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641B1 -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641B1
KR100821641B1 KR1020070065110A KR20070065110A KR100821641B1 KR 100821641 B1 KR100821641 B1 KR 100821641B1 KR 1020070065110 A KR1020070065110 A KR 1020070065110A KR 20070065110 A KR20070065110 A KR 20070065110A KR 100821641 B1 KR100821641 B1 KR 10082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alking
support
senso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혁
공정식
이동광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6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6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forearm rests, i.e. for non-us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5Impedance, e.g. skin conductivity; capacitance, e.g. galvanic skin response [GSR]
    • A61H2230/655Impedance, e.g. skin conductivity; capacitance, e.g. galvanic skin response [GSR]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행보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유연한 보행 보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파악하는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팔꿈치와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를 지지하며 바퀴(25)가 구비되는 프레임부(20)와,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파악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32)와 FRS센서(38)가 구비되는 핸들바(30)와, 상기 핸들바(30)로부터 파악된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이용하여 보행보조기의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서 주행을 목적으로 손을 잡는 핸들바 부분에 정전용량센서와 FRS센서를 구비하여, 힘을 지탱하고 힘을 가하는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보행보조기가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위험상황 발생시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가 좀 더 효율적으로 보행보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를 통해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행보조기, 핸들바, 정전용량센서, FRS센서

Description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Apparatus for handlebar of walking assist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제어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정전용량 검출방법을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정전용량 검출센서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FRS센서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필터처리 전후의 FRS센서 측정 데이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 보조기의 FRS센서의 복원력 측정 데이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구동을 위한 모델링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지지부 11 : 제1지지대
12 : 지지봉 13 : 연결대
14 : 제2지지대 20 : 프레임부
21 : 수직봉 22 : 수평봉
23 : 지지블럭 24 : 스티어링
25 : 바퀴 30 : 핸들바
31 : 손잡이 32 : 정전용량센서
33 : 손잡이덮개 34 : 상부몸체
35 : 하부몸체 36 : 고정축
37 : 센서지지구 38 : FRS센서
39 : 연결플레이트 40 : 제어부
41 : DSP모듈 42 : DSP
43 : 모터드라이버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보행보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유연한 보행 보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파악하는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19년이면 인구의 14%가 65세 이상인 이른바 고령(高齡) 사회에 접어들게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이른바 실버산업(Silver industry)이 급증하고 있다. 지금까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어온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실버산업이 발달하였으나, 주로 복지시설 및 서비스 프로그램에 치중했지만 능동적이고 생산적인 활동을 원하고 발전된 정보화 지식을 갖춘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학적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약화된 노인의 보행 능력을 보조하고 이동 중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능형 보행보조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지 근력이 저하된 노인 또는 신체 장애자들의 이동을 위해서 전동휠체어에 구비되는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운전을 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동휠체어와 같이 단지 손목의 약한 힘만으로도 강한힘을 낼 수 있는 구동방식은 노약자 또는 신체 장애자들에게 보행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구동방식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보행보조기에서 주행을 목적으로 손을 잡는 핸들바 부분에 힘을 지탱하고 힘을 가하는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보행보조기가 판단하고, 힘의 크기에 따라 방향 및 속도가 결정되도록 정전용량센서(비접촉센서)와 FRS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 및 위험상황 발생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사용자의 팔꿈치를 지지하는 ⊂형상의 제1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대 양측 전후단에는 하부로 체결공이 다수형성되는 지지봉이 삽입되고, 상기 지지봉 일측 상부에 연결대가 내측으로 구비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가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봉이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봉이 전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전단 수직봉에는 삽입부재로 고정되어 지지블럭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수평봉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블럭과 전후단 수직봉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블럭에 스티어링이 구비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1지지대 양측 전단부에 볼트로 고정되며, 개구부와 체결공이 형성되는 상부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부몸체가 연결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개구부로 정전용량센서와 손잡이덮개가 결합되는 손잡이가 삽입되어 상부몸체의 제1체결공에 고정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몸체에는 FRS센서가 삽입되는 센서지지구가 볼트로 체결되는 핸들바와; 상기 수평봉에는 상기 핸들바의 정전용량센서와 FRS센서 신호를 전기적으로 입력받아 바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수직봉은 상기 지지봉의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봉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조임너트로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전후단 수직봉에 구비되며, 상기 전후단 고정부재 내측에는 연결봉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봉에 볼트로 고정되는 DSP모듈과 DSP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 상단에는 DSP에 의해 바퀴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가 구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정전용량 검출방법을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정전용량 검출센서의 회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FRS센서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필터처리 전후의 FRS센서 측정 데이터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FRS센서의 복원력 측정 데이터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구동을 위한 모델링도이 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로써, 사용자의 팔꿈치와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를 지지하며 바퀴(25)가 구비되는 프레임부(20)와,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파악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32)와 FRS센서(38)가 구비되는 핸들바(30)와, 상기 핸들바(30)로부터 파악된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이용하여 보행보조기의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0)는 사용자의 팔꿈치를 지지하는 ⊂형상의 제1지지대(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대(11) 양측 전후단에는 하부로 체결공(121)이 다수형성되는 지지봉(12)이 삽입되고, 상기 지지봉(12) 일측 상부에 연결대(13)가 내측으로 구비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14)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부(20)는 상기 지지봉(12)이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봉(21)이 전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전단 수직봉(21)에는 삽입부재(221)로 고정되어 지지블럭(23)에 체결부재(222)로 고정되는 수평봉(2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블럭(23)과 전후단 수직봉(21) 하부에는 쇼크업소버(251)가 부착되는 바퀴(25)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블럭(23)에 조향장치인 스티어링(24)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봉(21)은 상기 지지봉(12)의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봉(12)에 형성되는 체결공(121)에 조임너트(213)로 고정되는 고정부재(211)가 전후 단 수직봉(21)에 구비되며, 상기 전후단 고정부재(211) 내측에는 연결봉(212)으로 연결된다.
상기 핸들바(30)는 도 2와 도 3의 사시도 및 분해도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11) 양측 전단부에 볼트(B)로 고정되며, 개구부(341)와 체결공(342,343)이 형성되는 상부몸체(34)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34) 하부에는 안착부(351)가 형성되는 하부몸체(35)가 연결플레이트(39)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플레이트(39)에 형성되는 통공(391)과 하부몸체(35)에 형성되는 통공(352)에 볼트(B)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상부몸체(34)의 개구부(341)로 정전용량센서(32)와 손잡이덮개(33)가 결합되는 손잡이(31) 하부의 ∨형상을 갖는 삽입구(312)가 삽입되어, 상기 삽입구(312)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공(311)이 상기 상부몸체(34)에 형성되는 제1체결공(342)에 일치되어 고정축(36)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3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고정부재(36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35)에는 FRS센서(38)가 우레탄재질로 형성되는 전후 한 쌍의 댐퍼(381) 사이에 삽입되어 삽입구(371)가 형성되는 센서지지구(37) 상단 홈으로 구부러져 상기 하부몸체(35) 상단의 삽입홈(353)에 위치하여 연결플레이트(39)로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센서지지구(37)는 내측을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35)의 바닥면에 볼트(B)로 체결된다.
