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487B1 -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 - Google Patents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487B1
KR100793487B1 KR1020050042276A KR20050042276A KR100793487B1 KR 100793487 B1 KR100793487 B1 KR 100793487B1 KR 1020050042276 A KR1020050042276 A KR 1020050042276A KR 20050042276 A KR20050042276 A KR 20050042276A KR 100793487 B1 KR100793487 B1 KR 10079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vegetation block
formwor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347A (ko
Inventor
진종서
Original Assignee
진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종서 filed Critical 진종서
Priority to KR102005004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48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 재료를 사용한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식생 블럭과 연결부재를 이용한 식생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 또는 식생블럭망을 이용한 식생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높이를 가지며 평면 형상이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블럭으로서, 그 중심부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블럭의 외곽을 형성하는 각 변의 중앙에 또는 원주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쐐기형 홈(12)이 형성되었으며, 블럭 내부로는 1~3 개의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보강재(13)을 매립하되, 적어도 한 개의 보강재의 일부가 상기 쐐기형 홈(12)을 지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10)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블럭과 블럭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길이조절을 통하여 식재 가능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식생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 및 식생블럭망을 이용하여 시공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하고 식생 식물의 활착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식생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은 다량의 왕겨나 목재칩과 같은 입자성 물질을 진흙이나 세멘트에 섞어 소성 또는 성형한 것이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 노출된 상태에서 일정 기간의 경과되면 모두 풍화되어 토양화되는 친환경적 식생 블럭으로서, 그 내부에 형성된 넓은 공간들 사이로 식생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고, 물이나 영양물질의 이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식생의 활착률을 크게 높였으며,
또한, 상기 식생 블럭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식생블럭망은, 시공자가 식생 시공지의 형상과 토질이나 경사도 등을 감안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식생 블럭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시공지의 형상에 맞는 식생블럭망을 제작함으로써 식생 면적의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하고, 일시에 넓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식생 종자를 미리 발아시킬 수 있는 식생 포트화된 식생 블럭을 사용하는 시공 방법 등, 다양한 시공 방법을 구사할 수 있어 식생 활착 기간을 크게 단축하고 그 활착율을 향상시킨 식생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매우 진보한 발명이다.
친환경, 경량, 보강재, 다공질, 자연풍화, 식생블럭, 블럭연결수단, 식생블럭망, 식생면적조절, 식생백

Description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 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 공법{Plant block having environmental standard, its producting method, plant block network using said plant block,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said plant block network}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블럭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식생 블럭의 결합 방식을 나타내는 부분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망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식생 블럭을 이용하여 식생블럭망을 구성할 경우의 식물 식재에 관한 측면도,
도 8 은 식생백을 본 발명의 식생 블럭망에 삽입하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0; 식생 블럭 11; 관통공
12; 쐐기형 홈 13; 보강재
14; 입자상 가소성 물질 15; 망,메쉬,부직포(하부)
16; 망,메쉬,부직포(상부) 17; 식생 종자
20; 연결수단 21a; 고리형 연결수단
21b; 클립형 연결수단 21c; 케이블타이형 연결수단
21d; 와이어형 연결수단 22; 앵커
22a; 걸쇠부 30; 식생블럭망
40; 형틀 41; 상부 외형거푸집
41a; 쐐기형 홈 41b; 절개홈
42; 하부 외형거푸집 42; 중앙 거푸집
50; 식생백 51; 포대
52; 혼합 토양
본 발명은 친환경적 재료를 사용한 식생 블럭, 그 제조방법, 상기 식생 블럭과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한 식생블럭망과 상기 식생 블럭 또는 식생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주변에는 하안, 호안 등과 같은 곳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변침식지나, 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절개지, 성토사면 등과 같은 인위적 침식발생지 및 산사태지, 폐광지 등과 같은 각종 황폐 지를 적지않게 발견할 수 있다.
상술한 지역들 중에서 특히 인위적으로 조성된 침식지나 황폐지를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생태 교란 및 2차적인 환경파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므로 인공적이라도 조속한 기간내에 자연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한 조치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한 다양한 식생 블럭 및 식생 방법 등이 소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공지기술로는 식생 블럭 또는 식생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허공개 제2000-0056374호(다공질 자연석 호안용 생태 블럭:2000.9.15), 특허공개 제2001-0068603호(2001.7.23: 식생 콘크리트블럭), 등록실용신안 제024930호 (2002.1.09 : 식생식물 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케 하는 호안블럭), 등록실용신안 제024931호:식생식물 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케 하는 호안블럭) 및 특허공개 제2002-0002181호(2002.1.9: 호안식생매트)가 있고, 식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허공개 제1998-082029호(1998.11.25 : 하천녹화방법)이 있다.
