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532B1 -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532B1
KR100829532B1 KR1020070012340A KR20070012340A KR100829532B1 KR 100829532 B1 KR100829532 B1 KR 100829532B1 KR 1020070012340 A KR1020070012340 A KR 1020070012340A KR 20070012340 A KR20070012340 A KR 20070012340A KR 100829532 B1 KR100829532 B1 KR 10082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ectric fusion
connection portion
connec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937A (ko
Inventor
박인탁
Original Assignee
박인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탁 filed Critical 박인탁
Publication of KR2008003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배관, 특히 이중 보온관 및 이와 유사한 배관의 접속시 전기융착부재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배관의 접속부위를 완전히 밀폐접속시켜 접속불량으로 인한 누수 및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관, 상기 내관을 둘러싸는 외관을 포함하는 다중배관과 상기 다중배관을 접속하는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및 외관과 접촉되며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전기융착부재; 및 상기 전기융착부재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접속시키는 전기공급부재; 및 상기 전기융착부재가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고정되게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중 보온관, 지지부재, 전기융착부재, 체결부재, 전기공급부재, 다중배관

Description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Structure for joining multi-pipe using electric fus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by}
도1은 일반적인 이중 보온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에서 전기공급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에서 보조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에서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스페이서와 서포터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지지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전기융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에서 클램프가 보조밴드에 체결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다중배관 110: 내관
130: 외관 200: 연결부위
300: 지지부재 310: 스페이서
320: 서포터 400: 전기융착부재
410: 전기융착시트 420: 단자부
430: 열선부 500: 전기공급부재
610: 보조밴드 620: 클램프
본 발명은 다중배관, 특히 이중 보온관 및 이와 유사한 배관의 접속시 전기융착을 이용하여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접속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용도의 다양한 유체(액체 또는 가스)가 공급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다양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배관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중 보온관(pre-insulated pipe)은 지역 냉난방배관, 온천수 이송관, 초저온 냉매 배관, 스팀배관, 또는 소방배관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이중 보온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 보온관(10)은 내관(carrier pipe)(20), 보온재(30), 및 외관(jacket)(4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지역 냉난방배관 등을 위한 배관공사나 보수공사 현장에서 표준화 또는 규격화된 개개의 배관(즉, 이중 보온관(10))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중 보온관의 종래의 접속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대별된다.
하나는 금속 케이스인 슬리브를 이용한 기계적 접속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열수축재 등을 이용한 용접방법이다. 상기 금속 케이스를 이용한 접속방법은 금속 재의 슬리브와 조인트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이중 보온관을 기구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구조적으로 부식에 약할 뿐 아니라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 취약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배관의 연결부위를 접속하는 시공 후에는 최소 수십 년의 내구성을 지녀야 하는데, 종래의 금속 케이스인 슬리브를 이용한 접속방법은 전술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배관의 연결부위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어 이중 보온관(20)의 접속부위에서 누수 및 누유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밀성 및 수밀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금속 케이스인 슬리브를 이용한 배관의 접속방법 대신에 열수축재 등을 이용한 용접방법을 배관의 접속 시공시에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열수축재 등을 이용한 배관의 용접방법은 내관(20)을 접속하고, 각 배관(10)에서 외관(40)의 표면에 열수축재를 감싼 후 상기 열수축재와 접착재를 토오치 불꽃에 의하여 외관(40)의 표면에 녹여서 부착시켜 용접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관의 접속방법에도 현재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상기 배관(10)의 연결부위의 접속시에 완전한 밀폐와 접속을 실행하여 접속부위의 기밀성 및 수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열수축재나 시트나 외관의 표면(40)과 접촉되는 부분인 종단면은 밀착가능하여 토오치 등에 의해 부착이 완전히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 즉 이중관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외관(40)과 내관(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열수축시트의 하부가 빈 공간으로 남게되어 완전한 부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열수축재를 이용한 용접방법은 접속성을 향상시키기 위 하여 외관(40)의 표면과 열수축재나 시트 사이에 마스터 테이프 같은 접착시트를 삽입한 후에 토오치 불꽃으로 녹여서 용접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상기 접착시트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관(40) 및 열수축재와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최소 수십 년의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배관의 접속부위가 외관(40) 및 열수축재와 서로 다른 재료의 접착시트로 인하여 수년 후에 접속부위가 서로 벌어지게 되어 누수 및 누유가 발생하게 되고, 이중 보온관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배관(10)의 접속방법에서 열수축재나 시트를 이용한 용접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10)의 연결부위를 토오치 불꽃에 의하여 접속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는 시공시에 배관(10)의 접속부위에 화기에 의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또한 화기에 의하여 접속부위의 손상을 야기시킬 수도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에 화재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또한, 이러한 용접방법은 대부분 열수축재와 접착재료를 토오치 불꽃으로 녹여 배관의 접속부위에 부착시키는데, 이를 위해서 토오치 불꽃으로 균일하게 열수축재와 접착재 주위를 가열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불균일하게 시공시에 열수축재와 외관의 탄화현상 및 피로도 증가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물성에 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항상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서만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관의 시공이나 이중 보온관의 접속에 있어서, 미숙련 기술자가 균일하게 시공할 수 없게 되어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중배관, 특히 이중 보온관 및 이와 유사한 배관의 접속시 전기융착부재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배관의 접속부위를 완전히 밀폐접속시켜 접속불량으로 인한 누수 및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시공시 발생되는 화기에 의한 충격과 이에 의한 배관의 접속부위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다중배관, 즉 이중 보온관의 