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175B1 -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175B1
KR100787175B1 KR1020060050066A KR20060050066A KR100787175B1 KR 100787175 B1 KR100787175 B1 KR 100787175B1 KR 1020060050066 A KR1020060050066 A KR 1020060050066A KR 20060050066 A KR20060050066 A KR 20060050066A KR 100787175 B1 KR100787175 B1 KR 100787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mooth muscle
vascular smooth
preven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514A (ko
Inventor
조민경
최수정
금상일
신흥묵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5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17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추출물의 제조시 용매로서는 물 또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에 반하, 황련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이상을 선택하여 추가한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해 실험한 결과, 상기 추출물은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양성 대조군인 PDGF 단독 투여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억제하였으며, 또한 상기 추출물을 1 ㎎/㎖ 농도로 24시간동안 혈관 평활근 세포에 처치하였을 때 양성 대조군에 비해 약 50% 정도의 현저한 세포 이주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제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백출, 천마, 혈관 평활근 세포(SMC),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증식(proliferation), 이주(migration), 동맥경화

Description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A herbal mixture extract comprising Atractylodis Rhizoma Alba, Gastrodia elata,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Poria cocos, Crataegur,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 and food supplement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rterioscleros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혈관 평활근 세포에 농도별로 투여하고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을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혈관 평활근의 이주에 미치는 효과를 트랜스웰 이주능 분석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 이주를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맥경화증은 동맥벽에 비후(肥厚)나 조직의 변성(變性)이 일어나서 경화(硬化)하는 질환으로, 동맥의 내막이 두터워져 내경이 좁아지면서 산소와 각종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동맥과 뇌 및 하지로 가는 동맥에 혈류장애가 나타나는데, 노화와 더불어 발생하는 주요 질환 중의 하나이다. 동맥의 내막에 과도한 세포증식에 의해 생겨난 죽종 주위에 섬유화가 일어나 혈관이 점차 단단해지는 현상을 죽상동맥경화라 하며, 죽상이란 용어를 생략하여 동맥경화라 하기도 한다.
동맥경화증은 10세 전후에서 시작되며 40세 후반에 혈류장애가 나타나는데, 때에 따라 섬유막이 파열되어 혈관 안에 혈전이 생길 수 있고, 죽종 안에 출혈이 일어나 혈관내경이 급격하게 좁아져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동맥경화는 뇌동맥 또는 관상동맥에서 일어나기 쉬운데, 뇌동맥경화증의 경우에는 두통, 현기증, 정신장애를 나타내고 뇌연화증의 원인이 되며, 관상동맥경화증의 경우에는 심장부에 동통과 부정맥을 일으켜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심장병, 뇌일혈 등이 유발되어,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질병이 현대 사회에 있어, 특히 50∼60대의 남성들에게 가장 큰 사망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서구에서는 예전부터 주된 사망원인이 되는 흔한 질병이며, 국내 통계청발표에 따르면 1995년 20%에서 2000년에는 73%로 증가하여 국내에서도 동맥경화와 관련된 사망률 이 약 50%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맥경화는 중심성 비만을 포함하여 비만(과체중), 혈전, 과응고 및 혈전유발 상태(동맥과 정맥) 등의 대사 증후군이나 지질이상혈증 등과 같은 질환의 발생 및 진행과 깊이 관련되고,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동맥은 대동맥, 중동맥, 소동맥으로 구분되며, 내막, 중막, 및 외막의 세 층으로 구성되며 특히, 죽상동맥경화증은 주로 탄력성 및 근육성 동맥에서 잘 발생한다. 혈관 수축과 확장기능을 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는 자극을 받으면 내막으로 이주하여 증식할 수 있으며, LDL에 대한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매우 엄격한 기작에 의하여 증식이 조절되지만, 비정상적인 경우 과다 증식되어 혈관계 질환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또한, 혈관 평활근 세포는 협심증과 심근 경색증으로 대표되는 허혈성 심질환 치료시 혈관 재협착을 유발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평활근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며, 항산화제, 항혈소판제, 혈관확장제, 항응고제 등의 투여가 실시되고 있지만, 임상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반하, 백출, 천마는 반하백출천마탕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족태음의 담궐두통을 주치로 한 방제로 비위내상으로 인한 두통여렬, 신중여산, 오심번민, 사지궐냉, 구토, 현훈 증상에 처방하며, 그 제습화담의 효능으로 최근 담습의 조체로 인한 심혈관계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병리적으로 비위의 허약은 위내정수와 수독에 의한 담음을 발생시키며 또한, 담음은 혈류의 장애를 초래하여 심혈관계질환의 병태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반하백출천마탕은 담음이 관여하는 혈류장애 나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개선과 혈압강하의 효과가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을 추출하여 동맥경화 치료 효능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유주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추출물에 대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유주 활성을 억제하는 객관적인 효능을 밝혀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에 반하, 황련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이상을 선택하여 추가로 혼합한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에 반하, 황련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이상을 선택하여 추가로 혼합한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들의 제조시 용매로서 물 또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 성분 약재별 약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삽주의 근경을 일으키며, 방향성건위제로 한방에서는 비장을 보강하는 건비, 보비 처방에 빈용되며 진정, 이뇨, 지한, 자양, 안테효과,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혈당치저해효능, 혈압강하, 이뇨작용등의 효과가 있다.
