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218B1 -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218B1
KR100810218B1 KR1019990009273A KR19990009273A KR100810218B1 KR 100810218 B1 KR100810218 B1 KR 100810218B1 KR 1019990009273 A KR1019990009273 A KR 1019990009273A KR 19990009273 A KR19990009273 A KR 19990009273A KR 100810218 B1 KR100810218 B1 KR 10081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screen panel
panel data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726A (ko
Inventor
심승욱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9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218B1/ko
Priority to CNA2007101499430A priority patent/CN101131621A/zh
Priority to US09/531,657 priority patent/US7031756B1/en
Priority to CN00104363A priority patent/CN1270485A/zh
Priority to EP00105855A priority patent/EP1037135B1/en
Publication of KR2000006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예: 필기 메모)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필기 메모 모드 진입 입력이 있으면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이면 상기 시작점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이 아니면 이전 검출 좌표값에서 현재 검출 좌표값까지 연속되는 선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선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스크린패널,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Description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SCREEN PANEL DATA INPUTTED THROUGH TOUCH SCREEN PANEL BY USER IN DIGITAL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한 필기 메모의 입력 및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결과로서 나타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패널(TSP)을 통해 입력되는 필기 메모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대중화됨과 동시에 정보처리기기로서의 고성능화가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여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구현된 폰북, 단문메시지 작성, 전자수첩 기능들을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되는 방법들이었다. 통상적으로는, 키패드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미리 정해진 형태의 정보가 그러한 입력 수단의 이용에 의해 독출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획일적인 형태의 입력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즉, 키패드를 통한 정보 입력은 사용자가 일정 키패드 입력을 수행하면 그에 해당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의 수행이나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통해 구현된 것이며, 음성 인식의 경우 또한 음성 인식을 통해 미리 정해진 기능의 수행 및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통해 구현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데 있어 다양성이 부족했다(사용자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입력할 수 없었다). 즉, 미리 정해진 정보 형태의 한도 내에서 획일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형태의 정보(문자들, 숫자들 등) 입력 외에 자신만의 고유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필기체 정보나 자신에 의해 그려진 그림 정보 등의 입력과 그에 따른 정보 처리의 수행을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들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 및 처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결국, 종래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하고 개성화된 사용자들로부터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입력이나 처리를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그 이용이 급증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 고유의 필기체 정보, 그림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정보 입력 처리가 요구되고 필요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이를 만족할만한 장치 혹은 방법의 구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즉, 종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필기 메모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을 입력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의 구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지적되어 왔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혹은 그 처리의 획일성이나 제한성에 따른 문제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고유의 필기체 정보의 입력이나 사용자가 그린 그림 정보의 입력 및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였던 문제들을 해소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객체 지향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한 후, 상기한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이미 구현되어 동작되는 그 본래의 기능, 일 예로 통화 수행 및 호 착신 기능 등이 그대로 수행되도록 하면서도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필기 메모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구현 환경, 즉, 정보 저장 메모리의 용량 제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주 제어부의 정보 처리 성능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및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제1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필기 메모 모드 진입 입력이 있으면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이면 상기 시작점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이 아니면 이전 검출 좌표값에서 현재 검출 좌표값까지 연속되는 선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선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제2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필기 메모 모드에 진입하면 일정 시간의 경과를 반복해서 카운트하는 타이머와,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필기 메모 모드 진입을 감지하면 상기 타이머가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가 검출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이면 상기 시작점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시작점이 아니면 이전 검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에서 현재 검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까지 연속되는 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부가된 참조 부호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된 참조 부호일 지라도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 있어 도시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통상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구성에 있어 객체 지향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 발생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이미 공지 공용되어 실시되는 통상의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서는 통상적인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구현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부, 보코더(Vocoder) 등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있어 필수적인 구성요소가 생략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되어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필수 구성요소로서 구비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삭제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및 그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 10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터치스크린패널 60으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 10은 통상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되어 사용되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제어부로는 퀄컴(Qualcomm)사에 의해 제조 시판되는 "이동단말기모뎀(Mobile Station Modem: 이하 MSM이라 함)"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또한 상기한 MSM의 적용을 통해 구현된다. 