견고함을 증대시키면서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품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체가 공급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을 외관을 포함하는 다중배관과 상기 다중배관을 접속하는 구조로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및 외관과 접촉되며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전기융착부재; 및 상기 전기융착부재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접속시키는 전기공급부재를 포함하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는 전기융착부재가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고정되게 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전기융착부재의 내측과 접촉하며 전기융착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의 외측에 구비되며 그 외면으로 돌기부가 형성된 링 타입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 및 전기융착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그 내면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된 바 타입의 서포터를 포함하거나, 상기 스페이서와 서포터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융착부재는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하나의 외관과 다른 외관의 일정부위를 감싸며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개방된 형상인 시트, 상기 시트의 양측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시트 내에 구비되는 열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융착부재의 재질은 외관의 재질에 대응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가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전기융착시트와 외관의 표면 사이에 전기융착시트 및 외관의 재질에 대응되는 분말재나 수지재를 충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공급부재는 전기융착부재의 양측 단자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융착부재를 용융시켜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접속시키는 전기융착기 또는 저항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전기융착부재가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전기융착부재를 감싸는 보조밴드나 클램프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보조밴드와 클램프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재로서 보조밴드와 클램프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내관은 강관, 스테인레스관, 동관, PE관, 또는 에폭시관 등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외관은 플라스틱재인 PE관, HDPE관, LDPE관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온재는 폴리우레탄폼, 실리카, 펄라이트, 유리면, 암면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공급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을 둘러싸는 외관을 포함하는 다중배관과 상기 다중배관을 접속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을 접속시키고;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인 하나의 외관과 다른 외관의 표면 및 전기융착부재의 내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지지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 지지부재 및 외관과 접촉되도록 전기융착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전기융착부재가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로 전기융착부재를 가압고정시키고; 상기 전기융착부재에 전기공급부재를 통해서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융착부재를 용융하여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접속시키고; 접속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가 냉각된 후 상기 체결부재를 제거하는 다중배관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단면을 나타 낸 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에서 전기공급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에서 보조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에서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중배관 및 이와 유사한 배관의 접속시에 전기융착부재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배관의 접속부위를 완전히 밀폐접속시켜 접속불량으로 인한 누수 및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중배관 중, 특히 이중 보온관을 일예로 들어 접속구조 및 접속 또는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즉, 이중 보온관; 이하, "다중배관", "이중 보온관", "배관"의 용어는 모두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같은 것으로 간주한다)의 접속구조는 유체(미도시)가 공급되는 내관(110), 상기 내관을 감싸는 보온재(120), 및 상기 보온재(120)를 둘러싸는 외관(130)을 포함하는 다중배관(100)과 상기 다중배관(100)을 접속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중배관(100)의 연결부위(200)의 공간에 제공되는 지지부재(300);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200)를 둘러싸는 전기융착부재(400); 및 상기 전기융착부재(4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융착부재(400)를 다중배관의 연결부위(200)에 보다 밀착시켜서 접속성을 향상시키는 체결부재(6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3 및 도4에 나타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에서는 지지부재(300)가 하나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나,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개(300)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내관(110)은 일반적으로 강관, 스테인레스관, 동관, PE관, 또는 에폭시관 등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상기 외관(130)은 플라스틱재인 PE관, HDPE관, LDPE관 등으로 이루어지나 이도 마찬가지로 상기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보온재(120)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폼, 실리카, 펄라이트, 유리면, 암면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및 방법에서 상기 다중배관(100)의 크기에는 영향받지 않는다. 즉, 어떠한 크기의 배관(100)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다중배관(100)과 다중배관(100)의 연결부위(200), 즉 하나의 내관(110)과 다른 내관(110)의 연결 및 하나의 외관(130)과 다른 외관(130)의 연결부위(200)에서 상기 내관(110)과 외관(130) 사이에 공간(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으로 인하여 다중배관(100)의 접속시에 종래의 방법으로는 완전한 기밀성 및 수밀성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감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공간(210)에 지지부재(300)를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종래의 다중배관(110)의 접속방법인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전기융착을 이용함으로써 해결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중 보온관(100)의 접속구조에서, 상기 지지부재(300)는 도2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 보온관(100)의 연결부위(200)에서 내관(110)과 외관(130) 사이의 공간(210)에 제공되어 전기융착부재(400)를 지지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스페이서와 서포터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지지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도2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융착부재(즉, 후술할 전기융착시트(410))의 내측과 접촉하며 또한 상기 내관(110)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전기융착부재(4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그 일예로는 I 빔과 같은 형상일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할 수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고, 그 재질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300)의 형상의 또 다른 일예를 도9 내지 도12에 도시하였다.
