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252B1 -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252B1
KR100779252B1 KR1020060006711A KR20060006711A KR100779252B1 KR 100779252 B1 KR100779252 B1 KR 100779252B1 KR 1020060006711 A KR1020060006711 A KR 1020060006711A KR 20060006711 A KR20060006711 A KR 20060006711A KR 100779252 B1 KR100779252 B1 KR 10077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unit
motor
driv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269A (ko
Inventor
유공현
Original Assignee
코스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텔(주) filed Critical 코스텔(주)
Priority to KR1020060006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252B1/ko
Priority to EP06022865A priority patent/EP1783420A3/en
Priority to JP2006347991A priority patent/JP2007202131A/ja
Priority to CNA2006101703315A priority patent/CN101009145A/zh
Priority to US11/624,944 priority patent/US20070170325A1/en
Publication of KR2007007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E02B17/02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adapted to travel on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2Removal or dismantling of offshore structures from their offshore lo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16M2200/065Arms with a special structure, e.g. reinforced or adapted for spac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의 벽면 등에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매립 및 인출, 그리고 시야각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힌지부들을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매립형, 디스플레이, 힌지, 회동, 모터.

Description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Built-in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붙박이 케이스에 대해 수평조절 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인출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조립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힌지 조립체에 구비된 구동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7의 구동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본체와 제 2 고정 브래킷 사이의 방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제어 설명을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붙박이 케이스 120 : 수평조절 부재
130 : 본체 131 : 수납부
150 : 힌지 조립체 161 : 제 1 모터
164 : 제 2 모터 167 : 제 3 모터
170 : 디스플레이부 200 : 제어부
210 : 구동 제어부 220 : 변위정보 처리부
300 : 저장부 400 : 입력부
본 발명은 주택의 벽면 등에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현대인은 주택을 단순한 거주만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거주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려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바쁜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주요한 가정생활 대부분이 주방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주방에서 식사를 하는 동안이나 주부들이 주방활동을 하는 동안에도 공중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주방의 싱크대 위에 위치한 상부장 등에 부착 가능한 티브이 장치가 그 일 예이다. 한편 다른 예로서, 욕실에 부착 가능한 티브이 장치도 있다.
종래 이 같은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면에 매립된 디스플레이부의 수납 및 인출을 자유롭게 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원하는 방향에서 시청이 가능하도록 시야각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수납된 디스플레이부를 앞으로 당겨 인출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시야각 조절을 해야 하며, 시청 후에도 직접 디스플레이부를 벽면에 수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수납 및 인출, 시야각 조절을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직접적으로 다룰 필요 없이 자동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벽면에 수납 및 인출, 그리고 시야각 조절을 위한 회동을 자동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의 인출 상태 및 시야각 조절 상태를 기억하여 그 위치로 자동 구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립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부와, 수납부에 수납 및 인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수납부와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수납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고 시야각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힌지부들을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와, 복수 힌지부들이 회동되게 하는 각각의 구동부와, 구동 명령에 따라 각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매립 및 인출, 그리고 시야각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힌지부들을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구동부의 변위정보를 기억하였다가 이후 구동 명령이 발생하면 기억된 변위정보로 각 구동부를 구동시켜 힌지 조립체의 복수의 힌지부들을 회동시킨다.
이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인출 상태 및 시야각 조절 상태에 대한 각 구동부의 변위정보를 기억하고, 기억된 변위정보를 참조하여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디스플레이부 인출 정도 및 시야각을 매번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붙박이 케이스(110)와, 붙박이 케이스(110) 내에 수용되는 수납부(131)를 구비한 본체(130)와, 힌지 조립체(150)로 본체(130)의 수납부(131)와 결합 되는 디스플레이부(170)를 구비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본체(130)와 붙박이 케이스(110) 사이에서 이들과 각각 결합되는 수평조절 부재(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붙박이 케이스(110)에는 본체(130)가 수용될 수 있게 앞면에 개구(111)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붙박이 케이스(110)는 주택 실내의 벽면(10), 예컨대 주방 벽면이나 욕실 벽면 내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벽면(10)에는 붙박이 케이스(110)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장착 홈(11)이 형성되며, 이러한 장착 홈(11) 내에 붙박이 케이스(110)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장착 홈(11)에 대한 붙박이 케이스(110)의 고정은 시멘트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붙박이 케이스(110)의 뒷면에 격자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붙박이 케이스(110)에는 본체(130)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15)이 고정 결합된다.
