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958B1 - 거푸집용 합성패널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합성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958B1
KR100770958B1 KR1020060050298A KR20060050298A KR100770958B1 KR 100770958 B1 KR100770958 B1 KR 100770958B1 KR 1020060050298 A KR1020060050298 A KR 1020060050298A KR 20060050298 A KR20060050298 A KR 20060050298A KR 100770958 B1 KR100770958 B1 KR 10077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rmwork
reinforcement
delete delete
rein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진
박정호
박형국
Original Assignee
박정진
박정호
박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진, 박정호, 박형국 filed Critical 박정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시공시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금속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적인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자체의 하중은 감소되어 시공성이 향상된 거푸집용 복합금속거푸집패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 양생을 위한 합성패널에서, 경량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압출성형하여 제작하되, 중공(中空) 워런트러스형으로 배치된 경사리브가 이격한 전,후면(前,後面)보강판을 연결시키는 형태로 구성된 보강패널; 상기 보강패널의 전면 보강판과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 및 상기 보강패널의 후면 보강판과 결합하는 후면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간단하게 조립,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상기 수직면 시공을 위한 바탕거푸집; 하단은 바 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인 제1고정거푸집; 및 상단은 상기 바탕거푸집의 하단과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거푸집;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고정거푸집, 제1연결거푸집 및 바탕거푸집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평하게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합성패널, 고광택강판, 경사 트러스근, 사다리형 트러스근, 조립식 거푸집

Description

거푸집용 합성패널{Complex pane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합성패널의 조립구조도이다.
도2는 도1의 A-A라인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은 전,후면 패널과 보강패널이 홈-턱 결합한 거푸집용 합성패널의 제1실시예이다.
도4는 전,후면 패널과 보강패널이 홈-턱 결합한 거푸집용 합성패널의 제2실시예이다.
도5는 도3의 거푸집용 합성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구조를 벽체철근에 이용한 실시예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구조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바탕거푸집, 제1연결거푸집, 제1고정거푸집이 연결된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의 실시예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탈형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횡으로 맞댄 바탕거푸집이 빗장지지구에 의해 맞댐이음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거푸집용 합성패널
110 : 보강패널 110a : 단위보강패널
111 : 경사리브 112 : 전면 보강판
113 : 후면 보강판 114 : 중공(中空)
115 : 선형홈
120 : 전면패널
130 : 후면패널 140 : 수직 마구리마감재
150 : 끼움턱 160 : 이음턱
170 : 이음재
100a : 바탕거푸집
200 : 제1고정거푸집 200a : 제2고정거푸집
300 : 제1연결거푸집 300a : 제2연결거푸집
400 : 하단판 400a : 상단판
500, 500a : 고정판
600, 600a: 체결고정구
700 : 받침판 800 : 천장슬래브 거푸집
900 : 경사 트러스근 901 : 주철근
902 : 경사철근
950 : 사다리형 트러스근 951 : 주철근
952 : 연결철근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시공시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금속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은 높이고 중량은 감소되어, 외적인 콘크리트 타설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시공성이 향상된 거푸집용 복합금속거푸집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간단하게 조립,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1.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거푸집패널은 사용목적에 따라 목재패널, 금속패널, 유로폼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거푸집패널은 각각 장단점이 있어 장점은 극대화시키고 단점은 극소화시킬 수 있는 거푸집의 개발이 필요하 게 되었다. 상기한 기존의 거푸집들의 장단점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목재패널은 종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여러 크기와 모양을 편리제작 할 수 있으나 평균 전용횟수가 3 내지 4회 정도로 매우 낮아 자재비, 인건비의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2) 금속패널은 철재패널과 알루미늄패널이 있는데, 전용횟수가 50회 정도로 높아지고 콘크리트 마감치수를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패널의 조립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철재패널의 경우 중량이 크고, 다양한 형상의 구현하기 어렵다. 한편, 알루미늄패널의 경우는 거푸집널은 전체적인 강도가 크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3) 유로폼은 보통 금속제틀에 합판을 조립한 구성을 취하며 규격화된 표준형태 거푸집을 사용함으로서 조립, 탈형이 용이하게되고, 전용횟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부재의 크기가 작아 해체, 조립을 반복하므로 인력소모가 많으며, 곡면시공이 어렵고, 거푸집 이음부위가 많아 시멘트풀(cement paste)의 누출이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2. 한편, 종래에 철근을 배근하는 방법 및 거푸집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1) 벽체거푸집 및 벽체철근의 설치
한쪽의 벽체거푸집을 먼저 짜고 철근조립을 완료한 후 다른 편의 벽체거푸집을 짜대었다. 이 때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시 발생하는 측압에 대항하기 위한 거푸집 고정구를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벽체거푸집을 다수장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벽체거푸집간의 연결 및 콘크리트 측압에 대항하기 위해 벽체거푸집의 배후에 버팀대, 멍에 등을 대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했다.