도9 내지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0)는 배관의 연결부위(200)에서 내관(110)의 외측에 부착되며 그 외면으로 하나 이상의 돌기부(311)가 형성된 링 타입의 센터링인 스페이서(310); 및 상기 스페이서(310)의 외측 및 전기융착시트(410)의 내측에 구비되며 그 내면에 상기 돌기부(311)에 대응하는 홈부(321)가 형성된 바 타입의 서포터(3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부(311)는 홈부(321)에 삽입되어 배관의 연결부위의 공간(210)에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재(300)의 스페이서(310)와 서포터(320)는 후술할 전기융착부재(400)의 상부에서 체결부재(600)가 가압하는 하중을 견디고 상기 전기융착부재(400)의 단부에서 상부와 하부를 밀착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완전한 융착이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지 지부재(300)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10)와 서포터(320)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10)와 서포터(320)는 배관(100)의 연결부위의 공간(210)에 제공되는데, 그 개수는 배관의 접속구조에 따라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300)로 인하여, 배관의 연결부위(200)의 공간(210)이 폐쇄되는 효과를 나타내어 배관의 접속성을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배관의 접속구조의 요부인 전기융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 및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0)을 실질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융착부재(400)는 서포터(320) 및 외관(130)과 접촉되며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200)를 둘러싼다. 상기 전기융착부재(400)는 다중배관의 연결부위(200)에서 하나의 외관(130)과 다른 외관(130)의 일정부위, 즉 외관(130)의 표면을 감싸며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개방된 형상인 시트(410), 상기 시트(410)의 양측에 구비되는 단자부(420), 및 상기 시트(410) 내에 구비되는 열선부(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융착시트(410)의 재질은 외관(130)의 재질에 대응되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기융착부재(전기융착시트(410))를 이용하여 배관을 접속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기융착시트(410)를 외관(130)과 외관(130)의 사이인 연결부위(200)에 위치시키고 상기 시트(410)에 형성된 단자부(420)를 지지부재(300)의 상단에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600)로 전기융착시트를 가압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전기융착시트(410)의 단자부에 전기공급부재(500)를 통해 전기를 공급 하면 상기 시트(410) 내의 열선부(430)의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상기 열선부(430)와 접하고 있는 전기융착시트(410)를 용융시키면서 외관(130)의 표면을 녹이게 되어 서로 젤 상태로 변화시켜 압축되면서 접착된다. 그리고, 공급되는 전기를 중단하고 냉각시키면 상기 시트(410)의 열선부(430)와 맞닿은 면들이 완전히 일체로 융착되어 배관(100)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기융착시트(410)는 외관(13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예를 들어, HDPE) 또는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시트(410)의 열선부(430)에 의해 이루어지는 융착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관의 연결부위(200)가 평행한 상태가 아니라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전기융착시트(410)와 융착되는 외관(130)의 표면 사이에 전기융착시트(410) 및 외관(130)의 재질(예를 들어, HDPE)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을 분말 형태나 수지재로 만들어 충전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전기융착시트(410)와 외관(130)의 표면이 밀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배관의 접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분말재와 수지재는 전기융착시트(410) 및 외관(130)의 재질에 대응되므로 전기융착시트(410)와 외관의 표면이 용융될 시에 전기융착시트(410)와 외관의 표면 사이에 충전된 분말재와 수지재도 같이 용융되므로 밀착성을 향상시켜서 배관의 접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융착시트(410)의 단자부(420)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배관의 연결부위(200)를 접속시키는 전기공급부재(500)는 그 일예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기융착시트(410)의 단자부(420)에 연결되는 케이블(510)을 구비한 전기융착기이거나 또는 저항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 기융착시트(41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공급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융착부재(400)에 의해서 배관의 연결부위(200)를 둘러싸서 가압고정될 수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접속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배관(100)의 접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기융착부재(400)가 배관의 연결부위(200), 즉 하나의 외관(130)의 표면과 다른 외관(130)의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되게 하는 체결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600)는 전기융착시트(410)를 감싸는 형태인 보조밴드(610)일 수 있고, 또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클램프(620)를 보조밴드(61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611)에 연결하여 전기융착시트(410)를 더 가압고정할 수도 있다. 도14는 상기 클램프(620)가 보조밴드(610)에 체결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재(600)의 형태는 도14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14에 나타낸 것과 달리 상기 클램프(620)는 전기융착부재(400)에 직접 체결되어 상기 전기융착시트(410)를 가압고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를 다음과 같이 다중배관을 접속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은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배관의 시공방법은 유체가 공급되는 내관(110), 상기 내관(110)을 감싸는 보온재(120), 및 상기 보온재(120)를 둘러싸는 외관(130)을 포함하는 다중배관(100)과 상기 다중배관(100)을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200)에서 내관(110)을 용접 또는 접속시킨다. 