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504B1 - 보턴 사뜨기 재봉틀 - Google Patents

보턴 사뜨기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504B1
KR100822504B1 KR1020070137172A KR20070137172A KR100822504B1 KR 100822504 B1 KR100822504 B1 KR 100822504B1 KR 1020070137172 A KR1020070137172 A KR 1020070137172A KR 20070137172 A KR20070137172 A KR 20070137172A KR 100822504 B1 KR100822504 B1 KR 10082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sewing
sewing machine
needl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300A (ko
Inventor
츠쿠오 쿠보타
타카시 닛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2Slitting or groov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12Machine to the operator; Alarms
    • D05D2205/16Displ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보턴 사뜨기봉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보턴 사뜨기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관한 보턴 사뜨기 재봉틀(20)은 피봉제물을 누르는 천누름부(70)와, 천누름부를 구동하는 누름구동수단(천누름 실린더(86), X축 모터(82), Y축 모터(83))과, 재봉틀암(33)에 착탈가능하게 또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설되는 가동부재(메스받이(51) 또는 천절단 메스(52))와, 누름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PU(1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승위치에 있는 가동부재를 착탈할 때 제어수단이 누름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천누름부를 가동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가동부재의 교환시에 천누름부가 방해가 되지 않아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보턴 사뜨기 재봉틀{A SEWING MACHINE FOR OVERLOCKING BOTTON HOLES}
본 발명은 보턴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보턴구멍의 주연부에 사뜨기봉제를 형성하는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봉제물인 천에 직선모양이나 이른바 아일릿모양의 절개홈(보턴구멍)을 배치하여 이 보턴구멍의 주위에 일련의 사뜨기봉제를 행하는 것으로 보턴 사뜨기봉제를 형성하는 재봉틀(보턴 사뜨기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
이 재봉틀은 통상 피봉제물에 보턴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피봉제물을 상하방향에서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쌍의 천절단 메스 및 메스받이, 피봉제물을 윗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수평면안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천이송대, 피봉제물을 천이송대 윗면에 누름과 동시에 천이송대와 일체로 이동하는 천누름부 등을 구비한다.
도 9와 같이 상기 천누름부(100)는 누름팔(101) 및 이 누름팔의 한쪽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누름발(102)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팔(101)의 다른쪽의 단부는 여 러개의 연결부재(103)를 통해 천이송대(104) 아래쪽의 에어실린더(105)에 연결하고 있고, 에어실린더(105)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누름발(102)을 대략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피봉제물을 천누름부(100)에 의해 천이송대(104)상에 고정한 상태에서 예를들면 재봉틀암측에 부착된 메스받이 및 천절단메스 중 어느 한쪽을 재봉틀 본체측에 부착된 다른쪽을 향해 하강시키는 것으로 피봉제물에 보턴구멍을 형성하는 구조가 된다.
또 최근은 이 메스받이 또는 천절단 메스의 구동을 종래의 솔레노이드 등의 액튜에이터를 대신하여 펄스모터 등의 모터에 의해 행하는 구성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도 알려져 있다.
또 아일릿 사뜨기 봉제를 형성할 수 있는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아일릿부의 주위에 사뜨기 솔기를 형성할 때 바늘봉을 선회시키면서 사뜨기봉제를 형성하는 재봉틀이 알려져 있지만 이와같은 재봉틀에 있어서는 재봉실을 교환할 경우에 이 바늘봉 선회기능을 이용하여 바늘 구멍의 실삽입방향이 작업자측을 향하도록 선회시키는 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작업자가 이 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재봉실의 교환시에 바늘을 선회시키는 것이 행해졌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천누름부는 천절단 메스나 메스받이를 그 좌우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형성하는 보턴구멍의 형상에 맞추어 천절단 메스나 메스받이를 교환할 때 이 천누름부가 방해가 되어 교환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메스받이 또는 천절단 메스의 구동을 천절단 모터에 의해 행하는 구성의 재봉틀에 있어서는 상승위치에 있는 메스받이 또는 천절단메스를 착탈할 때에도 천절단 모터가 통전되어, 재봉틀의 전원을 절단하지 않는 한 장착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메스받이 또는 천절단 메스를 수동으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이것도 교환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재봉실을 교환할 경우에는 새로운 재봉실의 선단을 바늘의 구멍에 지나가게 하는 방법외에 지금까지 사용했던 재봉실을 재봉바늘의 바늘 구멍에 지나게 한 채로 실끼움부로부터 바늘에 이어지는 경로상의 예를들면 실끼움부 부근에서 절단하여 이 절단부와 새로운 재봉실을 묶어 거기까지 사용했던 실의 절단한 부분의 다른쪽의 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새로운 실을 바늘 구멍에 지나게 하여 재봉실을 교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 재봉실을 교환할 때 행했던 바늘봉의 선회는 바늘 구멍의 실삽입방향이 작업자측을 향하도록 바늘봉을 선회시킬 뿐이므로 전자의 방법으로 실을 교환하는 경우는 상황은 좋지만 후자의 방법으로 실을 교환할 경우에는 작업자와 반대 방향으로 실을 잡아당겨야 하므로 극히 작업성이 좋지 않았 