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480B1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480B1
KR100865480B1 KR1020070073164A KR20070073164A KR100865480B1 KR 100865480 B1 KR100865480 B1 KR 100865480B1 KR 1020070073164 A KR1020070073164 A KR 1020070073164A KR 20070073164 A KR20070073164 A KR 20070073164A KR 100865480 B1 KR100865480 B1 KR 10086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work
direct
work vehicle
live
elev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양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성 filed Critical 양희성
Priority to KR1020070073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 작업차를 이용하여 전력선 이설·완금 교체·가공지선 및 그 지지대 교체·전주 교체·애자 교체·단상선로 3상화 등의 작업을 직접 활선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에 있어서, 활선 작업차의 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선단이 그 내측에 삽입 장착되고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관로가 형성된 티형 연결부재와, 티형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관로 상에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승강부재 및, 공지의 가완목을 장착하여 전주에 기 설치된 완금과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재의 상단에 회전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선 이설, 완금 교체, 가공지선 및 그 지지대 교체, 전주 교체, 애자 교체, 단상선로 3상화

Description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DIRECT APPARATUS FOR LIVE WIRE USING TRANE TRUCK}
본 발명은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하여 전력선 이설·완금 교체·가공지선 및 그 지지대 교체·전주 교체·애자 교체·단상선로 3상화 등의 작업을 직접 활선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교체작업 및 선로 개보수 작업시 기존 전력선을 옮겨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선 이설작업은 작업구간 내의 선로를 정전상태로 만든 후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정전으로 인한 수용가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무정전상태에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력선 이설, 완금 교체, 가공지선 및 지지대 교체, 전주 교체, 애자 교체, 단상선로 3상화 등을 개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만이 개발·보급되어, 각각의 장비를 필수장비로 구매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었고, 간접 활선 작업으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인건비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활선 작업차를 이용하여 전력선 이설·완금 교체·가공지선 및 그 지지대 교체·전주 교체·애자 교체·단상선로 3상화 등의 작업을 직접 활선 방법에 의하여 수행함으로써, 필수장비의 품목을 간소화하고 작업능률의 향상 및 작업환경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활선 작업차의 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선단이 그 내측에 삽입 장착되고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관로가 형성된 티형 연결부재와, 티형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관로 상에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승강부재 및, 공지의 가완목을 장착하여 전주에 기 설치된 완금과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재의 상단에 회전각 조절수단이 구비된다.
또, 승강부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티형 연결부재에 롤러가 취부되고, 롤러를 경유하여 그 일측단이 수직부재의 하단에 결속된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가 붐 상에 구비된다.
또한, 회전각 조절수단은 승강부재의 상단에 장착되고 그 플랜지 상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천공된 몸체와, 몸체의 상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플랜지 상의 어느 하나의 관통공과 핀 결합되어 그 회전각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및 그 내측에 가완목을 수용시켜 장착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덮개가 마련된 수용부가 형성된 회전체로 이루어진다.
또, 가완목은 기존 완금으로부터 현수애자를 이설할 시 전력선의 길이가 짧더라도 용이하게 이설할 수 있도록 활 모양으로 굽은 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걸이공이 천공되고 그 일측단에 핀 체결공이 천공된 U자형 연결구가 마련된 클램프가 취부된다.
또한, 가완목은 기존 완금으로부터 현수애자를 이설할 시 전력선의 길이가 짧더라도 용이하게 이설할 수 있도록 가완목에 천공된 장홀에 삽입 장착된 고리 달린 볼트와, 볼트와 나사결합되어 풀거나 조임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고 그 단부에 핀 체결공이 천공된 U자형 연결구가 마련된 가변 클램프가 취부된다.
또, 승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티형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관로 상에 미끄럼 롤러가 축설된다.
