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757B1 - 적층 세라믹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757B1
KR100771757B1 KR1020010004880A KR20010004880A KR100771757B1 KR 100771757 B1 KR100771757 B1 KR 100771757B1 KR 1020010004880 A KR1020010004880 A KR 1020010004880A KR 20010004880 A KR20010004880 A KR 20010004880A KR 100771757 B1 KR100771757 B1 KR 10077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ceramic dielectric
conductor layer
particles
dielect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253A (ko
Inventor
차조노히로카즈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8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 B32B1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02Noble metals
    • B32B2311/04G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02Noble metals
    • B32B2311/09Pall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2Nickel or cob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2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6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2Glass or ceramic [i.e., fired or glazed clay, cement, etc.] [porcelain, quartz,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8Monolayer with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10T428/2996Glass particles or spheres

Abstract

내전압 특성이 양호하고 또한 대용량 및 소형화가 가능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체층(12)을 형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세라믹 유전체층(11)에 포함되는 첨가물을 혼합시킴으로써, 도체층(12) 근방에 있어서의 세라믹 입자(20)의 셸부(22)의 두께를 크게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내전압 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세라믹 유전체층(11)의 박층화에 의한 대용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콘덴서{A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도 1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일부를 절결한 부분의 사시도,
도 2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층 세라믹 콘덴서 11 : 세라믹 유전체층
12 : 도체층 13 : 적층체
14 : 외부 전극 20, 30 : 세라믹 입자
21 : 코어부 22 : 셸부
본 발명은 유전체층과 도체층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관한 것이고, 특히 그 유전체층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이하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우선, 슬러리를 작성 한다. 구체적으로는, BaTiO3 등의 세라믹 유전체 분체에 첨가물 및 바인더를 가하여, 이것을 수시간 볼 밀 등에 의해 교반·혼합함으로써 적절한 점도를 갖는 슬러리를 작성한다.
다음에, 예컨대 독터 블레이드법 등에 의해, 슬러리로부터 세라믹 그린 시트를 작성한다. 이 독터 블레이드법에서는, 베이스 필름상에 슬러리를 흐르게 하여, 그 두께를 독터 블레이드와의 간극에서 조정한다. 이 다음에, 이것을 건조시켜 소정 두께의 세라믹 그린 시트를 얻는다.
다음에, 세라믹 그린 시트에 소정의 패턴으로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이어서, 이들 세라믹 그린 시트를 필요 개수만큼 적층·압착하여 시트 적층물을 작성한다. 이 다음에, 시트 적층물을 단위 부품당의 크기로 재단하고, 이것을 소성하여 소결체를 작성한다. 이 소성 공정에 의해, 세라믹 그린 시트가 세라믹 유전체층으로 되고, 도전성 페이스트가 도체층으로 된다. 마지막으로, 이 소결체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소성하여 외부 전극을 형성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적층 세라믹 콘덴서가 제조된다.
이러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서는, 디레미네이션이나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디레미네이션 등의 발생 요인의 하나로서, 소성시의 도전성 페이스트와 세라믹 그린 시트의 수축 거동의 차이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체층을 형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슬러리 작성에 이용한 세라믹 유전체를 혼입시키는 기술이 일반화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으 로 도전성 페이스트에 혼입시키는 재료는 "공재"라고 칭하여진다.
그러나, 최근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대용량 및 소형화에 따른 세라믹 유전체층의 박막화가 진행되면서, 상술한 공재의 확산 반응에 의한 세라믹 유전체층의 물성 변화를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세라믹 유전체층을 박층화하면, 내전류 특성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전압 특성이 양호하고 또한 대용량 및 소형화가 가능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의하면, 세라믹 유전체층과 도체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유전체층은 코어 셸 구조를 갖는 세라믹 입자를 포함함과 동시에, 해당 세라믹 입자는 도체층에 가까운 것일수록 셸부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세라믹 유전체층은 도체층 근방에 있어서의 세라믹 입자가 도체층과 떨어져 있는 세라믹 입자보다도 셸부의 두께가 큰 코어 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내전압 특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세라믹 유전체층의 박층화에 따른 대용량화 및 소형화가 용이해진다.
