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523B1 -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523B1
KR100773523B1 KR1020030078329A KR20030078329A KR100773523B1 KR 100773523 B1 KR100773523 B1 KR 100773523B1 KR 1020030078329 A KR1020030078329 A KR 1020030078329A KR 20030078329 A KR20030078329 A KR 20030078329A KR 100773523 B1 KR100773523 B1 KR 10077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ubstituted
unsubstituted
group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427A (ko
Inventor
한은실
루파스리라기니다스
장석
류이열
이종협
손해정
부용순
노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523B1/ko
Priority to CNB200410089709XA priority patent/CN100567265C/zh
Priority to US10/979,110 priority patent/US7378161B2/en
Priority to JP2004322548A priority patent/JP4749698B2/ja
Publication of KR2005004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523B1/ko
Priority to US12/081,214 priority patent/US89457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33Iridium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5Metal complexes of the platinum group, i.e. Os, Ir, Pt, Ru, Rh or P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인광을 발하는 유기 금속 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 금속 착물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막 형성시 이용가능하며, 400-650 nm 파장 영역에서 발광할 뿐만 아니라, 적ㆍ녹색 발광 물질과 함께 사용하여 백색광을 낼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Organometallic complex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32, 16-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광발광(PL) 스펙트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UV 흡수 스펙트럼 및 용액 및 필름 PL 스펙트럼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UV 흡수 스펙트럼 및 PL 스펙트럼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UV 흡수 스펙트럼 및 용액 및 필름 PL 스펙트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UV 흡수 스펙트럼과 용액 및 필름 PL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유기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삼중항 MLCT(metal-to-ligand charge-transfer)로부터 청색 영역에서 적색 영역까지의 빛의 발광이 가능한 유기 금속 착물과, 이를 유기막 형성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유기 EL 소자)는 형광성 또는 인광성 유기 화합물 박막(이하, 유기막이라고 함)에 전류를 흘려주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능동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경량, 부품이 간소하고 제작공정이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고 고화질에 광시야각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고색순도 및 동영상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저소비 전력, 저전압 구동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합한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다.
일반적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기판 상부에 애노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애노드 상부에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캐소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홀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유기막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애노드로부터 주입된 홀은 홀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에 이동된다. 한편,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에 주입되고 발광층 영역에서 캐리어들이 재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생성한다. 이 엑시톤이 방사감쇠(radiative decay)되면서 물질의 밴드 갭(band gap)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이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층 형성재료는 그 발광 메카니즘에 따라 일중항 상태의 엑시톤을 이용하는 형광 물질과, 삼중항 상태를 이용하는 인광 물질로 구분가능하다. 이러한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자체적으로 또는 적절한 호스트 물질에 도핑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며, 전자 여기 결과, 호스트에 일중항 엑시톤과 삼중항 엑시톤이 형성된다. 이 때 일중항 엑시톤과 삼중항 엑시톤의 통계적 생성비율은 1:3이다(Baldo, et al., Phys. Rev. B, 1999, 60, 14422).
발광층 형성재료로서 형광물질을 사용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호스트에서 생성된 삼중항이 낭비된다는 불리한 점을 안고 있는 반면, 발광층 형성재료로서 인광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중항 엑시톤과 삼중항 엑시톤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내부양자효율 100%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Baldo, et al., Nature, Vol.395, 151-154, 1998). 따라서 발광층 형성재료로 인광 물질을 사용할 경우, 형광 물질보다 매우 높은 발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유기 분자에 Ir, Pt, Rh, Pd과 같은 중금속을 도입하게 되면 중금속원자 효과(heavy atom effect)에 의해 발생되는 스핀-오비탈 커플링(spin-orbital coupling)을 통해서 삼중항 상태와 일중항 상태가 섞이게 되는데, 이로 인해 금지되었던 천이가 가능하게 되고 상온에서도 효과적으로 인광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최근 내부 양자효율이 100%에 이르는 인광을 이용한 고효율의 녹색, 적색의 물질이 개발되었다(Baldo, et al., Nature, Vol.395, 151-154, 1998 ; Baldo, et al., Appl. Phys. Lett., 75, 4-6, 1999 ; Adachi, et al., Appl. Phys. Lett., 77, 904-906, 2000 ; Adachi, et al., Appl. Phys. Lett., 78, 1622-1624, 2001). 특히 fac tris(2-phenylpyridine)iridium (Ir(ppy)3)를 사용한 녹색 인광 물질의 경우 17.6ㅁ0.5%의 외부 양자 효율을 갖고 있으며, 비스(2-(2'-벤조[4,5-a]티에닐)피 리디나토-N,C) 이리듐 (아세틸아세토네이트){bis(2-(2'-benzo[4,5-a]thienyl)pyridinato-N,C) iridium (acetylacetonate): Btp2Ir(acac)}가 7.0ㅁ0.5%의 고효율을 갖는 적색 물질로 발표되었다(Adachi, et al., Appl. Phys. Lett., 78, 1622-1624, 2001).