그리고 승강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공이 천공되고, 티형 연결부재는 그 내측으로 진퇴되어 고정공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는 고정핀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선 작업차를 이용하여 활선 작업 장치를 작업위치에 인접시키고, 활선 작업차의 바켓에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는 등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을 옮겨두기 위한 가완목의 승·하강 및 좌우 회동이 용이하여, 기존 완금과 인접되게 수평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어 전력선의 이설작업이 쉬울 뿐만 아니라 기존 전력선을 가완목으로 옮겨 설치한 후 그대로 들어올릴 수 있어 이격시켜 둠으로써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간소화된 필수장비의 품목만으로 전력선 이설·완금 교체·가공지선 및 그 지지대 교체·전주 교체·애자 교체·단상선로 3상화 등의 작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필수장비의 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중 지지부재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중 티형 연결부재 및 승강부재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중 회전각 조절수단 및 가완목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에 적용된 클램프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에 적용된 가변형 클램프 구조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9는 도 6에 개시된 가변형 클램프의 사용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는 크게 지지부재(10), 티형 연결부재(20), 승강부재(30), 가완목(40)으로 이루어지고, 작업 특성에 따라 와이어통(50), 클램프(미도시) 등이 추가로 장착된다.
즉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활선 작업차의 붐(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10)의 선단이 그 내측에 삽입 장착되고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관로(미부호)가 형성된 티형 연결부재(20)와, 티형 연결부재(20)의 슬라이드 관로 상에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승강부재(30) 및, 공지의 가완목(40)을 장착하여 전주에 기 설치된 완금과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재(30)의 상단에 회전각 조절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지지부재(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환경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11)이 천공되고, 붐(1)은 그 상부에 지지부재의 일측단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2)에 천공된 관통공(3)에 지지부재(10)에 천공된 어느 하나의 체결공(11)을 일치시킨 후 체결핀(12)을 꽂으면, 지지부재(10)의 길이를 손쉽게 가변할 수 있게 된다.
티형 연결부재(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 도 1 참조)의 선단에 장착되는데, 이를 위하여 지지부재(10)의 선단 측에는 티형 연결부재(20)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삽입되도록 그 외주면 상에 돌기(13; 도 1 참조)가 형성되고, 티형 연결부재(20)에 지지부재(10)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 둘을 관통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핀(21)이 구비된다.
또, 티형 연결부재(20)는 그 슬라이드 관로(22) 상에 상·하방향으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승강부재(30)가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티형 연결부재(20)는 롤러(26)가 취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티형 연결부재(20)에 상·하방향으로 연통된 롤러 공(23)이 천공되고, 그 내측에 롤러(26)가 취부되며, 롤러(26)를 경유하여 그 일측단이 승강부재(30)의 하단에 결속된 와이어(71)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70; 도 1 참조)가 붐(1; 도 1 참조) 상단에 구비된다.
또한, 티형 연결부재(20)는 승강부재(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그 슬라이드 관로(22) 상에 미끄럼 롤러(24)가 축설된다.
그리고 티형 연결부재(20)는 승강부재(30)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승강부재(3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공(31)이 천공되고, 티형 연결부재(20)는 그 내측으로 진퇴되어 승강부재(30)의 고정공(31)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는 고정핀(32)이 그 외측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권취기(70)를 통하여 와이어(71)를 감을 경우 티형 연결부재(20)의 슬라이드 관로(22) 상에 설치된 승강부재(30)는 위로 상승하고, 와이어(71)를 풀 경우 승강부재(3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또한, 승강부재(30)의 높낮이 조절 후 고정핀(32)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승강부재(30)의 고정공(31)에 고정핀(32)을 진입시킬 경우 승강부재(30)의 높낮이는 견고히 고정된다.