상기 핸들바(30)는 사용자의 손을 잡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손잡이(31)는 정전용량센서(32)를 사용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9)는 한 겹 또는 여러 겹으로 쌓을 수 있으며, 고정축(36)과 FRS센서(38)의 거리를 조정할 때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40)는 도 4의 제어블록도와 같이, 상기 핸들바(30)의 정전용량센서(32)와 FRS센서(38) 신호를 전기적으로 입력받아 바퀴(25)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평봉(22)에 볼트(B)로 고정되는 DSP모듈(41)과 DSP(42)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25) 상단에는 DSP(42)에 의해 바퀴(25)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43)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드라이버(43)는 스티어링모터로 구동되는 앞바퀴와 좌측휠모터로 구동되는 좌측바퀴 및 우측휠모터로 구동되는 우측바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보조기에 접근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보행보조기를 사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정전용량센서(32)와, 보다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파악할 수 있는 FRS센서(38)가 구비되는 핸들바(30)를 통해 사용자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핸들바(30)의 정전용량센서(32)와 FRS센서(38)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보조기 사용 여부를 능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정전용량센서(32)는 정전용량 검출방식 근접센서 U1(QT113H)를 사용하여 금속판의 모양을 차폐시키지 않고 무지향성으로 구비되며, 감지거리는 약 5~10㎝이며, 상기 감지거리는 C1(47uF)에 의해 조절가능하다. J1은 HIGH 입력을 할 수 있도록 ON하고, J2는 LOW 입력을 할 수 있도록 OFF를 정하게 된다. 상기 회로는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A지점에서 LOW에서 HIGH로 출력가능하고, 다시 인체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 HIGH에서 LOW 신호로 출력되며, 또한 필터회로를 구현하여 B지점에서 파형이 고르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전용량 검출방식은 정전용량센서(32)가 구비되는 금속판에 사람이 근접할 경우, 대지와 금속판 사이에 콘덴서 값의 변화를 인식하여 전원을 켜게 되며, 상기 금속판에서 사람이 멀어지게 되면 전원을 끄게 된다. 이러한 정전용량 검출방법은 사용자의 보행 의지에 대한 일차적인 여부인 핸들바(30)를 잡고 조작하려는 의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종을 원치 않거나 보행 중에 넘어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보행보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보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보행 의지 파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보행 의지에 대한 힘의 변화를 예측해야 하는데, 이러한 사용자의 의지 파악을 위한 힘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 상기 FRS센서(38)를 이용한다. 상기 FRS센서(38)는 힘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바뀌는 것으로, 물리적인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의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바(30)를 통해 앞으로 전진하려는 의지를 표현하게 될 경우, 상기 핸들바(30)를 뒤쪽으로 당기게 되면 하단부에 구비되는 고정축(36)의 힌지 부분에 의해 뒤쪽 FRS센서(38)에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 힘이 크면 클수록 보행보조기 사용자가 전진하려는 의지가 커지게 된고, 상기 핸들바(30)를 앞쪽으로 밀게 되면 앞쪽 FRS센서(38)에 힘이 가해져 보행보조기가 멈추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핸들바(30)의 방향에 따라 보행보조기의 방향이 결정되며, 상기 핸들바(30)의 방향신호는 DSP모듈(41)을 거쳐 DSP(42)에서 바퀴(25) 즉, 스티어링모터가 구비되는 앞바퀴와 좌측휠모터가 구비되는 좌측바퀴 및 우측휠모터가 구비되는 우측바퀴를 각각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43)로 신호를 전송하여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도 7은 보행보조기의 보행 의지 파악을 위한 FRS센서(38)의 회로도로써, 비선형에 의해 정량적인 환산이 어렵게 되는 부분을 보완한 회로를 구성하여 센서 데이터의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RA의 값은 1㏀이며, RB의 값은 15㏀이고, 상기 두 저항의 값은 고정이며, OPAMP 입력전압으로 사용된다. 또한 R1의 값은 고정된 값으로 240㏀을 사용하며, R2가 상기 FRS센서(38)의 저항값으로 사용된다. FRS의 선형적인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하기의 식(1)으로 OPAMP LM358의 선형적인 데이터 출력이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112007047691963-pat00001
