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193B1 -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193B1
KR100866193B1 KR1020077002915A KR20077002915A KR100866193B1 KR 100866193 B1 KR100866193 B1 KR 100866193B1 KR 1020077002915 A KR1020077002915 A KR 1020077002915A KR 20077002915 A KR20077002915 A KR 20077002915A KR 100866193 B1 KR100866193 B1 KR 10086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ar
elevator
handrail devic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473A (ko
Inventor
가즈야 신도
나오히코 사지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1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이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및 수납 작업시에, 핸드레일 장치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리고 실시하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하고, 조립 작업 및 수납 작업이 용이하고 염가로 구성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핸드레일 장치의 세로 기둥의 하단부에 조립 상태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되는 상단 핀 및 하단 핀을 설치하는 동시에, 세로 기둥의 하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부에, 상단 핀 및 하단 핀의 한쪽에 걸어 맞춤하여 세로 기둥을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단 핀 및 하단 핀의 다른 쪽이 위쪽으로부터 걸어 맞춤함으로써,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세로 기둥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한다.
핸드레일 장치, 상단 핀, 하단 핀, 연결부, 가이드부, 규제부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HANDRAIL DEVICE OF ELEVATOR CA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보수(保守)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기립되는(erected) 동시에, 불필요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접혀져 수납되는 엘리베이터 칸(elevator car)상 핸드레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시, 보수 작업원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에 타고 작업을 실시하는 일이 많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보수 작업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종래 기술로서, 엘리베이터 칸의 양측 등에 배치되는 핸드레일 장치를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승강로 꼭대기부의 필요 공간을 축소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개2000-143125호 공보(도 3)
특허문헌 1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에서는, 접을 수 있게 구성된 핸드레일 장치를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서 조립할 때에, 조립후의 핸드레일 장치의 전도(overturn)를 방지하는 스토퍼나 래치 기구 등을 작업자가 구부린 상태에서 조작하지 않으면 안 되어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 다. 또, 스토퍼나 래치 기구의 구조가 복잡화하여, 고비용을 초래하는 요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또한, 신축식의 핸드레일 장치를 핀이나 볼트에 의해 지지하는 경우에는, 핸드레일 장치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이 모두 핀 등에 전단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강고하고 고가의 핀 등의 사용을 부득이하게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 작업 및 수납 작업이 용이하며, 염가로 구성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기립되는 동시에, 불필요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접어져 수납되는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에 있어서, 핸드레일 및 이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세로 기둥을 가지는 핸드레일 장치와, 세로 기둥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상하에 배치되는 상단 핀 및 하단 핀과,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로 기둥의 하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연결부를 구비하고, 연결부는 상단 핀 및 하단 핀의 한쪽에 걸어 맞춤하여 세로 기둥을 상하 방향에 소정 거리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단 핀 및 하단 핀의 다른 쪽이 위쪽으로부터 걸어 맞춤함으로써,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세로 기둥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기립되는 동시에, 불필요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접어져 수납되는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에 있어서, 핸드레일 및 이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세로 기둥을 가지는 핸드레일 장치와, 세로 기둥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상하에 배치되는 상단 핀 및 하단 핀과,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로 기둥의 하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연결부를 구비하며, 연결부는 상단 핀 및 하단 핀의 한 쪽에 걸어 맞춤하여 세로 기둥을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단 핀 및 하단 핀의 다른 