본체(130)에는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내장되며, 앞면에 디스플레이부(170)가 충분히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수납부(131)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앞면에 화상이 구현되는 패널(171)이 배치되며, 일 예에 따라 패널(171)의 양측에 스피커(172)가 배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70)는 본체(130)와 연결 케이블(18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30)로부터 전달되는 화상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70)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키 입력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본체(130)가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위치하여 적어도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70)에는 키 입력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경우에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적외선 수신 수단이 디스플레이부(170)에 더 마련될 수 있다.
힌지 조립체(150)는 본체(130)와 디스플레이부(17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170)가 본체(130)의 수납부(131)에 수납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며 시야각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조립체(15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뒷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수납부(131)의 앞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래킷(152)과, 제 1 고정 브래킷(151)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회동부(153)와, 일단이 제 1 회동부(153)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고정 브래킷(152)에 힌지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부(170)가 수납부(131)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 1 회동부(153)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 홈(155)이 형성된 제 2 회동부(154)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170)의 뒷면에는 힌지 조립체(150)의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체결 홀들이 형성되며, 제 1 고정 브래킷(151)이 삽입될 정도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결합부(175)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30)의 수납부(131) 내에는 힌지 조립체(150)의 제 2 고정 브래킷(152)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체결 홀들이 형성되며, 제 2 고정 브래킷(152)이 삽입될 정도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결합부(132)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 2 고정 브래킷(152)에 체결되는 나사들은 제 2 결합부(132)에 체결될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나사는 제 2 결 합부(132)를 거쳐 수평조절 부재(12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의 자체 중량에 의해 수납부(13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 연결 케이블은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1 결합부(175)와 본체(130)의 제 2 결합부(132)를 각각 통과하여 설치된다.
이렇게 힌지 조립체(150)로 본체(130)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170)는 붙박이 케이스(110)와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붙박이 케이스(110)가 벽면(10) 내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수평으로 맞추어져 고정되지 않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70) 또한 정확하게 수평으로 맞추어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이 사용자에게 틀어진 상태로 보일 수가 있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은 수평조절 부재(120)에 의해 수평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평조절 부재(12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평면에는 붙박이 케이스(110)의 나사체결 홀(112)과 함께 나사로 체결되는 조절 홀(121)들이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조절 홀(121)은 수평조절 부재(120)와 붙박이 케이스(110)와의 상대적인 좌우 회전에 의해 나사체결 홀(112)이 이동함으로써 생성되는 이동 궤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조절 홀(121)은 수평조절 부재(120)의 회전 중심에 위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평조절 부재(120)를 붙박이 케이스(1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좌우 회전시키더라도, 나사체결 홀(112)이 조절 홀(121) 내에 계속하여 위치되어 나사체결 홀(112)과 조절 홀(121) 모두에 나사가 체결될 수 있게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절 홀(121)은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이 수평으로 여유롭게 조절될 수 있을 정도의 궤적을 갖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 홀(121)이 수평조절 부재(120)에 형성됨에 다라 붙박이 케이스(110)가 벽면(10) 내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수평으로 맞추어져 고정되지 않게 되더라도, 수평조절 부재(120)가 적절히 위치 조절되어 붙박이 케이스(110)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이 수평으로 맞추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1)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1)로부터 인출되는 한편, 화면 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시야각 조절을 가능케 한다. 