(2) 슬래브거푸집 및 슬래브철근의 설치
동바리를 세우고 동바리 위에 슬래브거푸집을 거치, 고정시킨 후 철근을 조립하였다. 이 때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른 하중은 동바리가 받아주나 슬래브거푸집을 다수장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슬래브거푸집간의 연결부위에 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슬래브거푸집 상호간을 견고히 연결시키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종래의 철근 배근방법 및 거푸집을 설치방법에 의하면, 거푸집간을 연결하기 위한 버팀대나 멍에 등을 대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시간 및 자재비의 증가 및 작업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벽체거푸집 설치시에는 별도의 거푸집 고정구 설치작업이 필요하므로, 벽체철근 배근시 미리 거푸집 고정구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거나 거푸집 고정구 설치시 벽체철근이 배근된 위치를 피해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3. 또한, 종래의 벽체, 기둥 등의 수직 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패널을 결합하여 수직면거푸집을 설치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동바리를 세우고 상기 동바리에 받쳐지도록 슬래브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기 수직면 거푸집 및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직 구조물과 그 상층의 슬래브를 동시에 구축한다.
종래의 수직 구조물 제작을 위한 거푸집은 주로 목재거푸집 등의 비규격품을 사용하거나 유로폼 등의 규격품을 사용해 왔다. 상기 비규격품을 사용할 때는 설계의도에 따른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구조물 시공에 유리하나 거푸집을 정교하게 제작하기 어렵고 제작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어려웠으며 파손량이 증가되었다.
이에 비해 유로폼 공법은 일정 규격의 다수 패널을 결합하여 시공하는 방식으로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공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유로폼 공법은 합판에 금속제프레임을 결합하여 콘크리트타설 중량에 의한 수직력 또는 수평력을 상기 금속제 프레임이 부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합판을 계속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로폼은 금속제프레임의 큰 단위중량으로 인하여 표준규격(600x1200mm)의 크기가 작고 무거워서 아파트 1세대의 벽체 및 슬래브를 구축하는 것만으로도 수백개의 유로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유로폼을 연결하는 웨지핀과 프렛타이의 개수가 많이 소요되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 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구성은 높으나 중량이 크지 않아, 외적인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시공성이 향상된 거푸집용 합성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장의 거푸집을 연결하기 위한 버팀대나 멍에가 필요 없도록 하고, 별도의 거푸집 고정구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자재절감, 공사비 절감은 물론 작업 효율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철근 배근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구조물을 축조할 때에도 간단하게 조립,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 양생을 위한 합성패널에서, 경량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압출성형하여 제작하되, 중공(中空) 워런트러스형으로 배치된 경사리브가 이격한 전,후면 보강판을 연결시키는 형태로 구성된 보강패널; 상기 보강패널의 전면 보강판과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 상기 보강패널의 후면 보강판과 결합하는 후면패널; 및 상기 보강패널의 양측에 연결된 수직 마구리마감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강패널은 전,후면 보강판에 일정간격으로 이격한 종방향 선형홈이 전,후면 보강판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리브는 전,후면 보강판을 지그재그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개의 경사 트러스근과 다수개의 사다리형 트러스근이 수직으로 결합하는 철근 배근구조에서, 상기 경사 트러스근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주철근; 및 연속적인 파형을 갖고 상기 두 개의 주철근을 연결하는 경사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주철근; 및 상기 두 개의 주철근과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되, 일단 또는 양단이 상기 주철근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연결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배근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상기 수직면 시공을 위한 바탕거푸집; 하단은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인 제1고정거푸집; 및 상단은 상기 바탕거푸집의 하단과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거푸집;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고정거푸집, 제1연결거푸집 및 바탕거푸집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평하게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거푸집용 합성패널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합성패널(100)의 조립구조도이다. 도2는 도1의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합성패널(100)은 중공(中空) 워런트러스형으로 배치된 경사리브(111)가 이격한 전,후면(前,後面) 보강판(112, 113)을 연결시키는 형태로 구성된 보강패널(110); 상기 보강패널(110)의 전면보강판(112)과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면을 이루는 전면패널(120); 및 상기 보강패널의 후면 보강판과 결합하는 후면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20)은 벽체나 기둥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널로 쓰인다. 