상술한 바와 같이 인광을 이용한 고효율 발광 재료로서, 이리듐(Iridium), 백금(platinum) 등의 전이 금속을 포함한 전이 금속 화합물을 이용한 여러 물질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고효율의 풀컬러 디스플레이나 저소비전력 백색발광 응용을 실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시키는 물질은 녹색, 적색 영역에 한정되어 있고, 청색 영역의 적절한 인광 물질이 개발되고 있지 않아 인광성 풀 칼라 소자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색 발광 물질이 개발되고 있다(WO 02/15645 A1, US 2002/0064681 A1). 또한 분자 배열(geometry)을 변형하여 HOMO-LUMO 차이를 크게 할 수 있는 벌키성 관능기나 리간드장 세기가 큰 관능기(예: 시아노기)를 도입한 유기 금속 착물이 개발되었다(Mat. Res. Soc. Symp. Proc. 708, 119, 2002; 3rd Chitose International Forum on Photonics Science and Technology, Chitose, Japan, 6-8 October, 2002.). 이밖에도, 일반식 Ir(ppy)2P(ph)3Y(단, Y = Cl 또는 CN임)의 이리듐 착물(US2002/0182441 A1)과 사이클로메탈화 리간드와 킬레이팅 디포스핀, 염소 및 시아노기를 갖는 이리듐 (III) 착물(US 2002/0048689 A1)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중항 MLCT로부터 청색에서 적색에 이르는 빛을 효율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3041914095-pat00001
상기식중, M은 Ir, Os, Pt, Pb, Re, Ru 또는 Pd이고, CyN은 M과 결합하는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고리 그룹(heterocyclic group), 또는 M과 결합하는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CyC는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60의 탄소고리 그룹,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고리 그룹,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또는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상기 CyN-CyC는 질소(N)와 탄소(C)를 통하여 M과 결합되어 있는 사이클로메탈화 리간드(cyclometalating ligand)를 나타내고, CyN-CyC의 각 치환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OR, -N(R)(R'), -P(R)(R'), -POR, -PO2R, -PO3R, -SR, -Si(R)(R')(R"), -B(R)(R'), -B(OR)(OR'), -C(O)R, -C(O)OR, -C(O)N(R), -CN, -NO2, -SO2, -SOR, -SO2R, -SO3R,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이고, 상기 치환기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4-7 원자 고리 그룹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4-7 원자 헤테로 고리 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 R' 및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4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4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40 알킬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40 헤테로아릴알킬기중에서 선택되고,
또는 상기 CyN-CyC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고,
Figure 112003041914095-pat00002
상기식중, R1, R2, R3, 및 R4는 서로에 관계없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작용기로서, 수소, 할로겐 원자, -OR, -N(R)2, -P(R)2, -POR, -PO2R, -PO 3R, -SR, -Si(R)3, -B(R)2, -B(OR)2, -C(O)R, -C(O)OR, -C(O)N(R), -CN, -NO 2, -SO2, -SOR, -SO2R, -SO3R, C1-C20 알킬기, 또는 C6-C20 아릴기이고, 상기 R은 상술한 바와 같고, A는 M과 결합하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리간드를 나타내고, X는 일가 음이온성 한자리 리간드(monoanionic, monodentate ligand)이고, n은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막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상술한 유기 금속 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은 HOMO와 삼중항 MLCT 상태의 에너지 갭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청색 발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HOMO와 삼중항 MLCT 상태의 에너지 갭의 증가는 벌키한 리간드를 배위하여 분자를 뒤틀리게 하고, σ-도너 및 π-도너 능력이 우수한 강한 리간드장을 제공할 수 있는 리간드를 도입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상기 화학식 1에서 X로서 시안화 이온(cyanide ion: CN-)을 사용하는 경우, 시안화 이온은 강한 리간드장을 제공할 수 있는 리간드중의 하나이며, HOMO 에너지준위를 낮출 수 있어 발광 파장 영역을 청색 영역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헤테로고리그룹 및 헤테로아릴기는 각각 N, O, S와 같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있는 고리기 및 아릴기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CyN에서, M과 결합하는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고리 그룹의 구체적인 예로서 피롤리딘(pyrrolidine), 모르폴린(morpholine), 티오모르폴린(thiomorpholine), 티아졸리딘(thiazolidine) 등이 있고, 상기 M과 결합하는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의 구체적인 예로서, 피리딘, 4-메톡시 피리딘, 퀴놀린, 피롤, 인돌, 피라진(pyrazine), 피라졸(pyrazole), 이미다졸, 피리미딘(pyrimidine), 퀴나졸린(quinazoline), 티아졸(thiazole), 옥사졸(oxazole), 트리아진(triazine), 1,2,4-트리아졸(triazole) 등이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CyC에서,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60의 탄소고리 그룹의 구체적인 예로서,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등이 있고, 상기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고리 그룹의 구체적인 예로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3-디옥산, 1,3-디티안(1,3-dithiane), 1,3-디티오란(1,3-dithiolane), 1,4-디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1,4-dioxa-8-azaspiro[4,5]decane}, 1,4-디옥사스피로[4,5]데칸-2-온{1,4-dioxaspiro[4,5]decan-2-one} 등이 있고, 상기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의 구체적인 예로서, 페닐, 1,3-벤조디옥솔(benzodioxole), 비페닐, 나프탈렌, 안트라센, 아줄렌(azulene) 등이 있고, 상기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의 구체적인 예로서 티오펜(thiophene), 퓨란2(5H)-퓨라논(furan2(5H)-furanone), 피리딘, 쿠마린(coumarin), 이미다졸, 2-페닐피리딘, 2-벤조티아졸, 2-벤조옥사졸, 1-페닐피라졸, 1-나프틸피라졸(1-naphthylpyrazole),5-(4-메톡시페닐)피라졸, 2,5-비스페닐-1,3,4-옥사디아졸, 2,3-벤조퓨란2-(4-비페닐)-6-페닐 벤조옥사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CyN-CyC의 각 치환기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4-7 원자 고리 그룹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4-7 원자 헤테로고리 그룹을 형성하며, 특히, 축합 4-7 원자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리 그룹 또는 헤테로고리 그룹은 C1-C30 사이클로알킬기, C1-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C6-C30 아릴기 또는 C4-C30 헤테로알릴기를 나타내고, 각 고리 그룹 또는 헤테로고리 그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체 Y에 의해서 치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헤테로"의 의미는 N, O, P, S 등과 같은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경우를 지칭한다.
상기 Y는 할로겐 원자, -OR1, -N(R1)2, -P(R1)2 , -POR1, -PO2R1, -PO3R1, -SR1 , -Si(R1)3, -B(R1)2, -B(OR1)2, -C(O)R 1, -C(O)OR1, -C(O)N(R1), -CN, -NO2, -SO2, -SOR1, -SO2R1, -SO3R1이고, R1은 상술한 R과 동일하게 정의된다.
상기 A는 M과 결합하는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일가의 양이온성 한자리 리간드를 나타내고, X는 F, Cl, Br, I, CN, CN(R), SCN, OCN 등과 같은 일가의 음이온성 한자리 리간드를 나타낸다.
상기 M과 결합하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A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에틸아민, 프로필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 피롤리딘, 피롤린, 피페리딘, 피리미딘, 인돌, 아자인돌, 카바졸, 인다졸, 노하만, 하만, 아닐린, 이미다졸, 옥사졸, 티아졸(thiazole), 피라졸(pyrazole), 피롤(pyrrole), 벤즈이미다졸(benzimidazole), 벤조트리아졸, 벤조옥사졸, 벤조티아졸, 벤조셀레나졸, 벤조싸이디아졸, 이소옥사졸, 이소티아졸(isothiazole), 옥사디아졸, 싸이아디아졸, 안쓰라닐, 트리아진, 벤즈이소아졸, 피라진, 트리아진, 퀴놀린, 벤조퀴놀린, 아크리딘, 티아졸리딘(thiazolidine), 퀴뉴클리딘, 이미다졸린, 옥사졸린, 티아졸린, 이소퀴놀린(isoquinoline)중에서 선택된 하나로부터 파생된 것이 있다.
