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599B1 - 조합 안경 렌즈,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테두리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조합 안경 렌즈,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테두리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599B1
KR100778599B1 KR1020060010751A KR20060010751A KR100778599B1 KR 100778599 B1 KR100778599 B1 KR 100778599B1 KR 1020060010751 A KR1020060010751 A KR 1020060010751A KR 20060010751 A KR20060010751 A KR 20060010751A KR 100778599 B1 KR100778599 B1 KR 10077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fractive power
refractive
auxiliary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674A (ko
Inventor
도시히데 시노하라
다다시 가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 타입 등을 간편히 변경할 수 있는 조합 안경 렌즈 및 이것에 이용하는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의 양쪽을 동일한 외형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누진 굴절면을 갖는 기본 렌즈(2)와, 기본 렌즈(2)의 누진대 길이나 가입 도수 등을 변경하는 굴절력을 갖는 보조 렌즈(3)를 조합하여 기본 렌즈(2)와 상이한 설계 타입의 조합 안경 렌즈(1)를 구성한다.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의 각각에 얼라이먼트 마크(25, 35)를 설치하여 정확한 위치 맞춤을 가능하게 한다.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접합하여 양쪽을 렌즈 테두리 가공한다.

Description

조합 안경 렌즈,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COMBINED SPECTACLE LENS, AUXILIARY LENS, AND METHOD OF EDGING LENSES}
도 1은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의 단면도.
도 3은 기본 렌즈의 대역의 구분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 타입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5a∼도 5c는 실시예 1의 기본 렌즈, 보조 렌즈, 조합 안경 렌즈의 각각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실시예 2의 기본 렌즈, 보조 렌즈, 조합 안경 렌즈의 각각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실시예 3의 기본 렌즈, 보조 렌즈, 조합 안경 렌즈의 각각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에 설치하는 얼라이먼트 마크의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조합 안경 렌즈의 얼라이먼트 마크의 조합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의 접착 공정을 도시하는 렌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렌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합 안경 렌즈, 2 : 기본 렌즈,
3 : 보조 렌즈, 21 : 주자오선,
31 : 주주시선, 22 : 안구측 굴절면,
23 : 물체측 굴절면, 32 : 안구측 굴절면,
33 : 물체측 굴절면, 201 : 제1 굴절부,
202 : 제2 굴절부, 203 : 누진부,
25 : 제1 얼라이먼트 마크(얼라이먼트 기준 마크),
35 : 제2 얼라이먼트 마크(얼라이먼트 마크),
RP : 설계 기준 위치
본 발명은 주로 조절력이 약한 노안자를 위한 시력 교정용 누진 굴절력을 갖는 조합 안경 렌즈 및 이 조합 안경 렌즈에 이용하는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에 적합한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누진 굴절력 렌즈는, 주로 조절력이 약한 노안자를 위한 시력 교정용 렌즈로서 이용되고, 렌즈 도수가 하나의 렌즈 상에서 멀리나 중간 거리에 있는 것을 볼 때에 필요한 도수로부터 가까이를 볼 때에 필요한 도수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렌즈로서, 경계선이 없어 패션성이 우수하다.
누진 굴절력 렌즈는 주자오선 상에서 도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누진부의 거리인 누진대 길이나 누진부의 도수의 차이인 가입 도수에 의해서 광학 특성이 거의 결정된다. 용도별 설계에서는, 예컨대, 원용 시야와 근용 시야의 양쪽을 밸런스 좋게 배치하고, 누진대 길이를 10∼16㎜ 정도로 하여 가까운 곳에서 보았을 때의 눈의 선회를 하기 쉽도록 설계된 소위 원근 타입이 있다. 또한, 1m 전후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가까이까지의 시야를 중시한 소위 중근 타입, 특히 가까이에서의 시야를 중시한 소위 근근 타입이 있고, 이들 중근 타입이나 근근 타입에서는 중간에서 보아 넓은 시야를 실현하기 위해서 누진대 길이가 19∼25㎜ 정도로 길게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설계에서는 동시에 상이한 용도에 최적인 광학 특성은 얻어지지 않는다.
외출할 때에는 원방시를 중시한 원근 타입을 이용함으로써 쾌적한 시야가 얻어진다. 데스크 워크나 실내에서 일을 할 때에는 중근 타입나 근근 타입을 이용함으로써 쾌적한 시야가 얻어진다. 외출할 때와 실내에서 일을 할 때의 양쪽에서 쾌적한 시야를 얻고자 하면, 원근 타입의 렌즈와 중근 타입의 렌즈를 각각 안경 프레임에 넣어 준비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상이한 설계의 렌즈를 구입하고, 렌즈마다 안경 프레임도 구입해야 하여 큰 지출비를 요한다. 그 때문에, 안경 렌즈를 조합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 타입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하다.
한편, 2개의 안경 렌즈를 조합하는 것은 공지이고,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315751호,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030336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렌즈인 통상의 안경 렌즈의 전면에 클립 기구 등으로 서브 렌즈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앞걸이식 안경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보 제2519921호에서는, 2개의 누진 굴절력 렌즈를 이용하여, 한 쪽의 굴절력의 누진 변화를 다른 한쪽에서 상쇄 혹은 완화하여 수차를 개선하고, 시야를 개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히 단초점적인 보는 법이 될 뿐으로, 다른 용도용으로 적합하게 설계된 설계로는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 타입 등을 간편히 변경할 수 있는 조합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앞걸이식 안경에서 이용되는 서브 렌즈는, 조광이나 편광을 행하는 선글래스나 노안용 단초점 렌즈이고, 기존의 안경 렌즈에 덧붙여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양 렌즈의 중합 위치 정밀도는 그 정도로 필요가 없고, 양 렌즈의 중합 위치는 적당하게 좋다. 이것에 대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 타입 등을 간편히 변경할 수 있는 조합 안경 렌즈에 있어서는, 앞걸이식 안경과 근본적으로 상이하며,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가 모두 누진적인 굴절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서로 정확한 위치에 중합하지 않으면 소정의 광학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누진 굴절력을 갖는 기본 렌즈와 이 기본 렌즈의 설계 타입 등을 변환할 수 있는 굴절력을 갖는 보조 렌즈로 이루어지는 조합 안경 렌즈의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정확한 위치에서 조합할 수 있는 조합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 렌즈와 조합하여 기본 렌즈의 설계 타입 등을 간편히 변경할 수 있는 보조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조립하여 사용할 때의 조립 오차는 안경 프레임에 수납하는 외형 형상으로 가공하는 렌즈 테두리 가공에 의해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렌즈 테두리 가공 정밀도에 의해서 조립 정밀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누진 굴절력을 갖는 기본 렌즈와 이 기본 렌즈의 설계 타입 등을 변환할 수 있는 굴절력을 갖는 보조 렌즈로 이루어지는 조합 안경 렌즈의 조립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에, 물체측 및 안구측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 또는 양면에, 소정의 거리에 있는 것을 보기 위한 굴절력을 갖는 제1 굴절부와, 이 제1 굴절부와 다른 굴절력을 갖는 제2 굴절부와, 상기 제1 굴절부로부터 상기 제2 굴절부까지 굴절력이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면을 갖는 기본 렌즈에 보조 렌즈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합 안경 렌즈 로서, 상기 기본 렌즈가 갖는 기본 렌즈 굴절력과 상기 보조 렌즈가 갖는 보조 렌즈 굴절력을 합성한 합성 굴절력이, 상기 기본 렌즈 굴절력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에 걸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기본 렌즈의 가입 도수와 누진대 길이 등의 굴절력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에 걸쳐 변경하는 것과 같은 굴절력을 갖는 보조 렌즈를 기본 렌즈와 조합함으로써 기본 렌즈의 설계 타입 등을 간편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에, 상기 제1 조합 안경 렌즈에 있어서 상기 조합 안경 렌즈에서의 누진 개시점 및 누진 