상기 전면패널(120)은 고탄소강으로 제작하여 큰 강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20)의 재질로서 고광택(bright)강판을 사용하면 강판 표면의 녹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이 매끄러워 거푸집의 탈형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고광택강판(bright plate)이란 압연으로 철강을 제작할 때 냉간압연공정 및 소둔(燒鈍)공정 후 조질압연공정에서 아주 미세한 표면조도를 갖는 조질압연 워크롤(Work Roll)을 사용함으로써 표면에 고광택성을 갖도록 제작된 강판이다. 다만, 상기 고광택(bright)강판을 사용할 때는 접착성능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전면 보강판(112) 과 접착되는 면은 접착력증강을 위해 거친 연마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패널(110)은 중공(中空) 워런트러스형으로 배치된 경사리브(111)가 이격한 전,후면(前,後面) 보강판(112, 113)을 연결시키는 형태로 구성되도록 경량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시틱 등을 압출성형하여 제작한 것이다. 전면 보강판(112)은 상기 전면패널(120)과 접착되고 후면 보강판(113)은 후술할 후면패널(130)과 접착된다. 상기 보강패널(110)은 결국 전, 후면패널(120, 130)사이에 접착되는 보강부재로서, 이러한 보강패널에 의해 외적인 콘크리트 타설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자체의 하중은 감소되어 시공성이 향상된 거푸집용 복합금속거푸집패널(100)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패널(110)을 사용함으로서 내구성 증진과 자체하중 감소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내구성 증진 효과
상기 보강패널(110)은 이격한 전,후면(前,後面) 보강판(112, 113)을 중공(中空) 워런트러스형 경사리브(111)로 연결시키므로 상기 보강패널의 판면에 가해지는 응력을 경사리브가 분산 전달하되, 응력을 직접 받는 전면부에서는 압축력으로 후면부에서는 인장력으로 나누어 받게 한다. 상기 보강패널(110)은 전,후면패널(120, 130) 사이에 끼워져 강하게 접착되어 합성패널(100)의 강성이 높아지고 또한 전,후면패널(120, 130) 자체의 강도가 크므로 콘크리트 타설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2) 자체하중 감소 효과
상기 보강패널(110)은 가벼운 알루미늄 등의 경량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 등을 압출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하중이 감소됨은 물론, 이격된 전,후면 보강판은 중공(中空) 워런트러스형 경사리브(111)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기 경사리브의 높이를 높여 알미늄판의 두께를 두껍게 구성하더라도 상기 경사리브가 형성하는 중공(114)에 의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패널의 경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114)은 삼각형, 원형, 사다리꼴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응력에 최소의 부재로 대항할 수 있는 형태는 횡단면이 안정적인 삼각형으로 구성된 워런 트러스형이므로 상기 경사리브는 재료의 낭비를 막고 자체하중 감소에 유리하도록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워런트러스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110)은 일정 폭의 단위보강패널(110a) 다수개가 횡방향으로 이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위보강패널(110a)을 100~150㎜ 정도의 일정한 폭으로 압출성형하여 제작하고, 다수개의 상기 단위보강패널(110a)을 횡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거푸집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거푸집을 제작하면 특별한 생산설비가 없이도 대형거푸집을 다양한 폭으로 조절,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상기 단위보강패널(110a)을 연결하여 900㎜폭을 이루도록 한 합성패널(100)을 표준패널로 하고 잔여 폭은 별도의 모듈화 규격을 적용하여 조립하면 현장작업자의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물론 압출성형제품의 제작 길이는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합성패널(100)도 소요에 따른 자유로운 길이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11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 일정간격으로 이격한 선형홈(115)이 형성되도록 압출성형 하되, 상기 선형홈(115)은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서 상호 엇갈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에도 상기 경사리브(111)가 전,후면 보강판을 지그재그로 연결시키므로 상기 선형홈(115)에 의해 전,후면 보강판(112, 113)은 분절되지만 보강패널(110)의 전체적인 일체성은 유지되며, 중공(中空) 워런트러스형 경사리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도 역시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선형홈(115)의 이격거리는 압출성형 후에 횡단면상에서 이격거리조정(로링)작업이 용이하여서 곡선가공 후에 전,후면 패널 사이에 접착할 수 있으므로 도2에 도시된 거푸집용 합성패널(100)은 곡선기둥 또는 곡선벽체 등의 제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패널의 전,후면 보강판(112, 113)은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 패널(120, 130)과 접착되는 면에 도브테일홈(116)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후면 보강판(112, 113)과 전,후면 패널(120, 130)을 접착할 때는 상기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 에폭시 수지 등의 접착제(117)를 도포하여 접착시키는데, 이 때 상기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는 도브테일홈(116)이 형성된 부위에서는 접착제가 상기 도브테일홈(116)에 걸려서 충진, 경화 되므로 보강패널(110)과 전,후면 패널과(120, 130)의 접착내구력은 크게 향상된다. 이 때 전,후면 패널(120, 130)의 접착면은 전동식 거친 연마로 흠집을 내어 불순물을 제거한 후 접착제를 도포하고 압착하면 상기 보강패널(110)과 전,후면 패널(120, 130)의 접착내구력을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130)은 상기 보강패널(110)에 부착되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전면패널(120)의 반대측에 부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합성패널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면패널(130)도 고탄소강을 사용함으로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합성패널(100)은 보강패널 양측에 수직 마구리마감재(140)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직마구리 마감재(140)는 상기 거푸집용 합성패널(110)의 측면, 즉, 전,후면 패널(120, 130) 및 보강패널(110)의 측면을 막아주는 것이다. 상기 수직마구리 마감재(140)는 상기 거푸집용 합성패널(110)의 각 부재간 결합력을 강화시켜 주는 부재로서, 거푸집용 합성패널(11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판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수직마구리 마감재(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패널(110)과 같은 형태로 거푸집용 합성패널(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전,후면 패널(120, 130)의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의 턱을 갖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거푸집용 합성패널의 각 부재 결합에 유리하다.
