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883B1 -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883B1
KR100822883B1 KR1020060101794A KR20060101794A KR100822883B1 KR 100822883 B1 KR100822883 B1 KR 100822883B1 KR 1020060101794 A KR1020060101794 A KR 1020060101794A KR 20060101794 A KR20060101794 A KR 20060101794A KR 100822883 B1 KR100822883 B1 KR 10082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cup
goblet
handle
f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권
Original Assignee
(주)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화 filed Critical (주)서화
Priority to KR102006010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방울 도자잔의 각 구성부분인 잔, 손잡이, 받침, 방울을 각각 성형하고, 이를 반건조 한 다음에 각 부분들을 결합하여 정형하고, 두 차례에 걸쳐서 소성하고, 시유과정에서 거꾸로 뒤집어서 잔부분만 시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불량률 증가 등의 제조공정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도자기 디자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도자문화의 풍류와 멋을 한층 고양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6075469876-pat00001
도자방울, 투각, 도자잔, 술잔

Description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king a ringing ceramic goblet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각각 일정한 형태로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로 성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반건조된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를 서로 결합하는 방식과 결합 후의 방울 도자잔(50)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기 방울 도자잔(50)을 유약(71)이 담긴 소정의 유약통(70)에 넣고 시유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모든 단계를 거친 후의 하나의 완전한 방울 도자잔(80)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잔 11 : 잔의 하부
20 : 손잡이 21 : 투각
22 : 상부 원주면 23 : 하부 원주면
24 : 수용공간 30 : 도자 방울
40 : 받침대 41 : 받침대의 윗면
50 : 도자잔 70 : 유약통
71 : 유약 80 : 방울 도자잔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돋우기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첨언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생활도자기 중 도자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예로부터 찻잔, 그릇, 술잔 등의 생활도자기는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특히 생활도자기 중 술잔이나 찻잔은 그 모양과 형태를 달리하거나 독특한 디자인과 기술을 접목하여 풍류와 멋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도자 문화의 정수로 발전하였다.
도자로 만들어진 술잔이나 찻잔에 소리가 나는 수단이 접목되어 술이나 차를 마실 때 소정의 소리가 발생한다면 풍류와 멋이 한층 향상될 것이다. 이러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금속류의 술잔이나 찻잔 안에 금속류의 구슬을 집어넣는 것은 일종의 기호제품으로서 알려졌으나, 이를 '도자잔'에 구현하는 것은 전혀 다른 기술문제에 부딪히게 되었다. 도자는 흙으로 소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재료와 제조방법이 전혀 다르고, 소지와 소성의 특성상 성형의 어려움, 쉽게 깨지거나 형태가 파손되어 생기는 불량률의 증가, 구슬을 도자기로 구현하였을 때 다른 구성부분들과의 흡착의 문제 등 다양한 제조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도자잔의 풍류와 멋을 한층 고양하면서도 동시에 제조 공정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이 현격히 낮출 수 있는 도자잔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도자잔은 종래 제대로 구현되지 못했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우수한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방울 도자잔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함에 있다. 즉, 방울 도자잔의 첫 단계가 소지로 성형하는 데 있기 때문에 각 구성부분들 모두가 서로 독립적으로 성형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울 도자잔을 완성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된 각각의 구성부분들을 정형하는 과정 또는 시유하는 과정에서 도자잔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도자방울이 다른 구성부분(바닥이나 손잡이 내벽 등)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이를 위해서 제조단가를 증가시키는 피복이나 밀봉도구 등의 별도의 수단이나 방법이 수반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이 전체적으로 간단하고 명료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정상의 효율이 증가하고 불량률이 감소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간단하고 명료한 프로세스를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원하는 도자기 디자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자문화의 풍류와 멋을 한층 고양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된 사항에만 국한되지 아니하고, 위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과 그 문제점들로부터 파생되는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는 점에 이르기까지 넓게 접근되어야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잔, 손잡이, 받침, 도자방울을 매화토, 분홍토, 분장도기 옹기토 및 백자토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소지로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각각 독립하여 성형된 잔, 손잡이, 받침, 도자방울의 소지 외부의 물기를 건조하는 반건조 단계와; 반건조 된 잔, 손잡이, 받침, 방울을 하나의 방울 도자잔으로 형성하되, 도자 방울은 잔과 손잡이와 받침대의 결합에 의한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잔과 손잡이의 접촉 부분, 손잡이와 받침의 접촉 부분에 흙물을 도포하여 서로 맞추는 정형단계와; 정형된 상기 방울 도자잔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완전 건조단계와; 완전건조된 상기 방울 도자잔을 가마에 넣고 소성하는 제 1 소성단계와; 소성된 방울 도자잔을 거꾸로 위치하여 잔부분 만 유약에 담근 후 꺼내는 시유단계와; 및 시유된 상기 방울 도자잔을 다시 가마에 넣고 소성하는 제 2 소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지는 골회를 포함하는 소지인 것도 좋다. 