종료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의 상기 합성 굴절력이 상기 기본 렌즈 굴절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보조 렌즈를 기본 렌즈와 조합한 조합 안경 렌즈의 합성 굴절력이, 누진 개시점 및 누진 종료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기본 렌즈 굴절력과 상이함으로써 가입 도수와 누진대 길이로 거의 결정되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 타입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3에, 상기 제2 조합 안경 렌즈에 있어서, 상기 조합 안경 렌즈에서의 조합 렌즈 가입 도수가, 상기 기본 렌즈가 갖는 기본 렌즈 가입 도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보조 렌즈를 기본 렌즈와 조합한 조합 안경 렌즈의 가입 도수(조합 렌즈 가입 도수)가 기본 렌즈의 가입 도수(기본 렌즈 가입 도수)와 다름으로써 가입 도수와 누진대 길이로 거의 결정되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 타입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4에, 상기 제1 조합 안경 렌즈에 있어서, 상기 기본 렌즈가 안구측의 굴절면에 상기 누진 굴절면을 갖고, 보조 렌즈측의 굴절면이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렌즈의 기본 렌즈측의 굴절면이 상기 기본 렌즈의 보조 렌즈측의 굴절면과 거의 동일한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기본 렌즈의 물체측의 굴절면과 보조 렌즈의 기본 렌즈측(안구측)의 굴절면을 함께 동일한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들의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조합했을 때에 양 렌즈를 밀착시킬 수 있고, 광학 특성의 정밀도가 좋은 합성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5에, 물체측 및 안구측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 또는 양면에 누진 굴절면을 갖는 기본 렌즈와, 상기 기본 렌즈와 조합되어 합성된 합성 굴절력이 상기 기본 렌즈가 갖는 기본 렌즈 굴절력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에 걸쳐 상이한 굴절력을 갖는 보조 렌즈가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합 안경 렌즈로서, 상기 기본 렌즈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의 적어도 2개소에 설계 기준 위치와 소정의 방향을 나타내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의 적어도 2개소에 상기 설계 기준 위치와 소정의 방향을 나타내는 제2 얼라이먼트 마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의 쌍방에 설계 기준 위치와 소정의 방향을 나타내는 얼라이먼트 마크를 설치함으로써, 이들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정확한 위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6에, 상기 제5 조합 안경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가, 피팅 포인트 및 수평 방향을 나타내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누진 굴절력 렌즈에는 피팅 포인트와 수평 방향을 나타내는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를 부여해야 한다. 그 때문에, 기본 렌즈에 설치하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로서, 이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제7에, 상기 제5 조합 안경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가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와 겹치는 각각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제1 얼라이먼트 마크와 제2 얼라이먼트 마크를 서로 겹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조합했을 때에, 이들의 얼라이먼트 마크가 겹쳐져 있는 것을 시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 맞춤이 되어 조합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8에, 누진 굴절면을 갖는 기본 렌즈와 조합되는 보조 렌즈로서, 상기 기본 렌즈의 주자오선과 일치하는 주주시선의 상하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굴절력이 없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렌즈를 제공한다.
보조 렌즈에서 기본 렌즈의 기본적인 시야를 변경하지 않고서 설계 타입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위쪽의 굴절력과 렌즈 아래쪽의 굴절력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의 굴절력을 변경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보조 렌즈에서는 주주시선의 상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굴절력이 없는 영역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제9에, 상기 제8 보조 렌즈에 있어서, 또한, 상기 주주시선의 중간부에 있어서 굴절력이 극대 또는 극소가 되는 부분 또는 상기 주주시선의 상하 어느 한 쪽에 굴절력이 거의 일정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렌즈를 제공한다.
기본 렌즈의 누진대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누진 개시점 또는 누진 종료점을 변경해야 하고, 그 때문에 보조 렌즈의 굴절력으로서 기본 렌즈의 누진 개시점 또는 누진 종료점 근방에 극대 또는 극소가 되는 굴절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기본 렌즈의 가입 도수만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보조 렌즈의 기본 렌즈의 도수를 변경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도수가 일정한 영역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 제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0에, 안경 프레임에 부착되는 기본 렌즈와 이 기본 렌즈와 조합되는 보조 렌즈의 상호의 굴절면을 소정의 상대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공정과, 위치 결정한 상기 기본 렌즈와 상기 보조 렌즈를 접합하는 접착 공정과, 상기 기본 렌즈와 상기 보조 렌즈를 접합한 채로 상기 기본 렌즈와 상기 보조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을 행하는 테두리 공정과, 상기 기본 렌즈와 상기 보조 렌즈를 박리시키는 박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각각 따로따로 렌즈 테두리 가공하면, 외형 기준으로 조합했을 때에 각각의 렌즈 테두리 가공 오차가 가산되어 기본 렌즈와 보조 렌 즈의 조합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접합한 채로 렌즈 테두리 가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렌즈 테두리 가공 오차가 가산되는 일이 없고, 외형 기준으로 조합했을 때에 조립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1에, 상기 제10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기본 렌즈에 설치되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에 대하여 상기 보조 렌즈에 설치되는 제2 얼라이먼트 마크를 부합시키도록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 각각에 위치 결정을 위한 얼라이먼트 마크를 설치해 둠으로써, 이들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양 렌즈를 정확히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2에, 상기 제10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렌즈가, 물체측 및 안구측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 또는 양면에, 소정의 거리에 있는 것을 보기 위한 굴절력을 갖는 제1 굴절부와, 이 제1 굴절부와 다른 굴절력을 갖는 제2 굴절부와, 상기 제1 굴절부로부터 상기 제2 굴절부까지 굴절력이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면을 갖고, 상기 보조 렌즈가 갖는 보조 렌즈 굴절력과 상기 기본 렌즈가 갖는 기본 렌즈 굴절력을 합성한 합성 굴절력이, 상기 기본 렌즈가 갖는 기본 렌즈 굴절력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에 걸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을 제 공한다.
본 발명자가 제안한 이러한 조합 안경 렌즈에 있어서는, 양호한 조립 정밀도가 필요하고 본 발명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은, 제13에, 상기 제12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렌즈가, 안구측의 굴절면에 상기 누진 굴절면을 갖고, 보조 렌즈측의 굴절면이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렌즈의 기본 렌즈측의 굴절면이 상기 기본 렌즈의 보조 렌즈측의 굴절면과 거의 같은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기본 렌즈의 보조 렌즈측(물체측)의 굴절면에 보조 렌즈의 기본 렌즈측(안구측)의 굴절면을 밀착시켜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 및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1)는 누진 굴절력 렌즈인 기본 렌즈(2)와, 기본 렌즈(2)와 조합하는 용도만으로 이용되고, 기본 렌즈(2)의 설계 타입 등을 변환하는 굴절력을 갖는 보조 렌즈(3)를 갖는다.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는 기본 렌즈(2)의 주자오선(21)과 이 주자오선(21)과 일치하는 보조 렌즈(3)의 주주시선(31)을 일치시키고, 또한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의 광축 OA를 일치시키도록 조합하여 이용한다.