쪽이 위쪽으로부터 걸어 맞춤함으로써,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세로 기둥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조립 작업 및 수납 작업이 용이하며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A부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B부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X-X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주요부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C부 상세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Y-Y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들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D부 상세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엘리베이터 칸 실
2: 완충재
3: 엘리베이터 칸 틀
4: 엘리베이터 칸 하부 틀
5: 엘리베이터 칸 틀 기둥
6: 엘리베이터 상부 틀
7: 엘리베이터 칸 문 구동 장치
8: 엘리베이터 칸 문
9a, 9b: 측면 대들보
10: 앞대들보(front beam)
11: 뒷대들보(rear beam)
12: 핸드레일 장치
13: 오른쪽 핸드레일
14: 왼쪽 핸드레일
15: 뒤쪽 핸드레일
16, 32: 연결부
17, 23: 세로 기둥
17a: 관통 구멍
18, 24: 상부 핸드레일
19, 25: 하부 핸드레일
20, 33: 하단 핀
21: 상단 핀
22, 34: 설치 걸쇠(mounting fixture)
22a, 34a: 가이드 구멍
22b: 스토퍼 홈
26: 회동 장치
26a, 26b: 지지 걸쇠
26c, 35a: 핀
27, 27c, 28: 걸림 장치
27a: 설치 판
27b: 나비 볼트
29: 우측 후부 핸드레일
30: 좌측 후부 핸드레일
31: 증축 대(raising member)
35: 부상 방지 수단(float preventing means)
35b: 쇠사슬
36: 볼트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을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 레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A부 상세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B부 상세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X-X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실(cab)이며, 이 엘리베이터 칸 실(1)은 복수의 완충재(2)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틀(3)에 지지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틀(3)은, 엘리베이터 칸 실(1)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 엘리베이터 칸 실(1)을 지지하는 하부 틀(4)과, 하단부가 엘리베이터 칸 하부 틀(4)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실(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횡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틀 기둥(5)과, 엘리베이터 칸 실(1)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에 배치되어 각 엘리베이터 칸 틀 기둥(5)의 상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개구 방향에서 접속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에 의해 구성된다. 또, 7은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개폐를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칸 문(8)을 구동하는 엘리베이터 칸 문 구동 장치이다.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은, 그 중간부가 각 엘리베이터 칸 틀 기둥(5)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안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좌우의 대들 보로 이루어진 측면 대들보(9a, 9b)와, 측면 대들보(9a, 9b)의 각 앞 측단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고, 이 측면 대들보(9a, 9b)의 각 앞측단부를 엘리베이터 칸 사이 개구 방향에서 접속하는 앞대들보(10)와, 측면 대들보(9a, 9b)의 각 후측 단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고, 이 측면 대들보(9a, 9b)의 각 후측 단부를 엘리베이터 칸 사이 개구 방향에서 접속하는 뒷대들보(11)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 환상(環狀)을 나타내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을 구성하는 측면 대들보(9a, 9b), 앞대들보(10), 뒷대들보(11)는 각각 각 파이프(square pipe)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대들보(10) 및 뒷대들보(11)는 각 양단부가 측면대들보(9a, 9b)에 용접 접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된 핸드레일 장치(1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핸드레일 장치(12)는 승강로 꼭대기부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하기 위해 접힐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 1 내지도 7에서는, 핸드레일 장치(12)가 엘리베이터 보수 점검시에 조립되어 엘리베이터 칸 상부에 기립된 상태(이하, 「조립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핸드레일 장치(12)는, 그 조립 상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차장측에서 봐서 엘리베이터 칸 상부의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되는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과, 엘리베이터 칸 상부의 뒤쪽에 배치되는 뒷핸드레일(15)로 구성된다. 또한, 16은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의 앞대들보(10)의 양단부 및 뒷대블보(11)의 양단부 설치되어,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의 하단부를 소정 각도 내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부이다.
