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37B1 -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37B1
KR100835337B1 KR1020070075344A KR20070075344A KR100835337B1 KR 100835337 B1 KR100835337 B1 KR 100835337B1 KR 1020070075344 A KR1020070075344 A KR 1020070075344A KR 20070075344 A KR20070075344 A KR 20070075344A KR 100835337 B1 KR100835337 B1 KR 10083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delete delete
character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365A (ko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4525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80010266A/ko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ublication of KR2008001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는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됨- ;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이 하나의 입력부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게 함으로써, 최소한의 입력공간에서 1 동작으로 입력가능한 문자의 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1 동작으로 1 음소 이상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비례하여 각종 정보기기에 있어서의 문자입력 또한 그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 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은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전술한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 회의 입력동작에 1 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소위 1 동작 1 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1 동작 1 음소입력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 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 많은 버튼이나 입력 키를 증설해야할지도 모른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점 데스크탑 PC의 성능을 구현해 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문자입력 외에도 각종 명령키(엔터, 스페이스, 쉬프트키 등), Fzl, 기호 등 기보드 자판의 모든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 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입력키의 배열할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 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것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다.
특히, 휴대폰의 경우에는 보통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두 입력하다 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그 만큼 입력시간이 길어지고, 오타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력방법 자체가 매우 복잡해져 익숙해지는 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글문자 입력의 경우 '천지인'과 같이 소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의 경우, 기본이 되는 문자를 조합하여 원하는 문자를 생성하므로 문자를 할당하기 위한 입력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원하는 문자가 조합될 때까지 입력버튼을 반복하여 눌러야 하므로 그만큼 입력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둘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나, 키보드 자판의 이미지를 바닥에 영사하고 그 위에서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하면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가상레이저 키보드 등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입력장치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동 중에 손으로 들고 입력할 필요가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이 각각 또는 조합되어 수행되는 새로운 입력부를 마련함으로써, 문자 등의 입력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원하는 모든 문자를 1회의 입력동작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하는 동시에 , 다단입력기능과 양벌 구성 등을 통하여 소정의 공간에서 배열 가능한 자판의 수를 최대화하여, 데스크탑 PC에서 사용되는 키보드 자판의 모든 입력기능과 마우스의 입력기능을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해 낼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에 더하여, 다양한 입력방식을 추가하거나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1회의 입력동작으로 1 이상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됨-;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의 선택 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며 수행되는 중앙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제1방향입력, 2방향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압력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으로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 1 문자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 2 문자를 함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베이스;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 상기 각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8개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8개의 제2방향지시위치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됨-;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 상기 각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됨-;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들 주변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행됨-;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으로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어,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와;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의 선택 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며 수행되는 중앙입력이 마련되어, 상기 중앙입력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수행되는 중앙조합입력에 의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본래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과,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다른 하나가 수행되는 방향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됨- ;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 또는 상기 방향조합입력에 할당된 제3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테이터 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누름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지지부와 같이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지지부와 같이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상기 입력부가 기울임 이동되며 수행되고,
상기 입력부와 베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은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입력부 및 지지부가 기울어지는 기울임이동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되며,
상기 베이스와 입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과 제2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 버튼 또는 스크롤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의 드래그(drag)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채 제1방향입력이 수행되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는 입력부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입력부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부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 버튼 또는 스크롤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에 따른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압력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방향이동입력과 방향누름입력을 조합하여 1회의 입력동작으로 1 이상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어 신속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을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PDA, 노트북,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의 구성 및 실시예를 각 입력동작별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방향입력(M)
본 명세서에서 제1방향입력(M)이라 함은,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며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0) 및 베이스(110)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110)에 마련된 입력반경(111)의 일측에는 기준위치(S, 도 2참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들이 이격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10)에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대응하여 입력부(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6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이동하면, 입력부(10)의 이동이 감지된 제1감지부(6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51)에서 해당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제1문자를 메모리부(55)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한다.
제1감지부(61)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입력반경(111)에 마련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트랙포인터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제1방향입력(M)은 다양한 방법을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입력부(10)가 기준위치(S)에 위치한 상태(도 4의 (a)참조)로부터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5)를 향하여 슬라이딩(또는 수평이동, 도 4의 (b)참조)되며 수행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슬라이딩 또는 수평이동이라 함은 베이스(110)의 바닥면에 대한 엄밀한 수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기준위치(S)로부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한 가능한 모든 각도 및 방향을 포함한다.
이 경우,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반경(111) 내에서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도 슬라이딩되며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한글문자입력에 있어서, '높'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ㄴ'이 할당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슬라이딩 된 뒤(도 5의 (b)참조),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ㅍ'을 입력(도 5의 (c)참조)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2방향입력(P)과 모음문자 'ㅗ'의 입력에 관하여는 뒤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예에서, 입력부(10)는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때, 복수의 제1감지부(6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51)는 입력부(10)의 이동을 마지막으로 감지한 제1감지부(61)의 감지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 복귀되는 경우 리셋(Reset)신호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상기 리셋신호의 발생 바로 직전에 발생된 제1감지부(61)의 감지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0)의 입력동작에 의한 동종의 신호가 Off되는 경우에 연이어 발생된 동종의 감지신호 중에서 최종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입력부(10)를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방향입력(M)에 속하는 복수의 감지신호를 발생시킨 후에 연이어(즉, 기준위치(S)에 복귀하지 않고) 중앙입력(C)이나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여 다른 종류의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중앙입력(C)이나 제2방향입력(P)으로 전환되기 바로 직전의 제1방향입력(M)만이 유효하게 입력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 복귀하여 리셋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복수의 감지신호 중에서 유효한 신호를 판단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는, 입력부(10)의 원주방향이동에 의해서 각종 기능명령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입력부(10)를 반시계방향으로 원주이동시키면 취소명령이, 시계방향으로 원주이동시키면 스페이스명령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와 베이스(110)사이에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25)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M)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10)를 베이스(110)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지지하는 지지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입력(M)을 위한 입력부(10)의 동작형태는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부(10)를 외부 가압에 의해 부분 또는 전체의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하여 입력동작시 입력부(10)의 변형방향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구체화된 입력부(10)를 마련하는 대신에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예를 들어,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를 구비하여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110)에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40)는 입력부(10)가 이동할 때 사용자가 의도하는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제1방향입력(M)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입력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가이드부(4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이스(110)에 기준위치(S)로부터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소정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직선가이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에 입력반경(111)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입력부(10)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동시에 입력부(10)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대응하는 오목한 홈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10)는 상기 가이드부(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입력부(10)를 부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가이드부(40)를 따라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로 이동하게끔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4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의 이동거리의 차이 또는 이동가압의 세기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방향입력(M)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수평이동(또는 슬라이딩)을 통해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기준위치(S)로부터 각 제1방향지시위 치(M1, M2, ...)를 향하는 입력부(10)의 이동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2 이상의 제1감지부(61)를 마련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0) 또는 입력부(10)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부재(21) 중 어느 하나에 제1감지부(61)를 향하여 길이를 달리하여 돌출된 접촉부(27a, 27b)를 마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c)를 참조하면, 입력부(10)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부재(21)의 연부를 따라 상대적으로 긴 제1접촉부(27a)와 상대적으로 짧은 제2접촉부(27b)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각 접촉부(27a, 27b)와 접촉되는 제1감지부(61a, 61b)를 마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부(10)를 소정 방향으로 1단 이동하면 제1접촉부(27a)가 먼저 제1감지부(61a)에 접촉되며, 2단 이동을 수행하면 제2접촉부(27b)까지 제1감지부(61b)에 접촉 된다.