도 2의 조합 안경 렌즈(1)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합의 형태로서 기본 렌즈(2)를 안구측으로, 보조 렌즈(3)를 물체측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기본 렌즈(2)를 물체측에 보조 렌즈(3)를 안구측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기본 렌즈(2)의 누진 굴절면은 안구측의 굴절면(22) 및 물체측의 굴절면(23)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해도 좋고, 또한 양면에 설치해도 좋다. 보조 렌즈(3)에 있어서도, 안구측의 굴절면(32) 및 물체측의 굴절면(33) 중 어느 하나에도 기본 렌즈(2)의 굴절력(기본 렌즈 굴절력)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에 걸쳐 변경하는 굴절력을 부여해도 좋다.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밀착시켜 조합하기 위해서, 기본 렌즈(2)의 안구측의 굴절면(22)에 누진 굴절면을 설치하고, 물체측의 굴절면(23)을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 렌즈(3)는 안구측의 굴절면(32)을 기본 렌즈(2)의 물체측의 굴절면(23)과 거의 동일한 곡면의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형성하고, 물체측의 굴절면(33)에 기본 렌즈(2)의 굴절력을 변경하는 굴절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본 렌즈(2)를 안구측에, 보조 렌즈(3)를 물체측에 배치하여 조합하면, 기본 렌즈(2)의 물체측의 굴절면(23)과 보조 렌즈(3)의 안구측의 굴절면(32)이 밀착하여 보조 렌즈(3)의 부착 상태가 안정되고, 양 렌즈(2, 3)가 어긋나기 어렵게 되어 위치 정밀도가 향상되며, 소정의 광학 특성을 정밀하게 합성할 수 있다.
조합 안경 렌즈(1)에 이용하는 기본 렌즈(2)는, 통상의 누진 굴절력 렌즈이다. 도 3의 평면의 개념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진 굴절력 렌즈(2)는 소정의 거리, 예컨대 원방 또는 중간거리에 있는 것을 볼 때에 필요한 굴절력을 갖는 제1 굴절부(201)와, 제1 굴절부(201)와 상이한 굴절력, 예컨대 가까이를 볼 때에 필요한 굴절력을 갖는 제2 굴절부(202)와, 이들의 제1 굴절부(201)와 제2 굴절부(202)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굴절력이 변화하고 있는 누진부(203)로 구분되어 있는 누진 굴절면을 갖는 렌즈이다.
도 4에,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의 용도별 설계 타입의 굴절력 분포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굴절력은,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이다. 소위 원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렌즈 위쪽의 멀리의 것을 보기 위한 원용부와, 근처의 것을 보기 위한 렌즈 아래쪽의 근용부와, 위쪽의 누진 개시점으로부터 아래쪽의 누진 종료점까지의 사이에서 굴절력이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갖는다. 원용부와 근용부의 양쪽을 밸런스 좋게 배치하여, 누진 개시점으로부터 누진 종료점 사이의 거리인 누진대 길이를 10∼16㎜ 정도로 하여 가까이에서 보았을 때의 눈의 선회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누진 개시점과 누진 종료점의 굴절력의 차이가 가입 도수라고 불린다. 피팅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원용 중심, 즉 누진 개시점과 일치한다.
소위 중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는, 렌즈 상단부의 멀리의 것을 보기 위한 원용부와, 렌즈 아래쪽의 가까이의 것을 보기 위한 비교적 넓은 영역의 근용부와, 이들 사이에서 굴절력이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갖는다. 누진대 길이는 중간에서 보아 넓은 시야를 실현하기 위해서 19∼25㎜ 정도로 길게 설계되어 있다. 피팅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1m 전후의 거리에 있는 것을 보는 누진부에 있다.
소위 근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렌즈 위쪽의 중간 거리에 있는 것을 보기 위한 중간부와, 렌즈 아래쪽의 근처의 것을 보기 위한 비교적 넓은 영역의 근용부와, 이들 사이에서 굴절력이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갖는다. 누진대 길이는 중간에서 보아 넓은 시야를 실현하기 위해서 19∼25㎜ 정도로 길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왜곡 수차와 비점 수차의 분포의 설계에서는, 원용부과 근용부를 넓게 하여, 좁은 누진부에 수차를 집중시킨 수차 집중형과, 원용부와 근용부를 좁게 하고 누진부를 넓게 하여 중간부에서의 수차를 확산시킨 수차 분산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기본 렌즈(2)로서 이용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는 어떠한 설계 타입인 것이어도 좋다.
보조 렌즈(3)는, 이러한 기본 렌즈(2)와 조합되어 이용되고, 예컨대, 원근 타입의 기본 렌즈(2)와 조합되어 합성된 합성 굴절력이 중근 타입나 근근 타입이 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중근 타입이나 근근 타입의 기본 렌즈와 조합되어 원근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중근 타입의 기본 렌즈와 조합되어 근근 타입으로 변환하거나, 이 역의 변환도 할 수 있다. 보조 렌즈(3)는 수차 집중형의 기본 렌즈(2)와 조합되어 수차 분산형으로, 혹은 수차 분산형의 기본 렌즈(2)와 조합되어 수차 집중형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본 렌즈(2)의 설계 타입을 변경하지 않고서 원용부 또는 근용부의 도수를 변경하는, 즉 가입 도수만을 변경할 수 있다.
보조 렌즈(3)의 굴절력(보조 렌즈 굴절력)은 기본 렌즈(2)가 갖는 기본 렌즈 굴절력과 합성한 합성 굴절력이 변환하여 얻고자 하는 조합 안경 렌즈(1)의 굴절력이 되도록 해야 한다. 즉, 기본 렌즈(2)의 소정의 위치에서의 굴절력과 변환하여 얻고자 하는 조합 안경 렌즈(1)의 기본 렌즈(2)의 소정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굴절력의 차이로 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3을 나타내고, 보조 렌즈(3)의 굴절력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1로서 원근 타입의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조합하여 중근 타입의 조합 안경 렌즈로 하는 경우의 기본 렌즈,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의 각각의 주자오선(보조 렌즈에서는 주주시선이지만, 주자오선과 일치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편의상, 주자오선으로 함) 상의 굴절력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의 주자오선 상의 위치의 숫자가 제로인 위치는 피팅 포인트의 위치이다. 세로축의 굴절력의 단위는 디옵트리(D)이고, 굴절력의 변화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에, 기본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의 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기본 렌즈의 주자오선 상에서의 굴절력의 변화는 피팅 포인트로부터 원용 도수로 도수의 가입이 시작되고, 피팅 포인트의 12㎜ 아래쪽에서 원하는 근용 도수에 달한다. 기본 렌즈는 누진대 길이 12㎜, 가입 도수(기본 렌즈 가입 도수)가 2.0디옵트리인 원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이다.