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사정을 고려한 것으로 보턴 사뜨기봉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보턴 사뜨기 재봉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턴 사뜨기 재봉틀(20)은 재봉바늘(41)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이동하는 바늘봉(40)과,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누름구동수단(천누름 실린더(86), X축 모터(82), Y축 모터(83))에 의해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하강위치에 있어서 피봉제물의 봉제위치 근방을 누르는 천누름부(70)와, 재봉틀암(33)에 착탈가능하게 또는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동부재(메스받이(51) 또는 천절단 메스(52))를 하강시킴으로써 피봉제물에 보턴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천절단수단(50)으로 봉제물에 보턴구멍을 형성하여 이 보턴구멍의 주위에 사뜨기솔기를 형성하는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천누름부를 상승위치에 있는 가동부재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누름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PU(13))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의하면 상승위치에 있는 가동부재를 착탈할 때 제어수단이 누름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천누름부를 가동부재의 배설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므로 가동부재의 교환시에 천누름부가 방해가 되지 않아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가동부재라 함은 예를들면 직선모양이나 아일릿모양으로 형성된 천절단 메스(다음, 단순히 「메스」라고도 함) 또는 이 메스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메스받이를 가리킨다. 따라서 하강하는 측에는 메스 또는 메스받이 중 어느 것을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메스받이로서는 예를들면 수지제의 탄성을 갖는 부재 등이라도 좋고 또 단순히 메스를 삽통하기 위한 개구를 배치하기만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재봉틀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재 착탈시에 천누름부의 통상동작인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천누름부를 가동부재로부터 멀어지게 하므로 천누름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새로운 장치를 배치할 필요가 없어 재봉틀의 제조원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의하면 재봉틀이 천누름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가동부재 착탈시에 이 장치를 이용하여 천누름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천누름부를 가동부재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천누름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새로운 장치를 배치할 필요가 없어 재봉틀의 제조원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은 상기 가동부재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천절단 구동수단(천절단 모터(85))을 갖고, 상기 제어수단이 천절단 구동수단으로의 통전을 차단하여 가동부재를 수동에 의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의하면 천절단 구동수단으로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가동부재가 수동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가동부재 착탈시에 가동부재를 수동으로 하강시키는 것으로 가동부재의 장착위치 또는 천절단위치의 확인이 가능하여 보턴구멍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은 피봉제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송대(60)를 구비하여, 상기 천누름부가 이송대와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누름구동수단은 이송대가 이동함으로써 천누름부를 가동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은 상기 바늘봉을 바늘봉의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선회수단(선회모터(84))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선회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바늘봉을 바늘봉의 축선을 중심으로 대략 180° 선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재 착탈시에 바늘봉이 바늘봉의 축선을 중심으로 대략 180°선회함으로써 예를들면 재봉틀의 앞쪽에 위치하는 작업자 즉 천이송방향을 따른 방향을 향해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에 있어서는 실을 재봉바늘에 지나가게 할 때 자기 앞쪽에서 지나가게 할 수 있어 실통과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기재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은 재봉바늘(41)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이동하는 바늘봉(40)과,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하강위치에 있어서 피봉제물의 봉제위치근방을 누르는 천누름부(70)와, 상기 바늘봉을 선회시키는 선회수단(선회모터(84))과, 재봉실을 교환할 때 상기 바늘봉을 선회수단에 의해 180°선회시키는 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수단(교환모드 키(90d))을 구비한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이 조작될 때 마다 상기 바늘봉을 180°반전시키도록 상기 선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PU(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의하면 재봉실을 교환할 때 조작수단을 조작할 때마다 바늘봉을 180°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의 교환방법에 따른 방향으로 바늘을 향하게 할 수 있어 실교환작업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즉 새로운 재봉실의 선단을 바늘구멍에 지나게 하여 재봉실을 교환할 경우는 바늘 구멍의 실삽입측을 작업자 방향을 향해 실통과를 할 수 있어 지금까지 사용했던 실에 새로운 실을 묶어 재봉실을 교환할 경우는 바늘구멍의 실삽입측과는 반대측, 