한편, 소지가 매화토인 경우에는 산화소성으로, 소지가 분홍토, 분장도기 옹기토 및 백자토인 경우에는 환원소성으로 소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에 투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첫 번째 단계로서 성형단계(S1)는 도 2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각각 일정한 형태로써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로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의 소지는 매화토, 분홍토, 분장도기 옹기토 및 백자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성형하도록 하며, 가능한 한 모두 동일한 소지로 선택한다. 골회가 포함된 소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흙 으로만 이루어진 도자가 아니라 흙과 동물뼈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소지를 이용함으로써 본 차이나 도자잔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도자 방울(30)을 유리나 금속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에 대해서는, 유리는 소성 시 고온으로 인해 깨지거나 녹아내리기 쉽고, 금속은 소성 시 온도변화 등에 따라 녹아서 흘러내리거나 녹은 부분의 파편이 다른 부분에 악영향을 미쳐 도자의 완성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본 발명의 소지로 선택될 수는 없다.
성형방법으로는 물레성형, 주입성형, 압출성형, 압착성형 등의 방법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도의 잔(10),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손잡이(20), 도자 방울(30), 상기 손잡이를 지지하는 받침대(40)가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각 부분 성형시 특히 손잡이(20)는 도자 방울(30)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의 수용공간(24)을 가지는 대략 원뿔대 모양이 되게 성형한다.
본 발명에서 잔(10)과 손잡이(20)와 받침대(40)가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하도록 하는 것은 제조 공정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 잔(10)과 손잡이(20)를 함께 성형하는 것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도 어렵거니와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손잡이(20)와 받침대(40)를 함께 성형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도 어렵고 제품의 불량률을 증가시킬 위험이 있으며, 각각 별도로 독립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정해진 시간에 더 많은 제조공정률을 내기 때문에 더욱 진보적인 방법이다.
상기 손잡이(20)의 일정부분에 내부의 도자 방울(30)이 보일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투각(21)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손잡이(20)에 상기 투각(21)을 구 비함으로써 운치와 풍류를 북돋울 뿐만 아니라 술잔의 디자인을 돋보이게 하며 술자리에서의 분위기를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성형한 상기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를 반건조 한다(S2). 여기에서 말하는 반건조 상태는 소지 외부의 물기가 건조된 상태를 의미하고 이런 상태에서 상기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의 겉표면은 점력이 없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반건조단계를 두는 이유는 첫째로 성형된 상기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의 형태가 유지되기 위해 외부 물기가 건조되는 단계가 필요하고, 둘째로 도자 방울(30)의 경우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모든 단계를 거친 후 완제품 단계에서 잔(10)과 손잡이(20) 및 받침대(40)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인 수용공간(24)에 위치하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는데, 반건조 되지 않은 상태로 모든 단계를 거치게 되면 도자 방울(30)이 다른 구성부분(바닥이나 손잡이 내벽 등)의 어느 한편으로 흡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반건조단계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단계이고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반건조단계를 통해 도자 방울(30)이 받침대(40) 등에 흡착되는 현상이 자연스럽게 해결되므로 별도의 불필요한 부가수단이 전혀 필요 없게 되어 생산과정에서의 원가상승요인과 제조공정상 불량률 상승요인이 해소된다.
한편, 상기 반건조단계에서 건조상태는 외부날씨의 영향으로 인해 건기 시에는 대략 5~10시간 정도, 습기 시에는 대략 24시간 정도의 건조시간이 필요하게 된 다. 그러나 대량 생산과 생산 공정의 효율성 및 공정시간의 절감을 위해 전기 열판을 통해 각 구성부분을 건조하면 대략 5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반건조단계를 거친 후의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는 소지의 외부 물기가 건조되어 점력이 떨어져서 서로 다른 부분들과 흡착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S1단계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되고 S2단계에서 반건조 된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방울 도자잔(50)으로 형성하는 정형단계를 거친다(S2). 즉, 도 3은 반건조단계를 거친 상기 잔(10), 손잡이(20), 도자 방울(30), 받침대(40)를 결합방식과 결합 후의 하나의 방울 도자잔(50)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잔(10)의 하부(11)는 손잡이(20)의 상부 원주면(22)과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20)의 하부 원주면(23)은 받침대의 윗면(41)과 결합하게 한다.