여기서, 제1접촉부(27a), 제2접촉부(27b)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또는 탄성부재(21)의 연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교차되며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21)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중앙처리장치(CPU)의 접지단자(64)와 연결되어 접촉부(27a, 27b)에 그라운드 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또는, 입력부(10)의 기울임에 의해서 수행될 때에는 입력부(10) 또는 지지부(25)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기울임각도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할 수 도 있다.
여기서, 2단입력의 구분감지를 위한 제1감지부(61)의 방식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단입력시의 제어부(51)의 신호처리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2단의 제1방향입력(M)의 경우 2단입력을 수행할 때에는 1단입력이 먼저 수행되는 바, 제어부(51)는 1단의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후에 소정의 대기시간 내에 2단의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기다려 2단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51)는 일단 1단의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1단입력을 처리하되, 상기 대기시간 내에 2단입력이 수행되면 1단입력을 취소하고 2단입력으로 변경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기시간동안 입력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정시간의 경과여부 대신에 1단 입력의 해제여부(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후 기준위치(S)로 복귀했는 지 여부, 또는 1단 입력 감지신호가 해제(off)될 때)에 따라 1단입력의 변경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1단 입력이 해제될 때 최종입력결정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1단 입력이 수행되면 바로 입력처리가 되고, 1단 입력을 해제하면 입력결정이 되지만, 대기시간에 관계없이 1단 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해제하지 않고 더 진행하여 2단 입력이 수행되면 1단 입력이 취소되고 2단 입력으로 변 경된다.
상기의 신호처리방법은 2단 입력 수행시 잘못된 입력으로 인하여 1단 입력이 처리되었을 때, 1단 입력을 취소한 뒤에 2단 입력을 수행할 필요없이 1단 입력처리된 상태에서 바로 2단 입력을 더 수행하여 상기 1단 입력을 2단 입력으로 변경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입력처리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바로 입력처리를 수행하되 입력이 해제되어야만 최종입력결정이 되도록 하는 경우,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때 잘못된 입력을 수행한 경우 입력처리된 내용을 지우고 다시 입력을 수행할 필요없이 잘못된 입력이 최종입력결정이 되기 전에 원하는 입력으로 수정할 수 있어 입력이 간편해진다.
또는, 제1감지부(61) 또는 제2감지부(63)를 압력센서로 마련할 경우에는 상기 대기시간내에 발생된 최대 압력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감지부(61)가 입력부(10)를 감지한 감지시간에 기초하여 1단입력 및 2단입력을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시간이 0.5초 미만이면 1단입력으로 하고, 0.5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2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압력센서의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1단 입력이 수행되면 바로 입력처리를 하고, 1단 입력이 해제되면 입력결정되도록 하여 1단입력이 해제되기 전에 2단입력에 해당하는 감지값이 추가로 감지되면 1단입력을 취소하고 2단입력이 입력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다단입력에 관한 제어부(51)의 신호처리에 관하여는 제1방향입력(M) 이외에 제2방향입력(P), 중앙입력(C), 방향조합입력(MP, PM) 및 중앙조합입력(CM, CP)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다단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할당되는 문자의 수 (또는 제1방향입력(M)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방향입력(M)을 통하여 많은 수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의 수를 무작정 늘리지 않고 다단입력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으므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의 수와 다단입력여부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의 입력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M)시 2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가 중복하여 선택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입력부(10)가 2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의 중간영역으로 이동하여 2개의 제1감지부(61)에서 입력부(10)의 이동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입력신호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1)는 복수의 감지신호들 중에서 최초로 발생된 감지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최초로 입력된 신호를 유효하게 입력처리하고, 최초신호가 해제되기 전(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고 기준위치(S)로 복귀하기 전) 또는 소정시간 내에 입력된 다른 신호들은 무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간섭으로 인하여 감지될 수 있는 모든 신호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위치에서 1개, 2개 또는 3개 등의 제1감지부(61)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각각의 경우마다의 입력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소정의 신호들이 감지되었을 때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입력값을 출력처리하는 것이다.
제1감지부(61)가 압력센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최대 압력값을 보이는 감지위치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마련될 수도 있고, 다각형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방향으로 측면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가질 때에는 십자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10) 상부면에는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버튼 형상의 돌기부(52a)가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방향입력(M)시 입력부(10)의 이동반경에는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입력부(10)에 얹혀진 손가락의 이동반경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입력부(10)의 상부면에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시 입력부(10)에 접촉된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54)가 마련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54)는 다양하게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입력부(10) 상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고, 입력부(10)의 중앙에 오목한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2가지를 모두 마련할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10)는 도 11의 (b)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입력(P)시 손가락의 파지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단 일측에 돌기부(52b, 52c)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10)는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수행시 입력부(10)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돌출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3)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테이블이나 지면에 놓고 사용할 때, 엄지손가락 뿐 아니라 검지나 중지 등의 손가락을 사용할 때에도 입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부(53)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돌출부(53)에 일단이 삽입되는 조작봉(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3)는 도 11의 (d)와 같이 입력부(10)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의 상단에는 조작봉이 삽입되는 결합부(57)를 마련함으로써 조작봉(56)을 돌출부(53)에 삽입한 채로 입력부(10)를 조작할 수도 있다.
제2방향입력(P)
본 명세서에서 제2방향입력(P)이라 함은, 입력부(10)에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된 제2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즉,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의 외부에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입력부(10) 및 지지부(25) 전체가 이동하면서 수행되는 반면,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에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선택하는 것으로 입력부(10) 및 지지부(25) 전체의 수평이동(또는 슬라이딩)이나 기울임이동이 수행되지 않는다.
제2방향입력(P)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만이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짐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물론 입력부(10)만을 기울인다 하여도 지지부(25)가 조금은 이동될 수 있으나 이때 지지부의 이동은 미미한 것이다).
이 경우, 입력부(10)와 베이스(110)의 하부에는 입력부(10)를 초기의 수평상 태로부터 임의의 방사방향으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방향입력(P)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1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누름부(11)는 입력부(10)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을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든 형태(입력부(10)만의 기울임을 제외함)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0)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각각 별도로 마련된 누름버튼이나 누름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입력부(10) 상단 또는 내부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제2감지부(63)만이 마련된 누름위치일 수도 있다.
