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359B1 -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359B1
KR100833359B1 KR1020060005584A KR20060005584A KR100833359B1 KR 100833359 B1 KR100833359 B1 KR 100833359B1 KR 1020060005584 A KR1020060005584 A KR 1020060005584A KR 20060005584 A KR20060005584 A KR 20060005584A KR 100833359 B1 KR100833359 B1 KR 10083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nozzle
vacuum cleaner
operation hand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341A (ko
Inventor
서종현
박대환
황필재
양병선
김성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3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작업이 일시 중단되는 경우에는 스팀 발생이 중지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가 구비되는 노즐(100)과; 상기 노즐(1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동작핸들(80)과; 상기 동작핸들(80)에 구비되어, 청소작업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수단(24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작업이 보다 간편해지고 고온의 스팀으로 인한 피해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청소기, 스팀, 진공, 겸용, 작업, 핸들

Description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스팀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부분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동작핸들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동작핸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본체 60. 연장관
70. 연결호스 80. 동작핸들
100. 노즐 110. 베이스팬
112. 흡입구 114. 이동바퀴
116. 연결관 118. 완충부재
120. 스팀발생장치 130. 스팀케이스
132. 스팀베이스 134. 스팀커버
136. 스팀발생부 138. 물저장부
140. 히터 142. 히터지지대
144. 스팀가이드 146. 흡수필터
150. 물투입구 152. 투입구밸브
160. 흡입유로관 170. 판수용부
172. 스팀안내부재 174. 스팀분출공
180. 걸레판 182. 걸레부착부
184. 노출구 190. 걸레
200. 외부케이스 210. 중앙커버
212. 디스플레이부 220. 핸들본체
222. 손잡이부 230. 핸들커버
232. 외부버튼 234. 버튼조립체
240. 안전수단 242. 유동부재
244. 안전스위치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작업이 일시 중단되는 경우에는 스팀의 발생이 중지되도록 구성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인간의 노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흡인력을 이용한 진공청소기와 물을 분사하여 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물청소기는 물론 최근에는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팀청소기 등 다양한 종류가 등장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본체(1)는, 흡입수단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본체(5)와, 상기 하부본체(5)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가 내장되는 상부본체(6)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상부본체(6)의 상면에는 이동핸들(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동핸들(6')은 청소기의 이동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본체(6)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본체(6)의 우측부에는 코드릴어셈블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코드릴어셈블리는 아래에서 설명할 파워코드(9)를 감아서 보 관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본체(1)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본체의 양측면에 바퀴(8)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8)에는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공기가 본체(1)에서 토출되는 토출부(8a)가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와 흡입노즐(2)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b)와, 상기 흡입호스(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4)와, 상기 조작부(4)와 흡입노즐(2)을 연결하는 연장관(3a)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전장부(미도시)와 연결된 파워코드(9)를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4)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연결부(3c)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호스(3b) 및 연장관(3a)을 거쳐 흡입노즐(2)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은 집진유니트(10)에 의하여 분리되며,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는 토출부(8a)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에 의해 청소가 수행된다.
그리고, 도 2에는 일반적인 스팀청소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스팀청소기는 몸통부재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가열하여 뜨거운 스팀을 발생시킨 후 저면에 부착된 헝겊부재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운행할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되어지는 바, 상기 본체부와 손잡이는 연결구 또는 지지구에 의해 연결되어 손잡이의 운행각도에 따라 본체부를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팀청소기(20)는 스팀발생기능이 부가된 본체부(30)와,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부(30)를 수동으로 움직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틱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30)는 크게 상부케이스(30')와 스팀패드(3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30')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상부케이스(30')의 상면 후단 중앙부에 상기 스틱부(40)의 하단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30)와 스틱부(40) 사이에는 연결구(32)가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틱부(40)를 본체부(30)에 거치한 후 상기 연결구(32)의 움직임에 따라 스팀청소기(20)의 본체부(30)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30)의 상부케이스(30') 내부에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수장하는 물통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고, 상기 상부케이스(30')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부재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함께 형성된 스팀분사 공급로인 스팀발생구(도시되지 않음)로 스팀을 분사시키는 스팀패드(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상면에는 상기 물통부재에 물을 투입하는 물주입구(34)가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구(34)의 상면에는 캡부재(34')가 설치되어 물주입구(34)를 차폐한다.
