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202B1 - 장력 지지부 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력 지지부 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202B1
KR100861202B1 KR1020067017721A KR20067017721A KR100861202B1 KR 100861202 B1 KR100861202 B1 KR 100861202B1 KR 1020067017721 A KR1020067017721 A KR 1020067017721A KR 20067017721 A KR20067017721 A KR 20067017721A KR 100861202 B1 KR100861202 B1 KR 10086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upport
elevator
determined
determining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866A (ko
Inventor
윌리엄 에이. 베로네시
노버트 후츠맨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6701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2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66B7/1223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by analysing electric variabl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방법 및 시스템은 대체로 장력 지지부 내의 잔류 강도가 변함에 따라 역시 달라지는 장력 지지부의 전체 전기 저항과 같은 장력 지지부의 전기 특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 있을 수 있는 장력 지지부 강도 저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 시스템은 주어진 하중(102)에 대한 저하율, 장력 지지부(104)에 대한 동작 환경 정보, 근사화된 용도 데이터(106)와 같은 다양한 물리적 요소와 강도 저하 사이의 관계를 결정함으로써 평균 저하 맵(100)을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평균 저하 맵(100)은 강도 저하와 전기 특성을 연관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맵을 생성하는 데에 이용된다.
장력 지지부, 잔류 강도, 전기 저항, 모니터링, 엘리베이터, 데이터, 평균 저하, 전기 특성, 연관.

Description

장력 지지부 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TENSILE SUPPORT STRENGTH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장력 지지부 강도를 평가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장력 지지부의 전기적 특성에 근거하여 장력 지지부 강도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팅된 강철 벨트 또는, 금속 밧줄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우프와 같은 장력 지지부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엘리베이터 객차를 상하로 작동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장력 지지부의 상태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작동에 중요하기 때문에, 장력 지지부의 잔류 강도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잔류 강도 레벨이 최소 한계값 이하로 떨어지는지 검출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장력 지지부 강도는 엘리베이터의 정상적인 동작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장력 지지부 강도 저하는 1차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장력 지지부가 시브(sheave) 주위로 주기적으로 벤딩(bending)되기 때문이다. 장력 지지부 저하는 보통은 장력 지지부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지 않다. 대신에 높은 벤딩 주기 또는 몇 번의 벤딩 주기를 겪은 장력 지지부의 부분들은 더 적은 횟수의 벤딩 주기를 겪은 곳보다는 더욱 빠르게 저하될 것이다.
장력 지지부 내의 밧줄의 전기적 저항 또는 임피던스와 같은 몇몇 전기 특성들은 밧줄 단면이 감소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러므로, 밧줄의 전기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장력 지지부의 잔류 지지부 강도를 결정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에 본 바와 같이 장력 지지부 내의 더욱 허약한 지점들은 보통 엘리베이터 사용, 엘리베이터 시스템 레이아웃, 밧줄 소재, 제조상의 변수 및 다른 요소들에 따라 (가령, 속력, 가속도, 저크 등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력 지지부 전체에 걸쳐 분배되고 장력 지지부가 언제 어디에서 최소 잔류 강도에 도달했을 것인지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장력 지지부의 전기 특성을 잔류 장력 지지부 강도와 결부시키는 정량적 방법이 없으면 장력 지지부의 전기적인 모니터링은 단지 장력 지지부가 원상태인지 파단되는지 여부만을 알려줄 수 있다.