한편, 제2방향입력(P)도 제1방향입력(M)과 같이 원주입력이 가능하며, 원주입력과 관련된 입력기능 및 신호처리는 제1방향입력(M)과 동일하다.
여기서, 입력부(10)는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상단에 누름부(11)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입력부(10)는 입력부(10)에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 누름부(11)를 선택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
마찬가지로, 입력부(10)가 기울어짐에 의해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경우 에도,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한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기울여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로 입력부(10)를 기울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감지부(63)는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방향입력(P)이 입력부(10)의 기울임에 의해 수행될 때에는 입력부(10)의 하부 연부에 입력부(10)의 기울임에 따라 베이스(110)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단차를 마련하고, 상기 단차 또는 베이스(110)에 입력부(10)와 베이스(110)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로 마련되거나 입력부(10)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2방향입력(P)이 입력부(10)에 마련된 각 누름부(11)에 의해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각 누름부(11)의 하부에 마련된 접촉센서, 누름스위치 또는 압력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방향입력(P)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의 기울임점도 또는 누름부(11)의 누름세기 또는 누름거리의 차이에 따라 다단입력을 각각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4의 (e)를 참조하면, 제2방향입력(P)이 2단으로 마련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입력부(10)의 하부 연부를 따라 단차를 형성하고, 1단의 기울임에 의해서는 하부의 제2감지부(63a)가 베이스(110)에 접촉되고, 2단의 기울임에 의해서는 상부의 제2감지부(63b)가 베이스(110)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부재(21) 또는 입력부(10) 에 제2감지부(63a, 63b)를 향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된 제3접촉부(27c) 또는 제4접촉부(27d)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0)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 제3접촉부(27c)가 먼저 제2감지부(63a)에 접촉되고, 다음으로 2단 입력시 제4접촉부(27b)가 제2감지부(63b)에 접촉된다.
여기서, 접촉부(27a, 27b)는 탄성이 있는 전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다단의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경우의 제어부(51)에서의 신호처리에 관하여는 제1방향입력(M)에서 전술한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로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중복할당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는 각 입력부(10)의 상단 또는 각 누름부(11)에 손가락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67)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소정의 제2방향지시위치(P2)로의 접촉에 의해서는 문자 'A'가 입력되고,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P2)로의 기울임에 의해서는 문자 'B'가 입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터치입력을 통하여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할 수 있는 문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2방향입력(P)을 다단으로 구성한다면 더 많은 수의 문자를 할당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방향 내지 12방향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8개 이하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입력방향의 수가 8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 방향지시위치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입력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부족한 방향지시위치의 수에 대하여는, 후술한 중앙입력(C)을 조합하거나, 입력부(10)를 좌우 2벌로 마련함으로써 입력에 필요한 문자를 모두 배열하면서도, 최적의 입력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서로 동일한 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이 조합된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 있어서, 전술한 제1방향입 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조합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한다.
먼저, 제1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의 상단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11)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경우, 제1방향입력(M)을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6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하부측 베이스(110)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연부측 베이스(1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2방향입력(P)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하부에 접촉부(27c, 27d)를 마련하고 누름부(11)를 눌러 제2감지부(63)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접촉부(27c, 27d)를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함으로써, 1단의 제2방향입력(P)에는 제3접촉부(27c)가, 2단의 제2방향입력(P)에는 제4접촉부(27d)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중앙입력키(13)의 하부에는 1단의 중앙입력(C)시 제3감지부(65a)에 접촉되는 제5접촉부(27e)와, 2단의 중앙입력(C)시 제3감지부(65b)에 접촉되는 제6접촉부(27f)가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입력부(10)의 외주연에는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후에 입력부(10)를 기준위치(S)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재질의 리턴부재(58)가 마련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가 수평위치로부터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된다.
제1방향입력(M)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또는 탄성부재(21)의 연부를 따라 돌출된 접촉부(27a, 27b)와 이에 대응하여 베이스(110)에 마련된 제1감지부(61a, 61b)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접촉부(27a, 27b)의 돌출길이를 달리하여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수행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제2방향입력(P)을 위해, 입력부(10)를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5)가 더 마련될 수있다. 지지부(2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입력부(10)의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25')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의 (b)를 참조하면, 입력부(10)의 하부에는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된 후에 입력부(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58)가 마련되어 있다.
리턴부재(58)는 탄성부재(21)(또는 입력부(10))와 PCB기판(113)에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슬라이딩 및 기울임의 2가지 입력동작 모두에 적용된다.
또는, 지지부(25)를 마련하지 않고 입력부(10)를 탄성재질로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 입력부(10)와 베이스(110) 사이에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를 마련함으로서 입력부(10)의 기울임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때, 제2감지부(63a, 63b)는 입력부(10)가 소정의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상태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여도 접촉부(27c, 27d)에 감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태와 크기(면적)을 갖는다.
도 10의 (c)에는 본 실시예의 다른 구현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력부(10)와 베이스(110) 사이에 누름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부재(40)를 마련하고, 탄성부재(40)의 하부에 감지부(61,63, 65)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 때, 탄성부재(40)의 내측면에는 각 감지부(61, 63, 65)를 향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된 접촉부(27a 내지 27f)가 마련됨으로써 다단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촉부(27a, 27b)와 탄성부재(40) 사이에는 전도성부재(23)가 개재되어 있으며, 전도성부재(43)의 일단은 접지단자(64)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접촉부(27a 내지 27f)에 연결되어 있어서, 접촉부(27a 내지 27f)를 통해 감지신호가 제어부(60)로 전달된다.
이에, 예를 들어, 1단의 제1방향입력(M1)을 수행하면, 외측의 접촉부(27a)가 메탈돔(58)에 접촉되어 1단의 방향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접촉부(27a)들은 메탈돔(24)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므로 메탈돔(24)은 원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다음, 2단의 제1방향입력(M2)을 수행하면 내측의 접촉부(27b)가 하강하면서 메탈돔(24)을 변형시켜 제1감지부(61b)에 접촉되면서 2단의 방향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메탈돔(24)이 변형될 때 클릭감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1단 입력과 2단입력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제1방향입력(M)이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은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향하여 기울임이동되며 수행된다.
여기서, '기울임이동'이란 도 10의 (b)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전체가 소정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면서(또는, 지지부(25)와 동시에) 이동되는 것을 말한다.
반면, '기울임'이란 도 10의 (b)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지지부(25)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술한 '기울임이동'은 아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은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의 기울임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제1방향입력(M)이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이 기울임이동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더하여, 입력부(10)가 제자리에서 기울여질 수도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0)는 베이스(110)의 내외부로 돌출 및 수용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10)를 베이스(110) 내부로 수용시킴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입력부(10)를 돌출시킬 때에는 용이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도 10의 (b)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의 '기울임이동'에 의해 수행되며(좌측 도면 참조),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의 기울임에 의해 수행된다(우측 도면 참조).
입력부(10)는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지지부(25)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입력부(10)가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로 기울임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입력부(10)의 기울임이동은 입력부(10)의 연부가 베이스(110)에 마련된 제1감지부(61)에 접촉됨으로써 수행된다.