--- 식 (1)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와 상기 도 7의 회로도와 하기의 표 1과 표 2의 데이터 값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의지 파악을 정량화하고 보다 선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V 전원전압(V) I 전류(A) RA(Kohm) RB(Kohm) VI 입력전압(V)
3.3 0.20625 1 15 0.20625
VI 입력전압(V) R1 REF(Kohm) R2 FSR(Kohm) VO 출력전압(V) 중량(Kg)
0.20625 240 1000 0.255750 0
0.20625 240 800 0.268125 1
0.20625 240 600 0.288750 2
0.20625 240 400 0.330000 3
0.20625 240 40 1.443750 19
0.20625 240 35 1.620535 20
0.20625 240 30 1.856250 21
0.20625 240 25 2.186250 2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필터처리 전후의 FRS센서 측정 데이터로써, 도 8(a)는 중량 대비 힘센서 측정 값의 순수한 값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센서는 임의의 어떠한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일정 시간의 데이터에 대해서 노이즈가 나타남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의 불규칙성은 보행보조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정확한 보행 의지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선형 필터인 Moving Average Filte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정리하면 도 8(b)와 같이 필터에 의해 정렬된 힘 대비 FRS 측정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도 8(a)와 도 8(b)를 비교해 보았을 때 Moving Average Filter를 처리한 데이터가 보다 안정적이며 데이터의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의지 파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센서 데이터 복원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FRS센서의 복원력 측정 데이터로써, 도 9(a)는 상기 FRS센서의 복원력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FRS센서 복원력 측정을 10회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평균 복원 속도는 0.6s 정도가 되며, 상기 도 9(a)의 실험 중에서 첫 번째 실험 결과만을 가지고 힘 센서의 복원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도 9(b)는 복원성 측정 결과 중에 첫 번째 복원성 결과로써, 핸들바에 힘을 주지 않게 되는 시점에서 복원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120ms정도 소요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의 구동을 위한 모델링도로써, 보행보조기에 들어있는 제어 알고리즘은 먼저, 핸들바(30)의 FRS센서(38)에 의해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ADC를 통해 전압정보로 받게되며, TI320F2812는 3.3V전압 레벨로 12Bit ADC를 포함하고 있어서 데이터의 정확성은 0.81mV이다. 이렇게 각 센서의 데이터를 받은 후에 센서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진행방향과 속도에 대한 의지를 파악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중심속도와 이동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결정된 보행보조기의 중심속도와 이동방향을 기초로 바퀴(25) 속도를 계산하는데, 이때 보행보조기는 차륜구동을 통해 움직이며 각 바퀴(25) 축에서의 선속도는 Ackman 공식에 의해 계산되는데, 상기 도 10은 Ackman 구동 모델링을 나타내며 하기의 식(2),(3),(4)는 Ackman에 의해 정의된 중심에서의 각속도와 이에 따른 각 바퀴(25)의 차륜 구동에 의한 각속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47691963-pat00002
--- 식(2)
Figure 112007047691963-pat00003
--- 식(3)
Figure 112007047691963-pat00004
--- 식(4)
여기서, ωC는 가상 구동휠에 대한 각속도이며, vC는 가상 구동휠의 속도로써 사용자의 핸들바(30) 정보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데이터이고, ωL은 왼쪽 구동휠의 각속도이며, ωR은 오른쪽 구동휠의 각속도이며, 만약 ICR이 무한대에 있으면, 보행보조기는 직진운동을 한다.