회전각 조절수단(6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30)의 상단에 장 착되고 그 플랜지(61) 상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62)이 천공된 몸체(60a)와, 몸체(60a)의 상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체(60b)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회전체(60b)는 플랜지(61) 상의 어느 하나의 관통공(62)과 핀 결합되어 그 회전각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63) 및 그 내측에 가완목(40)을 수용시켜 장착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덮개(64)가 마련된 수용부(6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체(60b)의 수용부(65)에 가완목(40)을 장착(수용부(65)와 가완목(4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체결핀(66)에 의해 회전체(60b) 상에 가완목(40)을 더욱 견고히 장착할 수 있음)하고 기존 완금(미도시)과 평행상태를 이루도록 회전시킨 다음 스토퍼(63)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플랜지(61) 상의 관통공(62)에 핀을 체결시킬 경우 가완목(40)의 회전각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기존 완금과 가완목(40)이 평행상태를 이룸으로써, 전력선이나 전력선 가선 기구(일례로 애자 등)를 가완목(40) 측으로 용이하게 이설시킬 수 있게 된다.
가완목(40)은 전력선이나 전력선 가설 기구 등을 이설시켜 두거나, 이들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로 하는 이선 기구 등을 장착하여 두기 위한 것으로, 기존 완금으로부터 현수애자를 이설할 시 전력선의 길이가 짧더라도 용이하게 이설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 모양으로 굽은 몸체(81)에 일정 간격으로 걸이공(82)이 천공되고 그 일측단에 핀 체결공(83)이 천공된 U자형 연결구(84)가 마련된 클램프(80)가 취부된다.
이에 따라, 현수애자를 이설할 시 기존 완금과 가완목 간의 거리 차로 인하 여 전력선의 길이가 짧더라도 클램프(80)의 걸이공(82)을 가완목에 선택적으로 체결시킴으로써 기존 완금과 가완목 간의 거리 차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80)는 가완목에 천공된 장홀에 삽입 장착되는 고리 달린 볼트(91)와, 볼트(91)와 나사결합되어 풀거나 조임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고 그 단부에 핀 체결공(92)이 천공된 U자형 연결구(93)가 마련된 가변 클램프(90)로 대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기술적 구성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의 사용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직접 활선 작업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지지부재(10)의 일측단을 붐(1) 상단에 마련된 수용부(2)에 삽입 위치시키고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여 그 길이를 조절한 다음 수용부(2)의 관통공(3)과 수용부(2)의 관통공(3)과 일치하는 지지부재(10)의 관통공(11) 간에 체결핀(12)을 꽂아 붐(1) 상에 지지부재(10)를 장착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10)는 붐(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티형 연결부재(20)의 내측, 즉 티형 연결부재(20)의 롤러 공(23) 상에 롤러(26)를 위치시키고 외측에서 핀(25)을 꽂아 롤러(26)를 취부시킨 다음 지지부재(10)의 선단이 티형 연결부재(20)의 내측으로 일정부분 삽입되도록 하고, 이 둘을 관통하도록 장착핀(21)을 꽂는다.
이에 따라, 티형 연결부재(20)는 지지부재(10)의 선단에 장착된다.
승강부재(30)를 티형 연결부재(20)의 슬라이드 관로(22) 상에 설치하고, 권취기(70)에 감긴 와이어(71)를 풀어 롤러(26)를 경유시킨 다음 승강부재(30) 하단에 결속시킨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30)는 티형 연결부재(20)의 슬라이드 관로(22) 상에 상·하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승강부재(30)의 상단에 장착된 회전각 조절수단(60)의 회전체(60b)에 가완목(40)을 장착한다. 즉 회전체(60b)의 수용부(65)에 가완목(40)을 수용시키고 덮개(64)를 닫아 가완목(40)을 장착시킨다. 필요에 따라 체결핀(66)을 이용하여 수용부(65)와 가완목(40)을 관통시켜 회전체(60b) 상에 가완목(4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조립된 직접 활선 작업장치(이하, 본원장치라 한다)의 사용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도 7 추가 참조).