한편,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에는 보강패널(110)의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 형성된 선형홈(115)에 대응하여 종방향으로 연속된 끼움턱(150)이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과 보강패널(110)은 각각 홈-턱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는 상기 끼움턱(150)에는 상기 선형홈(115)의 폭보다 넓은 걸림부(151)가 형성되도록 제작하거나(도3 참조), 상기 선형홈(115)과 끼움턱(150)을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도4참조) 결합된 전,후면패널(120,130)과 보강패널(11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홈-턱결합방식을 취하면 접착제 없이도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과 보강패널(11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에는 상기 단위보강패널(110a)이 이어지는 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속된 이음턱(160)을 형성시키고, 양단에 상기 이음턱과 홈-턱결합하는 이음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음재(170)를 상기 보강패널(110)에 삽입하여 상기 보강패널(110)의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면 단위보강패널(110a) 간의 일체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전,후면패널(120, 130)은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패널의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전,후면패널을 플라스틱소재로 제작하면 탄소강(炭素鋼) 등의 소재로 제작할 때보다 내구성이 약해질 수는 있으나, 상기 보강패널과 전,후면패널의 결합은 접착제로 접착시킨 것이 아니므로 상기 전,후면패널은 홈, 턱의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운동으로 간단히 해체할 수 있으므로 교환사용이 가능하다.(도5 참조)
2. 벽체철근 배근 구조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구조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세로근으로 이용되는 다수개의 경사 트러스근(900)과 가로근으로 이용되는 다수개의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 트러스근(900)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두개의 주철근(901) 및 연속적인 파형을 갖고 상기 두개의 주철근(901)을 연결하는 경사철근(9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경사철근(902)의 파형 중 일부를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폭보다 넓은 공간으로 형성하여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을 상기 경사 트러스근(900)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두개의 주철근(951) 및 상기 주철근(951)과 직각을 이루되, 상기 주철근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연결철근(9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두 개의 주철근 간격을 상기 경사 트러스근의 폭보다 넓게 구성하면, 상기 경사 트러스근을 사다리형 트러스근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철근(952)은 거푸집 고정구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철근(952)의 양단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면 콘형너트 등과 함께 간편하게 거푸집 고정구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경사 트러스근(900)과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을 이용하여 벽체거푸집 사이에 배근하는 벽체철근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 트러스근(900)은 벽체의 세로근으로 이용하기 위해 세워 배근하고,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은 벽체의 가로근으로 이용하기 위해 눕혀 배근하되,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은 양단이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의 주철근(951)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연결철근(952)을 포함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연결철근(952)을 거푸집용 고정구로 이용한다.
이 때, 상기 경사철근(902)의 파형은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부등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콘크리트 타설, 양생시 벽체거푸집은 아랫쪽으로 갈수로 큰 측압을 받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경사 트러스근(900)의 경사철근(902) 파형은 아랫쪽으로 갈수록 좁은 간격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경사 트러스근(900)과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을 이용하여 슬래브거푸집 위에 배근하는 슬래브철근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 트러스근(900)은 슬래브의 가로근으로 이용하기 위해 눕혀 배근하고,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은 슬래브의 세로근으로 이용하기 위해 세워 배근하되,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은 일단이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철근 하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연결철근(952)을 포함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연결철근을 거푸집용 고정구로 이용한다.