상기 스팀패드(30")는 상기 본체부(30)의 저면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상기 스팀패드(30") 하면에는 헝겊부재(36)가 씌워진다. 따라서,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과 상기 헝겊부재(36)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바닥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구(32)의 상측으로는 스틱부(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틱부(40)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42)가 형성되고, 이러한 손잡이(42)의 선단부에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하거나 강도를 조절하는 작동버턴(44)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3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팀발생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스팀이 본체부(30)의 하부로 분사되고, 이러한 스팀은 상기 헝겊부재(36)에 골고루 분사됨과 동시에 항상 고온의 스팀으로 유지되므로 청소를 깨끗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와 같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본체(1) 내부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을 통한 공기압력의 차이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카펫이나 가구 또는 바닥에 뭍은 각종 먼지와 오물을 단시간 내에 흡입하여 이를 소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카펫이나 가구를 사용하는 서양의 주거 문화에 적합하도록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용도로만 고안되어 사용하는 것이어서, 가구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에 직접 신체를 접촉시켜 생활하는 우리 나라의 온돌 좌식 주거문화에는 적합하지 않아 이중으로 청소를 시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우리의 전통양식에서는 통상적으로 가구나 카펫을 깔지 않고 장판 또는 온돌을 깔게 되므로, 바닥을 청소할 때 먼지를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바닥면을 물 청소하여 최종적으로 청소를 마무리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1차적으로 캐니스터형과 같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눈에 보이는 쓰레기나 각종 오물을 제거하고, 2차적으로 수분이 함유된 걸레나 상기에서 예시한 스팀청소기로 바닥면을 닦아내어 청소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청소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청소기를 종류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팀청소기(20)에는 스팀발생을 중단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청소작업을 계속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스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를 수행하고 있는 않는 경우에는 방바닥이 스팀의 열기로 인해 손상을 입거나,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 및 스팀청소를 동시에 수행 가능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청소작업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스팀의 발생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동작핸들과; 상기 동작핸들에 구비되어, 청소작업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작업이 보다 간편해지고 고온의 스팀으로 인한 피해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50)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과 연결되어 공기와 이물을 안내하는 신축성 재질의 연결호스(70)와,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노즐(100)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노즐(100)과 본체(50)는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노즐(100)과 본체(50) 사이에는 상기 연장관(60)과 연결호스(70) 등이 구비되어 공기와 이물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연장관(60)의 일단(선단)은 상기 노즐(100)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50)의 선단부에는 상기 연결호스(70)의 일단(후단)이 결합된다.
상기 연장관(60)의 다른 일단(후단)에는 동작핸들(80)이 구비된다. 상기 동작핸들(80)은 사용자가 청소작업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동작핸들(8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82)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82)를 조작하여 청소기의 동작여부와 청소기의 강약 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팀발생장치(120)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5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공기 중의 이물이 필터링되어 쌓이는 집진유니트(52) 등의 다수 부품이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흡인력이 발생하면, 상기 노즐(100)을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어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 등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50)로 유입되며, 상기 본체(50)로 유입된 이물은 상기 집진유니트(52) 내부에 구비된 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걸러져 집진유니트(52) 내부에 쌓이게 된다.
