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056B1 -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 Google Patents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056B1
KR100770056B1 KR1020060006786A KR20060006786A KR100770056B1 KR 100770056 B1 KR100770056 B1 KR 100770056B1 KR 1020060006786 A KR1020060006786 A KR 1020060006786A KR 20060006786 A KR20060006786 A KR 20060006786A KR 100770056 B1 KR100770056 B1 KR 100770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connector
reinforcemen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305A (ko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김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렬 filed Critical 김정렬
Priority to KR102006000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0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재가 삽입되는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창호 연결구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창호 연결구로서, 하기의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연결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가 상호 연통된 중공부 및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중공부 이외의 부분을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각 연결방향으로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연결구; 및 상기 중공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고, 상기 중공부를 연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곡률을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보강재의 연속성이 유지되어 창호구조의 내풍압성이 향상되고, 창짝구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창호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창호, 보강재, 내풍압성, 창짝, 창틀

Description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Coupler for window frame which interposes reinforcement body and the structure of windows using the same}
도 1은 창호구조에서 풍압에 주로 영향을 받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창짝 연결구 및 창짝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또 다른 창짝 연결구 및 창짝 프레임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보강재가 삽입된 창틀 연결구 및 창틀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에 삽입되는 모서리보강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연결구와 창호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연결구와 창호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20, 140 : 프레임 연결구 103, 123, 143 : 개구부
109, 129, 149 : 피스홀 300, 340 : 수평프레임
500, 540 : 수직프레임 307, 347, 507, 547 : 프레임보강재
400 : 기밀가스켓 700, 740 : 모서리보강재
901, 903 : 피스
본 발명은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창호프레임과 조립연결되는 프레임 연결구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프레임 방향으로 연통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 내에 모서리보강재를 삽입하여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프레임과 결합함으로써, 프레임 연결구와 창호프레임 내부에 보강재가 연속성 있게 일체화를 이루어 창호 프레임의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창호는 창틀(문틀 포함)과 창짝(문짝 포함)으로 구분되어 지며, 본 발명은 주로 창짝에 적용되게 된다.(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창틀 및 창짝은 광의의 개념으로서 문틀 및 문짝을 포함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3층이상과 300평이상의 건축물에는 내진설계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내진구조형 건축설계 및 관련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진, 돌풍, 태풍, 강풍 등에 대비한 창호구조의 내풍압성 향상의 문제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도 1은 창호구조에서 풍압에 주로 영향을 받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창호는 일반 미서기창을 도시한 것이다. 창호의 내풍압성 시험방법으로 도 1의 창에 압력상자식 송풍기로 바람을 불어넣을 경우 외풍압에 가장 많은 작용을 받아 변화가 일어나는 곳은(휘어지는곳) 반원형태의 점선부위(G)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부위의 대부분은 창짝프레임 중앙부로써, 이는 창틀프레임보다 창짝프레임에 대한 보강의 중요성을 설명해 주고 있다.
또한, 창틀프레임 및 창틀프레임과 연결된 창틀연결구는 앙카, 칼브룩 등과 같은 고정철물이 창틀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박혀서 벽체 등에 고정시켜줌으로써 외풍압에 대한 저항이 큰 반면, 창짝의 경우는 고정철물에 고정되어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외풍압에 보다 취약하다. 창짝이 창틀의 슬라이딩레일 위에 끼워져 걸려있는 미서기창의 경우 창틀과 창짝의 걸림치수도 중요하지만, 외풍앞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창짝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재의 역할도 중요하다.