이 때, 상기 경사 트러스근의 경사철근 파형은 양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넓은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에 의한 압력은 슬래브의 중심으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구조를 벽체철근의 배치 또는 슬래브철근의 배치에 적용하면 다수장의 거푸집을 이어 사용할 때 별도로 거푸집 상호간을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경사 트러스근(900)과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은 수직으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기 때문에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의 돌출된 연결철근(952)과 각각의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작업만으로도 거푸집 및 배근된 철근간의 일체성을 이룩하여, 다수장의 거푸집 상호간의 일체성도 유지되므로, 거푸집 배면에 버팀대나 멍에 등을 대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해지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구조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 경사 트러스근(900)을 세워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한다.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은 상기 경사 트러스근(900)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준비해 둔다.(도7a 참조)
(2)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을 상기 경사철근(902)의 파형 중 넓은 공간을 통해 삽입한다. (도7b 참조)
(3)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950)을 상기 경사철근(902)에 삽입시킨 후 돌려 세운 후 결합시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도7c 참 조)
3.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설치구조는 수직면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바탕거푸집(100a); 하단은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인 제1고정거푸집(200); 및 상단은 상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과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거푸집(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단,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 제1연결거푸집(300) 및 바탕거푸집(100a)의 콘크리트 타설면은 평평하게 연속되어야 한다.
도8은 바탕거푸집, 제1연결거푸집, 제1고정거푸집이 연결된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상기 바탕거푸집(100a)은 일반적인 벽체거푸집, 기둥거푸집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단, 상기 바탕거푸집으로 상기 거푸집용 합성패널(100)을 이용하면 위에서 설명한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도8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상단(320)은 바 탕거푸집(100a)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콘크리트 타설면에서 평평하게 이어져야 한다.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상단(320)은 상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과 결합하고, 하단(310)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바탕거푸집(100a)의 결합방법은 체결구 또는 접착제 등을 다양하게 응용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8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은,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거푸집(100a)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면과 맞닿는 거푸집널부(330); 와, 상기 거푸집널부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으로 거푸집널부보다 넓은 너비를 가져 바탕거푸집의 후면에까지 접하게 되는 보강널부(34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은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거푸집널부(320)와 단턱결합(321)하면서 상기 제1연결거푸집의 보강널부와 홈-돌기에 의한 끼움결합(322)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바탕거푸집(100a)과 제1연결거푸집(300)은 제1연결거푸집(300)의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맞물려 간단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은 다수개의 바탕거푸집(100a)에 끼워질 수 있도록 길게 형성하면 다른 부재의 도움없이도 바탕거푸집 상호간을 맞댄이음연결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은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기 준으로 하향경사를 이룬다.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을 경사면으로 한정하고 제1연결거푸집의 하단을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에 접하도록 구성한 이유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해체시, 상기 연결거푸집(300) 및 상기 연결거푸집과 일체화 되도록 연결된 바탕거푸집(100a)이 경사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내릴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과 제1연결거푸집(300)의 결합방법은 해체(탈형)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체결구에 의한 결합방법을 택해야 한다.
이 때,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은 도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차에 의한 단(段)을 형성하여, 상기 제1연결거푸집의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과 단턱결합하며 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타설면은 평탄함을 유지하더라도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의 반대면은 두께차에 의한 단(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정거푸집에 단차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평면 거푸집의 해체시,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 및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일체화 되도록 연결된 바탕거푸집(100a)이 미끄러져 내릴 때 상기 단차 형성부위에 한 번 걸려지도록 하여 미끄러져 내리는 가속도를 줄여 충격에 의한 제1연결거푸집(300)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도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과 접하는 부위를 상기 단차 형성부위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하면 부재의 단순화로 인한 작업자의 혼돈을 지양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수직구조물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적용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하부의 설치구조는 도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구조물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대칭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과 같은 구조이되,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과 대칭을 이루어 상단이 천장슬래브 거푸집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거푸집(200a; 및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같은 구조이되,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a)과 대칭을 이루어 하단은 바탕거푸집(100a)의 상단과 결합하고, 상단은 제2고정거푸집(200a)의 하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2연결거푸집(300a);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역시 상기 제1,2고정거푸집, 제1,2연결거푸집 및 바탕거푸집의 콘크리트 타설면은 평평하게 연속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제2연결거푸집(300a)은 제1연결거푸집(300)과 함께 다수개의 바탕거푸집에 끼워지도록 길게 형성하면, 바탕거푸집(100a)의 상, 하부를 잡아 고정시킴으로서 더욱 안정적으로 맞댄이음연결을 할 수 있다.