도 4 내지 도 9에는 상기 노즐(10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와 도 5에는 상기 노즐(100)의 외관사시도 및 부분 절개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노즐(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과 도 8에는 노즐(100)의 측단면 및 정단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노즐(100) 의 저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노즐(100)은 바닥면의 이물이 공기와 함께 상기 본체(50)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110)과,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2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은 사각형상을 가지며, 선단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상기 베이스팬(110) 하측의 공기와 이물이 베이스팬(11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후단에는 이동바퀴(114)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114)는 상기 노즐(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로 한 쌍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10)의 선단 좌우에는 한 쌍의 보조바퀴(114')가 설치되어 노즐(100)의 이동을 돕는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중앙부 후단에는 연결관(116)이 후방으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116)은 상기 연장관(60)과 상기 노즐(100)이 결합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16)의 선단은 상기 노즐(100)의 후단과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연장관(60)의 선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16)은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노즐(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을 상기 연장관(60)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10) 테두리에는 완충부재(118)가 부착 설치된다. 보 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팬(110)의 전면과 좌우 측면에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118)가 부착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18)는 상기 노즐(100)이 벽면 등과 같은 외부 물체와 충돌할 경우에 노즐(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노즐(100)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가 구비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케이스(130)에 의해 대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케이스(130)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스팀베이스(132)와, 상기 스팀베이스(132)의 상측에 결합되는 스팀커버(13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의 공간에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형성하는 스팀발생부(136)와, 상기 스팀발생부(136)로 물을 공급하는 물저장부(138)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의 공간은 좌우로 구획되어 상대적으로 좌측에는 스팀발생부(136)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물저장부(138)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팀발생부(136)는 상기 노즐(100)의 좌측단 부근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물저장부(138)는 상기 노즐(1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스팀발생부(136)와 물저장부(138)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부(136)는 전후 길이가 상기 물저장부(138)의 길이보 다 크며, 좌우 길이는 상기 물저장부(138)의 길이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높이는 상기 물저장부(138)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에는 수증기(水蒸氣)가 형성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140)도 수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스팀발생부(136)에는 히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1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물을 증기로 변환시킨다. 상기 히터(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후단부에는 히터지지대(142)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지지대(142)는 상기 스팀베이스(13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히터(140)의 양단을 고정 지지한다.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중앙 부근에는 스팀가이드(144)가 형성된다. 상기 스팀가이드(144)는 상기 스팀베이스(132)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중공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수증기(水蒸氣)가 이동된다. 즉, 상기 스팀발생부(136)에서 형성된 수증기(水蒸氣)가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상기 스팀베이스(132)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팀가이드(144) 상의 수증기가 상기 베이스팬(110)을 통과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팬(110)에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스팀 배출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 가이드(144) 및 상기 스팀 배출공은 상기 수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팀 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바닥에는 흡수필터(146)가 구비된다. 상기 흡수필터(146)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바닥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터(140)의 하측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수필터(146)의 하면은 상기 스팀베이스(132)에 접하고, 상면은 상기 히터(140)에 접한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필터(146)는 물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수필터(146)는 마치 스펀지(sponge)와 같이 물기를 머금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터(140)와 접한 상태에서도 연소되지 않는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석면(石綿)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팀발생부(136)는 물론 상기 물저장부(138)의 물이 상기 흡수필터(146) 내부로 흡수된다. 즉, 상기 물저장부(138)의 물도 상기 스팀발생부(136)로 이동하여 흡수필터(146)에 스며든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필터(146)에 흡수된 수분은 상기 히터(140)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함으로써 수증기(水蒸氣)로 변환된다.
상기 스팀커버(134)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커버(134)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상측을 덮는 스팀부커버(134')와, 상기 물저장부(138)의 상측을 덮는 저장부커버(134")로 나누어지는데, 좌측의 상기 스팀부커버(134')와 우측의 저장부커버(134")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스팀부커버(134')의 높이가 저장부커버(134")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상기 스팀커버(134)에는 물투입구(1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팀커버(134)의 우측단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투입구(1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물투입구(150)는 상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투입구(150)의 내측에는 나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투입구(150)는 투입구밸브(15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나사면이 형성된 원형의 투입구밸브(152)가 상기 물투입구(150)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물투입구(150)가 차폐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물저장부(138) 상측에는 흡입유로관(1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스팀커버(134)의 저장부커버(134") 상측에는 흡입유로관(16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흡입유로관(16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상기 노즐(100)의 후방으로 안내한다.