상기 사이클로메탈화 리간드 (CyN-CyC)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3041914095-pat00003
Figure 112007037890895-pat00110
Figure 112003041914095-pat00005
상기식중, R1, R2, R3, R4 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작용기로서, 수소, 할로겐 원자, -OR, -N(R)2, -P(R)2, -POR, -PO2R, -PO 3R, -SR, -Si(R)3, -B(R)2, -B(OR)2, -C(O)R, -C(O)OR, -C(O)N(R), -CN, -NO 2, -SO2, -SOR, - SO2R, -SO3R, C1-C20 알킬기, 또는 C6-C20 아릴기이고, 상기 R은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Z는 S, O 또는 NR0(R0은 수소 또는 C1-C20 알킬기임)이다.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금속 착물은 특히 화학식 2 내지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의 하나로 구체화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3041914095-pat00006
Figure 112003041914095-pat00007
Figure 112003041914095-pat00008
Figure 112003041914095-pat00009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0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1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2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3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4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5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6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7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8
상기식중, M 및 CyN-CyC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6 및 R7은 서로에 관계없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작용기로서, 수소, 할로겐 원자, -OR, -N(R)2, -P(R)2, -POR, -PO2R, -PO3R, -SR, -Si(R)3, -B(R)2 , -B(OR)2, -C(O)R, -C(O)OR, -C(O)N(R), -CN, -NO2, -SO2, -SOR, -SO2R, -SO3R,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 20 헤테로아릴기이고, R6 및 R7중 서로 다른 위치에 치환된 치환기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fused) 4-7 원자 고리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R8, R9 및 R10 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 2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이고, X는 F, Cl, Br, I, CN, CN(R), SCN 또는 OCN이고, n은 1 또는 2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특히 Ir 또는 P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금속 착물은 특히 하기 화학식 15 내지 35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3041914095-pat00019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0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1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2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3
[화학식 15] [화학식 16] [화학식 17] [화학식 18] [화학식 19]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4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5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6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7
[화학식 20] [화학식 21] [화학식 22] [화학식 23]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8
Figure 112003041914095-pat00029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0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1
[화학식 24] [화학식 25] [화학식 26] [화학식 27]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2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3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4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5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6
[화학식 28] [화학식 29] [화학식 30] [화학식 31] [화학식 32]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7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8
Figure 112003041914095-pat00039
[화학식 33] [화학식 34] [화학식 35]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400nm에서 650nm 사이의 파장대에서 발광 특성을 가진다.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은 사이클로메탈화 모이어티를 제공하는 출발 물질인 [Ir(C^N)2Cl]2 유도체를 이용하여 와츠(Watts) 그룹에 의해 보고된 방법(F.O.Garces, R.J.Watts, Inorg.Chem. 1988, (35), 2450)을 사용하여 합성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리듐 착물의 합성경로를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 반응식 1-3을 참조하여, 상기 출발물질 [Ir(C^N)2Cl]2 유도체 및 N-질소 화합물을 1,2-디클로로메탄, 메틸렌클로라이드, THF 등과 같은 용매와 혼합하고, 이를 상온에서 2 내지 48시간동안 교반하면 [Ir(C^N)2Cl]N-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Ir(C^N)2Cl]N-화합물은 1,2-디클로로메탄, 메틸렌클로라이드, THF 및 메탄올 등의 용매하에서 KCN, NaSCN 또는 KOCN과 혼합하고, 이를 상온 내지 50C에서 1 내지 48시간동안 반응시키면 이리듐에 결합되어 있는 Cl이 CN, SCN, OCN으 로 치환된 [Ir(C^N)2CN]N-화합물, [Ir(C^N)2OCN]N-화합물 또는 [Ir(C^N)2 SCN]N-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Ir(C^N)2Cl]2 + N-화합물 → [Ir(C^N)2Cl]N-화합물
[Ir(C^N)2Cl]2 + N-화합물 + KCN → [Ir(C^N)2CN]N-화합물
[Ir(C^N)2Cl]2 + N-화합물 + NaSCN → [Ir(C^N)2SCN]N-화합물
[Ir(C^N)2Cl]2 + N-화합물 + KOCN → [Ir(C^N)2OCN]N-화합물
상기식중, 사이클로메탈화 리간드와 N-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을 이용하여 유기막 특히, 발광층을 형성하여 제작된다. 이 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은 발광층 형성물질인 인광 도판트 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며, 청색 파장 영역에서 우수한 발광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을 인광 도판트로 사용하는 경우,
유기막이 1종 이상의 고분자 호스트, 고분자와 저분자의 혼합물 호스트, 저분자 호스트, 및 비발광 고분자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분자 호스트, 저분자 호스트, 비발광 고분자 매트릭스로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발광층 형성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며, 고분자 호스트의 예로는 PVK(poly(vinylcarbazole)), Polyfluorene 등이 있고, 저분자 호스트의 예로는 CBP(4,4'-N,N'-dicarbazole-biphenyl), 4,4'-비스[9-(3,6-비페닐카바졸릴)]-1-1,1'-비페닐{4,4'-비스[9-(3,6-비페닐카바졸릴)]-1-1,1'-비페닐}, 9,10-비스[(2',7'-t-부틸)-9',9''-스피로비플루오레닐(spirobifluorenyl)안트라센, 테트라플루오렌(tertfluorene) 등이 있고, 비발광 고분자 매트릭스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의 함량은 발광층 형성재료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유기 금속 착물을 발광층에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프린팅법, 코팅법, 잉크젯방법, 전자빔을 이용한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은 녹색 발광 물질 또는 적색 발광 물질과 함께 사용하여 백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기막의 두께는 30 내지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유기막으로는, 발광층이외에 전자전달층, 정공전달층 등과 같이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서 한 쌍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 화합물로 된 막을 지칭한다. 이러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양극/발광층/음극, 양극/버퍼층/발광층/음극, 양극/정공전달층/발광층/음극, 양극/버퍼층/정공전달층/발광층/음극, 양극/ 버퍼층/정공전달층/발광층/전자전달층/음극, 양극/버퍼층/정공전달층/발광층/정공차단층/음극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버퍼층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리 프탈로시아닌(copper phthalocyanine), 폴리티오펜 (pol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phenylene vinylene),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정공전달층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트리페닐아민(polytriphenylami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전달층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사디아졸(polyoxadiazol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정공차단층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iF, BaF 2 또는 MgF 2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제작은 특별한 장치나 방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통상의 발광 재료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제작방법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이리듐 착물은 400 내지 650 nm 영역에서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금속 착물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는 풀 칼라 표시용 광원 조명, 백라이트, 옥외게시판,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 내부장식 등에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 F 2 ppy 다이머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0
500mL 가지 달린 플라스크에 19.85g(1.25×104mmol)의 2-브로모피리딘(2-bromopyridine), 25.00g(1.58×104mmol)의 2,4-다이플루오로페닐보로닉에시드(2,4-difluorophenyl boronic acid), 100mL의 톨루엔, 에탄올 48 mL 및 물 95 mL로 만든 2M 탄산나트륨 용액을 부가하고, 이를 질소 분위기하,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4.53g(3.92mmol)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을 넣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빛을 차단한 채 1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으로 조절한 후, 에틸아세 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톨루엔:헥산=10:1)로 분리하여, 엷은 갈색의 액체(F2ppyH)를 얻었다.