Ackman 구동에서 보행보조기는 항상 순간회전중심(Instantaneous Center of Rotation : ICR)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그렇기 때문에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전진, 후진 시의 ICR은 무한대의 값을 가지며,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는 후륜의 구동휠 2개와 전방에 Passive Type의 caster 1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ICR은 항상 후륜축의 연장선상에 존재하며, 3개의 바퀴는 ICR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을 형성하고, 후륜의 구동휠의 각속도에 맞춰 회전하게 된다. 특히, 후륜의 구동휠은 차륜방식(Differential Drive)으로써, 각각의 모터드라이버(43)에 의해 제어되며, ICR을 이용한 보행보조기의 운동은 전륜의 조향각과 후륜의 각속도에 의해 결정되며, 운동해석은 Forward Kinematics for Ackerman Drive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Ackman 기법을 통해 생성된 각 바퀴(25)의 각속도를 가지고 제어를 수행할 때, 속도에 비해 비례제어를 가지고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바퀴(25)에 걸리는 가속도 데이터가 너무 크게 되어서 보행보조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다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각 바퀴(25) 제어를 적분 제어를 통해 구성되며, 하기의 식(5)는 시스템에 적용된 적분 제어 관계식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47691963-pat00005
---식(5)
상기 식(5)에서 Ki는 적분 계수를 나타내며, vi는 현 시점에서의 보행보조기의 도달 목표 속도를 나타내고, v(t)는 현재 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식(5)에 입각하여 구동 모터를 제어하면 갑자기 급가속으로 생기는 보행보조기의 급속한 움직임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급속한 제어에 의해 코터나 제어기에 가해질 수 있는 물리적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후 보행보조기의 현재 속도에 대비하여 구동축 PWM 값을 결정하며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보행보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서 주행을 목적으로 손을 잡는 핸들바 부분에 정전용량센서와 FRS센서를 구비하여, 힘을 지탱하고 힘을 가하는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보행보조기가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위험상황 발생시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가 좀 더 효율적으로 보행보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를 통해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팔꿈치를 지지하는 ⊂형상의 제1지지대(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대(11) 양측 전후단에는 하부로 체결공(121)이 다수형성되는 지지봉(12)이 삽입되고, 상기 지지봉(12) 일측 상부에 연결대(13)가 내측으로 구비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14)가 구비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봉(12)이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봉(21)이 전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전단 수직봉(21)에는 삽입부재(221)로 고정되어 지지블럭(23)에 체결부재(222)로 고정되는 수평봉(2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블럭(23)과 전후단 수직봉(21) 하부에는 바퀴(25)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블럭(23)에 스티어링(24)이 구비되는 프레임부(20)와;
    상기 제1지지대(11) 양측 전단부에 볼트(B)로 고정되며, 개구부(341)와 체결공(342,343)이 형성되는 상부몸체(34)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34) 하부에는 안착부(351)가 형성되는 하부몸체(35)가 연결플레이트(39)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34)의 개구부(341)로 정전용량센서(32)와 손잡이덮개(33)가 결합되는 손잡이(31)가 삽입되어 상부몸체(34)의 제1체결공(342)에 고정축(36)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몸체(35)에는 FRS센서(38)가 안착되는 센서지지구(37)가 볼트(B)로 체결되는 핸들바(30)와;
    상기 수평봉(22)에는 상기 핸들바(30)의 정전용량센서(32)와 FRS센서(38) 신 호를 전기적으로 입력받아 바퀴(25)를 제어하는 제어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21)은 상기 지지봉(12)의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봉(12)에 형성되는 체결공(121)에 조임너트(213)로 고정되는 고정부재(211)가 전후단 수직봉(21)에 구비되며, 상기 전후단 고정부재(211) 내측에는 연결봉(212)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평봉(22)에 볼트(B)로 고정되는 DSP모듈(41)과 DSP(42)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25) 상단에는 DSP(42)에 의해 바퀴(25)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4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KR1020070065110A 2007-06-29 2007-06-29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KR10082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110A KR100821641B1 (ko) 2007-06-29 2007-06-29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110A KR100821641B1 (ko) 2007-06-29 2007-06-29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641B1 true KR100821641B1 (ko) 2008-04-14

Family