또한, 창틀프레임 내부의 보강재는 창짝의 처짐을 방지하는 반면, 창짝프레임 내부의 보강재는 창짝에 끼워지는 유리가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리의 무게를 감당하여야 한다. 최근건축물이 고층화, 대형화되고 아파트, 빌라 등의 거실을 확장하는 추세에 따라 대형 크기를 갖는 창호의 설치가 많아지고 있다. 유리의 경우도 풍압에 강성을 띄는 강화유리 또는 페어용 유리의 사용이 커지고 있으며 유리크기 또한 넓어지는 창호크기에 맞게 확대되고 있어, 이러한 유리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창짝프레임의 내부 보강재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창짝에서는 창짝프레임에만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었고, 합성수지재 창호의 창짝연결구는 보강재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가 존재하지 않아, 창짝 모서리부에서 보강재의 연속성이 단절됨으로써 창짝의 내부보강재의 강도를 증대시켜 내풍압성을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도 2는 종래 창짝연결구 및 창짝프레임의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연결구(10a)는 수평 및 수직프레임(30a, 50a)의 형상과 동일한 한 쌍의 면을 구성하여 맞대어지는 연결결합방식에 의해 수평 및 수직프레임(30a, 50a)과 결합된다. 창짝연결구(10a)에는 수직과 수평으로 돌기(12)가 각각 형성되어있고, 창짝연결구(10a) 내부에는 나사 또는 피스를 체결하기 위한 피스 홀이 형성되어 있다. 창짝연결구는 그 수평 및 수직돌기(12)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30a, 50a)에 끼워지고 피스홀을 통해 피스결합된다.
도 2의 창짝연결구(10a)가 연결된 조립식창호는 체결된 피스의 결합력에 의존하여 창짝프레임(30a, 50a)을 지지하게 되어 창짝연결구(10a)와 창짝프레임(30a, 50a) 사이의 결합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창짝연결구(10a) 내부가 막혀있는 형상으로 창짝프레임(30a, 50a)에 보강재를 삽입시켜 연결할 수도 없는 구조이다.
도 3은 종래 또 다른 창짝연결구 및 창짝프레임의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연결구(10b)는 수직프레임(50b) 내부에 삽입되어 수평프레임(30b)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수평프레임(30b)에 끼워지고, 창짝연결구(10b)를 개재하여 수평프레임(30b)과 수직프레임(50b)이 피스결합되는 구조이다. 창짝프레임(30b, 50b) 내부에는 역시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창짝연결구(10b)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창짝연결구(10b)는 도 2의 창짝연결구(10a) 보다는 창짝프레임(30b, 50b)과 창짝연결구(10b)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으나, 이 또한 창짝연결구(10b) 자체가 보강재를 삽입할 수 없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수평프레임(30b)과 수직프레임(50b) 내부의 보강재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보강재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도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3의 창짝연결구(10b)에 의해 연결되는 창호구조도 강도를 증대시켜 내풍압성을 향상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이 개발한 특허 제0522556호에는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보강재를 연결하여 보강재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모서리 연 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로 인해 창짝연결구로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종래 보강재가 삽입된 창틀연결구 및 창틀프레임의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연결구(10c)는 외주면을 따라 일부 혹은 전부가 개방된 홈을 형성하여 모서리보강재(70)가 끼워지고 수평프레임(30c)과 수직프레임(50c)의 보강재와 피스결합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창틀연결구(10c)는 외주면의 일방 또는 쌍방이 개방된 구조를 갖고 외부로 노출된 보강재(70) 위에 피스가 결합되어져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구조는 창틀이 벽면 등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관계상 창틀연결구(10c)의 외주면이나 피스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창호의 외형상에 아무런 문제를 주지 아니하므로 창틀에는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창틀연결구(10c)가 창짝연결구로서 사용된다면 첫째, 창짝연결구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특성상 외부에 결합된 보강재나 그 위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결합부는 제품의 품질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되며, 둘째, 슬라이딩 창의 경우 창틀의 슬라이딩 레일과 맞물리는 슬라이딩 리브구조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창틀연결구(10c)와 같이 외부개방 홈을 통하여 보강재가 연결되는 구조로서는 이러한 슬라이딩 리브구조를 형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강재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창호연결구를 창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창짝연결구 내부에 보강재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가 개발되어야 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동안 쉽게 개발되지 못하고 있었다. 즉, 창짝연결구의 결합수단인 돌기나 피스홀의 위치가 잘못된 위치에 형성되면 피스홀간에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어려움이 있으며, 창짝연결구에 결합돌기나 피스홀을 적절히 형성하면서 내부 보강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 또한 쉽지 않은 문제이다. 또한, 창짝연결구에 내부보강재를 절단 없이 연속된 형태로서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 4의 창틀연결구와는 다른 새로운 구조의 창짝연결구가 제안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호연결구(프레임 연결구)에도 보강재를 삽입하여 창호 프레임의 보강재와 연결시킴으로써 보강재의 연속성이 유지되어 내풍압성이 향상된 창호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창짝연결구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창호연결구(프레임 연결구) 내부에 보강재가 삽입되어 창호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창호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 연결구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창호 연결구로서,
하기의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연결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가 상호 연통된 중공부 및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중공부 이외의 부분을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각 연결방향으로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연결구; 및
상기 중공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고, 상기 중공부를 연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곡률을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연결구는 볼록형 곡면 모서리부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창호 연결구는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각 연결방향과 45도 절단된 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연결구조는,
창호연결구에 의해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는 창호연결구조로서,
전술한 창호 연결구;
상기 창호 연결구의 각 피스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피스 결합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 단부가 상기 프레임 연결구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 연결구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구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된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각 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연결구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은 각각 상응하는 피스홀과 피스결합부를 통해 피스결합된다.