여기서, 세라믹 입자의 코어 셸 구조란 세라믹 입자의 중심부인 코어부와 외각부인 셸부가 물리적, 화학적으로 상이한 상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세라믹 유전체층중의 모든 세라믹 입자가 코어 셸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의하면, TEM(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했을 때의, 코어 셸 구조를 갖는 세라믹 입자와 코어 셸 구조를 갖지 않는 세라믹 입자의 개수의 비율이 7/3 이상 9/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내전압 특성과 더불어 유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 셸 구조를 갖지 않는 세라믹 입자에는 코어부만의 입자 및 셸부만의 입자가 존재한다. 코어부만의 세라믹 입자는 유전율 향상에 기여하고, 셸부만의 세라믹 입자는 내전압 특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때, 코어부만의 입자는 코어 셸 구조를 갖는 입자로, 셸부만의 입자를 코어 셸 구조를 갖지 않는 입자로 그 개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 의하면, 코어 셸 구조를 갖지 않는 세라믹 입자가 도체층과의 계면 또는 도체층 근방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소결이 촉진되어 셸부만으로 된 세라믹 입자는 내전압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것이 도체층 근방에 존재함으로써 세라믹 유전체층 전체의 내전압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국면에 의하면, 제 1 세라믹 유전체 분체에 제 1 첨가물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작성하는 공정과, 이 슬러리를 시트형상으로 가공하여 그린 시트를 작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첨가물중의 적어도 일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첨가물과 제 2 세라믹 유전체 분체를 혼련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그린 시트에 도포 하는 공정과, 복수의 그린 시트를 적층하여 적층물을 작성하는 공정과, 이 적층물을 소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소성 과정에 있어서, 도전성 페이스트로부터 그린 시트에 상기 제 2 첨가물이 확산된다. 이 제 2 첨가물은 세라믹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원소중 상기 제 1 첨가물중의 적어도 일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도체층 근방에 있어서의 세라믹 입자의 셸부의 성장이 촉진된다. 따라서, 도체층 근방에 있어서의 세라믹 입자가 도체층과 떨어져 있는 세라믹 입자보다도 셸부의 두께가 큰 코어 셸 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적층 콘덴서는 내전압 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세라믹 유전체층의 박층화에 따른 대용량화 및 소형화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5 국면에 따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4 국면에 의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 분체와 상기 제 2 세라믹 유전체 분체가 동일 조성이고, 또한 본 발명의 제6 국면에서는, 상기 제 2 세라믹 유전체 분체의 입자 직경이 상기 제 1 유전체 분체의 입자 직경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인 제7 국면에 의하면, 상기 제 2 첨가물에는 세라믹 유전체층의 소결을 촉진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세라믹 유전체층(11)과 도체층(12)을 교대로 적층한 대략 직방체형상의 적층체(13)와, 적층체(13)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체층(12)과 접속되는 외부 전극(1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체층(12)은 양 단부의 외부 전극(14)에 대하여 교대로 접속되어 있다. 즉, 한쪽 외부 전극(14)은 도체층(12)과 한층 간격으로 접속되고, 다른쪽 외부 전극(14)은 상기 한쪽 외부 전극(14)과 접속하지 않는 도체층(12)과 접속되어 있다.
세라믹 유전체층(11)은 예컨대 BaTiO3계의 강(强)유전성을 갖는 세라믹 소결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체층(12)은 예컨대 Pd, Ag 등의 귀금속 재료나 Ni 등의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적층체(13)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한 세라믹 그린 시트를 복수개 적층하고, 이것을 소결하여 형성된다. 이에 의해, 세라믹 그린 시트가 소결하여 세라믹 유전체층(11)이 형성되고, 도전성 페이스트가 소결하여 도체층(12)이 형성된다. 외부 전극(14)은 예컨대 Ni, Ag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라믹 유전체층(11)은 코어 셸 구조를 갖는 세라믹 입자(20)와 코어 셸 구조를 갖지 않는 세라믹 입자(30)를 포함하고 있다. 양자의 개수의 구성 비율은 코어 셸 구조를 갖는 세라믹 입자(20) : 코어 셸 구조를 갖지 않는 세라믹 입자(30)가 7:3 내지 9:1 정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약 8:2이다. 여기서, 세라믹 입자의 코어 셸 구조란 세라믹 입자의 중심부인 코어부(21)와 외각부인 셸부(22)와가 물리적, 화학적으로 상이한 상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코어 셸 구조를 갖는 세라믹 입자(20)는 도체층(12) 근방에 있는 것일수록 셸부(22)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공정도이다.
우선, 제 1 세라믹 유전체 분체에 제 1 첨가물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작성한다(단계 S1). 여기서, 제 1 세라믹 유전체 분체로서는 평균 입자 직경 0.35㎛의 BaTiO3 분체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 1 첨가물로서는 주로 희토류 원소인 산화물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MgO, Ho2O3, Sm2O3 및 소결 보조제로서 BaSiO3의 혼합 분체를 이용하였다. 다음에, 이 슬러리를 독터 블레이드법 등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성형하여 세라믹 그린 시트를 얻는다(단계 S2).
한편, 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작성한다(단계 S3). 이 도전성 페이스트는 Pd, Ag 등의 귀금속이나 Ni 등의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재료 분체, 제 2 세라믹 유전체 분체 및 제 2 첨가물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작성한다. 여기서, 금속 재료 분체는 도체층을 형성하는 주재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Ni를 이용하였다.