즉 인장실이 나오는 측을 작업자의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실을 인장할 수 있어 실의 교환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은, 상기 메스받이와 천절단 메스가 재봉틀암과 재봉틀 베드에 상하로 대향하여 착탈가능하게 배치되고 최소한 천절단메스와 메스받이 중 어느 한쪽을 상하이동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천절단 메스 또는 메스받이를 착탈할 때 상기 천절단모터로의 통전을 차단하여 천절단 메스 또는 메스받이를 수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어수단(CPU(13))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의하면 천절단 모터로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천절단 메스 또는 메스받이를 수동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가동부재를 장착할 때 천절단 메스 또는 메스받이를 서로 가까운 위치까지 수동으로 다가가게 하는 것으로 천절단 메스 또는 메스받이의 서로의 위치관계를 확인할 수 있어 보턴구멍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1기재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의하면 재봉실을 교환할 때 조작수단을 조작할 때마다 바늘봉을 180°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의 교환방법에 따른 방향으로 바늘을 향하게 할 수 있어 실교환작업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즉 새로운 재봉실의 선단을 바늘구멍에 지나게 하여 재봉실을 교환할 경우는 바늘 구멍의 실삽입측을 작업자 방향을 향해 실통과를 할 수 있어 지금까지 사용했던 실에 새로운 실을 묶어 재봉실을 교환할 경우는 바늘구멍의 실삽입측과는 반대측, 즉 인장실이 나오는 측을 작업자의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실을 인장할 수 있어 실의 교환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다음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보턴 사뜨기 재봉틀(2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4와 같이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방향이라 함는 바늘봉(40)의 축방향을 가리키고, 전후방향이라 함은 천이송방향을 가리키며, 좌우방향이라 함은 수평면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도 1 및 도 5와 같이 사뜨기 재봉틀(20)(다음 단순히 「재봉틀(20)」이라고도 함)은 재봉틀 프레임(30), 바늘봉(40), 천절단수단(50), 이송대(60), 천누름부(70), 각종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구동부(80)를 구비하고, 제어장치(제어수단)(10)가 구동부(80)의 각 종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조가 된다.
재봉틀 프레임(30)은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모양을 이루는 베드부(31), 베드 부(31)의 뒤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기립하는 종동부(32), 종동부(32)의 상부측으로부터 앞쪽으로 뻗어나오는 재봉틀암(33) 등으로 개략 구성된다. 그리고 이 재봉틀 프레임(30)의 내부에 재봉틀(20)을 구성하는 각종 기구(바늘 봉(40), 천절단 수단(50), 이송대(60), 천누름부(70) 등)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80)(후술하는 주축모터(81), X축 모터(82) 등)를 격납하고 있다. 또한 구동부(80)에 의한 각종 기구의 구체적인 구동방법에 대해서는 주지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바늘봉(40)은 재봉틀 암(33)의 선단부분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그 하단부분에 있어서 재봉바늘(41)을 지지하며, 재봉바늘(41)과 일체로 상하이동, 좌우방향으로의 요동, 축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천절단 수단(50)은 천에 보턴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되고, 가동부재로서의 메스받이(51)와, 고정 천절단부재로서의 천절단메스(52)를 구비한다.
메스받이(51)는 재봉틀 암(33)의 하면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배치되고 재봉틀암(33) 내부에 격납되는 천절단모터(8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메스받이(51)는 형성하는 보턴구멍의 형상에 대응하여 여러개 준비되어 재봉틀 암(33)측에 착탈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호 51a는 메스받이(5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나사이다.
천절단 메스(52)는 베드부(31)에, 메스받이(51)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들 메스받이(51)와 천절단 메스(52)사이에 천을 배치한 상태에서 메스받이(51)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천절단 메스(52)와 합치시키는 것으로 천에 소정 형상의 보턴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송대(60)는 그 윗면에 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천을 전후좌우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송대(60)는 얇은 직사각형 모양의 상자체를 이루고, 후술하는 X축 모터(82), Y축 모터(83)에 연결되어 제어장치(10)가 이들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송대(60)에 올려놓은 천의 소정위치에 보턴구멍을 형성할 수 있고 또 보턴 사뜨기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이송대(60)의 윗면에는 오른쪽 이송판(61) 및 왼쪽 이송판(62)이 전후방향으로 뻗는 재봉틀의 축선(재봉바늘(41)의 상하궤적을 지난 전후방향의 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배치된다.
천누름부(70)는 오른쪽 천누름부(71)와 왼쪽 천누름부(72)를 구비하여 이들 오른쪽 천누름부(71) 및 왼쪽 천누름부(72)에 의해 천을 이송대(60)로 밀어부침과 동시에 이송대(60)와 일체로 이동하는 부재이다. 또한 오른쪽 천누름부(71)와 왼쪽 천누름부(72)는 재봉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축선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구비하므로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는 오른쪽 천누름부(7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오른쪽 천누름부(71)는 누름팔(71a) 및 누름발(71b)을 구비한다.