1H-NMR(CD2Cl2,ppm) : 8.69[d, 1H], 8.03[m, 1H], 7.70[m, 2H], 7.27[m, 1H], 7.00[m, 2H]
상기 과정에 따라 합성한 2-(4,6-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 단량체와 IrCl3ㆍnH2O를 이용하여 노란색 파우더인 F2ppy 다이머를 합성하였다. 이 때 합성법은 J. Am. Che. Soc., 1984, 106, 6647-6653을 참고하였다.
1H-NMR(CD2Cl2,ppm) : 9.1[d, 4H], 8.3[d, 4H], 7.9[t, 4H], 6.9[m, 4H], 6.5[m, 4H], 5.3[d, 4H]
참고예 2 . F 2 pmp 다이머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1
참고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F2pmp 다이머를 합성하였다.
1H-NMR(CD2Cl2,ppm) : 8.9[d, 4H], 8.1[s, 4H], 6.6[d, 4H], 6.3[m, 4H], 5.3[d, 4H], 2.6[s, 12H]
참고예 3 . DMAF 2 ppy 다이머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2
참고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DMAF2ppy 다이머를 합성하였다.
1H-NMR(CD2Cl2,ppm) : 8.7[d, 4H], 7.5[t, 4H], 6.3[m, 4H], 6.1[m, 4H] 5.4[d, 4H], 3.2[s, 24H]
실시예 1 .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3
질소 분위기하, 250ml 가지달린 플라스크에서 [Ir(F2ppy)2Cl]2 0.4mmol, 이미다졸 0.88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0mL에 녹인후, 상온에서 2-10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종료후, 반응액을 셀라이트 여과하고 헥산에 침전하여 노란색 파우더[Ir(F2ppy)2Cl]2-[2이미다졸]을 얻었다. 반응기에서 [Ir(F 2ppy)2Cl]2-[2이미다졸] 0.5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0ml에 용해시키고, 포타슘시아나이드 2.5mmol을 15ml 메탄올에 용해시켜 반응기에 가한후 상온에서 0.5-24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종료후 반응액을 셀라이트 여과하고 헥산에 침전시켜 노란색 파우더를 얻었다. 수득한 노란색 고체는 실리카겔 칼럼(메틸렌클로라이드:아세톤=10:1)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상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7[d, 1H], 8.3-8.4[m, 2H], 8.2[d, 1H], 8.0[d, 1H] 7.8-7.9[q, 2H], 7.2[t, 1H], 7.1[t, 1H], 6.9[s, 1H], 6.7[s, 1H], 6.4-6.5[m, 2H], 5.7-5.8[m, 2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하기 방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첫번째 방법은,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하여 10-4 M 용액으로 만든후,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 상태에서의 발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두번째 방법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94 중량부와 화학식 15의 화합물 6 중량부를 용매에 녹여 스핀코팅에 의해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 상태에서의 발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기 발광 특성을 조사한 결과, 화학식 15의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57.5nm에서 발광파장을, 485nm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고, 필름 상태에서는 용액 상태와 비슷한 발광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5이고, y는 0.20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4
질소 분위기하, 250ml 가지달린 플라스크에서 [Ir(F2ppy)2Cl]2 0.4mmol, 옥사졸 0.88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0mL에 녹인후, 상온에서 2-10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종료후, 반응액을 셀라이트 여과하고 헥산에 침전하여 노란색 파우더[Ir(F2ppy)2Cl]2-[2옥사졸]을 얻었다. 수득한 노란색 고체는 실리카겔 칼럼(메틸렌클로라이드:헥산=10:1)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상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8[d, 1H], 8.6[s, 1H], 8.3[d, 1H], 8.2[d, 1H], 8.1[d, 1H], 7.8-7.9[m, 2H], 7.7[s, 1H], 7.3[t, 1H], 7.2[s, 1H], 7.1[t, 1H], 6.3-6.5[m, 2H], 5.8[d, 1H], 5.6[d, 1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합물 2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하여 10-4 M 용액으로 만든후,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 상태에서의 발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화합물 2는 용액 상태에서 468.6nm에서 발광파장을, 492.6nm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31이고, y는 0.2675로 나타났다
실시예 3 .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5
옥사졸 대신 싸이아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9[d, 1H], 9.5[s, 1H], 8.3[d, 1H], 8.2[d, 1H], 7.7-7.9[m, 4H], 7.4[t, 1H], 7.2-7.3[t, 1H], 7.1[t, 1H], 6.3-6.5[m, 2H], 5.8-5.9[d, 1H], 5.6[d, 1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합물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70.2nm에서 발광파장을, 492.6nm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36이고, y는 0.2852로 나타났다
실시예 4 . 화학식 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6
옥사졸 대신 파이라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12.0[s, 1H], 9.7[d, 1H], 8.3[d, 1H], 8.2[d, 1H], 7.8-7.9[m, 2H], 7.6-7.7[m, 2H], 7.2-7.3[t, 1H], 7.1[t, 1H], 6.78[s, 1H], 6.3-6.5[m, 2H], 6.27[m, 1H], 5.8[d, 1H], 5.65[d, 1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합물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67.3nm에서 발광파장을, 492.6nm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18이고, y는 0.2064로 나타났다
실시예 5 . 화학식 1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7
이미다졸 대신 2H-피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실시예 6 .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8
이미다졸 대신 1-페닐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8[d, 1H], 8.3-8.4[d, 2H], 8.2-8.3[d, 1H], 8.1-8.2[d, 1H], 7.8-7.9[q, 2H], 7.3-7.6[m, 5H], 7.2-7.3[m, 2H], 7.12[t, 1H], 7.03[s, 1H], 6.4-6.5[m, 2H], 5.78[m, 2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실시예 1의 화합물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57.2nm에서 발광파장을, 484.7nm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고, 필름 상태일때 456.5nm에서 발광파장을, 484nm에서 숄더(shoulder)를 보임으로서, 용액상태 보다 1nm정도 청색 이동(blue shift)하는 발광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7이고, y는 0.195로 나타났다.