이때 각 부분들은 외부 물기가 건조된 상태여서 점력이 없으므로 결합을 위해서 잔(10)과 손잡이(20)의 접촉 부분인 손잡이(20)의 상부 원주면(22)과 손잡이(20)와 받침대(40)의 접촉부분인 하부 원주면(23)에 각각 흙물을 도포하면 흙물이 도포된 부분에 점력이 생겨 각각의 접촉부분들이 쉽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물기가 말라 점력이 없어진 도자 방울(30)은 잔(10)과 손잡이(20)와 받침대(40)의 결합에 의한 내부 수용공간(24)에 위치시켜 상기 내부 수용공간(24)에 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부분들이 서로 결합해서 전체가 하나의 방울 도자잔(50)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상기 S3단계를 거쳐 결합된 상기 방울 도자잔(50)은 대략 24시간 동안 완전 건조시켜 결합부분이 더욱 완전하게 결합되고 내부 물기까지 모두 건조시킨다(S4).
다음으로, 완전 건조된 상기 방울 도자잔(50)을 가마에 넣고 첫번째 소성을 한다(S5). 이 경우 상기 방울 도자잔(50)을 가마에 넣고 대략 8시간에 걸쳐 가마의 온도를 대략 850℃까지 상승시킨 후 가마의 가열을 멈추고 천천히 식히게 되고 완전히 다 식으면 비로소 제 1 소성단계가 완료되며, 소성된 상기 방울 도자잔(50)의 겉표면에 다음 S6단계에서와 같이 유약이나 채색을 하게 되면 유약이나 물감이 겉표면에 떨어지지 않고 잘 붙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소성된 상기 방울 도자잔(50)의 겉표면에 시유를 한다(S6). 도 4는 상기 방울 도자잔(50)을 유약(71)이 담긴 소정의 유약통(70)에 넣고 시유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S5단계를 거친 소성된 방울 도자잔(50)을 시유하는 방법은 상기 방울 도자잔(50)을 거꾸로 위치하게 하여 잔(10) 부분만 유약(71)에 담근 후 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유약(71)의 종류로는 분청 투명유, 투명유, 청자유를 사용한다.
이렇게 유약(71)을 잔(10) 부분에만 시유하고 손잡이(20)에 시유하지 않는 이유는 상기 잔(10)부터 상기 손잡이(20)까지 시유하면 상기 손잡이(20)의 투 각(21)으로 유약(71)이 흘러들어가게 되어 수용공간(24)에 위치하고 있는 도자 방울(30)의 표면에 유약(71)이 묻어 도자 방울(30)이 잔(10)의 밑면이나 손잡이(20)의 내면 또는 받침대(40) 윗면의 어느 한편으로 흡착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듯 방울 도자잔이 유약 안으로 거꾸로 삽입되어 잔 부분만 시유되기 때문에 도자 방울(30)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부가 수단 등이 불필요하며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불량률이 낮아진다.
다음으로, 시유된 상기 방울 도자잔(50)을 다시 가마에 넣고 두번째 소성을 한다(S7). 즉, 상기 방울 도자잔(50)을 가마에 넣고 대략 1230℃ ~ 1250℃에서 13~14시간 동안 가열을 하여 소성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이다.