누름팔(71a)은 이송대(60)에 배치되는 지지부(63)에 축지지된다. 그리고 누름팔(71a)의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의 판체인 누름발(71b)을 축지지하고, 다른쪽의 단부에 있어서 여러개의 연결부재를 통해 이송대(60) 아래쪽에 배 치되는 천누름 실린더(86)에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천누름 실린더(86)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오른쪽 천누름부(71)를, 축(63a)을 중심으로 하여 천이송면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오른쪽 천누름부(71)를 더욱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상태 즉 도 2에 있어 축(63a)을 중심으로 하여 누름팔(71a)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 있어서 누름발(71b)과 천이송대(60) 윗면의 오른쪽 이송판(61)이 접촉하는 구조가 된다.
천누름부(70)가 이와같은 구조를 구비하므로 보턴구멍 형성시에 천의 보턴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의 좌우양측을 누를 수 있고 또 보턴 사뜨기봉제시에 형성된 보턴구멍의 좌우양측을 누른 상태에서 천이송대(6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X축 모터(82), Y축 모터(83), 선회모터(84), 천절단모터(85)의 각각에는 원점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X축 원점센서(82b), Y축 원점센서(83b), 선회 원점센서(84b), 천절단 원점센서(85b)가 배치된다.
다음에 도 5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제어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장치(10)는 ROM(11), RAM(12), CPU(13)등으로 이루어진다.
제어장치(10)에는 인터페이스(I/F)(14)를 통해 조작패널(90), 누름 스위치(91), 스타트 스위치(92)가 접속되고 또 주축모터(81), X축 모터(82), Y축 모터(83), 선회모터(선회수단)(84), 천절단 모터(천절단 구동수단)(85), 천누름 실린더(86)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80)의 각종 액튜에이터가 접속된다.
또 인터페이스(14)와 주축 모터(81), X축 모터(82), Y축 모터(83), 선회모터(84), 천절단 모터(85) 사이에는 각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축 모터구동회 로(81a), X축 모터구동회로(82a), Y축 모터구동회로(83a), 선회모터 구동회로(84a), 천절단 모터구동회로(85a)가 개재하고, 인터페이스(14)와 천누름 실린더(86) 사이에는 천누름 실린더 구동전자밸브(86a)가 개재하고 있다.
또 제어장치(10)에는 인터페이스(14)를 통해 X축 원점센서(82b), Y축 원점센서(83b), 선회원점센서(84b), 천절단 원점센서(85b)가 접속된다.
ROM(11)은 구동부(80)의 각종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다.
RAM(12)은 미리 설정되는 각 봉제형상(봉제패턴)에 대응한 후술하는 여러개의 패턴데이터를 격납하고 또 조작패널(90)로 패턴데이터가 변경된 경우는 변경된 패턴데이터를 기억한다. 또 RAM(12)은 상기 구동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CPU(13)에 의해 산출된 예를들면 솔기에 관한 천이송량 등에 관한 데이터(솔기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패턴데이터라 함은 예를들면 봉제길이, 바늘 수 등의 보턴 사뜨기봉제를 형성하는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일련의 설정데이터를 가리킨다. 또한 이들 데이터는 조작패널(90)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CPU(13)는 설정된 패턴데이터 및 구동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각 바늘낙하점에서 천이송량이나 바늘의 선회량 등으로 이루어지는 솔기데이터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 솔기데이터를 기초로 각 구동회로를 통해 각 모터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CPU(13)는 예를들면 실절단이나 루퍼 등, 재봉틀(20)의 다른 구성부품에 대한 구동제어나, 이들 구성부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확인 등도 행한다.
조작패널(90)에는 도 6과 같이 각 봉제패턴마다 정해지는 패턴넘버를 선택하여, 표시하기 위한 패턴넘버 조작부(90a), 선택된 봉제패턴의 패턴데이터를 표시하고, 필요하다면 패턴데이터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 조작부(90b), 보턴 사뜨기봉제에 관한 각종 데이터 설정후, 준비상태로 하기 위한 준비키(90c), 메스받이(51)나 실(S)의 교환시에 선택되는 교환모드 키(90d)가 배치된다.
누름스위치(91)는 천누름부(70)를 상하이동시킬 때 선택되는 스위치이다.
스타트 스위치(92)는 보턴 사뜨기봉제를 실행할 때 선택되는 스위치이다.