밧줄의 전기 특성 및 이에 따른 장력 지지부 전기 특성에 근거하여 장력 지지부 내의 밧줄의 잔류 강도 레벨을 정량적으로 지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기 저항과 같은 전기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장력 지지부 내의 강도 저하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 시스템은 주어진 하중에 대한 저하율, 장력 지지부에 대한 동작 환경 정보 및 근사화된 또는 실제 사용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물리적 요소들과 강도 저하 사이의 관계를 결정함으로써 평균 저하의 맵을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평균 저하 맵은 강도 저하(즉, 잔류 강도 퍼센트 형태로)와, 잔류 장력 지지 강도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는 저항과 같은 전기적인 특성을 연관시키는 하나 이상의 맵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 특성 맵에 근거하여 전기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장력 지지부가 주어진 강도 레벨을 언제 잃게 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기 특성 맵을 생성하기 위하여 장력 지지부의 저하율의 변화, 전기 특성과 강도 저하 사이의 관계, 온도 및/또는 전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 장치가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엘레베이터 장력 지지부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장력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전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와,
대응하는 겉보기 특성값과 장력 지지부의 상태 사이의 관계를 가리키는 소정의 데이터 세트에, 측정된 특성을 연관시킴으로써 장력 지지부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겉보기 특성값과 장력 지지부의 상태 사이의 관계는 선택된 부하에 대한 장력 지지부의 결정된 저하율,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델링된 구성,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트래픽 패턴,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 또는 결정된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에 근거한 장력 지지부의 평균 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장력 지지부 상태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제어기는,
선택된 하중에 대한 장력 지지부의 저하율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과,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을 모델링하는 것과,
엘리베이터 트래픽 패턴을 근사화하는 것과,
결정된 저하율, 모델링된 구성 및 근사화된 트래픽 패턴을 이용하여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를 결정하는 것과,
결정된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로부터 장력 지지부의 평균 저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균 저하 맵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블록 선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겉보기 저항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블록 선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겉보기 저항의 주어진 증가에 대한 잔류 강도 예상값의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사화된 사용 및 실제 사용에 대한 잔류 강도 예상값의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행을 설명하는 블록 선도이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장력 지지부의 강도는 장력 지지부 내의 밧줄의 단면적과 엘리베이터 동작 중에 장력 지지부가 하나 이상의 시브 주위로 굽혀지고 펴지면서 밧줄 내의 축적된 균열과 관련이 있다. 경험적 시험으로 장력 지지부 강도 손실과, 장력 지지부 로딩, 시브 형상 (가령, 시브 직경) 및 벤딩 주기 수와 같은 엘리베이터 작동 요소들을 연관시키는 강도 손실 모델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모델은 일정한 하중과 상기 일정한 하중에 의하여 초래되는 강도 저하율 사이의 관계를 제공한다.
장력 지지부의 부분들마다 강도 손실되는 속도도 다르기 때문에, 평균 저하의 맵을 생성함으로써 장력 지지부 내의 어떠한 부분에 대한 강도 저하량을 예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장력 지지부의 최약 부분의 위치를 직접 찾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나, 사용 중에는 장력 지지부의 약화된 부분이 전체 장력 지지부 길이에 걸쳐 분배되기 때문에, 전체 장력 지지부의 저항은 장력 지지부 내의 최약 부분을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고, 이는 장력 지지부의 잔류 강도를 가리킨다.
도1은 평균 저하의 맵(100)을 생성하는 한가지 방법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려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강도 손실 모델(102), 엘리베이터 구성(104) 및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트래픽(106)에 근거하여 맵(100)이 생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부분들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강도 손실 모델(102)을 얻기 위하여, 주어진 일정한 하중에 대한 장력 지지부의 저하율이 경험적으로 얻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반복된 벤딩 주기는 파단시까지 복수의 샘플 장력 지지부에 작용된다. 이것은 공지된 피로 기계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알고 있는 일정한 하중에 대하여 파단이 일어날 만큼 주어진 장력 지지부를 벤딩하기 위하여 필요한 벤딩 주기 수의 통계적 분포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력 지지부 내의 잔류 강도는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시브의 개수, 장력 지지부 시브 주위로 경로를 취하고 있는 장력 지지부, 시브들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시브 구성과 같은 엘리베이터 구성(104)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사용 빈도, 평균 승객 중량 등과 같은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트래픽(106)은 평균 저하 맵을 생성하는 것에 있어 고려된다. 엘리베이터가 어떠한 플로어 사이에서 이동하는 횟수와 같은 구체적인 사용은 위치 및 장력 지지부 내의 저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주어진 일정한 하중에 대해 얻어지는 장력 지지부의 저하율,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트래픽(106) 및 엘리베이터 구성(104)을 고려하여, 시브가 장력 지지부의 특정 부분과 접촉하는 횟수 및 그 때의 장력에 관한 정보를 계속해서 얻는다. 이는 시브 접촉 및 하중 트래킹 알고리즘(108)을 통하여 계속해서 얻어진다. 이 정보로부터 장력 지지부의 주어진 부분의 마모 상태를 예상하고 이에 따라 전체 장력 지지부의 잔류 강도를 예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어진 엘리베이터 구성(104)을 위한 평균 저하 맵(100)은,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통신 데이터(106) 및 저하율에 관한 데이터(102) 및 시브가 다른 하중 및 다른 트래픽 상황으로 장력 지지부와 접촉하는 영역에서의 하중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108)를 변화시킴으로써 통계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 결과적인 평균 저하 맵(100)은 주어진 일정한 하중을 위한 특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통계적인 강도 저하 분포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평균 저하 맵(100)은 한 유형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하여 장력 지지부가 파단될 것이 예상되는 벤딩 주기의 범위를 지시한다.