상기 제 2 세라믹 유전체는 소성의 과정에 있어서 세라믹 그린 시트와 수축 거동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혼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세라믹 유전체와 수축 거동이 근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세라믹 유전체 분체에 대하여 동일한 조성 그리고 평균 입자 직경이 절반 이하인 것을 이용하였다.
상기 제 2 첨가물은 세라믹 그린 시트의 세라믹 입자에 있어서 셸부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이 제 2 첨가물은 상기 제 1 첨가물의 적어도 일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첨가물로서 MgO, Sm2O3 및 BaSiO3의 혼합 분체를 이용하였다.
다음에, 상기 세라믹 그린 시트에 소정 패턴으로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한다(단계 S4). 그리고, 이 세라믹 그린 시트를 적층, 압착하여 시트 적층체를 얻는다(단계 S5). 다음에, 이 시트 적층체를 단위 치수로 재단하여 적층 칩을 얻는다(단계 S6). 다음에, 이 적층 칩에 외부 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한다(단계 S7).
다음에, 이 적층 칩을 소정의 조건하에서 소성한다(단계 S8). 여기서, 소성 조건은 세라믹 유전체나 도체층 등의 조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원 분위기중 1320℃로 소성한 후, 1000℃의 N2-O2 약(弱)산화성 분위기로 전환하여 소성을 실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외부 전극을 도금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를 얻는다(단계 S9).
이상의 단계에 의하면, 상기 단계 S8에 있어서의 소성 과정에서, 세라믹 그 린 시트를 소성하여 세라믹 유전체층(11)을 형성하고, 세라믹 그린 시트에 인쇄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성하여 도체층(12)을 형성한다. 이 소성 과정에 있어서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제 2 첨가물이 세라믹 그린 시트에 확산된다. 그리고, 이 제 2 첨가물에 의해 세라믹 그린 시트에 있어서의 세라믹 입자의 셸부의 성장이 촉진된다. 따라서, 세라믹 유전체층(11)은 도체층(12)의 근방일수록 셸부(22)가 두꺼운 세라믹 입자(20)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세라믹 유전체층(11)은 도체층(12) 근방에 있어서의 세라믹 입자(20)가 도체층(12)과 떨어져 있는 세라믹 입자보다도 셸부(22)의 두께가 큰 코어 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내전압 특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양호한 내전압 특성을 유지하면서 세라믹 유전체층(12)을 박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세라믹 유전체층(12)의 박층화에 따른 대용량화 및 소형화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세라믹 유전체층(11) 및 도체층(12)과 외부 전극(14)을 동시에 소성하여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단계 S6에서 얻어진 적층 칩을 소성하여 소결체를 얻은 후에, 이 소결체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이것을 소성함으로써 외부 전극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세라믹 유전체층은 도체층 근방에 있어서의 세라믹 입자가 도체층과 떨어져 있는 세라믹 입 자보다도 셸부의 두께가 큰 코어 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내전압 특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양호한 내전압 특성을 유지하면서 세라믹 유전체층을 박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세라믹 유전체층의 박층화에 따른 대용량화 및 소형화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7)

  1. 세라믹 유전체층과 도체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유전체층은 코어 셸 구조를 갖는 세라믹 입자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세라믹 입자는 상기 도체층에 가까운 것일수록 셸부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라믹 유전체층의 상기 도체층과의 계면 또는 상기 도체층 근방에 코어 셸 구조를 갖지 않는 세라믹 입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유전체는 상기 코어 셸 구조를 갖는 세라믹 입자와 상기 코어 셸 구조를 갖지 않는 세라믹 입자의 개수의 비율이 7/3 이상 9/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제 1 세라믹 유전체 분체에 희토류 원소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 1 첨가물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작성한 슬러리를 시트형상으로 가공하여 작성된 그린 시트에 상기 제 1 첨가물중의 적어도 일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첨가물과 제 2 세라믹 유전체 분체를 혼련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얻어지는 그린 시트를 복수개 적층하여 소성함으로써 만들어지고,
    상기 제 2 세라믹 유전체 분체의 입자 직경이 상기 제 1 세라믹 유전체 분체의 입자 직경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7. 삭제
KR1020010004880A 2000-02-03 2001-02-01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0771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461 2000-02-03
JP2000026461 2000-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253A KR20010078253A (ko) 2001-08-20
KR100771757B1 true KR100771757B1 (ko) 2007-10-30

Family

ID=1855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880A KR100771757B1 (ko) 2000-02-03 2001-02-01 적층 세라믹 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14603B2 (ko)
KR (1) KR100771757B1 (ko)
CN (1) CN1178240C (ko)
HK (1) HK1039210A1 (ko)
MY (1) MY1228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0494B2 (en) * 2002-03-07 2004-08-24 Tdk Corporation Cerami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duction of same
JP2005159224A (ja) * 2003-11-28 2005-06-16 Tdk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0649580B1 (ko) * 2003-12-15 2006-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핀코팅에 의한 적층세라믹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및적층세라믹 커패시터
KR100755685B1 (ko) * 2004-12-16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콘덴서 및 박막 콘덴서 제조 방법