먼저, 활선 작업차의 붐(1)을 신장시켜 본원장치를 전주(5) 하단에 인접되게 위치시키고, 이어서 직접 활선 작업이 용이하도록 권취기(70)를 조작하여 가완목(40)을 기존 완금(6)에 인접되게 위치시킨다. 즉 롤러(26)를 경유하여 와이어(71)의 일측단이 승강부재(30)의 하단에 결속되어 있는바, 와이어(71)를 감게 되면 승강부재(30)는 티형 연결부재(20)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이후, 바스켓(7)에 탑승한 작업자는 회전각 조절수단(60)을 조작하여 가완목(40)을 기존 완금(6)과 평행되게 위치시킨다. 즉 작업자는 몸체(60a)와 회전 체(60b) 간의 핀 결합을 해제시키고 기존 완금(6)과 평행하도록 가완목(40)을 회전시킨 다음 스토퍼(63)를 조작하여 몸체(60b)의 플랜지(61) 상에 천공된 어느 하나의 관통공(62)에 스토퍼의 핀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주(1) 주변의 작업공간의 부족으로 활선 작업차와 전선로와 나란하게 위치하지 않더라도 가완목(40)은 기존 완금(6)과 평행되게 그 회전각이 조절된 상태에서 승강부재(3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의 가완목(40)에는 직접 활선 작업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전력선 가선 기구 또는 이선 기구들이 장착되는데, 기존 완금(6)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도면에는 3상 선로가 도시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상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전력선 이선을 위한 이선 롤러 기구 또는 와이어통(110)을 가완목(40)에 추가로 설치하고, 핀애자(9)에 결속된 전력선(8)을 풀어 와이어통(110) 상단 롤러부(115)로 이설한다(통상의 방호과정은 생략한다).
이후, 바스켓(7)에 탑승한 작업자는 완금 철거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승강부재(30)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다. 즉, 권취기(70)를 조작하여 그 일측단이 롤러(26)를 경유하여 승강부재(30)의 하단에 결속된 와이어(71)를 감으면, 승강부재(30)는 티형 연결부재(20)로부터 상승하고, 승강부재(30)의 상단에 장착된 가완목(40) 역시 상승하게 되어 가완목(40)의 와이어통(110)에 이설된 전력선이 승강부재(30)의 상승 폭 만큼 전선로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바스켓(7)에 탑승한 작업자는 기존 완금(6)을 철거하고 신규의 완금을 전주에 설치한 다음 권취기(70)를 이용하여 와이어(71)를 풀면 승강부재(30), 가완목(40), 와이어통(110)이 모두 하강하고, 가완목(40)에 장착된 와이어통(110)으로부터 전력선을 이선시켜 신규의 완금에 장착된 핀애자에 결속시킴으로써, 완금 교체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수애자(121)가 설치된 기존 완금(6)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현수애자(121)를 가완목(40)에 이설시켜 두게 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도 8 추가 참조).
먼저, 권취기(70)를 조작하여 가완목(40)이 기존 완금(6)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하고, 회전각 조절수단(60)을 조작하여 가완목(40)이 기존 완금(6)과 평행상태를 이루도록 그 회전각을 조절한다.
이때의 가완목(40)은 전주(5) 또는 전주에 부착된 기구(COS 등)들에 의해 기존 완금(6)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기존 완금(6)의 전방 측에 가완목이 위치한 경우 기존 완금(6)의 전방 측 현수애자(121)에 매달린 전선은 기존 완금(6)과 가완목(40) 간의 거리만큼 길어지는 효과가 있어, 가완목(40)에 손쉽게 이설시킬 수 있지만 기존 완금(6)의 후방 측 현수애자(121)에 매달인 전선은 기존 완금(6)과 가완목(40) 간의 거리만큼 짧아져 클램프(80)를 매개로 가완목(40)에 이설되게 된다.