한편, 입력부(10)의 하부에 대응하는 PCB 기판(113)에는 입력부(10)의 기울 임에 의한 제2방향입력(P)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63)가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은 서로 동일한 개수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개수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하나 이상은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은 1단입력으로 마련되고, 제2방향입력(P)은 2단입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자음문자를 입력하고, 제1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각국 문자에 있어서 자음문자가 모음문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수 및 사용빈도에 있어서 많고, 다단의 입력시 제1방향입력(M) 보다는 제2방향입력(P)이 상대적으로 용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서로 구분되는 입력동작을 갖는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을 조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는, 자음과 모음이 반복적으로 섞여 배열되는 거의 모든 각국 문자의 입력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을 각 입력동작에 따라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우기,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은 각 입력동작 간에 구속이 없으므로(즉, 어느 하나의 입력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입력동작을 필수적으로 수행 해야하는 등) 복수의 입력동작을 연이어 수행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입력동작처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의 입력예를 설명하면, 알파벳문자 'CAR'를 입력하고자 할 때, 자음 'C'가 할당된 제2방향지시위치(P7)를 향하여 입력부(10)를 기울임(또는 누름부(11)를 선택)한 후, 모음 'A'가 할당된 제1방향지시위치(M1)을 향하여 입력부(10)를 이동한다. 다음, 자음 'R'이 할당된 제2방향지시위치(P2)를 향하여 입력부(10)를 다시 기울이면 된다. 여기서, 전술한 3개의 동작은 동일 또는 미소한 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연속된 1동작처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각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 있어서,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조합된 기본적인 형태를 설명한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양한 구성들의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 각 구성들의 형상, 크기, 재질 등의 변형도 제한없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기본적 형태에 포함될수 있는 추가구성 및 다양한 변형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할 각 구성은 단독으로 적용될 수있음은 물론 2 이상이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중앙입력(C)
본 명세서에서 중앙입력(C)이라 함은,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과 별도로 입력부(10)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13)를 선택하거나, 입력부(10) 자체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중앙입력(C)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중앙에 선택가능한 중앙입력키(13)와, 중앙입력키(13)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6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중앙입력(C)은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전체가 베이스(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입력부(10) 또는 베이스(110)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부(1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두 가지 형태의 중앙입력(C)은 어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동시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중앙입력(C)은 중앙입력키(13)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세기나, 입력부(10) 자체의 승강거리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중앙입력키(13)로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중앙입력키(13)에 중복할당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입력키(13)에는 손가락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61a)가 마련된다.
여기서, 중앙터치감지부(61a)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51)는 중앙입력키감지부(69)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소정시간이상 감지되는 경우, 터치감지부(67)의 감지결과를 무시하여 터치입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중앙조합입력( CM , CP )
본 명세서에서 중앙조합입력(CM, CP)이라 함은, 중앙입력(C)이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b)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 도 3에 도시된 중앙입력키(13)를 누른채 입력부(10)를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도 4의 (c)와 같이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때 중앙입력키(13)를 누른채 입력부(10)를 소정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향하여 기울이는 것이다.
도 12는 중앙조합입력(CM, CP)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1방향입력(M)과 중앙입력(C)이 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입력부(10)를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중앙입력(C)이 수행된 상태로 이동하면 방향조합입력(CM1)이 수행되는 반면, 중앙입력(C)의 수행없이 입력부(10)만 이동되면 제1방향입력(M1)이 수행된다.
여기서, 중앙조합입력(CM, CP)은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또는 중앙입력(C) 중 하나 이상이 2단 이상의 다단입력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이 2단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1단의 제1방향입력(M11)과 중앙입력(C)이 조합된 1단의 중앙조합입력(CM11)과, 2단의 제1방향입력(M21)과 중앙입력(C)이 조합된 2단의 중앙조합입력(CM22)이 가능하다.
반대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1단으로 구성하고 중앙입력(C1, C2)을 2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방향입력(M1)과 1단의 중앙입력(C1)이 조합된 1단의 중앙조합입력(C1M1)과, 제2방향입력(M1)과 2단의 중앙입력(C2)이 조합된 2단의 중앙조합입력(C2M1)이 가능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중앙조합입력(CM, CP)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문자를 중복하여 할당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입력용량(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2가지 경우에 있어서, 중앙조합입력(CM, CP)은 제1방향입력(M)이 아닌 제2방향입력(P)과 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중앙조합입력(CM, CP)은 전술한 모든 형태의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 입력(P)과 전술한 모든 형태의 중앙입력(C)이 제한없이 조합될 수 있다.
방향조합입력( MP , PM )
본 명세서에서 방향조합입력(MP, PM)이라 함은,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다른 하나가 수행될 때, 상기 입력동작에 할당된 제3문자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즉, 방향조합입력(MP, PM)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먼저 수행한 상태 즉, 입력부(10)가 제1방향지시위치(M)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수행되는 것이다.
도 13은 방향조합입력(MP, PM)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의 (a)는 제1방향입력(M)을 먼저 수행한 상태에서 제2방향입력(P)를 연이어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방향조합입력(M1P1)은 입력부(10)를 제1방향지시위치(M1)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방향지시위치(P1)으로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된 경우를 나타낸다.
반대로 도 13의 (b)는 제2방향입력(P)를 먼저 수행한 상태에서 제1방향입력(M)을 연이어 수행하는 경우로서, 방향조합입력(P1M1)은 제2방향지시위치(P1)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상태에서 제1방향지시위치(M1)로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2방향입력(P)이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경우, 제1감지부(61)는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누름부(11)에 대응하는 제2감지부(63)의 주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조합이 가능한다.
즉,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M2)로 입력부(10)를 이동한 상태에서 제2방향지시위치(P4)로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된다면 방향조합입력(M2P4)이 수행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조합입력(M1P1 , P1M1)은 조합되는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의 순서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수도 있으나, 조합 순서에 상관없이 동일한 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방향조합입력(M1P1) 및 방향조합입력(P1M1)에 의해 동일한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방향조합입력(MP, PM)이 가능하게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이 동시에 수행되더라도 각 입력이 독립적으로 수행됨은 물론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ㅗ'을 입력하기 위한 제2방향입 력(P)과 'ㄴ'을 입력하기 위한 제1방향입력(M)이 동시에 수행될 때에는 조합된 새로운 문자가 입력되는 것이 아닌, 각 입력동작에 의해 한글문자 '노'가 입력되는 것이다.
