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110B1 - 착탈식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110B1
KR100827110B1 KR1020060090183A KR20060090183A KR100827110B1 KR 100827110 B1 KR100827110 B1 KR 100827110B1 KR 1020060090183 A KR1020060090183 A KR 1020060090183A KR 20060090183 A KR20060090183 A KR 20060090183A KR 100827110 B1 KR100827110 B1 KR 100827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dset
headsets
wireless communication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555A (ko
Inventor
전희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1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8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for a headse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 셋들; 상기 헤드 셋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 셋들은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자기기는 상기 본체와 헤드 셋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한 셋트로 구성하여 구매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에 안착 포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헤드 셋을 편리하게 장착,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손상, 분실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 셋을 충전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헤드 셋 충전기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충전기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게 되었다.
휴대 전자기기, 헤드 셋, 안착 포트, 충전 커넥터

Description

착탈식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DOCKING HEADSET}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일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 본체의 안착 포트(docking port)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헤드 셋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헤드 셋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handheld electronic device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전자기기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헤드 셋들 간의 무선 통신을 제공함과 아울러, 헤드 셋들은 휴대 전자기기에 장착된 상태로 충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휴대 전자기기는 이동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s), 휴대용 컴퓨터(handheld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등 무선 통신망(telecommunications network) 또는 인터넷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기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형태의 휴대 전자기기로서 음악 재생기, 동영상 재생기와 같은 휴대용 미디어 재생기(portable media player)가 있다. 또한, 이동 전화기와 PDA가 조합된 형태, 이동 전화기와 음악 재생기가 조합된 형태로 휴대 전자기기가 구성될 수 있다.
이동 전화기, 휴대용 음악 재생기 등의 휴대 전자기기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디지털 음향 정보를 무선으로 헤드 셋에 전송하는 핸드 셋(hands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전화기는 무선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는 본체측 핸드 셋(base handset)과, 본체측 핸드 셋으로 음성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본체측 핸드 셋으로부터 음성 정보를 수신받는 이어피스(earpiece)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체측 핸드 셋을 간략하게 본체라 칭하고, 이어피스를 헤드 셋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체와 헤드 셋 사이에서 디지털 음향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은 블루투스 무 선 통신 규약(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또는 그에 상당하는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본체와 헤드 셋으로 구성된 이동 전화기의 사용자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무선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즉, 헤드 셋은 본체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향으로 변환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본체에 송신하게 된다. 이때, 본체는 벨트에 장착되거나, 주머니 내에 넣어지는 등 헤드 셋으로부터 일정 정도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는 전화가 왔을 때 본체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헤드 셋의 버튼을 눌러 전화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체와 헤드 셋으로 구성된 형태의 기기를 소유한 사용자는 본체와 헤드 셋을 분리된 상태로 휴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기기를 소유한 사용자는 본체와 헤드 셋 각각에 대응되는 충전기 또한 별도로 휴대해야만 한다. 본체와 헤드 셋, 본체와 헤드 셋을 각각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들을 분리된 상태로 휴대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분실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등 각각을 관리하는 것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한 착탈식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와 헤드 셋 및 그 충전기의 구성을 간소화함으로 써, 각각을 관리하기 위한 번거로움을 줄이고, 분실, 고장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착탈식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 셋들;
상기 헤드 셋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 셋들은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제공되는 안착 포트;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 가능하게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 셋을 구비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는 데이타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본체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헤드 셋들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셋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헤드 셋들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충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에서 무선으로 음향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은 제1, 제2 헤드 셋을 단말기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의 귀에 착용한 후, 본체로부터 제1, 제2 헤드 셋 중 어느 하나로 음향 정보를 송신하는 순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전자기기는 스피커나 수화부가 장착 되지 않으면서 데이타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 셋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셋은 스피커나 수화부가 장착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그를 참조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 측면, 정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체(10)에 헤드 셋(20)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헤드 셋(20)이 상기 본체(10) 후면의 상단부 중앙에 장착된 구성이다. 상기 헤드 셋(20)은 상기 본체(10)와 비교할 때 그 크기가 작고 상기 본체(10)의 개구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더라도 상기 본체(10)의 크기나 형상에는 큰 변화가 없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외관 상 상기 헤드 셋(20)이 외부로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본체(10)와 분리 가능한 상기 헤드 셋(20)으로 구성된 것을 모르는 사람이라면 상기 단말기의 외관만 보고서는 상기 헤드 셋(20)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상기 본체(10)에 상기 헤드 셋(20)이 장착되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형상에는 외관 상 변화가 없는 것이다.