즉, 클램프(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활 모양으로 굽은 몸체(81)에 일정 간격으로 걸이공(82)이 천공되고 그 일측단에 핀 체결공(83)이 천공된 U자형 연결구(84)가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걸이공(82)을 통해 가완목(40)에 취부되어 있는 바, 가완목(40)과 현수애자(121) 간의 부족한 길이만큼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수애자(121)의 볼쇄클(122)을 기존 완금(6)으로부터 풀어내어 클램프(80)의 U자형 연결구(84)에 핀 결합시킴으로써, 클램프(80)를 매개로 현수애자(121)를 가완목(40)에 이설시켜 둘 수 있게 된다. 이설 후, 완금 교체작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상기의 클램프(80)는 가완목(40)에 장착된 체결구의 형태에 따라 양 단을 바꾸어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클램프(80)의 타 실시 예인 가변형 클램프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도 9 참조).
타 실시 예인 가변형 클램프(90)는 가완목(40)에 천공된 장홀(41)에 삽입 장착된 고리 달린 볼트(91)와, 상기 볼트(91)와 나사결합되어 풀거나 조임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고 그 단부에 현수애자(121)의 볼쇄클(122)을 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핀 체결공(92)이 천공된 U자형 연결구(93)가 마련된다.
즉 고리가 달린 볼트(91) 측이 가완목(4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완목(40)에 끼우고, 돌출된 볼트(91)에 U자형 연결구(93)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가변형 클램프(90)를 가완목(40)에 취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현수애자(121)가 가완목(40)과 닿지 않을 경우 가변형 클램프(90)의 나사결합을 풀어 그 길이를 신장함으로써, 현수애자(121)를 가완목에 손쉽게 이설시켜 둘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완금 교체작업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완금 교체작업 외에도 전력선 이설·가공지선 및 그 지지대 교체·전주 교체·애자 교체 ·단상선로 3상화 등의 작업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를 직접 활선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중 지지부재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중 티형 연결부재 및 승강부재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중 회전각 조절수단 및 가완목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에 적용된 클램프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에 적용된 가변형 클램프 구조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9는 도 6에 개시된 가변형 클램프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활선 작업차) 붐
10: 지지부재
20: 티형 연결부재
30: 승강부재
40: 가완목
50: 와이어통
60: 회전각 조절수단
70: 권취기
71: 와이어
80: 클램프
90: 가변형 클램프
121: 현수애자
122: 볼쇄클

Claims (8)

  1.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선 작업차의 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이 그 내측에 삽입 장착되고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관로가 형성된 티형 연결부재와,
    상기 티형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관로 상에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승강부재 및,
    공지의 가완목을 장착하여 전주에 기 설치된 완금과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 회전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티형 연결부재에 롤러가 취부되고, 상기 롤러를 경유하여 그 일측단이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결속된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가 상기 붐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조절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 장착되고 그 플랜지 상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천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플랜지 상의 어느 하나의 관통공과 핀 결합되어 그 회전각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및 그 내측에 상기 가완목을 수용시켜 장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회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그 내측에 상기 가완목을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일측단이 힌지결합되고 그 타측단에 잠금구가 형성된 덮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완목은 기존 완금으로부터 현수애자를 이설할 시 전력선의 길이가 짧더라도 용이하게 이설할 수 있도록 활 모양으로 굽은 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걸이공이 천공되고, 그 일측단에 핀 체결공이 천공된 U자형 연결구가 마련된 클램프가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완목은 기존 완금으로부터 현수애자를 이설할 시 전력선의 길이가 짧더라도 용이하게 이설할 수 있도록 상기 가완목에 천공된 장홀에 삽입 장착된 고리 달린 볼트와 상기 볼트와 나사결합되어 풀거나 조임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고 그 단부에 핀 체결공이 천공된 U자형 연결구가 마련된 가변 클램프가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상기 티형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관로 상에 미끄럼 롤러가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공이 천공되고, 상기 티형 연결부재는 그 내측으로 진퇴되어 상기 고정공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는 고정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KR1020070073164A 2007-07-21 2007-07-21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KR10086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164A KR100865480B1 (ko) 2007-07-21 2007-07-21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164A KR100865480B1 (ko) 2007-07-21 2007-07-21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480B1 true KR100865480B1 (ko) 2008-10-27