상기 공지기술의 내용을 살펴보면, 주된 시공 대상지를 하안 또는 호안의 수변 침식지를 대상으로 한 것이 주류(主流)로서, 발명의 목적에서는 절개지나 황폐지도 그 대상으로 한다고 밝히고 있으나 실제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그에 관한 언급이 누락되어 있고, 블럭의 크기가 대형인 반면에 식재 가능한 면적은 극히 작아 동 블럭을 사용할 때의 식생 효과가 의문시되고(제2000-0056374호),
환경 친화적이고 식생 활착율이 높은 블럭을 제공한다는 점을 발명의 목적으로 밝히고 있으나, 통상의 시멘트 배합비율에 고성능 감수제를 첨가한 블럭을 제공함으로써 강도 및 수밀성이 향상되어 그 자체가 풍화되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 실질적인 불가능에 가깝고 수분을 통과가 제한되기 때문에 식생블럭 자체가 반환경적이고 식생식물의 성장에 저해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며(제2001-0068603호),
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한 재료로서 썩지않는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재 망을 사용(제20-024931호)하거나 수분흡수 중합재를 사용(제2002-0002181호)하여 2 차적인 환경 폐해를 초래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식재 가능면적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라고 하여도 전체 식생 시공면적의 30%를 넘지 못하는 한계(제20-024930호)가 있는 기술들이었다.
한편, 절개지 또는 황폐지의 침식방지 및 식생녹화를 목적으로 하는 종래의 식생 공법은 대부분 시멘트, 금속, 천연섬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망상 또는 격자형 구조물을 절개면에 설치하여 1 차적으로 토사의 붕락을 방지하고, 상기 구조물에 식생 종자나 묘목, 객토 등의 식생 재료를 부착하는 공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식생 공법은, 구조물에 부착된 식생 재료가 강우기의 비바람에 의해서 용이하게 유실 또는 비산되거나, 결빙과 해동이 반복되는 동절기를 거치면서 식생 식물이 안전하게 착생할 수 없어 사멸하게 되므로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우며, 시공비와 시공기간 등의 요인에 의하여 공법의 적용 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변 침식방지 구조물들은 물리적인 침식방지 효과에 주안점을 두고 시멘트 재질의 블럭을 동일한 형상을 한 1 종류의 블럭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한 2 종류 이상의 블럭을 기하학적으로 연접하여 연결하는 방법으로 절 개면의 90% 이상을 물리적으로 피복하는 방식을 채택하거나, 석축 또는 콘크리트 옹벽 등의 형태로 시공하였는데,
이러한 시공방법은 식생이 복원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함므로써 생태 환경을 파괴하고 경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의 간편성, 공법의 기능성 등에 있어서 대부분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상술한 식생 블럭 또는 식생시공 방법의 한계로 인하여 식재가능 면적도 크게 제한을 받게 될 수 밖에 없는데, 지금까지 소개된 종래의 기술들 중에서 식재가능 면적이 가장 넓게 확보한 것이 29% 로서(제20-024930호), 생태 복원이라는 취지와는 아직 많은 거리가 있다. 이러한 식생 면적 확장의 한계는 식생 블럭 또는 식생 시공방법에 기인하는 근본적인 것으로서, 대부분의 식생 블럭이 장방형을 하고 있는데 블럭 내부에 식생공간을 마련하는 경우 블럭의 강도유지 등의 조건때문에 식재가능 면적이 50%를 상회하기 어려우며, 더군다나 블럭의 가장자리로 블럭과 블럭을 연결시키기 위한 돌기와 홈을 요철형태로 형성한 경우에는 각 블럭의 유동성이 심하게 제한되고 블럭과 블럭 사이의 공간을 활용한 식생은 크게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식생블럭 내부로의 물과 영양 물질의 이동성을 갖고 식생식물의 뿌리가 착근되는 것을 돕기 위하여 블럭 내부를 다공질화 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블럭을 대형화하는 경우, 토사의 침식 방지 효과가 저하되고 자연친화적 식생공법에서 요구되는 절개지 등의 굴곡부를 피복할 때 블럭간 결합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구조물의 형태가 변형되기 쉬우므로 토사의 침식 방지와 식생재료 유지에 문 제가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환경친화적 재료를 사용하여, 시공 후 일정 기간의 경과로 식생블럭에 사용된 모든 재료들이 모두 풍화되어 토양화됨으로써 2 차적인 환경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블럭 자체가 식생시공 후의 식생식물의 성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것과,
블럭 내부에 공극을 많이 형성하여 블럭을 경량화하여 보다 용이하게 운반 및 시공을 할 수 있어 식생 시공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블럭 내부로 물이나 영양물질의 이동이 가능하여 식생 식물의 활착율을 향상시킨 식생 블럭 및 그 제조방법의 개발과,
상기 식생 블럭을 기본으로 하여 식생 시공지의 토질이나 굴곡도 및 경사도 등의 특성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고, 식재 가능면적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의 강구와,
상기 식생 블럭 또는 그를 기본으로 하는 기술적 수단을 활용하여 융기나 침강 또는 유실과 같은 시공지의 변형에도 당초 시공한 기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단시간 내에 넓은 면적의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시공 후 식생의 활착 기간을 크게 단축하고 그 활착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생수단을 제시하는 것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평면 형상이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블럭으로서, 그 중심부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블럭의 외곽을 형성하는 각 변의 중앙에 또는 원주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쐐기형 홈(12)이 형성되었으며, 블럭 내부로는 1~3 개의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보강재(13)을 매립하되, 적어도 한 개의 보강재의 일부가 상기 쐐기형 홈(12)을 지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10)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블럭과 블럭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길이조절을 통하여 식재 가능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식생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 및 식생블럭망을 이용하여 시공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하고 식생 식물의 활착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식생 공법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식생 블럭(1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블럭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블럭 단면도이다.
블럭의 외곽은 평면의 형상이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고 일정 높이(H)를 가지는 블럭으로서, 그 중심부에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관통공(11)이 형성되고, 블럭의 외곽을 형성하는 각 변의 중앙에 또는 원주 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쐐기형 홈(12)이 형성된 블럭이다.