주축 모터구동회로(81a)는 주축모터(81)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바늘봉(40), 루퍼의 구동기구를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또한 주축모터(81)에는 바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므로 후술과 같이 CPU(13)에 의해 산출된 솔기데이터를 기초로 바늘위치에 동기한 이송대(60)의 이동이나, 바늘봉(40) 및 루퍼의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X축 모터구동회로(82a)와 Y축 모터구동회로(83a)는 각각 X축 모터(82)와 Y축 모터(83)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송대(60)의 X축 방향(좌우방향)과 Y축 방향(전후방향)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선회 모터구동회로(84a)는 예를들면 아일릿 사뜨기 솔기의 아일릿부분 등, 솔기를 방사모양으로 형성할 때 바늘봉(40) 및 루퍼를 회전시키기 위해 선회모터(8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천절단 모터구동회로(85a)는 천절단 모터(85)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메 스받이(51)를 상하이동하기 위해 배치된다. 이 구동회로(85a)는 CPU(13)로부터 출력되는 모터전류 오프신호를 받아 천절단 모터(85)로의 공급전류를 차단(오프)한다. 이와같이 천절단 모터(85)로의 전류가 차단된 경우는 천절단 모터(85)에 연결하는 메스받이(51)를 수동에 의해 상하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 도 4와 같이 플리(87)는 이 때 메스받이(51)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연결기구에 의해 메스받이(51)에 연결되며 천절단모터(85)로의 공급전류가 차단되었을 때 손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메스받이(51)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제어장치(10)에 의한 재봉틀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하는 메인루틴에 있어서 조작패널(90)의 패턴넘버 조작부(90a) 및 데이터 조작부(90b)에서 보턴 사뜨기봉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설정한다(스텝 S100).
다음에 준비키(90c)의 조작을 감시하여(스텝 S101), 여기서 준비키(90c)가 온조작되는(YES) 경우는 천누름부(70)가 하강하여 이송대(60) 윗면에 접촉한 상태가 되며(스텝 S102), 스텝 S103으로 이동한다. No인 경우는 스텝 S100으로 되돌아 가 재차 데이터설정이 가능하게 되고, 준비키(90c)가 온조작될 때 까지 대기상태가 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각 원점센서에 의해 천이송대(60), 바늘 봉(40), 루퍼, 메스받이(51) 등의 원점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원점검색이 행해진다.
그리고 스텝 S104에 있어서 천을 이송대(60)에 셋트하기 쉽도록 이송대(60)를 앞쪽에 설정되는 이른바 셋트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스텝 S105에 있어서 천누름부(70)를 상승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재봉틀(20)을 측면에서 본 경우에 메스받이(51)는 상승위치에 있고, 천누름부(70)의 누름팔(71a)이 메스받이(51), 특히 부착나사(51a)에 겹친 상태가 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교환모드키(90d)의 조작을 감시하여 즉 교환모드키(90d)가 온조작되지 않은(No) 경우, 천절단대나 재봉바늘(41)의 교환의 필요가 없는 경우는 스텝 S108로 이동한다. 또 YES인 경우, 즉 교환모드키(90d)가 온조작된 경우는 도 8에 도시하는 교환모드 서브루틴으로 이동한다(스텝 S107).
교환모드 서브루틴에서는 도 2와 같이 우선 천누름부(70)가 하강하고(스텝 S200), 이송대(60)는 뒤쪽에 설정되는 원점위치까지 이동함과 동시에 바늘봉(40) 및 루퍼가 원점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대략 180°선회하여(스텝 S201), 천절단 모터(85)의 전류를 오프한다(스텝 S202). 그리고 교환모드키(90d)의 조작을 감시한다(스텝 S203).
이 동안 작업자는 메스받이(51)와 함께 재봉바늘(41)이나 재봉실(S)을 교환한다. 또한 천절단모터(85)의 전류는 오프가 되므로 상승위치에 있는 메스받이(51)를, 플리(87)를 손으로 감는 것으로 수동으로 상하이동시켜 메스받이(51)의 장착위치 또는 천절단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교환작업 종료중 원하는 재봉실의 변경방법에 대응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바늘봉(40)의 방향을 다시 선회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스텝 S203에 있어서 교환모드 키(90d)를 온조작한다. 또 바늘봉(40)의 방향을 선회시킬 필요가 없는 교환모드키(90d)는 온조작되지 않고 스텝 S207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204에 있어서 바늘봉(40)이 원점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 바늘봉(40)이 원점위치에 있는(Yes) 경우는 바늘봉(40)을 축방향으로 대략 180도 선회시킨다(스텝 S205). 그리고 바늘봉(40)이 원점위치에 없고 180도 선회한 위치에 있는(No) 경우는 바늘봉(40)을 원점위치까지 선회시킨다(스텝 S206)(도 3참조).
이와같이 스텝 S203에 있어서 교환모드키(90d)를 온조작할 때 마다 바늘봉(40)을 대략 180도 반전시키는 지령신호가 출력되고 그에 따라 바늘봉(40)이 180도 반전하므로 작업자는 재봉바늘(41)의 교환이나 실(S)의 교환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스텝 S207에서는 준비키(90c)의 조작이 감시되어 준비키(90c)가 온조작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03으로 복귀하고, 준비키(90c)가 온조작될 때 까지 대기상태가 된다.