전기적 저항과 같은 전기 특성에 근거하여 장력 지지부 내의 잔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평균 저하 맵(100) 내의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특성 맵 형태로 장력 지지부의 전기 특성과 연관될 필요가 있다. 도2는 전기적 저항과 잔류 강도 사이에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200)를 설명하는 블록 선도이다.
이 실시예에 전기 저항 맵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저하 맵(100)은 저하율 변동(202)으로 먼저 고려되며, 이는 맵(100)에 의하여 반영되는 저하율에 관한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평균 저하 맵(100)이 가능한 값들의 범위를 제공될지라도 맵(100)에 반영된 범위 자체가 또한 변할 수 있다. 저하율 변동(202)은 저항 맵을 결정할 때 고려된다. 변동량은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저하율 변동(202)에 대한 저하 맵(100)을 평가하는 것은 사용 패턴의 범위와 장력 지지부의 마모율을 생성하고, 최소 장력 지지부 강도 및/또는 최대 브레이킹 강도 손실(LBS)(204)의 범위를 생성하며, 이는 장력 지지부 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최대량을 반영한다. 더 상세하게는 최대 LBS는 저하율 변동(202)을 고려한 후 장력 지지부 강도가 가장 낮은 저하 맵 내의 점을 감지하고, 이 점을 최대 LBS값(204)으로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최대 LBS(204)는 극단적인 하중 하에 놓이는 경우 장력 지지부가 파단되는 점을 표시한다.
이러한 최대 LBS값(204)은 겉보기 저항(205)과 연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관계로부터 연산자는 겉보기 저항(205)이 최대 LBS(204)에 대응하는 값에 도달할 때 약한 장력 지지부 상태에 대하여 경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저항과, 여러 장력 지지부에 대한 LBS 사이의 관계를 연관시키는 것은 최대 LBS에 대한 가능한 저항값의 범위를 제공할 뿐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저항값과 LBS이외의 다른 강도 특성 사이의 관계를 얻으려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장력 지지부 내의 밧줄의 단면적 내의 손실 및 밧줄내의 축적 균열은 전기적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과 같이 장력 지지부의 전기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기적 저항 R과 LBS 사이의 관계는 경험적 및 분석적으로 만들어지며 이에 따라 R vs LBS 맵(206)을 생성한다. 저항 R와 LBS 사이의 관계는 제조상의 변수 및 서로 다른 소재의 특성과 같은 제어할 수 없는 요소들 때문에 장력 지지부 중에 무작위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200)는 이러한 변화 맵(208) 내의 무작위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그러한 것들을 R vs LBS 맵(206)에 추가한다.