상기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은, 엘리베이터 칸의 앞쪽 및 뒤쪽에 배치된 2개의 세로 기둥(17)과, 양 세로 기둥(17)의 각 상단부에 용접 접합되고, 이 세로 틀(17)의 각 상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안길이 방향에서 접속하는 상부 핸드레일(18)과, 양 세로 기둥(17)의 각 중간부에 용접 접합되어, 상부 핸드레일(18)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안길이 방향에 배치된 하부 핸드레일(19)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 핸드레일(18) 및 하부 핸드레일(19) 및 이 상부 핸드레일(18) 및 하부 핸드레일(19)을 지지하는 각 세로 기둥(17)은 각각 각 파이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세로 기둥(17)의 하단부에는, 핸드레일 장치(12)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상하에 배치되는 하단 핀(20) 및 상단 핀(2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단 핀(20)과 상단 핀(21)은 서로 평행이 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안길이 방향에 배치되고, 각 양단부가 세로 틀(17)의 앞쪽 측면 및 뒤쪽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세로 기둥(17)의 하단부를 앞대들보(10) 및 뒷대들보(11)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부(16)에는, 하단 핀(20) 및 상단 핀(21)의 한쪽에 걸어 맞춤하여 세로 기둥(17)을 위쪽에 소정 거리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하단 핀(20) 및 상단 핀(21) 의 다른 쪽이 위쪽으로부터 걸어 맞춤함으로써, 핸드레일 장치(12)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세로 기둥(17)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연결부(16)는, 횡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コ자 형상부의 개방단이 평면에서 보아 엘리베이터 칸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앞대들보(10) 및 뒷대블보(11)의 단부 표면에 세워 설치된 설치 걸쇠(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대향하는 설치 걸쇠(22)의 평행판에, 상하 방향으로 긴쪽 방향을 갖는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구멍(22a)(가이드부)과, 이 가이드 구멍(22a)의 위쪽에 설치되고, 위쪽에 개구한 대략 U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스토퍼 홈(22b)(규제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 설치 걸쇠(22)의 コ자 형상부 내, 즉 상기 평행판 사이에는 세로 기둥(17)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 걸쇠(22)의 각 가이드 구멍(22a)에 하단 핀(20)이 유관하여 배치되고(유격이 있게 관통 배치되고)(arranged penetratingly with a play), 각 스토퍼 홈(22b) 내에 상단 핀(21)이 배치된다. 또한, 핸드레일 장치(12)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세로 기둥(17)이 앞대들보(10)에 직접 실어 놓여져 있으며, 핸드레일 장치(12)에 작용하는 수직 하중 및 핸드레일 장치(12)의 자중이, 앞대들보(10) 및 뒷대블보(11)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하단 핀(20)과 가이드 구멍(22a)의 하부 가장자리부, 및 상단 핀(21)과 스토퍼 홈(22b)의 하부 가장자리부 사이에는 각각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핀(20) 및 상단 핀(21)에는 상기 수직 하중이 작용할 일은 없다.
한편, 상기 뒷핸드레일(15)은 4개의 각 파이프를 사각 환상(環狀)으로 용접 접합함으로써 형성되고, 양측의 세로 기둥(23)과 양 세로 기둥(23)의 각 상단부를 접속하는 상부 핸드레일(24)과, 양 세로 기둥(23)의 각 하단부를 접속하는 하부 핸드레일(25)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뒷핸드레일(15)은, 좌측의 세로 기둥(23)이 왼쪽 핸드레일(14)의 뒤쪽의 세로 기둥(17)에 대해 회동 장치(26)(도 1 내지 도 7 에 있어서는 도시생략)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오른쪽의 세로 기둥(23)이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뒤쪽의 세로 기둥(17)에 대해 걸림 장치(27)에 의해 걸려져 있다. 