삭제
또한, 상기 창호 연결구조는,
상기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내부에는 프레임보강재가 추가로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보강재가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각 단부와 상호 맞물려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구조는,
창틀과 창짝으로 구성된 창호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창호 연결구를 갖는 창호연결구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짝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창호구조는,
곡면가새 모서리부를 갖는 창틀과 이에 대응하는 창짝으로 구성된 창호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볼록형 곡면 모서리부를 갖는 프레임 연결구로 구성된 창호 연결구조가 상기 창틀의 곡면가새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창짝모서리부에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프레임 연결구에 삽입되는 모서리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프레임 연결구에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된 상태와 창호연결구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구(100)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미도시)과 연결되는 방향에 소정 형태의 개구부(103)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103)는 상호 연통되어 프레임 연결구(100)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 연결구(100)에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연결되는 면의 중앙부와 프레임 연결구(100)의 후면부를 관통하는 피스홀(109)이 형성되어 있으며(도 7 참고),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결합되는 면의 하단부에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결합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결합돌기(1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돌기 안쪽에는 모헤어 등의 기밀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프레임 연결구(10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모서리보강재(7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 연결구(100)는 미서기창 중 각형 모서리부의 창틀을 갖는 창호구조에 적용되는 창짝연결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프레임 연결구(100)는 창틀의 가이드레일(미도시)에 끼워지는 창짝리브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30) 및 이를 연통하는 중공부는 상기 창짝리브 구조에 맞춰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고 프레임 연결구(100)의 모서리방향으로 굽어져 있다.
중공부의 내측 및 외측 모서리부 형상은 모서리보강재(700)가 삽입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는 직각형상(도 6 참고) 뿐만 아니라 곡면형상 또는 기타 다른 형상을 가져도 무관하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구(100)에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연결되는 면의 중앙부와 프레임 연결구(100)의 후면부를 관통하는 수평 및 수직 피스홀(109)이 상호 직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에 형성된 피스홀(109)은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프레임 연결구(100) 외주면 리브 내측에서 각 개구부(103) 방향으로 피스홀(109)을 형성하며, 이 피스홀(109)은 각 개구부(130)까지 중공부 이외의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게 된다.
피스홀은 수평 및 수직 피스홀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조건 하에서 각 개구부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스홀의 구조는 슬라이딩 리브를 형성하는 미서기창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리브를 형성하지 않는 여닫이 창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가 동일한 구조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의 각 연결방향으로부터 45도 절단된 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대칭구조로 형성될 경우, 창짝의 좌/우 모서리부 어디에도 동일한 구조의 프레임 연결구로 모두 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가 다른 크기와 구조를 갖는 수평 및 수직프레임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프레임 연결구의 수평 및 수직 개구부는 각각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단면구조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는 연결되는 창호프레임의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한 비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다.
최근에는 창호의 용도에 따라 다른 크기 및 구조를 갖는 수평 및 수직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창호를 제작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변형구조에도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700)는 프레임 연결구(100)의 중공부에 끼워지게 되는데, 모서리보강재(700)가 수평프레임방향의 개구부(103)로부터 시작되어 돌려 끼우면 수직프레임 방향의 개구부(103)로 나오게 되고, 그 반대로도 결합될 수 있다.