단, 블럭의 평면형상이 12 각형을 넘는 경우에는 그것이 원형인 블럭과 실질적인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최대한 12 각형으로 하되, 후술하는 블럭망 조합을 고려할 때 가능한한 정다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의 관통공(11)은 주로 식생식물의 식재에 이용되는 공간으로서 블럭(10)의 중앙에 형성된다. 관통공의 평면 형상은 3 각 내지 12 각형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이고, 관통공(11)의 윗면이나 아래면 또는 상하 양면에 망, 메쉬, 부직포(15)(16)를 부착하도록 구성하여 부착된 망, 메쉬, 부직포에 식생 종자(17)와 비료 등이 혼합된 토양을 충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블럭(10)에서 블럭의 외곽에 형성된 쐐기형 홈(12)은 크게 나누어 두가지의 역할을 하는데, 첫째, 식생 식물이 성장에 따른 부피생장의 결과 그 굵기가 블럭의 관통공의 크기를 초과하려 할 때 블럭의 중심에서 바깥을 향하여 팽창하려는 힘이 작용하므로, 상기 쐐기형 홈이 가지는 노치(Notch) 효과를 이용하여 블럭 자체가 쉽게 파손되도록 함으로써 블럭이 식생식물의 계속적인 생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블럭의 몸체나 후술하는 보강재가 식생시공 이후 상당기간이 경과된 후에도 충분히 풍화 등이 되지 않았을 경우를 대비한 조치이다. 둘째, 쐐기형 홈(12)의 또 다른 역할은 블럭 내부에 매입된 보강재(13)가 쐐기형 홈(12)을 지나면서 블럭 밖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그 부위에 후술하는 다양한 연결수단(20)을 결합함으로써 후술할 식생블럭망(3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한편, 식생 식물의 활착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10)의 내부를 다공질로 형성함으로써 블럭 자체의 함수율, 투수율 및 영양물질의 이동성 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3)는 식생 블럭(10)의 내부를 다공질로 형성하는 경우 미흡해 질 우려가 있는 블럭의 강도를 보강 하여 줌으로써, 블럭의 운반 및 시공성을 높이고 시공된 형태를 일정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럭(10)의 내부로 1~3 개의 3 각 내지 12 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보강재(13)을 매입하되, 적어도 한 개의 보강재의 일부가 상기 쐐기형 홈(12)을 지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보강재(13)를 2 개 이상 사용할 때의 배열은 각각의 보강재가 식생 블럭(10)의 중심에서 크기를 달리하는 다각형이거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고,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보강재를 상하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에는 도 1 에 도시된 블럭(1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보강재(13)의 재료로는 상기 블럭을 밟았을 때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인장력을 발휘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식물의 성장은 길이 생장과 더불어 부피 생장을 수반하므로, 블럭(10)의 관통공(11) 내부에 식재된 식물의 밑둥이 관통공(11) 또는 보강재(13)의 내경만큼 성장하기 이전에 스스로 풍화되어 없어지거나 충분히 삭아서 식생식물의 성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보강재가 풍화가 되지 않고 초기의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면 오히려 식생 식물의 계속적인 성장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블럭(10)의 몸체 또한 마찬가지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보강재(13)의 재료로서, 연철로 만들어진 철사 또는 생분해성 합성수지재 와이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10)의 각 부위의 크기는 여러가지 요소 즉, 토질, 경사도, 강우량, 예상되는 침식정도, 지반의 침강 또는 융기 여부 및 그 속도, 식생 식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강한 침식 부하를 갖는 입지의 시공에는 블럭의 외곽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은 식생 블럭을 사용하고, 침식 부하가 작은 입지일수록 외곽 사이즈가 큰 식생 블럭을 사용한다. 또한, 블럭의 높이(H)는 하층지반의 성상과 블럭 상부에 미치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서 결정하는데 블럭 하부의 토양층이 두껍고 블럭 상부로부터 받는 외력이 작을수록 얇은 두께의 식생 블럭을 사용한다.
블럭의 크기를 결정하는 또 다른 요소는 블럭의 내부로 보강재(13)를 넣더라도 그 크기를 너무 크게하면 작은 외력에도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고, 너무 작게하면 식재 공간으로 사용되는 관통공이 비례하여 작아지거나 블럭의 배열이 촘촘해져서 블럭과 블럭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기 때문에, 식재 공간이 실질적으로 줄어드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상술한 고려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적절한 크기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식생 블럭(10)의 높이는 50~300mm이고, 블럭(10)의 외형을 이루는 다각형의 외접원의 지름 또는 원의 지름이 300~900mm이고, 관통공(11)을 형성하는 다각형의 외접원 또는 원의 직경이 100~600㎜이며, 쐐기형 홈(12)의 깊이(D)는 전체적인 블럭의 크기를 감안하여 보강재(13)가 노출되는데 필요한 깊이로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식생 블럭(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1) 내부에 식생종자, 비료, 보수제, 종자발아제, 균근담체 등 이 고루 섞인 혼합 토양(미도시)을 충진하여 식생 포트(port)화 하기 위하여, 식생 블럭(10)의 아랫면이나 윗면 또는 상하부 양면에 망, 메쉬 또는 부직포(15)(16)가 부착된 식생 블럭을 제공한다.