도 5c에, 기본 렌즈의 굴절력에 보조 렌즈의 굴절력을 합성하여 얻고자 하는 중근 타입의 조합 안경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조합 안경 렌즈의 주자오선 상에서의 굴절력의 변화는, 피팅 포인트의 위쪽 8㎜으 로부터 원용 도수에 도수의 가입이 시작되고, 피팅 포인트의 12㎜ 아래쪽에서 원하는 근용 도수에 달한다. 누진 개시점은 피팅 포인트로부터 위쪽에 8㎜의 위치이고, 누진 종료점은 피팅 포인트로부터 아래쪽에 12㎜의 위치에 있으며, 누진대 길이는 20㎜이다. 피팅 포인트의 위치에서 중간의 거리에 있는 것을 보는 것 같은 굴절력으로 되어 있다. 기본 렌즈와 가입 도수 및 누진 종료점의 변경은 없다. 보조 렌즈에 의한 변환에서는 누진 개시점을 위쪽에 8㎜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도 5b에, 보조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보조 렌즈에서 부가하는 굴절력은, 도 5c에 C로 표시된 굴절력과 도 5a에 A로 표시된 굴절력의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굴절력차인 도 5b의 B로 표시된 굴절력이다. 보조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는 상단으로부터 조합 안경 렌즈의 누진 개시점인 피팅 포인트의 위쪽 8㎜까지 굴절력이 제로인 영역이고, 피팅 포인트의 위쪽 8㎜로부터 굴절력이 증가하며, 피팅 포인트의 2㎜ 아래쪽에서 굴절력이 극대가 되고, 피팅 포인트의 아래쪽 12㎜의 누진 종료점에서 굴절력이 다시 제로가 되며, 누진 종료점보다 아래쪽은 굴절력이 제로인 영역이 된다.
도 5a에 도시하는 굴절력 변화 A를 갖는 원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의 기본 렌즈와 도 5b에 도시하는 굴절력 변화 B를 갖는 보조 렌즈를 조합한 조합 안경 렌즈는, 도 5c에 도시하는 합성 굴절력 변화 C를 갖는 중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가 된다.
이러한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의 조합은, 먼 거리를 보며 주로 사용하는 외출시에는 원근 타입의 기본 렌즈만을 사용함으로써 쾌적한 시야가 얻어진다. 실내 에서 일을 할 때에는 기본 렌즈에 보조 렌즈를 장착하면, 얻어진 조합 안경 렌즈는 중근 타입이 되고 데스크 워크에서 쾌적한 시야가 얻어진다.
도 6은 실시예 2로서, 중근 타입의 기본 렌즈를 보조 렌즈와 조합하여 원근 타입의 조합 안경 렌즈로 하는 경우의 기본 렌즈, 보조 렌즈, 조합 안경 렌즈의 각각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의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주자오선 상의 위치의 숫자가 제로인 위치는 피팅 포인트의 위치이다. 세로축의 굴절력의 단위는 디옵트리이고, 굴절력의 변화값을 나타내고 있다.
기본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를 일점 쇄선의 A로 나타내고, 보조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를 파선의 B로 나타내며, 조합 안경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를 실선의 C로 나타내고 있다. 파선 B로 표시되는 보조 렌즈의 굴절력은 동일한 주자오선 상의 위치에서 일점 쇄선 A로 표시되는 기본 렌즈의 굴절력으로부터 실선 C로 표시되는 조합 안경 렌즈의 굴절력을 뺀 값이다.
기본 렌즈는, 누진 개시점이 피팅 포인트로부터 10㎜ 위쪽의 위치에 있고, 누진 종료점은 피팅 포인트의 14㎜ 아래쪽에 있으며, 누진대 길이는 24㎜, 기본 렌즈 가입 도수는 2.0 디옵트리의 중근 타입이다.
보조 렌즈는 상부가 굴절력이 제로인 영역이고, 기본 렌즈의 누진 개시점으로부터 마이너스의 굴절력이 가해지며, 피팅 포인트의 2㎜ 아래쪽에서 굴절력의 극소가 있고, 또한 조합 안경 렌즈의 누진 종료점에 상당하는 위치의 근방에서 굴절력의 극대가 있고, 기본 렌즈의 누진 종료점으로부터 아래쪽에서는 -0.5 디옵트리의 일정한 굴절력을 갖는다.
이들의 기본 렌즈 굴절력과 보조 렌즈의 굴절력을 합성한 조합 안경 렌즈의 합성 굴절력은, 누진 개시점이 피팅 포인트이고, 누진 종료점은 피팅 포인트의 12㎜ 아래쪽이며, 누진대 길이는 12㎜, 가입 도수(조합 렌즈 가입 도수)는 1.5디옵트리이다. 이 예에서는, 기본 렌즈의 누진 개시점, 누진 종료점 및 가입 도수가 보조 렌즈에 의해서 변경되어 있다.
실시예 2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굴절력 변화 A를 갖는 중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의 기본 렌즈와 굴절력 변화 B를 갖는 보조 렌즈를 조합한 조합 안경 렌즈는 합성 굴절력 변화 C를 갖는 원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가 된다.
이러한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의 조합은, 실내에서 일을 할 때에는 중근 타입의 기본 렌즈만으로 데스크 워크에서의 쾌적한 시야가 얻어진다. 외출할 때에는 보조 렌즈를 장착하여 원근 타입의 조합 안경 렌즈로 함으로써 가입 도수가 감소한 것도 가해져 쾌적한 시야가 얻어진다.
도 7은 실시예 3으로서, 중근 타입의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조합하여 원근 타입의 조합 안경 렌즈로 하는 경우의 기본 렌즈, 보조 렌즈, 조합 안경 렌즈의 각각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의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주자오선 상의 위치의 숫자가 제로인 위치는 피팅 포인트의 위치이다. 세로축의 굴절력의 단위는 디옵트리이고, 굴절력의 변화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는, 기본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를 일점 쇄선의 A에 나타내고, 보조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를 파선의 B로 나타내며, 조합 안경 렌즈의 주자오선 상의 굴절력의 변화를 실선의 C로 나타내고 있다. 파선 B로 표시되는 보조 렌즈의 굴절력은 동일한 주자오선 상의 위치에서 일점 쇄선 A로 표시되는 기본 렌즈의 굴절력으로부터 실선 C로 표시되는 조합 안경 렌즈의 굴절력을 뺀 값이다.
기본 렌즈의 주자오선 상에서의 굴절력의 변화는 피팅 포인트의 위쪽 8㎜로부터 원용 도수에 도수의 가입이 시작되고, 피팅 포인트의 12 ㎜ 아래쪽에서 원하는 근용 도수에 달한다. 보조 렌즈의 주자오선 상에서의 굴절력의 변화는 상단으로부터 피팅 포인트의 위쪽 8㎜까지 굴절력이 제로인 영역이고, 피팅 포인트의 위쪽 8㎜로부터 굴절력이 감소하며, 피팅 포인트의 2㎜ 아래쪽에서 가장 마이너스의 큰 값이 되고, 그 후 증가하여 피팅 포인트의 12㎜ 아래쪽에서 다시 제로가 되고, 이후는 굴절력이 제로인 영역이다. 이러한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조합한 조합 안경 렌즈의 주자오선 상에서의 굴절력의 변화는 피팅 포인트로부터 도수의 가입이 시작되고, 피팅 포인트의 12㎜ 아래쪽에서 소정 근용 도수에 달한다.
기본 렌즈의 누진대 길이 20㎜, 가입 도수 2.0디옵트리의 중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가, 보조 렌즈의 굴절력과의 합성에 의해, 조합 안경 렌즈는 누진대 길이 12㎜, 가입 도수 2.0디옵트리의 원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 렌즈로 변환되어 있다.