여기서, 뒷핸드레일(15)의 상부 핸드레일(24) 및 하부 핸드레일(25)간의 거리는, 회동 장치(26)에 의해 지지된 왼쪽 핸드레일(14)의 상부 핸드레일(18) 및 하부 핸드레일(19)간의 거리보다 짧으며, 뒷핸드레일(15)은, 왼쪽 핸드레일(14)의 상부 핸드레일(18) 및 하부 핸드레일(19)사이의 높이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 장치(27)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뒤쪽의 세로 기둥(17)에 설치된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는 설치판(27a)과, 뒷핸드레일(15)의 오른쪽의 세로 기둥(23)에 두루 감겨진 나비 볼트(27b)로 구성된다. 그리고, 나비 볼트(27b)를 죄어 뒷핸드레일(15)의 세로 틀(23)측면과 나비 볼트(27b)에 의해 설치판(27a)을 끼움으로써, 뒷핸드레일(15)의 오른쪽의 세로 틀(23)이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뒤쪽의 세로 기둥(17)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이 종료하여 핸드레일 장치(12)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 이 핸드레일 장치(12)를 엘리베이터 칸 위에 접어 수납할 때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주요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10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C부 상세도이다.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원은, 우선, 걸림 장치(27)의 나비 볼트(27b)를 이완 시킴으로써, 뒷핸드레일(15)의 우측의 세로 기둥(23)을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뒤쪽의 세로 기둥(17)으로부터 떼어내고, 회동 장치(26)를 중심으로 뒷핸드레일(15)을 회전시켜 왼쪽 핸드레일(14)측에 이동시킨다. 이 때, 뒷핸드레일(15)의 상부 핸드레일(24) 및 하부 핸드레일(25)사이의 거리가 왼쪽 핸드레일(14)의 상부 핸드레일(18) 및 하부 핸드레일(19)간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뒷핸드레일(15)을 왼쪽 핸드레일(14)과 대략 평행할 때까지 회전시킴으로써, 뒷핸드레일(15)을 왼쪽 핸드레일(14)의 양측의 세로 기둥(17), 상부 핸드레일(18), 하부 핸드레일(19)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뒷핸드레일(15)은,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은 뒷핸드레일(15)을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 내에 배치한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있어서, 회동 장치(26)는 왼쪽 핸드레일(14)의 뒤쪽의 세로 기둥(17)에 설치된 대략 コ자 형상을 나타내는 지지 걸쇠(26a)와 뒷핸드레일(15)의 좌측의 세로 기둥(23)에 설치된 대략 コ자 형상을 나타내는 지지 걸쇠(26b)가, 상하 방향에 축을 갖는 핀(26c)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뒷핸드레일(15)을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 내에 배치했을 때에, 상기 지지 걸쇠(26a, 26b) 및 핀(26c)도 뒷핸드레일(15)과 마찬가지로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28로 나타낸 걸림 장치는, 뒷핸드레일(15)을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 내에 배치했을 때에, 뒷핸드레일(15)을 왼쪽 핸드레일(14)에 고정하여 뒷핸드레일(15)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보수 작업원은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을 소정 거리 들어 올리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의 내측으로 접어, 오른쪽 핸드레일(13)을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왼쪽 핸드레일(14)을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실어 놓여진 오른쪽 핸드레일(13)상에 실어 놓는다. 또한, 도 11은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을 엘리베이터 칸상에 수납할 때의 세로 기둥(17) 하부 및 연결부(16)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수납 작업에 있어서 보수 작업원은, 우선 오른쪽 핸드레일(13)을 위쪽에 들어 올림으로써, 앞쪽 및 뒤쪽의 세로 기둥(17)을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세로 기둥(17)의 하단부는, 하단 핀(20)이 설치 걸쇠(22)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2a)에 안내됨으로써, 가이드 구멍(22a)의 긴 쪽 방향을 따라 위쪽을 이동한다. 또한, 하단 핀(20)의 양단부가 가이드 구멍(22a)을 통하여 설치 걸쇠(22)의 양 바깥쪽에 돌출해 있기 때문에, 하단 핀(2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세로 기둥(17)을 연결부(16)로부터 완전하게 떼어낼 수 없다.