상기 망, 메쉬 또는 부직포(15)(16)는 사용된 재료에 의한 2 차적인 토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야자 섬유와 같은 천연 섬유이거나 생분해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식생 포트화된 식생 블럭은 종자 발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생 재료가 충진되지 않은 식생 블럭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고, 미리 종자 발아나 식생 활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다양한 시공 방법을 구사할 수 있다.
식생 블럭(10)의 재료로는 식생 시공 후 상당 기간이 경과했을 때 자연적으로 풍화되거나 썩어서 토양화되고 내부가 다공질이어서 물이나 영양물질의 이동이 가능하여 식생식물의 착근을 돕고 경량화 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진흙과 세멘트를 가교제로 하여 상당량의 공극입자와 물을 섞어 성형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의 모재로는 일정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일정기간 경과 후에는 자연풍화가 되어 식생식물의 활착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하고 그 성분 자체가 자연친화적인 것이라면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천연 소재인 진흙 또는 세멘트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블럭의 경량화, 식생의 뿌리와 블럭재질 간의 부착력, 블럭 내부와 외부 사이의 물질이동, 미생물의 생육공간 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블럭 내부를 다공질로 형성함에 있어, 상기 진흙을 모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진흙과 왕겨, 목재 칩 등의 입자상 가소성 물질(14)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성형하여 건조시킨 후 일정 온도로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블럭 내부의 입자상 가소성 물질(14)이 연소 또는 탄화되어 다공질화 할 수 있고, 상기 세멘트를 모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왕겨와 같은 입자상 물질(14)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성형하고 시공 후 토양 미생물의 생분해 작용으로 자연스럽게 블럭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사용되는 세멘트로서 통상의 포틀랜드 세멘트외에 기포 세멘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기포 세멘트 자체가 양생 과정에서 내부로 생성되는 기포로 인하여 블럭의 경량화 및 블럭 내부의 공극 형성에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세멘트를 식생 블럭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세멘트 블럭은 통상의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세멘트 배합 비율 대로 제작한 블럭을 사용함으로써 블럭 그 자체가 풍화되기 어렵고 투수율 등에서 반 환경적임에 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분해성 입자상 물질(14)을 가교시키는데 필요한 최소양의 세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연 상태에서의 풍화가 충분히 가능하고 오히려 세멘트 그 자체가 알칼리성을 가지므로 대부분이 산성을 띠는 우리나라의 토양에 대한 중화제 또는 비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식생 블럭과는 달리 환경에 무해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의 제조 방법을 첨부도면 3 을 참조하여 상 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10)의 모재로서 진흙을 블럭 모재로 사용하는 경우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높이가 50~300mm이고, 외형이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이며 그 크기가 다각형의 외접원의 지름 또는 원의 지름이 550~900mm이고, 상기 다각형의 각 변의 중앙으로 또는 원주 상의 일정 간격으로 쐐기형 홈(41)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형 홈(41a)을 형성하는 벽에 보강재(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방이 개방된 절개홈(41b)이 형성된 상부 외형 거푸집(41)과 이와 동형인 하부 외형 거푸집(42)과, 상기 외형 거푸집의 중앙으로 관통공(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형이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다각형의 외접원 또는 원의 직경이 200~500mm인 중앙 거푸집(43)으로 구성되는 형틀(40)을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진흙 60~35부피%와 입자상 가소성 물질(14) 40~65부피%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구성 재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반죽하여 놓는 제 2 단계;와,
상기 보강재(13)를 제 1 단계의 하부 외형 거푸집(42)의 절개홈(41b)에 안치하고, 보강재(13)가 안치된 하부 외형 거푸집(43)의 상부에 상기 거푸집(41,42)들의 외형이 일치하도록 상부 외형 거푸집(41)을 중첩시키고, 연이어 중첩된 거푸집(41,42)들의 내부에 중앙 거푸집(43)을 위치시킨 후, 제 2 단계에서 준비한 진흙반죽을 상기 중첩된 거푸집(41,42)과 중앙 거푸집(43) 사이에 넣고 고루 편 다음, 나머지 진흙반죽을 채워 넣고(이때, 사용하는 보강재(13)의 숫자에 따라 보강재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거푸집 안으로 투입하는 진흙반죽의 양을 적당히 나 누어 조절한다), 외형 거푸집(41,42) 및 중앙의 거푸집(43)을 들어 내어 식생 블럭(10)을 성형하는 제 3 단계;와,
성형된 식생 블럭(10)을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건조하는 제 4 단계;와,