실내에서 일을 할 때에는, 중근 타입의 기본 렌즈만으로 데스크 워크에서의 쾌적한 시야가 얻어진다. 외출할 때에는 보조 렌즈를 장착하여 원근 타입의 조합 안경 렌즈로 함으로써 쾌적한 시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보조 렌즈는 기본 렌즈의 굴절력을 전부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변 경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계 타입을 변환하는 경우에는 기본 렌즈의 주자오선과 일치하는 주주시선의 적어도 상하 어느 한 쪽에 굴절력이 제로인 영역을 갖는다. 또한, 기본 렌즈의 누진 개시점 또는 누진 종료점을 변경할 때에는, 주주시선의 중간부에 있어서 굴절력이 극대 또는 극소가 되는 부분을 갖는다. 단, 기본 렌즈의 가입 도수만을 변경할 때에는 극대 극소의 부분은 없고, 주주시선의 상하 중 어느 한 쪽에 일정한 굴절력을 갖는 부분이 존재한다.
보조 렌즈는 기본 렌즈의 굴절력을 보완하는 것 만의 기능으로 좋기 때문에, 큰 굴절력의 변화를 갖게 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보조 렌즈의 굴절력을 실현하는 굴절면의 형상은 근사 구면 형상에 대하여 ±0.2㎜가 되어 거의 일정한 두께의 형상이 된다. 그 때문에, 보조 렌즈를 얇게 할 수 있다.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 렌즈를 접합형으로 할 수 있다. 보조 렌즈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 렌즈와 조합해도 그 정도로 중량이 증가하지 않고, 거는 느낌을 손상하지 않으며 보기에도 좋다.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에서의 보조 렌즈는,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염색하여 선글래스의 기능을 부가하거나, 조광 소재나 편광재를 사용함으로써 옥외용으로 굴절력과 함께 광의 투과 성능을 맞추어 변경이 가능해져 더욱 편리해진다.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는 기본 렌즈의 설계 타입을 보조 렌즈와 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수 종류의 보조 렌즈를 준비하면 안경 렌즈를 사용하는 환경에 맞추어 보조 렌즈를 새로 붙이거나, 보조 렌즈를 쓰지 않고 기본 렌즈만을 쓰기도 하는 사용 방법에 의해, 안경 프레임을 구입하지 않고 저렴하 게 환경에 적응한 쾌적한 시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의 눈의 도수가 진행하여 원용부 혹은 근용부의 도수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도, 기본 렌즈의 설계 타입을 변경하지 않고서 원용 도수 또는 근용 도수만을 변경할 수 있는 보조 렌즈를 구입하여 기본 렌즈에 장착하는 것 만으로 좋다. 안경 렌즈를 바꾸어 사지 않고서 보조 렌즈를 새롭게 구입하는 것 만으로 좋기 때문에, 눈의 도수의 진행에 따라서 저렴하게 쾌적한 시야를 계속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1)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기본 렌즈(2)는 통상의 누진 굴절력 안경 렌즈로서 안경 프레임에 끼워져 사용되고, 보조 렌즈(3)는 기본 렌즈(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1)는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가 함께 누진적인 굴절면을 갖기 때문에,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의 쌍방을 정확한 위치에 중합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원하는 광학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상호의 위치가 어긋나면, 보조 렌즈(3)에 의해서 기본 렌즈(2)의 광학 성능이 손상되고, 쾌적한 시야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1)에 있어서는, 기본 렌즈(2)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의 적어도 2개소에 위치 결정용 제1 얼라이먼트 마크를 설치하는 동시에, 보조 렌즈(3)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의 적어도 2개소에 위치 결정용 제2 얼라이먼트 마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 렌즈(2)의 제1 얼라이먼트 마크는 설계 기준 위치와 소정의 방향을 나타내고, 제2 얼라이먼트 마크는 이 설계 기 준 위치와 소정의 방향을 나타내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1)에 있어서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와 제2 얼라이먼트 마크의 각각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조합하고, 조합했을 때의 상호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8a는, 원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을 갖는 기본 렌즈(2)에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를 설치하는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이 기본 렌즈(2)의 누진 굴절력을 중근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는 굴절력을 갖는 보조 렌즈(3)에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를 설치하는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이들의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중합한 합성 굴절력이 중근 타입의 누진 굴절력을 갖는 조합 안경 렌즈(1)에서의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와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의 겹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 도 9에 있어서는, 각 렌즈의 수차 분포를 모식적으로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렌즈(2)의 누진 굴절력 렌즈에는 적어도 상하 방향이 있고, 덧붙여 폭주를 가미하여 제2 굴절부를 코측으로 변위시켰을 때에는 코측과 귀측의 좌우 방향이 있다. 기본 렌즈(2)와 조합되는 보조 렌즈(3)에도,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이 존재한다. 한편,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렌즈는 좌안용의 렌즈이고, 제2 굴절부가 코측으로 변위하고 있다.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조합하기 위해서는, 얼라이먼트 마크(25, 35)가 기준이 되는 기준 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소정의 방향을 정확히 나타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본 렌즈(2)의 물체측의 굴절면(23) 또는 안구측의 굴절면(22)의 한 쪽 또는 양쪽에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를 적어도 2개소 설치한다. 적어도 2개소에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를 설치함으로써 이들의 위치로부터 설계 기준 위치를 산출하고, 피팅 포인트의 위치나 소정의 방향, 예컨대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기본 렌즈(2)는 통상의 누진 굴절력 렌즈이고,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ISO나 JIS의 규정에 의해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를 설치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다. 그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는 렌즈 상에 수평 거리로 34㎜ 떨어져 2개소로 정해져 있다.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는 시야에 들어가는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눈에 띄지 않도록 숨김 마크로서 형성된다. 기본 렌즈에 설치하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로서, 반드시 설치하는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단지,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와 별도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 8a에 도시하는 2개의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는,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고, 2개의 S의 문자가 설계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끼워 수평방향으로 34㎜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많은 경우, 피팅 포인트는 이 설계 기준 위치와 동일하거나, 혹은 거기로부터 소정의 거리(1㎜ 내지 4㎜)만큼 수직 위쪽에 설치되고, 그 위치는 메이커로부터 통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로부터 피팅 포인트를 알 수 있다.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는 메이커나 그 제품의 종류를 구별하는 기능을 겸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알파벳을 기초로 한 로고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예에서도, 메이커명을 나타내는 로고가 사용되고 있지만, 물론, 어떠한 기호라도 좋다. 2개의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의 중심이 설계 기준 위치(RP)이고, 2개의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수평선을 도시하며, 이 수평선과 직교하여 설계 기준 위치(RP)를 지나는 선이 수직 방향을 나타낸다. 피팅 포인트는 이들 설계 기준점과 방향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조 렌즈(3)의 물체측의 굴절면(33) 또는 안구측의 굴절면(32)의 한 쪽 또는 양쪽에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를 적어도 2개소 설치한다. 도 8b에서는,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는 각각의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와 동일한 위치에 중심을 갖고 겹쳐져 있고,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를 둘러싸는 크기의 원형의 선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즉, 2개의 원형의 선이 설계 기준점을 중심으로 끼워 수평 방향에 중심끼리가 34㎜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의 중심 사이의 중점이 설계 기준 위치(RP)이고, 2개의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수평선을 나타내며, 이 수평선과 직교하여 설계 기준 위치(RP)를 지나는 선이 수직 방향을 나타낸다. 