또, 오른쪽 핸드레일(13)을 위쪽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하단 핀(20)과 함께 이 하단 핀(20)의 위쪽에 설치된 상단 핀(21)도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단 핀(21)이 스토퍼 홈(22b)의 개구단으로부터 설치 걸쇠(22)의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단 핀(21)과 스토퍼 홈(22b)과의 걸어 맞춤 상태가 해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하단 핀(20)을 중심으로서 세로 틀(17)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수 작업원은 세로 틀(17)을 회전시켰을 때에 상단 핀(21)이 설치 걸쇠(22)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까지 오른쪽 핸드레일(13)을 들어 올린 후, 오른쪽 핸드레 일(13)을 엘리베이터 칸의 내측에 전도시키고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실어 놓는다.
다음으로, 보수 작업원은 상기와 같은 순서에 의해 왼쪽 핸드레일(14)을 엘리베이터 칸의 내측에 경도(傾倒)시키고, 미리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접혀진 오른쪽 핸드레일(13)상에 실어 놓는다. 여기서, 왼쪽 핸드레일(14)은 오른쪽 핸드레일(13)상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즉, 설치 걸쇠(22)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2a)은, 왼쪽 핸드레일(14)이 오른쪽 핸드레일(13)상에 수평으로 실어 놓여졌을 때에,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두께만큼 위쪽으로 이동하는 하단 핀(20)의 위치에 맞추고, 그 상하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2는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이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실어 놓여져 핸드레일 장치(12)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이하, 「수납 상태」라고 함)를 나타낸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시, 보수 작업원은 상기 수납시의 반대의 순서에 의해 핸드레일 장치(12)를 엘리베이터 칸 위에 조립한다. 즉, 보수 작업원은 우선 엘리베이터 칸 위에 실어 놓여진 왼쪽 핸드레일(14)을, 하단 핀(2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들어 올린다. 그리고, 왼쪽 핸드레일(14)을 직립 상태로 한 후, 세로 기둥(17) 하단부에 설치된 상단 핀(21)이 연결부(16)의 스토퍼 홈(22b) 내에 배치되게, 왼쪽 핸드레일(14)을 조용하게 내려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세워 설치시킨다. 또, 상기와 동일한 순서에 의해 오른쪽 핸드레일(13)를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세워 설치시킨다.
다음으로, 보수 작업원은 걸림 장치(28)의 나비 볼트를 이완시킴으로써, 뒷 핸드레일(15)을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하고, 회동 장치(26)를 중심으로 뒷핸드레일(15)을 회전시켜 오른쪽 핸드레일(13)측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걸림 장치(27)의 나비 볼트(27b)를 체결함으로써, 뒷핸드레일(15)의 오른쪽의 세로 기둥(23)을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뒤쪽의 세로 기둥(17)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오른쪽 핸드레일(13)이나 왼쪽 핸드레일(14)을 조립할 때에 세로 기둥(17)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단 핀(21)을 설치 걸쇠(22)의 스토퍼 홈(22b)에 걸어 맞춤시키는 것만으로, 핸드레일 장치(12)의 전도(overturn) 방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후의 핸드레일 장치(12)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서만 구비된 종래의 스토퍼나 래치 기구 등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핸드레일 장치(12)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보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 구부리고 실시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지고, 작업성이 향상하여 조립 시간 및 수납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종래의 스토퍼나 래치 기구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화하여 핸드레일 장치(12)를 염가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핸드레일 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위쪽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실어 놓여져 수납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기기류를 파손할 우려가 없으며, 또, 엘리베이터 칸 상면에 설치된 팬 등의 진동이 핸드레일 장치(12)에 전파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핸드레일 장치(12)는, 뒷핸드레일(15)이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실어 놓여진 핸드레일 장치(12) 전체의 두께를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두께 및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만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뒷핸드레일(15)은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 내에 들어가지 않아도, 핸드레일 장치(12)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오른쪽 핸드레일(13)과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 내에 배치 할 수 있으면,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실시예 2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Y-Y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핸드레일 장치(12)의 뒷핸드레일(15)는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뒤쪽의 세로 기둥(17)에 회동 장치(도시생략)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오른쪽 뒷핸드레일(29)과, 왼쪽 핸드레일(14)의 뒤쪽의 세로 기둥(17)에 회동 장치(26)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왼쪽 뒷핸드레일(30)로 구성된다. 이 오른쪽 뒷핸드레일(29)과 왼쪽 뒷핸드레일(30)은, 모두 각 파이프를 사각 환상으로 용접 접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핸드레일 장치(12)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세로 기둥끼리가 걸림 장치(27c)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핸드레일 장치(12)를 수납할 때에는 회동 장치(26) 등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되고, 오른쪽 뒷핸드레일(29)은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두께 내에 또 왼쪽 뒷핸드레일(30)은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 내에 각각 수납된다.