건조된 제 4 단계의 식생 블럭을 가마에 넣고 800~900°C로 구워, 블럭 자체의 강도 향상과 블럭 내부에 입자상 가소성 물질(14)이 차지하던 자리를 빈 공간화하여 식생블럭(10)을 경량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을 완성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블럭의 모재를 세멘트로 하는 경우의 식생 블럭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위 상술한 진흙을 모재로 사용하는 경우의 형틀(40)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높이가 50~600mm이고, 외형이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이며, 그 크기가 다각형의 외접원의 지름 또는 원의 지름이 550-900mm 이고, 상기 다각형의 각 변의 중앙으로 또는 원주 상의 일정 간격으로 쐐기형 홈(41)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형 홈(41a)을 형성하는 벽에 보강재(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방이 개방된 절개홈(41b)이 형성된 상부 외형 거푸집(41)과 이와 동형인 하부 외형 거푸집(42)과, 상기 외형 거푸집의 중앙으로 관통공(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형이 3각 내지 12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다각형의 외접원 또는 원의 직경이 200~500mm인 중앙 거푸집(43)으로 구성되는 형틀(40)을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일반 콘크리트 또는 기포 콘크리트 70~5부피%와 입자상 가소성 물질 30~95부피%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구성 재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반죽하여 놓는 제 2단 계;와,
상기 보강재(13)를 제 1 단계의 하부 외형 거푸집(42)의 절개홈(41b)에 안치하고, 보강재(13)가 안치된 하부 외형 거푸집(43)의 상부에 상기 거푸집(41,42)들의 외형이 일치하도록 상부 외형 거푸집(41)을 중첩시키고, 연이어 중첩된 거푸집(41,42)들의 내부에 중앙 거푸집(43)을 위치시킨 후, 제 2 단계에서 준비한콘크리트 반죽을 상기 중첩된 거푸집(41,42)과 중앙 거푸집(43) 사이에 넣고 고루 편 다음, 나머지 콘크리트 반죽을 채워 넣고(이때, 사용하는 보강재(13)의 숫자에 따라 보강재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거푸집 안으로 투입하는 진흙반죽의 양을 적당히 나누어 조절한다), 일정 시간을 경과시켜 어느 정도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외형 거푸집(41,42) 및 중앙의 거푸집(43)을 들어 내어 식생 블럭(10)을 성형하는 제 3 단계;와,
성형된 식생블럭(10)을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건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생블럭을 완성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럭의 모재를 진흙 또는 세멘트로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상기 입자상 가소성 물질(14)로는 왕겨, 톱밥 또는 목재 칩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10) 사이의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식생 블럭의 경우 블럭과 블럭간에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없거나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전체 식생 시공 면적 중에 식재가 가능한 면적이 최대 29%에 불과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생블럭에 형성된 쐐기형 홈(12)과 상기 홈으로 노출된 보강재(13) 및 연결수단(20)을 이용하여 식생 블럭망을 형성함으로써 블럭과 블럭 사이의 공간을 식생 식물의 식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재 가능 면적이 25~85% 에 달하게 할 수 있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식생 블럭의 결합 방식을 나타내는 부분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연결수단(20)으로는 상호 인접하거나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2 개의 블럭(10)을 필요한 강도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도 5 에는 이러한 연결 수단(20)의 일실시예로서 고리(21a), 클립(21b), 케이블타이(21c) 또는 와이어(21d)가 도시되어 있다.
고리(21a)는 말 그대로 일부가 개방된 환형의 띠로서 개방부위를 통해 식생블럭의 측면으로 노출된 보강재(13)끼리 연결하는 수단이고, 클립(21b)은 ㄷ자형태의 것으로 연결방법은 기본적으로 상기 고리의 경우와 동일하나 개방부의 끝단을 스태플러 침의 경우처럼 꼬부려서 마무리 할 수도 있고, 길게 하여 땅에 밖을 수도 있다. 상기 고리나 클립은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케이블 타이(21c)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주로 여러 가닥의 배선을 하나의 다발로 묶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성품이 나와있고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그 재질이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 잘 썩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와이어(21d)는 섬유재 또는 금속재의 것을 사용하고, 와이어 끝단을 블럭과 보강재 사이로 통과시켜 묶던지 아니면 와이어 자체의 양단으로 간편하게 걸 수 있는 고리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수단(20)의 길이는 이를 얼마로 하느냐에 따라 블럭 사이의 거리가 결정이되고 블럭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식재 가능한 면적도 변동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 수단(20)의 길이는 중요한 요소임에는 틀림없으나, 실제로 식생 시공시에는 상기 연결 수단(20)의 길이를 일률적으로 일정하게 시공하면, 자연형 식생복원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굴곡부 및 만곡 부위의 시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수단(20)의 길이는 식생 블럭이 시공되는 장소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식생 시공 대상지에 따라서는 하나의 부지 안에서도 암반이 노출된 곳이 있는가 하면 일부라도 토사로 덮힌 곳이 병존할 수 있고, 그 형상도 돌출되고 들어가거나, 경사도가 다른 곳이 함께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식생블럭망은 연결수단의 길이를 달리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굴곡부를 효과적으로 피복할 수 있다는 것이 종래의 기술들과의 차이점이다.