실시예 7 . 화학식 3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49
옥사졸 대신 (1-메틸)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8[d, 1H], 8.3[d, 1H], 8.1[m, 3H], 7.7[m, 2H],7.2[t, 1H], 7.1[t, 1H], 6.78[s, 1H], 6.75[s, 1H], 6.3-6.5[m, 2H], 5.8[d-d, 1H], 5.6[d-d, 1H], 3.6[s, 3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기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73.8nm에서 발광파장을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51이고, y는 0.3249로 나타났다
실시예 8. 화학식 3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0
이미다졸 대신 1-메틸이미다졸을, KCN 대신 KOCN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 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36[d, 1H], 8.3[d, 1H], 8.2[d, 1H], 8.0[d, 1H], 7.8[m, 2H], 7.7[s, 1H], 7.2[t, 1H], 7.1[t, 1H], 6.81[s, 1H], 6.79[s, 1H], 6.4[m, 2H], 5.8[d-d, 1H], 5.6[d-d, 1H], 3.6[s, 3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실시예 1의 화합물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73.8nm에서 발광파장을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57이고, y는 0.3205로 나타났다.
실시예 9. 화학식 3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1
이미다졸 대신 1-메틸이미다졸을, KCN 대신 NaSCN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2[d, 1H], 8.3[d, 1H], 8.2[d, 1H], 8.0[d, 1H], 7.8[m, 2H], 7.5[s, 1H], 7.3[t, 1H], 7.1[t, 1H], 6.85[s, 1H], 6.8[s, 1H], 6.4[m, 2H], 5.65[d-d, 2H], 3.6[s, 3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실시예 1의 화합물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66nm에서 발광파장을, 490nm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29이고, y는 0.2535로 나타났다.
실시예 10 .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2
F2ppy 다이머 대신 F2pmp 다이머를, 이미다졸 대신 1-메틸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5[d, 1H], 8.1[s, 1H], 8.0[s, 1H], 7.88[s, 1H], 7.85[d, 1H], 7.0[d, 1H], 6.9[d, 1H], 6.8[s, 1H], 6.7[s, 1H], 6.3-6.5[m, 2H], 5.7[m, 2H], 3.6[s, 3H], 2.5[d, 6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실시예 1의 화합물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55.8nm에서 발광파장을, 482.5nm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고, 필름 상태일때 455nm에서 발광파장을, 481.8nm에서 숄더(shoulder)를 보임으로서, 용액 상태 보다 1nm 정도 청색 이동(blue shift)하는 발광 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7이고, y는 0.195로 나타났다.
실시예 11 .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3
F2ppy dimer 대신 F2pmp dimer를, 이미다졸 대신 1-테트라플루오로페닐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5[d, 1H], 8.1[s, 1H], 8.0[s, 1H], 7.88[s, 1H], 7.85[d, 1H], 7.0[d, 1H], 6.9[d, 1H], 6.8[s, 1H], 6.7[s, 1H], 6.3-6.5[m, 2H], 5.7[m, 2H], 3.6[s, 3H], 2.5[d, 6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실시예 1의 화학식 15의 화합물과 같은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55.8nm에서 발광파장을, 482.5nm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고, 필름 상태일때 455nm에서 발광 파장을, 481.8nm에서 숄더(shoulder)를 보임으로서, 용액상태 보다 1nm정도 청색 이 동(blue shift)하는 발광패턴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4
F2ppy 다이머 대신 DMNF2ppy 다이머를, 이미다졸 대신 1-테트라플루오로페닐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1[d, 1H], 8.2[s, 1H], 7.6[d, 1H], 7.5[t, 1H], 7.4[t, 1H], 7.2-7.3[m, 1H], 7.2[s, 1H], 7.1[s, 1H], 6.3-6.5[m, 4H], 5.8-6.0[m, 2H], 3.1-3.2[d, 12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실시예 1의 화학식 15의 화합물과 같은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46nm, 465nm에서 발광파장을 보였고, 필름 상태일때는 445nm, 464nm에서 발광파장을 보임으로서, 용액상태 보다 1nm정도 blue shift하는 발광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7이고, y는 0.130로 나타났다.
실시예 13 .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5
F2ppy 다이머 대신 F2pm 다이머를, 옥사졸 대신 1-(트리메틸실릴)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6[d, 1H], 8.2[s, 1H], 8.1[s, 1H], 8.0[s, 1H],7.85[d, 1H], 7.05[d, 1H], 6.9[m, 2H], 6.85[s, 1H], 6.3-6.5[m, 2H], 5.85[d, 1H], 5.65[d, 1H], 2.55[d, 6H], 0.08[m, 9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0은 용액 상태에서 469.5nm에서 발광파장을, 492nm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51이고, y는 0.2867로 나타났다
실시예 14 .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6
F2ppy 다이머 대신 F2pmp 다이머를, 옥사졸 대신 2-메틸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7[d, 1H], 8.47[d, 1H], 8.1[s, 1H], 8.0[s, 1H], 7.1[d, 1H], 7.0[d, 1H], 6.3-6.4[m, 2H], 5.8[d, 1H], 5.7[d, 1H], 5.35[s, 1H], 4.8[s, 1H], 3.1-3.4[m, 3H], 2.6[d, 6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77nm에서 발광파장을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544이고, y는 0.3633로 나타났다
실시예 15 . 화학식 2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7
옥사졸 대신 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9.8[d, 1H], 8.43[d, 1H], 8.3[q, 2H], 7.9[t, 2H], 7.35[m, 2H], 6.4[m, 2H], 5.75[d, 1H], 5.55[d, 1H], 2.9[m, 2H], 2.0-2.1[m, 2H], 1.3[m, 2H], 0.7[t, 3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75.3m에서 발광파장을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48이고, y는 0.3185로 나타났다.