수정된 저하 맵(100, 202) 및 수정된 R vs LBS 맵(206, 208)은 서로 통합됨으로써 장력 지지부의 어떠한 주어진 부분의 전기 저항을 반영하는 전기 저항 맵(210)을 생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된 저하 맵(100, 202) 및 수정된 R vs LBS 맵(206, 208) 내의 대응 맵 점들은 겹쳐짐으로써 저항 맵(210)을 얻는다. 어떤 주어진 시점에서라도 장력 지지부의 전체 저항은 장력 지지부의 저항을 합함으로써(212) 계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전자 장치 가운데 온도 변환 및 변형은 장력 지지부의 겉보기 저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대체로, 온도 유도된 변동(214) 및 전자 장 치 변동(216)의 효과는 실험적으로 및/또는 해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가령, 장력 지지부 저항 위의 온도 변화 효과는 경험적으로 측정될 뿐만 아니라 계산될 수도 있고, 반면 전자 장치 내의 변동은 테스트를 통하여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스(200)는 저항값에 관한 온도 유도된 변동(214) 및 전자 장치 변동(216)의 효과들을 통합함으로써 겉보기 저항(205)의 가능한 값들을 반영하는 저항 맵을 생성한다. 대체 수단으로 만약 장력 지지부 방향의 온도를 알거나 보여지면, 온도 변동은 합산(212)을 수행하기 전에 저항 맵(210) 내의 각각의 값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1 및 도2에 도시된 해석은 최소 잔류 장력 지지부 강도의 근사값의 분포 및 상기 강도의 근사값에 대응하는 겉보기 저항의 대응 분포를 생성한다. 이러한 분포는 통계적으로 해석됨으로써 선택된 전기적 저항에 대한 잔류 장력 지지부 강도의 확률 근사치를 생성할 수 있다.
도3은 전체 장력 지지부 겉보기 저항의 변화와 잔류 장력 지지부 강도의 확률 근사치 사이에 가능한 관계를 설명한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보기 저항의 백분율 증가가 크면 클수록 (도3에서는 "DR"로 도시된다) 장력 지지부의 잔류 강도량은 낮아진다. 도3에 도시된 분포는 겉보기 저항의 주어진 퍼센트 상승에 대한 잔류 강도 주어진 백분율을 구비하는 장력 지지부의 백분율을 설명한다. 이 그래프로부터 저항이 증가했던 양에 근거하여 장력 지지부에 잔류 강도량을 근사하는 것은 단순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겉보기 저항을 계산하고 강도 확률 맵을 결정하는 데 에 사용되는 평균 저하 맵(100)은 모의 또는 과거 데이터 대신에 실제 엘리베이터 사용 데이터에 근거한다. 이 실시예를 얻기 위하여 실제 엘리베이터 사용 데이터는 도1에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트래픽(106)으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 엘리베이터 사용 데이터는 시브 접촉 및 하중 트래킹 알고리즘(108)으로 계속 보내짐으로써 평균 저하 맵(100) 및 이에 따른 겉보기 저항(205) 및 대응하는 저항 맵이 엘리베이터 사용에 관한 더 많은 데이터가 얻어지면서 계속 갱신될 수 있다. 장력 지지부 저하를 근사화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사용 요소들에 더하여 이 실시예는 또한 어떻게 엘리베이터가 실제로 이용되는 지를 고려하고 승객 하중 및 무리함 및 장력 지지부의 어떠한 부분의 벤딩 주기 수를 고려한다. 강도 확률 근사값이 실제 엘리베이터 사용에 근거하기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의 획득된 잔류 강도 레벨의 근사값은 제1 실시예에서의 그것들보다 더 좁은 범위를 가질 것이다. (제1실시예의 잔류 강도 레벨의 근사값은 가능한 엘리베이터 사용의 폭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도4는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사용에 근거한 잔류 장력 지지부 강도의 근사값 과 실제 엘리베이터 사용에 근거한 잔류 장력 지지부 강도의 근사값 사이에 비교를 나타낸다. 실제 엘리베이터 사용 데이터는 주어진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잔류 장력 지지부 강도의 근사값을 향상시키는 전기 저항값을 제공하며, 모니터링되는 특정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내의 동작 한계값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력 지지부 강도를 평가하는 시스템의 대표 선도이다. 대체로 시스템(300)은 장력 지지부를 모니터링하는 저항 측정기(3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특성 측정 장치 및, 장력 지지부의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온도측정 장치(303)를 포함하여야 한다. 시스템(300)은 또한 측정된 전기 특성 및 온도 특성으로부터 상기에 기술된 맵을 생성하는 프로세서(304), 예를 들어 제어기를 포함하고, 장력 지지부 내의 가능한 잔류 강도를 결정한다. 시스템(300)에 이용된 특정 구성 요소는 당업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전기 저항과 같은 전기 특성에 근거하여 장력 지지부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은 장력 지지부의 잔류 강도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최소 잔류 강도 레벨을 검출하고, 바람직하게는 잔류 강도 레벨에 근거하여 신속한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이 코팅된 강철 벨트와 같은 엘리베이터 응용에 이용되는 장력 지지부에 촛점을 두고 있을지라도 본 발명은 그 전기 특성들이 장력 지지부 강도에 근거하여 변화하는 어떠한 구성 강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가 잔류 강도와 저항을 상호 연관시키는 것에 촛점을 두고 있을지라도 다른 전기 특성이 모니터링되고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떠한 바람직한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어떠한 공지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전기 특성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어떤 장치들이 필요한지 결정할 수 있을 것이며, 모의 데이터를 얻고,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서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생성시킬 것이다.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대체 수단들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사용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들이 본 발명 의 범위를 정의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청구범위들의 범위 내에서의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것들의 동등물들을 망라하고자 한다.