상기 흡입유로관(160)은 상기 노즐(100)의 중앙부를 전후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선단은 상기 흡입구(112)와 결합된다. 즉, 상기 흡입유로관(160)의 선단은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흡입구(112)의 상단과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부에는 사각형상의 판수용부(170)가 상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아래에서 설명한 걸레판(180)이 수용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판수용부(170)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레판(180)이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수용부(170)의 중앙부에는 스팀안내부재(172)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측으로 이동한 수증기(水蒸氣)가 좌우로 분산되어 퍼지도록 안내한다.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하면에는 다수의 스팀분출공(17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에 의해 안내되는 수증기(水蒸氣)가 상기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사각평판 형상의 걸레판(180)이 장착된다. 상기 걸레판(180)은 걸레(190)가 부착되는 판으로, 저면에는 걸레(190)를 부착하기 위한 걸레부착부(182)가 형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판(180)의 저면의 전반부와 후반부에는 좌우로 길게 걸레부착부(18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레부착부(182)는 일명 벨크로(velcro) 또는 '찍찍이'라고도 불리는 매직 테이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레부착부(182)와 대응되는 벨크로(velcro)가 상면에 형성된 걸레(190)가 상기 걸레판(180)의 저면에 부착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레판(180)의 내부에는 좌우로 길게 영구자석이 설치된다. 이러한 영구자석은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판수용부(170)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판수용부(17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레판(180)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므로, 상기 걸레판(180)을 상기 판수용부(170) 근처로 가져가면 상기 걸레판(180)이 저절로 상기 판수용부(170)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걸레판(180)의 중앙부에는 노출구(184)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걸레판(180)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좌우길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노출구(184)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출구(184)를 통해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저면이 상기 걸레판(180) 하부로 노출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상기 노즐(100)의 전후는 물론 좌우와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110)과 결합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우측단 부근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가 안착되는 밸브안착부(202)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안착부(202)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의 하단부가 관통하는 밸브관통공(2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중앙부에는 전후로 가로질러 중앙커버(21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커버(210)에는 디스플레이부(21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전원의 공급 여부와 물부족(물 보충) 여부를 표시한다.
도 10과 도 11에는 상기 동작핸들(8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0에는 상기 동작핸들(8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상기 동작핸들(8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핸들(80)은, 기본 골격을 이루는 핸들몸체(220)와, 상기 핸들몸체(2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핸들커버(2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몸체(220)에는 상기 연장관(60)과 연결호스(70)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몸체(220)의 선단부에는 상기 연장관(60)이 결합되는 연장관연결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몸체(2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연결호스(70)가 체결되는 호스연결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몸체(22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2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22)는 상기 핸들몸체(2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형성되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 람직하다.
상기 핸들커버(230)는 상기 핸들몸체(22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특히 상기 손잡이부(22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핸들커버(230)의 상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조작부(82)가 구비되며, 이러한 조작부(8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버튼(234')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외부버튼(232)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커버(230)의 하측에는 버튼조립체(234)가 설치된다. 상기 버튼조립체(234)에는 다수의 조작버튼(234')이 구비된다. 즉, 진공청소기의 작동과 세기 등을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버튼(234')이 상기 버튼조립체(234)에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조작버튼(234')은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외부버튼(232)과 연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동작핸들(80)에는 안전수단(24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동작핸들(80)의 손잡이부(222)에는 청소작업이 중단되는 경우에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수단(240)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동작핸들(80)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가 사용 도중 청소작업이 일시 중단되는 경우에 스팀의 발생을 억제하는 안전수단(2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안전수단(240)은 사용자가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안전수단(240)은 사용자가 상기 동작핸들(80)의 파지를 해제한 후, 일정 유예시간이 경과 된 후에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수단(240)은 사용자가 상기 동작핸들(80)의 파지를 해제한 후, 약 5초 내지 15초 사이의 임의의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수단(240)은, 상기 동작핸들(80)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부재(242)와, 상기 유동부재(242)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전스위치(244)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부재(242)의 선단이 상기 안전스위치(244)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하게 되면, 상기 유동부재(242)의 선단이 상기 안전스위치(244)와 간섭되어 안전스위치(244)를 상방으로 밀게 된다.
상기 유동부재(242)는, 사용자의 손과 접하는 파지부(242a)와, 상기 파지부(242a)의 일단에 형성되며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부(242b)와, 상기 파지부(242a)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안전스위치(244)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접촉부(242c)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파지부(24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파지부(242a)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242b)는 상기 파지부(242a)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부분 연장 형성되며, 후단에는 회동 주임이 되는 힌지축(242b')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242c)는 상기 파지부(242a)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안전스위치(244)의 안전버튼(244a)과 접촉한다.
