-23 김동용 제면용 살균제조설비
KR102504658B1 (ko) * 2020-05-14 2023-03-02 김동용 제면용 살균제조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047B1 (ko) 지하 공간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KR100577214B1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JP4054010B2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US200601545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l ventilation by buiding airflow and separating airflow
JP5626588B2 (ja) 空調システム
US10436471B2 (en) Ventilation fan and dry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008625B1 (ko) 천장 부착 외기 도입형 공기청정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200439228Y1 (ko) 광 플라즈마 살균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JP6245243B2 (ja) 換気システム
KR20120040689A (ko) 캐노피 후드 배기장치
KR100869823B1 (ko) 분리형 타입의 식품가공 작업장의 양압 유지형 공기조화기
CN110914603A (zh) 空气处理***
JP3202443U (ja) 実験動物飼育装置
KR20180116875A (ko) 내부 바닥열을 이용한 공기순환유닛
CN102657885A (zh) 空调器的风道灭菌装置及控制方法
KR102305958B1 (ko) 친환경 냉난방 환기일체형 천정형 공조 유니트
KR20050118784A (ko) 창문형 환기시스템
JP4674616B2 (ja) 空気調和機
KR20220102085A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창문형 에어컨장치
KR100939193B1 (ko) 교번흐름식 통합환기 시스템
JP4626287B2 (ja) 空気調和機
KR102683004B1 (ko)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KR20140056194A (ko) 실내공기의 밀도차이를 이용하는 에어컨
CN111412563B (zh) 一种具备消毒功能的空调机组及消毒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