그리고 준비키(90c)가 온조작되면 천절단 모터(85)에 전류가 공급되어(스텝 S208) 교환후의 메스받이(51)에 대한 원점위치의 검색이 행해진다(스텝 S209).
그리고 이송대(60)를 다시 셋트위치까지 이동시킴과 동시에 바늘봉(40) 및 루퍼를 원점위치까지 선회시킨다(스텝 S210). 또한 스텝 S210에 있어서 바늘봉(40) 및 루퍼가 원점위치에 있는 경우는 선회되지 않는다.
그 후 천누름부(70)를 상승시키는 것으로(스텝 S211), 교환모드 서브루틴이 종료하고 스텝 S106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스텝 S106에 있어서 교환모드키(90d)가 온조작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08에 있어서 누름스위치(91)의 조작을 감시한다. 그리고 누름스위치(91)가 온조작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06으로 이동하여 누름스위치(91)가 온조작될 때 까지 대기상태가 되며, 누름스위치(91)가 온조작되면 천누름부(70)가 하강하여 천을 누름대에 밀어붙인다(스텝 S109). 또한 이 시점까지 셋트위치에 있는 이송대(60)에 천을 셋트해 둔다.
이 시점에서 천을 재셋트하고자 하는 경우는 스텝 S110에 있어서 누름스위치(91)가 온조작되어 천누름부(70)가 상승하고(스텝 S111) 스텝 106으로 되돌아 온다.
그리고 스텝 S110에 있어서 누름스위치(91)가 온조작되지 않은 경우는 스타트스위치(92)의 조작을 감시한다(스텝 S112).
스텝 S112에 있어서 스타트 스위치(92)가 온조작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10으로 되돌아 가 스타트 스위치(92)가 온조작될 때 까지 대기상태가 되고, 스타트 스위치(92)가 온조작된 경우는 메스받이(51)를 하강시켜 이송대(60)에 밀려진 상태의 천에 보턴구멍을 형성하여 보턴 사뜨기 봉제를 실행하며(스텝 S113), 보턴 사뜨기 봉제 완료후 스텝 S114로 이행한다.
스텝 S114에 있어서 이송대(60), 바늘봉(40), 루퍼 등은 보턴 사뜨기봉제가 완료한 시점의 위치에 존재하므로 이송대(60)를 셋트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바 늘봉(40)과 루퍼를 원점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천누름부(70)를 상승시켜(스텝 S115) 스텝 S106으로 되돌아 간다.
이상으로 재봉틀의 제어장치(10)에 의한 일련의 제어가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턴 사뜨기 재봉틀(20)에 의하면 메스받이(51)를 교환할 때 교환모드키(90d)를 온조작하는 것 만으로 천누름부(70)가 아래쪽 즉 측면에서 본 경우에 천누름부(70)가 메스받이(51), 특히 부착용 나사(51a)와 겹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송대(60)가 원점위치까지 이동하고, 이송대(60)에 배치되는 천누름부(70)가 메스받이(51)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메스받이(51)의 교환시에 천누름부(70)가 방해가 되지 않아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천누름부(70)가 하강함과 동시에 이송대(60)의 원점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천누름부(70)가 재봉바늘(41)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실교환작업이나 실통과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천누름부(70)를 이동시키기 위한 새로운 장치를 배치할 필요가 없고 통상의 보턴 사뜨기 재봉틀이 구비되는 일반적인 이송대(60)를 이용하여 천누름부(70)를 메스받이(51)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재봉틀의 제조원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메인루틴에서의 교환모드키(90d)의 온조작에 의해 바늘봉(40)이 축방향으로 거의 180도 선회한다. 따라서 통상 재봉틀(20)의 앞쪽에 위치하는 작업자는 예를들면 재봉바늘(41)에 실(S)을 지나가게 할 때 앞쪽으로부터 통과하게 할 수 있어 실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교환모드 서브루틴에서의 교환모드키(90d)의 온조작마다 바늘봉(40)을 축방향으로 180도 반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실(S)을 교환할 때 지금까지 사용했던 실(S)을 재봉바늘(41)에 지나가게 한 상태로 그 실(S)의 경로상의 예를들면 실끼움부 부근을 절단하여 절단한 부분과 새로운 실(S)의 단부를 묶고 지금까지 사용했던 실(S)의 절단한 부분의 다른쪽의 단부를 인장하는 것으로 새로운 실(S)을 재봉바늘(41)에 지나게하는 경우에도 예를들면 재봉바늘(41)을 원하는 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재봉실(S)을 인장하는 방향을 인장하기 쉬운 방향(도 3의 화살표 A방향)이 가능하게 되어 실교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천절단 모터(85)의 전류 오프에 의해 메스받이(51)는 수동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므로 예를들면 메스받이(51)를 천절단 메스(52)에 가까운 위치까지 수동으로 하강시키는 것으로 천절단 메스(52)와의 위치의 확인이 가능하여 보턴구멍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턴 사뜨기 재봉틀(20)이 이송대(60)를 구비하고, 이 이송대(60)와 함께 천누름부(70)가 이동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대(60)를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메스받이(51)의 교환시에 천누름부(7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교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부재로서의 메스받이(51)와, 고정부재로서의 천절단 메스(52)가 배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부재로서의 천절단 메스(52)와, 고정부재로서의 메스받이(51)가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좋 다.