피팅 포인트는 기본 렌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알 수 있다.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가 나타내는 설계 기준 위치(RP)에 대응하는 보조 렌즈(3)의 설계 기준 위치(RP)를 나타내고, 또한 일정한 방향, 예컨대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을 나타낼 수 있으면,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의 위치와 무관계한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상호의 설계 기준 위치(RP)와 수평 방향을 일치시켜 중합시키면,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가 정확히 조합되고, 조합 안경 렌즈(1)의 합성 굴절력은 겨냥 대로인 중근 타입의 누 진 굴절력 렌즈가 된다. 조합한 상태에서 정면측에서 보면,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를 둘러싸도록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가 배치되고, 상호의 중심이 일치하여 중합된다. 이들의 얼라이먼트 마크(25, 35)가 겹쳐져 있는 것을 시인함으로써, 정확한 위치 맞춤이 되어 조합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 도 9에서 도시한 보조 렌즈(3)의 2개의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는 원형이고,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로부터에서는 상하 방향을 판단할 수 없지만, 보조 렌즈(3)에는 여러 가지의 정보가 숨김 마크로서 마킹되고, 상하 방향은 그로부터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적당은 없다.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와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를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가 밀착하는 면측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렌즈(3)를 기본 렌즈(2)의 전면에 장착할 때에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는 기본 렌즈(2)의 물체측의 굴절면(23)으로,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는 보조 렌즈(3)의 안구측의 굴절면(32)으로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밀착시켜 조합하기 위해서, 기본 렌즈(2)의 안구측의 굴절면(22)에 누진 굴절면을 설치하고, 물체측의 굴절면(23)을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 렌즈(3)는 안구측의 굴절면(32)을 기본 렌즈(2)의 물체측의 굴절면(23)과 거의 동일한 곡면의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형성하고, 물체측의 굴절면(33)에 기본 렌즈(2)의 굴절력을 변경하는 굴절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와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를 밀착하는 면측에 설치함으로써, 서로의 거리가 매우 줄어들어 얼라이먼 트 마크(25, 35)의 중심끼리를 정확히 중합하고,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정확히 중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정확히 중합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1 얼라이먼트 마크(25)와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는, 각각 공지의 마킹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 렌즈를 주형 중합할 때에 형으로부터의 전사로 설치하는 방법, 다이아몬드 펜 등으로 그리는 금긋기 방법, 레이저 광선으로 그리는 방법 등 어느 방법이라도 좋다. 어느 방법이라도 눈에 띄지 않도록 숨김 마크로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숨김 마크는 통상은 보이지 않지만, 광원에 가리도록 하면 볼 수 있게 되는,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얇은 마크이다.
기본 렌즈(2)는, 안경 프레임에 틀 넣을 때에는 그 제1 얼라이먼트 마크(얼라이먼트 기준 마크 : 25)를 기준으로 하여 또는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인쇄된 레이아웃 인쇄에 의해, 렌즈의 피팅 포인트와 수평 방향이 확인되고,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로 절삭 가공되어 틀 넣어진다.
또한, 보조 렌즈(3)는 일반적으로 기본 렌즈(2)와 동일한 형상으로 렌즈 테두리 가공되는 일이 많지만, 렌즈 테두리 가공될 때에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를 기준으로 하여 또는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인쇄된 레이아웃 인쇄에 의해, 렌즈의 피팅 포인트와 수평방향이 확인되고, 기본 렌즈와 동일한 형상의 테두리로 절삭 가공된다. 또한,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는 보조 렌즈(3)를 기본 렌즈(2)에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의 기준 위치와 방향의 확인에도 이용된다.
도 8과 도 9에 예시한 제2 얼라이먼트 마크는 원형이었지만, 수직 방향도 나 타낼 수 있도록, 예컨대, 제1 얼라이먼트 마크를 둘러싸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인 3개의 선으로 구성되는 기호와 같이 제2 얼라이먼트 마크는 어떤 기호라도 좋다.
본 발명의 설계 타입을 변환할 수 있는 조합 안경 렌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가 함께 누진적인 굴절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서로 정확한 위치에 중합시키지 않으면, 겨냥 대로의 광학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완전히 동일한 외형으로 안경 프레임에 끼워 맞추기 위한 가장자리 인쇄 가공인 렌즈 테두리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 외형 기준으로 조합해도 서로 정확한 위치에 중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보기도 양호해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완전히 동일한 외형으로 렌즈 테두리 가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의 접착 공정을 나타내는 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렌즈의 정면도이다.
우선,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합하는 원형의 기본 렌즈(2)와 원형의 보조 렌즈(3)를 준비한다. 도 10,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자가 제안하고 있는 누진 굴절력을 갖는 기본 렌즈(2)와 이 기본 렌즈(2)의 설계 타입 등을 변환할 수 있는 누진적인 굴절력을 갖는 보조 렌즈(3)로 이루어지는 조합 안경 렌즈(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서는, 각 렌즈의 수차 분포를 모 식적으로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고 있는 렌즈는, 기본 렌즈(2)가 원근 타입인 누진 굴절력 렌즈이고, 보조 렌즈(3)와 조합된 조합 안경 렌즈(1)의 합성 굴절력이 중근 타입이 되는 예에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기본 렌즈(2)의 안구측의 굴절면(22)에 누진 굴절면이 설치되고, 물체측의 굴절면(23)이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 렌즈(3)의 안구측의 굴절면(32)이 기본 렌즈(2)의 물체측의 굴절면(23)과 동일한 구면에 형성되고, 물체측의 굴절면(33)에 기본 렌즈(2)의 굴절력을 변경하는 굴절력이 부여되고 있다. 이들의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이용함으로써 기본 렌즈(2)의 물체측의 굴절면(23)에 보조 렌즈(3)의 안구측의 굴절면(32)을 밀착시킬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의 기본 렌즈(2)의 물체측의 굴절면(23)에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얼라이먼트 마크로서, 피팅 포인트 혹은 피팅 포인트를 정의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설계 기준점과 수평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S자의 로고의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25)가 숨김 마크로서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ISO나 JIS의 규정에 의해 누진 굴절력 렌즈에 설치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그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25)는 렌즈 상에 수평 거리로 34㎜ 떨어져 2개소로 정해져 있다. 2개의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25)의 중간 위치가 피팅 포인트 혹은 피팅 포인트를 정의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설계 기준점이고, 가상적인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수평 기준선과 수직 기준선인 교점으로 나타낸다.
보조 렌즈(3)의 안구측의 굴절면(32)에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 본 렌즈(2)의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25)와 겹치는 위치에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가 숨김 마크로서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는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는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25)를 둘러싸는 것 같은 원형의 선으로 되어 있지만,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는 어떠한 도형이라도 좋다.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의 중심사이의 거리는 수평 거리로 34㎜이다. 2개의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 35)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중점이 보조 렌즈(3)의 피팅 포인트 혹은 피팅 포인트를 정의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설계 기준점이다.