ID=3953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110A KR100821641B1 (ko) 2007-06-29 2007-06-29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641B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955B1 (ko) * 2008-05-22 2010-03-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032113B1 (ko) 2009-03-16 2011-05-02 임상수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KR101102845B1 (ko) 2009-10-12 2012-01-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전동 간이 이동 장치
KR101125415B1 (ko) * 2010-06-30 2012-03-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의도 측정 장치
KR101148503B1 (ko) 2009-12-08 2012-05-2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의지력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 보행 보조기
KR101198841B1 (ko) 2010-10-28 201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 보조장치
KR101244246B1 (ko) 2011-12-07 2013-04-10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힘 보조형 전동 휠체어의 구동 방법
KR101274443B1 (ko) 2011-12-07 2013-06-18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힘 보조형 전동 장치 및 힘 보조형 전동 휠체어
KR200467961Y1 (ko) 2012-03-27 2013-07-12 (주)보필 이동보조기기
KR101304283B1 (ko) 2012-01-17 2013-09-11 주식회사 삼윤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306146B1 (ko) * 2013-02-18 2013-10-02 주식회사 명진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KR101342009B1 (ko) 2011-12-23 2013-12-16 대한민국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및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방법
KR101407465B1 (ko) 2012-01-17 2014-06-16 박장근 자세균형 및 보행훈련 장치
KR101654843B1 (ko) 2015-07-06 2016-09-06 이환희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KR20180100015A (ko) * 2017-02-28 2018-09-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3족 안전 보행기, 그리고 그의 전복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8836765A (zh) * 2018-07-11 2018-11-20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智能助行装置以及用于控制其提供助行的方法
JP2019030629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幸和製作所 歩行車
JP2019030384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幸和製作所 歩行車
US10256644B2 (en) 2016-10-26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KR20190077679A (ko) * 2017-12-26 2019-07-04 양영봉 보행 보조 목발 보행 차
KR102033167B1 (ko) 2018-11-22 2019-10-16 박정희 수동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
CN110934724A (zh) * 2019-12-14 2020-03-31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助行器
IT202100019274A1 (it) * 2021-08-02 2023-02-02 Renzo Chinol Deambulatore automatizzato
KR20230123081A (ko) * 2022-02-15 2023-08-23 아이문헬스케어 주식회사 스마트 보행 보조가 가능한 보행차 및 보행차의 스마트 주행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61A (ja) 1998-07-10 2000-01-25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歩行補助装置
JP2001276155A (ja) 2000-03-30 2001-10-09 Hitachi Kiden Kogyo Ltd 歩行器
JP2003047635A (ja) 2001-08-06 2003-02-18 Kochi Univ Of Technology 歩行訓練機
JP2003290302A (ja) 2002-04-03 2003-10-14 Hitachi Ltd 歩行補助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717397B1 (ko) 2006-07-19 2007-05-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로드셀을 이용한 노약자의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되는보행의지파악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61A (ja) 1998-07-10 2000-01-25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歩行補助装置
JP2001276155A (ja) 2000-03-30 2001-10-09 Hitachi Kiden Kogyo Ltd 歩行器
JP2003047635A (ja) 2001-08-06 2003-02-18 Kochi Univ Of Technology 歩行訓練機
JP2003290302A (ja) 2002-04-03 2003-10-14 Hitachi Ltd 歩行補助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717397B1 (ko) 2006-07-19 2007-05-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로드셀을 이용한 노약자의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되는보행의지파악 시스템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955B1 (ko) * 2008-05-22 2010-03-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032113B1 (ko) 2009-03-16 2011-05-02 임상수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KR101102845B1 (ko) 2009-10-12 2012-01-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전동 간이 이동 장치
KR101148503B1 (ko) 2009-12-08 2012-05-2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의지력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 보행 보조기
KR101125415B1 (ko) * 2010-06-30 2012-03-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의도 측정 장치