이를 위해 힌지 조립체(150)에는 복수의 힌지부들이 구비되는데,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고정 브래킷(151)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회동부(153)와, 일단부가 제 1 회동부(153)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가 제 2 고정 브래킷(152)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회동부(154)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 1 회동부(153)와 제 2 회동부(154) 사이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동부(153)가 제 2 회동부(154) 내에 위치되는 것이 본체(130)의 수납부(131)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 2 회동부(154)에는 제 1 회동부(153)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 홈(15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제 1 회동부(153) 사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가 제 1 회동부(153)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최대 90도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든지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회동부(153)와 제 2 회동부(154) 사이는 제 1 회동부(15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동부(154)에 대해 180도의 각도로 펼쳐지는 위치까지 회동할 수 있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제 2 회동부(154)와 제 2 고정 브래킷 사이는 제 2 회동부(15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30)의 수납부(131) 앞면에 평행한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30)의 수납부(131) 앞면과 수직한 위치까지 회동할 수 있게 힌지 결합된다. 아울러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제 1 회동부 사이, 제 1 회동부(153)와 제 2 회동부(154) 사이, 제 2 회동부(154)와 제 2 고정 브래킷(152) 사이는 제 1 및 제 2 회동부(154)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가 수납부(13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별다른 수단 없이도 충분히 지지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조립체(150)의 힌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1 고정 브래킷(151)에는 제 1 회동부(153) 측으로 돌출되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게 제 1 축받이(151a)들이 형성된다. 이와 상응하여 제 1 회동부(153)에는 제 1 베이스부(153a)의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인접한 단부에 위치되되, 제 1 축받이(151a)들 사이에 끼워지게 제 2 축받이(153b)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축받이(151a)들과 제 2 축받이(153b)에는 제 1 회동축(156a)이 설치된다. 즉, 제 1 회동축(156a)은 제 1 축받이(151a)들과 제 2 축받이(153b) 모두에 끼워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회동축(156a)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 탭에 와셔 및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제 1 회동부(153) 사이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회동부(153)에는 제 1 베이스부(153a)의 제 2 회동부(154)와 인접한 단부에 제 3 축받이(153c)가 형성된다. 이와 상응하여, 제 2 회동부(154)에는 제 2 베이스부(154a)의 제 1 회동부(153)에 인접한 단부에 위치되되 제 3 축받이(153c)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게 제 4 축받이(154b)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3 축받이(153c)와 제 4 축받이(154b)들은 제 1 회동부(153)가 제 2 회동부(154)로부터 180도의 각도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 2 회동부(154)로 접혀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3 축받이(153c)와 제 4 축받이(154b)들에는 제 2 회동축(156b)이 설치된다. 즉, 제 2 회동축(156b)은 제 3 축받이(153c)와 제 4 축받이(154b)들 모두에 끼워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회동축(156b)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 탭에 와셔 및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제 1 회동부(153)와 제 2 회동부(154) 사이가 힌지 결합된다.
또한 제 2 회동부(154)에는 제 2 베이스부(154a)의 제 2 고정 브래킷(152)과 인접한 단부에 제 5 축받이(154c)가 형성된다. 이와 상응하여 제 2 고정 브래킷(152)에는 제 2 회동부(154)에 인접한 단부에 위치되되, 제 5 축받이(154c)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게 제 6 축받이(152a)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5 축받이(154c)와 제 6 축받이(152a)들은 제 2 회동부(154)가 본체(130)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5 축받이(154c)와 제 6 축받이(152a)들에는 제 3 회동축(156c)이 설치된다. 즉, 제 3 회동축(156c)은 제 5 축받이(154c)들과 제 6 축받이(152a) 모두에 끼워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 3 회동축(156c)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 탭에 와셔 및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제 2 회동부(154)와 제 2 고정 브래킷(152) 사이가 힌 지 결합된다.
이러한 힌지 조립체(150)에 있어서, 제 1 고정 브래킷(151)에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1 결합부(175)로부터 인출된 연결 케이블(180) 부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슬릿(157a)이 형성되며, 제 2 고정 브래킷(152)에는 본체(130)의 제 2 결합부(132)로부터 인출된 연결 케이블(180) 부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슬릿(157b)이 형성된다. 이렇게 슬릿들(157a)(157b)들을 통과하는 연결 케이블(180)은 제 1 및 제 2 회동부(153)(154)가 접혀지고 펼쳐지는 과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회동부(153)(154)의 힌지 결합되는 부위들의 내부를 각각 통과하여 제 1 및 제 2 회동부(153)(154)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 및 제 2 회동부(153)(154)의 힌지 결합되는 부위들, 즉 제 2 축받이(153b), 제 3 축받이(153c), 및 제 5 축받이(154c)에는 중앙에 절개 홈(158)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개 홈(158)들은 연결 케이블(18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다. 