한편,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 중 하나 이상이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조합의 수만큼 방향조합입력(MP, PM)이 발생되게 되므로 입력용량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방향조합입력(MP, PM)을 통하여 한자나 일본어 문자와 같이 음소가 50개 이상이 되는 문자를 입력할 때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중앙입력(C), 중앙조합입력(CM, CP) 및 방향조합입력(MP, PM)은 필요에 따라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에 더하여 자유롭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입력에 있어서 방향지시위치의 개수도 제한없이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방향회전입력(R)
본 명세서에서 방향회전입력(R)이란, 입력부(10)가 베이스(110) 상에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자체 회전되면서 할당된 문자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입력부(10)의 회전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5)를 서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1지지 부(25a)와 제2지지부(25b)로 분할하여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부(25a)가 고정되고 제2지지부(25b)가 제1지지부(25a)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제1지지부(25a)와 제2지지부(25b) 사이에는 각각 회전방향으로 회전감지부(68a, 68b)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입력부(10)를 오른쪽 방향(R1)으로 회전시키면 제1지지부(25a)가 회전하여 회전감지부(68b)에서 회전을 감지하고, 입력부(10)를 왼쪽 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감지부(68a)에서 회전을 감지한다.
또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일측에 회전돌기(77)를 형성하고, 회전돌기(77)의 좌우측으로는 각각 회전돌기(77)의 회전거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회전감지부(68c, 68d, 68e, 68f)를 마련할 수 있다.
전술한 입력부(10)의 좌우 방향회전은 회전거리(또는 회전각도)에 따라 2단 회전이 가능한 바, 즉, 입력부(10)를 오른쪽으로 1단 회전하면 우측의 첫번째 회전감지부(68c)에서 1단 회전을 감지하고, 입력부(10)를 오른쪽으로 더 회전시켜 2단 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우측의 두번째 회전감지부(68d)에서 2단 회전을 감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각 경우에 있어서, 입력부(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회전각도를 가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14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 만큼만 회동될 수도 있고, 1회전 (360도) 이상 회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부(10)의 방향회전은 모든 누름부(11)에 있어서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으나, 각 누름부(11)에 조합되어 선택된 누름부(11) 마다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문자의 배열
본 명세서에서 '문자'라 함은 한글문자, 영어문자 또는 일본어 문자 등 각국 언어에 따른 좁은 의미의 문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입력가능한 데이터는 상기 문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숫자, 기호 또는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각종 기능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음'이란 외국어의 경우 발음이 한글모음에 해당하거나 언어학상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 외국어의 알파벳을 2종류로 나누었을 때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은 알파벳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서, 전술한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중앙입력(C), 중앙조합입력(CM, CP) 또는 방향조합입력(MP, PM)에 문자를 배치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인 문자입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문자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각국 문자를 배열함에 있어서, 자음문자와 모음문자의 입력이 각각 서로 다른 입력동작에 의하여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에 의해서는 자음문자를 입력하고,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모음문자를 입력하거나, 그 반대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각 입력동작별로 입력되는 문자를 바로 연상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각국 문자의 배열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2단의 제1방향입력(M)에는 각국 문자의 자음문자가 배열되고, 2단의 제2방향입력(P)에는 각국 문자의 모음문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기본적으로 자음과 모음은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나누어 배열되지만, 한글문자의 경우 모음 'ㅒ, ㅖ'가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배열되거나, 알파벳의 경우 자음 'V, Z'가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되는 등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는 모음문자 이외에 엔터, 스페이스, 백커서, 취소(ESC) 등의 기능명령이 더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알파벳의 경우, 사용빈도가 높은 연속된 문자, 예를 들어, 'CH' 또는 'ING'등은 하나의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알파벳의 모음 'A,E,I,O,U' 이외에 'W, X, Y'는 모음과 같은 효과가 있어 본 명세서에서는 모음부로 정의한다.
한편, 1단의 중앙입력(C1)에는 모드변경창, 그리고 2단의 중앙입력(C2)에는 마우스모드전환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지시위치(P1, P2,..)가 4개로 마련되고, 제2방향입력(P)이 2단으로 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알파벳을 배열할 때 'A, X', 'E, I', 'W, Y', 'O, U'를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하고, 1단 및 2단의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 중복할당된 상기 각 문자가 구별되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즉, 1단의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E (P12)'가 입력되고, 2단의 제2방향입력(P)의 해서는 'I(P22)'가 입력될 수 있다.
또는, 한글문자를 배열할 때에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입력(P)에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가 중복 할당되어, 1단 및 2단의 상기 제2방향입력에 의해서 할당된 상기 각 문자가 구별되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물론, 도 16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제1방향입력(M)이 4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가지고 2단입력을 구성되어, 제1방향입력(M)에 의해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도 있다.
알파벳과 한글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슷한 형상의 문자끼리 배열하는 경우 에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로부터 모음문자의 형상이 연상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익숙해질 수 있다.
특히, 한글의 경우에는 동(ㅏ), 서(ㅓ), 남(ㅜ), 북(ㅗ)에 상기와 같이 모음문자를 배열하면 방향에 따라 모음문자의 형상이 연상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익숙해질 수 있다.
또는, 알파벳 배열에 있어서, 각 문자의 형태가 유사한 것 끼리 묶어서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 d', 'p, q', 'i, j', 'm, w', 'u, v', 'k, x', 'c, o', 'a, e', 's, z', 'l, r', 'f, t', 'n, h', 'y, g' 와 같이, 두 개의 문자를 동일한 방향지시위치에 중복할당하고, 1단 및 2단의 다단입력에 의해서 서로 구분되어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묶인 두 개의 문자중 어느 하나는 제1방향입력(M)에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제2방향입력(P)에 할당될 수도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숫자, 기호, 각종 기능명령 또는 모드변경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중앙입력(C)에 의해서는 입력모드의 전환 또는 엔터, OK 등의 각종 기능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화모드 시에는 통화 / 종료 버튼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입력부(10)를 이용하여 입력장치인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마우스 입력모드에서는 입력부(10)의 제1방향입력(M)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이동이, 제2방향입력(P) 또는 중앙입력(C)과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마우스의 좌/우버튼 또는 스크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제2방향입력(P)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를 종단으로 양분하여 좌측 부위는 마우스 좌 버튼에, 우측 부위는 마우스 우 버튼에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10)를 'X'자 형으로 4분하여 좌측 부위는 마우스 좌 버튼에, 우측 부위는 마우스 우 버튼에, 상하 측 부위는 마우스 휠에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우스 좌버튼에 해당하는 방향의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채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면 마우스에서처럼 드래그나 끌어오기가 가능하다. 이와 관련된 신호처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우스에서의 신호처리방법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1방향입력(M)이 다단으로 수행되는 경우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마우스모드로의 변환은 별도의 모드전환키(121)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입력부(10)를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입력부(10)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킨다거나, 1단 또는 2단의 중앙입력(C)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1방향입력(M)을 2단으로 수행하면 입력모드가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입력(C)을 수행하면 다른 모드들로 이동할 수 있는 입력모드변경창이 표시되고,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을 통하여 각종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중앙입력(C)을 수행한 상태에서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을 통하여 각종 모드 예를 들어, 한글입력모드, 알파벳입력모드, 숫자입력모드, 기호입력모드, 마우스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중앙입력(C)을 수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문자표시부(72)나 자판표시부(74)에 각 방향지시위치에 본래 할당된 문자대신에 각각의 입력모드가 표시되는 것이다.