천마(Gastrodia elata)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 뇌신경쇠약증, 진통, 두통, 중풍,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콩팥염 및 당뇨병 등에도 사용된다.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는 귤껍질로서, 산초과 또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광귤나무(Citrus Auranticum L.) 또는 제주도산 귤나무(C. Junos), 귤나무(C. nobilis) 등의 익은 열매의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것인데, 동의치료에서는 오래 묵인것일수록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분으로는 정유와 플라보노이드인 헤스페리딘(hesperidin)이 함유되어 있어 방향성 건위약 또는 진해, 거담, 복만, 복통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정성이 확보된 생약의 일종이다.
복령(Poria cocos)은 나무뿌리에 기생하며, 균핵(菌核) 크기는 10∼30cm이며 백색인 것을 백복령(白茯笭), 적색인 것을 적복령(赤茯笭)이라 한다.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요도염에 이용한다.
산사(Crataegur)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으로 그 성분으로는 히페로사이드(Hyperoside), 케르세틴(quercetin), 올레아놀(oleanol)이 있으며 과실은 이과로서 구형 또는 도란형이며 산사자라 한다. 약효는 건위, 소화, 강장, 고혈압, 월경통 등에 사용한다.
희렴(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은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으로서 성분으로는 디테르펜다투로시드, 다투린, 알칼로이드, 사포닌, 정유 등이 있으며 혈압내림, 악창, 풍습, 중풍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활성 억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세포 실험을 하였다. 표 1은 본 발명의 추출물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능을 억제하는 효능에 대해 관찰한 결과이다. 그 결과, PDGF에 의해 95%까지 혈관 평활근 세포가 이주하였으나,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의 농도에서 42%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를 나타내어 PDGF에 의한 세포이주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PDGF(5ng/ml) + +
실시예1의 추출물농도(mg/ml) - 1
세포이주거리(%) 12시간 95 42
본 발명은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에 반하, 황련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이상을 선택하여 추가로 혼합한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을 제공한다.
반하(Pinellia termate)는 청남성과의 다년초로 끼무릇의 코르크층을 제거하고 덩이줄기를 사용하는 생약으로 진토, 이뇨, 안압강하, 진해거담, 분비억제, 항부정맥, 항암작용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황련 (Coptis Rhizoma)은 미나리아제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주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보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및 야테오리진(Jateorrhizine) 등을 함유하며, 고미건위정장약등으로 쓰이고, 주성분인 베르베린은 장내세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위장병, 출혈, 동맥경화, 염증, 정신불안 등에 사용되고 있는 생약이다.
반하 및 황련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이주 활성 억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세포 실험을 하였다. 먼저,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에 관한 실험에서는, 음성 대조군에서 48시간에 증식된 세포를 100%라 하면 PDGF 단독 투여시 세포 증식 정도는 160%로 60% 증가하였다. 반면에, PDGF와 반하 및 황련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병용 투여하였을 경우는 약 90-100% 정도로 음성 대조군과 비슷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나타내므로서, 양성 대조군인 PDGF 단독 투여군에 비해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도2).
그리고, 트랜스웰 이주능 분석법을 이용하여 반하 및 황련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에 미치는 효능을 측정한 결과, PDGF를 단독 투여하여 48시간 경과 후 평활근 세포의 유주활성을 100%로 나타내었을 때, PDGF와 반하 및 황련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병용투여한 군은 80%-40%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하 및 황련을 모두 포함하는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PDGF에 의한 혈관 평활근세포의 이주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3).