이러한 절개 홈(158)들은 연결 케이블(180)을 제 1 내지 제 3 회동축(156a)(156b)(156c)으로부터 이격시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회동부(153)(154)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 1 내지 제 3 회동축(156a)(156b)(156c)에 의해 연결 케이블(18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 1 회동부(153)에는 연결 케이블(180)이 내부를 거쳐 지나갈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로는 제 1 베이스부(153a)와의 사이에 연결 케이블(180)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제 1 베이스부(153a)에 커버부(153d) 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회동부(154)에도 제 1 회동부(153)에서와 같이 연결 케이블(180)이 내부를 거쳐 지나갈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모터 및 기어들로 구성되어 힌지 조립체(150)의 복수 힌지부들이 자동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는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인접한 부위의 제 1 회동부(153)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구동기어(162)가 축 결합된 제 1 모터(161)와, 제 1 고정 브래킷(151)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구동기어(162)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1 고정기어(163)와, 제 2 회동부(154)와 인접한 부위의 제 1 회동부(153)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 구동기어(165)가 축 결합된 제 2 모터(164)와, 제 2 회동부(154)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 구동기어(165)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2 고정기어(166)와, 제 2 고정 브래킷(152)과 인접한 부위의 제 2 회동부(154)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3 구동기어(168)가 축 결합된 제 3 모터(167)와, 제 2 고정 브래킷(152)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3 구동기어(168)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3 고정기어(169)를 구비한다.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제 1 회동부(153) 사이에는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인접한 부위의 제 1 회동부(153)에 고정 결합된 제 1 모터(161)와, 제 1 모터(16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 1 구동기어(162) 및 제 1 구동기어(162)와 맞물리며 제 1 고정 브래킷(151)의 회동 중심에 고정 결합된 제 1 고정기어(16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 1 고정기어(163)와 맞물린 제 1 구동기어(162)가 제 1 모터 (161)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제 1 고정기어(163)가 제 1 고정 브래킷(151)의 회동 중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1 고정 브래킷(151)에 대해 제 1 회동부(153)가 제 1 구동기어(162)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 회동부(153)와 제 2 회동부(154) 사이에는 제 2 회동부(154)와 인접한 부위의 제 1 회동부(153)에 고정 결합된 제 2 모터(164)와, 제 2 모터(164)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 2 구동기어(165) 및 제 2 구동기어(165)와 맞물리며 제 2 회동부(154)의 회동 중심에 고정 결합된 제 2 고정기어(16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 2 고정기어(166)와 맞물린 제 2 구동기어(165)가 제 2 모터(164)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제 2 고정기어(166)가 제 2 회동부(154)의 회동 중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2 회동부(154)에 대해 제 1 회동부(153)가 제 2 구동기어(165)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회동부(154)와 제 2 고정 브래킷(152) 사이에는 제 2 고정 브래킷(152)과 인접한 부위의 제 2 회동부(154)에 고정 결합된 제 3 모터(167)와, 제 3 모터(167)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 3 구동기어(168) 및 제 3 구동기어(168)와 맞물리며 제 2 고정 브래킷(152)의 회동 중심에 고정 결합된 제 3 고정기어(169)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 3 고정기어(169)와 맞물린 제 3 구동기어(168)가 제 3 모터(167)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제 3 고정기어(169)가 제 2 고정 브래킷(152)의 회동 중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2 고정 브래킷(152)에 대해 제 2 회동부(154)가 제 3 구동기어(168)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모터(167)는 연결 케이블(180)을 통해 본체(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할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부의 설치 구조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8 및 도 9는 제 2 회동부(154)와 제 2 고정 브래킷 사이에 설치된 구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2 고정 브래킷(152)과 인접한 부위의 제 2 회동부(154)에 모터 장착용 홈(154e)이 형성되며, 모터 장착용 홈(154e) 내에 제 3 모터(167)의 몸통이 수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제 3 모터(167)는 통상적인 접착 부재 등에 의해 모터 장착용 홈(154e)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모터(167)의 회전축에는 제 3 구동기어(168)의 회전 중심이 대응되어 결합된다. 