도 31 내지 도 33은 입력부(10)가 좌우 2벌로 마련되는 경우의 키보드 자판배열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1은,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각각 8개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지며, 2단입력으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중앙의 'N' 또는 'M'은 중앙입력(C)에 의해, 최외부의 2줄은 1,2단의 제1방향입력(M)에 의해, 가운데의 2줄은 1,2단의 제2방향입력(P)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문자는 각 입력부(10)의 제1방향입력(M) 1단과, 제2방향입력(P) 1단에 배열되어 있다.
도 31의 (a)는 기본 입력창을 나타낸 것으로, 문자 26개, 숫자 10개, F 키 12개, 기능키 10개, 방향키 4개, 전환키 2개, 총 64개의 데이터가 모두 배열되어 있다.
기호나 그 외 사용빈도가 낮은 키들은 좌측 자판표시부(74)의 중앙에 마련된 N 키를 선택하여 변환되는 다음(Next) 창에 배열될 수 있다(도 31의 (b) 참조).
또는, 방향키가 제2방향입력(P)에 배열되거나, F 키들이 다음 창에 배열되고 기호들이 기본 입력창에 배열될 수도 있다.
반면, 우측 자판표시부(74')의 중앙에 마련된 'M'키를 선택하면, 도 31의 (c)에 도시된 마우스 입력창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다음 창과 마우스 입력창은 중앙조합입력(CM, CP)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정의 입력창에서 중앙조합입력(CM, CP)을 수행한 뒤에 손가락을 떼면 바로 전의 입력창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서 전술한 중앙감지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입력방법에 의해 구분되는 각 문자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32 및 도 33의 α는 손가락이 중앙입력키(13)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때 입력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2 및 도 33의 β는 제2방향입력(P)만이 수행될 때 입력되는 문자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제2방향입력(P)에 할당된 입력용량이 2배로 증가하게 되므로, 입력부(10) 1개당 16개, 총 32개의 문자를 더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자판표시부(74)에 최대로 배열할 수 있는 데이터의 수는 2단의 제1방향입력(M)에 의해 16개, 2단의 제2방향 입력(P)에 의해 16개, 중앙입력키(13)와 제2방향입력(P)의 조합에 의해 16개, 2단의 중앙입력(C)에 의해 2개로 1개의 입력부(10)에서 50개의 데이터 배열이 가능하며, 2벌의 경우 총 100개의 데이터배열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음 창 없이도 현재 사용되는 키보드의 모든 자판를 하나의 창에 모두 배열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같은 소형기기에서의 자판표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2는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각각 8개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지며 1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이고, 도 33은 각각 4개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지며 2단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32의 외부 줄과 도 33의 외부 2줄은 제2방향입력(P)에 의해, 도 32의 내부 줄과 도 33의 내부 2줄은 제1방향입력(M)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32 및 도 33의 원호(β참조) 안의 자판은 입력부(10)에 손을 얹지 않고 각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때 입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특히, 도 32 및 도 33의 (a)에서 좌측은 마우스 입력창을, 우측은 기본 입력창을 나타내며, (b)는 알파벳 입력창을, (c)의 좌측은 숫자 입력창을 우측은 기본입력창을 나타낸다.
이에, 양 실시예의 경우, (a)의 우측 자판표시부(74')의 '알파벳'키를 선택하면, (b)에서와 같이 양쪽 모두가 변경된다.
이 때, (b)의 좌측에서 중앙의 화살표 표시를 선택하면 (a)의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며, 오른 쪽의 'B'키를 선택하면 기본 입력창으로 전환된다.
또는, (a)의 우측 자판표시부(74')의 '숫자'키를 선택하면, 오른 쪽 자판표시부(74)는 고정되며, 좌측의 자판표시부(74') 만이 마우스 입력창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문자, 숫자, F키, 기호 등을 모드 변경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배열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을 1단으로 구성하거나, 방향지시위치의 수를 4개로 줄여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의 전원을 켜면 초기에 일측에는 마우스 입력창이, 타측에는 기본 입력창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기본 입력창을 통하여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알파벳 입력창이나 숫자 입력창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좌측의 입력창은 어떤 모드에서도 마우스 입력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앙입력(C)을 통하여 모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측에서는 기본 입력창으로 복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입력창에 있어서도 중앙조합입력(CM, CP)을 통하여 소정 모드에서 어느 때라도 마우스기능을 수행하거나 우측 입력창에서 모드 변경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2 벌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베이스(110)에 2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19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베이스(110)에 좌우 2개의 입력부(10, 10')가 마련된 상태에서의 입력예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 경우, 2개의 입력부(10, 10')는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좌측의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및 중앙입력(C)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우측의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중앙입력(C)에 더하여 중앙조합입력(CM, CP)이나 방향조합입력(MP, PM)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방향지시위치의 수가 서로 다를 수도 있고, 어느 일측은 2단 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1는 입력부(10, 10')가 2벌로 마련되는 경우에 각 입력부(10, 10')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1의 (a)를 참조하면, 각 입력부(10, 10')는 2단의 제1방향입력(M)과 2단의 제2방향입력(P)으로 구성되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각각 8개씩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부(10, 1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중앙입력(C)을 제외하고, 제1방향입력(M)을 통하여 16개, 제2방향입력(P)을 통하여 16개 총 32 개이며, 입력부(10, 10')가 좌우 2개로 마련되므로 총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64개가 된다.
이는, 한글문자 24개, 알파벳 26자를 모두 배열하고도 남는 입력용량이므로, 1동작 1음소 입력이 가능하며, 남는 방향지시위치에는 기호, 숫자나 각종 기능명령 등이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별도의 모드변경 없이도 바로 입력할 수 있어 신속한 문자입력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2개의 입력부(10, 10') 각각의 2단의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문자를 입력하고, 제1방향입력(M)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기능명령, 모드변경, 방향지시입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방향지시입력을 통하여서는 커서이동이나 메뉴이동, 채널/볼륨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입력(M)은 1단입력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입력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숫자, 기호등이 더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대로, 2개의 입력부(10, 10') 각각의 2단의 제1방향입력(M)에 의해서는 문자를 입력하고,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기능명령, 모드변경, 방향지시입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2개의 입력부(10, 10')가 각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 방향지시위치(P1, P2,..)를 8개씩 갖는 경우에, 제1방향입력(M) 1단 및 제2방향입력(P) 1단에만 문자를 배열할 수도 있다.
또는,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입력부(10, 10')가 각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4개씩 갖는 경우에는 다단의 제1방향입력(M) 및 다단의 제2방향입력(P)에 문자를 배열할 수도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입력부(10)에 의해서는 문자를 입력하고, 다른 하나의 입력부(10')에 의해서는 전술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기능명령, 모드변경, 방향지시입력 등을 수행하거나, 숫자 또는 기호 등의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문자입력과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키보도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각종 작업은 물론 키보드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해야하는 복잡한 조작이 요구되는 게임등을 소형 단말기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중 하나 이상이 2단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숫자, 기호등을 더 배열하여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 1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각각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2벌의 입력부(10, 10') 중에서 하나만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2의 (a)의 경우, 제1방향입력(M)은 8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가지며, 제2방향입력(P)은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갖는다.
