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523B1 -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523B1
KR100851523B1 KR1020060131745A KR20060131745A KR100851523B1 KR 100851523 B1 KR100851523 B1 KR 100851523B1 KR 1020060131745 A KR1020060131745 A KR 1020060131745A KR 20060131745 A KR20060131745 A KR 20060131745A KR 100851523 B1 KR100851523 B1 KR 10085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ubstrate
discharge
light source
substr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884A (ko
Inventor
곽민기
한정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31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52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01J61/307Flat vessels or containers with folded elongat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7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01J9/248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the vessel being fl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5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6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01J9/268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the vessel being fl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기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된 방전 홈과, 하부 기판 상부의 방전 홈이 형성된 영역들 사이에 형성된 분리대와, 방전 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하부 기판 상부에 방전 홈 및 분리대를 감싸며 형성된 제1 형광층과, 하부 기판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된 밀봉부재와, 밀봉부재에 의해 하부 기판과 접합되는 상부 기판과, 상부 기판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스페이서(Spacer)와, 스페이서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상부 기판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형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전 홈을 하부 기판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면 광원장치의 전체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높은 휘도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방전 가스로 Xe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의 광원을 제공할 수 있으고, 주변 온도에 따른 동작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백 라이트, 광원, 형광물질, 플라즈마, 배기, Xe

Description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Surface light sour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도 1은 도광판 방식의 백 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의 하부 기판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의 단면도 및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하부 기판 310 : 방전 홈
320 : 분리대 331 : 제1 전극
334 : 제2 전극 340 : 제1 형광층
350 : 밀봉부재 400 : 상부 기판
410 : 스페이서 420 : 제2 형광층
본 발명은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사람들은 다양하고 방대한 각종 정보들을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종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시켜 사람이 시각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종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클 뿐 아니라 전력 소모가 많은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 FPD)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전력 소모와 부피가 적고 저전압 구동형인 LCD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LCD는 두 개의 편광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 패널에서 각 픽셀(pixel)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액정의 배열을 변경시킴으로써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소자이다.
LCD는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크고, 계조 표시나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전력소비가 적다는 특징 때문에 휴대 전화, 노트북 PC, 데스크탑 모니터 및 액정 TV 등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LCD는 그 자체가 비 발광성이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 광원이 필요하다.
특히,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LCD 패널의 배면에 광을 발산하고 안내 하는 별도의 조광 장치, 즉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 BLU)이 반드시 필요하다.
도 1은 도광판 방식의 백 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광판 방식은 액정 패널의 측면에 발광 램프 등의 선 광원을 설치하고, 투명한 도광판을 이용하여 발광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액정 패널 화면 전체에 투사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도광판 방식의 백 라이트 유닛은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램프(10)와, 상기 발광 램프(10)에서 나온 빛을 LCD 패널(미도시)에 균일하게 공급하는 도광판(11)과, 상기 도광판(11)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발광 램프(10)에서 새어나온 빛을 재반사시키는 반사판(12)과, 상기 도광판(11) 상부에 위치하여 도광판(11)에서 나온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주는 확산 쉬트(Diffusion Sheet)(13)와, 상기 확산 쉬트(13)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확산 쉬트(13)에서 확산시킨 빛을 집광시켜 휘도를 높여주는 프리즘 쉬트(Prism Sheet)(14)와, 상기 프리즘 쉬트(14) 상부에서 프리즘 쉬트(14)를 보호하는 보호 쉬트(15)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 램프(10)로부터 발생된 빛은 도광판(11) 입광부에 집광되어 도광판(11)을 거치고 확산 쉬트(13), 프리즘 쉬트(14), 보호 쉬트(15)를 차례로 거쳐 LCD 패널에 전달된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으로는 냉음극관 램 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가 주로 사용되며,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U자형, W자형 등의 형상을 갖는 램프를 사용한다.