모서리보강재(700)가 삽입된 후에는 모서리보강재(700)의 단부가 프레임 연결구(100)의 개구부(103) 밖으로 돌출되게 되며, 돌출부는 수평 및 수직프레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서리보강재(700)가 프레임 연결구(100)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프레임 연결구(100) 및 모서리보강재(700)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는 형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이하의 조건은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 및 그 중공부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대칭구조 혹은 비대칭구조를 갖는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모서리보강재(700)는 그 길이방향의 접선방향(도 8의 X-X', Y-Y', Z-Z' 방향)으로 절단된 최대 단면이 적어도 중공부(개구부를 포함한다)에서의 연통방향의 접선방향(도 5의 X-X', Y-Y', Z-Z' 방향)으로 절단된 최소 단면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조건 내에서, 모서리보강재가 프레임 연결구에 결합될 경우 중공부의 빈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서리보강재의 최대 단면이 중공부의 최소 단면과 거의 근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모서리보강재와 프레임 연결구의 결합시 중공부의 빈공간이 최소화될수록 모서리보강재와 프레임 연결구가 일체화되어 보강효과가 증대되기 때문이다.
프레임 연결구의 중공부 형상은 다양한 창호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연결구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도 11, 도 13 참고), 이 경우 모서리보강재도 프레임 연결구의 중공부 구조에 맞는 크기와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14 참고)
또한 모서리보강재(700)는 프레임 연결구(100)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부의 모서리방향으로 굽어져 있어야 하며, 그 곡률은 프레임 연결구(100)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정해져야 한다. 즉, 프레임 연결구(100)의 중공부에서의 내측 및 외측 모서리부를 기준으로 계산된 중공부의 내주부 곡률과 외주부 곡률의 범위 내에서 모서리보강재(700)의 곡률이 형성되어야 한다.
모서리보강재의 굽어진 형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프레임 연결구(100)의 중공부를 연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이 소정의 각도로 적어도 한 부분 이상 꺽어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모서리보강재(700)가 프레임 연결구(100)에 삽입된 후 모서리보강재(700)의 단부가 개구부(130) 밖으로 돌출되기 위해서는 모서리보강재(700)의 길이는 프레임 연결구(100)의 중공부의 길이보다 길어야 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700)는 프레임 연결구(100)의 개구부(130) 밖으로 돌출되는 단부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및 수직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서리보강재(700)의 단부는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프레임 연결구(100)의 개구부(130) 밖으로 돌출된 모서리보강재(700)의 단부는 프레임보강재(307, 507)와 함께 수평 및 수직프레임(300, 500)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모서리보강재(700)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서, 프레임 연결구(100)의 중공부는 연통방향의 접선방향(도 5의 X-X', Y-Y', Z-Z' 방향)으로 절단된 최소 단면이 각 개구부(130)의 최대 단면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부가 이러한 구조를 갖는다면, 모서리보강재의 일단이 개구부를 통과한 후에는 개구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진 중공부 내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모서리보강재(700)의 삽입이 더욱 쉬어지게 된다.
프레임 연결구에 형성되는 중공부의 위치는 수평 및 수직프레임과 결합시 수평및 수직프레임 내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프레임 연결구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 결합될 때 프레임 연결구에 삽입된 모서리보강재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 삽입된 프레임보강재와 맞물려 결합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창호 연결구와 창호 프레임의 결합시 프레임 연결구의 개구부 단면이 그 내부에 적어도 프레임보강재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는 위치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중공부 내에 삽입된 모서리보강재가 프레임보강재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700)가 삽입된 프레임 연결구(100)는 프레임보강재(307, 507)가 삽입된 수평 및 수직프레임(300, 500)과 결합되게 된다. 프레임 연결구(100)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된 모서리보강재(700)의 단부는 프레임보강재(307, 507)에 맞물려 수평 및 수직프레임(300, 500) 내부에 끼워지게 된다. 프레임 연결구(100)와 수평 및 수직프레임(300, 500)의 결합면 사이에는 결합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 기밀가스켓(400)이 개재될 수 있다.
프레임 연결구(100)에 형성된 피스홀을 통하여 피스(901)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300, 500)의 피스결합부에 결합되게 된다.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피스결합부는 피스홀이 될 수도 있고 피스가이드부가 될 수도 있으며, 막혀진 결합부를 피스가 뚫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호 맞물려 끼워진 모서리보강재(700)의 단부와 프레임보강재(307, 507) 부분은 피스(903)를 통하여 수직 및 수평프레임(300, 500)에 피스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연결구와 수평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되어 각 보강재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보강재가 연속성을 유지하여 일체화되어 내풍압성이 향상된 창호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수평 및 수직프레임 자체가 필요한 강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 연결구(100)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된 모서리보강재(700)의 단부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300, 500) 내부에 직접 끼워져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 피스결합되게 된다.