반대로 도 22의 (b)의 경우는 제1방향입력(M)이 4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가지며, 제2방향입력(P)이 8개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갖는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 있어, 하나의 입력부(1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총 12개이므로, 2개의 입력부(10, 10')를 통하여 총 24개의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를 2단입력으로 구성한다면 할당되는 문자의 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방향입력(M)은 8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가지며, 제2방향입력(P)은 6개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2의 (a)에서 제1방향입력(M)을 2단으로 구성하면 하나의 입력부(10)에 총 20개의 문자가 할당가능하며, 제2방향입력(P)을 2단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총 16개의 문자가 할당가능해 진다.
입력부(10)가 베이스(110)에 2 벌로 마련되는 경우, 각 입력부(10, 10') 및 입력동작에 할당되는 문자는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입력부(10, 10') 중 어느 일측에만 모음문자를 할당할 수도 있고, 또는, 각 입력부(10, 10')에서 수행되는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 력(P) 중 어느 하나에 모음문자가 분할되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2개의 입력부(1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기타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후에 자동으로 기준위치(S)로 복귀하는 리턴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턴기능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와 베이스(110) 사이에 탄성부재(21)를 마련함으로써 제1방향입력(M) 후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입력부(10)의 경우, 지지부(25)를 탄성부재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는, 제2방향입력(P)의 경우, 입력부(10)를 탄성재질로 마련할 수도 있다.
전술한 탄성부재(21)는 리턴기능 이외에도, 제1방향입력(M)이 다단으로 수행될 때 각 입력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이 2단으로 마련되는 경우, 탄성부재(21)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2개(도 23의 21a, 21b참조)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21)는 이종의 재질 또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탄성부재(21)의 탄성계수는 입력부(10)로부터 멀어질 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즉, k21a < k21b)됨으로써, 1단입력과 2단입력의 경계면에서 탄성계수의 차이에 따른 저항력이 느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계수의 차이에 따라 2단입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단입력시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1단입력과 2단입력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방식은 제2방향입력(P)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탄성부재(21a, 21b)의 사이에는 지지링(2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또는 중앙입력(C)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될 때, 클릭감을 주는 클릭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클릭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의 경우 입력부(10)의 이동경로 상에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입력부(10)가 통과할 때 클릭감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클릭수단은 각 입력동작 전체에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일부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또는 중앙입력(C)등이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2단입력시에만 클릭감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1단입력과 2단입력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위한 모드전환키(121) 또는 엔터,취소,커서 등의 기능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123) 중 하나 이상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모드전환키(121) 또는 기능키(123)는 터치감지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110)의 타측에는 제어부(51)에 의해 추출된 입력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른 입력내용 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자판표시부(74)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자판표시부(74)는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인접한 베이스(110)의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30)가 장착된 외부기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접속가능하게 마련되어, 제어부(51)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컴퓨터나 텔레비젼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 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로 채널변경이나 볼륨조절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TV의 경우에는 전술한 일반적인 리모컨 기능 이외에도 프로그램 검색 또는 저장을 위한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는, 제1방향입력(M)으로 숫자입력 또는 각종 모드변경을 수행하고, 제2방향입력(P)으로는 채널 또는 볼륨조절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 또는 입력부(10) 중 어느 하나에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대응하여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제1문자가 표시된 제1문자표시부(72a)와,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된 제2문자가 표시된 제2문자표시부(72b)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1문자표시부(72a) 및 제2문자표시부(72b)는 2 이상의 문자가 중복할당된 경우, 입력모드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문자표시부(72a)나 제2문자표시부(72b)를 LCD창 등으로 마련함으로써, 한글문자입력시에는 한글문자만이 표시되고, 영어문자 입력시에는 영어문자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S)에 마련되어 입력부(10)가 기준위치(S)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는 기준위치감지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위치감지부(66)는 입력부(10)가 기준위치(S)에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 는 것으로, 기준위치감지부(66)의 감지신호는 문자등의 입력을 위한 리셋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입력반경(111)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입력모드에 따라 스크롤, 볼륨조절 또는 검색기능을 수행하는 회전휠(76)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회전휠(76) 대신에 스크롤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원형띠 형상의 감지수단 또는 입력부(10) 주변에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감지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6 내지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를 베이스(110)에 대하여 착탈 또는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하는 경우, 입력부(10)를 다양한 재질의 끈과 같은 연결부재(8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시에만 입력부(10)를 터치스크린(130') 등에 얹고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130')에는 기준위치감지부(66)가 마련되어 있어서, 입력부(10) 또는 지지부(25)의 접촉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상을 갖는 본체(81)와, 본체(81)에 마련되며 입력부(10)가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수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82)와, 본체(81)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베이스(110)에 마련된 슬라이드홈(85)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이동지지부(83)를 포함하는 연결부재(8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80)가 베이스(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입력부(10)가 입력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플립타입의 본체(81)에 수용됨으로써 덮개부(86)에 의해 회동되면서 입력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각 경우에 있어서, 입력부(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61) 및 제2감지부(63)는 터치스크린(130')에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2감지부(63)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상태에서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 복귀할 필요없이 그 자리에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130')에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표시되는 제1자판표시부(74a) 및 제2자판표시부(74b)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자판표시부(74b)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이동시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에서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중앙입력시의 각 입력동작을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입력부의 반경방향 이동 및 원주방향 이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부분단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및 가이드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중앙조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방향조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입력부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방향회전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지지부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각 입력동작에 할당된 각국 문자 배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표,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요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입력부가 좌우 2벌로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입력부가 2벌로 마련될 때의 각 입력동작의 다양한 조합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3은 본 발명의 입력부 및 탄성부재를 도시한 요부도,
도 24는 본 발명의 입력부 주위에 회전휠이 마련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입력부를 통한 문자입력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와 베이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작동도,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판표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자입력장치 10, 10' : 입력부
11 : 누름부 13 : 중앙입력키
15 : 측면누름부 21 : 탄성부재
22 : 지지링 23 : 전도성부재
24 : 메탈돔 25 : 지지부
27a, 27b, 27c, 27d, 27e, 27f : 접촉부
40 : 가이드부 51 : 제어부
52a, 52b, 52c : 돌기부 53 : 돌출부
54 : 미끄럼방지부 55 : 메모리부
56 : 조작봉 57 : 결합부
58 : 리턴부재 61 : 제1감지부
63 : 제2감지부 64 : 접지단자
65 : 제3감지부 66 : 기준위치감지부
67 : 터치감지부 68 : 회전감지부
72 : 문자표시부 74 : 자판표시부
76 : 회전휠 77 : 회전돌기
80 : 연결부재 81 : 본체
82 : 수용부 83 : 이동지지부
85 : 슬라이드홈 86 : 덮개부
100 :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베이스 111 : 입력반경
113 : PCB 기판 121 : 모드전환키
123 : 기능키

Claims (14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의 선택 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며 수행되는 중앙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0.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제2감지부 및 중앙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압력 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1.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여지거나 또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2.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 및 지지부가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임이동되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3.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입력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본래 할당된 문자와는 다른 새로운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4. 제77항 있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또는 제2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에만 모음문자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5. 제77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입력반경 내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도 이동되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 이동입력 시 복수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최종 감지되는 신호만을 입력명령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7. 삭제
  88. 삭제
  89.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베이스에 사이에는, 각각 서로 다른 탄성계수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각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탄성계수가 점차 증가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이 탄성계수의 차이에 따라 각 단계별로 구분되어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0.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1. 삭제