이와 상응하여 제 2 고정 브래킷(152)의 회동 중심에 제 3 고정기어용 홈(152e)이 형성되며, 제 3 고정기어용 홈(152e) 내에 제 3 고정기어(169)의 고정축(169a)이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제 3 고정기어(169) 및 제 3 구동기어(168) 사이는 서로 맞물리도록 기어 열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고정 브래킷(151)과 제 1 회동부(153) 사이와, 제 1 회동부(153)와 제 2 회동부(154) 사이에 설치된 구동부에도 각각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연결 케이블(180)이 제 1 및 제 2 고정 브래킷(131)(132)의 슬릿들(137a)(137b)을 각각 통과하여 설치됨에 따라, 슬릿들(137a)(137b)을 통해 습기나 수분이 디스플레이부(170) 및 본체(130) 내로 침투하여 내부 회로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특히,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습기나 수분이 많은 주방이나 욕실에 설치되는 경우 그러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고정 브래킷(131)의 디스 플레이부(170)와 결합되는 부위에 제 1 방수패킹(159)이 설치되고, 제 2 고정 브래킷(152)의 본체(130)와 결합되는 부위에 제 2 방수패킹(160)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방수패킹(159)(160)에는 연결 케이블(18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들(159a)(160a)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방수패킹(159)(160)은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30)와 제 2 고정 브래킷(152) 사이의 방수 구조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130)의 제 2 결합부(132)와 제 2 고정 브래킷(152) 사이에 제 2 방수패킹(160)이 위치되는 한편, 본체(130)의 제 2 결합부(132)로부터 인출된 연결 케이블(180)이 제 2 방수패킹(160)의 홀(160a)을 거쳐 제 2 고정 브래킷(132)의 슬릿(137b)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결합부(132)와 제 2 고정 브래킷(152)의 대향되는 면들에는 제 2 방수패킹(160)이 삽입될 수 있게 오목 홈들(160b)(160c)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 홈들(160b)(160c)은 제 2 방수패킹(160)이 압착될 때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제 2 결합부(132)와 제 2 고정 브래킷(152) 사이에 제 2 방수패킹(160)이 개재된 상태에서 제 2 결합부(132)와 제 2 고정 브래킷(152) 사이를 나사 결합시키게 되면 제 2 방수패킹(160)이 압착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제 2 고정 브래킷(152)의 슬릿(157b)을 통해 습기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30)와 제 2 고정 브래킷(152) 사이의 방수 구조는 화상기기(170)와 제 1 고정 브래킷(151) 사이의 방수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제어 설명을 위한 블록도이다. 입력부(400)는 통상적인 주지된 키 입력수단으로, 디스플레이부(170)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30)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에는 본체(130) 자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40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수납 및 인출, 그리고 시야각 조절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키들(M1키, M2키, M3키)을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키들(M1키, M2키, M3키)의 좌우 키 조작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170)의 수납 및 인출, 그리고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 1 모터(M1)(161), 제 2 모터(164)(M2), 제 3 모터(M3)(167)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라 구동 제어부(210)는 입력부(400)로부터의 구동 명령, 즉 사용자의 M1키, M2키, M3키 조작에 따라 연결 케이블(180)을 통해 제 1 모터(M1)(161), 제 2 모터(164)(M2), 제 3 모터(M3)(167)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M1, M2, M3 모터들(161)(164)(167)은 자신에게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모터 구동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어가 동작하여 각 힌지부가 회동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가 매립된 상태에서 M1키 및 M2키를 조작하여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를 인출할 수 있으며, M3키를 조작하여 도 5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를 좌우 회전시켜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매립 및 인출, 그리고 시야각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힌지부들을 구동부에 의해 자동 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변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0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200)는 저장부(300)에 변위정보를 저장 처리하는 변위정보 처리부(220)를 더 포함한다. 변위정보 처리부(220)는 구동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된 모터들(M1, M2, M3)(161, 164, 167)의 변위정보를 저장부(300)에 저장 처리한다.
일 예에 따라 모터들(M1, M2, M3)(161, 164, 167)은 스텝 모터일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스텝 모터는 외부의 DC 전압 도는 전류를 모터의 각 상단자에 스위칭 방식으로 입력시켜 줌에 따라 일정한 각도의 회전을 하는 모터이다. 따라서 이는 일종의 디지털 제어방식의 기기로서 일반적인 아날로그 전원보다는 디지털 펄스형식의 제어에 적합한다. 즉, 디지털 펄스 신호당 1 스텝(대략 1°)에 해당하는 회전각만큼 정확한 운동을 하게 되며, 입력 펄스의 수와 단위시간당 펄스 입력속도에 정확히 비례하여 연속운동을 하게 된다.
이 같이 스텝 모터의 총 회전각은 입력 펄스의 총 수에 비례하므로, 변위정보 처리부(220)는 구동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된 각 모터(M1, M2, M3)(161, 164, 167)의 변위정보를 획득한다. 일 예에 따라 변위정보는 각 모터에 제어신호로 전달된 펄스의 총 수가 될 수 있고, 아니면 각 모터에 전달된 펄스에 비례하는 회전각이 될 수 있다. 변위정보 처리부(220)는 구동 제어부(210)로부터 이러한 변위정보를 획득하여 저장부(300)에 저장 처리한다. 또다른 예에 있어서 엔코더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으며, 변위정보 처리부(220)는 엔코더에 의해 검출된 회전각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부(300)에 저장 처리할 수 있다. 엔코더를 이용한 모터의 회전각 검출 기술 자체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 제어부(210)는 구동 명령에 따라 저장부(300)에 저장된 변위정보를 참조하여 각 모터(M1, M2, M3)(161, 164, 167)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수납부(13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170)는 자동으로 인출되어 시야각을 위해 좌 혹은 우로 자동 조절된다.