상기와 같이 뒷핸드레일(15)을 분할 구성함으로써, 오른쪽 뒷핸드레일(29) 및 왼쪽 뒷핸드레일(30)의 회동 범위를 좁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시 및 수납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뒷핸드레일(15)의 폭이 오른쪽 핸드레일(13)이나 왼쪽 핸드레일(14)의 폭보다 넓은 경우, 즉 엘리베이터 칸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칸의 폭이 넓은 경우에 있어서의 핸드레일 장치(12)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의 좌측 단부 상면에는, 대략 Z자 형상을 나타내는 증축대(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핸드레일 장치(12)는, 왼쪽 핸드레일(14)의 세로 기둥(17)이 이 증축대(31) 및 오른쪽 핸드레일(13)상에 수평하게 실어 놓여져 있다. 즉, 증축대(31)는,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두께와 동일 높이를 가지며,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왼쪽 핸드레일(14)의 세로 기둥(17)의 하부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의 폭이 넓은 경우에 상기 증축대(31)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드레일 장치(12)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왼쪽 핸드레일(14)에 경사가 생겨 버린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핸드레일 장치(12)를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상에 수평으로 배치하여 그 두께를 오른쪽 핸드레일(13)의 두께 및 왼쪽 핸드레일(14)의 두께만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엘리베이터 칸상 기기와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왼쪽 핸드레일(14)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시도 안정적이며 진동 및 달각달각 소리 등의 소음이 발생할 우려도 없다. 또한,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D부 상세도,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 있어서,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의 앞쪽, 즉 엘리베이터의 타는 쪽은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구성을 갖으며,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에 설치된 설치 걸쇠(22)와, 세로 기둥(17)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단 핀(20) 및 상단 핀(21)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의 뒤쪽, 즉 엘리베이터의 타는 쪽 반대측에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의 뒷대들보(11) 단부에 세워 설치된 연결부(32)와, 세로 기둥(17)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단 핀(33)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32)는 횡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コ자 형상부의 개방단이 평면으로 볼 때 엘리베이터 칸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설치 걸쇠(34)로 구성되고,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대향하는 평행판에, 상하 방향으로 긴 쪽 방향을 갖는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단 핀(33)은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의 하단 핀(2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그 긴 쪽 방향이 엘리베이터 칸의 안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양단부가 세로 틀(17)의 앞쪽 측면 및 뒤쪽 측면에서 소정 거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타는쪽 반대측에는,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의 상단 핀(21) 및 스토퍼 홈(22b)에 상당하는 것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이, 타는 쪽에만 상단 핀(21)과 설치 걸쇠(22)에 형성된 스토퍼 홈(22b)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원이 실시하는 핸드레일 장치(12)의 조립 작업 및 수납 작업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핸드레일 장치(12)의 수납시, 보수 작업원은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을 들어 올려 엘리베이터 칸의 내측에 접을 때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는 쪽의 세로 기둥(17)을 들어 올리는 것만으로 오른쪽 핸드레일(13) 및 왼쪽 핸드레일(14)을 접을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른쪽 핸드레일(13)의 중량의 약 절반의 힘으로 수납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핸드레일 장치(12)의 조립시에도, 상단 핀(21)을 스토퍼 홈(22b)에 걸어 맞춤시키는 작업을 타는 쪽에만 실시하면 되고, 승강로 내가 어두운 경우 등, 보수 작업원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타는 쪽 반대측이 보기 힘든 경우에도 작업성을 악화시킬 우려는 없다. 또한, 그 외는 실시예 1 또는 2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접는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있어 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1)에는, 앞쪽 및 뒤쪽 양쪽에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문(8) 및 엘리베이터 칸 문(8)을 개폐 구동하는 엘리베이터 칸 문 구동 장치(7)도,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6)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칸 실(1)의 직선 방향으로 2개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형성된 입구가 두개인 엘리베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핸드레일 장치(12)의 오른쪽 핸드레일(13), 왼쪽 핸드레일(14) 및 