  92.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입력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른 입력내용이 표시되는 문자표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4.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자체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5.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베이스에 2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6. 제78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각 입력부의 상단 또는 상기 각 누름부나, 상기 중앙입력키 중 하나 이상에는 손가락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7. 제78항 내지 제80항 또는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소정시간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결과를 무시하여 상기 터치입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8. 제78항 내지 제80항 또는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터치감지부로의 손가락의 터치에 의한 중앙 터치 감지신호와 상기 제2방향입력의 수행에 따른 상기 제2감지부의 감지신호가 함께 수신되는 경우와, 상기 제2감지부의 감지신호만이 수신되는 경우를 구별하여 서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9.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입력부 중 어느 하나는 문자, 숫자, F키, 펑션 중 하나 이상의 입력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는 마우스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0. 삭제
  101.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1감지부, 제2감지부 및 중앙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압력 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2.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기기에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3.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을 수행한 후에 자동으로 상기 기준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4.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다른 하나가 수행될 때 상기 입력동작에 할당된 제3문자가 입력되는 방향조합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합입력은 조합되는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의 순서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6. 제77항에 있어서,
    입력부의 상단에 일단이 삽입되는 조작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단에는 상기 조작봉이 삽입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7.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는 상기 입력반경내에 마련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반경 위에 올려져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8.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반경 위에 접촉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이 입력반경 위에 상기 입력부 또는 지지부의 접촉을 인식하면 입력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9.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는 입력부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 1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상기 제 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0.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상기 베이스에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1.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띠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입력부가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2.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입력부가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됨으로써 상기 입력부가 상기 입력반경에 얹혀지게 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3.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입력부의 외부에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제1자판표시부 또는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제2자판표시부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4.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판표시부는 상기 제1방향입력시 상기 입력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5. 제77항 또는 제95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일측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른 입력내용이 표시되는 문자표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6.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 2방향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압력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7. 제77항 또는 제78항 또는 9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으로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 1 문자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 2 문자를 함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8.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4개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2단 이상으로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9.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8개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8개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20.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개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하고,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들 주변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2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22.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누름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23.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지지부와 같이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24.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지지부와 같이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상기 입력부가 기울임 이동되며 수행되고,
    상기 입력부와 베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25.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은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입력부 및 지지부가 기울어지는 기울임이동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되며,
    상기 베이스와 입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26.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과 제2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 버튼 또는 스크롤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27. 제126항에 있어서,
    드래그(drag)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채 제1방향입력이 수행되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28. 제126항에 있어서,
    입력부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입력부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부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 버튼 또는 스크롤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29. 제126항에 있어서,
    입력부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각 입력부는 제2방향입력이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각 입력부의 제2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문자를 입력하고, 각 입력부의 제1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 이동, 방향지시, 기능명령 또는 모드변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30.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압력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31.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베이스에 2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32.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33. 제129항에 있어서,
    하나의 입력부는 키보드 자판의 문자, 숫자 또는 F키에 해당하는 데이터입력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부는 마우스로 동작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34. 삭제
  135.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어,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는 입력부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와;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의 선택 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며 수행되는 중앙입력이 마련되어, 상기 중앙입력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수행되는 중앙조합입력에 의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본래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36.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과,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다른 하나가 수행되는 방향조합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 또는 상기 방향조합입력에 할당된 제3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37.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입력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38.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39.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기기에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40.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수행시 상기 입력부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41.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는 상기 입력반경내에 마련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42.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반경 위에 올려져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43.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반경 위에 접촉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이 입력반경 위에 상기 입력부 또는 지지부의 접촉을 인식하면 입력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144.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는 입력부 또는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1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KR1020070075344A 2006-07-26 2007-07-26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835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073 2006-07-26
KR20060070073 2006-07-26
KR1020060084586 2006-09-04
KR20060084586 2006-09-04
KR20060120368 2006-12-01
KR1020060120368 2006-12-01
WOPCT/KR2007/002285 2007-05-09
KR2007002285 2007-05-09
KR1020070045255A KR20080010266A (ko) 2006-07-26 2007-05-09 문자입력장치
KR1020070045255 2007-05-09
KR20070046306 2007-05-14
KR1020070046306 2007-05-14
KR20070056993 2007-06-12
KR1020070056993 2007-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365A KR20080010365A (ko) 2008-01-30
KR100835337B1 true KR100835337B1 (ko) 2008-06-04

Family

ID=3922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344A KR100835337B1 (ko) 2006-07-26 2007-07-26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1718A1 (en) * 2008-03-06 2011-01-06 Oh Eui-Jin Data input device
KR101004653B1 (ko) * 2008-04-28 2011-01-04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KR20100014163A (ko) * 2008-07-31 2010-02-10 오의진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101694281B1 (ko) * 2011-09-29 2017-01-23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다방향 입력장치
KR101694280B1 (ko) * 2011-09-29 2017-01-23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다방향 입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584A (ko) * 2001-07-23 2003-02-05 김승환 개인용 컴퓨터와 호환성을 갖는 휴대형 문자입력 장치
KR20040068514A (ko) * 2004-06-18 2004-07-31 박노수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70050306A (ko) * 2005-11-10 2007-05-15 오의진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584A (ko) * 2001-07-23 2003-02-05 김승환 개인용 컴퓨터와 호환성을 갖는 휴대형 문자입력 장치
KR20040068514A (ko) * 2004-06-18 2004-07-31 박노수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70050306A (ko) * 2005-11-10 2007-05-15 오의진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365A (ko)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7775B2 (ja) 文字入力装置
US8525779B2 (en) Character input device
JP4909355B2 (ja) 文字入力装置
KR20080010266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073997A (ko) 데이터입력장치
JP2010507861A (ja) 入力装置
JP5124574B2 (ja) 文字入力装置
KR100835337B1 (ko)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50352A (ko) 문자입력장치
JP2010518529A (ja) 文字入力装置
US20100026625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068857A (ko)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RU24503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символ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20080070110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9768A (ko) 데이터입력장치
WO2008140228A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037651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5675A (ko)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626

Effective date: 200911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