JP2006319205A (ja) * 2005-05-13 2006-11-24 Taiyo Yuden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23575A1 (en) * 2008-08-26 2010-03-04 Nxp B.V. A capaci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321001B2 (ja) * 2008-11-17 2013-10-23 富士通株式会社 構造体、キャパシタ、及び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JP4992918B2 (ja) * 2009-01-30 2012-08-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セラミック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CN102906835B (zh) * 2009-12-16 2016-08-17 艾普瑞特材料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三维高比表面积电极的电容器和制造方法
DE102010035488B4 (de) * 2010-08-26 2018-11-15 Snaptrack, Inc. Herstellung von keramischen Grünfolien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Keramiken
CN103155062B (zh) 2010-10-12 2017-04-19 艾普瑞特材料技术有限责任公司 陶瓷电容器和制造方法
KR101872520B1 (ko) * 2011-07-28 2018-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JP5189705B1 (ja) * 2012-09-25 2013-04-24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センサー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極形成用の金属ペースト
CN106032326B (zh) * 2015-03-20 2020-12-01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多层复合陶瓷板及其制备方法
US10332684B2 (en) * 2015-07-19 2019-06-25 Vq Research,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terial cladding of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US10431508B2 (en) 2015-07-19 2019-10-01 Vq Research, Inc. Methods and systems to improve printed electrical components and for integration in circuits
EP4113552A1 (en) * 2020-02-27 2023-01-04 Kyocera Corporation Capaci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1122A (ja) * 1989-03-24 1990-10-08 Taiyo Yuden Co Ltd 磁器コンデンサの電極用導電性ペースト
JPH11354374A (ja) * 1998-06-03 1999-12-24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内部電極形成用導電ペース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431B2 (ja) * 1991-03-16 1995-12-18 太陽誘電株式会社 磁器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6160472A (en) * 1995-03-24 2000-12-12 Tdk Corporation Multilayer varistor
JP3391269B2 (ja) * 1998-01-20 2003-03-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セラミ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91268B2 (ja) * 1998-01-20 2003-03-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セラミ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43254B1 (en) * 1998-08-11 2001-06-0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laminated ceramic capacitor using the same
JP2000223351A (ja) * 1999-01-28 2000-08-11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3376963B2 (ja) * 1999-06-30 2003-02-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85437A (ja) * 1999-12-24 2001-07-06 Taiyo Yuden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3827901B2 (ja) * 1999-12-24 2006-09-27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1240466A (ja) * 2000-02-28 2001-09-04 Taiyo Yuden Co Ltd 誘電体磁器と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1122A (ja) * 1989-03-24 1990-10-08 Taiyo Yuden Co Ltd 磁器コンデンサの電極用導電性ペースト
JPH11354374A (ja) * 1998-06-03 1999-12-24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内部電極形成用導電ペー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6752A (zh) 2001-10-10
US20010012561A1 (en) 2001-08-09
KR20010078253A (ko) 2001-08-20
US6514603B2 (en) 2003-02-04
HK1039210A1 (en) 2002-04-12
CN1178240C (zh) 2004-12-01
MY122833A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757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CN104103419B (zh) 多层陶瓷电容器及其制造方法
JP2001240466A (ja) 誘電体磁器と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101414981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09509906A (ja) 銅製電極に使用するcog誘電体組成物
CN102810396A (zh) 多层陶瓷电容器
JP2001220224A (ja) 誘電体磁器と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5452244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とその製造方法
CN113299453B (zh) 线圈部件
JPH06302403A (ja) 積層型半導体セラミック素子
JP3793697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95557A (ja) 電極焼結体、積層電子部品、内部電極ペースト、電極焼結体の製造方法、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7070254B2 (ja) 誘電体組成物および電子部品
JP3994719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4385726B2 (ja) 導体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CN113053620B (zh) 层叠线圈部件
JP2002305125A (ja) コンデンサアレイ
JP7456771B2 (ja) 積層コイル部品
US11557432B2 (en) Ceramic electronic device, circuit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eramic electronic device
JP4387150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81270B2 (ja) 多層基板に内蔵された導体パターン及び導体パターンが内蔵された多層基板、並びに、多層基板の製造方法
JP3457882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21108326A (ja) 積層コイル部品
JP4419487B2 (ja) 酸化物磁器組成物、セラミック多層基板およ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5145761A (ja) 電子部品、誘電体磁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