실시예 16 . 화학식 2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8
F2ppy 다이머 대신 CF3ppy 다이머를, 옥사졸 대신 파이라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10.8[s, 1H], 9.9[d, 1H], 8.1-8.2[d-d, 2H], 7.7- 7.9[m, 6H], 7.36[t, 1H], 7.2[t, 1H], 7.15[d, 1H], 7.0[d, 1H], 6.6[s, 1H], 6.56[s, 1H], 6.37[s, 1H], 6.23[s, 1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512nm에서 발광파장을, 540nm 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2745이고, y는 0.6323로 나타났다
실시예 17 . 화학식 2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59
F2ppy 다이머 대신 ppy 다이머를, 옥사졸 대신 파이라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10.8[s, 1H], 9.86[d, 1H], 7.9-8.1[d-d, 2H], 7.5-7.75[m, 6H], 7.17[t, 1H], 7.0[t, 1H], 6.81[t, 1H], 6.5-6.7[m, 4H], 6.4[d, 1H], 6.1-6.3[m, 2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500nm에서 발광파장을, 530nm 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2346이고, y는 0.6183로 나타났다.
실시예 18 . 화학식 2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60
F2ppy 다이머 대신 Fppy 다이머를, 옥사졸 대신 피라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10.8[s, 1H], 9.8[d, 1H], 7.6-8.0[m, 8H], 7.2[t, 1H], 7.0[t, 1H], 6.7[s, 1H], 6.6[m, 1H], 6.47[m, 1H], 6.2[s, 1H], 5.93[d-d, 1H], 5.75[d-d, 1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82.5nm에서 발광파장을, 513.5nm 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657이고, y는 0.4439로 나타났다.
실시예 19. 화학식 3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61
F2ppy 다이머 대신 F2pmp 다이머를, 옥사졸 대신 파이라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10.8[s, 1H], 9.66[d, 1H], 8.1[s, 1H], 8.0[s, 1H], 7.77[s, 1H], 7.55[d, 1H], 7.13[d, 1H], 6.96[d, 1H], 6.7[s, 1H], 6.5[m, 1H], 6.4[m, 1H], 6.25[s, 1H], 5.8[d-d, 1H], 5.6[d-d, 1H], 2.55[d, 6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68nm에서 발광파장을, 490nm 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43이고, y는 0.2669로 나타났다.
실시예 20 . 화학식 3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3041914095-pat00062
F2ppy 다이머 대신 DMN2Fppy 다이머를, 옥사졸 대신 파이라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최종 목적물의 구조는 1H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1H-NMR(CD2Cl2,ppm) : 10.8[s, 1H], 9.25[d, 1H], 7.74[s, 1H], 7.48[t, 1H], 7.42[t, 1H], 718[d, 1H], 6.7[s, 1H], 6.56[d-d, 1H], 6.39-6.42[m, 2H], 6.20-6.24[m, 2H], 5.93[d-d, 1H], 5.74[d-d, 1H], 3.1[d, 12H].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은 화학식 16의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58nm에서 발광파장을, 480nm 에서는 숄더(shoulder)를 보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CIE 색좌표 특성을 조사한 결과, x는 0.1445이고, y는 0.1858로 나타났다.
한편, 도 1-5에는 상기 실시예들에 따라 얻은 유기 금속 착물들의 광발광 특성을 나타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32, 16-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광발광(PL) 스펙트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UV 흡수 스펙트럼 및 용액 및 필름 PL 스펙트럼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UV 흡수 스펙트럼 및 PL 스펙트럼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UV 흡수 스펙트럼 및 용액 및 필름 PL 스펙트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화 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UV 흡수 스펙트럼과 용액 및 필름 PL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들부터 얻은 화합물의 발광 특성 및 CIE(색좌표) 특성을 정리하여 하기 표 1-3에 나타냈다. 하기 표 1은 [F2ppy]2Ir-아졸화합물로 이루어진 이리듐 착물의 발광 및 CIE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하기 표 2는 이미다졸 유도체로 이루어진 이리듐 착물의 발광 및 CIE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하기 표 3은 페닐피리딘(ppy)유도체와 피라졸로 이루어진 이리듐 착물의 발광 및 CIE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3041914095-pat00063
a: 10-4M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
Figure 112003041914095-pat00064
a: 10-4M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 b: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5 wt% 도핑
Figure 112003041914095-pat00065
a: 10-4M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
상기 표 1-3으로부터, 아졸화합물들이 보조리간드(ancillary ligand)로 도입시 우수한 인광특성을 가진 도펀트가 형성되고, 특히 CN과 함께 도입시 강한 전기장효과(electronic effect)에 의해 440-460nm 영역에서 발광하는 청색 인광재료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메인 리간드를 도입함으로써 적색, 녹색, 청색의 풀컬러 구현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은 3중항 MLCT로부터 청색부터 적색영역까지의 빛을 효율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금속 착물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막 형성시 이용가능하며, 고효율의 인광재료로서, 400-650 nm 파장 영역에서 발광할 뿐만 아니라, 녹색 발광 물질 또는 적색 발광 물질과 함께 사용하여 백색광을 낼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87237197-pat00066
    상기식중, M은 Ir, Os, Pt, Pb, Re, Ru 또는 Pd이고,
    CyN은 M과 결합하는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고리 그룹(heterocyclic group), 또는 M과 결합하는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CyC는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60의 탄소고리 그룹,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고리 그룹,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또는 M과 결합하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상기 CyN-CyC는 질소(N)와 탄소(C)를 통하여 M과 결합되어 있는 사이클로메탈화 리간드(cyclometalating ligand)를 나타내고,
    CyN-CyC의 각 치환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OR, -N(R)(R'), -P(R)(R'), -POR, -PO2R, -PO3R, -SR, -Si(R)(R')(R"), -B(R)(R'), -B(OR)(OR'), -C(O)R, -C(O)OR, -C(O)N(R), -CN, -NO2, -SO2, -SOR, -SO2R, -SO3R,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이고, 상기 치환기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4-7 원자 고리 그룹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4-7 원자 헤테로 고리 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 R' 및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4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4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40 알킬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40 헤테로아릴알킬기중에서 선택되고,
    또는 상기 CyN-CyC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고,
    Figure 112006087237197-pat00067
    상기식중, R1, R2, R3, 및 R4는 서로에 관계없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작용기로서, 수소, 할로겐 원자, -OR, -N(R)2, -P(R)2, -POR, -PO2R, -PO3R, -SR, -Si(R)3, -B(R)2, -B(OR)2, -C(O)R, -C(O)OR, -C(O)N(R), -CN, -NO2, -SO2, -SOR, -SO2R, -SO3R, C1-C20 알킬기, 또는 C6-C20 아릴기이고, 상기 R은 상술한 바와 같고
    A는 M과 결합하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리간드를 나타내고,
    X는 일가 음이온성 한자리 리간드(monoanionic, monodentate ligand)이고,
    n은 1 또는 2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메탈화 리간드(CyN-CyC)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금속 착물.