이로써 모서리보강재가 수직 및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창호구조의 강도 및 지지력을 유지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된 창호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프레임 연결구(120)는 곡면가새 모서리부를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에 대응하는 볼록형의 모서리부를 갖는 프레임 연결구이다. 볼록형의 모서리부를 갖는 특징을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창호연결구 및 창호구조와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프레임 연결구(120)의 중공부는 볼록형의 모서리부로 인하여 곡면의 외주부를 갖게 되며, 도 8의 도시된 형태의 모서리보강재(700)는 프레임 연결구(1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프레임 연결구(120)에 형성된 피스홀(129)도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창호연결구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즉, 프레임 연결구(120)의 곡면모서리부로 이루어진 프레임 연결구(120)의 각 리브 사이의 내측에서 수평 및 수직프레임 방향으로 프레임 연결구를 관통하는 피스홀이 형성된다.
프레임 연결구(120)의 후면부(모서리부) 측에서 도시된 사시도는 곡면 모서리부를 제외하고는 도 7과 동일하다. 도 12의 모서리보강재(700)가 삽입된 프레임 연결구(120)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여닫이 창에서의 창짝에 적용되는 프레임 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프레임 연결구에 적용되는 모서리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창호연결구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서기창의 창짝에 적용되는 프레임 연결구(140)와 수평 및 수직프레임(347, 547)은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창틀의 모서리 안쪽으로 맞물려 들어가는 부분과 이렇게 맞물린 상태에서 창틀 모서리 외측에 맞닫는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닫이 창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의 미서기창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따른 중공부 및 그 개구부(143)와 이에 대응하는 모서리보강재(740)의 구조도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보강재(740)가 프레임 연결구(140)의 중공부를 통하여 삽입되기 위하여 모서리보강재(740) 및 프레임 연결구의 중공부에 적용되는 구조적 조건은 도 5 내지 도 10의 미서기창에서의 조건과 동일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구(120)에는 그 모서리부 안쪽에서 각 개구부 방향으로 관통된 피스홀(149)이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피스홀이 상호 연통되어 간섭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피스홀의 개수는 각 방향으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프레임 연결구(140)의 모서리부 안쪽에 형성된 피스홀의 구조는 도 7에서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미서기창의 프레임 연결구(120)의 피스홀(149)도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의 각 연결방향으로 형성된 피스홀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15는 미서기창의 창짝에 적용되는 창호연결구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결합방식은 도 10에서와 동일하다. 도 15에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프레임 연결구(140)와 수평 및 수직프레임(340, 540)의 결합면 사이에는 기밀가스켓이 개재될 수 있으며, 모서리보강재(740)의 단부와 프레임보강재(347, 547)는 상호 맞물려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미도시)에 의해 수평 및 수직프레임(340, 540)에 피스결합된다.
이로써, 보강재가 연속성이 확보되어 일체화됨으로써 내풍압성이 향상된 창호연결구 및 창호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창호연결구 및 창호구조는 창짝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창짝의 모든 모서리부에 본 발명의 창호연결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창짝의 하중이 집중되는 하부 모서리부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곡면가새 모서리부를 갖는 창호구조에서는 창짝이 닫혀진 상태에서 창틀과 맞닿는 모서리부에는 도 11 및 도 12의 창호연결구조가 적용되고, 그 이외의 모서리부에는 도 5 내지 도 10의 창호연결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창짝에 적용되는 창호연결구 및 창호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창호연결구 및 창호구조는 창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협의의 창짝 및 창틀 이외에 문짝 및 문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창호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기타 건축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창호연결구에도 보강재를 삽입하여 창호프레임의 보강재와 연결시킴으로써 보강재가 연속성을 유지하며 일체화되어 내풍압성이 향상된 창호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창호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짝연결구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창호연결구 내부에 보강재가 삽입되어 창호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창호연결구 및 이를 이용 한 창호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창호 연결구로서,
    하기의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연결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가 상호 연통된 중공부 및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중공부 이외의 부분을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각 연결방향으로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연결구; 및
    상기 중공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고, 상기 중공부를 연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곡률을 갖는 모서리보강재;
    를 포함하는 창호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구는 볼록형 곡면 모서리부를 갖는 창호 연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구는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각 연결방향과 45도로 절단된 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창호 연결구.