한편, 도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은 제1고정거푸집(200)과 접하는 면의 후면에 체결고정부(3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하단과 직각으로 결합하여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하단판(400);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하단판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고정판(500); 및 상기 고정판(500)을 관통하고 상기 제1연결거 푸집의 체결고정부(360)와 체결되면서 제1연결거푸집(300)을 제1고정거푸집(200)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체결고정구(6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단판(400)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하단과 직각으로 결합되도록 선시공되어 바닥슬래브의 기준먹선에 맞추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500)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하단판(400)과 직각으로 결합한다. 상기 체결고정구(600)는 상기 고정판(50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체결고정부(360)와 체결되면서 제1연결거푸집(300)을 제1고정거푸집(200)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제1고정거푸집, 하단판, 고정판, 체결고정구 및 제1연결거푸집은 일체화되어 상호 유기적인 작용을 한다. 즉,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은 제1연결거푸집(300)을 하부에서 받쳐주고, 상기 하단판은 바닥에 고정되어 제1고정거푸집(200)을 측면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고정판(500)을 관통하는 체결고정구(600)는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체결되고 제1연결거푸집(300)을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측면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또한, 상기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을 해체할 때는 상기 체결고정구(600)를 풀어내어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이 제1고정거푸집(200)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하되, 측면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범위는 상기 고정판(500)에 의해 제한되어 거푸집 해체시의 거푸집의 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 다.
이 때, 도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판(400)과 바닥 사이에 끼워지는 받침판(7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700)은 선시공된 콘크리트슬래브위의 기준먹선에 맞추어 콘크리트 못을 망치로 타격하여 고정, 설치된다. 이후 상기 받침판(700) 위에 상기 하단판(400)을 고정시키는데,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철판피스(나사못)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판(7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하단판(400)을 관통하는 콘크리트 못을 망치로 타격하여 선시공된 콘크리트슬래브위에 직접 고정하할 때, 작업자의 실수로 상기 하단판을 타격하게 되면 하단판은 크게 손상되어 사용불가능하게 되며, 해체시 콘크리트에 깊숙이 고정된 콘크리트못의 인발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하단판(400)의 설치와 해체를 위하여서는 받침판(700)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받침판(700)은 거푸집 해체시 일체화된 바탕거푸집과 제1연결거푸집이 미끄러져 내려올 때 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판(700)은 탄성재를 사용하면 충격완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판(400)과 같은 구조이되, 상기 하단판과 대칭을 이루어 천장슬래브 거푸집(800)에 고정, 설치되는 상단판(400a); 상기 제2고정거푸집(2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상단판(400a)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고정판(500a); 및 상기 고정판(500a)을 관통하고 상기 제2연결거푸 집(300a)의 체결고정부(360a)와 체결되면서 제2연결거푸집(300a)을 제2고정거푸집(200a)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체결고정구(600a);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설치구조를 상부와 하부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하면, 각 부재간 호환성이 있게되고 동일한 원리의 설치구조를 쉽게 이해하고 반복할 수 있어 작업자의 혼동을 방지하여 시공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탈형시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에 설치된 제1, 2연결거푸집(300,300a)을 고정시키는 체결고정구(600, 600a)를 풀어줌으로서 간단한 탈형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11은 횡으로 맞댄 바탕거푸집(100a)이 빗장지지구(110)에 의해 맞댐이음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바탕거푸집(100a)을 맞댄이음하여 연결하는 것은 전술한 제1, 2연결거푸집(300, 300a)에 의해서도 가능하나, 이를 보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빗장체결방식의 연결구를 추가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즉, 상기 바탕거푸집(100a)은 후면에 장착된 고리형태의 빗장지지구(11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호 횡으로 맞댄 바탕거푸집(110a)은 상기 빗장지지구(110)에 동시에 빗장(120)을 삽입 고정함으로서 맞댐이음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압력변화가 발생하여도 일직선상의 평평한 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예는 바탕거푸집(110a)은 양측단부에 고리형태의 빗장지지구(110)가 장착되도록 구성하고, 이웃하는 바탕거푸집(110a)의 빗 장지지구(110)에 동시에 빗장(120)을 삽입 고정함으로서 바탕거푸집 간의 맞댄이음연결을 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합성패널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합성패널합성패널 보강패널에 의해 내구성이 높아지면서도 상기 보강패널은 경량금속으로 제작되고 트러스형 사선리브에 의해 중공을 갖도록 제작하여 중량이 가벼워 시공성이 좋다.