상기 헤드 셋(20)을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탭(tab), 슬롯(slot) 등의 결속 기구(retention mechanism)가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두드러지게 드러나지 않게 장착되면서, 상기 본체(10) 상에 또는 상기 본체(10) 내에 장착시키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 셋(20)은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본체(10) 내에 완전히 수용되거나,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헤드 셋(20)은 상기 본체(10)에 직접 결합되거나, 다른 형태의 중간 매개체(mechanical interface or component) 등을 통해 상기 본체(1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충전 커넥터(40)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 셋(20)은 상기 충전 커넥터(40)에 접속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단의 중앙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안착 포트(docking port)(30)를 제공하며, 상기 안착 포트(30)의 바닥에는 상기 충전 커넥터(40)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안착 포트(30)에 삽입되면, 상기 헤드 셋(20)의 충전 단자(50; 도 5에 도시됨)가 상기 안착 포트(30)의 충전 커넥터(40)들 중 하나에 접속된다. 이로써, 상기 본체(10)의 배터리는 상기 충전 커넥터(40)를 통해 상기 헤드 셋(20)의 배터리 또는 충전 부재(rechargeable component)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배터리는 상기 헤드 셋(20)의 배터리에 비해 그 크기가 크고 가용 시간이 길기 때문에 상기 본체(10) 배터리의 심각한 소모 없이도 상기 헤드 셋(20)의 충전이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별도로 상기 헤드 셋(20) 충전을 위한 충전기를 휴대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단자(50)는 상기 헤드 셋(20)의 바닥부(bottom portion)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 포트(30)의 충전 커넥터(40)와 상응하게 위치된다. 상기 충전 커넥터(40)가 상기 안착 포트(30) 내에서 그 위치가 다르게 설정된다면,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안착 포트(3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 셋(20)의 충전 단자(50)가 상기 충전 커넥터(40)와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 단자(50)의 위치도 다르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충전 커넥터(40)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로 상기 충전 단자(50)는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로 구성되거나 상기 충전 커넥터(40)가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로 상기 충전 단자(50)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안착 포트(3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충전 커넥터(40)와 충전 단자(50)를 접속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충전 커넥터(40)와 충전 단자(5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커넥터(40)와 충전 단자(50)는 케이블 또는 다른 형태의 중간 커넥터(intermediary connector)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커넥터(40)와 충전 단자(50)가 케이블 또는 다른 형태의 중간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충전 커넥터(40)는 상기 안착 포트(3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상기 헤드 셋(20)에 상기 충전 단자(40)와 케이블(70)이 설치된 구성을 모두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 측면, 정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두 개의 헤드 셋(20a, 20b)들이 본체(10)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참조 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선행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 예의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은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단부 중앙에 장착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그 장착 위치나 장착 구조는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이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더라도 상기 본체(10)의 크기나 형상에는 큰 변화가 없다. 즉,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상기 본체(10)에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이 장착되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형상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이다.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은 상기 본체(1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의 안착 포트(30)에는 두 개의 충전 커넥터(40)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은 각각 상기 충전 커넥터(40)들 중 하나에 접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은 동시에 상기 안착 포트(30)에 장착된 상태로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헤드 셋이 상기 안착 포트로부터 분리되거나 분리된 상태로 사용중일 때에도 다른 하나만 상기 안착 포트(30)에 장착되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 포트(30)에 충전 커넥터(40)가 하나만 제공된 경우, 제1의 헤드 셋(20a)만 상기 충전 커넥터(40)에 접속되고, 제2의 헤드 셋(20b)은 상기 제1의 헤드 셋(20a)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은 각각 그 측면 또는 서로 간에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커넥터(80a,80b)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 포트(30)에 충전 커넥터(40)가 하나만 제공되고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을 서로 접속시키는 구성이 도 10을 통해 개시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헤드 셋은(20b) 상기 제1 헤드 셋(20a)에 제공된 커넥터(80a)와 결합되는 또 다른 커넥터(80b)를 구비한다. 