  4. 창호연결구에 의해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는 창호 연결구조로서,
    청구항 1의 창호 연결구;
    상기 창호 연결구의 각 피스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피스 결합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 단부가 상기 프레임 연결구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 연결구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구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된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각 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연결구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은 각각 상응하는 피스홀과 피스결합부를 통해 피스결합되는 창호 연결구조.
  5. 창호연결구에 의해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는 창호 연결구조로서,
    청구항 2의 창호 연결구;
    상기 창호 연결구의 각 피스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피스 결합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 단부가 상기 프레임 연결구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 연결구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구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된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각 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연결구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은 각각 상응하는 피스홀과 피스결합부를 통해 피스결합되는 창호 연결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는 프레임 보강재가 추가로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보강재는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각 단부와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창호 연결구조.
  7. 창틀과 창짝으로 구성된 창호구조에 있어서,
    청구항 4의 창호 연결구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짝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창호구조.
  8. 곡면가새 모서리부를 갖는 창틀과 이에 대응하는 창짝으로 구성된 창호구조에 있어서,
    청구항 5의 창호연결구조가 상기 창틀의 곡면가새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창짝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창호구조.
KR1020060006786A 2006-01-23 2006-01-23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KR100770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86A KR100770056B1 (ko) 2006-01-23 2006-01-23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86A KR100770056B1 (ko) 2006-01-23 2006-01-23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305A KR20070077305A (ko) 2007-07-26
KR100770056B1 true KR100770056B1 (ko) 2007-10-24

Family

ID=3850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786A KR100770056B1 (ko) 2006-01-23 2006-01-23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425B1 (ko) * 2012-08-08 2013-07-02 김한섭 태양광발전기능이 구비된 창틀
KR20180064984A (ko) 2016-12-06 2018-06-15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102337831B1 (ko) 2021-04-12 2021-12-10 신백범 창틀 떨림 방지를 위한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창틀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04B1 (ko) * 2007-08-10 2012-02-15 니스코 주식회사 방음판
KR101347795B1 (ko) * 2012-02-27 2014-01-03 안수현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WO2016167478A1 (ko) * 2015-04-16 2016-10-20 김용만 하이브리드 목재창호
KR102164146B1 (ko) * 2019-03-26 2020-10-12 문승근 자재의 최소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창문 프레임
KR102504726B1 (ko) * 2022-05-04 2023-02-28 주식회사 씨티이앤씨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556B1 (ko) 2005-04-26 2005-10-19 김정렬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된 조립식 창호의 모서리 연결구 및이를 이용한 조립식 창호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556B1 (ko) 2005-04-26 2005-10-19 김정렬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된 조립식 창호의 모서리 연결구 및이를 이용한 조립식 창호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425B1 (ko) * 2012-08-08 2013-07-02 김한섭 태양광발전기능이 구비된 창틀
KR20180064984A (ko) 2016-12-06 2018-06-15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102337831B1 (ko) 2021-04-12 2021-12-10 신백범 창틀 떨림 방지를 위한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창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305A (ko)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056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EP0428589A4 (en) Connection system
US20110167753A1 (en) Frame assembly having stile and rail tabs for coupling stile and rail members together
KR20190001747A (ko) 제진 특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
KR101199523B1 (ko) 결로방지구조를 갖는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US11591843B2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KR200428780Y1 (ko)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0989505B1 (ko) 도어 프레임
KR101121121B1 (ko)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GB2416561A (en) Frame perpendicular joint
CA1301549C (en) Panel structure for garage doors and the like
KR102311436B1 (ko) 방화문용 문틀프레임
KR101028151B1 (ko) 창호의 힌지 결합구조
CN210948237U (zh) 一种结合转角窗户的内平开窗
KR101987818B1 (ko)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KR102064613B1 (ko) 단열 방풍 현관문
JP3216016B2 (ja) 引違い窓
JP3179727B2 (ja) 複合サッシ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KR200279187Y1 (ko) 새시 프레임 연결구조
CN110552595A (zh) 一种全景门
KR102662445B1 (ko) 윈도우프레임조립체
CN220769279U (zh) 一种外平开门窗的中梃拼接加强连接件
CN215332444U (zh) 一种侧压密封式装甲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