그러나 상기한 MSM 외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실시자의 의도 및 응용에 따라 또 다른 제조사의 제어부에 있어서도 그 적용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0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60으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인식 처리하여 입력된 지점의 해당 좌표값을 독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독출된 좌표값에 따라 이후 표시부 4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60은 객체 지향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손이나 필기구 등을 통해 스크린 위의 일정 부위에 압력을 가하면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10으로 출력한다. 통상의 키패드가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반면, 상기한 터치스크린패널 60은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이 가해진 지점의 좌표값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키패드의 경우 미리 정해진 키데이터만을 출력하지만 터치스크린패널 60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입력이 이루어진 해당 지점에 따른 다양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출력한다. 메모리 20은 휘발성 메모리(예: 램)와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메모리, EEPROM) 영역으로 나뉘어져 구현되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처리에 따른 동작 프로그램, 및 동작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소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버퍼 기능을 수행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및 필요한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 20은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입력 처리된 필기 메모(터치스크린패널 6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의 일 예)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저장되는 데이터 형태 및 크기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실장되는 메모리 용량이나 상기 제어부 10의 처리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표시부 4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등을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통상 액정표시장치(LCD)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제어부 10의 제어하에 상기 표시부 40에서 표시하는 정보는 키패드를 통한 정보들 외에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6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도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메모, 그림 정보가 그대로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40의 화면 표시 상태가 후술하는 도 3a ~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RF처리부 50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가입된 기지국과의 무선신호 송수신에 대한 전반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통상은 무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변환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변환된 기저대역의 신호를 디지털 변화하여 해당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무선신호의 송신시에는 그러한 동작이 반대로 되어 이루어진다. 타이머 30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는 상기 제어부 10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 10이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기본적으로 수행되도록 지정된 기능들의 동작 수행에 있어 간섭을 이루지 않고서도 터치스크린패널 60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으로 정해지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 10은 여러 기능 수행에 있어 정해진 시간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그러한 기능 수행과 별도로 터치스크린패널 60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의 인식 및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별도로 할당한 시간이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일정 시간이 된다. 이를 다른 관점의 명칭으로 터치스크린패널 60의 샘플링 시간이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타이머 30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타이머 30은 상기한 기준에 의해 정해진 일정 시간을 연속하여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 10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60에 있어 발생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인가 받아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 인식 방법을 통상에 있어 폴링(Polling) 방식이라 칭하기도 한다. 결국, 상기 타이머 30의 일정 시간 카운트에 맞추어 상기 제어부 10은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인가 받아 인식 처리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일정 시간은 제어부 10의 고유 특성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가 상기 MSM을 통해 구현될 경우에는 상기 일정 시간이 20msec 정도로 정해질 것이다. 상기 20msec는 MSM에 있어 수행되는 다른 기능들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최소의 시간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한 필기 메모의 입력 및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고, 도 3a ~ 도 3c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패널 60을 통해 예를 들어 "너"를 입력하면 상기 도 2에 나타낸 흐름도의 수순에 따라 이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도 2와 도 3a ~ 도 3c를 참조하여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삭제
도 2의 110단계에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는 호 착신 대기와 그 외 별도의 부가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112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필기 메모 모드 진입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 입력은 통상의 키패드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외 음성 인식이나 터치스크린패널 60을 통해 입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112단계에서 필기 메모 모드 진입 입력이 있는 경우, 114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30을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 30은 정해진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116단계에서 상기 일정 시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MSM의 기준에 따른 20msec의 경과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 20msec의 경과가 이루어지면, 118단계에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60으로부터의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 인가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스크린패널 60을 통해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118단계에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 인가가 이루어지면, 120단계에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인식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이 인식 동작을 통해 어떠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 입력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122단계에서 인가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로부터 화면상에 있어서의 X,Y 좌표값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124단계에서는 상기 인가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가 첫 번째로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3a ~ 도 3c와 같이 시작점을 입력하면서 원하는 문자를 선으로서 입력하는 경우, 이에 따라 발생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는 앞서의 20msec에 대응하여 연속하여 검출되는데, 상기한 124단계의 판단 동작은 도면상에 있어 시작점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와 시작점 입력이 있은 이후에 발생되는 연속적인 선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상호 구별하는 동작이 되는 것이다. 즉, 시작점의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경우가 첫 번째로 입력된 TSP 데이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 동작이 필요하게 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구현된 필기 메모 생성 동작이 20msec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들 각각을 하나의 연속된 선으로서 처리함에 따라 필요한 것이다. 