둘째,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널로 브라이트강판을 사용하면 녹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이 매끄러워 거푸집 탈형이 용이하다.
셋째, 도브테일홈 및 수직마구리부재에 의해 거푸집 구성 부재간의 접착내구력이 향상된다.
넷째, 보강패널을 단위크기로 압출성형하여 횡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다양한 폭의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다.
다섯째, 보강패널에 형성된 선형홈에 의해 곡면처리가 가능하다.
여섯째, 보강패널과 전,후면패널을 홈-턱결합 시킴으로써, 접착제 없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전,후면패널을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구조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철근을 통해 거푸집과 배근된 철근을 결합시 킬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배면에 버팀대나 멍에 등을 대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둘째, 상기한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철근을 거푸집 고정구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거푸집 고정구 설치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셋째, 거푸집이 받는 압력을 고려하여 경사철근 파형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철근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배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을 경사면으로 한정하고 제1연결거푸집의 하단을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에 접하도록 구성하여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탈형시, 상기 연결거푸집 및 상기 연결거푸집과 일체화 되도록 연결된 바탕거푸집이 경사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내리도록 하여 손쉽게 탈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연결거푸집, 고정거푸집, 하단판 또는 상단판, 고정판 및 체결고정구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일괄적인 조립 및 탈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길게 형성된 제1, 2연결거푸집과 빗장지지구에 의해 바탕거푸집 상호간을 간단하게 맞댄이음연결시킬 수 있다.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 양생을 위한 합성패널에서,
    경량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압출성형하여 제작하되, 중공(中空) 워런트러스형으로 배치된 경사리브(111)가 이격한 전,후면 보강판(112, 113)을 연결시키는 형태로 구성된 보강패널(110);
    상기 보강패널(110)의 전면 보강판(112)과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120);
    상기 보강패널(110)의 후면 보강판(113)과 결합하는 후면패널(130); 및
    상기 보강패널(110)의 양측에 연결된 수직 마구리마감재(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강패널(110)은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 일정간격으로 이격한 종방향 선형홈(115)이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리브(111)는 전,후면 보강판(112, 113)을 지그재그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100).
  4. 제3항에서,
    상기 보강패널(110)은 일정 폭의 단위보강패널(110a) 다수개가 횡방향으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100).
  5. 제4항에서,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에는 보강패널(110)의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 형성된 선형홈(115)에 대응하여 종방향으로 연속된 끼움턱(150)이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과 보강패널(110)은 각각 홈-턱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100).
  6. 제5항에서,
    상기 끼움턱(150)에는 상기 선형홈(115)의 폭보다 넓은 걸림부(1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100).
  7. 제5항에서,
    상기 선형홈(115)과 끼움턱(150)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100).
  8. 제7항에서,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에는 상기 단위보강패널(110a)이 이어지는 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속된 이음턱(1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패널(110)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패널(110) 전,후면 보강판(112, 113)에 밀착 고정되는 이음재(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음재(170)는 양단에 상기 이음턱(160)과 홈-턱결합하는 이음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100).
  9. 제8항에서,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은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100).
  10. 제3항에서,
    상기 보강패널(110)의 전,후면 보강판(112, 113)은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과 접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전,후면패널(120, 130)의 접착면에는 도브테일홈(116)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100).