선행 실시 예의 구성에서 상기 충전 커넥터(40)와 충전 단자(50)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듯이,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80a, 80b)들의 구성 또한 다른 형태의 접속 구조, 예를 들면 케이블 또는 중간 커넥터(intermediary connector)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헤드 셋(20a)에 제공된 충전 단자(50)는 상기 충전 커넥터(40)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헤드 셋(20a)의 배터리 또는 충전 부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헤드 셋(20b)은 상기 커넥터(80a, 80b)들을 통해 상기 제1 헤드 셋(20a)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헤드 셋(20b)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그의 배터리 또는 충전 부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헤드 셋(20a, 20b)들이 한 쌍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본체(10)가 MP3 플레이어와 같은 디지털 음악 재생기이거나, 그에 상당하는 음악 재생 기능 을 갖는 기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는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된 음악을 각각의 상기 헤드 셋(20a, 20b)들로 송신하고, 사용자는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을 양쪽 귀에 착용하여 스테레오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은 상기 본체(1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종래의 헤드 셋들과 다르게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케이블 등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가 이동 전화기인 경우,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본체(10)를 통해 진행되는 연속된 통화 시간을 연장하거나, 통화 가능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헤드 셋(20a)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동안 상기 제2 헤드 셋(20b)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충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연속된 통화 시간 또는 통화 가능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헤드 셋(20a)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여 그 배터리가 소모되면,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계속 하면서 상기 제2 헤드 셋(20b)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자신이 착용한 후, 상기 제1 헤드 셋(20a)은 상기 본체(10)에 장착하여 충전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중인 헤드 셋의 배터리가 소모되더라도 다른 헤드 셋을 이용하여 통화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10)의 배터리가 완전히 소모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을 번갈아가며 충전을 함으로써 헤드 셋을 충전된 상태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상기 헤드 셋들의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 셋들을 번갈아가며 충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헤드 셋(20a, 20b)들 각각에 상기 충전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는 충전 단자가 제공되어야 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의 표시 장치(display screen)에는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의 배터리 충전 수준(charge level)을 지시하는 기호 또는 기호들(85)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바(bar)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의 기호들(85)이 상기 표시 장치에 구현되며, 상기 표시 장치에 구현되는 기호들(85)의 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수준을 나타내게 된다. 이미 설정된 기호들(85)이 모두 표시되면 상기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를 지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일한 형태의 기호의 수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기호와, 완전히 충전된 상태를 의미하는 기호를 상기 표시 장치 상에 나타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이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헤드 셋(20a, 20b)들의 충전 수준을 표시하는 기호들은 상기 본체(10)의 배터리 충전 수준을 표시하는 기호와 분리된 영역에 구현하거나, 또 다른 형태, 예를 들면 기호의 형상을 다르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본체(10) 배터리의 충전 수준을 표시하는 기호와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 셋(20)은 단일 헤드 셋이 장착되거나, 한 쌍의 헤드 셋이 장착되는 본체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헤드 셋(20)의 일부분은 이어버드(earbud)(90)라고 칭하여 지는데, 이는 음향을 출력하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거나 인접하게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어버드(90)는 신축 가능한 구성이다. 즉, 상기 이어버드(90)는 상기 헤드 셋(20)으로부터 신장되거나, 낮아진 상태로 수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때, 상기 이어버드(90)는 상기 헤드 셋(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수축되어 상기 헤드 셋(20) 전체의 크기를 작아지게 한다. 상기 헤드 셋(20)이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이어버드(90)가 상기 헤드 셋(20)으로부터 신장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어버드(90)의 수축, 신장 여부에 따라 상기 헤드 셋(20)을 활성화(activate)시키거나 비활성화(deactivate)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어버드(90)를 당겨 신장시키면 상기 헤드 셋(20)은 그의 전원이 켜지면서 활성화되고, 상기 이어버드(90)를 눌러 수축시키면 상기 헤드 셋(20)은 그 전원이 꺼지면서 비활성화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어버드(90)를 누르거나 당기지 않고 상기 이어버드(90)를 회전시켜 수축, 신장시킬 수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on/off)동작 또한 상기 이어버드(90)를 회전시키는 구성에 의해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이어버드(90)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 셋(20)의 전원 온/오프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스위치 등은 불필요하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이어버드(90)와 전원 스위치의 구성은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전원 스위치가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이어버드(90)가 신축 가능하지 않더라도 상기 이어버드(90)와는 별도로 전원 스위치를 장착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본체(10)에 장착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거나 귀에 인접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다면, 상기 헤드 셋(20)의 형상 또한 반드시 도 5에 도시된 형상일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자기기의 