이후,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200)인 하나의 외관(130)과 다른 외관(130)의 표면 및 전기융착부재(400)(전기융착시트(410))의 내면을 헝겊과 사포 등을 이용하여 흙, 습기, 기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200)에서 내관(110)과 외관(130) 사이의 공간(210)에 스페이서(310)와 서포터(320)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00)를 장착하여 상기 다중배관(100)의 연결부위(200)에 지지부재(300), 특히 서포터(320) 및 외관(130)과 접촉되도록 전기융착부재(400)를 둘러싼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전기융착부재(400)가 다중배관의 연결부위(200)를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밴드(610)와 클램프(620)로 이루어진 체결부재(600)로 전기융착부재(400)를 가압고정시킨다. 상기 전기융착부재(전기융착시트(410))의 단자부(420)에 전기공급부재(500)를 통해서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융착시트(410)의 열선부(430)의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열에 의하여 전기융착시트(410)를 용융시키면서 외관(130)의 표면을 용융시켜서 다중배관의 연결부위(200)가 완전히 일체로 융착되어 접속된다. 이후, 접속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가 냉각된 후 상기 체결부재를 제거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기융착시트(410)와 외관(130)의 재질은 동일한 재질(예를 들어, HDPE)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전기융착시트(410)와 외관(130)의 표면은 완전히 일체로 융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설치절차에 의해서도 내관(110)과 보온재(120)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므로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130)의 표면과 전기융착시트(410)가 일체로 용융되어 융착되므로 우수한 내구성과 견고성을 갖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반영구적인 제품수명, 즉 이중 보온관과 동일한 제품수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배관(100)의 접속에 필요한 열을 전기를 통해 균일하게 적용함으로 종래에서 발생될 수 있는 토오치 불꽃에 의한 탄화현상과 피로도를 감소시켜 장기적으로 탁월한 기밀성 및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빠르고 간편한 설치로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고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배관, 특히 이중 보온관 및 이와 유사한 배관의 접속시 전기융착부재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배관의 접속부위를 완전히 밀폐접속시켜 접속불량으로 인한 누수 및 누유를 방지하여 기밀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시공시 화기에 의한 충격과 이에 의한 배관의 접속부위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이중 보온관의 견고함을 증대시키면서 유 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품수명을 연장시키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보수작업시에도 내관의 절단없이 시공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도 있다.

Claims (17)

  1. 유체가 공급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을 둘러싸는 외관을 포함하는 다중배관과 상기 다중배관을 접속하는 구조로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및 외관과 접촉되며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전기융착부재;
    상기 전기융착부재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접속시키는 전기공급부재; 및
    상기 전기융착부재가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고정되게 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전기융착부재의 내측과 접촉하며 전기융착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의 외측에 구비되며 그 외면으로 돌기부가 형성된 링 타입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 및 전기융착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그 내면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된 바 타입의 서포터를 포함하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의 외측에 구비되며 그 외면으로 돌기부가 형성된 링 타입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 및 전기융착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그 내면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된 바 타입의 서포터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융착부재는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하나의 외관과 다른 외관의 일정부위를 감싸며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개방된 형상인 시트; 상기 시트의 양측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시트 내에 구비되는 열선부를 포함하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융착부재의 재질은 외관의 재질에 대응되게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가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전기융착시트와 외관의 표면 사이에 전기융착시트 및 외관의 재질에 대응되는 분말재나 수지재를 충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부재는
    상기 전기융착부재의 양측 단자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융착부재를 용융시켜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접속시키는 전기융착기 또는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전기융착부재가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전기융착부재를 감싸는 보조밴드, 클램프, 또는 상기 보조밴드와 클램프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강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은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온재는 폴리우레탄폼, 실리카, 펄라이트, 유리면, 암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접속구조.