뒷핸드레일(15)은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대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 전후 역방향으로 하더라도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하단 핀(20)이 세로 기둥(17)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하단 핀(20)을 떼어냄으로써 핸드레일 장치(12)를 설치 걸쇠(22)로부터 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핸드레일 장치(12)를 180도 방향 전환시키더라도, 세로 기둥(17)이 설치 걸쇠(22)에 장착할 수 있도록 세로 기둥(17) 및 설치 걸쇠(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틀(6)에 설치된 설치 걸쇠(22)에는, 앞대들보(10) 및 뒷대블보(11)에 설치된 것 모두에 스토퍼 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세로 기둥(17)에는, 그 모든 하단부에 하단 핀(20)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동시에 타는 쪽, 즉 뒷핸드레일(15)을 지지하는 회동 장치(26)나 걸림 장치(27)가 장착되지 않은 쪽의 세로 기둥(17) 하단부에만 상단 핀(21)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각 층 바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타 는 쪽 방향에 맞추어 핸드레일 장치(12)의 배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입구가 두개인 엘리베이터에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타는 쪽 방향이 다른 경우라도 공통의 핸드레일 장치(12)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핸드레일 장치(12)의 구성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종류의 삭감 및 코스트 삭감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 외는 실시예 1 내지 3의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4 및 도 5 상당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 세로 기둥(17)의 하단부에는 하단 핀(20) 및 상단 핀(21)의 긴 쪽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축 방향을 갖는 관통 구멍(17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관통 구멍(17a)은 핸드레일 장치(12)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설치 걸쇠(22)의 가이드 구멍(22a)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35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핸드레일 장치(12)의 세로 기둥(17)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상(浮上) 방지 수단이다. 이 부상 방지 수단(35)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핀(35a)과, 일단부가 핀(35a)에 연결된 쇠사슬(35b)로 구성되고, 쇠사슬(35b)의 타단부가 볼트(36)에 의해 측면 대들보(9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핸드레일 장치(12)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핀(35)이 설치 걸쇠(22)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2a)의 상부 및 세로 기둥(17)의 하단부에 형성된 관 통 구멍(17a)에 끼워져 통과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시에 핸드레일 장치(12)에 위쪽에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서도, 부상 방지 수단(35)의 핀(35a)이 가이드 구멍(22a)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위쪽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으며, 핸드레일 장치(12)의 부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외는 실시예 1 내지 4의 어느 한 쪽과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에 의하면, 오른쪽 핸드레일 및 왼쪽 핸드레일의 세로 틀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단 핀을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에 설치된 스토퍼 홈에 위쪽으로부터 걸어 맞춤시키는 것만으로,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핸드레일 장치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 보수 작업원이 실시하는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작업 및 수납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 핸드레일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염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기립되는 동시에, 불필요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접혀져 수납되는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에 있어서,
    핸드레일 및 이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세로 기둥을 갖는 핸드레일 장치와, 상기 세로 기둥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상태에서 상하에 배치되는 상단 핀 및 하단 핀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로 기둥의 하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단 핀 및 상기 하단 핀의 한쪽에 걸어 맞춤하여 상기 세로 기둥을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상단 핀 및 상기 하단 핀의 다른 쪽이 위쪽으로부터 걸어 맞춤함으로써, 상기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로 기둥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세로 기둥의 회동을 규제하는 상단 핀 및 하단 핀의 다른 쪽은, 타는 쪽에 배치된 상기 세로 기둥에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세워 설치된 평행판을 구비하며, 상기 평행판 사이에 핸드레일 장치의 세로 틀의 하단부가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각 평행판에 상하 방향으로 긴 쪽 방향을 가지며, 상단 핀 및 하단 핀의 한 쪽이 유격이 있도록 관통하여 