또 메스받이(51)의 교환시에 천누름부(70)가 하강하고, 또한 이송대(60)가 원점위치로 이동할 때 또는 천절단 모터(85)로의 통전을 차단할 때 교환모드키(90d)를 조작할 때 마다 바늘봉(40)을 180도 반전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천누름부(70)나 이송대(60)의 이동 및 천절단 모터(85)로의 통전을 차단시키지 않아 교환모드키(90d)를 조작할 때 마다 바늘봉(40)이 180도 반전하도록만 해도 좋다.
또 메스받이(51)의 교환시에 천누름부(70)가 하강하고 또한 이송대(60)가 원점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천누름부(70)나 이송대(60)가 이동하지 않고 천절단 모터(85)의 전류오프에 의해 메스받이(51)를 수동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으며, 또 이 때 바늘봉(40)을 선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보턴 사뜨기봉제의 순서를 문제삼지 않는다. 즉 천에 보턴구멍을 형성한 후 보턴구멍의 주위에 사뜨기를 실시하는 이른바 선메스나 천의 소정의 장소에 사뜨기봉제를 실시한 후 보턴구멍을 형성하는 이른바 후메스인 지를 상관하지 않는다.
또 제어장치(10)에 의한 보턴 사뜨기 재봉틀(20)의 제어방법은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 요지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의 요부 측면도.
도 2는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의 요부 측면도.
도 3은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의 요부 측면도.
도 4는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의 요부 정면도.
도 5는 재봉틀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조작패널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재봉틀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8은 재봉틀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9는 일반적인 천누름부 및 천이송대를 도시하는 요부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수단(CPU) 20: 보턴 사뜨기 재봉틀
33: 재봉틀 암 40: 바늘봉
41: 재봉바늘 50: 천절단 수단
51: 메스받이 52: 천절단 메스
60: 이송대 70: 천누름부
82: X축 모터 83: Y축 모터
84: 선회수단(선회모터)
85: 천절단 구동수단(천절단 모터)
86: 천누름 실린더 90d: 조작수단(교환모드 키)

Claims (1)

  1. 재봉바늘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이동하는 바늘봉과,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하강위치에 있어서 피봉제물의 봉제위치근방을 누르는 천누름부와, 상기 바늘봉을 선회시키는 선회수단과, 재봉실을 교환할 때 상기 바늘봉을 선회수단에 의해 180°선회시키는 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수단을 구비한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이 조작될 때 마다 상기 바늘봉을 180°반전시키도록 상기 선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턴 사뜨기 재봉틀.