상기 파지부(242a)의 상면에는 가이드부(246)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 (246)는 상기 유동부재(242)의 유동(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지부(242a)와 일체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가이드부(246)가 상기 손잡이부(222)의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공(222')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안전스위치(244)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직접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로, 2극 스위치인 택(Tac)스위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스위치(244)의 하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부재(242)의 접촉부(242c)와 접하는 안전버튼(244a)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안전버튼(244a)은 상하로 일정부분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손잡이부(222)에는 상기 안전수단(24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기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동부재(242)의 접촉부(242c)와 상기 안전스위치(244)의 안전버튼(244a)이 서로 이격된 경우에도 일정 유예시간 동안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도록 된다.
또한, 이러한 제어기판은 상기 안전수단(240)에 의한 전원의 차단이 청소기의 초기 작동시에는 그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기도 한다. 즉, 사용자가 처음 상기와 같은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초기 기동시로부터 일정 설정시간이 경과 한 후 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 내부의 물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된 경우 에 상기 안전수단(24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기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를 회전시켜 상기 물투입구(150)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물투입구(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물저장부(138)에 적당량의 물이 수용되면, 다시 상기 투입구밸브(152)를 이용하여 상기 물투입구(150)를 차폐한다.
다음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시키면, 이러한 전원은 상기 본체(50) 및 상기 노즐(100)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00)의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의 이물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상기 흡입유로관(160)을 통과하여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를 거쳐 상기 본체(5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5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집진유니트(52) 내부에 구비된 필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걸러져 집진되고,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장치(120)가 작동한다. 즉 외부의 전원이 상기 히터(140)로 공급되어 히터(140)가 가열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물투입구(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물저장부(138)에 물이 공급된 상태이며, 상기 흡수필터(146)에는 이러한 물이 충분히 흡수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히터(140)가 가열되면, 이러한 히터(140)와 접하고 있는 상기 흡수필터(146)에 흡수되어 있는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히터(140)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는 물은 상기 스팀케이스(130) 내부에 저장된 전체의 물이 아니라, 상기 흡수필터(146)에 흡수된 상기 히터(140)의 주변에 있는 물이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터(140)의 저면은 상기 흡수필터(146)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히터(140)가 가열되면 상기 히터(140) 주변에 위치한 물, 즉 상기 흡수필터(146)에 함유된 물이 우선적으로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로 전환된다. 따라서, 빠른 시간(실험에 의하면, 약 10~20초 이내)내에 물이 증발되어 스팀화된다.
상기 히터(140)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水蒸氣)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팀안내부재(17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스팀안내부재(172)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팀안내부재(172) 내부의 수증기(水蒸氣)는 좌우로 분산되어 상기 다수의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수증기(水蒸氣)는 상기 걸레(19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걸레(190)는 고온의 수증기(水蒸氣)를 함유하여 물걸레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면을 닦게 되면,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이 상기 걸레(190)에 의해 쉽게 분리되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를 통해서는 수증기(水蒸氣)의 형성 여부가 표시된다. 즉, 상기 히터(140)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가 형성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 이러한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는 물부족 여부도 표시된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물저장부(138)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센서의 측정에 의해 물부족이 감지되면, 이러한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를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 표시된 각종 정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청소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에 의해 발생되는 스팀의 발생이 중단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부재(242)의 접촉부(242c)가 상기 안전스위치(244)의 안전버튼(244a)을 상방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
반면, 사용자가 청소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상기 동작핸들(80)의 파지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유동부재(242)가 자체의 하중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복귀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접촉부(242c)는 상기 안전스위치(244)의 안전버튼(244a)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물론,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제어기판(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유동부재(242)의 접촉부(242c)와 상기 안전스위치(244)의 안전버튼(244a)이 서로 떨어져 이격된 경우에도 일정 유예시간(5초 내지 15초 정도) 동안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계속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정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판의 제어에 의해 상기와 같은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가 사용을 위해 처음 작동되는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 동안 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물 온도가 설정된 온도가 되기까지는 상기 안전수단(240)에 의해 전원의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서는, 노즐을 통해 이물을 흡입하는 동시에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을 걸레로 닦아낸다. 따라서, 한 번의 동작에 의해 진공청소 및 물걸레 청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서는, 사용자가 동작핸들을 파지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안전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경우에는 스팀 발생이 차단되므로, 고온의 스팀으로 인한 피해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청소작업을 중단하는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스팀이 발생하여 방바닥이 스팀의 열기로 인해 손상을 입거나,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되는 것이다.