배치된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와, 위쪽에 개구된 홈으로 이루어 진 규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핸드레일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의 오른쪽 및 왼쪽에 배치되는 오른쪽 핸드레일 및 왼쪽 핸드레일과, 이 오른쪽 핸드레일 및 왼쪽 핸드레일의 적어도 한 쪽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부의 뒤쪽에 배치되는 뒷핸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핸드레일 장치의 수납 상태에서, 상기 오른쪽 핸드레일 및 상기 왼쪽 핸드레일의 한쪽에 다른 쪽이 실어 놓여지는 동시에, 뒷핸드레일이 상기 오른쪽 핸드레일 및 왼쪽 핸드레일의 두께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엘리베이터 칸 실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에 설치되고, 핸드레일 장치의 조립 상태에서, 세로 기둥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상에 실어 놓여져 상기 핸드레일 장치에 작용하는 수직 하중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수납 상태에서의 핸드레일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틀상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핸드레일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대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 전후 역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핸드레일 장치의 세로 기둥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부상 방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상 핸드레일 장치.
KR1020077002915A 2007-02-06 2005-09-16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 KR10086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2915A KR100866193B1 (ko) 2007-02-06 2005-09-16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2915A KR100866193B1 (ko) 2007-02-06 2005-09-16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473A KR20070088473A (ko) 2007-08-29
KR100866193B1 true KR100866193B1 (ko) 2008-10-30

Family

ID=3861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915A KR100866193B1 (ko) 2007-02-06 2005-09-16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777B1 (ko) * 2009-07-02 2012-0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핸드레일
KR200469744Y1 (ko) * 2012-02-06 2013-11-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이식 일체형 핸드레일
JP6631563B2 (ja) * 2017-03-07 2020-01-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4410A1 (fr) * 2002-03-07 2003-09-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in courante placee au-dessus de la cage d'un ascenseur
WO2003093157A1 (fr) * 2002-05-01 2003-11-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in courante pour cage d'ascenseur
JP2005132547A (ja) * 2003-10-29 2005-05-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4410A1 (fr) * 2002-03-07 2003-09-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in courante placee au-dessus de la cage d'un ascenseur
WO2003093157A1 (fr) * 2002-05-01 2003-11-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in courante pour cage d'ascenseur
JP2005132547A (ja) * 2003-10-29 2005-05-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473A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7032080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US6543584B1 (en) Elevator with adjustable top edge railing members
JP532826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JP2011126628A (ja) エレベータ点検台
KR100866193B1 (ko)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
CN101670968B (zh) 电梯设备
JP201014996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9057198A (ja) エレベータかご、エレベータかごの組立方法、および揚重治具
KR89000106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479756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CN210340030U (zh) 用于电梯试验井道的可升降工作台
JP5594584B2 (ja) 立体駐輪設備
JP657076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CN115315403B (zh) 电梯的底坑梯子装置
JP5440955B2 (ja) 立体駐輪設備
JP200708432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支持装置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9155605A1 (ja) エレベーター用作業台及びエレベーター
JP480414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JP2004244188A (ja) エレベータかご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JP6184264B2 (ja) 可動式ホーム柵
JP4245315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移動足場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工法
KR200418475Y1 (ko)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