이에 대해 실제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M1, M2키를 조작하여 수납된 디스플레이부(170)를 인출하고, M3키를 조작하여 자신에게 맞도록 시야각을 조절한다.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70)가 조절되면, 사용자는 입력부(400)의 '설정'키를 누른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170)의 현재 설정 상태를 기억시키기 위해, 변위정보 처리부(220)가 구동 제어부(210)로부터 각 모터(M1, M2, M3)(161, 164, 167)의 변위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각 모터(161, 164, 167)의 변위정보를 저장부(300)에 저장 처리한다. 이후 사용자는 M1키, M2키, M3키를 직접 조작하여 수납부(131)에서 디스플레이부(170)를 인출하여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조절할 필요 없이, '이동'키 만을 누르면 된다. '이동' 키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 제어부(210)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변위정보를 참조하여 각 모터(M1, M2, M3)(161, 164, 167)로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는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인출 정도와 시야각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입력부(400)는 인출된 디스플레이부(170)를 자동 으로 수납케 하는 키('종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인출된 디스플레이부(170)가 사용자의 M1키, M2키, M3키 조작에 의해 인출된 것이라면, 변위정보 처리부(220)는 구동 제어부(210)로부터 각 모터(M1, M2, M3)(161, 164, 167)의 변위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부(300)에 저장 처리한다. 그리고 이후 사용자가 '종료'키를 누르면, 구동 제어부(210)는 저장부(300)에 임시 저장된 변위정보를 참조하여 각 모터(M1, M2, M3)(161, 164, 167)로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는 자동으로 수납부(131)에 수납된다.
만일 현재 인출된 디스플레이부(170)가 사용자의 '이동'키 조작에 의해 인출된 것이라면, 변위정보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별도로 변위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사용자가 '종료'키를 누르면, 구동 제어부(210)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변위정보를 참조하여 각 모터(M1, M2, M3)(161, 164, 167)로 역방향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는 자동으로 수납부(131)에 수납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70)와 본체(130)가 물리적으로 별도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체(130)의 제어부(200)가 디스플레이부(17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는 본체(130)는 단지 수납부(131)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매립 및 인출, 그리고 시야각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힌지부들을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인출 상태 및 시야각 조절 상태에 대한 각 구동부의 변위정보를 기억하고, 기억된 변위정보를 참조하여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디스플레이부 인출 정도 및 시야각을 매번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매립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 및 인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하며 시야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수납부의 앞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 1 고정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회동부와, 일단이 상기 제 1 회동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고정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동부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 홈이 형성된 제 2 회동부가 구비된 힌지 조립체와;
    상기 힌지 조립체의 힌지 결합 부분이 회동되게 하는 각각의 구동부와;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각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
    상기 제 1 고정 브래킷과 인접한 부위의 상기 제 1 회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구동기어가 축 결합된 제 1 모터와, 상기 제 1 고정 브래킷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구동기어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1 고정기어와, 상기 제 2 회동부와 인접한 부위의 상기 제 1 회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 구동기어가 축 결합된 제 2 모터와, 상기 제 2 회동부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구동기어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2 고정기어와, 상기 제 2 고정 브래킷과 인접한 부위의 상기 제 2 회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3 구동기어가 축 결합된 제 3 모터와, 상기 제 2 고정 브래킷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3 구동기어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3 고정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4.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매립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 및 인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수납부와 디스플레이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수납 및 인출, 시야각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힌지부들을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와;
    상기 복수 힌지부들이 회동되게 하는 각각의 구동부와;
    저장부와;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각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상기 각 구동부의 변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 처리하는 변위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제어부가,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변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정보 저장 처리부가 :
    사용자의 저장 명령에 따라 상기 각 구동부의 변위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가 :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수납부의 앞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 1 고정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회동부와, 일단이 상기 제 1 회동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고정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동부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 홈이 형성된 제 2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가 :