또한, 반하 및 황련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한약제제 추출물에 대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활성 억제 효과를 상처치유 (Wound healing) 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 PDGF를 단독 투여하여 24시간 경과후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주활성을 100%로 나타내었을 때, PDGF와 반하 및 황련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병용 투여한 군은 약 20-50% 정도의 유주활성을 나타내어 PDGF에 의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2, 도4). 표 2는 반하 및 황련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하고 혈소판유래성장인자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 이주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3-4회 반복실험한 후 통계처리한 결과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표이다.
PDGF(5ng/ml) + + + +
실시예1의 추출물농도(mg/ml) - 0.1 0.5 1
세포이주거리(%) 12시간 95 95 59 36
24시간 100 100 76 52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및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및 증식에 관련된 동맥경화 및, 이와 관련된 질환으로서 관상동맥 심장병, 심근경색증, 협심증, 고지혈증, 뇌연화증, 뇌일혈,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혈관 재협착 및 폐색 뿐만 아니라 당뇨병과 그 합병증, 비만, 지질이상혈증 등과 같은 잠재성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들을 물,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이상의 화합물을 선택하여 추출한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들은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들을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데, 유기용매로는 저급 알콜,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예시할 수 있으며,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을 용매로 하여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들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 총 무게의 1 내지 2 배, 바람직하게는 1.5 배의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시간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제제 혼합물들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들을 추출하는 경우는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 총 무게의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5배의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들에서 추출공정은 필요에 따라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약제제 혼합물들의 추출물은 여액을 농축시킨 엑기스 상태 또는 상기 여과된 여액을 농축시키고 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는 통상적인 모든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 방법으로 수행된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제제들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제로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한약제제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들은 흰쥐에 투여해도 부작용이나 독성 등의 문제가 없어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을 식품 또는 음료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들이 총 원료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건강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화 하여 투여될 있는데, 열수 추출물을 그대로 탕제로, 또는 농축하여 엑기스로 하거나 건조하여 분말화 할 수 있고, 열수 추출물에 담체를 넣어 건조한 후 캡슐화 하거나 정제, 과립, 음료, 분말 등의 형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쥬스, 즙, 젤리,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파우치, 앰플, 차, 드링크제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1 내지 3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의 제조
백출 12 g, 천마 6 g, 진피 6 g, 복령 9 g, 산사 9 g, 희렴 9 g을 잘 씻은 후 추출용기에 넣고 물 500 ㎖을 가하여 100℃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제제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 15 w/v%). 상기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을 이하의 실험예 2 및 제제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반하 및 황련을 모두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의 제조
반하 9 g, 백출 12 g, 천마 6 g, 진피 6 g, 복령 9 g, 산사 9 g, 희렴 9 g, 황련 9 g 을 잘 씻은 후 추출용기에 넣고 물 500 ㎖을 가하여 100℃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제제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 15 w/v%). 상기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을 이하의 실험예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혈관 평활근 세포의 독성 실험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의 혈관 평활근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은 MTT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혈관 평활근 세포를 96웰-플레이트에 90-100% 자랄 때까지 배양한 후 혈청이 없는 배지로 기존 배지를 갈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혈청을 고갈시켰다. 그 다음,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을 혈청이 없는 배지에 녹여 96웰-플레이트의 세포에 농도별(㎎/㎖)로 처치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처치하여 24시간 경과 후, 2㎎/㎖ 농도로 MTT 용액을 첨가하였다. 약 4시간 후 플레이트에 형성된 포르마겐(formagen)을 DMSO 200㎕에 녹여 ELISA 리더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에 의한 세포의 생존률은 하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각각 농도별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대하여 70 % 이하의 생존률을 나타낸 시료를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시료로 판단하였다.