본체는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수화부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헤드 셋을 구비하지 않거나 헤드 셋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체를 사용자 자신의 귀에 가까이 위치시켜 본체에 장착된 스피커 또는 수화부를 통해 전화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본체(10)에는 스피커 또는 수화부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대신에 사용자는 상기 헤드 셋(20)을 상기 본체에 장착하여 상기 이어버드(90)를 통해 상기 헤드 셋(20)에 장착된 스피커 또는 수화부를 상기 본체(10)의 스피커 또는 수화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 셋(20)이 장착되면, 상기 헤드 셋(20)의 이어버드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마치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스피커 또는 수화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본체(10)의 안착 포트(30)에 장착되면, 상기 이어버드(90)가 사용자의 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블루투스 통신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의 통신 방식은 그 가능 범위가 한정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셋(20)이 상기 본체(1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상기 본체(10)와 헤드 셋(20)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가 손실되어 전화통화가 단절되거나,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셋(2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이거나 멀어지려고 하는 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경고 신호는 상기 헤드 셋(20)에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 상기 헤드 셋(20)과 본체(10) 사이의 거리 등의 허용 범위를 설정하여 해당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된다. 수신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허용 거리를 초과하는 때 발생되는 경고 신호는 비프음(beeping sound)과 같은 청각적 신호나, 상기 헤드 셋(20)에 경고등 등을 설치하여 시각적 신호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본체(10)가 있는 위치를 인지하지 못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에 대비하여,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본체(1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 셋(20)에는 버튼 등의 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본체(10)는 비프음과 같은 청각적 신호나, 불빛 등의 시각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로(10)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추적하여 상기 본체(10)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에 상기 헤드 셋(2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헤드 셋(20)을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헤드 셋(20)에는 작동 버튼(100)이 장착되어 전화가 왔을 때, 사용자는 상기 본체(10)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기 작동 버튼(100)을 조작함으로써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음악을 청취하는 중에 전화가 왔을 때 상기 헤드 셋(20)을 조작함으로써 음악 청취 모드에서 전화모드로 전환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무선 통신 기능에 적용된 기술들은 본 발명의 본체(10) 와 헤드 셋(2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 전자기기를 동작시키는 예(1200)가 도 11을 통해 도시되고 있다.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처리장치(processor)(1210), 제1, 제2 저장 영역(1220, 1230), 키패드, 송화부 등의 입력 장치(1240), 표시 장치, 수화부 등의 출력 장치(125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저장 영역(1220, 1230), 입력 장치(1240) 및 출력 장치(1250)는 각각 상기 처리 장치(1210)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처리장치(1210)는 CPU(central processor unit) 칩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저장 영역(1220, 1230)에 접속되어 명령,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스크립트 등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제1 저장 영역(1220)은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저장 영역(1230)은 펌웨어(firmware)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24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문자 등의 정보는 상기 처리 장치(1210)를 통해 가공되어 상기 제1 저장 영역(1220) 등에 저장되며,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출력 장치(1250)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등을 하는 중에는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별도의 송수신부를 통해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체와 헤드 셋 사이의 통신 규약 으로서 블루투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현존하는 다른 형태의 통신 기술 또는 미래에 개발될 수 있는 통신 기술이더라도 본체와 헤드 셋이 일정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전화 통화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원 발명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는 상기 본체와 헤드 셋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한 셋트로 구성하여 구매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에 안착 포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헤드 셋을 편리하게 장착,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 셋을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시킨 상태로 보관,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손상, 분실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 헤드 셋을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본체의 크기나 형상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 전자기기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 셋을 충전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헤드 셋 충전기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충전기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게 되었다.