    상기 제 1 고정 브래킷과 인접한 부위의 상기 제 1 회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구동기어가 축 결합된 제 1 모터와, 상기 제 1 고정 브래킷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구동기어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1 고정기어와, 상기 제 2 회동부와 인접한 부위의 상기 제 1 회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 구동기어가 축 결합된 제 2 모터와, 상기 제 2 회동부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구동기어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2 고정기어와, 상기 제 2 고정 브래킷과 인접한 부위의 상기 제 2 회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3 구동기어가 축 결합된 제 3 모터와, 상기 제 2 고정 브래킷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3 구동기어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3 고정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주택 실내에 위치한 벽면의 장착 홈 내에 고정 설치되며, 앞면에 개구가 형성된 붙박이 케이스와;
    상기 붙박이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앞면에 수납부가 마련되며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붙박이 케이스와 본체 사이에서 이들에 각각 고정 결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수평으로 조절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게 하는 수평조절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하며 시야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수납부의 앞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 1 고정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회동부와, 일단이 상기 제 1 회동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고정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동부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 홈이 형성된 제 2 회동부를 구비한 힌지 조립체와;
    상기 제 1 회동부의 제 1 고정 브래킷과 인접한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구동기어가 축 결합된 제 1 모터와, 상기 제 1 고정 브래킷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구동기어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1 고정기어와, 상기 제 1 회동부의 제 2 회동부와 인접한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 구동기어가 축 결합된 제 2 모터와, 상기 제 2 회동부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구동기어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2 고정기어와, 상기 제 2 회동부의 제 2 고정 브래킷과 인접한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3 구동기어가 축 결합된 제 3 모터와, 상기 제 2 고정 브래킷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3 구동기어가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제 3 고정기어를 구비한 각각의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각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의 제 1 및 제 2 회동부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붙박이 케이스에는 상기 수평조절 부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체결 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조절 부재에는 상기 붙박이 케이스와의 상대적인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체결 홀들이 이동함으로써 생성되는 이동 궤적들에 각각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조절 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상기 각 구동부의 변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 처리하는 변위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가 :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변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06711A 2005-11-02 2006-01-23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7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11A KR100779252B1 (ko) 2006-01-23 2006-01-23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EP06022865A EP1783420A3 (en) 2005-11-02 2006-11-02 In-wall display device
JP2006347991A JP2007202131A (ja) 2006-01-23 2006-12-25 埋め込み型ディスプレー装置
CNA2006101703315A CN101009145A (zh) 2006-01-23 2006-12-28 墙内显示装置
US11/624,944 US20070170325A1 (en) 2006-01-23 2007-01-19 In-wal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11A KR100779252B1 (ko) 2006-01-23 2006-01-23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182A Division KR100779253B1 (ko) 2007-07-31 2007-07-3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269A KR20070077269A (ko) 2007-07-26
KR100779252B1 true KR100779252B1 (ko) 2007-11-27

Family

ID=3828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711A KR100779252B1 (ko) 2005-11-02 2006-01-23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70325A1 (ko)
JP (1) JP2007202131A (ko)
KR (1) KR100779252B1 (ko)
CN (1) CN1010091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692B1 (ko) 2014-09-23 2016-02-17 대구도시철도공사 열차용 차상 모니터 거치대
KR20220159208A (ko) 2021-05-25 2022-12-02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67848A1 (en) * 2006-10-06 2008-04-10 Dirk Jan Stoelinga Support arm
US8313072B2 (en) * 2007-08-27 2012-1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Monitor as a door
JP2010026216A (ja) * 2008-07-18 2010-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モジュール
JP5180864B2 (ja) * 2009-02-03 2013-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支持装置
US8827226B2 (en) * 2010-08-23 2014-09-09 Ergotron, Inc. Single mount with dual method installation
WO2014001000A1 (en) * 2012-06-29 2014-01-03 Lincor Solutions Limited An articulated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US9644787B2 (en) 2013-03-13 2017-05-09 Zeller Digital Innovations, Inc. Videoconferencing equipment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6124685B2 (ja) * 2013-05-28 2017-05-1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86346B1 (ko) * 2013-07-09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확장모듈