세포의 생존률(%) = (실험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100
상기 실험의 결과를 하기 도1에 나타내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관 평활근 세포는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 1㎎/㎖에서 세포 생존율이 약 2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독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 5㎎/㎖의 농도에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생존율이 약 50%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 1㎎/㎖ 이상의 농도에서는 혈관 평활근 세포에 대한 독성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2]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과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과를 상처 치유 분석(wound healing assay)으로도 관찰하였다. 혈관 평활근 세포를 24웰-플레이트에서 약 100% 자랄 때까지 배양하고,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정지시키기 위해 증식 억제 물질인 마이토마이신(Mitomycin)을 25㎍/㎖ 농도로 투여하였다. 1시간 후 200㎕용 피펫팁을 이용하여 웰-플레이트 바닥에 일정한 굵기의 선을 긋고 배지를 제거하여, PBS로 세척하였다. 그리고 나서, 1% FBS가 첨가된 배지에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거나 1 mg/ml의 농도로 투여하고 30분 후 5ng/㎖ PDGF를 첨가하고, 12시간 경과후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주 거리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PDGF(5ng/ml) + +
실시예1의 추출물농도(mg/ml) - 1
세포이주거리(%) 12시간 95 42
상기 표3은 이주한 거리를 백분율로 나타낸 표이다. 표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PDGF 단독 투여한 후 12시간째 측정한 결과 95% 정도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가 관찰되었으나,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을 전투여 하였을 경우에는 42% 정도의 세포 이주를 나타내어 PDGF에 의한 세포 이주를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혈관 평활근 세포를 96웰-플레이트에서 약 50% 자랄 때까지 배양하고, 혈청이 없는 배지로 기존 배지를 갈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혈청을 고갈시켰다. 그 다음, 음성 대조군에는 배지만 100㎕, 실험군에는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을 1㎎/㎖의 농도로 배지에 녹여 100㎕씩 전투여하고. 1시간 후 PDGF를 양성 대조군과 실험군에 5ng/㎖ 농도로 투여하였다. 각 대조군과 실험군을 12시간에서 72시간까지 배양하고, 각 배양 시간이 경과하면 2 ㎎/㎖의 MTT 용액 50㎕를 첨가하고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포르마겐(formagen)을 DMSO 200㎕에 녹여 ELISA 리더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도2에 나타내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관 평활근 세포는 PDGF 단독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음성 대조군에 비해 2배 정도까지 세포 생존율이 관찰되었으나,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과 PDGF 병용 투여 군에서는 음성 대조군과 비슷한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이 혈관 평활근의 이주에 미치는 효과를 트랜스웰 이주능 분석법으로 나타낸 결과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과를 타입 I 콜라젠 (type I collagen) 으로 코팅된 트랜스웰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혈관 평활근 세포를 3개의 플레이트에서 약 100% 자랄 때까지 배양하고, 혈청이 없는 배지로 기존 배지를 갈아 24시간동안 배양하여 혈청을 고갈시켰다. 업퍼 챔버 (Upper chamber)에 혈관 평활근 세포 100㎕(1×106) 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0, 0.1, 1㎎/㎖로 각각 투여한 후, 로어 챔버 (lower chamber)에 600㎕의 혈청이 없는 배지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50 ng/㎖의 PDGF를 로어 챔버 (lower chamber)에 첨가하고 37℃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업퍼 서피시스 (upper surfaces)를 세척하고 메탄올로 30분간 고정하여 김사액 (Giemsa solution)으로 1시간 동안 염색한 후, 이주된 혈관 평활근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도3에 나타내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GF를 단독 투여하여 48시간 경과 후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를 100%로 나타내었을 때,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을 0.1㎎/㎖과 1㎎/㎖의 농도로 병용 투여하였을 경우 각각 약 80%와 40%로 나타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과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과를 상처 치유 분석(wound healing assay)으로도 관찰하였다. 혈관 평활근 세포를 24웰-플레이트에서 약 100% 자랄 때까지 배양하고,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정지시키기 위해 증식 억제 물질인 마이토마이신(Mitomycin)을 25㎍/㎖ 농도로 투여하였다. 1시간 후 200㎕용 피펫팁을 이용하여 웰-플레이트 바닥에 일정한 굵기의 선을 긋고 배지를 제거하여, PBS로 세척하였다. 그리고 나서, 1% FBS가 첨가된 배지에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하고 30분 후 5ng/㎖ PDGF를 첨가하여 12시간 간격으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주 거리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4와 도4에 나타내었다.