  12. 유체가 공급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을 둘러싸는 외관을 포함하는 다중배관과 상기 다중배관을 접속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을 접속시키고;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인 하나의 외관과 다른 외관의 표면 및 전기융착부재의 내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지지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 지지부재 및 외관과 접촉되도록 전기융착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전기융착부재가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로 전기융착부재를 가압고정시키고;
    상기 전기융착부재에 전기공급부재를 통해서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융착부재를 용융하여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접속시키고;
    접속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가 냉각된 후 상기 체결부재를 제거하는
    다중배관의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전기융착부재의 내측과 접촉하며 전기융착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내관의 외측에 구비되며 그 외면으로 돌기부가 형성된 링 타입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 및 전기융착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그 내면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된 바 타입의 서포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스페이서와 서포터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융착부재는 다중배관의 연결부위에서 하나의 외관과 다른 외관의 일정부위를 감싸며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개방된 형상인 시트, 상기 시트의 양측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시트 내에 구비되는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융착부재의 재질은 외관의 재질에 대응되게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배관의 연결부위가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전기융착시트와 외관의 표면 사이에 전기융착시트 및 외관의 재질에 대응되는 분말재나 수지재를 충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중배관의 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부재는 전기융착부재의 양측 단자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융착부재를 용융시켜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접속시키는 전기융착기 또는 저항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전기융착부재가 다중배관의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전기융착부재를 감싸는 보조밴드, 클램프, 또는 상기 보조밴드와 클램프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시공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강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은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온재는 폴리우레탄폼, 실리카, 펄라이트, 유리면, 암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중배관의 시공방법.
KR1020070012340A 2006-10-20 2007-02-06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29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89 2006-10-20
KR20060028189 2006-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937A KR20080035937A (ko) 2008-04-24
KR100829532B1 true KR100829532B1 (ko) 2008-05-16

Family

ID=3957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340A KR100829532B1 (ko) 2006-10-20 2007-02-06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245B1 (ko) * 2009-12-28 2012-03-20 박인탁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337462B1 (ko) * 2011-08-04 2013-12-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차단 핏팅용 이중보온관 전기융착시트의 시공방법
KR101975142B1 (ko) * 2018-01-19 2019-05-03 박인탁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2539850B1 (ko) * 2022-10-17 2023-06-08 주식회사 씨피에스 열수송용 이중보온관 이음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8543A (en) * 1996-10-28 1998-04-29 Glynwed Pipe Systems Ltd Dual wall electrofusion coupler
JP2000230692A (ja) * 1999-02-09 2000-08-22 Osaka Gas Co Ltd 冷暖房用配管の断熱被覆構造と筒状接続部材と加熱治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8543A (en) * 1996-10-28 1998-04-29 Glynwed Pipe Systems Ltd Dual wall electrofusion coupler
JP2000230692A (ja) * 1999-02-09 2000-08-22 Osaka Gas Co Ltd 冷暖房用配管の断熱被覆構造と筒状接続部材と加熱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937A (ko)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532B1 (ko)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23245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JP6134061B2 (ja) 配管系の設置及び修理の方法及び装置
KR20110096758A (ko) 파이프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방법
US20090097910A1 (en) Coupling construction for high-pressure pipe
KR100839205B1 (ko) 열배관망의 이중보온관 이음부 연결 시공방법
KR101382415B1 (ko)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935027B1 (ko) 이중보온관의 웰딩 플러그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975142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JP2018003973A (ja) 凍結防止用配水管、及びフランジ継手
KR101655315B1 (ko) 이중보온관용 열수축관 우레탄 폼 발포 홈 마개, 그 홈 마개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 홈 마개의 설치방법
KR101123247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CN213452147U (zh) 一种聚氨酯保温管道连接组件
CN113915438A (zh) 一种超深埋地复合管道防渗漏密封结构
KR101337462B1 (ko) 차단 핏팅용 이중보온관 전기융착시트의 시공방법
CN220008861U (zh) 基于管道对接的管道直接装置
KR101341053B1 (ko) 관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268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2251580B1 (ko)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184213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100082136A (ko) 이중 보온관의 접속방법 및 접속구조
KR200181191Y1 (ko)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KR101936105B1 (ko)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CN218378268U (zh) 一种管道接头补口装置及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