US10180209B2 (en) * 2013-12-05 2019-01-15 Innovative Office Products, Llc Expandable multi-display support apparatus
CN106323350A (zh) * 2016-08-11 2017-01-11 成都弥荣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360度旋转的折叠式汽车检测显示仪支撑装置
WO2018072092A1 (zh) * 2016-10-18 2018-04-26 王启先 一种新型电视机安装装置
CN210691861U (zh) * 2017-05-10 2020-06-05 三菱电机株式会社 多显示器***、视频显示装置以及拉出机构
CN207702071U (zh) * 2017-12-25 2018-08-07 裴旭波 一种可调角度的电视固定装置
DE102018101210B4 (de) * 2018-01-19 2019-08-22 Fujitsu Client Computing Limited Wandbefestigung für eine elektronische Anzeige, Comput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elektronischen Anzeige und eines Computersystems an einer Wand
AT521532B1 (de) * 2018-08-14 2020-04-15 Reintechnik Gmbh Haltevorrichtung für Video-Wände
WO2021041483A1 (en) * 2019-08-26 2021-03-04 Isla Mapping Llc Adjustable electronics mounting platform and related methods
CN111140756B (zh) * 2020-02-13 2022-12-30 恩希通讯配件有限公司 一种内嵌式显示器防尘壁挂器
US11647838B2 (en) * 2021-05-06 2023-05-16 Francis Douglas Warren Tilting mount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1988A1 (en) 1983-06-28 1985-0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rear-screen projection apparatus
JPH0898116A (ja) * 1994-09-28 1996-04-12 Okamura Corp テレビ受像機等の支持装置
KR20030089653A (ko) * 2003-09-08 2003-11-22 하대남 모니터 및 텔레비전의 위치 조종 장치
KR100464265B1 (ko) 2004-06-03 2005-01-03 코스텔(주) 매립형 다기능 티브이 장치
KR100586827B1 (ko) 2005-11-02 2006-06-08 코스텔(주) 빌트인 다기능 티브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4912C2 (de) * 2000-02-01 2003-03-27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 mit einer als Flüssigkristall ausgebildeten LCD-Anzeige
JP3787054B2 (ja) * 2000-04-20 2006-06-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US6905101B1 (en) * 2002-06-11 2005-06-14 Chief Manufacturing Inc. Adjustable, self-balancing flat panel display mounting system
US7410138B2 (en) * 2003-03-14 2008-08-12 Tgr Intellectual Properties, Llc Display adjustably positionable about swivel and pivot axes
US7028961B1 (en) * 2003-05-30 2006-04-18 Csav, Inc. Self-balancing adjustable flat panel mounting system
US7472458B2 (en) * 2003-06-13 2009-01-06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Tilter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bias assembly
US7063296B2 (en) * 2003-06-13 2006-06-20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Rail moun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7296774B2 (en) * 2004-01-02 2007-11-20 Clo Systems, Llc Viewing angle adjustment system for a monitor
USD505858S1 (en) * 2004-03-02 2005-06-07 Peerless Industries, Inc. Wall mount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1988A1 (en) 1983-06-28 1985-0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rear-screen projection apparatus
JPH0898116A (ja) * 1994-09-28 1996-04-12 Okamura Corp テレビ受像機等の支持装置
KR20030089653A (ko) * 2003-09-08 2003-11-22 하대남 모니터 및 텔레비전의 위치 조종 장치
KR100464265B1 (ko) 2004-06-03 2005-01-03 코스텔(주) 매립형 다기능 티브이 장치
KR100586827B1 (ko) 2005-11-02 2006-06-08 코스텔(주) 빌트인 다기능 티브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692B1 (ko) 2014-09-23 2016-02-17 대구도시철도공사 열차용 차상 모니터 거치대
KR20220159208A (ko) 2021-05-25 2022-12-02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269A (ko) 2007-07-26
CN101009145A (zh) 2007-08-01
US20070170325A1 (en) 2007-07-26
JP2007202131A (ja)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252B1 (ko)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JP4302701B2 (ja) 内蔵型多機能テレビジョン装置
US8189849B2 (en) Movable speaker covering
US7878470B2 (en) Motorized mount system for repositioning a monitor
JP2008533503A (ja) 薄型スクリーン格納装置
US20120307456A1 (en) Network cabinet
US4959645A (en) Remotely activated television swivel base
EP1911282A1 (en) Mounted rotatable television unit
EP1783420A2 (en) In-wall display device
GB2406506A (en) Bed including a concealed visual display screen movable between a stored and a use position
KR1007792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7556B1 (ko)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32193A1 (en) RF-remote control, retrofitted, self-contained, automatic window opener for casement windows or the like
KR200354807Y1 (ko) 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모니터 수납 장치
KR100356539B1 (ko) 모니터장치를 갖춘 냉장고
KR101264398B1 (ko)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KR200207930Y1 (ko) 모니터가 일체화된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
CN205622829U (zh) 电视支架一体化音响
US20090166495A1 (en) Electrically controlled rotatable flat panel display bracket
CN220687110U (zh) 一种用于淋浴隔断以及淋浴房的快装结构
CN216565398U (zh) 可视门铃
KR20000065411A (ko) 영상음향기기
KR200338464Y1 (ko) 카 시어터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H099421A (ja) 自立盤
JPS5847757Y2 (ja) 電子機器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