이때 소성방법은 산화소성과 환원소성으로 구분되는데 선택한 소지의 종류에 따라서 소성방법도 달라진다. 상기 소지 중 매화토를 소지로 선택하면 산화소성을 거치게 되며, 이를 통해 산소가 충분해서 완전히 깨끗하게 연소되는 불에서 소성이 일어난다. 이 여분의 산소는 가마 안의 상기 방울 도자잔(50)의 소지 안에 있는 철분과 결합해서 색깔이 붉은 산화 제2철을 만들기 때문에 소지의 색깔이 붉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지 중 분홍토, 분장도기 옹기토 및 백자토 등을 소지로 선택하면 환원 소성을 거치게 되며, 이를 통해 산소가 부족해서 덜 탄 연료로 시커먼 연기가 나는 불에서 소성이 일어난다. 덜 탄 연료는 산소를 강하게 요구하기 때문에 유약이나 소지 안에 들어있는 산소를 빼앗아서 연소를 하게 되는데 유약이나 소 지에서 산소와 결합해 있던 산화철은 산소를 빼앗기고 원래의 상태(산화 제1철)로 환원하게 되어 소지는 회청색이 된다. 일반적으로 도자기 중 청자의 경우 적은 양의 철분이 포함된 유약이 환원소성에 의해 비취색이 나타나며, 만약 환원이 불완전하게 되면 푸른색이 나타나지 못하고 누런 빛을 띠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제 2 소성단계를 거친 후 상기 방울 도자잔(50)은 하나의 완전한 방울 도자잔(80)으로 완성되고 이 완제품단계(S8)에서의 완제품의 일 실시례는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된 성형단계(S1)부터 제 2 소성단계(S7)까지 모두 거친 방울 도자잔(50)은 놓여지는 바닥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닥과 접촉되는 부분인 받침대(40)의 밑면을 연마하여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 더욱 좋다.
특히 본 발명은 흙을 소지로 한 전통방식의 도자잔 제조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동물뼈(골회)가 포함된 소지를 사용하여 도자잔을 만드는 경우에는 본 차이나(Bone China) 도자잔이 되고, 가볍고 광택이 나며 튼튼한 도자잔이 형성될 수 있고, 약간의 미차(소성조건)은 존재하나 전체과정은 위 실시례와 동일하다.
한편, 이들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아름다운 풍취의 방울 도자잔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울 도자잔을 성형함에 있어 각 구성 부분들인 잔, 손잡이, 방울, 받침대를 서로 독립적으로 성형되도록 하여 제조공정상 어려움을 없애고, 특히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어 성형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도자 방울이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된 각각의 구성부분들을 정형하는 과정 또는 시유하는 과정에서 도자잔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른 구성부분(바닥이나 손잡이 내벽 등)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피복이나 밀봉도구 등의 별도의 수단이나 방법이 수반되지 않음으로써 제조공정상 비용절감 및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고, 불량률 또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간단하고 명료한 프로세스를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원하는 도자기 디자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자 문화의 풍류와 멋을 한층 고양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와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장점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3)

  1. 잔, 손잡이, 받침 및 도자 방울을 모두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하되, 매화토, 분홍토, 분장도기 옹기토, 골회 및 백자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소지로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각각 독립하여 성형된 잔, 손잡이, 받침 및 도자 방울의 소지 외부의 물기를 건조하여, 정형단계에서 상기 도자 방울이 상기 잔, 손잡이 및 받침에 흡착하지 않도록 하는 반건조 단계;
    소지 외부의 물기가 건조된 잔, 손잡이, 받침 및 도자 방울을 하나의 방울 도자잔으로 형성하되, 도자 방울은 잔과 손잡이와 받침대의 결합에 의해 생긴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잔과 손잡이의 접촉 부분, 손잡이와 받침의 접촉 부분에 흙물을 도포하여 서로 맞추는 정형단계;
    정형된 상기 방울 도자잔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완전 건조단계;
    완전건조된 상기 방울 도자잔을 가마에 넣고 소성하는 제 1 소성단계;
    소성된 상기 방울 도자잔을 거꾸로 위치하여 잔 부분만 유약에 담근 후 꺼내는 시유단계; 및
    시유된 상기 방울 도자잔을 다시 가마에 넣고 소성하는 제 2 소성단계;를 포함하는,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투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울 도자잔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가 매화토인 경우에는 산화소성으로, 소지가 분홍토, 분장도기 옹기토 및 백자토인 경우에는 환원소성으로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울 도자잔의 제조 방법.