즉, 첫 번째 입력의 경우는 필기 메모 생성 동작의 수행이 필요없게 되며 첫 번째 입력이 아니라 연속되는 입력에 있어서 발생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인 경우 이는 하나의 선으로서 처리를 해야만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서 처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도 3a ~ 도 3c에서 보듯이 시작점의 입력은 그 TSP 데이터의 발생 여부와 좌표값의 인식만이 이루어진 후 처리되면 되지만, 그 다음으로 연속하여 입력되는 TSP 데이터는 선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그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져야만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정확하게 인식 처리되기 때문이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가 20msec의 시간 카운트를 통해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인식을 수행하기 때문으로, 20msec마다 발생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하나의 선으로서 인식하는데 있어 필요한 동작이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러한 동작을 포인트-투-포인트 트랙킹(Point-To-Point Tracking) 방식이라 칭한다. 직관적으로는 점과 점이 있으면 이를 선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몇 개의 점들로서 하나의 선을 만드는 방식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는 바로 20msec마다 발생되어 감지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들을 통해 연속적인 하나의 선을 생성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다. 이 방법이 상기 124단계의 판단 동작을 통해 실시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다. 한편, 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이미 공지 공용된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가 가지는 특성에 맞추어 해당되는 방법이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124단계에서 첫 번째 터치스크린패널(TSP) 데이터로 판단되면, 128단계에서 인식된 결과를 메모리 20의 버퍼 영역에 저장하게 되며, 상기 124단계에서 첫 번째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가 아닌 경우는 126단계에서 앞서 설명한 필기 메모 생성 동작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상기 메모리 20의 버퍼로 저장하는 것이다. 128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는 130단계에서 표시부 40을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게 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 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입력 및 처리가 요망되었던 필기 정보, 그림 정보 등을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가 가지는 여러 제약을 적절히 이용 또 다른 사용자 입력 정보 수단인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이점을 가진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필기 정보, 그림 정보 등의 입력 및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기 메모 모드 진입 입력이 있으면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이면 상기 시작점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이 아니면 이전 검출 좌표값에서 현재 검출 좌표값까지 연속되는 선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선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기 메모 모드로 진입하는 제1과정과,
    상기 필기 메모 모드 진입 후 일정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 발생을 감지하면, 입력 시작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입력 시작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대응되는 위치의 점으로 표시하는 제5과정과,
    상기 입력 시작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가 아닌 경우 이전 표시가 끝난 위치로부터 상기 발생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에 대응하는 현재 위치까지 연속된 선으로 표시하는 제6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 정보 입력 및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 혹은 상기 제6과정 수행 후, 상기 제3과정으로 되돌아 가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미리 정해진 또 다른 동작 수행에 있어 필요한 시간과 간섭되지 않게 독립적으로 카운트 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 샘플링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기 메모 모드로의 진입을 요구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필기 메모 모드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터치스크린패널데이터 검출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제1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한 정보 입력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시작점에 해당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전 검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 각각에 해당하는 점들이 하나의 선으로 연결되도록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에 해당하면,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필기 메모 모드에 진입하면 일정 시간의 경과를 반복해서 카운트하는 타이머와,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필기 메모 모드 진입을 감지하면 상기 타이머가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가 검출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이 시작점이면 상기 시작점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시작점이 아니면 이전 검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에서 현재 검출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좌표값까지 연속되는 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009273A 1999-03-18 1999-03-18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1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273A KR100810218B1 (ko) 1999-03-18 1999-03-18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NA2007101499430A CN101131621A (zh) 1999-03-18 2000-03-20 接触屏幕板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US09/531,657 US7031756B1 (en) 1999-03-18 2000-03-20 Method of processing user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ouch screen panel of digital mobile station
CN00104363A CN1270485A (zh) 1999-03-18 2000-03-20 通过数字移动台的接触屏幕板输入的用户信息的处理方法
EP00105855A EP1037135B1 (en) 1999-03-18 2000-03-20 Method of processing user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ouch screen panel of a digital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273A KR100810218B1 (ko) 1999-03-18 1999-03-18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726A KR20000060726A (ko) 2000-10-16
KR100810218B1 true KR100810218B1 (ko) 2008-03-06

Family

ID=3614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273A KR100810218B1 (ko) 1999-03-18 1999-03-18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31756B1 (ko)
EP (1) EP1037135B1 (ko)
KR (1) KR100810218B1 (ko)
CN (2) CN1011316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29A1 (en) * 2018-08-01 2020-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nput event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504B1 (ko) * 1999-04-30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장치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CN100449466C (zh) * 2005-03-29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台的信息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EP1753210A3 (en) * 2005-08-12 2008-09-0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memo function
KR20070113025A (ko)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269375B1 (ko) * 2006-05-24 2013-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이미지 표시방법
US20090213086A1 (en) * 2006-04-19 2009-08-27 Ji Suk Chae Touch scree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70113018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실행방법
TWI328185B (en) * 2006-04-19 2010-08-01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for potab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and selecting menus thereon