    Figure 112007037890895-pat00068
    Figure 112007037890895-pat00111
    Figure 112007037890895-pat00070
    상기식중, R1, R2, R3, R4 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작용기로서, 수소, 할로겐 원자, -OR, -N(R)2, -P(R)2, -POR, -PO2R, -PO3R, -SR, -Si(R)3, -B(R)2, -B(OR)2, -C(O)R, -C(O)OR, -C(O)N(R), -CN, -NO2, -SO2, -SOR, -SO2R, -SO3R, C1-C20 알킬기, 또는 C6-C20 아릴기이고, 상기 R은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Z는 S, O 또는 NR0(R0은 수소 또는 C1-C20 알킬기임)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과 결합하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A가,
    치환 혹은 비치환된 트리에틸아민, 프로필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 피롤리딘, 피롤린, 피페리딘, 피리미딘, 인돌, 아자인돌, 카바졸, 인다졸, 노하만, 하만, 아닐린, 이미다졸, 옥사졸, 티아졸(thiazole), 피라졸(pyrazole), 피롤(pyrrole), 벤즈이미다졸(benzimidazole), 벤조트리아졸, 벤조옥사졸, 벤조싸이아졸, 벤조셀레나졸, 벤조싸이디아졸, 이소옥사졸, 이소싸이아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안트라닐, 트리아진, 벤즈이소아졸, 피라진, 트리아진, 퀴놀린, 벤조퀴놀린, 아크리딘, 티아졸리딘(thiazolidine), 퀴뉴클리딘, 이미다졸린, 옥사졸린, 티아졸린, 이소퀴놀린(isoquino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부터 파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금속 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는 -F, -Cl, -Br, -I, -CN, -CN(R), -SCN 또는 -OCN이고,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금속 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Ir 또는 P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금속 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착물이 하기 화학식 2 내지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금속 착물.
    [화학식 2]
    Figure 112003041914095-pat00071
    [화학식 3]
    Figure 112003041914095-pat00072
    [화학식 4]
    Figure 112003041914095-pat00073
    [화학식 5]
    Figure 112003041914095-pat00074
    [화학식 6]
    Figure 112003041914095-pat00075
    [화학식 7]
    Figure 112003041914095-pat00076
    [화학식 8]
    Figure 112003041914095-pat00077
    [화학식 9]
    Figure 112003041914095-pat00078
    [화학식 10]
    Figure 112003041914095-pat00079
    [화학식 11]
    Figure 112003041914095-pat00080
    [화학식 12]
    Figure 112003041914095-pat00081
    [화학식 13]
    Figure 112003041914095-pat00082
    [화학식 14]
    Figure 112003041914095-pat00083
    상기식중, M 및 CyN-CyC은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6 및 R7은 서로에 관계없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작용기로서, 수소, 할로 겐 원자, -OR, -N(R)2, -P(R)2, -POR, -PO2R, -PO3R, -SR, -Si(R) 3, -B(R)2, -B(OR)2, -C(O)R, -C(O)OR, -C(O)N(R), -CN, -NO2, -SO2, -SOR, -SO2R, -SO 3R,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헤테로아릴기이고, R6 및 R7중 서로 다른 위치에 치환된 치환기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fused) 4-7 원자 고리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R8,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 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이고,
    X는 F, Cl, Br, I, CN, CN(R), SCN 또는 OCN이고, n은 1 또는 2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5 내지 35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금속 착물.
    Figure 112006087237197-pat00084
    Figure 112006087237197-pat00085
    Figure 112006087237197-pat00086
    Figure 112006087237197-pat00087
    Figure 112006087237197-pat00088
    [화학식 15] [화학식 16] [화학식 17] [화학식 18] [화학식 19]
    Figure 112006087237197-pat00089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0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1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2
    [화학식 20] [화학식 21] [화학식 22] [화학식 23]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3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4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5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6
    [화학식 24] [화학식 25] [화학식 26] [화학식 27]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7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8
    Figure 112006087237197-pat00099
    Figure 112006087237197-pat00100
    Figure 112006087237197-pat00101
    [화학식 28] [화학식 29] [화학식 30] [화학식 31] [화학식 32]
    Figure 112006087237197-pat00102
    Figure 112006087237197-pat00103
    Figure 112006087237197-pat00104
    [화학식 33] [화학식 34] [화학식 35]
  8.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막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의 유기 금속 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1종 이상의 고분자 호스트, 고분자 호스트와 저분자 호스트의 혼합물, 저분자 호스트, 및 비발광 고분자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녹색 발광 물질 또는 적색 발광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30078329A 2003-11-06 2003-11-06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7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329A KR100773523B1 (ko) 2003-11-06 2003-11-06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B200410089709XA CN100567265C (zh) 2003-11-06 2004-11-02 有机金属配合物及使用该配合物的有机电致发光装置
US10/979,110 US7378161B2 (en) 2003-11-06 2004-11-02 Organometallic complex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JP2004322548A JP4749698B2 (ja) 2003-11-06 2004-11-05 有機金属錯体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US12/081,214 US8945723B2 (en) 2003-11-06 2008-04-11 Organometallic complex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329A KR100773523B1 (ko) 2003-11-06 2003-11-06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427A KR20050043427A (ko) 2005-05-11
KR100773523B1 true KR100773523B1 (ko) 2007-11-07

Family

ID=3458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329A KR100773523B1 (ko) 2003-11-06 2003-11-06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378161B2 (ko)
JP (1) JP4749698B2 (ko)
KR (1) KR100773523B1 (ko)
CN (1) CN10056726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8499B2 (en) 2013-06-12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523B1 (ko) * 2003-11-06 2007-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202342B1 (ko) * 2005-02-04 201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클로메탈화 전이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8039124B2 (en) * 2005-06-30 2011-10-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 luminescent metal complexes
KR100729741B1 (ko) * 2006-01-06 200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322847B1 (ko) * 2006-01-27 2013-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효율 유기전계발광소자
JP4954581B2 (ja) * 2006-03-30 2012-06-20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954582B2 (ja) * 2006-03-30 2012-06-20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EP1842854A1 (en) * 2006-04-07 2007-10-10 SOLVAY (Société Anonyme) Light-emitting material
US7691292B2 (en) * 2006-07-28 2010-04-06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iridium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7704610B2 (en) * 2006-07-28 2010-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organic iridium compositions
US7695640B2 (en) * 2006-07-28 2010-04-13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iridium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7691494B2 (en) * 2006-07-28 2010-04-06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organic iridium compositions