본 발명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에서는, 위치 결정 공정에서 이들의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정확히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다. 기본 렌즈(2)의 물체측의 굴절면(23)에 근접시켜 보조 렌즈(3)의 안구측의 굴절면(32)을 배치하고,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에서 보아 기본 렌즈(2)의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25)를 보조 렌즈(3)의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가 둘러싸는 것 같은 상대 위치에 보조 렌즈(3) 또는 기본 렌즈(2)를 움직여 위치 결정한다. 이에 따라,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25)의 중심과 제2 얼라이먼트 마크(35)의 중심이 일치하게 되고, 기본 렌즈(2)의 설계 기준 위치와 보조 렌즈(3)의 설계 기준 위치가 일치하며, 또한 수평 방향이 서로 일치, 즉 피팅 포인트가 일치하고,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가 상호의 굴절면의 상대 위치가 정확히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한 후, 접착 공정에서 기본 렌즈(2) 또는 보조 렌즈(3)의 중심부의 렌즈 테두리 가공의 범위 내의 영역에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층(4)을 설치한다. 그리고,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의 상대 위치를 유지한 채 로 기본 렌즈(2)에 보조 렌즈(3)를 가압하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렌즈(2)에 보조 렌즈(3)를 접착제층(4)을 통해 접합하며, 상호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한다. 접착제층(4)은 박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통상은 강력한 점착력을 갖지만, 예컨대 자외선, 전자선 등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여 점착력이 대폭 저하되고, 박리하기 쉽게 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점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렌즈 테두리 가공 공정에서,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접합한 채로 양쪽의 렌즈를 안경 프레임에 끼워 넣어지는 형상으로 통상의 렌즈 테두리 가공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렌즈 테두리 가공 장치로 숫돌에 의한 연삭 가공을 행한다. 렌즈 테두리 가공 시에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25)가 렌즈 테두리 가공의 기준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가공 기준점으로서 이용된다. 렌즈 테두리 가공에 의해,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가 동일한 외형 형상으로 가공된다.
렌즈 테두리 가공 후,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 사이의 접착제층(4)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4)의 점착력을 대폭 저하시키고, 도 1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렌즈(2)와 보조 렌즈(3)를 분리시킨다. 분리된 기본 렌즈(2)는 안경 프레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보조 렌즈(3)는 필요한 때에 기본 렌즈(2)에 착탈 가능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은,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접합한 채로 렌즈 테두리 가공하는 것이다. 종래와 같이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각각 따로따로 렌즈 테두리 가공하면, 각각의 렌즈 테두리 가공으로 가공 오차가 생기고, 프레임에 수납하여 외형의 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조합했을 때에 렌즈 테두리 가공 오차가 가산되며,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가 필요한 조립 정밀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되어,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의 조합에 의한 광학 성능이 조립 오차에 의해 열화되어 소정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접합한 채로 렌즈 테두리 가공하는 본 발명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에 의하면, 렌즈 테두리 가공 시의 가공 오차가 가산되는 일이 없고, 프레임에 수납하여 외형 기준으로 조합했을 때에 조립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동일한 외형 형상으로 렌즈 테두리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동일한 외형 형상으로 함으로써 조합할 때에 외형의 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정확한 위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가 동일한 외형 형상이면, 장착한 보조 렌즈가 눈에 띄지 않게 되고, 외관 상도 바람직하다. 또한, 1회의 렌즈 테두리 가공 공정에서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의 양쪽을 렌즈 테두리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접합한 채로, 예컨대 자석이나 금속을 매설하거나, 구멍뚫기 가공과 같은 렌즈 테두리 가공 이외의 가공을 행하면,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의 양쪽에 위치 정밀도가 양호한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로서 숨김 마크의 얼라이먼트 기준 마크를 이용하고, 제2 얼라이먼트 마크로서 숨김 마크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이용한 예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위치 결정할 수 있으면 그 밖의 마크로 해도 좋고, 예컨 대,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나 측면에 노치나 요철 등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는 주로 조절력이 약해진 노안자를 위한 시력 교정 렌즈로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조 렌즈는, 주로 조절력이 약해진 노안자를 위한 시력 교정용 기본 렌즈와 조합되어 기본 렌즈의 설계 타입 등을 변경하는 용도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 테두리 가공 방법은, 기본 렌즈와 보조 렌즈를 안경 프레임에 부착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물체측 및 안구측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 또는 양면에, 소정의 거리에 있는 것을 보기 위한 굴절력을 갖는 제1 굴절부와, 이 제1 굴절부와 다른 굴절력을 갖는 제2 굴절부와, 상기 제1 굴절부로부터 상기 제2 굴절부까지 굴절력이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면을 갖는 기본 렌즈에 보조 렌즈가 조합되는 조합 안경 렌즈로서, 상기 기본 렌즈가 갖는 기본 렌즈 굴절력과 상기 보조 렌즈가 갖는 보조 렌즈 굴절력을 합성한 합성 굴절력이, 상기 기본 렌즈 굴절력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에 걸쳐 상이하고,
    상기 조합 안경 렌즈에서의 누진 개시점 및 누진 종료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의 상기 합성 굴절력이 상기 기본 렌즈 굴절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안경 렌즈에서의 조합 렌즈 가입 도수가, 상기 기본 렌즈가 갖는 기본 렌즈 가입 도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렌즈가 안구측의 굴절면에 상기 누진 굴절면을 갖고, 보조 렌즈측의 굴절면이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렌즈의 기본 렌즈측의 굴절면이 상기 기본 렌즈의 보조 렌즈측의 굴절면과 거의 동일한 구면 또는 원환체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
  5. 물체측 및 안구측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 또는 양면에 누진 굴절면을 갖는 기본 렌즈와, 상기 기본 렌즈와 조합되어 합성된 합성 굴절력이 상기 기본 렌즈가 갖는 기본 렌즈 굴절력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에 걸쳐 상이한 굴절력을 갖는 보조 렌즈가 조합되는 조합 안경 렌즈로서,
    상기 기본 렌즈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의 적어도 2개소에 설계 기준 위치와 소정의 방향을 나타내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굴절면의 적어도 2개소에 상기 설계 기준 위치와 소정의 방향을 나타내는 제2 얼라이먼트 마크가 설치되고,
    상기 조합 안경 렌즈에서의 누진 개시점 및 누진 종료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의 상기 합성 굴절력이 상기 기본 렌즈 굴절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가, 피팅 포인트 및 수평 방향을 나타내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가,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와 겹치는 각각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안경 렌즈.