KR1020070137172A 2001-04-13 2007-12-26 보턴 사뜨기 재봉틀 KR100822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5723 2001-04-13
JP2001115723A JP5142426B2 (ja) 2001-04-13 2001-04-13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917A Division KR100850384B1 (ko) 2001-04-13 2002-04-12 보턴 사뜨기 재봉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300A KR20080007300A (ko) 2008-01-18
KR100822504B1 true KR100822504B1 (ko) 2008-04-17

Family

ID=189665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917A KR100850384B1 (ko) 2001-04-13 2002-04-12 보턴 사뜨기 재봉틀
KR1020070137172A KR100822504B1 (ko) 2001-04-13 2007-12-26 보턴 사뜨기 재봉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917A KR100850384B1 (ko) 2001-04-13 2002-04-12 보턴 사뜨기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42426B2 (ko)
KR (2) KR100850384B1 (ko)
CN (1) CN100395393C (ko)
DE (2) DE1026221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9221B2 (ja) * 2004-06-17 2009-1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722510B2 (ja) * 2005-03-07 2011-07-13 Juki株式会社 ミシン
DE102005021768A1 (de) * 2005-05-11 2006-11-16 Dü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JP4899792B2 (ja) * 2006-10-30 2012-03-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鳩目穴かがりミシン及び、鳩目穴かがりミシンプログラム
JP2008295858A (ja) 2007-06-01 2008-12-11 Juki Corp ミシン
JP5438482B2 (ja) * 2009-12-03 2014-03-12 Juki株式会社 ミシン、ミシンの縫製データ編集装置及びミシンの縫製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JP6247082B2 (ja) * 2013-11-21 2017-12-13 Juki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CN110318173A (zh) * 2018-03-30 2019-10-11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冲缝一体机
JP7262311B2 (ja) * 2019-06-04 2023-04-21 Juki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
CN110079938B (zh) * 2019-06-05 2024-05-28 舒普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衣襟缝纫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635A (ja) * 1991-05-27 1993-05-14 Brother Ind Ltd 穴かがりミシン
JP2000024346A (ja) 1999-07-02 2000-01-25 Juki Corp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1038079A (ja) 1999-07-28 2001-02-13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装置
KR100402537B1 (ko) 1998-05-25 2003-10-22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단추구멍 재봉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300984A (ko) * 1962-12-07
JPH04261695A (ja) * 1991-02-16 1992-09-17 Brother Ind Ltd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3128963B2 (ja) * 1992-06-26 2001-01-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の布開き装置
JPH0667565A (ja) * 1992-08-17 1994-03-11 Minolta Camera Co Ltd 作像装置
JPH06154461A (ja) * 1992-11-24 1994-06-03 Araco Corp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2587588Y2 (ja) * 1993-10-18 1998-12-16 ジューキ株式会社 鳩目穴切り込み装置
JP3670065B2 (ja) * 1995-07-24 2005-07-13 ジューキ株式会社 押え切断装置
JPH09294884A (ja) * 1996-05-08 1997-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穴かがりミシン
DE19716629C1 (de) * 1997-04-21 1998-08-20 Due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mit mehreren Schneidblöcken
JP4026886B2 (ja) * 1997-06-27 2007-12-26 Juki株式会社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3980175B2 (ja) * 1998-05-25 2007-09-26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布切りメス制御装置
DE19916660C1 (de) * 1999-04-14 2000-06-21 Due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JP2000317160A (ja) * 1999-05-06 2000-11-21 Juki Corp ミシンの縫製部旋回装置
JP4336418B2 (ja) * 1999-05-07 2009-09-30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布切り装置
JP2001038083A (ja) * 1999-08-03 2001-02-13 Brother Ind Ltd 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ボタン穴形成装置
JP2001087584A (ja) * 1999-09-22 2001-04-03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昇降装置
DE10028242C1 (de) * 2000-05-26 2001-11-08 G M Pfaff Ag I I Knopflochnähmaschine mit einer Bewegungssperre für das Knopflochmes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635A (ja) * 1991-05-27 1993-05-14 Brother Ind Ltd 穴かがりミシン
KR100402537B1 (ko) 1998-05-25 2003-10-22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단추구멍 재봉기
JP2000024346A (ja) 1999-07-02 2000-01-25 Juki Corp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1038079A (ja) 1999-07-28 2001-02-13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15012A1 (de) 2002-11-07
DE10215012B4 (de) 2007-04-12
CN100395393C (zh) 2008-06-18
CN1381627A (zh) 2002-11-27
JP5142426B2 (ja) 2013-02-13
DE10262216B4 (de) 2008-11-20
KR20080007300A (ko) 2008-01-18
KR100850384B1 (ko) 2008-08-04
KR20020079597A (ko) 2002-10-19
JP2002306875A (ja) 200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504B1 (ko) 보턴 사뜨기 재봉틀
JP5073272B2 (ja) ミシン
JP2008295742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000300874A (ja) ボタン孔ミシン
US5222449A (en) Sewing machine capable of forming a buttonhole in a work piece
JP2007252740A (ja) 穴かがりミシン
KR100801339B1 (ko) 사뜨기 재봉틀
JP2005130888A (ja) 自動縫製装置
JP2010188106A (ja) ボタン付け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6861934B2 (ja) 縫い終わり端検知自動停止装置付きミシン
JP2008220920A (ja) 玉縁縫いミシン
JP4441034B2 (ja) 玉縁縫い装置の上糸切断装置。
JP6108689B2 (ja) ミシン
JP4650169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2006020757A (ja) 刺繍縫製可能なミシン
JP4681765B2 (ja) ミシンの布ガイド装置及びミシン
JP5318900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003088695A (ja) ミシンの制御装置及びミシンの布切断装置
JP2020000731A (ja) ミシン
KR100961344B1 (ko) 단춧구멍 만들기 재봉기
JP3254647B2 (ja) 自動糸切り機構付きミシン
JP373774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H11333172A (ja)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JP4522540B2 (ja) 穴かがりミシンの制御装置
JP2003320188A (ja) ヘム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