Claims (9)

  1.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가 구비되는 노즐(100)과;
    상기 노즐(1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동작핸들(80)과;
    상기 동작핸들(80)에 구비되어, 청소작업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수단(2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240)은,
    상기 동작핸들(80)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부재(242)와,
    상기 유동부재(242)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동부재(242)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안전스위치(2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242)는,
    사용자의 손과 접하는 파지부(242a)와;
    상기 파지부(242a)의 일단에 형성되며,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부(242b)와;
    상기 파지부(242a)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안전스위치(244)와 선택적 으로 접하는 접촉부(242c);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42a)의 일면에는,
    상기 유동부재(242)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6)가 일체로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244)는 2극 스위치인 택(Tac)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240)은,
    사용자가 상기 동작핸들(80)의 파지를 해제한 후, 일정 유예시간이 경과 된 후에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유예시간은,
    5초 내지 15초 사이의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8. 스팀이 유동되는 스팀 유로가 형성되는 노즐(100)과;
    상기 스팀 유로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와,
    상기 노즐(1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동작핸들(80)과;
    상기 동작핸들(80)에 구비되어, 청소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수단(240)이 포함되며,
    상기 안전수단(240)은 청소 중에 사용자에 의해서 가압되고, 청소 중단시, 가압이 해제되는 스팀 겸용 진공 청소기.
  9. 스팀이 유동되는 스팀 유로가 형성되는 노즐(100)과;
    상기 스팀 유로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와,
    상기 노즐(1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동작핸들(80)과;
    상기 동작핸들(80)에 구비되어, 적어도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조작부(82)와,
    상기 동작핸들(80)에 구비되어, 청소 중단을 감지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 수단(240)이 포함되는 스팀 겸용 진공 청소기.
KR1020060005584A 2006-01-18 2006-01-18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100833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584A KR100833359B1 (ko) 2006-01-18 2006-01-18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584A KR100833359B1 (ko) 2006-01-18 2006-01-18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341A KR20070076341A (ko) 2007-07-24
KR100833359B1 true KR100833359B1 (ko) 2008-05-28

Family

ID=3850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584A KR100833359B1 (ko) 2006-01-18 2006-01-18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338B1 (ko) * 2011-06-28 2013-08-14 주식회사 리홈쿠첸 스팀 청소기의 전원차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5000A (ja) * 2005-09-30 2007-04-12 Toppan Printing Co Ltd 宝くじ照合管理装置及び宝くじ照合管理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2008002002A (ja) * 2006-06-21 2008-01-10 Sumitomo Chemical Co Ltd 繊維およびネット
JP2008003007A (ja) * 2006-06-23 2008-01-10 Fujitsu Ltd 個体認識方法及び装置、個体認識範囲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05007A (ja) * 2006-06-20 2008-01-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5000A (ja) * 2005-09-30 2007-04-12 Toppan Printing Co Ltd 宝くじ照合管理装置及び宝くじ照合管理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2008005007A (ja) * 2006-06-20 2008-01-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002002A (ja) * 2006-06-21 2008-01-10 Sumitomo Chemical Co Ltd 繊維およびネット
JP2008003007A (ja) * 2006-06-23 2008-01-10 Fujitsu Ltd 個体認識方法及び装置、個体認識範囲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5-000779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2714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7047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5-007253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341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371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tray
EP3162262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4433451A (en) Device for cleaning surfaces
KR101248679B1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20070077007A (ko) 청소기의 걸레판
KR100697080B1 (ko) 습,건식 겸용 업라이트 청소기
KR100833359B1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20070058802A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101199659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21844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청소기
KR200410157Y1 (ko) 스팀겸용 물흡입 청소기의 흡입유닛
AU2007309899B2 (en) Attachment apparatus for rag of vacuum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5335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KR200331795Y1 (ko) 스팀청소기
KR20070060674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KR101250081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070058801A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101222723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0331794Y1 (ko) 투웨이 방식의 청소기
KR101269274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070076727A (ko) 진공청소기의 노즐
CN101108085A (zh) 蒸汽兼用真空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