KR100894135B1 (ko) * 2007-06-29 2009-04-20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금속착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US8049411B2 (en) 2008-06-05 2011-11-01 Idemitsu Kosan Co., Ltd.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KR100901888B1 (ko) * 2008-11-13 2009-06-09 (주)그라쎌 신규한 전기발광용 유기금속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 채용하고 있는 전기발광소자
US8822042B2 (en) * 2010-06-28 2014-09-02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uminescent cyclometallated iridium(III) complexes having acetylide ligands
KR101877582B1 (ko) * 2010-07-30 2018-07-12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계발광 디바이스
TWI513079B (zh) * 2010-08-26 2015-12-11 Nat Univ Tsing Hua 含混合主體之有機發光二極體及其製作方法
KR20130136465A (ko) * 2010-10-22 2013-12-12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유기 전계발광 소자
TW201251002A (en) * 2010-12-02 2012-12-16 Ube Industries Binuclear metal complex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ing same
US20140203270A1 (en) 2011-09-12 2014-07-24 Nippon Steel & Sumikin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material having silicon-containing four membered ring structur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101992874B1 (ko) 2011-09-12 2019-06-26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EP2757607B1 (en) 2011-09-12 2016-02-10 Nippon Steel & Sumikin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101965292B1 (ko) 2011-12-12 2019-04-04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유기전계발광 소자용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전계발광 소자
KR102005723B1 (ko) 2012-03-12 2019-07-31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6153522B2 (ja) 2012-06-28 2017-06-28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用材料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
US9614166B2 (en) 2012-07-19 2017-04-04 Nippon Steel & Sumikin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TWI599570B (zh) 2012-09-28 2017-09-21 新日鐵住金化學股份有限公司 Compound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1520527B1 (ko) * 2012-11-21 2015-05-14 주식회사 두산 이리듐(ⅲ)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3242372B (zh) * 2013-05-29 2016-04-13 洛阳师范学院 苯并喹啉三苯基膦环铱氢加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231661B (zh) * 2014-08-29 2017-06-06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环金属配体染料、染料敏化电极和太阳能电池
CN111982341B (zh) * 2020-07-17 2022-10-21 北京化工大学 一种发光型温度探针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8689A1 (en) * 2000-09-21 2002-04-25 Fuji Photo Film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iridium complex
US20020182441A1 (en) * 2000-08-11 2002-12-05 Trustee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emission-shifting organic electrophosphorescen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203B1 (ko) 1999-03-31 200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새로운 큐마린계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AU2001283274A1 (en) 2000-08-11 2002-02-25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emission-shifting organic electrophosphorescence
JP4154138B2 (ja) 2000-09-26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金属配位化合物
JP4154140B2 (ja) * 2000-09-26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金属配位化合物
US7067202B2 (en) * 2001-06-15 2006-06-27 Sanyo Electric Co., Ltd. Luminescent organometallic compound and light emitting device
KR100474891B1 (ko) 2001-12-20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
KR101028435B1 (ko) * 2002-08-16 2011-04-14 유니버시티 오브 써던 캘리포니아 음이온성 리간드를 갖는 유기 발광 재료
US7368570B2 (en) * 2003-08-07 2008-05-06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ganometallic complexes as singlet oxygen sensitizers
KR100773523B1 (ko) * 2003-11-06 2007-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73524B1 (ko) * 2003-12-24 2007-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핵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2441A1 (en) * 2000-08-11 2002-12-05 Trustee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emission-shifting organic electrophosphorescence
US20020048689A1 (en) * 2000-09-21 2002-04-25 Fuji Photo Film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iridium comple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8499B2 (en) 2013-06-12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67265C (zh) 2009-12-09
KR20050043427A (ko) 2005-05-11
CN1626513A (zh) 2005-06-15
US8945723B2 (en) 2015-02-03
JP2005139185A (ja) 2005-06-02
US7378161B2 (en) 2008-05-27
JP4749698B2 (ja) 2011-08-17
US20050112406A1 (en) 2005-05-26
US20080265758A1 (en)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523B1 (ko)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234226B1 (ko)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73524B1 (ko) 이핵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5165854B2 (ja) シリル置換シクロメタル化遷移金属錯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100668402B1 (ko) 인광체 화합물들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Kajjam et al. Structural mimics of phenyl pyridine (ppy)–substituted, phosphorescent cyclometalated homo and heteroleptic iridium (III) complexe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an overview
JP4953412B2 (ja) ヘテロ原子連結基を有するイリジウム(iii)錯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素子
Sun et al. Highly efficient deep-re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based on asymmetric iridium (iii) complexes with the thianthrene 5, 5, 10, 10-tetraoxide moiety
JP4920217B2 (ja) シクロメタル化遷移金属錯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100682859B1 (ko) 폴리실세스퀴옥산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1213485B1 (ko)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68305B1 (ko) 시클로메탈화 전이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070111914A (ko) 발광 이종 핵 구리-이리듐 착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1015882B1 (ko) 시클로메탈화 전이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1398664B1 (ko) 유기 발광소자용 두자리 리간드를 포함하는 발광 금(ⅲ) 화합물 및 그의 제조
KR20140080606A (ko) 유기 금속 착물,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1202342B1 (ko) 시클로메탈화 전이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1030009B1 (ko) 시클로메탈화 전이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1714760B1 (ko) 유기 금속 착물,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Kim et al. Strategic molecular engineering of blue phosphorescent Pt (II) compounds for the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single-doped white OLEDs
EP2423214A1 (en) Light emitting materials for Electronics
KR20160079757A (ko) 유기 금속 착물,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KR20050010682A (ko) 전기 발광 이리듐 화합물 및 이를 발광 도판트로서채용하고 있는 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