Claims (24)

  1. 엘리베이터 장력 지지부 상태를 모델링하는 방법이며,
    선택된 하중에 대한 장력 지지부의 저하율을 결정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을 모델링하는 단계와,
    엘리베이터 트래픽 패턴을 근사화하는 단계와,
    결정된 저하율, 모델링된 구성 및 근사화된 트래픽 패턴을 이용하여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로부터 장력 지지부의 평균 저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모델링된 구성 또는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트래픽 패턴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평균 저하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장력 지지부의 전기 특성과 선택된 상태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관계 및 결정된 평균 저하를 사용하여 장력 지지부의 선택된 상태에 대응하는 겉보기 전기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겉보기 전기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3항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값을 사용함으로써 대응하는 측정된 전기 특성과 장력 지지부 상태와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특성은 저항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다음 순서로써 장력 지지부의 저항을 측정하고, 현재의 장력 지지부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저항과 선택된 장력 지지부 상태 사이의 결정된 관계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결정된 평균 저하로부터 제1 맵을 생성하는 단계와,
    전기 특성을 선택된 강도 저하도와 상호 연관시키는 제2 맵을 생성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맵을 조합함으로써 전기 특성을 장력 지지부 내의 잔류 강도와 상호 연관시키는 제3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장력 지지부 동작 요소를 결정된 저하율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장력 지지부 동작 요소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구성,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트래픽, 실제 엘리베이터 사용 및 시브 접촉으 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력 지지부 동작 요소는 실제 엘리베이터 사용이고, 상기 제1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갱신된 실제 엘리베이터 사용을 이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단계는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장력 지지부의 일부분 내의 잔류 강도와 전기 특성을 상호 연관시키는 중간 맵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부분들의 잔류 강도를 합함으로써 제3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저하율 변동 요소를 상기 제1 맵에 통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전기 특성 변동 요소를 상기 제2 맵에 통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온도 유도 변동 요소 및 전자 장치 변동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함으로써 상기 제3 맵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특성은 저항인 방법.
  16. 엘리베이터 장력 지지부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장력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전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와,
    대응하는 겉보기 특성값과 장력 지지부의 상태 사이의 관계를 가리키는 소정의 데이터 세트에, 측정된 특성을 연관시킴으로써 장력 지지부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겉보기 특성값과 장력 지지부의 상태 사이의 관계는 선택된 부하에 대한 장력 지지부의 결정된 저하율,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델링된 구성,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트래픽 패턴,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 또는 결정된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에 근거한 장력 지지부의 평균 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엘리베이터 장력 지지부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선택된 하중에 대한 장력 지지부 저하율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을 모델링하고,
    엘리베이터 트래픽 패턴을 근사화하고,
    결정된 저하율, 모델링된 구성 및 근사화된 트래픽 패턴을 이용하여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로부터 장력 지지부의 평균 저하를 결정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전기 특성과 선택된 장력 지지부 상태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관계와 결정된 평균 저하를 이용하여 장력 지지부의 선택된 상태에 대응하는 겉보기 전기 특성 값을 결정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복수의 겉보기 전기 특성 값을 결정하고, 그러한 값들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측정 전기 특성과 장력 지지부 상태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특성은 저항인 시스템.