상기 냉음극관 램프는 수명이 길며, 백색광을 발생시키고, 백열등에 비하여 매우 작은 발열량을 갖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냉음극관 램프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백 라이트 유닛은 균일한 휘도 특성을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휘도의 균일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광판, 확산 쉬트, 프리즘 쉬트 등과 같은 광학 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광학 부재에 의해 백 라이트 유닛의 부피 및 무게가 크게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냉음극관 램프는 수은(Hg)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유발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은(Hg) 가스를 사용하는 냉음극관 램프는 주변 온도에 의해 동작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은(Hg) 가스를 사용하는 냉음극관 램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광원의 주변 온도를 40 ~ 60℃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LCD는 최근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주변 온도를 상기 동작 온도로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기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인 방전 홈을 형성하여 균일한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 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전가스로 Xe가스를 사용하여 환경친화적이며, 주변 온도에 의해 동작의 제약을 받지 않는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부 기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된 방전 홈과, 상기 하부 기판 상부의 방전 홈이 형성된 영역들 사이에 형성된 분리대와, 상기 방전 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하부 기판 상부에 상기 방전 홈 및 분리대를 감싸며 형성된 제1 형광층과, 상기 하부 기판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된 밀봉부재와, 상기 밀봉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 기판과 접합되는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스페이서(Spacer)와, 상기 스페이서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상부 기판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형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부 기판에 배기홀을 형성한 후, 일정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방전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전 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의 하부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상호 이격하여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기판 상부의 방전 홈이 형성된 영역들 사이에 분리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기판 상부에 상기 방전 홈 및 분리대를 감싸며 제1 형광층을 형성한 후, 상기 하부 기판의 가장 자리를 따라 밀봉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부 기판 상부에 제2 형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기판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기판 상부에 상부 기판을 위치시킨 후, 열 압착하여 상기 밀봉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부 기판(100)에 배기홀(미도시)을 형성한 후, 일정 간격을 두고 방전 홈(105)을 형성한다(도 2a).
여기서, 상기 하부 기판(100)은 가시광은 투과시키고, 자외선은 차단하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홀(미도시)은 이후 공정에서 진공 배기 및 방전 가스 주입을 위한 것이며, 상기 하부 기판(100)의 가장 자리에 하부 기판(100)을 관통하며 형성한다.
상기 방전 홈(105)은 상기 하부 기판(100)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면 광원장치의 전체 휘도의 균일성을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전 홈(105) 간의 거리는 1 ~ 10㎜가 바람직하며, 상기 방전 홈(105)의 지름은 3 ~ 7㎜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전 홈(105)은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는데, 이와 같이 방전 홈(105)을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하면, 방전 홈(105)에서 발생한 광이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방향 예를 들면, 하부 기판(100)에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전 홈(105)에는 방전 가스(Discharge Gas)가 채워지는데, 상기 방전 가스는 크세논(Xenon Gas)과 같은 환경 친화적인 가스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방전 가스로 Xe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의 광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변 온도에 따른 동작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방전 홈(105)이 형성된 하부 기판(100)의 하부에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4)을 형성한다(도 2b).
즉, 상기 하부 기판(100)의 하부에 전극 물질을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식으로 인쇄한 후, 450℃ 이상의 온도로 소성(Firing)하여 상기 방전 홈(105)이 형성된 하부 기판(100)의 하부에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4)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4)은 상기 방전 홈(105)에서 방전이 일어나도록 방전 전압을 인가하는 부분인데, 상기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4)에 방전 전압이 인가되면 방전 홈(105)에 충진된 방전가스가 방전에 의하여 비가시광 선(Non-Visible Ray)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4)은 방전 홈(105)에서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 하부 기판(100)의 방전 홈(105)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교대로 형성하는데, 이때 한 열씩 번갈아가며 형성하거나 두 열 또는 세 열씩 번갈아가며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4)은 도전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어 구리(Cu), 니켈(Ni), 은(Ag), 금(Au), 알루미늄(Al), 크롬(Cr) 등으로 이루어지며, 테이프 또는 분말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하부 기판(100) 상부의 상기 방전 홈(105)들 사이의 영역에 분리대(120)를 형성한다(도 2c).
상기 분리대(120)는 상기 방전 홈(105)들 간의 플라즈마 번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기판(100) 상부의 상기 방전 홈(105)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상기 분리대(120)는 디스펜서(Dispenser) 등을 사용하여 유동성 페이스트를 하부 기판(100) 상에 벽 형상으로 형성한 후, 고온의 노(Furnace)에서 소성(Firing)하여 형성한다.
상기 분리대(120)는 상기 방전 홈(105)들 사이의 영역에 방전 홈(105)의 일정한 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 개가 병렬 배치된다.
연이어, 상기 하부 기판(100)의 상부에 상기 분리대(100) 및 방전 홈(105)을 감싸며 제1 형광층(130)을 형성한다(도 2d).
여기서, 상기 제1 형광층(130)은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1 형광층(130)은 방전 가스로부터 발생한 자외선과 같은 비가시광선(Non-Visible Ray)을 가시광선(Visible Ray)으로 변경시킨다.