KR1020060101794A 2006-10-19 2006-10-19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KR10082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794A KR100822883B1 (ko) 2006-10-19 2006-10-19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794A KR100822883B1 (ko) 2006-10-19 2006-10-19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883B1 true KR100822883B1 (ko) 2008-04-17

Family

ID=3957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794A KR100822883B1 (ko) 2006-10-19 2006-10-19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8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596B1 (ko) 2013-07-22 2014-04-30 윤남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5029985A (zh) * 2014-09-17 2015-11-11 廖世芳 泡茶自流装置的制作方法
CN109111200A (zh) * 2017-06-22 2019-01-01 马小林 一种双色紫砂杯制作工艺
KR102374580B1 (ko) * 2020-09-28 2022-03-16 이희복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35567A (ko) * 2020-09-14 2022-03-22 박정규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3025A (ja) 1996-07-31 1998-02-17 Kazuya Kishi 飲食容器
KR19980055901U (ko) * 1998-06-18 1998-10-07 이종관 소리나는 컵
KR19990073207A (ko) * 1999-06-21 1999-10-05 김제훈 소리나는잔
KR20000017209U (ko) * 1999-02-11 2000-09-25 김병석 방울이 내장된 음료용기
KR100387414B1 (ko) 2001-02-28 2003-06-18 반석제로파 주식회사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세라믹 컵의 제조방법
KR20040102658A (ko) * 2003-05-28 2004-12-08 김진학 도자기 표면에 물방울 형상을 형성시키는 도자기용 유약조성물 및 상기 유약 조성물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
KR20050011332A (ko) * 2003-07-22 2005-01-29 박종훈 방울이 구비된 도자 물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3025A (ja) 1996-07-31 1998-02-17 Kazuya Kishi 飲食容器
KR19980055901U (ko) * 1998-06-18 1998-10-07 이종관 소리나는 컵
KR20000017209U (ko) * 1999-02-11 2000-09-25 김병석 방울이 내장된 음료용기
KR19990073207A (ko) * 1999-06-21 1999-10-05 김제훈 소리나는잔
KR100387414B1 (ko) 2001-02-28 2003-06-18 반석제로파 주식회사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세라믹 컵의 제조방법
KR20040102658A (ko) * 2003-05-28 2004-12-08 김진학 도자기 표면에 물방울 형상을 형성시키는 도자기용 유약조성물 및 상기 유약 조성물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
KR20050011332A (ko) * 2003-07-22 2005-01-29 박종훈 방울이 구비된 도자 물품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596B1 (ko) 2013-07-22 2014-04-30 윤남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5029985A (zh) * 2014-09-17 2015-11-11 廖世芳 泡茶自流装置的制作方法
CN109111200A (zh) * 2017-06-22 2019-01-01 马小林 一种双色紫砂杯制作工艺
KR20220035567A (ko) * 2020-09-14 2022-03-22 박정규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KR102443471B1 (ko) 2020-09-14 2022-09-14 박정규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KR102374580B1 (ko) * 2020-09-28 2022-03-16 이희복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43080A (ko) * 2020-09-28 2022-04-05 이희복 백자 잔 및 청자 손잡이가 결합된 도자기잔
KR102383844B1 (ko) * 2020-09-28 2022-04-08 이희복 백자 잔 및 청자 손잡이가 결합된 도자기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883B1 (ko)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CN104193417B (zh) 哥釉与弟釉相结合的青瓷烧制工艺方法
US20140087078A1 (en) Preparation method of yaobian pottery
CN100455549C (zh) 一种铁-钛***粗结晶釉及其制作方法
CN101305884A (zh) 高温无铅釉保健杯及其制作工艺
CN104860652B (zh) 一种烧制建水紫陶的方法
CN104387091A (zh) 一种高档陶瓷釉下彩制造装饰方法
JP3115811U (ja) ワイン用のデキャンタ
CN101779895B (zh) 陶瓷真空保温杯的制作工艺
CN115385661A (zh) 一种彩陶大盘的生产工艺
KR101795226B1 (ko) 분홍색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JP5083728B2 (ja) 陶磁器製品
KR20030017722A (ko) 도자기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N106083010B (zh) 青瓷光面与裂纹面的陶瓷制备方法
CN1040571A (zh) 由陶质唐三彩改进为″两釉结合″的瓷质唐三彩
JP5244057B2 (ja) 人造星砂等の飾りをちりばめた陶磁器の製造方法
CN104622161A (zh) 一种陶瓷垂直战略导弹的酒具导弹装饰造型装置及应用
CN104529418A (zh) 一种含有麦饭石和六环石的陶瓷锅及其制备方法
KR101310719B1 (ko)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CN215777056U (zh) 一种黑釉瓷多用途盖置
US20080035651A1 (en) Wine bottle serving ware and manufacturing process
KR20100100143A (ko) 갈색 유약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선요 제조 방법
JP4148697B2 (ja) 来待石の焼成方法
Preusz Changes in Pottery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 the Post-medieval Period in South Bohemia
KR20090054420A (ko) 도자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