Claims (20)

  1. 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 셋들; 및
    상기 헤드 셋들 각각에 제공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셋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 셋들은 상기 커넥터들을 통해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2. 무선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 셋들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셋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 셋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헤드 셋과 무선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3. 무선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 셋들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셋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 셋들은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 셋들의 충전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셋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로 충전중인 때, 다른 하나의 헤드 셋은 사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이동 전화기, 무선 핸드 셋,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handheld computer),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6. 무선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 셋들;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본체 측 커넥터; 및
    상기 헤드 셋들에 제공되는 헤드 셋 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셋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 셋들은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헤드 셋들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본체 측 커넥터와 헤드 셋 측 커넥터가 서로 접속되어 상기 헤드 셋들이 충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7. 무선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 셋들; 및
    상기 헤드 셋에 각각 제공되는 신축 가능한 이어버드(earbud)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셋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 셋들은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헤드 셋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이어버드는 수축되고, 상기 헤드 셋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이어버드가 신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버드가 수축 또는 신장됨에 따라, 상기 헤드 셋의 전원이 꺼지거나 켜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셋은 상기 본체에 직접 결합되거나,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0. 무선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 셋들;
    상기 헤드 셋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 셋들은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 셋들의 충전 부재에 충전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부재는 충전식 배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2. 삭제
  13. 삭제
  14.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제공되는 안착 포트;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 가능하게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 셋; 및
    상기 헤드 셋들의 외주면에 각각 설치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셋들이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되면, 상기 커넥터가 서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5.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제공되는 안착 포트;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 가능하게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 셋;
    상기 안착 포트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커넥터; 및
    상기 헤드 셋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셋이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되면 상기 충전 단자가 상기 충전 커넥터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표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헤드 셋의 충전 수준(charge level)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호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7.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제공되는 안착 포트;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 가능하게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 셋; 및
    상기 헤드 셋의 일면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어버드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셋이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되는 때 상기 이어버드는 수축된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버드가 수축된 때 상기 헤드 셋의 전원이 꺼지고, 상기 이어버드가 신장된 때 상기 헤드 셋의 전원이 켜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9.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제공되는 안착 포트;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 가능하게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 셋; 및
    상기 헤드 셋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어버드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버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헤드 셋의 전원이 온/오프(on/off)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20.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제공되는 안착 포트;
    상기 안착 포트에 장착 가능하게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 셋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 포트는 상기 본체 후면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060090183A 2006-05-31 2006-09-18 착탈식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KR100827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21,315 US8185168B2 (en) 2006-05-31 2006-05-31 Handset with docking headset