이때, 가시광선은 백색광(White Light)을 말하며, 방전 가스에서 발생한 비가시광선으로부터 백색광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1 형광층(130)은 3종류의 형광물질로 이루어진다.
즉, 제1 형광층(130)을 이루는 형광물질은 레드(Red) 형광물질, 그린(Green) 형광물질 및 블루(Blue) 형광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레드 형광물질, 그린 형광물질 및 블루 형광물질은 색 온도에 적합한 중량비로 혼합된다.
여기서, 레드 형광물질은 비가시광선을 레드 가시광선으로 변경시키고, 그린 형광물질은 비가시광선을 그린 가시광선으로 변경시키며, 블루 형광물질은 비가시광선을 블루 가시광선으로 변경시킨다.
레드 형광물질로부터 출사된 레드 가시광선, 그린 형광물질로부터 출사된 그린 가시광선 및 블루 형광물질로부터 출사된 블루 가시광선들은 모두 동일한 광량을 갖으며, 백색광은 이러한 레드 가시광선, 그린 가시광선 및 블루 가시광선의 혼합에 의하여 생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기판(10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밀봉부재(140)를 형성한다(도 2e).
상기 밀봉부재(140)는 하부 기판(100)의 가장 자리(Edge)를 따라 글래스 페이스트(Glass Paste)를 도포한 후, 400℃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하여 형성한다.
상기 밀봉부재(140)는 상부 기판(미도시)과 하부 기판(100)의 접합시 진공 실링(Sealing)을 위한 것이다.
이어서, 상부 기판(200) 상부에 스페이서(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215)을 제외한 영역에 제2 형광층(210)을 형성한다(도 2f).
상기 상부 기판(200)은 하부 기판(10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형광층(210)은 레드 형광물질, 그린 형광물질 및 블루 형광물질이 적당한 중량비로 혼합된 형광물질로 이루어진다.
연이어, 상기 상부 기판(20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스페이서(Spacer)(220)를 형성한다(도 2g).
상기 스페이서(220)는 이후의 진공 배기 공정시 하부 기판(100) 및 상부 기판(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세라믹 볼(Ceramic Ball)을 상부 기판(200) 상의 일정 영역(215)에 접착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기판(200) 하부에 하부 기판(100)을 위치시킨 후, 열 압착하여 상기 상부 기판(200) 및 하부 기판(100)을 접합하고, 배기홀(미도시)을 통하여 진공 배기한다(도 2h).
즉, 상기 상부 기판(200) 및 하부 기판(100)을 얼라인(Align) 시켜 열 압착하는데, 이때 상부 기판(200) 및 하부 기판(100)은 상기 밀봉부재(140)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기판(100)에 형성된 배기홀(미도시)에 가열 진공 배기를 위한 배기관을 부착한 후, 진공 가열 소성 공정을 통해 진공 배기한다.
이어서, 상기 하부 기판(100)에 부착된 배기관(250)을 통해 방전 가스를 주입한 후, 배기홀을 밀봉한다(도 2i).
즉, 상기 하부 기판(100)의 배기홀에 부착된 배기관(250)을 통해 플라즈마 방전을 위한 방전 가스를 주입하는데, 이때 주입되는 방전 가스로는 환경 친화적인 Xe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전 가스를 주입한 후에는 배기홀을 밀봉하여 면 광원장치를 완성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의 하부 기판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부 기판(100)의 가장 자리에 배기홀(103)을 형성한 후, 방전 홈(105)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한 후, 방전 홈(105)이 형성된 하부 기판(100)의 하부에 방전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미도시)을 형성한다(도 3a).
다음으로, 상기 방전 홈(105)들 사이의 영역에 방전 홈(105)의 일정한 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복수 개의 분리대(12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 개의 분리대(120)를 형성한다(도 3b).
이어서, 상기 하부 기판(100) 상부에 상기 방전 홈(105) 및 분리대(120)을 감싸며 제1 형광층(130)을 형성한다(도 3c).
연이어, 상기 하부 기판(1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밀봉부재(140)를 형성한다.(도 3d).