Family

ID=4017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164A KR100865480B1 (ko) 2007-07-21 2007-07-21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4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10B1 (ko) 2011-01-31 2013-01-09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KR20180038818A (ko)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평일 활선작업기구
KR101848936B1 (ko) * 2012-12-21 2018-05-28 양희성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WO2018097357A1 (ko) * 2016-11-24 2018-05-31 주식회사 성진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이동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KR101873421B1 (ko) * 2016-11-08 2018-07-02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CN112265944A (zh) * 2020-08-31 2021-01-2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绍兴供电公司 用于高压输电线路带电作业的高架车作业斗内内嵌绝缘平台
KR20210136196A (ko) * 2020-05-06 2021-11-17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CN114803931A (zh) * 2021-01-22 2022-07-29 国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配网带电作业机器人导线举升装置、方法及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397U (ko) * 1990-08-07 1992-04-13
JPH0443324U (ko) * 1990-08-07 1992-04-13
KR960036889U (ko) * 1995-05-25 1996-12-16 우회송전식 주상변압기 활선작업차
KR20030033815A (ko) * 2001-10-25 2003-05-01 한국전기공사협회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397U (ko) * 1990-08-07 1992-04-13
JPH0443324U (ko) * 1990-08-07 1992-04-13
KR960036889U (ko) * 1995-05-25 1996-12-16 우회송전식 주상변압기 활선작업차
KR20030033815A (ko) * 2001-10-25 2003-05-01 한국전기공사협회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10B1 (ko) 2011-01-31 2013-01-09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KR101848936B1 (ko) * 2012-12-21 2018-05-28 양희성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KR20180038818A (ko)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평일 활선작업기구
KR101873421B1 (ko) * 2016-11-08 2018-07-02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WO2018097357A1 (ko) * 2016-11-24 2018-05-31 주식회사 성진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이동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KR20210136196A (ko) * 2020-05-06 2021-11-17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KR102358796B1 (ko) * 2020-05-06 2022-02-08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CN112265944A (zh) * 2020-08-31 2021-01-2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绍兴供电公司 用于高压输电线路带电作业的高架车作业斗内内嵌绝缘平台
CN114803931A (zh) * 2021-01-22 2022-07-29 国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配网带电作业机器人导线举升装置、方法及机器人
CN114803931B (zh) * 2021-01-22 2023-12-05 国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配网带电作业机器人导线举升装置、方法及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480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KR101873421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KR101848936B1 (ko)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KR100946425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CN207348881U (zh) 一种用于隧道施工拱架安装的主夹持装置
KR20110006018A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CN210393169U (zh) 一种便携式线缆放线支架
CN207634092U (zh) 一种用于隧道施工拱架安装的偏摆夹持装置
JP7081150B2 (ja) ガイライン保持ブラケット
KR100695784B1 (ko) 전력선 가선 기구 교체장치
US2831689A (en) Adjustable basketball backboard support
JP5540875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のフック部保持具及びフック装置
KR20090024841A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JP4974275B2 (ja) 鉄塔組立用台棒装置
JP5484081B2 (ja) 杭打機の下部リーダ着脱治具及び着脱方法
KR100645161B1 (ko) 가이드 롤러장치
JP4584862B2 (ja) 電車線自動張力調整装置の設置方法
CN210424153U (zh) 一种建筑机电管线抗震支吊架
KR100923500B1 (ko) 전주근가 운반용 힌지형 후크
KR200403428Y1 (ko) 전력선 가선 기구 교체장치
KR20130136951A (ko) 개방형 케이블행거용 취부장치
KR100975377B1 (ko) 광케이블 접속함 고정장치
CN206329880U (zh) 一种支架及电子设备
CN110593637A (zh) 横担安装装置
US9093827B2 (en) Wire pul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