PDGF(5ng/ml) + + + +
실시예2의 추출물농도(mg/ml) - 0.1 0.5 1
세포이주거리(%) 12시간 95 95 59 36
24시간 100 100 76 52
도4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주 사진이며 상기 표4는 이주한 거리를 백분율로 나타낸 표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GF 투여하여 세포의 이주를 유도한 결과 24시간째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가 100% 진행된 것을 관찰하였고,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과 PDGF를 병용투여 하였을 경우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에 의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가 억제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DGF 단독 투여한 후 12시간째 측정한 결과 95% 정도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가 관찰되었으나,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을 전투여하였을 경우에는 59.3% 와 35.5%로 약 40-60% 정도의 세포 이주를 나타내어 PDGF에 의한 세포 이주를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24시간째에는 PDGF 투여군에서 100% 이주가 진행된 반면, 실시예2에서 얻은 추출물을 전투여 하였을 경우에는 약 50% 정도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가 관찰되어 PDGF에 의한 세포 이주를 상기 추출물이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츄잉껌의 제조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0.24 ∼ 0.64%
껌베이스 20%
설탕 76.36 ∼ 76.76%
후르츠향 1%
물 2%
상기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음료의 제조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0.5g ∼ 1.3g
꿀 522㎎
치옥토산아미드 5㎎
니코틴산아미드 10㎎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염산피리독신 2㎎
이노시톨 30㎎
오르트산 50㎎
물 300㎖
상기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사탕의 제조
사탕의 제조시 사용되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결정질 락티톨(Danisco Sweeteners)
아세설팜 K(Hoechst)
블루베리 향(DI 27328)
시트르산(Bahrat Starch Industries, Ltd)
20%의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및 80%의 결정질 락티톨(Danisco Sweeteners)의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소스 팬에 두었다. 모든 물질이 가용화될 때까지 배치를 먼저 고온 플레이트상에서 가열하였다. 이어서 배치를 진공 조리기로 옮기고 추가로 가열하였다. 형성된 블렌드는 심지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점성의 매쓰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시럽을 조리기에서 후판으로 옮기고 낙하 롤링을 위해 적합한 조직이 성취될 때까지 경화시켰다. 경화된 매쓰를 낙하 롤러를 통해 공급하였다. 일단 각인된 사탕은 허용되는 품질을 가졌다.
제제예 4. 술(주정)의 제조
백출 240 g, 천마 120 g, 진피 120 g, 복령 180 g, 산사 180 g, 희렴 180 g 을 잘 씻은 후 추출용기에 넣고 물 10,000 ㎖을 가하여 100℃에서 약3시간동안 달여 농축시켜 추출액을 얻는다. 그와 별도로 쌀 4 kg로 만든 증미, 전통누룩 1 kg 및 주모 0.05 k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추출액을 붓고 10∼25℃에서 약 3일간 발효시켰다. 발효액을 여과하여 액상부분과 고형부분을 분리하고 55∼60℃로 가열한 후 여액에 정제수를 가하여 10,000 ㎖로 조절하여 주제로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1㎎/㎖의 농도에서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크게 억제시켰고, 유주 활성을 억제시켜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 혼합물 또는 상기 혼합물에 반하 및 황련을 더 부가한 한약제제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심근경색증, 협심증, 뇌연화증, 뇌일혈,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혈관 재협착 및 폐색, 당뇨병 및 그 합병증, 비만, 또는 지질이상혈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4. 삭제
  5. 삭제
KR1020060050066A 2006-06-02 2006-06-02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787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66A KR100787175B1 (ko) 2006-06-02 2006-06-02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66A KR100787175B1 (ko) 2006-06-02 2006-06-02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514A KR20070115514A (ko) 2007-12-06
KR100787175B1 true KR100787175B1 (ko) 2007-12-21

Family

ID=3914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066A KR100787175B1 (ko) 2006-06-02 2006-06-02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1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48B1 (ko) * 2013-03-05 2014-12-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00025254A (ko) * 2018-08-29 2020-03-10 윤화순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200047010A (ko) 2018-10-26 2020-05-07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사자 및 택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697B1 (ko) * 2012-08-28 2014-07-04 (주)뉴메드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1894540B1 (ko) * 2016-11-10 2018-09-05 한약진흥재단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혼합한 약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엔자임 q10 증진용 조성물
KR102117896B1 (ko) * 2018-02-27 2020-06-0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산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674B1 (ko) * 2006-02-03 2006-05-10 신흥묵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674B1 (ko) * 2006-02-03 2006-05-10 신흥묵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약제학적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48B1 (ko) * 2013-03-05 2014-12-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00025254A (ko) * 2018-08-29 2020-03-10 윤화순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2127726B1 (ko) 2018-08-29 2020-06-29 윤화순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200047010A (ko) 2018-10-26 2020-05-07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사자 및 택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514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175B1 (ko)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CN104982599A (zh) 一种植物凉茶浓缩液及低糖植物凉茶饮料
KR20170088314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4769B1 (ko)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87174B1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20200012363A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101818500B1 (ko)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8537539A (ja) 植物抽出物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と使用
KR101493461B1 (ko) 백미 추출물의 디옥시퍼굴라리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결핵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520417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7463A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60002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1986B1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877413B1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6185A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43191B1 (ko) 대황,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재협착 억제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85006B1 (ko) 엉겅퀴, 도라지 및 더덕이 포함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천식 및 혈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70616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