도 4a는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면 광원장치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기판(300)에 방전 홈(31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전 홈(310)들 사이의 영역에 분리대(3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기판(300)의 방전 홈(310)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4)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기판(300) 상부에 상기 방전 홈(310) 및 분리대(320)를 감싸며 제1 형광층(3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기판(3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밀봉부재(3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기판(300) 상부에 상기 밀봉부재(350)에 의해 상부 기판(400)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 기판(400)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스페이서(4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기 판(400) 하부의 상기 스페이서(410)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제2 형광층(4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기판(300)과 상부 기판(400) 사이의 공간에 방전가스가 충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전 홈(310)은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방전 홈(310) 간의 거리는 1 ~ 10㎜, 상기 방전 홈(310)의 지름은 3 ~ 7㎜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대(320)는 상기 방전 홈(310)들 간의 플라즈마 번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방전 홈(310)들 사이의 영역에 방전 홈(310)의 일정한 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 개가 병렬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4)은 구리(Cu), 니켈(Ni), 은(Ag), 금(Au), 알루미늄(Al), 크롬(Cr)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기판(300)의 방전 홈(310)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4)에 방전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하부 기판(300)과 상부 기판(400)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방전가스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하여 비가시광선(Non-Visible Ray)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4)을 하부 기판(300)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4)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쉽게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350)는 글래스 페이스트(Glass Paste)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 부 기판(300)과 상부 기판(400)을 접합시킨다.
상기 스페이서(410)는 세라믹 볼(Ceramic Ball)로 이루어지며, 진공 배기 공정시 하부 기판(300) 및 상부 기판(4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형광층(340) 및 제2 형광층(420)은 레드 형광물질, 그린 형광물질 및 블루 형광물질이 적당한 중량비로 혼합된 형광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라즈마 방전에 의하여 발생한 비가시광선을 가시광선 즉, 백색광으로 변환시킨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전 홈을 하부 기판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면 광원장치의 전체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높은 휘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방전 가스로 Xe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의 광원을 제공할 수 있 으며, 주변 온도에 따른 동작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하부 기판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쉽게 방출할 수 있다.

Claims (9)

  1. 하부 기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된 방전 홈;
    상기 하부 기판 상부의 방전 홈이 형성된 영역들 사이에 형성된 분리대;
    상기 방전 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하부 기판 상부에 상기 방전 홈 및 분리대를 감싸며 형성된 제1 형광층;
    상기 하부 기판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된 밀봉부재;
    상기 밀봉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 기판과 접합되는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스페이서(Spacer); 및
    상기 스페이서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상부 기판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형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면 광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홈은 상기 하부 기판에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방전 홈들 사이의 간격은 1 ~ 10㎜이고, 상기 방전 홈의 지름은 3 ~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는 상기 방전 홈들의 일정한 열과 평행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방전 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의 하부에 교대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60131745A 2006-12-21 2006-12-21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5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45A KR100851523B1 (ko) 2006-12-21 2006-12-21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45A KR100851523B1 (ko) 2006-12-21 2006-12-21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884A KR20080057884A (ko) 2008-06-25
KR100851523B1 true KR100851523B1 (ko) 2008-08-11

Family

ID=3980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745A KR100851523B1 (ko) 2006-12-21 2006-12-21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828B1 (ko) 2019-04-11 2020-03-18 (주)센코 평판형 광 이온화 검출기용 램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441A (ja) 1999-07-26 2000-03-21 Hitachi Ltd 平板型光源
KR20030042294A (ko) * 2001-11-22 200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평판 램프
KR20060004791A (ko) * 2004-07-08 2006-01-16 삼성코닝 주식회사 평판 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441A (ja) 1999-07-26 2000-03-21 Hitachi Ltd 平板型光源
KR20030042294A (ko) * 2001-11-22 200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평판 램프
KR20060004791A (ko) * 2004-07-08 2006-01-16 삼성코닝 주식회사 평판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884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8841B2 (en) Backlight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496235B2 (ja) 平板発光ラン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26892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0390454B1 (ko) 평판형 형광램프
US20020079827A1 (en) Flat lumin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51523B1 (ko) 면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36361A1 (en) Flat field emission illumination module
EP1724812A2 (en) Flat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0877481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742125B1 (ko) 백 라이트 유닛
KR101071885B1 (ko) 전계방출 면광원 및 전계방출 면광원의 제조방법
CN107676740B (zh) 一种量子点膜、背光模组及显示器
JP2008078135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面光源装置を具備す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697260B1 (ko) 엘씨디 백라이트용 평판 램프
KR20080066281A (ko) 형광 램프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0670204B1 (ko) 휘도 및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면발광 램프
US20090295270A1 (en) Device with electron beam excitation for making white light source
KR100604078B1 (ko) 평판형 형광램프
KR20090030045A (ko) 대면적 면광원 장치
JP2005243515A (ja) 平面型蛍光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68947A (ko) 셀전극을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KR20090129529A (ko) 무수은 평면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6247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06024508A (ja) 平面型放電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20070118505A (ko) 스페이서 일체형 기판을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