  8. 누진 굴절면을 갖는 기본 렌즈와 조합되는 보조 렌즈로서,
    상기 기본 렌즈의 주자오선과 일치하는 주주시선(主注視線)의 상하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굴절력이 없는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주주시선의 중간부에 있어서 굴절력이 극대 또는 극소가 되는 부분 또는 상기 주주시선의 상하 어느 한쪽에 굴절력이 거의 일정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렌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010751A 2005-02-04 2006-02-03 조합 안경 렌즈,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테두리 가공 방법 KR100778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8578 2005-02-04
JP2005028578 2005-02-04
JP2005079342 2005-03-18
JPJP-P-2005-00079342 2005-03-18
JPJP-P-2005-00081192 2005-03-22
JP2005081192 2005-03-22
JP2005323171A JP4400549B2 (ja) 2005-02-04 2005-11-08 組み合わせ眼鏡レンズ及び組み合わせ眼鏡レンズの玉型加工方法
JPJP-P-2005-00323171 2005-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674A KR20060089674A (ko) 2006-08-09
KR100778599B1 true KR100778599B1 (ko) 2007-11-22

Family

ID=3619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751A KR100778599B1 (ko) 2005-02-04 2006-02-03 조합 안경 렌즈,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테두리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31969B2 (ko)
EP (1) EP1688781B1 (ko)
JP (1) JP4400549B2 (ko)
KR (1) KR100778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6816B2 (en) * 2006-10-10 2011-01-11 Lane Research, Llc Variable focus spectacles
WO2008089995A1 (de) * 2007-01-25 2008-07-31 Rodenstock Gmbh Verfahren zur berechnung eines brillenglases mit variabler lage der bezugspunkte
DE112008000060A5 (de) * 2007-01-25 2009-12-10 Rodenstock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Bezugspunkte Ferne und Nähe
FR2924824B1 (fr) * 2007-12-05 2010-03-26 Essilor Int Lentille progressive de lunettes ophtalmiques ayant une zone supplementaire de vision intermediaire
JP4879876B2 (ja) * 2007-12-29 2012-02-2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固定用カップの取り付け/取り外し方法及び眼鏡レンズ固定用の両面粘着テープ
WO2009141509A1 (fr) * 2008-05-19 2009-11-26 Ice Foster Ltd. Verre ophtalmique et lunettes comprenant au moins un tel verre
WO2009150265A1 (es) * 2008-06-13 2009-12-17 Lopez Hernandez Reyes Lente progresiva de dos caras
FR2941060B1 (fr) * 2009-01-13 2011-04-22 Essilor Int Procede de determination d'une nappe d'aspherisation destinee a une lentille ophtalmique
FR2968095B1 (fr) * 2010-11-29 2012-12-21 Essilor Int Element de verre ophtalmique progressif
EP2506063A1 (en) 2011-03-31 2012-10-0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Progressive ophthalmic lens
CN103988116B (zh) * 2011-12-15 2016-10-26 依视路国际集团(光学总公司) 用于确定渐进式眼镜片和半成品镜片毛坯集合的方法
CN105026987B (zh) 2012-12-19 2017-03-22 Hoya株式会社 眼镜镜片
JP6416394B2 (ja) * 2015-05-26 2018-10-31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及びレンズセット
WO2016190392A1 (ja) * 2015-05-26 2016-12-01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及び設計装置
KR101785993B1 (ko) * 2015-07-03 2017-10-18 이병기 다기능 다초점 멀티 포컬 안경
DE102015220931A1 (de) 2015-10-27 2017-04-27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der Brechkraftverteilung und der Zentrierung
IL249288A0 (en) * 2016-11-29 2017-03-30 Shamir Optical Ind Ltd Ophthalmic lens
EP3454110B1 (en) * 2017-09-11 2022-10-05 Rupp + Hubrach Optik GmbH Progressive addition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EP3683618A1 (en) * 2019-01-21 2020-07-22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ystem and method for demonstrating an optical disorder
DE102021118465B3 (de) * 2021-07-16 2022-09-15 Dieter van Deenen Vorsatzgläser für Gleitsichtbrillen, Vorsatzclip und Kit umfassend eine Gleitsichtbrille und zumindest einen Vorsatzclip
IT202200001364A1 (it) * 2022-01-27 2023-07-27 Michele Raguso "dispositivo ottico per la correzione dei difetti postural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4374A (en) * 1992-02-03 1997-07-01 Seiko Epson Corporation Variable focus type eyesight correc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7798A (en) 1969-07-02 1975-04-15 Harry R Tolar Laminated multi-focal lenses
US4441795A (en) * 1980-03-24 1984-04-10 Camelot Industries Corporation Molded multifocal lens and mold assembly
US4576623A (en) 1984-03-23 1986-03-18 Corning Glass Works Method for making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5771089A (en) 1984-08-17 1998-06-23 Optische Werke G. Rodenstock Progressive spectacle lens
DE3430334C2 (de) 1984-08-17 1987-02-05 Optische Werke G. Rodenstock, 8000 München Progressives Brillenglas mit zwei asphärischen Flächen
JPS61139134A (ja) 1984-12-10 1986-06-26 Nec Corp ディジタル多重化装置のモニタリング方式
JP2519921B2 (ja) 1987-04-13 1996-07-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2つの累進多焦点レンズを使用した視力矯正装置
GB8819867D0 (en) 1988-08-22 1988-09-21 J & S Wylde Ltd Laminated lens
JPH0330336U (ko) 1989-07-31 1991-03-26
US5861934A (en) * 1996-05-06 1999-01-19 Innotech, Inc. Refractive index gradient lens
US6027214A (en) 1998-02-13 2000-02-22 Graham; Deborah L. Detachable corrective lens assemblies
US6079827A (en) * 1998-09-21 2000-06-27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 for tandem edging complementary lenses
US6244705B1 (en) * 1999-06-28 2001-06-12 Donald L. Ledbetter Auxiliary corrective eyeglasses for use with primary eyeglasses
JP2002311397A (ja) 2001-04-19 2002-10-23 Asahi Optical Co Ltd 累進屈折力レンズ及び累進屈折力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3315751A (ja) 2002-04-26 2003-11-06 Art:Kk 前掛け式メガネ
JP2004226632A (ja) 2003-01-22 2004-08-12 Hitachi Maxell Ltd 接合基板及び光回路基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375994B2 (ja) 2003-04-30 2009-12-02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展示サンプルセット及び眼鏡レンズサンプル展示装置
JP2005031285A (ja) 2003-07-10 2005-02-03 Canon Inc 積層型回折光学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4374A (en) * 1992-02-03 1997-07-01 Seiko Epson Corporation Variable focus type eyesight correc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674A (ko) 2006-08-09
EP1688781B1 (en) 2011-12-14
US7631969B2 (en) 2009-12-15
US20060176445A1 (en) 2006-08-10
JP2006301568A (ja) 2006-11-02
EP1688781A1 (en) 2006-08-09
JP4400549B2 (ja)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599B1 (ko) 조합 안경 렌즈, 보조 렌즈 및 조합 안경 렌즈의 렌즈테두리 가공 방법
US7090349B2 (en) Single vision lenses
US8177361B2 (en) Spectacle glass and spectacle lens for data reflection
US8950858B2 (en) System and method of surfacing a lens, such as a lens for use with eyeglasses
US7914145B2 (en) Progressive power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IL158326A (en) Lenses for progressive insertion
AU2002252366A1 (en) Progressive addition lenses
US10831040B2 (en) Ophthalmological optical el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ophthalmological optical element
JP2011034122A (ja) 変化する屈折力プロファイルを有する進行付加型レンズ
EP1032863A1 (en) Ophthalmic lens synthesized from its specifications
KR20000012079A (ko) 진행성 상가 렌즈
CN101382667B (zh) 组合眼镜镜片、辅助镜片和组合眼镜镜片的磨边加工方法
WO2021059887A1 (ja)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50583B2 (ja) 組み合わせ眼鏡レンズ、補助レンズ及び組み合わせ眼鏡レンズの玉型加工方法
EP1507159A1 (en) Multifocal contact lens
JP4670416B2 (ja) 組み合わせ眼鏡レンズ
KR100638362B1 (ko) 콘택트 렌즈와 그 제조방법 및 콘택트 렌즈 제조용 몰드
US20220308364A1 (en) Spectacle lens, spectacle lens designing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spectacle
JP2006527383A (ja) 近用単焦点複合レンズの為の成形モールド
US11194175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election chart of nonprescription ophthalmic lenses
Design Design Specif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