  21. 엘리베이터 장력 지지부 상태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제어기이며,
    선택된 하중에 대한 장력 지지부의 저하율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과,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을 모델링하는 것과,
    엘리베이터 트래픽 패턴을 근사화하는 것과,
    결정된 저하율, 모델링된 구성 및 근사화된 트래픽 패턴을 이용하여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를 결정하는 것과,
    결정된 시브 접촉 및 하중 정보로부터 장력 지지부의 평균 저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기.
  22. 제21항에 있어서, 모델링된 구성 또는 근사화된 엘리베이터 트래픽 패턴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평균 저하값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포 함하는 제어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전기 특성과 선택된 장력 지지부 상태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래밍과, 상기 결정된 관계와 결정된 평균 저하를 이용하여 선택된 장력 지지부 상태에 대응하는 겉보기 전기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기.
  24. 제23항에 있어서, 복수의 겉보기 전기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래밍과, 상기 값들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측정된 전기 특성과 장력 지지부 상태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기.
KR1020067017721A 2006-09-01 2004-03-16 장력 지지부 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86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7721A KR100861202B1 (ko) 2006-09-01 2004-03-16 장력 지지부 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7721A KR100861202B1 (ko) 2006-09-01 2004-03-16 장력 지지부 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866A KR20070018866A (ko) 2007-02-14
KR100861202B1 true KR100861202B1 (ko) 2008-09-30

Family

ID=4164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721A KR100861202B1 (ko) 2006-09-01 2004-03-16 장력 지지부 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939B1 (ko) * 2009-11-12 2012-01-13 한국기계연구원 접촉저항의 변화를 이용한 장력검출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5833B1 (en) * 2000-01-06 2002-06-18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flat rope sheave assembly with separate shoulder and flange surfaces having varying friction properties
US20020194935A1 (en) * 2001-06-26 2002-12-26 Arthur Clarke Tensile load sensing belt
US20040046540A1 (en) * 1999-03-29 2004-03-11 Robar Terry 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vator rope degradation using electrical energ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6540A1 (en) * 1999-03-29 2004-03-11 Robar Terry 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vator rope degradation using electrical energy
US6405833B1 (en) * 2000-01-06 2002-06-18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flat rope sheave assembly with separate shoulder and flange surfaces having varying friction properties
US20020194935A1 (en) * 2001-06-26 2002-12-26 Arthur Clarke Tensile load sensing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866A (ko)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5474A1 (en) Tensile support strength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KR102488932B1 (ko) 진동-기반 승강기 인장 부재 마모 및 수명 모니터링 시스템
RU2593418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запаса усталостной прочности каната
JP6184617B2 (ja) ロープの劣化検出装置、ロープの劣化検出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ロープの劣化検出方法
RU2589443C2 (ru) Калибровка системы обнаружения износа
JP4849397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JP6113290B2 (ja) エレベーターロープ寿命診断装置
EP3461779A1 (en) Rope deterioration detection
EP3640189A1 (en) Resistance-based inspection of elevator system support members
US20170008735A1 (en) Connector for inspection system of elevator tension member
JP2007532437A (ja) 引張支持強度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350351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懸架手段構成の構成要素の摩耗状態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KR100861202B1 (ko) 장력 지지부 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0622510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20190202667A1 (en) Method and testing device for determining a state of a suspension traction apparatus of an elevator system
CN110704979A (zh) 起重机寿命评估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JP2011144051A (ja) 引張支持体の強度測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559679B (zh) 曳引钢带破损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
JP2018193248A (ja) 乗客コンベヤの手すりにおける欠陥の検知システムおよび検知方法
JP2017061367A (ja) エレベーター機器の異常検出方法
CN118108085A (zh) 电梯悬挂构件监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