US11/421,315 2006-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555A KR20070115555A (ko) 2007-12-06
KR100827110B1 true KR100827110B1 (ko) 2008-05-02

Family

ID=3879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183A KR100827110B1 (ko) 2006-05-31 2006-09-18 착탈식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85168B2 (ko)
KR (1) KR100827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2036B1 (en) * 2007-10-25 2014-11-18 At&T Mobility Ii Llc Providing an indication of a wireless accessory status
US8140012B1 (en) 2007-10-25 2012-03-20 At&T Mobility Ii Llc Bluetooth security profile
KR100983728B1 (ko) * 2008-01-07 201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170353779A1 (en) * 2016-06-01 2017-12-07 Essential Products, Inc. Wireless audio accessory
US10271189B2 (en) 2016-06-01 2019-04-23 Essential Products, Inc.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nd device accessori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486A (ko) * 2003-02-27 2004-09-04 존 유 전화기용 핸즈 프리 동작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0273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스피커 분리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13016B1 (ko) 2003-01-09 2005-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헤드셋 장치
KR20060019109A (ko) * 2004-08-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어셋 유닛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166715A1 (en) 2005-01-24 2006-07-27 Van Engelen Josephus A Integrated and detachable wireless headset element for cellular/mobile/portable phones and audio playback devices
KR20060100861A (ko) * 2005-03-18 2006-09-21 (주)오픈브레인테크 무선 이어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2757B2 (en) * 2001-01-11 2003-04-01 Youngbo Engineering, Inc. Headset docking device
US20020118825A1 (en) * 2001-02-28 2002-08-29 Mitra Dan C. Headset with retractable microphone and speaker
US20060068857A1 (en) * 2004-07-30 2006-03-30 Asseily Alexander M Hybrid mobile headset
US7680267B2 (en) * 2005-07-01 2010-03-16 Plantronics, Inc. Headset with a retractable speaker portion
US7627289B2 (en) * 2005-12-23 2009-12-01 Plantronics, Inc. Wireless stereo headset
US20070276523A1 (en) * 2006-03-07 2007-11-29 Alley Kenneth A Central cradling device with integrated detachable wireless compon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016B1 (ko) 2003-01-09 2005-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헤드셋 장치
KR20040077486A (ko) * 2003-02-27 2004-09-04 존 유 전화기용 핸즈 프리 동작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0273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스피커 분리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19109A (ko) * 2004-08-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어셋 유닛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166715A1 (en) 2005-01-24 2006-07-27 Van Engelen Josephus A Integrated and detachable wireless headset element for cellular/mobile/portable phones and audio playback devices
KR20060100861A (ko) * 2005-03-18 2006-09-21 (주)오픈브레인테크 무선 이어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81660A1 (en) 2007-12-06
KR20070115555A (ko) 2007-12-06
US8185168B2 (en)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0654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being detachabl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US7565187B1 (en) Transceiver device and fastener
US7565179B2 (en) No-cable stereo handsfree accessory
US20060046656A1 (en) Bluetooth headset and bluetooth device connectable to audio equipment
US20060234780A1 (en) Speakerphone with detachable ear bud
US20090017881A1 (en) Storage and activation of mobile phone components
US20060068857A1 (en) Hybrid mobile headset
KR100936393B1 (ko)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GB2374238A (en) Modular mobile telephone
KR100959346B1 (ko) 모노 헤드셋 도킹 스테이션 장치
WO2005053289A1 (en) Accessory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5286604A (ja) 組合せ又は分離して使用する手持ち携帯通信装置
KR100827110B1 (ko) 착탈식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ES2687383T3 (es) Método, aparato y sistema para suministrar energía a un auricular de cancelación activa del ruido
CN103533141A (zh) 用于有线及无线通信的免提通信装置
TWI275287B (en) Bluetooth mobile phone having a detachable bluetooth earpiece
US20090197649A1 (en) Mobile phone with headset docking station
CN212115613U (zh) 耳机***
KR20080004775U (ko) 외장스피커를 구비하는 손목시계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US10645477B2 (en) Audio systems
JP5399652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CA2426860A1 (en) Cellular phone that exposes the user's brain to much less microwave radiation than ordinary cellular phones with the help of a proxy (intermediary) device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190040Y1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배터리팩 내장형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
KR200180377Y1 (ko) 휴대용 오디오 이어폰 겸용 휴대폰의 핸즈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