상기 연결 수단(20) 중에 고리(21a)나 클립(21b)은 블럭과 블럭을 맞붙여 연결하거나 블럭 사이가 아주 가까운 경우에 적합하고, 와이어(21d)는 블럭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 적합하고, 케이블타이(21c)는 중간 정도의 거리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10)을 이용한 식생 블럭망(30)의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식생 블럭망은 부직포나 와이어메쉬 위에 일정한 배열로 고정시키거나 블럭 하부에 콘크리트 베이스먼트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식생 블럭을 연결하여 하나의 망(網)을 구성하고, 미리 제작된 다양한 식생블럭망을 식생 시공지에 일시에 전개함으로써 시공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다.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연결 방법에 연결된 본 발명 식생블럭망(3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망(30)은 식생 블럭망(30)을 구성하는 식생 블럭(10)의 각각의 관통공(11)의 단면적(S)들과 블럭과 블럭 사이의 공간(X)들의 합으로 구성되는 식재가능면적이 상기 관통공(11)의 크기 변화와 결합부재(20)의 길이변화 및 블럭의 배열방법의 변화에 의하여 전체 식생 시공 면적의 25%~85% 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블럭망(30)은 식생블럭(10)의 측면에 형성된 쐐기형 홈(12)에 노출되어 있는 보강재(13)에 연결수단(20)을 사용하여 블럭과 블럭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1 개 블럭을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90°씩의 방사각을 갖도록 4 개의 블럭을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하는 방법과 상기 방사각을 120°로 하여 계속하여 연결해 가는 방법 및 상기 2가지 방법을 섞어서 망을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식생 블럭이 대부분 4 각형이고 블럭과 블럭을 접 하여 시공하는 경우 블럭 사이의 공간을 식재에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임을 감안하여, 평면 형상이 4 각형인 식생 블럭을 사용할 경우에는 마치 전체가 바둑판같이 배열된 상태에서 하나씩 걸러가며 빈 공간을 두거나 일정한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2 가지 망형성 방법을 혼합하여 동시에 구사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10) 이외의 다른 형상을 갖는 블럭이나 특수한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식생블럭망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가장 조밀한 밀도의 블럭 배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120°의 방사각으로 블럭과 블럭을 맞붙여 배열하고, 상기 상태보다 좀 더 넓은 식생면적이 필요할 때에는 90°의 방사각으로 배열하며, 블럭 사이를 떼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자 할 때는 필요한 길이로 형성된 연결 수단(20)을 사용하여 배열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연결된 보강재(13)와 연결수단(20)은 상기 보강재를 둘러싸고 있는 다공질의 블럭 재질과는 별개로 그 자체가 하나의 망(網)을 구성하게 되고, 이러한 망은 시공 이후 발생될 수 있는 지반의 침하나 융기, 목본식물의 성장 또는 외력에 의해 일부의 블럭이 파손되더라도 상기 보강재 및 연결수단에 의한 망은 그 기본 형태를 유지하므로 식생블럭망(30) 전체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식생 블럭을 이용하여 식생블럭망을 구성할 경우의 식물 식재에 관한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블럭망(30)은 경사 지면(E) 상에 식생 블럭(10)을 90°내지 120°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하여 식생 블럭 (10)의 보강재(13)를 연결수단(20)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고, 상기 경사 지면(E)에 배수 상태 등의 여건을 고려하여 결정한 간격으로 앵커(22)를 땅 속으로 박아 상기 앵커의 걸쇠부(22a)가 식생 블럭(10)의 보강재(13)에 걸리도록 하여 식생블럭망(30)을 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식생블럭망(30)의 관통공(11)또는 블럭과 블럭 사이의 공간에 식목본(P)을 심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블럭망(30)의 또 다른 장점은 연결 수단(20)의 길이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시공 부지의 다양한 굴곡부 및 만곡부의 형상에 맞춘 자연형 식생 복원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한편, 식생블럭망을 구성하는 식생 블럭으로서 기존 블럭들의 경우, 절개지 경사면과 같이 하중을 많이 받는 하부 경사면과 하중의 부담이 크지 않은 상부경사면 또는 하안, 호안, 해안 등 침식을 많이 받는 상시 침수면과 침식부하가 상대적으로 낮은 홍수시 단기침수면 및 상시 비침수면 등의 하중이나 침식의 강도에 따라서 2종 이상의 구조물을 겸용하여 시공하거나 하중이나 침식의 강도에 무관하게 1종의 블럭으로 전면을 시공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동일한 형상의 블럭 1종을 사용하되 결합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식재 가능 면적과 침식에 대한 내구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침식 방지와 식생 녹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시공현장 이외의 지역에서 특정한 크기의 식생블럭망으로 조립한 후 이를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하므로써 식생 파종과 식재에 소요되는 시공비와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식생 블럭 또는 식생블럭망을 시공현장 이외의 지역에서 종자발아, 식생활착 등을 수행한 후 이를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하므로써 식생활착 기간을 크게 단축하는 새로운 식생 공법도 가능하다.