KR20070113022A (ko)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327581B1 (ko) 2006-05-24 201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TW200805131A (en) * 2006-05-24 2008-01-16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of selecting files thereon
TWI375451B (en) * 2007-11-08 2012-10-21 Htc Corp Method for displaying speed dial information and device using the method
KR100915667B1 (ko) * 2008-11-10 2009-09-07 (주) 민트패스 터치 입력방식 휴대용 단말기
US9851849B2 (en) * 2010-12-03 2017-12-26 Apple Inc. Touch device communication
TWI470481B (zh) * 2012-02-24 2015-01-21 Lg Electronics Inc 行動終端機及該行動終端機的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3518A1 (en) * 1993-09-10 1995-03-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lephone set with a touch-sensitive and detachable control/display panel
JPH0918931A (ja) * 1995-06-27 1997-01-17 Sony Corp 携帯端末装置
JPH0964959A (ja) * 1995-08-29 1997-03-07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端末
WO1997019401A1 (en) * 1995-11-24 1997-05-29 Casio Computer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970031471A (ko) * 1995-11-04 1997-06-26 구자홍 휴대형 개인 정보 통신 단말기의 그림 작성 및 송신 제어 방법
KR19980013694A (ko)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펜 라이트 기능을 갖는 전화기(Pen Write Function With Telepho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9091B2 (ja) 1990-04-19 1998-11-25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3190074B2 (ja) * 1991-09-11 2001-07-16 株式会社東芝 手書き入力装置
JPH0736142B2 (ja) * 1991-10-10 1995-04-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移動指示手段の運動停止を認識する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1995025326A1 (en) 1994-03-17 1995-09-21 Voice Powered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Voice/pointer operated system
JP2939119B2 (ja) * 1994-05-16 1999-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手書き文字入力表示装置および方法
US5838302A (en) * 1995-02-24 1998-11-17 Casio Computer Co., Ltd. Data inputting devices for inputting typed and handwritten data in a mixed manner
US6295372B1 (en) * 1995-03-03 2001-09-25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writing input on a pen based palmtop computing device
JPH08286808A (ja) 1995-04-18 1996-11-01 Canon Inc 軌跡入出力電子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US5991441A (en) * 1995-06-07 1999-11-23 Wang Laboratories, Inc. Real tim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US6278445B1 (en) 1995-08-31 2001-08-21 Canon Kabushiki Kaisha Coordinate input device and method having first and second sampling devices which sample input data at staggered intervals
JP3969775B2 (ja) * 1996-12-17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手書き情報入力装置および手書き情報入力方法
KR100275685B1 (ko) * 1997-04-11 2000-12-15 윤종용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US5977957A (en) 1997-05-22 1999-11-02 Ericsson Inc. Adaptive sampling of touch screen input
JP3048964B2 (ja) * 1997-06-24 2000-06-05 邦彦 小池 電話送受信ユニット及び移動体通信端末
JP3304290B2 (ja) * 1997-06-26 2002-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ペン入力装置及びペン入力方法及びペン入力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EP1601172B1 (en) * 1997-12-29 200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pad
JP3429676B2 (ja) * 1998-05-29 2003-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3518A1 (en) * 1993-09-10 1995-03-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lephone set with a touch-sensitive and detachable control/display panel
JPH0918931A (ja) * 1995-06-27 1997-01-17 Sony Corp 携帯端末装置
JPH0964959A (ja) * 1995-08-29 1997-03-07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端末
KR970031471A (ko) * 1995-11-04 1997-06-26 구자홍 휴대형 개인 정보 통신 단말기의 그림 작성 및 송신 제어 방법
WO1997019401A1 (en) * 1995-11-24 1997-05-29 Casio Computer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9980013694A (ko)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펜 라이트 기능을 갖는 전화기(Pen Write Function With Telepho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29A1 (en) * 2018-08-01 2020-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nput event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144154B2 (en) 2018-08-01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nput event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669192B2 (en) 2018-08-01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nput event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7135B1 (en) 2011-06-29
EP1037135A3 (en) 2002-12-04
US7031756B1 (en) 2006-04-18
CN101131621A (zh) 2008-02-27
EP1037135A2 (en) 2000-09-20
CN1270485A (zh) 2000-10-18
KR20000060726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9882B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810218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545645B2 (en) Method for realizing user interface using camera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US9342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70762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step enablement of telephony functionality for a portable computer system
KR20010054519A (ko)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
KR20010019275A (ko)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심벌을 이용한 단축
US200700911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graphic object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12232B1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KR100293958B1 (ko) 사용자 선택 메뉴 표시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메뉴 선택 방법
KR100318711B1 (ko) 기능모드의문자인식이가능한디지털휴대용전화기및그방법
KR100424470B1 (ko)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28531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계산기 기능 구현 방법
US20090115739A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in a portable terminal
KR20010059662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정보 색상 표시 방법
KR19990086521A (ko) 디지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터치패널 인터페이스 장치 및그 방법
KR100326308B1 (ko) 휴대용 정보처리기기의 선택 표시정보 표시 방법
KR100396282B1 (ko) 다중 기능키를 구현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334817B1 (ko)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표시방법
KR2008009771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형상 인식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및 장치
KR20000013269A (ko) 문자인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사용자 일정 관리 방법
KR2003004886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10008476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4239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스트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