  11. 제10항에서, 상기 전면패널(120)은,
    고광택강판(Bright plate)으로 구성되되, 전면 보강판(112)과 접착되는 면은 접착력증강을 위해 거친 연마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합성패널(100).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060050298A 2006-05-10 2006-06-05 거푸집용 합성패널 KR100770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899 2006-05-10
KR20060041899 2006-05-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796A Division KR100812250B1 (ko) 2006-05-10 2007-06-22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1020070061795A Division KR100831690B1 (ko) 2007-06-22 2007-06-22 철근 배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958B1 true KR100770958B1 (ko) 2007-10-30

Family

ID=388161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298A KR100770958B1 (ko) 2006-05-10 2006-06-05 거푸집용 합성패널
KR1020070061796A KR100812250B1 (ko) 2006-05-10 2007-06-22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796A KR100812250B1 (ko) 2006-05-10 2007-06-22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70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4681A (zh) * 2019-04-23 2019-06-21 哈尔滨军鼎混凝土制品有限公司佳木斯分公司 一种防火耐久保温轻质隔墙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94B1 (ko) * 2019-12-03 2020-12-24 주식회사 지음코리아 무근콘크리트 타설높이 조절판을 가진 콘크리트 코너 충격보호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348A (ja) * 1988-11-18 1990-05-30 Taisei Corp 鉄筋ユニットおよび配筋工法
JPH05171739A (ja) * 1991-12-20 1993-07-09 Asahi Chem Ind Co Ltd 補強筋籠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スペーサ
JPH05295856A (ja) * 1992-04-17 1993-11-09 Daiwa House Ind Co Ltd 基礎コーナー筋
JPH08114033A (ja) * 1994-10-14 1996-05-07 Takenaka Komuten Co Ltd 鉄筋ユニット
JPH08144510A (ja) * 1994-11-22 1996-06-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プラスチック型枠パネル
JPH08209926A (ja) * 1995-02-06 1996-08-13 Toda Constr Co Ltd 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方法
JPH0978836A (ja) * 1995-09-08 1997-03-25 Fujita Corp 壁・梁一体組鉄筋と、それを使用した型枠の形成方法
KR970009903U (ko) * 1995-08-30 1997-03-29 주식회사일호 합판고정구
KR200241654Y1 (ko) * 2001-03-27 2001-10-10 박웅준 거푸집 고정대
JP2004263401A (ja) * 2003-02-28 2004-09-24 Hayashi Seiko Kk 基礎用鉄筋の接続フレーム筋および基礎用鉄筋の配筋構造
KR100475700B1 (ko) * 2002-07-31 2005-03-10 (주)거혁건설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JP2005248495A (ja) * 2004-03-03 2005-09-15 Kanaflex Corporation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30B1 (ko) * 2001-03-20 2003-11-07 태성판넬 주식회사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및 그 조립과 해체방법
KR200298117Y1 (ko) 2002-09-19 2002-12-12 이광국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348A (ja) * 1988-11-18 1990-05-30 Taisei Corp 鉄筋ユニットおよび配筋工法
JPH05171739A (ja) * 1991-12-20 1993-07-09 Asahi Chem Ind Co Ltd 補強筋籠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スペーサ
JPH05295856A (ja) * 1992-04-17 1993-11-09 Daiwa House Ind Co Ltd 基礎コーナー筋
JPH08114033A (ja) * 1994-10-14 1996-05-07 Takenaka Komuten Co Ltd 鉄筋ユニット
JPH08144510A (ja) * 1994-11-22 1996-06-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プラスチック型枠パネル
JPH08209926A (ja) * 1995-02-06 1996-08-13 Toda Constr Co Ltd 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方法
KR970009903U (ko) * 1995-08-30 1997-03-29 주식회사일호 합판고정구
JPH0978836A (ja) * 1995-09-08 1997-03-25 Fujita Corp 壁・梁一体組鉄筋と、それを使用した型枠の形成方法
KR200241654Y1 (ko) * 2001-03-27 2001-10-10 박웅준 거푸집 고정대
KR100475700B1 (ko) * 2002-07-31 2005-03-10 (주)거혁건설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JP2004263401A (ja) * 2003-02-28 2004-09-24 Hayashi Seiko Kk 基礎用鉄筋の接続フレーム筋および基礎用鉄筋の配筋構造
JP2005248495A (ja) * 2004-03-03 2005-09-15 Kanaflex Corporation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4681A (zh) * 2019-04-23 2019-06-21 哈尔滨军鼎混凝土制品有限公司佳木斯分公司 一种防火耐久保温轻质隔墙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250B1 (ko) 2008-03-10
KR20070109960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808B1 (ko)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083698B1 (ko)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KR100770958B1 (ko) 거푸집용 합성패널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JP5493271B2 (ja) 間仕切壁、間仕切壁の構築方法、壁ブロック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WO2008060138A1 (en) A system of formwork and connecting means
KR100748939B1 (ko) 이방향 골판형 합성상판
CN211872643U (zh) 一种桥梁面板的支撑结构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1202300B1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102139851B1 (ko)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0415010Y1 (ko) 거푸집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100758627B1 (ko)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101648071B1 (ko)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CN220550857U (zh) 一种模块化现浇混凝土模具
CN216340893U (zh) 一种预制叠合板支撑体系
KR200448792Y1 (ko) 조립식 모서리 거푸집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CN217974904U (zh) T型预制剪力墙的组装结构
CN2646283Y (zh) 建筑砼柱浇筑木模互紧扣式紧固件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