또한, 식생 재료가 충진되지 않은 블럭 또는 이를 연결한 식생블럭망의 경우에도 시공 현장 이외의 지역에서 종자발아, 식생활착 등을 수행한 식생 백(bag)을 식생 블럭(10)의 관통공(11)에 충전하여 블럭의 충진과 식생 이식을 동시에 시공하므로써 시공비와 시공기간 및 식생활착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이는 첨부도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될, 식생공간(S,X)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된 포대(51)의 안으로 식생종자, 비료, 보수제, 종자발아제, 균근담체 등이 혼합된 토양(52)이 담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백(50)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식생 백(50)은 부식가능한 천연섬유, 종이 또는 생분해성 합성수지 재질의 메쉬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식생종자, 토양재료, 비료, 보수제, 종자발아제, 균근담체 등이 담겨 있는 상부가 개구된 봉지 또는 전면이 피복된 포대의 형태를 가지며, 블럭의 내부의 관통공(11) 또는 연결된 식생 블럭(10) 사이의 공극에 맞도록 제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10) 또는 이를 연결한 식생블럭망(30)을 야자섬유 등과 같은 생분해성 천연섬유 또는 폴리프로피렌, 폴리비닐과 같은 난분해성 재질의 메쉬 또는 부직포로 피복한 토양 위에 시공하게 되면, 강우시 블럭 하부 토양으로 투수되는 강수량을 조절하여 사태, 땅밀림 등의 침식을 방지하고, 침수시 유수에 의한 블럭 하부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여 시공 후 블럭 또는 블럭망의 안정 화를 꾀할 수 있으며, 침식이나 유수 등의 요인에 의하여 구조물의 형태유지가 우려되는 경우에 있어서 지중 매설한 앵커와 블럭망을 연결하여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생 블럭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블럭망을 형성할 수 있으며, 블럭 연결방식과 연결 수단의 선택을 통하여 식재가능 면적을 용이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블럭의 하부 또는 상하부에 메쉬가 부착된 블럭이나 식생 백을 이용하여 식생 활착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가능한 효과를 가지는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3)

  1. 일정 높이(H)를 가지며 평면 형상이 3각 내지 12각중 어느 하나의 각을 가지는 다각형 또는 원형인 블럭으로서, 상기 블럭의 중심부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블럭의 외형을 형성하는 각 변의 중앙에 또는 원주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쐐기형 홈(12)이 형성되었으며, 블럭 내부로는 1~3 개의 3각 내지 12각중 어느 하나의 각을 가지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보강재(13)를 매립하되, 적어도 한 개의 보강재의 일부가 상기 쐐기형 홈(12)을 지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립된 식생 블럭(10)이고,
    상기 식생 블럭(10)의 한쪽면에 망 또는 메쉬 또는 부직포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고, 상기 관통공(11)의 안으로 식생종자, 비료, 보수제, 종자발아제, 균근담체가 혼합된 토양을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망 또는 메쉬 또는 부직포의 재료가 야자섬유와 같은 천연섬유이거나 생분해성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5. 삭제
  6. 식생대상지의 지표면에 다수의 제 4 항의 식생블럭 만을 사용하여 상호 연속하여 접하도록 배열한 식생블럭망로서, 각각의 식생 블럭(10)을 중심으로 90°의 방사각 또는 120°의 방사각으로 4 개 또는 3 개의 블럭이 위치하도록 배열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망.
  7. 제 6 항에 있어서, 블럭과 블럭을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수단(20)를 사용하여 연속하여 연결함으로써 블럭과 블럭 사이에 식재를 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망.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식생 대상지에 시공된 블럭망을 구성하는 다수의 식생블럭 중에서 시공 대상지의 토질, 경사도, 배수상태 등의 여건을 고려하여 결정한 간격으로 앵커(22)를 땅 속으로 박아 상기 앵커의 걸쇠부분(22a)이 식생블럭의 보강재(13)에 걸리도록 하여 시공된 식생블럭망.
  10. 제 7 항에 있어서, 식생 블럭망을 구성하는 식생 블럭(10)의 각각의 관통공(11)의 단면적(S)들과 블럭과 블럭 사이의 공간(X)들의 합으로 구성되는 식재가능면적이 상기 관통공(11)의 크기 변화와 결합부재(20)의 길이변화 및 블럭의 배열방법의 변화에 의하여 전체 식생 시공 면적의 25%~85% 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망.
  11. 높이가 50-300mm 이고, 외형이 3각 내지 12각중 어느 하나의 각을 가지는 다각형 또는 원형이며, 그 크기가 다각형의 외접원의 지름 또는 원의 지름이 550-900mm 이고, 상기 다각형의 각 변의 중앙으로 또는 원주 상의 일정 간격으로 쐐기형 홈(41)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형 홈(41a)을 형성하는 벽에 보강재(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방이 개방된 절개홈(41b)이 형성된 상부 외형 거푸집(41)과 이와 동형인 하부 외형 거푸집(42)과, 상기 외형 거푸집의 중앙으로 관통공(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형이 3각 내지 12각중 어느 하나의 각을 가지는 다각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다각형의 외접원 또는 원의 직경이 200-500mm 인 중앙 거푸집(43)으로 구성되는 형틀(40)을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진흙 60~35부피%와 입자상 가소성 물질(14) 40~65부피%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구성 재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반죽하여 놓는 제 2 단계;와,
    상기 보강재(13)를 제 1 단계의 하부 외형 거푸집(42)의 절개홈(41b)에 안치하고, 보강재(13)가 안치된 하부 외형 거푸집(43)의 상부에 상기 거푸집(41,42)들의 외형이 일치하도록 상부 외형 거푸집(41)을 중첩시키고, 연이어 중첩된 거푸집(41,42)들의 내부에 중앙 거푸집(43)을 위치시킨 후, 제 2 단계에서 준비한 진흙반죽을 상기 중첩된 거푸집(41,42)과 중앙 거푸집(43) 사이에 넣고 고루 편 다음, 나머지 진흙반죽을 채워 넣고, 외형 거푸집(41,42) 및 중앙의 거푸집(43)을 들어 내어 식생 블럭(10)을 성형하는 제 3 단계;와,
    성형된 식생 블럭(10)을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건조하는 제 4 단계;와,
    건조된 제 4 단계의 식생 블럭을 가마에 넣고 800~900°C로 구워, 블럭 자체의 강도 향상과 블럭 내부에 입자상 가소성 물질(14)이 차지하던 자리를 빈 공간화하여 식생블럭(10)을 경량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럭을 완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의 제작방법.