KR101198841B1 (ko) 2010-10-28 201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 보조장치
KR101244246B1 (ko) 2011-12-07 2013-04-10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힘 보조형 전동 휠체어의 구동 방법
KR101274443B1 (ko) 2011-12-07 2013-06-18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힘 보조형 전동 장치 및 힘 보조형 전동 휠체어
KR101342009B1 (ko) 2011-12-23 2013-12-16 대한민국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및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방법
KR101304283B1 (ko) 2012-01-17 2013-09-11 주식회사 삼윤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407465B1 (ko) 2012-01-17 2014-06-16 박장근 자세균형 및 보행훈련 장치
KR200467961Y1 (ko) 2012-03-27 2013-07-12 (주)보필 이동보조기기
KR101306146B1 (ko) * 2013-02-18 2013-10-02 주식회사 명진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KR101654843B1 (ko) 2015-07-06 2016-09-06 이환희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US10256644B2 (en) 2016-10-26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KR20180100015A (ko) * 2017-02-28 2018-09-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3족 안전 보행기, 그리고 그의 전복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908926B1 (ko) * 2017-02-28 2018-10-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3족 안전 보행기, 그리고 그의 전복 방지 장치 및 방법
JP7125092B2 (ja) 2017-08-04 2022-08-24 株式会社幸和製作所 歩行車
JP2019030384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幸和製作所 歩行車
JP2019030629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幸和製作所 歩行車
KR20190077679A (ko) * 2017-12-26 2019-07-04 양영봉 보행 보조 목발 보행 차
KR102106829B1 (ko) * 2017-12-26 2020-05-06 양영봉 보행 보조 목발 보행 차
CN108836765B (zh) * 2018-07-11 2021-03-26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智能助行装置以及用于控制其提供助行的方法
CN108836765A (zh) * 2018-07-11 2018-11-20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智能助行装置以及用于控制其提供助行的方法
KR102033167B1 (ko) 2018-11-22 2019-10-16 박정희 수동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
CN110934724A (zh) * 2019-12-14 2020-03-31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助行器
IT202100019274A1 (it) * 2021-08-02 2023-02-02 Renzo Chinol Deambulatore automatizzato
KR20230123081A (ko) * 2022-02-15 2023-08-23 아이문헬스케어 주식회사 스마트 보행 보조가 가능한 보행차 및 보행차의 스마트 주행 방법
KR102663335B1 (ko) * 2022-02-15 2024-05-03 아이문헬스케어 주식회사 스마트 보행 보조가 가능한 보행차 및 보행차의 스마트 주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641B1 (ko)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CN101803988B (zh) 多功能智能助立助行康复机器人
US7544172B2 (en) Walk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EP2851055B1 (en) Manually propelled vehicle
KR101342009B1 (ko)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및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방법
US20150359699A1 (en) Electric walking assistant device
KR101385165B1 (ko) 상하지 로봇재활훈련 시스템
JP2003047635A (ja) 歩行訓練機
Kikuchi et al. Basic study on gait rehabilitation system with intelligently controllable walker (i-Walker)
Shahnaz et al. Low-cost smart electric wheelchair with destination mapping and intelligent control features
Wang et al. Development of an advanced mobile base for personal mobility and manipulation appliance generation II robotic wheelchair
KR101304283B1 (ko)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595517B1 (ko) 스마트 보행 보조장치
Alves et al. Overview of the asbgo++ smart walker
JP3623252B2 (ja) 歩行訓練用リハビリ機器
KR101131734B1 (ko) 스트레치 센서를 사용한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Yan et al. Laser and force sensors based human motion intent estimation algorithm for walking-aid robot
KR101908926B1 (ko) 3족 안전 보행기, 그리고 그의 전복 방지 장치 및 방법
Takahashi et al. Soft raising and lowering of front wheels for inverse pendulum control wheel chair robot
KR20140093130A (ko) 보행 보조장치 및 그 동작 방법
Yuk et al. Development of smart mobile walker for elderly and disabled
KR102680278B1 (ko) 사용자의 주행의지에 대응하는 반자율 주행보조기능을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CN110464560A (zh) 电动仿生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407465B1 (ko) 자세균형 및 보행훈련 장치
Han et al. Usability testing of smart mobile walker: A pilot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