  12. 높이가 50~600mm이고, 외형이 3각 내지 12각중 어느 하나의 각을 가지는 다각형 또는 원형이며, 그 크기가 다각형의 외접원의 지름 또는 원의 지름이 550-900mm 이고, 상기 다각형의 각 변의 중앙으로 또는 원주 상의 일정 간격으로 쐐기형 홈(41)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형 홈(41a)을 형성하는 벽에 보강재(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방이 개방된 절개홈(41b)이 형성된 상부 외형 거푸집(41)과 이와 동형인 하부 외형 거푸집(42)과, 상기 외형 거푸집의 중앙으로 관통공(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형이 3각 내지 12각중 어느 하나의 각을 가지는 다각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다각형의 외접원 또는 원의 직경이 200~600mm인 중앙 거푸집(43)으로 구성되는 형틀(40)을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일반 콘크리트 또는 기포 콘크리트 70~5부피%와 입자상 가소성 물질 30~95부피%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구성 재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반죽하여 놓는 제 2 단계;와,
    상기 보강재(13)를 제 1 단계의 하부 외형 거푸집(42)의 절개홈(41b)에 안치하고, 보강재(13)가 안치된 하부 외형 거푸집(43)의 상부에 상기 거푸집(41,42)들의 외형이 일치하도록 상부 외형 거푸집(41)을 중첩시키고, 연이어 중첩된 거푸집(41,42)들의 내부에 중앙 거푸집(43)을 위치시킨 후, 제 2 단계에서 준비한콘크리트 반죽을 상기 중첩된 거푸집(41,42)과 중앙 거푸집(43) 사이에 넣고 고루 편 다음, 나머지 콘크리트 반죽을 채워 넣고, 일정 시간을 경과시켜 어느 정도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외형 거푸집(41,42) 및 중앙의 거푸집(43)을 들어 내어 식생 블럭(10)을 성형하는 제 3 단계;와,
    성형된 식생블럭(10)을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건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생블럭을 완성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의 제작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입자상 가소성 물질(14)로 왕겨, 톱밥 또는 목재 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제작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50042276A 2005-05-20 2005-05-20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 KR100793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76A KR100793487B1 (ko) 2005-05-20 2005-05-20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76A KR100793487B1 (ko) 2005-05-20 2005-05-20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47A KR20060119347A (ko) 2006-11-24
KR100793487B1 true KR100793487B1 (ko) 2008-01-14

Family

ID=3770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276A KR100793487B1 (ko) 2005-05-20 2005-05-20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4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639B1 (ko) 2011-06-27 2012-03-20 준이앤씨(주) 식생블록
KR101378759B1 (ko) * 2012-11-29 2014-03-28 (주)신우콘크리트산업 원형 호안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940B1 (ko) * 2008-01-29 2009-02-23 (주)평화엔지니어링 부등의 측방유동량을 흡수할 수 있게 설치된 보강토 옹벽의힌지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951Y1 (ko) 2002-01-25 2002-04-20 이춘우 자연형 하천 조성용 식생블록
KR200307894Y1 (ko) 2002-09-19 2003-03-19 제일산업 주식회사 호안블럭
KR200327393Y1 (ko) 2003-05-06 2003-09-19 주식회사 나노텍코리아 체결구조를 가진 호안블럭
KR100525641B1 (ko) 2004-10-18 2005-11-02 솔라원 환경기술(주)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951Y1 (ko) 2002-01-25 2002-04-20 이춘우 자연형 하천 조성용 식생블록
KR200307894Y1 (ko) 2002-09-19 2003-03-19 제일산업 주식회사 호안블럭
KR200327393Y1 (ko) 2003-05-06 2003-09-19 주식회사 나노텍코리아 체결구조를 가진 호안블럭
KR100525641B1 (ko) 2004-10-18 2005-11-02 솔라원 환경기술(주)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639B1 (ko) 2011-06-27 2012-03-20 준이앤씨(주) 식생블록
KR101378759B1 (ko) * 2012-11-29 2014-03-28 (주)신우콘크리트산업 원형 호안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47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927393B1 (ko) 생태블록
KR101101281B1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US20080304908A1 (en) Gutter Block Structure, Water Channel Formed by Gutter Block Structur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utter Block Structure
KR100793487B1 (ko)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
JP3755806B2 (ja) 護岸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法面工法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SK50582008A3 (sk) Vegetačná strecha, najmä sklonitá a spôsob jej výroby
JP4079386B2 (ja) 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192709B1 (ko) 하천의 조경조성방법 및 조경조성을 위한 구조물
JP2789435B2 (ja) 護岸の緑化方法
JPS60188532A (ja) 法面土留装置
KR200303587Y1 (ko) 다공질 망태블록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JP4749970B2 (ja) 傾斜地緑化構造及び傾斜地緑化工法
JP3097830B2 (ja) 法面の緑化工法
KR100430246B1 (ko)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JP2974961B2 (ja) 湛水面裸地の法面緑化工法及びこれに用いる金網型枠
CN218969905U (zh) 一种水利生态护坡结构
KR200341409Y1 (ko) 옹벽블록 및 옹벽블록 조립체
KR200304540Y1 (ko) 녹화용 옹벽블록
KR100322869B1 (ko) 식생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다공질 콘크리트블록
KR100701482B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유공관을 이용한 호안의 식생 축조공법과 이에 적합한 유공관 조립체
JP2769444B2 (ja) 緑化ブロックおよび緑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